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다.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은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표적 예시인 모바일 단말(100), 방송국(301), 통신 링크 네트워크(400), 무선 기지국(401) 및 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로 이루어진다. 모바일 단말(100)은 방송국(301)으로부터 방송파를 수신할 수 있고, 또한 무선 기지국(401)과의 무선 송수신을 통해 통신 링크 네트워크(400)에 접속한다. 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는 통신 링크 네트워크(400)에 접속되며, 이는 모바일 단말(100)로 하여금 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에 접속함으로써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취득하게 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100)은 방송국(301)으로부터 방송파를 수신함으로써 방송파에 포함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100)에 관한 것이므로, 방송국(301), 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 및 무선 기지국(401)에 의한 동작들의 설명은 생략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모바일 단말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100)은 지상파 디지털 방송 등의 방송파를 수신해서 시청/기록(녹화)/재생하는 기능, 및 무선 기지국(401) 등을 통해 다른 통신 장치[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 등]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 모바일(배터리 구동형) 통신 단말 장치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100)은 방송파 수신 유닛(110), 통신 링크 송수신 유닛(120), 검출 및 결정 유닛(130), 및 공통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기록" 및 "녹화"라는 두 용어가 사용되지만,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 및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와 같은 표현들과 "기록가능 시간" 및 "녹화가능 시간"과 같은 표현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이다.
방송파 수신 유닛(110)은, 방송파 튜너(111), 방송파 복조 유닛(112), 방송파 디코더(113), 및 방송파 안테나(114)를 갖는다. 방송파 수신 유닛(110)은 채널을 선택해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수신 유닛, 및 상기 수신 유닛이 수신하는 각 채널의 프로그램 가이드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통신 링크 송수신 유닛(120)은 무선 송수신 유닛(121) 및 통신 링크 안테나(122)를 갖는다. 또한, 통신 링크 송수신 유닛(120)은 프로그램 가이드를 취득하는 취득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검출 및 결정 유닛(130)은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 및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을 갖는다.
공통부(140)는 CPU(141),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 디스플레이 유닛(143), 메모리(144), 배터리(145), 조작 유닛(146), 스피커(147), 및 마이크(148)를 갖는다. 디스플레이 유닛(143)은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한다.
방송파 튜너(111)는 방송파 안테나(114)에 의해 수신된 방송파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방송파 복조 유닛(112)에 선택된 방송파를 입력한다. 방송파 튜너(111)의 기동 지령, 및 원하는 방송파(방송국)를 선택하는 채널 선택 정보는 CPU(141)로부터 제공된다. 방송파 튜너(111)는 디지털 방송의 각 채널에 대한 튜너, 및 MediaFLO 방송의 각 채널에 대한 튜너를 포함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방송파 복조 유닛(112)은 방송파 튜너(111)로부터 제공된 방송파를 복조하고, 비트 스트림을 추출하여, 이를 방송파 디코더(113)에 입력한다.
방송파 디코더(113)는 방송파 복조 유닛(112)에 의해 입력된 비트 스트림을 디코드하고, 디코드된 비트 스트림을 CPU(141)에 입력한다.
무선 송수신 유닛(121)은 통신 링크 안테나(122)를 통해 무선 통신을 제어한다. IPTV 방송 등에 대해, 무선 송수신 유닛(121)은 채널을 선택하고,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그 후, 무선 송수신 유닛(121)은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디코드하고, 디코드된 방송 프로그램을 CPU(141)에 입력한다.
CPU(141)는 방송파 디코더(113) 및 무선 송수신 유닛(121)으로부터 제공된 디코드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을 위한 메모리(144)(비디오 메모리 및 버퍼 메모리)에 입력하거나, 또는 녹화를 위해 메모리(144)(녹화용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CPU(141)는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에 의해 계산된 잔여 기록 용량/배터리 레벨에 대응하는 시청가능하거나 녹화가능한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에 입력한다. 또한, 잔여 기록 용량 및 잔여 배터리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사전설정된 임계값[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에 접속해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취득하고 저장하는데 필요한 양]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 또는 방송파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CPU(141)는 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에 입력한다. 프로그램 가이드가 이미 저장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의 상황을 나타내지 않아도 된다.
CPU(141)는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과 함께, 메모리(144) 내에 저장된 설정 정보(동작 모드 정보), 및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에 의해 검출된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시청가능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시청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시청가능 구간을 식별력 있게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 유닛(143)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CPU(141)는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과 함께, 잔여 기록 용량 검출 유닛(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에 의해 검출된 잔여 기록 용량(잔여 메모리)에 기초하여 기록가능 시간(녹화가능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기록가능 시간(녹화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기록가능 구간(녹화가능한 구간)을 식별력 있게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 유닛(143)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CPU(141)는 시청가능성/녹화가능성 결정 유닛(132)과 함께, 메모리(144)에 저장된 설정 정보(동작 모드 정보) 및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에 의해 검출된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제 1 기록가능 시간을 결정하고, 잔여 기록 용량 검출 유닛(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에 의해 검출된 잔여 기록 용량(잔여 메모리)에 기초하여 제 2 기록가능 시간을 결정하며, 제 1 기록가능 시간 및 제 2 기록가능 시간 중 더 짧은 것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기록가능 시간(녹화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기록가능 구간(녹화가능한 구간)을 식별력 있게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 유닛(143)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은 CPU(141)를 통해 메모리(144)로부터 독출된, 디코드된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유닛(143)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은 CPU(141)에 의해 입력된 방송 프로그램 입력의 시청가능/기록가능 시간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정보(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가능/기록가능 시간에 기초한 시청가능/기록가능 구간(녹화가능한 구간)을 보여주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유닛(143)에 입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43)에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잔여 메모리 및 잔여 배터리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앞서 사전설정된 임계값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 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 또는 방송파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은 CPU(141)로부터 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낼 수 있다. 하지만,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가 이미 저장되어 있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메모리(144)는 방송파 수신 유닛(110) 및 무선 송수신 유닛(121)에 의해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설정 정보(동작 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으로서,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기록 유닛으로서, 및 상기 기록 유닛에 의해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조건을 저장하는 메모리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은 메모리(144)의 잔여 기록 용량[메모리 유닛(144) 내에 기록하는데 확보된 전체 용량으로부터, 기록에 사용되고 기록 예약에 확보된 총 용량을 뺌으로써 계산된 잔여 용량]을 검출한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에 내장되고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기록 장치 전체로서 단일 메모리(144)가 나타난다. 즉, 메모리(144)는 시청을 위한 비디오 메모리와 버퍼 메모리, CPU(141)의 작업용 메모리, 기록용 메모리, 삽입 및 제거에 의해 접속되고 접속되지 않는 메모리 카드 등을 대표하여 나타난다.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은 배터리(145)의 잔량(잔여 배터리 레벨)을 검출하고, 잔여 배터리 레벨을 계속해서 모니터하여, 검출 결과로서 잔여 배터리 레벨을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에 입력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1, 2에서,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은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하라는 지시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 설정 정보(동작 모드 정보) 및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방송파 튜너(111) 및 무선 송수신 유닛(121)에 의존하는 시청가능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시청가능 시간을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에 입력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3, 4에서,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은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하라는 지시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 기록 조건(비트 레이트, 프레임 레이트 등과 같은 메모리 이용 조건) 및 잔여 메모리에 기초하여 방송파 튜너(111) 및 무선 송수신 유닛(121)에 의존하는 기록가능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된 기록가능 시간을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에 입력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5에서,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은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하라는 지시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 설정 정보(동작 모드 정보) 및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방송파 튜너(111) 및 무선 송수신 유닛(121)에 의존하는 제 1 기록가능 시간을 계산한다. 또한,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은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하라는 지시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 잔여 메모리에 기초하여 방송파 튜너(111) 및 무선 송수신 유닛(121)에 의존하는 제 2 기록가능 시간을 계산하고, 제 1 기록가능 시간 및 제 2 기록가능 시간을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에 입력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1에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방송파 튜너(111) 및 무선 송수신 유닛(121)에 의존하는 시청가능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시청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의 시간부터 시청가능 시간까지의 시청가능 구간을 결정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2에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방송파 튜너(111) 및 무선 송수신 유닛(121)에 의존하는 시청가능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시청가능 시간 및 프로그램 가이드에 나타난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으로부터 시청가능 구간을 결정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3에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잔여 메모리 및 기록 동작 모드에 의존하는 기록가능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기록가능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의 시간부터 기록가능 시간까지의 기록가능 구간을 결정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4에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잔여 메모리 및 기록 동작 모드에 의존하는 기록가능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기록가능 시간 및 프로그램 가이드에 나타난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으로부터 기록가능 구간을 결정한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5에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방송파 튜너(111) 및 무선 송수신 유닛(121)에 의존하는 기록가능 시간(제 1 기록가능 시간)과 잔여 메모리 및 기록 동작 모드에 의존하는 기록가능 시간(제 2 기록가능 시간) 사이에서 더 짧은 것의 기록가능 시간을 계산한다. 그 후,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상기 기록가능 시간 및 프로그램 가이드에 나타난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으로부터 기록가능 구간을 결정한다.
도 2에서 검출 및 결정 유닛(130)의 각 구성요소 및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은 CPU(141)로부터 독립적으로 제공되지만, 이들은 CPU(141)의 일부분이거나 CPU(141)의 기능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방송파 수신 유닛(110)은 하나의 방송 방식을 처리하도록 구성되지만, 복수의 방송 방식(예를 들어, ISDB-Tmm 방송 및 MediaFLO 방송)을 개별적으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 단일 방송파 수신 유닛이 복수의 방송 방식(예를 들어, 지상파 디지털 방송 및 MediaFLO 방송)을 처리하도록 구성되거나, 복수의 방송 방식에 대하여 단일 방송파 안테나(114)가 공유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에 의해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는 동작]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의해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 S01에서 유저에 의한 선택 조작에 응답하여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 또는 기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시청/기록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된다. 다음 단계 S02에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잔여 메모리[잔여 기록 용량: 기록용으로 확보된 전체 메모리로부터, 이미 기록에 사용된 용량 및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에 필요한 용량을 뺌으로써 계산된 잔여량] 및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에 의해 검출된 잔여 배터리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값[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에 접속하고, 방송의 수신 처리를 수행하며, 프로그램 가이드를 취득하고 저장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레벨]을 만족시키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결정 결과를 CPU(141)에 입력한다.
단계 S02의 결정 결과가 YES인 경우(잔여 메모리 및 잔여 배터리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사전설정된 임계값 미만임), 작업은 단계 S03으로 진행하고, 이때 CPU(141)는 잔여 자원의 부족을 알리는 메시지(예를 들어, 잔여 메모리 또는 잔여 배터리 레벨의 부족으로 인해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가 취득되거나 저장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잔여 자원의 부족을 알리는 메시지를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단계 S02의 결정 결과가 NO인 경우(잔여 메모리 및 잔여 배터리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값 이상임), 작업은 단계 S04로 진행하고, 이때 CPU(141)는 무선 송수신 유닛(121)을 기동시킨다. 다음 단계 S05에서, CPU(141)는 무선 송수신 유닛(121)을 제어하여 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로부터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취득하기 시작한다. 방송파로부터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취득하기 시작하는 경우, CPU(141)가 무선 송수신 유닛(121)을 기동시킬 필요는 없다.
다음 단계 S06에서, CPU(141)는 사전설정된 시간 내에 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로부터 응답이 취득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모니터하며, 이로 인해 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로부터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가 취득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한다. 이 결정의 결과로서 NO인 경우, 작업은 단계 S07로 진행하고, 이때 CPU(141)는 오류 메시지[예를 들어, 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에 접속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오류 메시지를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단계 S06에서 결정의 결과로서 YES인 경우, 작업은 단계 S08로 진행하고, 이때 CPU(141)는 무선 송수신 유닛(121)을 제어하여, 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로부터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가 이미 메모리(144)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취득된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는 메모리에서 덮어쓰기로 저장된다. 또한, 단계 S06에서의 처리를 방송파로부터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로 대체할 수도 있다.
다음 단계 S09에서, CPU(141)는 수신된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각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방송 시간 및 비트 레이트와 프레임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메모리 사용 조건과, 디스플레이 유닛(143)의 디스플레이 휘도 및 착신 응답 규제(착신을 수신하지만 응답하지 않는 규제)와 발신 규제(발호, 데이터 통신 등을 발신하지 않는 규제)의 유무를 포함하는 배터리 사용 조건의 조합(시청에 대한 설정 정보;동작 모드 정보), 및 현재 잔여 메모리와 현재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시청가능/기록가능 시간을 계산하도록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을 제어한다. 특히,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은 상기 동작 모드에 대한 필요 자원량을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에 입력하며,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 및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은 잔여 메모리 및 잔여 배터리 레벨을 각각 검출하고, 이들을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에 입력한다.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 및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에 의해 각각 검출된 잔여 메모리 및 잔여 배터리 레벨로 이루어지는 검출된 잔여 자원량과,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으로부터 제공되는 필요 자원량을 비교한다. (1)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1, 2에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검출된 잔여 자원량을 구성하는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각 방송 시스템 및 단말의 각 동작 모드에 대해 시청가능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의 결과로서 시청가능 시간을 CPU(141)에 입력한다. (2)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3, 4에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검출된 잔여 자원량을 구성하는 잔여 메모리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각 방송 시스템 및 단말의 각 동작 모드에 대해 기록가능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의 결과로서 기록가능 시간을 CPU(141)에 입력한다. (3) 아래에서 설명되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5에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검출된 잔여 자원량을 구성하는 잔여 메모리 및 잔여 배터리 레벨 중 필요량에 대해 더 작은 비율을 갖는 하나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각 방송 시스템 및 단말의 각 동작 모드에 대해 기록가능 시간을 계산하고, 계산의 결과로서 기록가능 시간을 CPU(141)에 입력한다.
상기 동작 모드로서, 이하와 같은 동작 모드 1 내지 6이 존재하며, 이 각각에 대해 제어의 내용이 설정되어 있다.
(동작 모드 1) 높은 비트 레이트, 높은 디스플레이 휘도, 착신 응답 규제 없음, 및 발신 규제 없음. 이 경우에는, 메모리 사용 및 배터리 사용이 제어되지 않는다.
(동작 모드 2) 높은 비트 레이트, 낮은 디스플레이 휘도, 착신 응답 규제 없음, 및 발신 규제 없음. 이 경우에는, 배터리 사용이 약간 제어된다.
(동작 모드 3) 높은 비트 레이트, 낮은 디스플레이 휘도, 착신 응답 규제 없음, 및 발신 규제 있음. 이 경우에는, 배터리 사용이 중간 정도로 제어된다.
(동작 모드 4) 높은 비트 레이트, 낮은 디스플레이 휘도, 착신 응답 규제 있음, 및 발신 규제 있음. 이 경우에는, 배터리 사용이 확실히 제어된다.
(동작 모드5) 낮은 비트 레이트, 높은 디스플레이 휘도, 착신 응답 규제 없음, 및 발신 규제 없음. 이 경우에는, 메모리 사용이 제어된다.
(동작 모드 6) 낮은 비트 레이트, 낮은 디스플레이 휘도, 착신 응답 규제 있음, 및 발신 규제 있음. 이 경우에는, 메모리 사용 및 배터리 사용이 확실히 제어된다.
다음 단계 S10에서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가능/기록가능 시간을 포함한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정보가 생성된다.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정보는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으로부터 시청가능/기록가능 시간을 제공받아 CPU(141)에 의해 생성되며,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에 입력된다. 다음 단계 S11에서, CPU(141)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정보에 기초하여 색으로 표시된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가능/기록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시청가능/기록가능 구간을 보여주는 프로그램 가이드가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내어진다.
다음 단계 S12에서, CPU(141)는 기록을 예약하는 동작이 있는지, 또는 예약된 기록을 취소하는 동작이 있는지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기록을 예약하는 동작 또는 예약된 기록을 취소하는 동작이 있는 경우(단계 S12의 YES), 작업은 단계 S13으로 진행하는 한편, 기록을 예약하는 동작과 예약된 기록을 취소하는 동작이 모두 없는 경우(단계 S12의 NO)에는, 단계 S13이 스킵된다. 단계 S12에서 기록을 예약하는 것이 선택되는 경우, CPU(141)는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에 의해 계산된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을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 및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에 입력한다. 단계 S12에서 예약된 기록을 취소하는 것이 선택되는 경우, CPU(141)는 기록이 예약될 때 메모리(144)에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을 독출하고, 이들을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 및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에 입력한다. 기록을 예약하는 것이 선택되는 경우,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 및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은 기록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잔여 메모리로부터 뺌으로써 계산된 값, 및 기록에 필요한 배터리 레벨을 잔여 배터리 레벨으로부터 뺌으로써 계산된 값을 각각 취득한다. 기존 예약된 기록을 취소하는 것이 선택되는 경우,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 및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은 이 기록에 필요했던 메모리 용량을 잔여 메모리에 더함으로써 계산된 값, 및 이 기록에 필요했던 배터리 레벨을 잔여 배터리 레벨에 더함으로써 계산된 값을 각각 취득한다. 단계 S13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 7에 도시된 기록 예약의 처리가 실행되고, 이로 인해 잔여 자원량이 변경(확보/해방)된다. 다음 단계 S14에서는, 프로그램 가이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지가 결정된다. 프로그램 가이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 작업은 단계 S09로 돌아가서 단계 S09-단계 S10-단계 S11-단계 S12-단계 S13-단계 S14의 루프를 반복한다. 프로그램 가이드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는 경우에, 작업이 그대로 끝난다. 상기 단계 S09로부터 단계 S14까지의 루프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되기 때문에, 기록을 예약하는 동작 또는 기존 예약된 기록을 취소하는 동작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 S13에서 변경된 잔여 자원량(잔여 메모리 및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단계 S09 이후의 동작들이 다시 수행된다.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1에서,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현재의 시간(이 예시에서는 17시 12분)으로부터의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가능 시간 및 상기 시청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시청가능 구간은 각각의 튜너에 대해(각각의 방송 시스템에 대해) 나타내어진다. 또한, 기동된 튜너에 관한 시청가능 시간 및 시청가능 구간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1에서,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가능 시간은 MediaFLO 방송의 M12 채널, M18 채널에 대해 60분이고, 디지털 방송의 D1 채널, D3 채널 및 D7 채널에 대해 48분이며, 그 구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프로그램 가이드의 각 란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MediaFLO 방송의 수신은 디지털 방송의 수신보다 소비 전력이 더 낮은 것으로 가정한다.
디스플레이 란 V11은 각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와 방송국, 또는 방송 채널 이름을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란 V12은 시간대를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란 V13은 나타난 방송 프로그램들의 방송 날짜(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는, 2월 29일)를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란 V14은 프로그램 가이드를 구성하는 복수 페이지들의 페이지 번호를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5/14"는 "14 페이지들 중 5 페이지"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란 V15은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키를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Menu:0"은 키 "0"을 누르면 메뉴 화면이 나타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프로그램 가이드의 디스플레이 내용들을 다른 동작 모드에 따른 내용들로 바꾸는 동작은 디스플레이 란 V15에서 메뉴를 선택한 후, 메뉴에서 디스플레이 동작 모드 전환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란 V16, V17은 프로그램 가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페이지들 중, 나타나 있는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키, 및 다음 페이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키를 각각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이전 페이지:*"는 "*" 키를 누르면 4 페이지(현재는 5 페이지가 나타나 있음)가 나타난다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디스플레이 란 V17에서 "다음 페이지:#"은 "#" 키를 누르면 6 페이지가 나타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란 V18은 나타나 있는 시청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디스플레이 동작 모드:1"은 나타나 있는 시청가능 시간이 동작 모드 1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란 V19는 나타나 있는 동작 모드에서의 시청가능 시간을 보여주고, 또한 잔여 메모리 및 잔여 배터리 레벨 중 어느 것이 시청가능 시간을 결정하는지를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나머지:60분"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작 모드에서 선택된 채널(예를 들어, M12 채널)의 시청가능 시간이 60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란 V19에 있는 사선은 나머지 시간(60분)이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란 V20은 현재의 일시를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2/29 17:12"는 현재의 일시가 "2월 29일 17시 12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가능 시간은, 시청가능 시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시청가능 구간으로서, 프로그램 1, 프로그램 6, 프로그램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선에 의해 (식별력 있게) 나타난다. 프로그램 1의 잔여 방송 시간(48분)이 그 시청가능 시간(48분)과 같기 때문에, 사선들은 프로그램 1의 전역에 제공된다. 프로그램 6의 시청가능 시간(48분)이 그 나머지 방송 시간(108분)보다 짧기 때문에, 사선들은 현재 시간(17시 12분)을 기준으로 시청가능 시간(48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또한, 프로그램 13의 시청가능 시간(60분)이 그 나머지 방송 시간(108분)보다 짧기 때문에, 사선들은 현재 시간(17시 12분)을 기준으로 시청가능 시간(60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2에서,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가능 시간 및 상기 시청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시청가능 구간이, 각각의 튜너(방송 시스템) 및 각각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나타내어진다. 또한, 기동된 튜너에 관한 시청가능 시간 및 시청가능 구간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2에서,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가능 시간은 MediaFLO 방송의 M12 채널, M18 채널에 대해 75분이고, 디지털 방송의 D1 채널, D3 채널 및 D7 채널에 대해 60분이며, 그 시청가능 구간들이 현재의 시간 및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나타난다. 도 5의 프로그램 가이드에서의 각 란은 도 4의 프로그램 가이드에서의 각 란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이 생략된다. 방송 시스템들 간의 소비 전력의 차이도 도 4에서와 동일하다.
도 5에 나타낸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각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가능 시간은 시청가능 시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시청가능 구간으로서, 프로그램 1, 프로그램 2,…, 프로그램 6, 프로그램 7,…, 프로그램 13, 프로그램 1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선에 의해 (식별력 있게) 나타난다. 프로그램 1 및 프로그램 3의 방송 시간(60분)은 그 시청가능 시간(60분)과 같기 때문에, 사선들이 방송 시작 시간(프로그램 1; 17시 00분, 프로그램 3; 20시 00분)을 기준으로 전역에 제공된다. 프로그램 2 및 프로그램 6은 방송 시간(120분)보다 시청가능 시간(60분)이 짧기 때문에, 사선들이 방송 시작 시간(프로그램 2; 18시 00분, 프로그램 6; 17시 00분)을 기준으로 시청가능 시간(60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또한, 프로그램 13 및 프로그램 14은 방송 시간(120분)보다 시청가능 시간(75분)이 짧기 때문에, 사선들이 방송 시작 시간(17시 00분)을 기준으로 시청가능 시간(75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프로그램 가이드의 디스플레이 중에 착신이 있는 경우의 동작]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모바일 단말에 의해 프로그램 가이드의 디스플레이 중에 착신이 있는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링크 송수신 유닛(120)이, 프로그램 가이드의 디스플레이 중에 착신을 수신하는 경우, 단계 S20에서 CPU(141)는 착신의 종류(메시지, 통화, 정보 다운로드, 기타 통신 링크를 이용한 정보 통지) 및 발송자를 나타내는 착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에 입력하며, 또한 착신에 대한 응답 동작을 수행할지, 응답 동작을 연기하고 계속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낼지를 선택하도록 유저에게 요청하는 동작 선택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에 입력한다.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은 입력되는 착신 정보 및 동작 선택 디스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낸다. 다음 단계 S21에서, 유저에 의해 응답 동작이 선택되었는지가 결정된다. 이때, 미리 "착신에 대한 응답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착신 응답 규제로 기록이 예약되는" 경우에는, 이에 따라 나타내어진다. 단계 S21에서 응답 동작을 수행하도록 선택되는 경우, 이는 단계 S22로 진행하는 반면, 응답 동작을 곧 수행하지 않도록(응답 동작을 연기하도록) 선택되는 경우에는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2에서, CPU(141)는 착신의 종류에 따른 착신 응답 화면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낸다. 착신의 종류가 통화인 경우, 응답 화면은 발신자 이름과 호 수신을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내어, 유저에게 통화 시작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화면이다. 다음 단계 S23에서, 유저는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내어진 착신 응답 화면에 대해 응답 동작을 수행한다. 착신이 통화인 경우, 응답 동작은 오프-후크 버튼을 눌러서 통화를 시작하고, 온-후크 버튼을 눌러서 통화를 종료시키는 동작이다. 다음 단계 S24에서, 착신 응답에 대한 처리의 종료를 검출한 경우, CPU(141)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다시 나타낼지(프로그램 가이드로 다시 되돌아갈지),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지 않고 대기 상태에 들어갈지를 선택하도록 유저에게 요청하는 선택 화면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낸다. 이때, 프로그램 가이드를 다시 나타내도록 선택되는 경우에는 작업이 단계 S27로 진행하는 반면,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지 않고 대기 상태에 들어가도록 선택되는 경우, 이는 단계 S25로 진행된다. 단계 S25에서, CPU(141)는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대기 상태 화면을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내고,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
작업은, 단계 S21에서 NO인 경우, CPU(141)가 응답 연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응답 연기 동작은 착신의 종류에 따른 착신 이력을 생성하고 이를 메모리(144)에 저장하여, 이후 프로그램 가이드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될 때까지의 디스플레이, 소리, 진동 등에 의한 착신 통지를 막는 동작이다. 예를 들어, 착신의 종류가 통화이고, 유저가 미리 자동응답기에 의해 응답을 설정한 경우, 이러한 설정에 따라 자동응답기 응답 정보 및 착신 이력 정보가 생성된다. 자동응답기에 의한 응답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부재중 착신 이력 정보가 생성된다. 생성된 각 정보는 메모리(144)에 저장된다. 이후, 디스플레이, 소리 또는 진동에 의한 착신 통지는, 프로그램 가이드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될 때까지 억제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프로그램 가이드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될 때, CPU(141)는 메모리(144)에 저장된 착신 이력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착신 이력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낸다. 다음 단계 S27에서, 도 3의 단계 S09에서 단계 S14까지의 루프 처리와 동일한 처리(색 부호화에 의해 프로그램 가이드의 식별력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함)가 수행된다. 단계 S27에서의 처리는 유저의 조작에 의해 프로그램 가이드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될 때에 끝난다.
[예약 동작]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예약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 S30에서 유저에 의해,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기록 대상 프로그램(기록을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이 선택되는 경우, 다음 단계 S31에서 CPU(141)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낼 때에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에 의해 결정된 잔여 메모리(유저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확보되어 있는 전체 메모리로부터 이미 기록에 사용된 용량과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하는데 필요한 용량을 뺌으로써 계산된 메모리 용량)와 잔여 배터리 레벨을 사용함으로써, 유저에 의해 선택된 기록 대상 프로그램이 여하한의 동작 모드에서 기록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는 경우, 작업은 단계 S32로 진행하는 반면, 기록될 수 없는 경우에는 작업이 단계 S42로 진행한다. 동작 모드는 시청/기록을 위한 비트 레이트, 프레임 레이트 등과 같은 메모리 사용 조건과 디스플레이 유닛(143)의 디스플레이 휘도 등(시청/녹화를 위한 설정 정보)과 같은 배터리 사용 조건의 조합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단계 S32에서, 선택된 기록 대상 프로그램의 기록을 실행할 수 있는 동작 모드가 유저의 확인을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내어진다. 다음 단계 S33에서, 유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기록 실행가능한 동작 모드에서의 기록이 선택되는지, 다른 모드에서의 기록이 선택되는지가 결정된다. 다른 동작 모드에서의 기록이 선택되는 경우, 작업은 단계 S34로 진행하는 반면, 디스플레이된 기록 실행가능한 동작 모드에서의 기록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작업이 단계 S38로 진행한다. 단계 S34에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기록 대상 프로그램의 기록에 필요한 현재 메모리 및 현재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잔여 자원 부족량; 메모리의 부족량 및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을 계산하고, 이들을 CPU(141)에 입력한다. 다음 단계 S35에서, CPU(141)는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으로부터 입력된 부족량(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동작 모드에 대해 기록 대상 프로그램의 기록에 필요한 메모리의 부족량 및 배터리의 부족량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이들을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낸다. 다음 단계 S36에서, 나타내어진 동작 모드에서의 기록 대상 프로그램의 기록에 필요한 메모리의 부족량 및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에 기초하여 유저가 동작 모드를 변경했는지가 결정된다.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작업은 단계 S37로 진행하는 반면, 동작 모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이 단계 S38로 진행한다. 단계 S37에서, CPU(141)는 유저에 의한 변경 후의 동작 모드에서의 기록 대상 프로그램의 기록에 필요한 메모리의 부족량 및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과, 잔여 자원 부족량의 메시지(기록의 실행에 대해, 메모리 및 배터리 레벨 중 적어도 하나의 부족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낸다.
유저가 단계 S32에서 나타내어진 기록가능한 동작 모드를 선택한 후, 작업은 단계 S33의 NO 및 단계 S36의 NO로부터 단계 S38로 진행하여, 기록을 실행하기 위해 기록가능한 동작 모드들 중에서 동작 모드를 선택하도록 유저에게 요청하고 선택된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다음 단계 S39에서, 기록 대상 프로그램의 기록 우선순위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다. 기록 우선순위는 예를 들어 1, 2, 3 등과 같은 숫자로 설정되고, 우선순위는 숫자가 작을수록 더 높다. 상기 우선순위는 나중에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 단계 S40에서,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기록 예약은 유저에 의해 등록된다. 이때, CPU(141)는 기록 대상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 기록 우선순위, 및 예약 등록 정보(방송 시작 시간, 방송 종료 시간, 프로그램 이름, 방송 채널, 및 기록에 필요한 기타 정보), 및 설정된 동작 모드에서 기록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용량과 배터리 레벨을 메모리(144)에 저장한다. 또한, CPU(141)는 설정된 동작 모드로의 기록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확보하고, 이러한 확보된 메모리 용량을 잔여 메모리로부터 빼서, 기록을 위해 등록된 기록 대상 프로그램이 취소될 때까지, 확보된 메모리 용량이 다른 방송 프로그램들의 기록 및 데이터 저장에 사용되지 않게 한다. 또한 CPU(141)는 확보된 메모리 용량을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에 입력한다.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은 입력된 메모리 용량을 기록 예약하기 전에 기록을 위해 확보된 전체 메모리에 추가하고, 잔여 메모리를 검출하는데 이를 이용한다. 메모리 용량뿐만 아니라, 설정된 동작 모드로 기록하는데 필요한 배터리 레벨도 확보함으로써,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은 기록 타겟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이 취소될 때까지 다른 방송 프로그램들의 기록이나 모바일 단말(100)의 다른 동작들에 확보된 배터리 레벨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41에서, CPU(141)는 기록 예약의 등록이 완료된 것을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낸다.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에서 기록 대상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없는 경우에 단계 S31로부터 작업이 진행하는 단계 S42에서, 유저는 기존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의 변경을 검토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동작 모드의 변경이 대상 프로그램의 기록을 가능하게 하는지 체크하기 위해서는 작업이 단계 S43으로 진행하는 반면, 동작 모드의 변경을 검토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이 단계 S47로 진행한다. 단계 S43에서, 사전설정된 값보다 더 낮은 기록 우선순위를 갖는 동작 모드로,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동작 모드가 변경할 지가 검토된다. 구체적으로, CPU(141)는 메모리(144)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 우선순위를 독출하고, 기존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중에서, 사전설정된 값보다 작은 기록 우선순위를 갖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에 입력한다.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은 각 동작 모드에서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을 계산한다. 또한, CPU(141)는 단계 S30에서 선택된 기록 대상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에 입력하고,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은 각 동작 모드에서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을 계산한다. 기록 우선순위의 사전설정된 값은 미리 유저에 의해 설정되거나, 유저에 의해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폴트 값(예를 들어, 우선순위 2)이 사용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은 계산의 결과로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을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에 입력하고,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입력된 잔여 메모리와 잔여 배터리 레벨,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과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 각각에 의해 검출된 잔여 메모리와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기존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중 1 이상)의 동작 모드와 기록 대상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동작 모드의 조합을 취득하며, 상기 조합을 CPU(141)에 입력한다.
다음 단계 S44에서, CPU(141)는 기존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동작 모드의 변경에 의해 단계 S30에서 선택된 기록 대상 프로그램이 기록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기존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과 단계 S30에서 선택된 기록 대상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동작 모드의 조합들이 존재하는 경우, 작업은 단계 S45로 진행하는 반면, 조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이 단계 S47로 진행한다. 단계 S45에서, CPU(141)는 기존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및 단계 S30에서 선택된 기록 대상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동작 모드들의 조합들(변경 후보)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변경 후보 정보를 나타낸다. 다음 단계 S46에서, 유저에 의해 동작 모드를 변경할 것인지가 선택된다.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다시 말하면 기존의 예약된 프로그램 및 단계 S30에서 선택된 기록 대상 프로그램을 단계 S45에서 나타내어진 변경 후보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기록하는 경우, 작업은 단계 S49로 진행하는 반면, 동작 모드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이 단계 S47로 진행한다.
단계 S49에서, 기존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정보가 변경되고, 선택된 기록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이 등록된다. 구체적으로, 단계 S46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기존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및 단계 S30에서 선택한 기록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기록에 적용하는 동작 모드들, 이 동작 모드들에서 기록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 및 그 밖의 기록 예약 정보가 등록된다. 단계 S49 이후, 작업은 단계 S41로 진행하여 예약 등록이 완료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단계 S47에서, 잔여 자원 부족량(메모리의 부족량 및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이 계산된다. 구체적으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할 때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에 의해 계산된, 단계 S30에서 선택된 기록 대상 프로그램의 기록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에 대한 현재 메모리 및 현재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을, 디스플레이된 동작 모드 및 최소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을 필요로 하는 동작 모드에 대해서 계산한다. 그 후,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CPU(141)에 계산된 메모리의 부족량 및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을 입력한다. 다음 단계 S48에서, 잔여 자원 부족을 알리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구체적으로, CPU(141)는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에 의해 입력된 메모리의 부족량 및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에 기초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 10의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서 등에 의해 지시된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팝업 박스에 의해) 나타날 디스플레이 정보(예를 들어, 프로그램 이름, 기록가능 시간, 동작 모드,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 및 메모리의 부족량을 포함함)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상기 잔여 자원 부족을 알리는 메시지를 나타낸다.
도 7의 흐름도에서 단계 S30으로부터 단계 S48까지의 처리에 있어서, "기록"은 "시청 예약"에 대한 흐름도가 적용되도록 "시청"으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 경우, 단계 S40에서 시청 예약을 등록한 후, CPU(141)는 등록된 시청 예약의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방송파 수신 유닛(110) 및 무선 송수신 유닛(121)으로부터 입력된 방송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낸다.
[기록 예약의 등록 후 잔여 자원량의 모니터링]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의한 기록 예약의 등록 후 잔여 자원량을 모니터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기록 예약의 등록 후 잔여 자원량의 모니터링이 연속하여 수행된다.
우선, 단계 S50에서, 기존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확인된다. 구체적으로, CPU(141)는 메모리(144)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등록 정보, 및 등록 정보에 대응하는 기록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과 배터리 레벨을 독출하고, 이를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에 입력한다. 다음 단계 S51에서, 잔여 메모리 검출 유닛(133) 및 잔여 배터리 레벨 검출 유닛(134)은 잔여 메모리(기록을 위해 확보되어 있는 전체 메모리 용량으로부터 이미 기록에 사용된 메모리 용량 및 기존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을 뺌으로써 계산된 메모리 용량) 및 잔여 배터리 레벨을 각각 검출하고, 이를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에 입력한다. 필요 자원량 계산 유닛(131)은 기존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들을 모두 기록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을 계산하고, 이를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에 입력한다.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기존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들을 모두 기록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과, 잔여 메모리 및 잔여 배터리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를 CPU(141)에 입력한다. 잔여 메모리 및 잔여 배터리 레벨이 상기 기록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보다 작은 경우,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각각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현재 메모리 및 현재 배터리 레벨로 기록할 수 있는 동작 모드를 검출하고, 이러한 동작 모드의 유무 및 동작 모드의 정보를 CPU(141)에 입력한다.
다음 단계 S52에서, 검출량(잔여 메모리 및 잔여 배터리 레벨)이 필요량(기록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보다 작은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가 결정된다. 해당되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작업은 단계 S53으로 진행하는 반면, 해당하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에는 작업이 그대로 종료된다. 단계 S53에서, CPU(141)는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이 기록에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보다 작은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 우선순위를 독출하고, 이를 확인한다. 다음 단계 S54에서, 현재 메모리 및 현재 배터리 레벨로 가능한 동작 모드가 있는지가 결정된다. 이러한 동작 모드가 있는 경우, 작업은 단계 S55로 진행하는 반면, 이러한 동작 모드가 없는 경우에는 작업이 단계 S59로 진행한다.
단계 S55에서, 잔여 자원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과 대안적인 동작 모드가 나타내어진다. 구체적으로, CPU(141)는 메모리와 배터리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 메모리 및 배터리 레벨 중 적어도 하나의 부족으로 인해 기록 예약 시 설정된 동작 모드로 기록될 수 없는 기록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프로그램 이름 및 방송 시간), 현재 메모리 및 현재 배터리 레벨로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동작 모드, 및 기록 예약 시 설정된 동작 모드를 포함한, 대안적인 동작 모드 정보를 생성한다. 그 후, CPU(141)는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메모리 및 배터리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부족하다는 것과 대안적인 동작 모드를 나타낸다. 이때,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 및 대응하는 동작 모드의 조합들이 수평으로 또는 수직으로 배열된다. 상기 조합들은 단계 S53에서 독출된 기록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조합들이 수평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우선순위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낮아지고, 조합들이 수직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우선순위가 위에서 아래로 낮아지도록 나타내어진다. 동일한 우선순위를 갖는 조합들 사이에서는, 방송 시작 시간이 더 빠른 조합이 먼저 놓인다. 또한, 각 조합에서의 동작 모드는 수평으로 배열된 각 조합에 대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열되고, 수직으로 배열된 각 조합에 대해 위에서 아래로 배열되어, 현재 메모리 및 현재 배터리 레벨로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는 동작 모드와 기록 예약 시 설정된 동작 모드 사이에서 선택을 허용한다. 또한, 동작 모드가 선택될 때마다, 선택되는 동작 모드와 다음 조합에 대해 선택가능한 동작 모드가 다시 계산되고 나타내어진다.
다음 단계 S56에서, 동작 모드는 유저에 의해 선택된다. 유저는 수평으로 배열된 경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는 수직으로 배열된 경우 위에서 아래로, 현재 메모리 및 현재 배터리 레벨로 기록할 수 있는 동작 모드(대안적인 동작 모드; 1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어느 하나) 또는 기록 예약 시 설정된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각각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다음 단계 S57에서, 대안적인 동작 모드가 선택되는지가 결정된다. 이 결정에서는, 상기 단계 S56에서 대안적인 동작 모드(현재 메모리 및 현재 배터리 레벨로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들 중 어느 것이나 기록할 수 있는 동작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작업은 단계 S58로 진행하는 반면, 상기 단계 S56에서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모두에 대하여 기록 예약 시 설정된 동작 모드들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작업이 단계 S59로 진행한다. 단계 S58에서, CPU(141)는 기록 예약이 선택될 때 시 유저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와는 다른 동작 모드(대안적인 동작 모드)로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하여 대안적인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대안적인 동작 모드로 이행한다.
단계 S59에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기록 예약 시 설정된 동작 모드가 각각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경우와 최소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을 필요로 하는 동작 모드가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모두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자원의 부족량(메모리의 부족량 및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을 계산하는데, 이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들 모두를 기록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에 대한 현재 메모리 및 현재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이다. 그 후,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자원의 부족량(메모리의 부족량 및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을 CPU(141)에 입력한다. 또한, 시청가능성/기록가능성 결정 유닛(132)은, 기록 우선순위의 오름차순으로,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중 어느 것까지가 취소되어야 다른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들 모두가 기록 예약 시 설정된 동작 모드로 기록될 수 있게 하는지를 계산하고, 이러한 계산의 결과를 CPU(141)에 입력한다. 다음 단계 S60에서, CPU(141)는 불충분한 자원(메모리, 배터리)으로 인해 기록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들 모두가 기록될 수 없다는 것, 각각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 우선순위, 기록 우선순위의 오름차순으로 계산된 기록 예약의 취소가 기록 예약 시 설정된 동작 모드로 나머지 다른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모두를 기록할 수 있게 하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이러한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예약을 취소할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낸다.
다음 단계 S61에서, 단계 S60의 선택 화면 상의 예약 취소 대상으로서 나타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예약된 기록을 취소할지가 유저에 의해 선택된다. 예약된 기록을 취소하도록 선택되는 경우 작업은 단계 S62로 진행하는 반면, 취소하지 않도록 선택되는 경우에는 작업이 단계 S63으로 진행한다. 단계 S62에서, CPU(141)는 단계 S61의 선택 화면 상에 예약 취소 대상으로서 나타난 방송 프로그램(즉, 우선순위가 낮은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된 기록을 취소한다. 그 후, CPU(141)는 메모리(144)에 저장되어 있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에 대한 동작 모드, 기록 우선순위, 및 예약 등록 정보(방송 시작 시간, 방송 종료 시간, 프로그램 이름, 방송 채널, 그 밖의 기록에 필요한 정보, 및 설정된 동작 모드에서 기록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 레벨 각각의 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CPU(141)는 예약된 기록이 취소된다는 것을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낸다. 한편, 단계 S63에서, CPU(141)는 잔여 자원의 부족을 알리는 메시지(메모리 또는 배터리 레벨 중 적어도 하나가 기록하는데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 및 기록 예약 시 설정된 동작 모드가 각각의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경우와 최소 메모리 용량 및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동작 모드가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모두에 적용되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필요한 메모리 및 필요한 배터리 레벨에 대한 메모리의 부족량 및 배터리 레벨의 부족량을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43) 상에 나타낸다.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3]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3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3에서, 잔여 메모리에 의존하는 현재 시간(도면의 예시에서, 17시 12분)으로부터의 각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가능 시간(녹화가능 시간; 제 2 기록가능 시간), 및 상기 기록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기록가능 구간이 각각의 튜너(방송 시스템)에 대해 나타내어진다. 또한, 단지 기동된 튜너에 관한 시청가능 시간 및 시청가능 구간만이 나타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예시 3에서, 잔여 메모리에 기초한 기록가능 시간은 MediaFLO 방송의 M12 채널, M18 채널에 대해 50분이고, 디지털 방송의 D1 채널, D3 채널, 및 D7 채널에 대해 30분이며, 그 구간들은 기준으로서 현재 시간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진다. 도 9에 도시된 프로그램 가이드의 각 란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MediaFLO 방송의 기록이 디지털 방송의 기록보다 소비 전력이 더 낮은 것으로 가정된다.
디스플레이 란 V11은 각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 번호와 방송국, 또는 방송 채널 이름을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란 V12는 시간대를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란 V13은 디스플레이된 방송 프로그램들의 방송 날짜(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는, 2월 29일)를 보여준다.
디스플레이 란 V14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구성하는 복수 페이지들의 페이지 번호를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5/14"는 "14 페이지들 중 5 페이지"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란 V15는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키를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Menu:0"은 키 "0"을 누르면 메뉴 화면이 나타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프로그램 가이드의 디스플레이 내용들을 다른 동작 모드의 내용들로 바꾸는 동작은 디스플레이 란 V15에서 메뉴를 선택한 후, 메뉴에서 디스플레이 동작 모드 전환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란 V16, V17은 프로그램 가이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페이지들 중,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키, 및 다음 페이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키를 각각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이전 페이지:*"는 "*" 키를 누르면 4 페이지(현재는 5 페이지가 나타나 있음)가 나타난다는 것을 나타내는 반면, 디스플레이 란 V17에서 "다음 페이지:#"은 "#" 키를 누르면 6 페이지가 나타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란 V18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기록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동작 모드를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디스플레이 동작 모드:2"는 나타나 있는 기록가능 시간이 동작 모드 2에 대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란 V19는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작 모드에서의 기록가능 시간을 보여주고, 또한 잔여 메모리 및 잔여 배터리 레벨 중 어느 것이 기록가능 시간을 결정하는지를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나머지:30분"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동작 모드에서 선택되는 채널(예를 들어, D1 채널)의 기록가능 시간이 30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란 V19에 있는 사선은 나머지 시간(30분)이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란 V20은 현재의 일시를 보여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에서, "2/29 17:12"는 현재의 일시가 "2월 29일 17시 12분"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각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가능 시간은 기록가능 시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기록가능 구간으로서, 프로그램 1, 프로그램 6, 프로그램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선에 의해 (식별력 있게) 나타난다. 프로그램 1, 프로그램 6, 및 프로그램 9의 기록가능 시간(30분)은 그 프로그램들의 나머지 방송 시간(48분)보다 짧기 때문에, 사선들이 현재 시간(17시 12분)을 기준으로 기록가능 시간(30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또한, 프로그램 13 및 프로그램 16의 기록가능 시간(50분)은 그 나머지 방송 시간(108분)보다 짧기 때문에, 사선들이 현재 시간(17시 12분)을 기준으로 기록가능 시간(50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4]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4에서, 잔여 메모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가능 시간(녹화가능 시간) 및 상기 기록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기록가능 구간이 각각의 튜너(방송 시스템) 및 각각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나타내어지며, 동시에 앞서 언급된 잔여 자원의 부족을 알리는 메시지의 팝업 박스도 나타난다. 또한, 단지 기동된 튜너에 관한 시청가능 시간 및 시청가능 구간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4에서, 잔여 메모리에 기초한 기록가능 시간은 MediaFLO 방송의 M12 채널, M18 채널에 대해 50분이고, 디지털 방송의 D1 채널, D3 채널, 및 D7 채널에 대해 30분이며, 그 기록가능 구간들은 기준으로서 현재의 시간 및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진다. 도 10에 나타낸 프로그램 가이드의 각 란은 도 9에 나타낸 프로그램 가이드의 각 란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기록 시 방송 시스템들 간의 소비 전력 차이도 도 9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도 10에 나타낸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각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가능 시간은 기록가능 시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기록가능 구간으로서, 프로그램 1, 프로그램 2,…, 프로그램 6,…, 프로그램 13, 프로그램 16, 및 프로그램 17에서 사선에 의해 (식별력 있게) 나타난다. 프로그램 1 및 프로그램 2의 기록가능 시간(30분)은 방송 시간(방송 프로그램 1; 60분, 방송 프로그램 2; 120분)보다 짧기 때문에, 사선들이 방송 시작 시간(프로그램 1; 17시 00분, 프로그램 2; 18시 00분)을 기준으로 기록가능 시간(30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또한, 프로그램 13 및 프로그램 17의 기록가능 시간(50분)은 방송 시간(120분)보다 짧기 때문에, 사선들이 방송 시작 시간(프로그램 13; 17시 00분, 프로그램 17; 19시 00분)을 기준으로 기록가능 시간(50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5]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의한 프로그램 가이드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5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5에서, 잔여 메모리 및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각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가능 시간(녹화가능 시간) 및 상기 기록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기록가능 구간이 각각의 튜너(방송 시스템) 및 각각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나타내어진다. 또한, 단지 기동된 튜너에 관한 시청가능 시간 및 시청가능 구간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5에서,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한 제 1 기록가능 시간은 MediaFLO 방송에 대해 45분인 한편, 디지털 방송에 대해서는 40분이며, 잔여 메모리에 기초한 제 2 기록가능 시간은 MediaFLO 방송에 대해 50분인 한편, 디지털 방송에 대해서는 30분이다. 따라서, 제 1 기록가능 시간 < 제 2 기록가능 시간이 만족됨에 따라 제 1 기록가능 시간에 의존하는 MediaFLO 방송의 M12 채널, M13 채널의 각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가능 시간은 45분이다. 대조적으로, 제 1 기록가능 시간 > 제 2 기록가능 시간이 만족됨에 따라 제 2 기록가능 시간에 의존하는 디지털 방송의 D1 채널, D3 채널, 및 D7 채널의 기록가능 시간은 30분이다. 도 11에 나타낸 프로그램 가이드에서의 각 란은 도 9에 나타낸 프로그램 가이드에서의 각 란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이 생략된다. 또한, 방송 시스템들 간의 소비 전력 차이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고, 기록 시 메모리 사용의 차이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도 11에 나타낸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각 방송 프로그램의 기록가능 시간은 기록가능 시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기록가능 구간으로서, 프로그램 1, 프로그램 2,…, 프로그램 6, 프로그램 7,…, 프로그램 13, 프로그램 14 등에서 사선에 의해 (식별력 있게) 나타난다. 프로그램 1 및 프로그램 2의 기록가능 시간(30분)은 방송 시간(방송 프로그램 1; 60분, 방송 프로그램 2; 120분)보다 짧기 때문에, 사선들이 방송 시작 시간(프로그램 1; 17시 00분, 프로그램 2; 18시 00분)을 기준으로 기록가능 시간(30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또한, 프로그램 13 및 프로그램 14의 기록가능 시간(45분)은 방송 시간(120분)보다 짧기 때문에, 사선들이 방송 시작 시간(프로그램 13; 17시 00분, 프로그램 14; 19시 00분)을 기준으로 기록가능 시간(45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1로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에 따르면,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된 시청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시청가능 구간은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현재의 시간으로부터 식별력 있게 나타나기 때문에, 프로그램 가이드를 볼 때 방송 프로그램이 시청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2로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에 따르면, 잔여 배터리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된 시청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시청가능 구간은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시간으로부터 식별력 있게 나타나기 때문에, 프로그램 가이드를 볼 때 방송 프로그램이 기록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3으로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에 따르면, 잔여 메모리에 기초하여 결정된 기록가능 시간(녹화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기록가능 구간(녹화가능 구간)은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현재의 시간으로부터 식별력 있게 나타나기 때문에, 프로그램 가이드를 볼 때 방송 프로그램이 기록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3으로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이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현재의 시간으로부터 잔여 배터리 레벨 및 잔여 메모리에 기초하여 결정된 기록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기록가능 구간을 식별력 있게 나타내는 경우, 아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5와 동일한 효과가 취득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4로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에 따르면, 잔여 메모리에 기초하여 결정된 기록가능 시간(녹화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기록가능 구간(녹화가능 구간)은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시간으로부터 식별력 있게 나타나기 때문에, 프로그램 가이드를 볼 때 방송 프로그램이 기록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5로 프로그램 가이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에 따르면, 잔여 배터리 레벨 및 잔여 메모리에 기초하여 결정된 기록가능 시간(녹화가능 시간)에 대응하는 기록가능 구간(녹화가능 구간)은 프로그램 가이드에서 각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작 시간으로부터 식별력 있게 나타나기 때문에, 프로그램 가이드를 볼 때 방송 프로그램이 기록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기록가능 시간은 잔여 배터리 레벨과 잔여 메모리 사이에서 더 작은 것을 이용함으로써 결정되기 때문에, 실패 없이 기록할 수 있는 기록가능 구간을 나타낼 수 있게 하고, 유저로 하여금 배터리 용량의 제약이 큰 모바일 단말에 의해 효과적인 기록의 이용가능성을 결정하게 한다. 이로 인해, 유저의 편리성이 훨씬 더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에 따르면, 설정 정보(동작 모드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의 시청가능 시간/기록가능 시간이 프로그램 가이드에 식별력 있게 나타나고, 프로그램 가이드을 볼 때,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경우 방송 프로그램이 시청가능/녹화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하여,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프로그램 가이드의 앞선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1 내지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5에서, 프로그램 가이드에서의 모든 방송 프로그램들의 시청가능/기록가능 시간이 식별력 있게 나타나지만, 유저에 의해 선택된 시간,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만의 시청가능/녹화가능 시간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로그램 가이드에서의 시청가능/기록가능 시간은 사전설정된 패턴들의 영역에 의해 식별력 있게 나타나지만, 시청가능/기록가능 시간은 색 부호화에 의해, 또는 사전설정된 부호들(숫자 및 식별 부호)로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 가이드의 상기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1 내지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5에서, 디스플레이 란 V20의 내용을 나타내는 기능에 추가하여,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기록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시청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 시청하기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등)의 내용 및 출연자 등의 정보를 프로그램 가이드 전송 서버(302)에 무선 접속함으로써, 또는 방송파로부터 취득하고, 이를 나타내는 기능을 가져, 방송 프로그램이 선택된 후 디스플레이 란 V15의 메뉴가 선택되고 선택된 메뉴의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파로부터 프로그램 가이드를 취득하는 경우, 통신을 위한 것과 같은 송수신 유닛을 갖지 않아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