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6022A -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022A
KR20130036022A KR1020127034394A KR20127034394A KR20130036022A KR 20130036022 A KR20130036022 A KR 20130036022A KR 1020127034394 A KR1020127034394 A KR 1020127034394A KR 20127034394 A KR20127034394 A KR 20127034394A KR 20130036022 A KR20130036022 A KR 20130036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genus
acid
microorganism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조무 가마다
Original Assignee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6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09Fatty acids
    • C12P7/6427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i.e.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in their backbo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45Glycerides
    • C12P7/6472Glycerides contain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residues, i.e.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in their backb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미생물을 이용한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생물의 배양 기간을 단축하고, 유용 물질의 생산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배양 초발 배지로서 탄수화물과 탄화수소의 산화물의 합계의 농도가 탄소 당량으로 0.4 중량% 미만의 것을 이용함으로써, 미생물이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소비하는 속도를 향상시켜, 목적으로 하는 유용 물질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 {PROCESS FOR PRODUCTION OF USEFUL SUBSTANCE}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을 이용한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발효법에 따른 L-아미노산, 핵산, 불포화 지방산의 제조 등이 잘 알려져 있다 (비특허 문헌 1, 2). 이 유용 물질들은 글루코오스 등의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기질로 하여, 미생물의 대사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유용 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미생물의 배양 방법으로서는, 초발 배지에 기질을 포함하여 모든 배지 성분을 첨가하여 배양하는 회분 배양, 미생물을 접종하는 초발 배지에 일부의 기질을 첨가하여 배양을 개시한 후에, 나머지의 기질을 간헐적 또는 연속적으로 배지에 첨가하여 배양하는 유가 (流加) 배양, 발효조에 기질을 포함하는 신선 배지를 일정 속도로 공급하고, 이것과 동량의 배양액을 연속적으로 조(槽) 외로 배출하면서 배양하는 연속 배양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어느 배양 방법에 있어서도, 유용 물질을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생산 배지에는 미생물을 접종하는 시점에 있어서, 유용 물질의 기질이 되는 글루코오스, 전분 당화물 등의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이 포함되어 있다. 초발 배지에 글루코오스, 전분 당화물 등의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첨가하지 않고 미생물의 배양을 개시하는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비특허 문헌 1 응용 미생물학 개정판, 바이후칸, 1993년 발행 비특허 문헌 2 과학과 공업, 제74권 1호, 26 (2000)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목적으로 하는 유용 물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용 물질 생산에 필요로 하는 배양 기간을 단축하고, 유용 물질의 생산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바, 미생물 배양에 의한 유용 물질의 생산 방법에 있어서, 본배양 초발 배지로서 탄수화물과 탄화수소의 산화물의 합계의 농도가 탄소 당량으로 0.4 중량% 미만의 것을 사용하고, 미생물이 대수 증식을 개시한 후에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첨가함으로써 유용 물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미생물 배양에 의한 유용 물질의 생산 방법으로서, 미생물의 전배양 (前培養) 공정과, 얻은 전배양액을 본배양 초발 배지에 접종하는 공정과, 여기서 본배양 초발 배지에 있어서의 탄수화물과 탄화수소의 산화물의 합계의 농도가 탄소 당량으로 0.4 중량% 미만이며, 또한 미생물이 대수 증식을 개시한 후에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첨가하는 본배양 공정
을 포함하는 상기 제조 방법.
(2) 본배양 초발 배지는 실질적으로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이 첨가되어 있지 않은 것인, (1)에 기재된 제조 방법.
(3) 미생물은 대수 증식을 개시한 후에 첨가하는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이 당류인 것인, (1) 또는 (2)에 기재된 제조 방법.
(4) 미생물은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엑소형 아밀라아제에 의하여 이화하는 미생물인 것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5) 미생물은 모르티에렐라 속 미생물인 것인 (1) 내지 (4)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6) 유용 물질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인 것인 (1) 내지 (5)의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여, 미생물에 의한 유용 물질의 생산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의 초발 배지에 글루코오스를 첨가한 배양계 및 초발 배지에 글루코오스를 첨가하지 않는 배양계에 있어서의,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의 생산 실험에서의 배지 중의 글루코오스 농도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의 초발 배지에 글루코오스를 첨가한 배양계 및 초발 배지에 글루코오스를 첨가하지 않는 배양계에 있어서의,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의 생산 실험에서의 총지방산에서 차지하는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의 비율의 추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생물 배양에 의한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으로서, 미생물의 전배양 공정과, 얻은 전배양액을 본배양 초발 배지에 접종하는 공정과, 여기서 본배양 초발 배지에 있어서의 탄수화물과 탄화수소의 산화물의 합계의 농도가 탄소 당량으로 0.4 중량% 미만이고, 미생물이 대수 증식을 개시한 후에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첨가하는 본배양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용 물질은 미생물에 의하여 생산할 수 있는 물질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고, 아미노산, 핵산, 불포화 지방산, 지질, 단백질, 펩티드, 비타민, 당, 당 알코올, 알코올, 유기산, 항생 물질, 생리 활성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으로서는, L-글루타민산, L-리진, L-스레오닌, L-트립토판, L-페닐알라닌, L-티로신, L-로이신, L-이소로이신, L-바린, L-아스파라긴, L-아스파라긴산, L-히스티딘, L-글루타민, L-아르기닌, L-오르니틴, L-시트루린, L-프로린, L-세린, 메티오닌, L-알라닌, L-시스테인, 시스틴, 호모세린 등을 들 수 있고, 핵산으로서는, 이노신, 구아노신, 이노신산, 구아닐산, 크산틸산, 시티딜산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지방산으로서는, (6Z, 9Z, 12Z)-6,9,12-옥타데카트리엔산, (8Z, 11Z, 14Z)-8,11,14-이코사트리엔산,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 (4Z, 7Z, 11Z, 14Z, 17Z)-4,7,11,14,17-도코사펜타엔산, (9Z, 12Z, 15Z)-9,12,15-옥타데카트리엔산, (6Z, 9Z, 12Z, 15Z)-6,9,12,15-옥타데카테트라엔산, (8Z, 11Z, 14Z, 17Z)-8,11,14,17-에이코사테트라엔산, (5Z, 8Z, 11Z, 14Z, 17Z)-5,8,11,14,17-에이코사펜타엔산, (4Z, 7Z, 10Z, 13Z, 16Z, 19Z)-4,7,10,13,16,19-도코사헥사엔산, (6Z, 9Z)-6,9-옥타데카디엔산, (8Z, 11Z)-8,11-이코사디엔산, (5Z, 8Z, 11Z)-5,8,11-이코사트리엔산 등을 들 수 있고, 지질로서는, 상기의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트리아실글리세리드, 디아실글리세리드, 모노아실글리세리드, 포스파티딜코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딘산, 리소포스파티딜코린, 리소포스파티딜세린,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리소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소포스파티딘산, 카르디올리핀이나, 스테롤 등을 들 수 있다.
단백질로서는, 리파아제, 포스포리파아제, 프로테아제, 트란스글루타미나제, 아밀라아제, 이소아밀라아제, 글루코오스이소메라제, 글루코시다제, 플루라나아제, 폴리갈락투로나아제, 만노오스이소메라제, 아라비노푸라노시다제, 람노시다제, 만노시다제, 사이클로덱스트린 생성 효소, 글루코오스디히드로게나제, 글루코오스-6-인산디히드로게나제, 헥소키나아제, 글루코오스옥시다아제, 시아릴트란스페라제, 푸코실트란스페라제, N-아세틸글루코사미닐트란스페라제, 갈락토실트란스페라제, 만오실트란스페라제, N-아세틸갈락토사미니다아제, N-아실아미노산 라세마제, D-아미노아실라제, L-페닐세린 탈수소산소, 카르보닐 환원 효소, α-케토산 환원 효소, 퍼옥시다제, 락카제, 콜레스테롤 옥시다제, 플룩토실 아미노산 옥시다제, 망간퍼옥시다제, 아스코르브산 옥시다제, 글루코오스옥시다아제, 니트릴라아제, 니트릴히드라타제, 피타아제, 푸말라제, 우리카제, 카타라제, 포스파타아제, 우레아제, 셀룰라아제, 이베르타아제, 아스파라기나아제, 탄나아제, 락타아제, 우로키나아제 등을 들 수 있고, 펩티드로서는, 글루타티온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으로서는, 아스코르브산, 리보플라빈, 티아민, 나이아신, 비오틴, 시아노코발라민,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K, 카로티노이드류 등을 들 수 있고, 당으로서는, 글루코사민, N-아세틸글루코사민, 크실로스, 리보오스, 프룩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만난올리고당, 키틴, 키토산, 히알론산, 점성 다당류 등을 들 수 있고, 당 알코올로서는, 크실리톨, 에리스리톨 (erythritol), 갈락티톨, 만니톨, 솔비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에탄올, 부탄올, 글리세롤 등을 들 수 있고, 유기산으로서는, 초산, 젖산, 필빈산, 숙신산, 구연산, 코우지산, 푸마르산, 사과산, 글루콘산, 이타콘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솔빈산, 말레산, 계피산, 알돈산, 주석산, 이소구연산, 케토알돈산, 2-케토글론산 등을 들 수 있고, 항생 물질로서는, 벤조키논계 항생 물질,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니코틴아미드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 플라빈아데닌디뉴클레오티드, 오르토산, 시키미산, 엽산, 히드록시구연산, 세레브로시드, 아스타크산틴, S-아데노실메티오닌, S-메틸 메티오닌 술포늄클로라이드, 레티노이드류, 세레브로시드, 코엔자임 A, 코엔자임 Q10, 이노시톨, 코린, 카르니틴, 피로로키노린키논, 지베렐린, 아브시스산, 폴리히드록시 알카노에이트, 시클로스포린 A, 메바로틴, 폴리글루타민산, 폴리리진, 만노실에리스리톨리피드 등을 들 수 있다.
좋기로는, 불포화 지방산으로서는, (6Z, 9Z, 12Z)-6,9,12-옥타데카트리엔산, (8Z, 11Z, 14Z)-8,11,14-이코사트리엔산,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 (4Z, 7Z, 11Z, 14Z, 17Z)-4,7,11,14,17-도코사펜타엔산, (9Z, 12Z, 15Z)-9,12,15-옥타데카트리엔산, (6Z, 9Z, 12Z, 15Z)-6,9,12,15-옥타데카테트라엔산, (8Z, 11Z, 14Z, 17Z)-8,11,14,17-에이코사테트라엔산, (5Z, 8Z, 11Z, 14Z, 17Z)-5,8,11,14,17-에이코사펜타엔산, (4Z, 7Z, 10Z, 13Z, 16Z, 19Z)-4,7,10,13,16,19-도코사헥사엔산, (6Z, 9Z)-6,9-옥타데카디엔산, (8Z, 11Z)-8,11-이코사디엔산, (5Z, 8Z, 11Z)-5,8,11-이코사트리엔산 등이고, 지질로서는, 상기의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트리아실글리세리드, 디아실글리세리드, 모노아실글리세리드, 포스파티딜코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딘산, 리소포스파티딜코린, 리소포스파티딜세린,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리소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소포스파티딘산, 카르디올리핀이나, 스테롤 등이다.
더 좋기로는, 불포화 지방산으로서는, (8Z, 11Z, 14Z)-8,11,14-이코사트리엔산,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 (5Z, 8Z, 11Z)-5,8,11-이코사트리엔산이며, 지질로서는, 상기의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트리아실글리세리드, 디아실글리세리드, 모노아실글리세리드, 포스파티딜코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딘산, 리소포스파티딜코린, 리소포스파티딜세린,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리소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소포스파티딘산이다.
현재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산하고 있지 않은 물질이어도,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미생물에 의하여 생산되는 유용 물질은, 단독이어도 좋고, 2 종류 이상의 복수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유용 물질을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물질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미생물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발효법에 따르는 유용 물질의 생산에 이용되고 있는 미생물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발효 생산에 이용되고 있지 않은 미생물이어도, 유용 물질을 생산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한, 본 발명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래 유용 물질을 생산 하는 능력을 가지지 않는 미생물이어도,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인 돌연 변이나 재조합 DNA 기술 등을 이용한 육종에 의하여 유용 물질을 생산하는 능력이 부여된 미생물이어도, 본 발명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구체적인 미생물로서는, 에쉐리히아 속, 코리네박테리움 속, 바실러스 속, 세라티아 속, 에르위니아 속, 슈도모나스 속, 로도박터 속, 살모넬라 속, 비브리오 속, 키산토모나스 속, 디설퍼로코카스 속, 써모코카스 (Thermococcus) 속, 아스로박터 속, 엔테로박터 속, 아세토박테리움 속, 아세토박터속, 메타노스릭스 (Methanothrix) 속, 아그로박테리움 속, 주글로에아 속, 알칼리제네스 속, 엔테로코카스 속, 데이노코카스 속, 세베키아 (Sebekia) 속, 셀룰로모나스 (Cellulomonas) 속, 크립토코카스 속, 아시네토박터 속, 게오바실러스 속, 나트리알바 (Natrialba) 속, 엑시구오박테리움 속, 스핑고모나스속, 써모비피다 속, 로이코노스톡 (Leuconostoc) 속, 락토바실러스 속, 아시디필리움 (Acidiphilium) 속, 노카르디오프시스 속, 스트레프토마이세스 속, 아미콜라타 속, 슈도노카르디아 속, 써모모노스포라 속, 스트레프토바티시리움 (Streptoverticillium) 속, 고르도니아 속, 아미콜라토프시스 (Amycolatopsis) 속, 파이로코카스 속, 써모코카스 속, 써모플라즈마속, 써머스 (Thermus) 속, 페데이오코카스 (Pediococcus) 속, 사카로마이세스 속,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 속, 캐디다 (Candida) 속, 토루라스포라 (Torulaspora) 속, 클루이베로마이세스 (Kluyveromyces) 속, 피키아 속, 슈도자이마 (Pseudozyma) 속, 데바리오마이세스 속, 파치솔렌 속, 모르티에렐라 속, 모르티에렐라아 속, 코니디오보러스 속, 피튬 속, 피토프토라 (Phytophthora) 속, 크라도스포리움 속, 로도토루라 (Rhodotorula) 속, 엔트모프토라 속, 에키노스포란지움 (Echinosporangium) 속, 사프로레그니아 속, 울케니아 속, 시조키트리움 속, 스라우스토키트리움 (Thraustochytrium) 속, 모르티에렐라 속, 트리코데르마 속, 아스페르길루스 속, 리조푸스 속, 아크레모니움 속, 페니실리움 속, 포마 (Phoma) 속, 미로세시움 (Myrothecium) 속, 송편버섯 (Trametes) 속, 히포미세스 속, 푸사륨 (Fusarium) 속, 오리쿨라리아 (Auricularia) 속, 피시움 속, 메니스포로프시스 (Menisporopsis) 속, 써모마이세스 속, 세르코스포라 (Cercospora) 속, 보트리티스 (Botrytis) 속, 스템필리움 (Stemphylium) 속, 모나스카스 속, 무코르 속, 페스타로티아 속, 플레비아 속, 시조필럼 (Schizophyllum) 속, 플로로플렉사스 속, 키타스보리시아(Chaetasbolisia) 속, 크리소스포륨 속에 속하는 미생물 등을 들 수 있고, 유용 물질의 생산에 이용하는 미생물이면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미생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산하는 유용 물질이 불포화 지방산 또는 지질의 경우, 모르티에렐라 속 사상균이 좋고, 모르티에렐라아 속 사상균이 더 좋고, 모르티에렐라 알피나가 특히 좋다. 예를 들면,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을 구성 지방산으로서 포함하는 지질의 생산능을 가진 미생물로서 모르티에렐라 속, 코니디오보러스 속, 피튬 속, 피토프토라 속, 페니실리움 속, 클라도스포륨 속, 무코르 속, 푸사륨 속, 아스페르길루스 속, 로도토루라 속, 엔토모프토라 속, 에키노스포란지움 속, 사프로레그니아 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들 수 있다.
한층 더 구체적으로는, 모르티에렐라 속 모르티에렐라아속에 속하는 미생물에서는, 예를 들면 모르티에렐라 에롱가타, 모르티에렐라 엑시구아, 모르티에렐라 피그로필라,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르티에렐라 에롱가타 IFO8570, 모르티에렐라 엑시구아 IFO8571, 모르티에렐라 피그로필라 IFO5941,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IFO8568, ATCC16266, ATCC32221, ATCC32222, ATCC42430, CBS219.35, CBS224.37, CBS250.53, CBS343.66, CBS527.72, CBS529.72, CBS608.70, CBS754.68 등의 균주를 들 수 있다.
이 균주들은 모두 독립 행정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 생물 유전 자원 부문 (NBRC) 및 미국의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및 Centrral Bureau voor Schimmelcultures (CBS)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또한,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 또는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 함유 지질의 생산의 경우, 본 발명자들이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균주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1S-4주, 균주 모르티에렐라 에롱가타 SAM0219 (미공연균기 제8703호) (미공연조기 제1239호)를 사용할 수 있다. (8Z, 11Z, 14Z)-8,11,14-이코사트리엔산 또는 (8Z, 11Z, 14Z)-8,11,14-이코사트리엔산 함유 지질의 생산의 경우에는 1S-4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인 니트로소구아니딘 변이법으로 유도하여 얻은 Δ5 불포화화 활성이 결실된 변이주인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SAM1860 (미공연조기 제3589호, FERM BP-3589),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S14주,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Iz3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5Z, 8Z, 11Z)-5,8,11-이코사트리엔산 또는 (5Z, 8Z, 11Z)-5,8,11-이코사트리엔산 함유 지질의 제조의 경우에는 1S-4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인 니트로소구아니딘 변이법으로 유도하여 얻은 Δ12 불포화화 활성이 결실된 변이주로서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SAM1861 (미공연조기 제3590호, FERM BP-3590),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M209-7주 (특허 생물 기탁 센터 기탁 번호 FERM P-15766),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JT180주를 사용할 수 있다.
미생물의 전배양은 이용하는 미생물에 적절한 배지에서, 본배양에 필요한 균체수를 얻을 수 있는 조건으로 실시한다.
얻은 전배양액의 본배양 초발 배지에의 접종은 배양 방법에 따라서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생물 균주의 영양 세포, 포자 및/또는 균사, 또는 미리 배양하여 얻은 종배양액 (種培養液) 또는 종배양으로부터 회수한 영양 세포, 포자 및/또는 균사를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한다.
본배양 배지에는 탄수화물 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로서 글루코오스, 플락토스, 크실로스, 사카로스 (수크로스), 말토스, 가용성 전분, 당밀, 글리세롤, 만니톨, 솔비톨, 갈락토오스, 당화 전분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고, 또한 이들을 함유하는 시트러스 몰라세스, 비트 몰라세스, 비트 착즙, 사탕수수 착즙 등, 배양하는 미생물이 탄소원으로서 자화 (資化)할 수 있는 것, 또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이들에 한정하지 않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초발 탄수화물과 탄화수소의 산화물의 합계의 농도는 탄소 당량으로 0.4 중량% 미만이면 좋고, 좋기로는, 0.2 중량% 이하, 더 좋기로는, 0.1 중량% 이하, 한층 더 좋기로는, 0.05 중량% 이하, 특히 좋기로는, 0 중량%, 즉, 실질적으로 초발 배지에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첨가하지 않으면 좋다. 이 때, 탄소 당량으로 0.4 중량%라 함은, 글루코오스에서는 1 중량%, 수크로스에서는 0.95 중량%, 에탄올에서는 0.77 중량%, 글리세롤에서는 1.02 중량%를 의미한다. 전배양으로부터의 미량의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의 반입은 통상은 미량이며, 본 발명으로 말하는 「본배양 초발 배지는 실질적으로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이 첨가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에 해당한다. 또한, 미생물에 대사되어 이용되는 것을 예정하고 있지 않은, 탄소원이 되지 않는 탄수화물 및/탄화수소의 산화물이 첨가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본배양 초발 배지는 실질적으로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이 첨가되어 있지 않은 것」에 해당한다.
전배양액을 본배양 초발 배지에 접종 후, 좋기로는, 미생물의 적응기 (Lag Phase)가 종료한 후이고, 대수 증식기 (Log Phase)로 이행한 후에,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배지에 첨가한다. 미생물의 적응기, 대수 증식기는 유용 물질의 발효 생산에 이용하는 미생물, 배지, 배양 조건 등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는 주지의 방법에 의하여 세포수, 배양액의 탁도, 배양액당 건조 또는 습균체량 등을 측정하고, 또한, 배양액의 pH나 용존 산소 농도 등이나, 배양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 등을 측정하고, 각 매개 변수의 추이를 확인함으로써 미생물의 적응기, 대수 증식기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포수를 매개변수로서 이용하는 경우, 세포 수가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기가 적응기부터 대수 증식기로 이행하는 시기가 된다. 또한, 용존 산소 농도로 조사하는 경우에는 소비 산소가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기가 적응기부터 대수 증식기로 이행하는 시기가 된다.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유가하는 회수는 1회 이상이면, 복수이어도 좋고, 또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배지에 첨가할 수 있다. 첨가하는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의 총량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질소원으로서는, 미생물 배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 예를 들면, 펩톤, 효모 엑기스, 맥아 엑기스, 고기 엑기스, 카자미노산, 콘스티프리카, 대두 단백, 탈지 대두, 면실박, 카제인 가수 분해물, 각종 발효 균체와 그 소화물 등의 천연 질소원 외에, 요소 등의 유기 질소원과 질산나트륨, 질산암모늄 등의 질산염,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등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암모늄염, 암모니아 등의 무기 질소원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로, 또는 상기 질소원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필요에 따라서, 인산 이온, 칼륨 이온, 나트륨 이온,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이나, 철, 동, 아연, 망간, 니켈, 코발트 등의 금속 이온이나, 비오틴, 티아민 등의 비타민 등을 미량 영양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아데카네이트, 실리콘 등의 소포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배양은 기존의 미생물을 배양하는 방법, 구체적으로는, 고체 배양, 정치 배양, 진탕 배양, 통기 교반 배양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배양 조작법으로서는, 이른바 회분 배양, 류가 회분 배양, 반복 회분 배양 및 연속 배양 등의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교반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펠러 (교반 날개), 에어 리프트 발효조, 발효 브로스의 펌프 구동 순환, 또는 이들 수단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배양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액체 배지 중에 있어서의 통기 교반 배양으로 본배양을 실시하는 것이 공업적으로 유리하다. 통기 교반 배양을 행하기 위한 조(槽)로서는, 예를 들면 자 퍼멘터 (jar fermentor) 및 탱크 등의 교반조가 사용 가능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기 교반 배양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공기 등의 산소를 함유하는 가스나, 아르곤 및 질소 등의 산소를 함유하지 않는 가스 중 어느 하나를 통기하여도 좋고, 또한, 그러한 가스를 혼합하여 통기하여도 좋으며, 이와 같은 가스는 배양계의 조건에 맞추어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배양 온도는 사용하는 미생물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5 내지 100℃, 좋기로는, 10 내지 50℃, 더 좋기로는, 15 내지 40℃이다. 또한, 하나의 실시 상태로서 미생물의 생육에 적절한 온도로 배양하여 미생물을 증식한 후, 목적 물질의 생산에 적절한 온도에서 배양을 계속하여, 목적 물질의 생산성을 높일 수도 있다.
전배양으로서 고체 배지나, 시험관이나 플라스크 중의 액체 배지에서 배양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배양 기간은 통상 5 시간 내지 10일간, 좋기로는, 5 시간 내지 5일간, 더 좋기로는, 5 시간 내지 3일간이다. 이어지는 유용 물질을 생산하는 본배양의 배양 기간은 통상 5 시간 내지 30일간, 좋기로는, 5 시간 내지 20일간, 더 좋기로는, 5 시간 내지 15일간이다. 소망하는 유용 물질의 생산량이나 배지 중의 영양 성분, 기질 성분의 잔존량을, 본배양 종료 시의 판단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을 배양하는 배지의 pH는 3 내지 9이면 좋고, 무기 또는 유기의 산, 알칼리 용액, 요소, 탄산칼슘, 암모니아 등을 이용하고, pH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생물을 배양하고, 미생물 균체 내, 균체 표면, 또는 배지 중에 목적 물질을 축적시킨다. 미생물 균체를 포함하는 배양액 자체나 그 농축물을 최종의 목적 물질로 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유용 물질을 채취, 정제할 수도 있다. 목적으로 하는 유용 물질이 미생물 균체 내 또는 균체 표면에 축적하고 있는 경우, 원심 분리, 여과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배양액으로부터 미생물 균체를 회수하고, 미생물 균체 자체를 최종의 목적 물질로 할 수도 있고, 또 용매 등에 의하여 목적 물질을 회수하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정석(晶析) 등, 통상의 목적 물질의 정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 물질을 정제할 수도 있다. 또한, 목적 물질이 배지 중에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도, 미생물 균체를 분리한 배양액 자체나 그 농축물을 최종의 목적 물질로 할 수도 있으나, 전술한 통상의 정제법을 이용하여, 목적 물질을 정제할 수도 있다.
유용 물질인 불포화 지방산 또는 지질을 생산하는 미생물로서는, 모르티에렐라 속, 코니디오보러스 속, 피튬 속, 피토프토라 속, 페니실리움 속, 클라도스포륨 속, 무코르 속, 푸사륨 속, 아스페르길루스 속, 로도토루라 속, 엔토모프토라속, 에키노스포란지움 속,  속, 레그니아 속에 속하는 미생물을 들 수 있고, 이 미생물들은 유용 물질인 불포화 지방산 또는 지질을 미생물 균체 내에 축적한다.
특히,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엑소형 아밀라아제에 의하여 이화하는 미생물은 전분으로 대표되는 고분자량 α-글리칸을 분해하는 활성이 낮고, 대사에 의하여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이화하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본배양 초발 배지에 실질적으로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이 포함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좋다.
이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들을 엑소형 아밀라아제에 의하여 이화하는 미생물은 미생물이 대수 증식을 개시한 후에 가하는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이 당류인 경우에, 첨가된 당류에 곧바로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좋다.
배양 종료 후,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수법에 의하여, 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0-69987호 등의 수법을 참조하여, 배지로부터 불포화 지방산,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지질, 또는 이들을 함유하는 미생물 균체를 얻을 수 있다.
미생물 균체는 소망에 의하여 살균 후, 바람직하게는 건조한다. 건조는 오븐 가열, 동결 건조, 열풍 건조 등에 의하여 실시할 수 있다. 건조 균체 또는 습균체로부터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수법을 이용하여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는 지질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균체를 헥산 등의 유기용매로 추출 처리한 후, 추출물로부터 감압 하에서 유기 용매를 류거함으로써, 트리글리세리드를 주로 하는 고농도의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지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얻은 트리글리세리드를 주로 하는 지질에, 탈검, 탈산, 탈색, 탈취 등, 통상의 식용 유지에 실시하는 정제 처리를 행함으로써, 고순도의 정제 식용 유지 (트리글리세리드)를 얻을 수 있다.
지질 중의 불포화 지방산은 직접 분리할 수도 있으나, 저급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에스테르로 함으로써, 다른 지질 성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소망하는 불포화 지방산만을 다른 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 수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 균체는 그대로, 또는 건조시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얻은 불포화 지방산 및 이것을 함유하는 지질도, 여러 가지 수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면 서플리먼트, 영양 조성물, 동물용 사료 (특히 펫 푸드), 어패류 양식용 사료, 분유 등을 포함하는 음식품에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수법을 사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 초발 배지에 글루코오스 첨가한 배양계에 의한 (5Z, 8Z, 11Z, 14Z)-5,8,11,14-이 코사테 트라엔산의 생산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1S-4주를 사용하였다. 동결 포자액을, 100 ㎕, 효모 엑기스 1.0 w/w%, 함수 글루코오스 2.0 w/w%, pH 6.3의 배지 100 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 100 rpm, 온도 28℃의 조건에서 전배양 (제1 단계)을 개시하고, 3일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효모 엑기스 1.0 w/w%, 함수 글루코오스 2.0 w/w%, 대두유 0.1 w/w%, pH 6.3의 배지 30 L를 50 L용 배양조로 조제하고, 이것에 종배양액 (제1 단계) 200 mL를 접종하고, 전배양 (제2 단계)을 개시하여, 온도 28℃의 조건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본배양의 초발 배지 (2.67 w/w% 함수 글루코오스, 5.0 w/w% 탈지 대두분, 0.3 w/w% K2HPO4, 0.05 w/w% MgCl2·6H2O, 0.05 w/w% CaCl2·2H2O, pH 6.0)에, 종배양액 (제2 단계) 25 L를 접종하고, 합계 4000 L의 초발 배양액량에 맞추었다.
온도 26℃, 내압 0.10 MPa로 배양을 개시하였다. 배양 1일째에 5.33%, 배양 2일째에 5.33%, 배양 3일째에 4.00%, 배양 4일째에 4.00%, 5일째에 2.67%의 함수 글루코오스의 유가를 행하고, 합계 24.0%의 함수 글루코오스를 첨가한 결과, 배지 중의 글루코오스가 완전하게 고갈한 것은 배양 12일째이었다. 배양 12일째에 있어서의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의 생산량은 17. 7 g/L, 총지방산에서 차지하는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의 비율은 42.4%이었다.
<2> 초발 배지에 글루코오스 첨가하지 않는 배양계에 의한 (5Z, 8Z, 11Z, 14Z)-5,8,11,14- 이코사테트라엔산의 생산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1S-4주를 사용하였다. 동결 포자액을, 100 ㎕, 효모 엑기스 1.0 w/w%, 함수 글루코오스 2.0 w/w%, pH 6.3의 배지 100 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 100 rpm, 온도 28℃의 조건에서 전배양 (제1 단계)을 개시하고, 3일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효모 엑기스 1.0 w/w%, 함수 글루코오스 2.0 w/w%, 대두유 0.1 w/w%, pH 6.3의 배지 30 L를 50 L용 배양조로 조제하고, 이것에 종배양액 (제1 단계) 200 mL를 접종하고, 전배양 (제2 단계)을 개시하여, 온도 28도의 조건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본배양의 초발 배지 (5.0 w/w% 탈지 대두분, 0.3 w/w% K2HPO4, 0.05 w/w% MgCl2·6H2O, 0.05 w/w% CaCl2·2H2O, pH 6.0)에, 종배양액 (제2 단계) 25 L를 접종하고, 합계 4000 L의 초발 배양액량에 맞추었다.
온도 26℃, 내압 0.10 MPa로 배양을 개시하였다. 배양 1일째에 5.33%, 배양 2일째에 5.33%, 배양 3일째에 5.33%, 배양 4일째에 4.00%, 5일째에 4.00%의 함수 글루코오스의 유가를 행하고, <1>과 마찬가지로 합계 24.0%의 함수 글루코오스를 첨가한 결과, 배지 중의 글루코오스가 완전하게 고갈한 것은 배양 9일째이었다. 배양 12일째에 있어서의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의 생산량은 18.3 g/L, 총지방산에서 차지하는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의 비율은 45.6%이었다.
<1> 초발 글루코오스 첨가 배양과 <2> 초발 글루코오스 무첨가 배양에 있어서의 배지 중의 글루코오스 농도의 추이를 도 1에, 총지방산에서 차지하는 (5Z, 8Z, 11Z, 14Z)-5,8,11,14-이코사테트라엔산의 비율의 추이를 도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1> 초발 배지에 글루코오스 첨가한 배양에 의한 (8Z, 11Z, 14Z)-8,11,14-이 코사트 리엔산의 생산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S14주를 사용하였다.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S14주를 1 백금이 (白金耳) 정도, 효모 엑기스 1.0 w/w%, 함수 글루코오스 2.0 w/w%, pH 6.3의 배지 100 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 100 rpm, 온도 28℃의 조건에서 전배양 (제1 단계)을 개시하고, 3일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효모 엑기스 1.0 w/w%, 함수 글루코오스 2.0 w/w%, 대두유 0.1 w/w%, pH 6.3의 배지 30 L를 50 L용 배양조에 조제하고, 이것에 종배양액 (제1 단계) 200 mL를 접종하고, 전배양 (제2 단계)을 개시하여, 온도 28℃의 조건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본배양의 초발 배지 (2.00 w/w% 함수 글루코오스, 4.32 w/w% 탈지 대두분, 0.3 w/w% K2HPO4, 0.05 w/w% MgSO4·7H2O, 0.05 w/w% CaSO4·2H2O, pH 6.3)에, 종배양액 (제2 단계) 25 L를 접종하고, 합계 4000 L의 초발 배양액량에 맞추었다.
온도 26℃, 내압 0.10 MPa로 배양을 개시하였다. 배양 1일째에 4.00%, 배양 2일째에 5.00%, 배양 3일째에 6.00%, 배양 6일째에 6.00%의 함수 글루코오스의 유가를 행하고, 합계 23. 0%의 함수 글루코오스를 첨가하고, 한층 더 배양 4일째에 1.00%의 숙신산이나트륨, 0.021%의 NaOH를 첨가한 결과, 배양 13일째에 있어서의 배지 중의 잔존 글루코오스 농도는 0.75%이었다.
<2> 초발 배지에 글루코오스 첨가하지 않는 배양계에 의한 (8Z, 11Z, 14Z)-8,11,14-이코사트리엔산의 생산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S14주를 사용한다.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S14주를 1 백금이 정도, 효모 엑기스 1.0 w/w%, 함수 글루코오스 2.0 w/w%, pH 6.3의 배지 100 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 100 rpm, 온도 28℃의 조건에서 전배양 (제1 단계)을 개시하고, 3일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효모 엑기스 1.0 w/w%, 함수 글루코오스 2.0 w/w%, 대두유 0.1 w/w%, pH 6.3의 배지 30 L를 50 L용 배양조에 조제하고, 이것에 종배양액 (제1 단계) 200 mL를 접종하고, 전배양 (제2 단계)을 개시하여, 온도 28℃의 조건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본배양의 초발 배지 (4.32 w/w% 탈지 대두분, 0.3 w/w% K2HPO4, 0.05 w/w% MgSO4·7H2O, 0.05 w/w% CaSO4·2H2O, pH 6.3)에, 종배양액 (제2 단계) 25 L를 접종하고, 합계 4000 L의 초발 배양액량에 맞추었다.
온도 26℃, 내압 0.10 MPa로 배양을 개시하였다. 배양 1일째에 6.00%, 배양 2일째에 5.00%, 배양 3일째에 6.00%, 배양 6일째에 6.00%의 함수 글루코오스의 유가를 행하고, 합계 23.0%의 함수 글루코오스를 첨가하고, 또한, 배양 4일째에 1.00%의 숙신산이나트륨, 0.021%의 NaOH를 첨가하면, 배지 중의 글루코오스가 완전하게 고갈하는 것은 배양 12일째이다.
실시예 3
<1> 초발 배지에 글루코오스를 첨가한 배양에 의한 (5Z, 8Z, 11Z)-5,8,11-이코사트리엔산의 생산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JT180주를 사용하였다.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JT180주를 1 백금이 정도, 효모 엑기스 1.0 w/w%, 함수 글루코오스 2.0 w/w%, pH 6.0의 배지 20 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 100 rpm, 온도 28℃의 조건에서 전배양을 개시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본배양의 초발 배지 (2.00 w/w% 글루코오스, 1.00 w/w% 효모 엑기스, pH 6.0)에, 전배양액 20 mL를 접종하여, 합계 5 L의 초발 배양액량에 맞추었다. 온도 28℃에서 2일간 배양한 후에, 배양 온도를 19℃로 변경하고, 배양을 계속하였다. 배양 1일째, 배양 2일째에 각각 1.00%의 글루코오스의 유가를 행하고, 합계 4.0%의 글루코오스를 첨가하여 배양을 실시한 결과, 배지 중의 글루코오스가 완전하게 고갈한 것은 배양 6일째이었다.
<2> 초발 배지에 글루코오스 첨가하지 않는 배양계에 의한 (5Z, 8Z, 11Z)-5,8,11-이 사트리엔산의 생산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JT180주를 사용한다. 모르티에렐라 알피나 JT180주를 1 백금이 정도, 효모 엑기스 1.0 w/w%, 함수 글루코오스 2.0 w/w%, pH 6.0의 배지 20 mL에 접종하고, 왕복 진탕 100 rpm, 온도 28℃의 조건에서 전배양을 개시하여, 3일간 배양한다. 다음으로, 본배양의 초발 배지 (2.00 w/w% 글루코오스, 1.00 w/w% 효모 엑기스, pH 6.0)에, 전배양액 20 mL를 접종하고, 합계 5 L의 초발 배양액량에 맞춘다. 온도 28℃에서 2일간 배양한 후에, 배양 온도를 19℃로 변경하고, 배양을 계속한다.
배양 1일째, 배양 2일째에 각각 1.00%의 글루코오스의 유가를 행하고, 합계 4.0%의 글루코오스를 첨가하여 배양을 실시하면, 배지 중의 글루코오스가 완전하게 고갈하는 것은 배양 5일째이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초발 배지에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첨가하지 않고,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써, 미생물이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소비하는 속도를 향상시켜, 유용 물질을 제조에 필요로 하는 배양 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유용 물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미생물 배양에 의한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으로서,
    미생물의 전배양 (前培養) 공정과,
    얻은 전배양액을 본배양 초발 배지에 접종하는 공정, 여기서 본배양 초발 배지에 있어서의 탄수화물과 탄화수소의 산화물의 합계의 농도가 탄소 당량으로 0.4 중량% 미만이고, 
    미생물이 대수 증식을 개시한 후에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첨가하는 본배양 공정
    을 포함하는 상기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본배양 초발 배지는 실질적으로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이 첨가되어 있지 않은 것인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미생물은 대수 증식을 개시한 후에 첨가하는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이 당류인 것인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미생물은 탄수화물 및/또는 탄화수소의 산화물을 엑소형 아밀라아제에 의하여 이화하는 미생물인 것인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미생물은 모르티에렐라 속 미생물인 것인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유용 물질은 고도 불포화 지방산인 것인 제조 방법.
KR1020127034394A 2010-06-30 2011-06-30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 KR201300360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9001 2010-06-30
JPJP-P-2010-149001 2010-06-30
PCT/JP2011/065524 WO2012002572A1 (ja) 2010-06-30 2011-06-30 有用物質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311A Division KR20140057394A (ko) 2010-06-30 2011-06-30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022A true KR20130036022A (ko) 2013-04-09

Family

ID=454022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394A KR20130036022A (ko) 2010-06-30 2011-06-30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
KR1020147010311A KR20140057394A (ko) 2010-06-30 2011-06-30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311A KR20140057394A (ko) 2010-06-30 2011-06-30 유용 물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30095537A1 (ko)
EP (1) EP2589662A4 (ko)
JP (2) JPWO2012002572A1 (ko)
KR (2) KR20130036022A (ko)
CN (1) CN102959084B (ko)
AU (1) AU2011272193A1 (ko)
CA (1) CA2802835A1 (ko)
SG (1) SG186371A1 (ko)
WO (1) WO2012002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9297B2 (ja) * 2011-08-30 2016-01-27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環境技術研究所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分解酵素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Pseudozyma antarctica
JP6961227B2 (ja) * 2018-01-17 2021-11-05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抗酸化物質の製造方法
KR102174589B1 (ko) * 2018-08-03 2020-11-0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뱀장어 사료내 항생제 대체를 위한 신바이오틱스 개발
CN108624638B (zh) * 2018-08-24 2021-03-30 湖南汇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发酵生产氨基葡萄糖的方法
WO2020094751A1 (de) * 2018-11-09 2020-05-14 Evonik Operation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eicht aufschliessbaren biomasse mit erhöhtem gehalt an polyungesättigten fettsäuren
KR102265807B1 (ko) * 2020-03-03 2021-06-16 나종주 생균제를 이용한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988A (ja) * 1985-07-26 1987-02-03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微生物脂質の製造方法
FR2634218B1 (fr) * 1988-07-13 1992-02-21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production de butanol et d'acetone par fermentation a partir de melasse de canne a sucre
JP3332949B2 (ja) * 1992-03-31 2002-10-07 サントリー株式会社 5,11,14−エイコサトリエン酸及び5,11,14,17−エイコサテトラエン酸並びにこれらを含有する脂質の製造方法
JPH05292983A (ja) * 1992-04-21 1993-11-09 Nakano Vinegar Co Ltd 微生物セルロースの製造法
ES2446982T3 (es) * 1996-12-27 2014-03-11 Suntory Holdings Limited Medios para cultivar microorganismos y método para producir ácidos grasos insaturados o lípidos que los contienen
JP2000069987A (ja) * 1998-08-28 2000-03-07 Suntory Ltd アラキドン酸含有脂質並びにジホモ−γ−リノレン酸含有脂質の製造方法
JP4036596B2 (ja) * 2000-03-03 2008-01-23 サントリー株式会社 5,11,14−エイコサトリエン酸及び/又は5,11,14,17−エイコサテトラエン酸を含有する脂質及びその製造方法
JP4088097B2 (ja) * 2002-04-26 2008-05-21 サントリー株式会社 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脂質の製造方法
ES2741964T3 (es) * 2002-05-10 2020-02-12 Tepha Inc Polímero bioabsorbible que contiene monómeros de 2-hidroxiácido
BRPI0311916B1 (pt) * 2002-06-19 2020-01-28 Dsm Ip Assets Bv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um óleo microbiano compreendendo ácido araquidônico
JP4849806B2 (ja) * 2005-02-08 2012-01-11 日本水産株式会社 新規な菌体処理方法を用いた高度不飽和脂肪酸の製造方法
CN101709311B (zh) * 2009-11-25 2013-01-02 南京工业大学 一种花生四烯酸的快速高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86371A1 (en) 2013-01-30
AU2011272193A1 (en) 2013-01-17
EP2589662A4 (en) 2017-03-01
CN102959084A (zh) 2013-03-06
KR20140057394A (ko) 2014-05-12
WO2012002572A1 (ja) 2012-01-05
CA2802835A1 (en) 2012-01-05
JP2017070312A (ja) 2017-04-13
CN102959084B (zh) 2017-02-15
EP2589662A1 (en) 2013-05-08
JPWO2012002572A1 (ja) 2013-08-29
US20130095537A1 (en)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070312A (ja) 有用物質の製造方法
CN101631870B (zh) 多不饱和脂肪酸及含有其的脂质的制造方法
CA2944546C (fr) Procede de culture des microalgues du genre aurantiochytrium dans un milieu de culture sans chlorure et sans sodium pour la production de dha
JP2008167721A5 (ko)
US20110306102A1 (en) Improved methods for fermentative production of docosahexaenoic acid
AU2008338017B2 (en) Method for the cultiva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order thraustochytriales
JP4197744B2 (ja) 微生物培養用培地、並びに不飽和脂肪酸またはこれを含有する脂質の製造方法
Dedyukhina et al. Biosynthesis of arachidonic acid by micromycetes
CA3159974C (en) Methods of oil production in microorganisms
KR101159869B1 (ko) 트라우스토키트리알레스(Thraustochytriales)속의 미생물을 배양하는 방법
US10597630B2 (en) Method for culture of microalgae
CN115551358A (zh) 含高水平ω-3脂肪酸的微生物油脂
KR101169630B1 (ko) 고도 불포화 지방산 함유 지질의 제조 방법
Alakra et al.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lipids and carotenoids from Rhodosporidium toruloides Y27012
Abdenacer et al. High production of L-glutamic acid from date juice extracts by Corynebacterium glutamicum using fed-batch cultures: pulsed and continuous feeding modes.
KR102300392B1 (ko) 조 글리세롤을 사용한 바이오매스 및 오일의 고밀도 제조
US9701990B2 (en) Method of culturing a microorganism under controlled agitation and aeration conditions
AU2016210650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useful substance
AU2015200583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useful substance
Mohamed et al. Fungal Lipids
Alakraa et al. Rhodosporidium toruloides Y27012 mayasından lipit ve karotenoidlerin biyoteknolojik yolla üretimi
MXPA06005301A (en) Process for the cultiva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genus thraustochytria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40417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4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