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50319A -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319A
KR20240050319A KR1020240048003A KR20240048003A KR20240050319A KR 20240050319 A KR20240050319 A KR 20240050319A KR 1020240048003 A KR1020240048003 A KR 1020240048003A KR 20240048003 A KR20240048003 A KR 20240048003A KR 20240050319 A KR20240050319 A KR 20240050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yment
information
vehicle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60324B1 (ko
Inventor
신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평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평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평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4004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0324B1/ko
Publication of KR2024005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03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11); 및 결제 애플리케이션(11)과 정보 교환이 가능한 운영 서버(12)를 포함하고,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주차 요금의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주차 서버(13)로 전송하고, 이에 의하여 주차기(14)가 작동되어 차량 출입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A System for Paying a Parking Fee Using a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주차장의 주차 요금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결제되어 요금 결제 및 주차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수 차량의 주차를 위한 주차장의 주차 관리 및 요금 관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주차장으로 차량이 진입하면서 차량 번호가 자동으로 인식되어 저장되고, 이후 주차장을 나가기 위하여 정해진 장소에 설치된 정산 장치에서 정산을 하거나 또는 차단기가 설치된 관리실에서 카드 또는 현금으로 정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결제되는 경우 정산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면서 이와 동시에 정산 장치에서 별도로 정산 절차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차단기에 설치된 정산 설비에서 주차 요금이 결제되는 경우 다른 차량 통행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특허공개번호 10-2008-0006211은 모바일 결제 수단을 가지는 무인주차요금관리시스템 및 그 결제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09-0005491은 차량번호인식시스템을 이용한 통합 무인주자창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은 무인 결제 수단에 대하여 개시하지만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간단하게 결제가 되면서 이와 동시에 주차 관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주차 요금 결제 구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번호 10-2008-0006211(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2008.01.16. 공개) 모바일 결제수단을 가지는 무인주차요금관리시스템과 그결제방법 특허문헌 2: 특허공개번호 10-2009-00005491(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2009.01.14. 공개) 차량번호인식시스템을 이용한 통합 무인주차장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주차 요금의 정산이 이루어지면서 이와 동시에 주차 관리가 가능한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 및 결제 애플리케이션과 정보 교환이 가능한 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결제 애플리케이션은 주차 요금의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주차 서버로 전송하고, 이에 의하여 주차기가 작동되어 차량 출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운영 서버에 차량 정보가 미리 저장되고, 주차 서버로부터 전송된 차량 정보가 대비되어 주차 요금의 결제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결제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핀테크(Fin-Tech) 결제 수단과 연동되어 작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결제 애플리케이션은 주차 위치 정보의 저장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은 운영 서버에 차량을 등록하고,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주차 요금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주차 요금이 결제되어 주차 요금의 결제를 위하여 별도로 설치된 정산 장치를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해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결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결제가 되도록 하면서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기능에 의하여 주차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다양한 핀 테크(Fin Tech) 기술과 연동되어 작동되어 결제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별도로 설비 또는 장치가 설치되지 않으면서 주차장의 주차 관리 및 주차 요금의 결제가 가능하여 주차 관리의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 의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위한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 의하여 주차 요금이 결제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11); 및 결제 애플리케이션(11)과 정보 교환이 가능한 운영 서버(12)를 포함하고,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주차 요금의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주차 서버(13)로 전송하고, 이에 의하여 주차기(14)가 작동되어 차량 출입이 이루어진다.
모바일 기기(M)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무선 통신이 가능하면서 독립된 운영 체제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M)에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이 설치될 수 있고, 결제 애플리케이션(11)에 의하여 주차 요금이 결제될 수 있다.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예를 들어 운영 서버(12)로부터 또는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가 되어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될 수 있다.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독립적으로 주차 요금을 결제하거나, 운영 서버(12)를 통하여 주차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결제 애플리케이션(11)에 차량 종류, 차량 번호 또는 이와 유사한 차량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서버(12)에 또한 결제 애플리케이션(11)에 저장된 차량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서버(12)를 통하여 주차 요금이 결제되는 경우 운영 서버(12)는 등록제로 운영될 수 있고, 주차 요금이 선불 또는 후불로 지불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운영 서버(12)에 주차 관리 서버(13)가 미리 등록될 수 있고, 운영 서버(12)와 주차 관리 서버(13)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면, 예를 들어 카메라와 같은 차량 주차 인식 수단에 의하여 차량 번호 또는 차량 종류와 같은 차량 정보가 확인되어 주차 서버(13)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주차 서버(13)가 운영 서버(12)와 연동된 경우 확인된 차량 정보 및 주차장 진입 시각이 운영 서버(12)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차량이 주차장으로부터 나갈 경우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을 통하여 차량이 정해진 시간 내에 주차장으로부터 나갈 것이라는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운영 서버(12)는 관련 정보를 주차 서버(13)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결제 정보가 주차 서버(13)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서버(15)를 통하여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결제 정보가 결제 애플리케이션(1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차량이 주차장으로부터 나가기 위하여 주차기(14)로 진행하면, 주차기(14)에서 차량 번호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차단기가 열리고 이에 따라 차량이 주차장으로부터 나갈 수 있다. 만약 주차 서버(13)에 결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결제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었다면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주차 서버(13)와 예를 들어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필요한 정보가 교환될 수 있다. 차량이 주차장으로부터 나가는 경우 결제 애플리케이션(11)으로부터 차량 정보가 주차 서버(13)로 전송될 수 있다. 주차 서버(13)에서 차량 번호 및 진입 시간이 확인되고, 주차 서버(13)는 주차 요금을 산출하여 결제 애플리케이션(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전송된 주차 요금 정보가 전송될 수 있고, 결제 애플리케이션(11)으로부터 운영 서버(12)로 전송될 수 있다. 운영 서버(12)는 다양한 종류의 결제 서버(15)와 연결될 수 있고, 결제 서버(15)에서 결제된 결과가 운영 서버(12)를 통하여 모바일 기기(11)의 결제 애플리케이션(11)으로 전송될 수 있다.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주차 서버(13)로 결제 완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주차 서버(13)는 요금 결제 확인 및 주차 가능 시간 정보를 작동 애플리케이션(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운영 서버(12)로부터 주차 서버(13)로 직접 결제 완료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주차 서버(13)는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하면, 확인 정보를 모바일 기기(M)로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는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을 통하여 결제 확인 및 주차 가능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결제 완료가 된 차량이 주차기(14)로 접근하면, 차량이 식별되어 차단기가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주차 요금의 결제 및 이에 따른 결제 정보의 처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M)에 다양한 형태의 지불 수단이 미리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핀-테크(Fin-Tech) 방식의 지불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주차 서버(13)가 이와 같은 핀-테크(Fin-Tech) 방식의 결제 가맹점에 해당하는 경우 모바일 기기(M)에 의하여 직접 결제가 되고, 결제에 따른 정보가 주차 서버(13)로부터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결제가 완료된 차량이 주차기(14)로 접근하면, 주차기(14)는 차량 번호를 식별하여 주차 서버(13)로 전송하여 결제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차단기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주차기(14)에 미리 주차 요금의 결제가 완료된 차량 번호가 저장되고, 차량 번호의 식별에 따라 차단기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제가 완료된 상태에서 차량이 주차기(14)로 접근할 수 있지만,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차단기에 접근할 수 있다. 주차기(14)에서 차량 번호를 식별하여 주차 서버(13)로 전송하면 주차 서버(13)에서 요금을 산출하여 모바일 기기(M)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M)의 결제 애플리케이션(11)에 의하여 위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고, 결제 완료 정보가 모바일 기기(M) 및 주차기(14)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차기(14)의 차단기가 열리고 차량이 주차장으로부터 나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결제 애플리케이션(11)에 의한 결제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 의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영 서버(12)에 차량 정보가 미리 저장되고, 주차 서버(13)로부터 전송된 차량 정보가 대비되어 주차 요금의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결제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될 수 있고, 차량에 대한 정보 및 모바일 기기에 대한 정보가 운영 서버(12)에 등록될 수 있다. 또한 운영 서버(12)에 각각의 주차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서버(12)와 각각의 주차장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과 주차장은 등록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주차장으로 차량이 진입하면, 카메라와 같은 차량 식별 수단에 의하여 차량이 식별될 수 있고, 식별된 차량 정보와 예를 들어 주차 서버와 같은 주차 관리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S21). 선택적으로 차량 주차 정보는 모바일 기기로 전송되어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될 수 있고, 주차 서버를 통하여 운영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차장으로 진입되어 주차가 된 차량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결제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 또는 주차 관리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차량이 주차장의 밖으로 나갈 필요가 있는 경우 미리 또는 차량을 출입을 제한하는 차단기로 차량이 이동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차장을 나가는 경우 미리 사용자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예를 들어 적어도 10분 이내에 차량이 나갈 것이라는 것을 주차 서버 또는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22). 차량이 나갈 것이라는 정보가 수신되면 주차 서버에 의하여 차량이 확인되고 결제 정보가 모바일 기기 또는 운영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운영 서버는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 서버를 통하여 결제를 하고, 주차 서버 및 모바일 기기로 결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결제가 완료되어 차량이 나갈 수 있다는 승인 정보가 주차 서버로부터 모바일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대안으로 주차 서버로부터 결제 정보가 모바일 기기로 전송되면, 모바일 기기에서 직접 결제가 이루어지고, 결제 완료 정보가 주차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확인 정보가 다시 모바일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결제가 완료된 이후 차량이 차단기가 설치된 주차기로 이동되면 차량이 식별되어 결제 완료가 확인되면서 차단기가 열리고, 차량이 주차장의 바깥으로 나갈 수 있다(S23). 이와 같이 주차 요금은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운영 서버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위한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주차 위치 정보의 저장이 가능하다. 운영 서버(12)는 차량 및 주차장의 정보를 저장하면서 필요에 따라 주차 요금을 결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 및 주차 관리 기능을 위하여 운영 서버(12)는 차량 및 주차장의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등록 관리 모듈(31); 주차장의 위치 또는 요금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 모듈(32); 및 주차 요금의 결제를 위한 결제 관리 모듈(33)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서버(12)를 통하여 결제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기기에 다운로드가 되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차량 정보를 운영 서버(12)에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등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차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32)은 다양한 장소에 위치하는 주차장의 위치 또는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정보 제공 모듈(32)에 의하여 다양한 장소에 위치하는 다양한 형태의 주차장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결제 관리 모듈(33)에 의하여 주차 요금이 결제될 수 있고, 결제 결과가 결제 애플리케이션(11) 또는 주차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주차장의 위치 정보 또는 요금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모듈(34); 차량의 주차 시간을 산출하여 개략적인 주차 요금을 산정하는 요금 정보 모듈(35); 차량의 주차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위치 정보 모듈(37); 및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 과정, 결제 완료 여부, 결제 정보의 전송 여부 또는 이와 유사한 결제 관련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결제 관리 모듈(38)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애플리케이션(11)에 다양한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알림 관리 모듈(AR)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처리 모듈(39)이 설치되어 예를 들어 다양한 핀-테크 방식의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주차 위치 정보 모듈(37)은 대규모의 주차장의 경우 차량이 주차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위치 정보 모듈(37)은 대형 주차장에서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주차 위치는 예를 들어 주차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거나, 결제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고, 결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차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주차와 관련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 의하여 주차 요금이 결제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결제 시스템에 의하여 주차 요금이 결제되는 과정은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되면서 카메라와 같은 차량 인식 수단에 의하여 차량 번호가 식별되어 주차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P41); 차량이 주차장에 주차된 이후 차량 주차가 완료되어 출차 준비를 하는 단계(42); 주차 요금의 결제를 위하여 차량 정보가 주차 서버 또는 운영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P43); 주차 요금이 운영 서버 또는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결제되어 결제 정보가 생성되어 모바일 기기 또는 주차 서버에서 수신되는 단계(P44); 주차 요금의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는 단계(P45); 및 확인 결과에 따라 출차가 되는 단계(P48)를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에 결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차량 정보를 비롯하여 모바일 기기의 번호(UID) 또는 비밀 번호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주차장에 위치하는 주차장이 또한 운영 서버에 등록될 수 있고, 운영 서버에 등록된 주차장에 차량이 진입하면 차량 번호가 식별되어 저장될 수 있다(P41). 이후 차량이 출차가 되는 경우 미리 차량 번호가 작동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운영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출차가 되는 차량 번호가 차량 번호 식별 수단에 의하여 탐지되어 운영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영 서버로 출차가 되는 차량 정보가 전송되면 운영 서버에서 결제가 되거나, 모바일 기기에 의하여 결제가 되고, 결제 정보가 생성되어 모바일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P45). 예를 들어 차량이 출차가 되는 경우 주차장의 고유 번호, 차량 번호, 입차 시간 또는 주차 요금이 운영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운영 서버는 차량을 확인하여 UID를 이용하여 차량의 모바일 기기로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P44). 예를 들어 결제 정보는 카카오 톡 시스템의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수단, 구글 Firebase FCM 알림 수단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요금 결제는 운영 서버에서 이루어지거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또는 사전에 등록된 다양한 결제 카드에 의하여 결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제가 완료되면, 관련 정보가 주차 서버로 전송되고,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P45). 만약 처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NO), 오류 정보가 모바일 기기로 전송될 수 있고(P46), 오류가 주차 관리 서버에서 처리될 수 있다(P47). 이후 차량이 출차가 될 수 있다(P48). 이에 비하여 요금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것으로 확인되면(YES), 차단기가 열리면서 출차가 될 수 있다(P48). 주차 요금에 대한 정보의 생성, 주차 요금의 결제 및 그에 따른 정보의 전송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결제 애플리케이션 12: 운영 서버
13: 주차 관리 서버 14: 주차기
31: 등록 관리 모듈 32: 정보 제공 모듈
33: 결제 관리 모듈 34: 위치 정보 모듈
35: 요금 정보 모듈 37: 주차 위치 정보 모듈
38: 결제 관리 모듈 39: 결제 처리 모듈

Claims (1)

  1.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되는 결제 애플리케이션(11); 및
    결제 애플리케이션(11)과 정보 교환이 가능한 운영 서버(12)를 포함하고,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주차 요금의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주차 서버(13)로 전송하고, 이에 의하여 주차기(14)가 작동되어 차량 출입이 이루어지고,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주차장의 위치 정보 또는 요금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모듈(34); 차량의 주차 시간을 산출하여 개략적인 주차 요금을 산정하는 요금 정보 모듈(35); 차량의 주차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위치 정보 모듈(37); 및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 과정, 결제 완료 여부 및 결제 정보의 전송 여부를 포함하는 결제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결제 관리 모듈(38)을 포함하고,
    차량의 주차 위치는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결제 애플리케이션(11)에 저장되고,
    주차 서버(13)는 핀-테크(Fin-Tech) 방식의 결제 가맹점에 해당하고, 결제 애플리케이션(11)은 핀테크(Fin-Tech) 결제 수단과 연동되어 모바일 기기(M)에 의해 직접 결제되고 결제에 따른 정보가 주차 서버(13)로부터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되고,
    주차장에 대한 정보, 차량에 대한 정보 및 모바일 기기에 대한 정보가 운영 서버(12)에 미리 등록되고, 주차장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차량 식별 수단에 의해 식별된 차량 정보가 주차 서버(13)에 저장되고 주차 서버(13)에 의해 운영 서버(12)로 전송되고, 주차장으로부터 차량이 나가는 경우 결제 애플리케이션(11)으로부터 차량 정보가 주차 서버(13)로 전송되고, 주차 서버(13)는 차량 번호 및 진입 시간을 확인하고 주차 요금을 산출하여 결제 애플리케이션(11)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KR1020240048003A 2020-09-04 2024-04-09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Active KR102760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8003A KR102760324B1 (ko) 2020-09-04 2024-04-09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978A KR20220031263A (ko) 2020-09-04 2020-09-04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KR1020230075435A KR20230088666A (ko) 2020-09-04 2023-06-13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KR1020240048003A KR102760324B1 (ko) 2020-09-04 2024-04-09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435A Division KR20230088666A (ko) 2020-09-04 2023-06-13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319A true KR20240050319A (ko) 2024-04-18
KR102760324B1 KR102760324B1 (ko) 2025-02-03

Family

ID=8081486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978A Ceased KR20220031263A (ko) 2020-09-04 2020-09-04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KR1020220084898A Ceased KR20220100849A (ko) 2020-09-04 2022-07-11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KR1020230075435A Ceased KR20230088666A (ko) 2020-09-04 2023-06-13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KR1020240048003A Active KR102760324B1 (ko) 2020-09-04 2024-04-09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978A Ceased KR20220031263A (ko) 2020-09-04 2020-09-04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KR1020220084898A Ceased KR20220100849A (ko) 2020-09-04 2022-07-11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KR1020230075435A Ceased KR20230088666A (ko) 2020-09-04 2023-06-13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20031263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211A (ko) 2006-07-11 2008-01-16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모바일 결제수단을 가지는 무인주차요금관리시스템과 그결제방법
KR20090005491A (ko) 2007-07-09 2009-01-14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차량번호인식시스템을 이용한 통합 무인주차장 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KR20130082568A (ko) * 2011-12-09 2013-07-22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KR20140111150A (ko) * 2013-03-08 2014-09-18 (주)아이트로닉스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20150129336A (ko) * 2014-05-08 2015-11-20 (주)데이타뱅크시스템즈 주차 요금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처리 시스템
KR20160146258A (ko) * 2015-06-12 2016-12-21 김호중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2048A (ko) * 2018-12-28 2020-07-08 에스파킹 주식회사 공유 주차면 요금 결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211A (ko) 2006-07-11 2008-01-16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모바일 결제수단을 가지는 무인주차요금관리시스템과 그결제방법
KR20090005491A (ko) 2007-07-09 2009-01-14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차량번호인식시스템을 이용한 통합 무인주차장 관리시스템및 그 방법
KR20130082568A (ko) * 2011-12-09 2013-07-22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KR20140111150A (ko) * 2013-03-08 2014-09-18 (주)아이트로닉스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KR20150129336A (ko) * 2014-05-08 2015-11-20 (주)데이타뱅크시스템즈 주차 요금 결제 처리 방법 및 그 처리 시스템
KR20160146258A (ko) * 2015-06-12 2016-12-21 김호중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2048A (ko) * 2018-12-28 2020-07-08 에스파킹 주식회사 공유 주차면 요금 결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60324B1 (ko) 2025-02-03
KR20230088666A (ko) 2023-06-20
KR20220100849A (ko) 2022-07-18
KR20220031263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00149B (zh) 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系统及基于lbs的高速公路收费方法
US20050182674A1 (en) Charge approval and payment system
US200200025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nsactions
CZ222996A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fees by making use of a communication and/or transport area
US8688510B2 (en) Method for fee charging position usages of vehicles
KR101539847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1034230A1 (ko) 호환형 교통카드 결제 및 정산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45410A (ko) 주차 할인권처리 및 주차요금 정산방법
JP2002083325A (ja) 交通料金自動精算システムおよび交通機関用記憶装置
KR20130110437A (ko) 주차관리 시스템
US20210150824A1 (en) A method of collecting travel fares in a transport system
KR101555993B1 (ko)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CN112232826A (zh) 一种车辆缴费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760324B1 (ko) 모바일 기기에 의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KR20240041898A (ko) 정산 코드 스캔 방식의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CN107609854A (zh) 一种车费支付方法及装置
CN103942846A (zh) 用于向位置使用收费的方法
KR20210092352A (ko) Ble를 이용한 차량 이동형 결제 방법
JP7473971B2 (ja) 入出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出場管理プログラム
JP7599724B2 (ja) 入出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出場管理プログラム
JP2025027911A (ja) 入出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出場管理プログラム
JP7508115B2 (ja) 入出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出場管理プログラム
KR102645565B1 (ko) 비접촉 교통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602625B1 (ko) 고속버스 승차권 결제시스템
KR100447556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관련 납부금 결제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40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3061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3007543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