[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82568A -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568A
KR20130082568A KR1020110131519A KR20110131519A KR20130082568A KR 20130082568 A KR20130082568 A KR 20130082568A KR 1020110131519 A KR1020110131519 A KR 1020110131519A KR 20110131519 A KR20110131519 A KR 20110131519A KR 20130082568 A KR20130082568 A KR 20130082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yment
vehicle
information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성호
Original Assignee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1013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2568A/ko
Publication of KR20130082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56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입차 시 해당 차량을 확인하기 위한 입차 확인부와, 출차 시 출차 차량을 단속하는 출차 단속부, 상기 입차 확인부를 통해 차량이 주차장에 입차되면 주차 정보를 관리하고, 운전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주차 정보를 제공하며, 처리된 주차정보에 따라 출차 단속부를 제어하는 주차관리서버, 상기 주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차량정보를 입력하여 주차정보(입차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차정보를 통해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주차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주차정보에 따른 결제를 요청할 경우 결제를 진행하고 결제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결제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Parking fee settlement system with handheld devices}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주차장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주차요금 계산 및 결재와 관련하여 Smart 시대에 Mobile을 이용한 주차시간에 대한 정보 및 주차요금을 운전자에게 전달하고 별도의 단말이나 요금 정산소에서 결재를 하지 않고 바로 전달된 Mobile 요금정산 내역에 따라 Mobile 결재를 진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료로 운영되는 주차장에는 주차관리요원을 배치하거나 주차권 자동 발급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적은 규모의 주차장에서는 소수의 주차관리요원이 주차된 모든 차량이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지만, 주차장의 규모가 방대해짐에 따라 소수의 요원만으로 주차된 모든 차량을 일괄적으로 관리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더욱이, 주차타워, 주차빌딩, 대형 주차장 등에서는 관리상의 어려움이 더욱 심각하며, 매 층마다 주차관리요원을 배치한다는 것은 운영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종래에는 주차장의 입구에 주차권 자동 발매기를 설치하고, 주차장의 출구에 정산소를 설치하며, 정산소에 소수의 주차관리요원을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인 주차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의 기술은 차량이 주차장 입구에서 마그네틱이나 bar code type의 주차권을 뽑으면 차단기를 통하여 입차하고 출차 시 특별한 정산 단말에서 사전 정산을 하거나, 출입구의 정산소에서 자동 정산기로 개인이 정산 또는 정산 부스의 정산원을 통한 수동 정산을 하는 시스템으로 주차 입/출차 및 정산이 이루어 졌다.
KR 10-0374390호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주차 정산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에 관한 것으로, 한국등록특허 제 10-0374390호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인 주차 정산시스템을 살펴보면,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에 적어도 주차권 번호정보가 기록된 주차권을 발급하는 주차권 자동 발급기, 상기 주차권 자동 발급기에서 상기 주차권이 발급되는 시점에 연동되어 상기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주차장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제시한 주차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주차권 판독기 및 상기 주차권 자동 발급기와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주차권 판독기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주차권 자동 발급기로부터 상기 주차 개시시각정보 및 상기 주차권 번호정보를 전송 받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주차권 번호정보에 상기 주차 개시시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링크하여 저장하고, 상기 주차권 판독기에 의해 검출된 정보 중 상기 주차권 번호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주차 개시시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주차권 번호정보와 상기 주차 개시시각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와 자체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 현재 시각정보를 합성한 주차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주차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관리 서버는, 상기 주차권 자동 발급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주차 개시시각정보 및 상기 주차권 번호정보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상기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상기 주차권 번호정보와 상기 주차 개시시각정보 및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현재 시각정보를 합성하여 상기 주차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주차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주차권 자동 발급기의 자동을 감지하여 상기 주차권 자동 발급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주차 개시시각정보 및 상기 주차권 번호정보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상기 영상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주차권 번호정보에 상기 주차 개시시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를 링크시켜 상기 저장장치에 각각 분류 저장하며, 상기 주차권 판독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주차권번호정보에 대응하는 주차 개시시각정보와 상기 영상정보 및 상기 타이머에 의해 검출된 상기 현재 시각정보를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에 제공하여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가 상기 주차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차량의 입차 시 주차증을 뽑아서 주차 시간을 카운터 하거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 후 출차 시에 다시 번호판을 촬영하여 주차 시간을 카운터한 후 정산원을 통해 요금정산을 실시하며, 최근에는 무인정산 시스템이 도입되어 신용카드나 현금으로 무인기기를 통해 요금을 정산하도록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주차 요금 정산시스템의 경우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과정에서 요금 정산원이나 무인 정산기기에 멈춰 서서 요금을 정산해야하는 시간 낭비가 따르고, 대형 마트나 병원, 공공기관 등 주차 차량이 많은 장소에서는 주차요금 정산에 따른 출차 지체로 이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료 주차장 내에서 요금 정산의 결제 다양성을 한층 더 높게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더불어 보다 효과적인 주차장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입차 시 해당 차량을 확인하기 위한 입차 확인부와, 출차 시 출차 차량을 단속하는 출차 단속부, 상기 입차 확인부를 통해 차량이 주차장에 입차되면 주차 정보를 관리하고, 운전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주차 정보를 제공하며, 처리된 주차정보에 따라 출차 단속부를 제어하는 주차관리서버, 상기 주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차량정보를 입력하여 주차정보(입차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차정보를 통해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주차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주차정보에 따른 결제를 요청할 경우 결제를 진행하고 결제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결제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차 확인부는, 발권지 발권 또는 차량 번호판 인식을 통해 주차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은, 상기 입차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입차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주차위치검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차위치검출부는, 초음파 센서 방식, 무선 센서 방식, 카메라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차량의 주차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은, 입차되는 차량에 대해 주차 공간으로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유도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제 서버는, 휴대폰 요금 결제를 위한 통신사 서버, 신용카드 결제, 적립금 결제, 교통카드 결제, 계좌이체를 포함하는 결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금융기관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스마트(smart) 시대를 맞이하여 휴대 단말기(mobile)를 이용해 주차 요금을 사전에 정산함으로써, 좀 더 신속하고 빠르게 요금 정산을 실시하여 요금 정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간적인 문제와 결제 수단(카드, 상품권, 할인권, 적립포인트 점수 등)에 대한 다양성을 가질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매우 유익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주차요금 정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의 정산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의 정산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은,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입차 시 해당 차량을 확인하기 위한 입차 확인부와, 출차 시 출차 차량을 단속하는 출차 단속부, 상기 입차 확인부를 통해 차량이 주차장에 입차되면 주차 정보를 관리하고, 운전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주차 정보를 제공하며, 처리된 주차정보에 따라 출차 단속부를 제어하는 주차관리서버, 상기 주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차량정보를 입력하여 주차정보(입차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차정보를 통해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주차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주차정보에 따른 결제를 요청할 경우 결제를 진행하고 결제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결제서버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산시스템은, 입차 확인부(100), 출차 확인부(101), 주차 차량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주차관리서버(110), 주차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결제서버(120) 및 상기 결제서버에 접속하여 주차 요금 정산을 처리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차 확인부(100)와 출차 확인부(101)는 차량의 주차장 내로 진입하는 경우와 출차되는 경우를 차량의 확인하는 것으로, 상기 입차 확인부(100)는 진입차량에 대해 주차 입차 시간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입차 확인부는 주차 발권지를 출력하는 방식이나 카메라를 통해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입차 차량을 확인하는 방식이 있다. 이에 대응하게 출차 확인부는 발권지 확인, 차량 번호 인식을 통해 해당 주차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출차 확인부에서 정산 전 사전에 정산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출차 확인부에는 해당 차량이 주차 요금을 정산을 완료했는지 여부만 확인하고 차단기 제어만 결정하게 된다.
주차관리서버(110)는 주차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우선 입차된 차량 수를 확인하여 주차 가능여부를 판단하거나 복잡함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등 주차장을 관리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입차된 차량의 차량 번호와 주차 시간을 체크한 후 운전자 휴대 단말기를 통해 주차요금을 결제하고자 할 때 공지의 결제수단에 해당하는 휴대폰 결제, 신용카드 결제, 계좌이체 등 결제서버(120)와 연동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여기서 결제서버는 휴대폰 결제를 수행하는 통신사 서버(121)와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 카드 결제를 위한 카드사 서버(122)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신사 서버와 카드사 서버만을 도시하였지만, 공지의 다양한 결제수단이 구현될 수 있는 건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관리서버(11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통한 주차 요금 정산을 위하여 관련 전산 시스템을 지원한다. 운전자가 해당 주차 요금을 정산하기 위하여 차량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차량에 대한 주차 요금 안내와 결제 시스템 연결을 통해 소프트웨어 등 제공한다. 휴대 단말기 결제를 위하여 우선 접속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여기서 접속 프로그램이란 ARS 접속을 통해 해당 통신망으로 주차관리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접속 후에는 자신의 차량 번호를 입력한 후 주차요금이 얼마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결제방법을 선택한 후 상기 주차관리서버에 연동하는 해당 결제서버를 통해 접속하여 결제한다. 휴대폰 결제를 수행할 경우 주차관리서버는 통신사 서버와 연동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스마트폰의 경우 해당 주차장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제공하여 주로 방문자는 방문객의 경우 사전에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치한 후 주차장 이용에 따른 요금을 결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기적으로 주차장을 이용하는 고객이 정기 주차권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차 관제실에 방문하여 정기 주차권을 발행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앞서 언급한 휴대 단말기를 통해 결제를 수행함과 더불어 운전자들의 편의성을 도모시키기 위해 주차위치를 확인하고 주차 정보를 통해 주차 장소를 유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 위치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무선 센서, 카메라 등 주차 위치를 검출하기 주차위치검출부(140)가 구비되며, 차량의 위치에 따라 빈 주차공간을 안내하는 디스플레이에 해당하는 주차유도수단(150)이 구성된다. 주차위치검출부(140)를 통해 차량의 주차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정보를 주차관리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주차관리서버에는 상기 주차유도수단(150)으로 차량에 대해 주차 정보를 안내하여 주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의 정산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의 정산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순서도를 보면, 우선 주차 차량이 입차를 하게 되면, 입차 확인부를 통해 차량의 입차를 결정하게 되고 주차유도수단을 통해 안내에 따라 운전자의 빈 주차공간을 안내받아 용이하게 주차할 수 있다.
차량이 주차장 내에 입차하게 되면 그 시간부터 주차 시간이 카운터 되면서 요금이 발생하고 되며, 주차가 종료되면 운전자는 본의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주차관리서버에 접속한다. 접속방법의 경우 ARS 접속,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접속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주차관리서버에 접속한 후 운전자 차량의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주차 시간 카운터에 따른 주차요금을 확인할 수 있고, 요금 결제를 진행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를 통해 결제서버와 접속하여 결제를 진행한다.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차량에 대해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주차관리서버는 인지하게 되고, 출차 단속부를 제어한다. 차량이 주차장을 빠져나가 출차 단속부에 도착하면 발권지를 제출한 후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여 차단기가 올라가 빠져나가거나, 차량 번호판 인식의 경우 번호판 인식 후 요금 정산이 완료되었음이 확인되고 출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현재까지의 주차 시간, 주차 요금, 차량 위치 등 차량의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주차관리서버의 소프트웨어적 설계를 통해 입차 차량에 대한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서 요청이 생기면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즉, 모바일을 통해 주차요금을 사전에 정산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편리한 시간대에 자신이 휴대한 휴대폰으로 쉽게 결제할 수 있어, 주차 요금 정산에 따른 시간적 문제나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입차 확인부
101 : 출차 확인부
110 : 주차관리서버
120 : 결제 서버
121 : 통신사 서버
122 : 카드사 서버
130 : 휴대 단말기
140 : 주차위치검출부
150 : 주차유도수단
200 : 휴대 단말기

Claims (6)

  1.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입차 시 해당 차량을 확인하기 위한 입차 확인부와, 출차 시 출차 차량을 단속하는 출차 단속부;
    상기 입차 확인부를 통해 차량이 주차장에 입차되면 주차 정보를 관리하고, 운전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주차 정보를 제공하며, 처리된 주차정보에 따라 출차 단속부를 제어하는 주차관리서버;
    상기 주차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차량정보를 입력하여 주차정보(입차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주차정보를 통해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주차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주차정보에 따른 결제를 요청할 경우 결제를 진행하고 결제정보를 상기 주차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결제서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차 확인부는,
    발권지 발권 또는 차량 번호판 인식을 통해 주차 여부를 확인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은,
    상기 입차 확인부를 통해 확인된 입차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주차위치검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위치검출부는,
    초음파 센서 방식, 무선 센서 방식, 카메라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차량의 주차 여부를 확인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요금 정산시스템은,
    입차되는 차량에 대해 주차 공간으로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유도수단;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서버는,
    휴대폰 요금 결제를 위한 통신사 서버, 신용카드 결제, 적립금 결제, 교통카드 결제, 계좌이체를 포함하는 결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금융기관서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KR1020110131519A 2011-12-09 2011-12-09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Ceased KR20130082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519A KR20130082568A (ko) 2011-12-09 2011-12-09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519A KR20130082568A (ko) 2011-12-09 2011-12-09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568A true KR20130082568A (ko) 2013-07-22

Family

ID=4899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519A Ceased KR20130082568A (ko) 2011-12-09 2011-12-09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25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7794A (zh) * 2016-08-21 2017-02-22 武克易 停车场在线管理系统的支付子系统
WO2020179992A1 (ko) * 2019-03-05 2020-09-10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
KR20240050319A (ko) * 2020-09-04 2024-04-18 주식회사 지평정보시스템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7794A (zh) * 2016-08-21 2017-02-22 武克易 停车场在线管理系统的支付子系统
WO2020179992A1 (ko) * 2019-03-05 2020-09-10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
KR20240050319A (ko) * 2020-09-04 2024-04-18 주식회사 지평정보시스템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9564B2 (ja) 施設管理装置、施設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05103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6695683B2 (ja) 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駐車場管理プログラム、登録装置、登録方法、及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17084264A (ja) 自転車利用システム
JP2019040502A (ja) ゲート式駐車場での駐車料金のスマホ決済法
JP2024050943A (ja) 携帯通信端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05275719A (ja) 駐車場案内と料金自動支払い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駐車場案内サービスホストコンピュータ
KR100582031B1 (ko) 주차관리 시스템
KR20000036745A (ko) 사은포인트 적립금을 이용한 교통요금 결제시스템
KR20130082568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JP4480523B2 (ja) 駐車場システム、駐車料金精算システム、および可搬型記憶装置
KR101854859B1 (ko) 유료 도로 사용 요금 징수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JP4381110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JP2006127493A (ja) 車両用決済支援装置及び金融取引処理装置
JP6952829B2 (ja) 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駐車場管理プログラム、登録装置、登録方法、及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03228745A (ja) 駐車場の駐車料金精算システム
KR20190013458A (ko)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주차권 기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방법
JP2022141992A (ja) 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システム、駐車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421718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주차료 징수방법 및 시스템
JP2005157776A (ja) 駐車場管理プログラム、駐車場管理方法、駐車場管理装置、盗難車両捜索プログラム、盗難車両捜索方法および盗難車両捜索装置
JP7599724B2 (ja) 入出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出場管理プログラム
JP7401705B2 (ja) 駐車料金精算機
JP7473971B2 (ja) 入出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出場管理プログラム
KR20130089432A (ko) 병원용 주차료 정산 시스템 및 주차료 정산방법
JP7491762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3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404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1202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2I

Patent event date: 201309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7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303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3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