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52372A -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372A
KR20130052372A KR1020110117780A KR20110117780A KR20130052372A KR 20130052372 A KR20130052372 A KR 20130052372A KR 1020110117780 A KR1020110117780 A KR 1020110117780A KR 20110117780 A KR20110117780 A KR 20110117780A KR 20130052372 A KR20130052372 A KR 20130052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ing device
image data
photographing apparatus
digital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7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2372A/ko
Priority to US13/569,338 priority patent/US20130120642A1/en
Priority to CN201210451038.1A priority patent/CN103108123B/zh
Publication of KR2013005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43Demosaicing, e.g. interpolating colour pixel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매뉴얼 포커싱을 위해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경우 전체 영역과 확대된 영역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전체화면 중에서 어디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지를 안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대다수의 디지털 카메라들은 자동으로 초점을 잡는 AF 방식을 지원하고 있다. AF 방식에서는 반 셔터만 눌러주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알맞은 초점을 잡아주기 때문에 전문가용 SLR카메라부터 휴대용 초소형 카메라까지 거의 전 제품에 채택되고 있는 기술이다.
하지만, 야간이나 실내 등 광량이 부족한 곳에서 AF 기능이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는다. 아 답답함을 주기도 합니다. 혹은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찍고 싶은데 AF의 속도가 받쳐주지 않아서 중요한 순간을 놓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광량이 부족하여 AF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거나, 좀 더 빠르게 눈으로 확인해가면서 핀트를 맞추고 싶을 때에는 매뉴얼 포커스(Manual Focus : MF) 기능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핀트를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매뉴얼 포커싱을 위해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경우 전체 영역과 확대된 영역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고, 전체 영역의 영상과 확대된 영상을 선명하게 표시하기 위해 촬상소자를 분할하여 전체 영상과 확대 영상을 추출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촬상 소자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에 대해 매뉴얼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매뉴얼 포커싱에 따라 상기 촬상 소자를 통해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제2 영상과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영상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1 영상에 상기 제2 영상이 위치한 영역을 표시하는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순차적으로 독출되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동시에 독출되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제1 영상보다 많은 화소를 독출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촬상 소자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1 라인씩 독출하고, 4 라인씩 스킵하여 화소들을 독출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촬상 소자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2 라인씩 독출하고 및 2 라인씩 스킵하여 화소들을 독출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영상은 라이브 뷰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의 특정 영역을 포커싱하기 위해 확대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상 소자는 CMOS 이미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촬상 소자로부터 라이브 뷰 영상을 위한 제1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라이브 뷰 영상에서 매뉴얼 포커싱을 위한 포커싱 영역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포커싱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제1 영상 처리하여 제1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제2 영상 처리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영상 처리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는, 병렬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는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는 촬상 소자; 및 상기 촬상 소자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에 대해 매뉴얼 포커싱을 수행하고, 상기 매뉴얼 포커싱에 따라 상기 촬상 소자를 통해 제2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각각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독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를 병렬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매뉴얼 포커싱을 위해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경우 전체 영역과 확대된 영역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전체화면 중에서 어디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지를 안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를 분할하여, 전체 영상과 확대 영상을 독립적으로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확대된 화면을 선명하게 하여 매뉴얼 포커싱을 수행하는 경우 더욱 선명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매뉴얼 확대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부(31)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31)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소자로부터 화소들을 독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영상과 확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예시한다. 그러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지털 캠코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메라는 광학부(10), 광학부(10)를 구동하는 광학 구동부(11), 촬상부(20), 카메라 제어부(30), 조작부(40), 메모리(50), 메모리 카드(60), 표시부(70)를 구비한다.
광학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를 집광하는 결상 광학계, 셔터, 조리개를 구비한다. 결상 렌즈계로 초점을 조절하는 포커스 렌즈,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줌렌즈를 구비한다.
광학 구동부(11)는 초점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초점 렌즈 구동부, 조리개의 조임 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구동부, 셔터의 개폐를 조절하는 셔터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촬상부(20)는 교환 렌즈의 결상 광학계를 통과한 영상 광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한다. 촬상 소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광전 변환부와, 타이밍 신호에 동기하여 광전 변환부로부터 전하를 이동시켜 영상 신호를 도출하는 수직 또는/및 수평 전송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소자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는 카메라 제어부(30)를 구비한다. 카메라 제어부(30)는 영상 신호 처리부/CPU(31)를 구비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CPU(31)는 촬상부(20)로부터 획득한 영상 신호에 대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절을 위한 AWB(Auto White Balance) 평가값, 노출 조절을 위한 AE(Auto Exposure) 평가값 및 초점 조절을 위한 AF(Auto focusing) 평가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가값에 따라 적정 화이트 밸런스 제어, 노출 제어, 자동 초점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하여 얼굴 인식과 같은 객체 인식, 장면 인식 등의 각종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보존을 위한 영상 처리 및 표시를 위한 영상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의 예로서,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보존을 위하여 JPEG압축 형식 또는 LZW압축 형식 등의 형식으로 압축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30)는 메모리 콘트롤러(32), 카드 콘트롤러(33), 디스플레이 콘트롤러(34)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 콘트롤러(32)는 촬영 영상, 각종 정보 등을 일시적으로 메모리(50)에 저장하거나, 또는 메모리(50)로부터 촬영 영상, 각종 정보의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0)에 저장된 프로그램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메모리(50)는 촬영 영상, 각종 정보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로서, DRAM, SD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0)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로서 플래쉬 메모리, RO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카드 콘트롤러(33)는 메모리 카드(60)에 영상 파일을 저장 및 독출할 수 있다. 영상 파일뿐만 아니라 보존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의 독출 및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60)로 SD card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저장 매체로 메모리 카드(60)를 사용함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영상 파일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광디스크(CD, DVD, 블루레이디스크 등),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을 읽을 수 있는 독출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콘트롤러(34)는 표시부(70)의 영상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70)는 LCD, OLED 등을 포함할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40)를 구비한다. 조작부(40)는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거나 촬영시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키, 터치 패널, 터치 스크린, 다이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촬영 개시/정지, 재생 개시/정지/서치, 광학계의 구동, 모드 변환(예를 들어 동영상 촬영 모드 실행 등), 메뉴 조작, 선택 조작 등의 사용자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셔터 버튼은 사용자에 의한 반누름, 완전누름, 해제가 가능하다. 셔터 버튼은 반누름(S1조작)되었을 때 포커스 제어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하고 반 누름 해제로 포커스 제어가 종료된다. 셔터 버튼은 완전누름(S2조작)되었을 때 촬영 개시 조작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조작 신호는 영상 신호 처리부/CPU(31) 등에 전송되어, 이에 따라 해당 구성 요소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래시(80), 플래시 구동부(81)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80)는 야간의 옥외나 어두운 장소에서의 촬영시에 피사체를 밝게 비추기 위한 것이다. 플래시 촬영을 할 때에, 영상 신호 처리부/CPU(31)로부터 발광 명령이 플래시 구동부(81)로 행해지고, 상기 발광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플래시 구동부(81)는 상기 플래시(80)의 발광을 구동한다. 또한, 플래시(80)는 영상 신호 처리부/CPU(31)의 발광 명령에 따라 메인 발광의 발광량 또는 메인 발광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측광할 수 있는 프리 발광 또는 약 발광을 한다. 여기서, 플래시(80)는 제논(Zenon) 플래시를 사용하는데, 제논 플래시는 발광 시간이 짧지만 광량이 LED에 비해 뛰어나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 등에 주로 사용된다. 플래시(80)는 예비 발광을 행하여 예비 발광으로부터 얻은 영상 신호에 따라 본 발광의 발광 시간을 결정한다.
도 2a 및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매뉴얼 확대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매뉴얼 포커싱을 지원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매뉴얼 확대 또는 Manual Focus Assist 기능을 제공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라이브 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AF에서 MF로의 전환, 즉 매뉴얼 포커싱을 위해 특정 버튼 또는 다이얼을 입력한 경우에,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영역을 확대한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하지만, 이 경우, 확대되는 이미지만을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체 이미지에서 어느 부분을 확대해서 보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전체 이미지 변화, 예를 들면 포커스 이외의 이동물체 등을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매뉴얼 포커싱을 위해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경우 전체 영역과 확대된 영역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전체화면 중에서 어디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지를 안내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촬상 소자를 분할하여, 전체 영상과 확대 영상을 독립적으로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확대된 화면을 선명하게 하여 매뉴얼 포커싱을 수행하는 경우 더욱 선명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상 신호 처리부/CPU(31)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신호 처리부/CPU(31a)는 촬상 소자 제어부(31a-1), 영상 처리부(31a-2) 및 영상 합성부(31a-3)를 포함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CPU(31a)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어부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CPU(31a)는 촬상부(20)의 촬상 소자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에 대해 매뉴얼 포커싱을 수행하고, 매뉴얼 포커싱에 따라 촬상부(20)의 촬상 소자를 통해 제2 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제1 영상은 라이브 뷰 영상이고, 제2 영상은 매뉴얼 포커싱을 위해 확대된 영역에 대한 영상이다.
촬상 소자 제어부(31a-1)는 촬상부(20)의 촬상 소자를 통해 제1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영상 데이터를 독출한다. 여기서, 제1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 데이터는 촬상 소자의 독출 주기에서 순차적으로, 즉 제1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고 나서 제2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또는 동시에 독출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촬상부(20)가 포함하고 있는 촬상 소자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촬상 소자의 면적 전체에 걸쳐서 Gb, Gr, R, B의 화소들이 바둑판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라이브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 전체 화소들 중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1라인 독출 및 4라인 스킵하여 각각의 화소들을 독출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가장 먼저 위치한 Gb 화소(500)를 독출하고,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4라인을 건너뛰어 가면서 다음 화소들을 독출한다. 여기서, 스킵은 입력 영상의 프레임을 라인 단위 또는 픽셀 단위로 구분하고, 구분한 라인 단위 또는 픽셀 단위에 대한 데이터 독출을 건너뛰면서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매뉴얼 포커싱을 위한 확대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 전체 화소들 중에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2라인 독출 및 2 라인 스킵하여 각각의 화소들을 독출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Gb, B, R, Gr의 4개의 화소들(510)을 독출하고,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2라인 스킵하여 다음 4개 화소를 독출한다. 또한, 매뉴얼 포커싱을 위한 화소 추출의 경우에 라이브 뷰 영상을 위한 화소 수보다 많은 수의 화소들을 추출하여 더욱 선명한 화질의 확대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촬상 소자의 독출 주기 동안에,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라이브 뷰 영상을 위한 제1 영상 데이터(600)를 먼저 독출하고, 다음에 매뉴얼 포커싱을 위한 제2 영상 데이터(610)를 독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상 소자는 1프레임의 데이터 전송기간에 라이브 뷰 영상 및 확대 영상을 한 프레임씩 출력한다. 각 영상별 크기의 HD 길이는 동일하면 프레임 레이트는 1VD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확대 영상을 출력하는 윈도우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 레이트가 결정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촬상 소자의 독출 주기 동안에,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라이브 뷰 영상을 위한 제1 영상 데이터(700)와 매뉴얼 포커싱을 위한 제2 영상 데이터(710)를 동시에 독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브 뷰 영상과 확대 영상을 독립적으로 출력하고, 출력 영상 데이터들을 받은 영상 처리부(31a-2)에서 독립적 또는 병렬적으로 영상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화소 단위로 독출 가능한 CMOS 이미지 센서를 예로서 화소들을 설명하였지만, 라인별로 독출하는 CCD 이미지 센서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가능하다. 또한, 라이브 뷰 영상을 위해 1라인 독출 및 4라인 스킵하고, 확대 영상을 위해 2라인 독출 및 2라인 스킵하여 화소들을 독출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의 응용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 처리부(31a-2)는 독출된 제1 영상 데이터와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해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처리는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라이브 뷰 용 영상인 제1 영상 데이터와 매뉴얼 포커스를 위한 확대 영상인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각각 서로 다른 노출 값과 화이트 밸런스 값으로 처리한다. 또한, 제1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와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는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DSP는 1프레임의 시간 동안 복수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한다.
영상 합성부(31a-3)는 제1 영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제1 영상과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제2 영상을 합성하여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콘트롤러(34)에 출력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CPU(31a)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라이브 뷰 영상(8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8b를 참조하면, 매뉴얼 포커싱 기능 수행에 따라 확대 영상(810)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것처럼, 확대 영상(8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오버랩되어 라이브 뷰 영상(800')이 디스플레이되고, 라이브 뷰 영상(800')에, 매뉴얼 포커싱 영역을 표시하는 가이드 라인(820)이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매뉴얼 포커싱을 위해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경우 전체 영역과 확대된 영역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전체화면 중에서 어디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고, 촬상 소자를 분할하여, 전체 영상과 확대 영상을 독립적으로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확대된 화면을 선명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매뉴얼 포커싱을 수행하는 데 더욱 용이한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도 8d에 도시된 것처럼, 라이브 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 가능하며, 사용자가 특정 방향 키를 조작함으로써 우측 하단으로 라이브 뷰 영상을 옮길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일정 시간이 지나고 난 후에, 라이브 뷰 영상(800')은 사라지고, 매뉴얼 포커스 용 확대 영상(810')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신호 처리부/CPU(31)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신호 처리부/CPU(31b)는 촬상 소자 제어부(31b-1), 제1 영상 처리부(31b-2), 제2 영상 처리부(31b-3), 영상 합성부(31b-4) 및 모드 선택부(31b-5)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영상 신호 처리부/CPU(31a)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영상 신호 처리부/CPU(31b)는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제1 영상 신호 처리부(31b-2) 및 제2 영상 신호 처리부(31b-3)로 구분되어 있다. 즉, 라이브 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는 제1 영상 신호 처리부(31b-2)와 매뉴얼 포커싱을 위한 제2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는 제2 영상 신호 처리부(31b-2)로 각각 구분된다. 전술한 것처럼, 제1 영상 데이터의 영상 처리와 제2 영상 데이터의 영상 처리는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모드 선택부(31b-5)는 사용자의 매뉴얼 포커싱 선택이 있는 경우, 촬상 소자 제어부(31b-1)로부터 확대 영상을 위한 제2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00에서, 촬상 소자를 통해 제1 영상을 획득한다. 단계 902에서,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904에서, 매뉴얼 포커싱을 수행되는 경우, 단계 906에서, 매뉴얼 포커싱에 따라 수동으로 초점이 맞추어 지는 영역을 확대 영상으로 제공하기 위해 촬상 소자를 통해 제2 영상을 획득한다.
단계 906에서,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확대된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 제2 영상과 오버랩되게 제1 영상을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1 영상의 특정 영역, 즉 매뉴얼 포커싱 영역을 확대한 제2 영역의 위치를 표시하는 가이드 라인을 제1 영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0: 촬상부
30: 카메라 제어부
31: 영상 신호 처리/CPU
34: 디스플레이 콘트롤러
40: 조작부
70: 표시부

Claims (20)

  1.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촬상 소자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에 대해 매뉴얼 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매뉴얼 포커싱에 따라 상기 촬상 소자를 통해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제2 영상과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1 영상에 상기 제2 영상이 위치한 영역을 표시하는 가이드 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순차적으로 독출되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동시에 독출되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제1 영상보다 많은 화소를 독출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촬상 소자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1 라인씩 독출하고, 4 라인씩 스킵하여 화소들을 독출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촬상 소자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2 라인씩 독출하고 및 2 라인씩 스킵하여 화소들을 독출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라이브 뷰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의 특정 영역을 포커싱하기 위해 확대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는,
    CMOS 이미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3. 촬상 소자로부터 라이브 뷰 영상을 위한 제1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라이브 뷰 영상에서 매뉴얼 포커싱을 위한 포커싱 영역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포커싱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제1 영상 처리하여 제1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제2 영상 처리하여 제2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처리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는,
    병렬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는,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독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8. 촬상 소자; 및
    상기 촬상 소자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에 대해 매뉴얼 포커싱을 수행하고, 상기 매뉴얼 포커싱에 따라 상기 촬상 소자를 통해 제2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각각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제1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촬상 소자로부터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독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한 영상 처리를 병렬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110117780A 2011-11-11 2011-11-1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52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780A KR20130052372A (ko) 2011-11-11 2011-11-1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3/569,338 US20130120642A1 (en) 2011-11-11 2012-08-08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1210451038.1A CN103108123B (zh) 2011-11-11 2012-11-12 数字拍摄设备和控制数字拍摄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780A KR20130052372A (ko) 2011-11-11 2011-11-1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372A true KR20130052372A (ko) 2013-05-22

Family

ID=4828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780A KR20130052372A (ko) 2011-11-11 2011-11-11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20642A1 (ko)
KR (1) KR20130052372A (ko)
CN (1) CN1031081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932B1 (ko) * 2012-07-25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촬영 방법
KR101988313B1 (ko) * 2013-01-04 2019-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이의 기록 매체
KR102150890B1 (ko) * 2014-02-21 2020-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초점 표시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전자장치
US12034015B2 (en) 2018-05-25 2024-07-09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Programmable pixel array
US12108141B2 (en) * 2019-08-05 2024-10-01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ynamically programmable image sensor
CN111212235B (zh) 2020-01-23 2021-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长焦拍摄的方法及电子设备
US12075175B1 (en) 2020-09-08 2024-08-27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Programmable smart sensor with adaptive readout
US12067224B2 (en) * 2020-09-29 2024-08-20 Shimadzu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US12244936B2 (en) 2022-01-26 2025-03-04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On-sensor image processor utilizing contextual data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070A (en) * 1987-04-10 1989-04-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mage sensor array
JP4050385B2 (ja) * 1998-05-21 2008-02-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的撮像装置
EP1304650B1 (en) * 2001-10-10 2009-12-1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mage scaling system and method
KR100627048B1 (ko) * 2003-12-15 2006-09-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의 제어방법
TWI236287B (en) * 2004-05-19 2005-07-11 Asia Optical Co Inc Digital camera and manual focus method thereof
JP4274087B2 (ja) * 2004-09-14 2009-06-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565121B2 (ja) * 2005-02-25 2010-10-20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撮像装置および撮影プログラム
KR100699486B1 (ko) * 2005-06-30 2007-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
JP2007158935A (ja) * 2005-12-07 2007-06-21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4956988B2 (ja) * 2005-12-19 2012-06-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
EP1972992B1 (en) * 2007-02-27 2018-02-14 Nikon Corporation Image-capturing device
JP5092685B2 (ja) * 2007-10-23 2012-12-05 株式会社ニコン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JP4959535B2 (ja) * 2007-12-13 2012-06-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
JP5223644B2 (ja) * 2008-12-15 2013-06-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US8464950B2 (en) * 2008-12-22 2013-06-18 Cognex Corporation Fast vision system
JP4730569B2 (ja) * 2009-03-27 2011-07-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79959B2 (ja) * 2011-04-21 2015-09-16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08123B (zh) 2017-08-08
US20130120642A1 (en) 2013-05-16
CN103108123A (zh)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4583B2 (ja) 撮像装置
KR20130052372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893713B1 (ja) 撮像装置、撮像方法、処理プログラム
KR101391042B1 (ko) 광각 화상을 생성 가능한 화상 처리 장치
JP2019054461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566501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27839A (ja) 撮像装置
JP5782813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6389342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07260B2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89932B1 (ko) 촬영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촬영 방법
JP200721509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30071794A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413940B2 (en) Digital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continuous photographing thereof
JP5546691B2 (ja) 撮影装置、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008004A (ja) 撮像装置
US8547454B2 (en)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JP6300076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46856B1 (ko) 렌즈 특성 기반의 촬영 모드 제시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촬영 장치.
JP6706167B2 (ja) 撮像装置、画像合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11920A (ko)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디지털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2007225897A (ja) 合焦位置決定装置及び方法
JP2009092961A (ja) 合焦位置制御装置、及び合焦位置制御方法、合焦位置制御プログラム
JP5163333B2 (ja) カメラ装置、及びその画像表示方法と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564135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5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