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52762A -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762A
KR20120052762A KR1020100114067A KR20100114067A KR20120052762A KR 20120052762 A KR20120052762 A KR 20120052762A KR 1020100114067 A KR1020100114067 A KR 1020100114067A KR 20100114067 A KR20100114067 A KR 20100114067A KR 20120052762 A KR20120052762 A KR 20120052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ate
electrophoretic display
electrophoretic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2762A/ko
Publication of KR20120052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85Operation of cells; Circuit arrangements affecting the entire cel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9/01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03K19/01728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synchronous circuits, i.e. by using clock signals
    • H03K19/01742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synchronous circuits, i.e. by using clock signals by means of a pull-up or down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8Precharge or discharge of column electrodes before or after applying exact column volt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연결되는 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기영동패널과; 상기 데이터배선과 연결된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게이트배선과 연결된 게이트구동부와; 상기 데이터구동부에 데이터하이전압과 데이터로우전압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데이터하이전압과 데이터로우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상기 전력공급부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로 연결된 풀다운저항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영동 표시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유기전계 표시장치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최근 급속도로 다양화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를 선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정보 이용 환경의 고도화 및 휴대화에 힘입어 경량, 박형, 고효율 및 천연색의 동영상을 구현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일환으로 종이와 기존 표시장치의 장점만을 취합한 전기영동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우수한 대조비와 시인성, 빠른 응답 속도, 천연색의 표시, 저가 및 휴대의 용이성을 장점으로 하는 차세대의 표시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와 달리 편광판, 백라이트 유닛, 액정층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전차책(e-book) 등의 용도로서 최근에 부각되고 있다. 전차책의 경우에 하나의 화면을 장시간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화면을 메모리하는 기능을 갖게 되는데, 소비전력 저감을 위해 하나의 화면을 업데이트(update)한 후에는 전력을 오프(off)하게 된다.
그런데, 각 화소에 구비된 박막트랜지스터가 블랙매트릭스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형태의 전기영동 표시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 외부의 태양빛 등에 의해 박막트랜지스터의 채널이 오픈(open)되어 누설전류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박막트랜지스터의 채널이 오픈 상태가 되면, 전기영동 표시장치가 화면 업데이트 후 전력공급을 차단하더라도, 데이터배선의 연장 방향을 따르는 딤(dim)과 같은 화질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기영동 표시장치에는, 게이트전압으로서 게이트하이전압과 게이트로우전압이 사용되며, 데이터전압으로서 데이터하이전압과 데이터로우전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전압들은, 화면 업데이트 후에, 공급이 차단된다. 이처럼, 전력 공급이 차단되면, 전기영동 표시패널에 인가된 전하들은 방전(discharge)되어, 전압들은 그라운드 레벨(ground level)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전기영동 표시패널의 부하에 의해, 전압들은 즉시 그라운드 레벨로 떨어지지 못한다.
그런데, 데이터하이전압과 데이터로우전압이 그라운드 레벨(ground level)로 떨어지는 시간 즉 폴링타임(falling time)이, 게이트로우전압이 그라운드 레벨(ground level)로 떨어지는 시간 즉 폴링타임(falling time) 보다 길어지게 되어, 채널이 오픈된 박막트랜지스터를 통해 데이터전압이 화소로 인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딤과 같은 화질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연결되는 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기영동패널과; 상기 데이터배선과 연결된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게이트배선과 연결된 게이트구동부와; 상기 데이터구동부에 데이터하이전압과 데이터로우전압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데이터하이전압과 데이터로우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상기 전력공급부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로 연결된 풀다운저항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영동패널은,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와 연결된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보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및 2 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화소전극과 마주보는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화소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극성으로 하전된 블랙안료와 화이트안료를 갖는 다수의 캡슐을 포함하는 전기영동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게이트구동부에 게이트하이전압과 게이트로우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풀다운저항은, 1KΩ 내지 10KΩ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연결되는 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기영동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영동패널을 구동부품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품은, 상기 데이터배선과 연결되는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게이트배선과 연결되는 게이트구동부와, 상기 데이터구동부에 데이터하이전압과 데이터로우전압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하이전압과 데이터로우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상기 전력공급부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풀다운저항이 병렬로 연결된 전기영동 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영동패널은,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와 연결된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보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및 2 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화소전극과 마주보는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화소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극성으로 하전된 블랙안료와 화이트안료를 갖는 다수의 캡슐을 포함하는 전기영동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게이트구동부에 게이트하이전압과 게이트로우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풀다운저항은, 1KΩ 내지 10KΩ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하이전압 및/또는 데이터로우전압의 출력단에 풀다운저항을 구비시킴으로써, 전력 오프시에 전하의 방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이들 전압들의 폴링타임을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블랙매트릭스가 구비되지 않는 전기영동 표시장치가 사용된다 하더라도, 전력 오프에 따른 딤과 같은 화질저하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화소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전력공급부의 출력단에 풀다운저항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 및 5는 각각, 전력 오프시, 종래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에서의 데이터하이전압과 게이트로우전압의 파형을 측정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화소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전력공급부의 출력단에 풀다운저항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100)는, 전기영동패널(200)과, 구동부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타이밍제어부(310)와, 게이트구동부(320)와, 데이터구동부(330)와, 전력공급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영동패널(2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에 해당된다. 전기영동패널(300)에는, 다수의 행라인과 열라인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화소(P)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행라인 방향을 따라 다수의 게이트배선(GL)이 연장되어 있고, 열라인 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데이터배선(DL)이 연장되어 있다.
각 화소(P)에는, 대응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GL, DL)과 연결된 스위칭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트랜지스터(T)는 화소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화소전극에 대응하여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화소전극(163)과 공통전극(134) 각각에 데이터전압과 공통전압이 인가되면, 이들 사이에 전계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계는, 두 전극(163, 134) 사이에 위치하는 잉크층(135)에 구성된 캡슐(140) 내의 블랙안료(142)와 화이트안료(141)를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소전극(163)과 공통전극(134) 그리고 이들 전극(163, 134) 사이에 위치하는 잉크층(135)은 전기영동커패시터(Cep)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각 화소(P)에는, 스토리지커패시터(미도시)가 더욱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화소전극(163)에 인가된 데이터전압을 다음 업데이트시까지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전기영동 표시장치(100)가 컬러영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레드(red) 화소(P)와, 그린(green) 화소(P)와, 블루(blue) 화소(P)가 하나의 영상 단위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각 화소(P)에는 대응되는 컬러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전기영동 표시장치(100)의 화소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영동 표시장치(100)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2 기판(110, 120)과, 제 1 및 2 기판(110, 120)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영동필름(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기판(120)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이나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 1 기판(110)은 불투명한 스테인레스(stainles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이나 투명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영동필름(130)은 축중합 반응을 통해 하전된 다수의 블랙안료(142)와 화이트안료(141)가 채워진 다수의 캡슐(140)을 포함하는 잉크층(135)과, 마주보는 면에 대응하여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점착층(131, 1333)과, 그 사이에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공통전극(134)으로 포함한다. 여기서, 블랙안료(142)와 화이트안료(141)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게 되는데, 예를 들면, 블랙안료(142)는 정(+)극성, 화이트안료(141)는 부(-)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공통전극(134)을 이루는 투명도전성물질로서 ITO(indium-tin-oxide), IZO(indium-zinc-oxide), ITZO(indium-tin-zinc-oxide)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기판(110)에는, 서로 교차하여 화소(P)를 정의하는 게이트배선(GL) 및 데이터배선(DL)이 형성된다.
게이트배선(GL)과 데이터배선(DL)의 교차지점에는 화소(P)별로 스위칭트랜지스터(T)가 구성된다. 스위칭트랜지스터(T)는, 게이트전극(151)과, 반도체층(155)과,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157, 159)을 포함한다.
게이트전극(151)은, 게이트배선(GL)과 연결되며 제 1 기판(110) 상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게이트전극(151) 상에는, 게이트절연막(153)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절연막(153) 상에는, 게이트전극(151)에 대응하여 반도체층(155)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55)은, 액티브층(155a)과 오믹콘택층(155b)을 포함한다. 액티브층(155a)은 예를 들면 순수비정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오믹콘택층(155b)은 불순물비정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155) 상에는, 서로 이격된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157, 159)이 형성된다. 소스전극(157)은 데이터배선(DL)과 연결된다.
한편, 스위칭트랜지스터(T) 상에는 보호층(1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층(161)은, 드레인전극(159)을 노출하는 드레인콘택홀(162)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161) 상에는, 화소전극(163)이 화소(P)별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전극(163)은, 드레인콘택홀(162)을 통해 드레인전극(159)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화소전극(163)은 투명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예를 들면 ITO(indium-tin-oxide), IZO(indium-zinc-oxide), ITZO(indium-tin-zinc-oxide)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100)는, 자연광이나 실내광을 포함하는 외부광을 광원으로 이용하며, 스위칭트랜지스터(T)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공통전압을 기준으로 정(+)극성전압 또는 부(-)극성전압을 데이터전압으로서 선택적으로 인가받는 화소전극(28)이 캡슐(140) 내부에 채워진 다수의 화이트안료(141)와 블랙안료(142)의 위치 변화를 유도하여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타이밍제어부(310)는 TV시스템이나 비디오카드와 같은 외부시스템으로부터 제어신호와 영상데이터(Da)를 입력받게 된다. 여기서, 타이밍제어부(410)에 입력되는 제어신호로서, 예를 들면,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데이터인에이블신호, 데이터클럭신호 등이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제어부(310)는 입력된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게이트구동부(32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제어신호(GCS)와 데이터구동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생성한다.
게이트구동부(320)는, 타이밍제어부(310)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제어신호(GCS)에 응답하여, 프레임마다 다수의 게이트배선(GL)을 순차적으로 스캔(scan)할 수 있다. 스캔구간 동안에는, 게이트배선(GL)에 턴온전압 예를 들면 게이트하이전압(VGH)이 인가되며, 이에 따라 게이트배선(GL)에 연결된 스위칭트랜지스터(T)는 턴온된다. 한편, 각 프레임에서 스캔구간 이외의 구간 동안에는, 게이트배선(GL)에 턴오프전압 예를 들면 게이트로우전압(VGL)이 인가되며, 이에 따라 게이트배선(GL)에 연결된 스위칭트랜지스터(T)는 턴오프된다.
데이터구동부(330)는, 타이밍제어부(31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제어신호(DCS)에 응답하여, 데이터전압을 대응되는 데이터배선(DL)에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된 데이터전압은, 대응되는 화소(P)에 인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데이터전압으로서는,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은 각각, 공통전압을 기준으로, 정(+)극성전압과 부(-)극성전압에 해당된다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데이터하이전압(VDH)이 데이터전압으로서 출력되는 경우에, 이와 같은 데이터하이전압(VDH)을 인가받은 화소(P)에서는, 부(-)극성의 화이트안료(141)가 화소전극(163) 방향으로 그리고 정(+)극성의 블랙안료(142)가 공통전극(13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반대로, 데이터로우전압(VDL)이 데이터전압으로서 출력되는 경우에, 이와 같은 데이터로우전압(VDL)을 인가받은 화소(P)에서는, 부(-)극성의 화이트안료(141)가 공통전극(134) 방향으로 그리고 정(+)극성의 블랙안료(142)가 화소전극(16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더욱이, 데이터전압의 인가시간을 조절함으로써, 화소전극(163)에 충전되는 전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데이터하이전압(VDH)의 인가시간을 증감함에 따라, 화소전극(163)에 충전되는 정(+)극성의 전하량이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로우전압(VDL)의 인가시간을 증감함에 따라, 화소전극(163)에 충전되는 부극성의 전하량이 증감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데이터전압의 극성 및 출력시간은, 대응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데이터전압의 극성 및 출력시간에 따라, 해당 화소(P)가 표현하고자 하는 계조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전력공급부(340)는, 전기영동 표시장치(100)에 사용되는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전력공급부(340)는, 게이트하이전압(VGH)과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생성하여 게이트구동부(320)에 공급하게 되며,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을 생성하여 데이터구동부(330)에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게이트구동부(320)는 게이트하이전압(VGH)과 게이트로우전압(VGL)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되며, 데이터구동부(330)는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전력공급부(340)는, 소비전력 감소를 위해, 전기영동 표시장치(100)의 영상 표시시 즉 화면 업데이트시에 전력을 공급하며, 화면 업데이트 이후에는 다음번 화면 업데이트시까지 전력 공급을 중단 즉 오프(off)하게 된다.
즉, 화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게이트하이전압(VGH)과 게이트로우전압(VGL)은 게이트구동부(320)에 공급되고,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은 데이터구동부(330)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전압들(VGH, VGL, VDH, VDL)을 사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전압을 대응되는 화소(P)에 입력함으로써, 현재 프레임에 대한 화면 업데이트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화면 업데이트가 수행된 후에는, 게이트하이전압(VGH)과 게이트로우전압(VGL), 그리고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의 출력은 오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 업데이트 과정에서 각 화소(P)에 인가된 데이터전압은 다음번 프레임에 대한 화면 업데이트시까지 저장될 수 있게 되므로, 화면 업데이트가 수행된 후에는 다음번 화면 업데이트시까지 전력 공급이 오프되게 된다. 이에 따라,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면 업데이트가 수행된 후 전력 공급이 오프되는 경우에, 데이터하이전압(VDH) 및/또는 데이터로우전압(VDL)에 대한 폴링타임을 단축하기 위해, 데이터하이전압(VDH) 및/또는 데이터로우전압(VDL)의 출력단에 풀다운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전력공급부(340)의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의 출력단 각각에, 제 1 및 2 풀다운저항(R1, R2)이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다.
즉, 제 1 및 2 풀다운저항(R1, R2)은 각각, 데이터하이전압(VDH)을 데이터구동부(330)에 공급하는 제 1 전력공급배선(PL1)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을 데이터구동부(330)에 공급하는 제 2 전력공급배선(PL2)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전력공급부(340)의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의 출력단 각각에 제 1 및 2 풀다운저항(R1, R2)이 사용되는 것은 일예로서, 데이터하이전압(VDH) 또는 데이터로우전압(VDL)에 풀다운저항이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 1 및 2 풀다운저항(R1, R2)은, 예를 들면, 1KΩ 내지 10KΩ의 저항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의 출력단에 제 1 및 2 풀다운저항(R1, R2)를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해당 전압의 출력 오프시에, 전하의 방전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기영동패널(200)에 잔류하는 전하가, 풀다운저항(R1, R2)을 통해 빠른 속도로 방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력 오프시에,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은 빠른 속도로 그라운드 레벨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의 폴링타임이 빨라지게 된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의 폴링타임은, 게이트로우전압(VGL)의 폴링타임과 동일하거나 보다 빠른 속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화질저하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즉, 스위칭트랜지스터(T) 상부에 외부광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가 구비되지 않은 형태의 전기영동 표시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력 오프시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의 폴링타임이 게이트로우전압(VGL)보다 느리게 되면, 채널이 오픈된 스위칭트랜지스터(T)를 통해 데이터전압이 화소(P)로 인가되어, 딤과 같은 화질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하이전압(VDH)과 데이터로우전압(VDL)의 출력단에 풀다운저항을 구비시킴으로써, 전력 오프시에 전하의 방전 속도를 빠르게 하여, 이들 전압들의 폴링타임을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블랙매트릭스가 구비되지 않는 전기영동 표시장치(100)가 사용된다 하더라도, 전력 오프에 따른 딤과 같은 화질저하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5는 각각, 전력 오프시, 종래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에서의 데이터하이전압과 게이트로우전압의 파형을 측정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오프시, 데이터하이전압(VDH)은, 게이트로우전압(VGL)에 비해, 폴링타임이 느리다. 이로 인해, 딤과 같은 화질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전력 오프시, 데이터하이전압(VDH)은, 게이트로우전압(VGL)에 비해, 폴링타임이 빠르게 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풀다운저항을 사용함에 따른 결과이다. 이에 따라, 딤과 같은 화질저하는 개선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100)의 제조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기영동패널(200)을 제조한다. 예를 들면, 제 1 기판(110) 상에 다수의 박막층들을 형성하며, 이와 같이 박막층들이 형성된 제 1 기판(110)을 전기영동필름(130)을 사이에 두고 제 2 기판(120)과 결합함으로써, 전기영동패널(200)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기영동패널(200)을 구동부의 구성부품들과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전력공급부(340)의 데이터로우전압(VDL) 및/또는 데이터하이전압(VDH)의 출력단에는 풀다운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과정들을 통해, 전기영동 표시장치(100)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330: 데이터구동부 340: 전력공급부
R1: 제 1 풀다운저항 R2: 제 2 풀다운저항
VDH: 데이터하이전압 VDL: 데이터로우전압
PL1: 제 1 전력공급배선 PL2: 제 2 전력공급배선

Claims (8)

  1.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연결되는 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기영동패널과;
    상기 데이터배선과 연결된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게이트배선과 연결된 게이트구동부와;
    상기 데이터구동부에 데이터하이전압과 데이터로우전압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데이터하이전압과 데이터로우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상기 전력공급부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와 병렬로 연결된 풀다운저항
    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패널은,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와 연결된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보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및 2 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화소전극과 마주보는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화소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극성으로 하전된 블랙안료와 화이트안료를 갖는 다수의 캡슐을 포함하는 전기영동필름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게이트구동부에 게이트하이전압과 게이트로우전압을 공급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저항은, 1KΩ 내지 10KΩ의 저항값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5.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상기 게이트배선 및 데이터배선과 연결되는 스위칭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기영동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영동패널을 구동부품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품은, 상기 데이터배선과 연결되는 데이터구동부와, 상기 게이트배선과 연결되는 게이트구동부와, 상기 데이터구동부에 데이터하이전압과 데이터로우전압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하이전압과 데이터로우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상기 전력공급부의 출력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풀다운저항이 병렬로 연결된
    전기영동 표시장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패널은,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트랜지스터와 연결된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기판과 마주보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및 2 기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화소전극과 마주보는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화소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다른 극성으로 하전된 블랙안료와 화이트안료를 갖는 다수의 캡슐을 포함하는 전기영동필름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게이트구동부에 게이트하이전압과 게이트로우전압을 공급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풀다운저항은, 1KΩ 내지 10KΩ의 저항값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KR1020100114067A 2010-11-16 2010-11-16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2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067A KR20120052762A (ko) 2010-11-16 2010-11-16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067A KR20120052762A (ko) 2010-11-16 2010-11-16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762A true KR20120052762A (ko) 2012-05-24

Family

ID=4626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067A KR20120052762A (ko) 2010-11-16 2010-11-16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27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3632A1 (zh) * 2018-12-04 2020-06-11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6129823A (zh) * 2023-03-09 2023-05-16 义乌清越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电子纸的驱动电路及电子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3632A1 (zh) * 2018-12-04 2020-06-11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488550B2 (en) 2018-12-04 2022-11-01 HKC Corporation Limite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improving color cast based on design space and freedom
CN116129823A (zh) * 2023-03-09 2023-05-16 义乌清越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电子纸的驱动电路及电子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129B1 (ko) 표시 장치용 시프트 레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79353B1 (ko) 표시패널
KR101623593B1 (ko) 액정표시장치
US10192510B2 (en) Source driving module generating two groups of gamma voltag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US2009019549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6539365A (ja) 液晶パネルの駆動回路、駆動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US798637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085232B2 (en) Array substrate receiving two polarities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05439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597939B2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CN107577080B (zh) 透明显示面板及透明显示装置
JP2010256466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194737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1242819A6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298904A (ja) 液晶表示装置
KR102270257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060127316A (ko) 표시 장치
US1106931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KR10090977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20052762A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827611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110107585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JP2011164236A (ja) 表示装置
JP2010113247A (ja) 液晶表示装置
US10002579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