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39099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9099A
KR20100139099A KR1020107024126A KR20107024126A KR20100139099A KR 20100139099 A KR20100139099 A KR 20100139099A KR 1020107024126 A KR1020107024126 A KR 1020107024126A KR 20107024126 A KR20107024126 A KR 20107024126A KR 20100139099 A KR20100139099 A KR 20100139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flap
width direction
joined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909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플랩(30)의 일부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양측에 접을 수 있는 한 쌍의 접음부(50a, 50b)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접음부(50a, 50b)의 각각에 앞 몸통둘레 부재(20b) 또는 뒤 몸통둘레 부재(20a)의 소정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40a, 40b)가 배치되어 있으며, 플랩(30)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A1, A2)에 있어서 앞 몸통둘레 부재(20b) 또는 뒤 몸통둘레 부재(20a)에 접합되어 있고, 양단부(A1, A2)와 접음부(50a, 50b) 사이에, 플랩(30)이 앞 몸통둘레 부재(20b) 또는 뒤 몸통둘레 부재(20a)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D)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PRODUCTS}
본 발명은, 앞 몸통둘레 부재와, 뒤 몸통둘레 부재와,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 및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를 연결하는 가랑이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픈 타입의 기저귀에 있어서는, 신체에 대한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흡수체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사이드 플랩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오픈 타입의 기저귀로서, 특허문헌 1에, 흡수체 본체와는 별도의 부재인 시트편을 흡수체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합시켜 고정함으로써,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4-261655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오픈 타입의 기저귀에서는, 열융착이나 열가소성 수지 등의 접착제에 의해 직접 사이드 플랩을 흡수체 본체에 접합시킨다고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플랩을 전개할 때나 기저귀를 장착할 때에, 사이드 플랩과 흡수체 본체 사이의 접합 영역에 힘이 가해지면, 사이드 플랩(이하, 플랩이라 약칭함)이 흡수체 본체로부터 박리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플랩이 흡수체 본체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는 구성을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앞 몸통둘레 부재와, 뒤 몸통둘레 부재와,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 및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를 연결하는 가랑이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플랩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양측에 접을 수 있는 한 쌍의 접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접음부의 각각에,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 또는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의 소정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랩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 또는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양단부와 상기 접음부 사이에, 상기 플랩이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 또는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랩이 흡수체 본체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는 구성을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전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플랩 상에 형성되는 접음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플랩 상에 형성되는 접음부를 구성하는 슬릿부의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플랩 상에 형성되는 접음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플랩 상에 형성되는 접음부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오픈 타입의 기저귀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앞 몸통둘레 부재(20b)와, 뒤 몸통둘레 부재(20a)와, 앞 몸통둘레 부재(20b) 및 뒤 몸통둘레 부재(20a)를 연결하는 가랑이 부재(흡수체 본체)(10)를 포함한다.
흡수체 본체(10)는, 섬유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 액 투과성 표면 시트와, 플라스틱 필름이나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와의 적층 재료 등에 의해 형성된 액 불투과성 이면 시트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개재되고,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 중 적어도 한쪽에 접합된 흡수체 코어(1)를 갖고 있다.
흡수체 코어(1)로서는, 소정의 필요한 두께로 압축된 입자 형상이나 섬유 형상의 고흡수성 폴리머와 플랩 펄프와의 혼합물이나, 소정의 필요한 두께로 압축된 입자 형상이나 섬유 형상의 고흡수성 폴리머와 플랩 펄프와 열가소성 합성 수지 섬유와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 코어(1) 전체는 형 붕괴나 폴리머 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티슈 페이퍼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나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 본체(1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샘 방지벽(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앞 몸통둘레 부재(20b) 및 뒤 몸통둘레 부재(20a)는 신장성 및 신축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앞 몸통둘레 부재(20b)의 길이(L1)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뒤 몸통둘레 부재(20a)의 길이(L2)가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 몸통둘레 부재(20a)에 플랩(30)이 접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뒤 몸통둘레 부재(20a) 및 플랩(30)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A1) 및 단부(A2)를 따라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플랩(30)은, 뒤 몸통둘레 부재(20a) 상에 엠보스 롤러나 초음파에 의한 열압착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랩(30)의 단부(A1) 및 단부(A2)를 따라 열가소성 수지가 더 도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플랩(30)의 일부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양측에 접을 수 있는 한 쌍의 접음부(50a, 50b)가 형성되어 있다.
접음부(50a)에, 앞 몸통둘레 부재(20b)의 소정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40a)가 배치되어 있고, 접음부(50b)에, 앞 몸통둘레 부재(20b)의 소정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40b)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40a, 40b)로서 후크 부재(수컷 부재)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앞 몸통둘레 부재(20b)의 소정 영역에, 피 고정 부재로서 피 후크 부재(암컷 부재)가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 몸통둘레 부재(20b)가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 후크 부재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더라도, 앞 몸통둘레 부재(20b)의 소정 영역 자체가 피 후크 부재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음부(50a, 50b)가 접혀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고정 부재(40a, 40b)는, 흡수체 본체(10)에 걸려 임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접음부(50a, 50b)가 접혀져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고정 부재(40a, 40b)에 의한 걸림 대신에 엠보스 등에 의해 임시 고정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한 쌍의 접음부(50a, 50b)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슬릿부(제1 슬릿) 또는 제1 노치부(제1 트리밍) 중 적어도 하나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슬릿부(제2 슬릿) 또는 제2 노치부(제2 트리밍)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2의 예에서는, 접음부(50a)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슬릿부(50a3)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2 슬릿부(50a1, 50a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음부(50b)는,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슬릿부(50b3)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2개의 제2 슬릿부(50b1, 50b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슬릿부(50a3, 50b3) 및 제2 슬릿부(50a1, 50a2, 50b1, 50b2)는, 점선 구멍과 같은 절단 가능선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슬릿부(50a3, 50b3) 및 제2 슬릿부(50a1, 50a2, 50b1, 50b2)는 직선 형상이어도 좋고, 곡선 형상이어도 좋다.
플랩(30)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A1, A2)에 있어서, 뒤 몸통둘레 부재(20a)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플랩(30)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B1, B2)에 있어서, 뒤 몸통둘레 부재(20a)에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플랩(30)은, 한 쌍의 접음부(50a, 50b) 각각의 사이 영역(C)에 있어서, 뒤 몸통둘레 부재(20a)에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A1)와 접음부(50b) 사이에 그리고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A2)와 접음부(50a) 사이에, 플랩이 뒤 몸통둘레 부재(20a)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D1, D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한 쌍의 접음부(50a, 50b)가, 힌지식으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 접힐 수 있는 경우에도, 플랩(30)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절단되어 접히지는 않는다.
또한, 이러한 한 쌍의 접음부(50a, 50b)가, 힌지식으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 접히는 경우, 플랩(30)과 뒤 몸통둘레 부재(20a) 사이의 접합 영역(A1, A2)에 가해지는 힘이,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길이가 P인 비접합 영역(D1, D2)에 의해 흡수된다.
특히, 비접합 영역(D1, D2)은, 이러한 한 쌍의 접음부(50a, 50b)가, 힌지식으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 접힐 때의 순간적인 힘을 흡수하는 쿠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한 쌍의 접음부(50a, 50b)가, 힌지식으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 접히는 경우, 제2 슬릿부(또는, 제2 노치부)(50a1, 50a2, 50b1, 50b2)의 비접합 영역(D1, D2)측의 단부(100a, 100b)와 접합 영역(B1, B2)의 단부 사이의 영역(Q)과 뒤 몸통둘레 부재(20a) 사이(도 5 참조)에 자재의 헐거움(간극)이 생김으로써, 플랩(30)과 뒤 몸통둘레 부재(20a) 사이의 접합 영역(A1, A2)에 가해지는 힘이 완충된다.
또한, 제2 슬릿부(또는, 제2 노치부)(50a1, 50a2, 50b1, 50b2)의 비접합 영역(D1, D2)측의 단부(100a, 100b)는, 곡선형으로 가공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릿부(또는, 제2 노치부)(50a1, 50a2, 50b1, 50b2)의 비접합 영역(D1, D2)측의 단부(100a, 100b)는, 원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30)과 뒤 몸통둘레 부재(20a) 사이의 접합 영역(A1, A2)에 가해지는 힘이 원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분산된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앞 몸통둘레 부재(20b)의 소정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40a, 40b)가 배치되어 있는 플랩(30)을, 뒤 몸통둘레 부재(20a) 상에 배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뒤 몸통둘레 부재(20a)의 소정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40a, 40b)가 배치되어 있는 플랩(30)을, 앞 몸통둘레 부재(20b) 상에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플랩(30)은, 흡수체 본체(10)(가랑이 부재)의 단부를 덮도록, 앞 몸통둘레 부재(20b) 또는 뒤 몸통둘레 부재(20a)와 접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플랩(30)이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절단되지 않도록 한 쌍의 접음부(50a, 50b)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된 기저귀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개할 수 있다. 또한, 플랩(30)의 연속체가 제조 라인 상에서 절단됨으로써, 이 제조 라인 상에서 플랩(30)의 연속체를 연속 반송할 수 없게 되는 사태 혹은 이 제조 라인 상에서 플랩(30)의 연속체를 계속해서 반송하기 위해서 고도의 제어가 필요하게 되어 제조 설비가 복잡해져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길이가 P인 비접합 영역(D1, D2)이나 제2 슬릿부(50a1, 50a2, 50b1, 50b2)의 비접합 영역(D1, D2)측의 단부(100a, 100b)와 접합 영역(B1, B2)의 단부 사이의 영역(Q)에 의해 한 쌍의 접음부(50a, 50b)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양측으로 접히는 경우, 플랩(30)과 뒤 몸통둘레 부재(20a) 사이의 접합 영역(A1, A2)에 가해지는 힘을 늦출 수 있어 플랩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접음부(50a, 50b)가 찢어져 뒤 몸통둘레 부재(20a)로부터 박리되어 버린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할 확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변경예 1)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의 차이점을 착안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서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릿부(50a1, 50a2, 50b1, 50b2)의 비접합 영역(D1, D2)측의 단부(200a, 200b)는, 접음부(50a, 50b)의 외측으로 순조롭게 커브되는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도, 플랩(30)과 뒤 몸통둘레 부재(20a) 사이의 접합 영역(A1, A2)에 가해지는 힘이, 단부(200a, 200b)의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분산된다.
(변경예 2)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과의 차이점을 착안하여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서는,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릿부(50a1, 50a2, 50b1, 50b2)의 비접합 영역(D1, D2)측의 단부(300a, 300b)는, 접음부(50a, 50b)의 내측으로 순조롭게 커브되는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도, 플랩(30)과 뒤 몸통둘레 부재(20a) 사이의 접합 영역(A1, A2)에 가해지는 힘이, 이러한 단부(300a, 300b)의 형상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분산된다.
이상, 전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내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수정 및 변경 양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대하여 전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08-094108호(2008년 3월 31일 출원)의 전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랩이 흡수체 본체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7)

  1. 앞 몸통둘레 부재와, 뒤 몸통둘레 부재와,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 및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를 연결하는 가랑이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플랩의 일부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양측에 접을 수 있는 한 쌍의 접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접음부의 각각에,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 또는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의 소정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랩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 또는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에 접합되어 있고,
    상기 양단부와 상기 접음부 사이에, 상기 플랩이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 또는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비접합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음부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슬릿부 또는 제1 노치부 중 하나 이상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슬릿부 또는 제2 노치부 중 하나 이상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릿부 또는 제2 노치부의 상기 비접합 영역측의 단부는, 곡선형으로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 또는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한 쌍의 접음부 각각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 또는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가랑이 부재의 단부를 덮도록,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 또는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앞 몸통둘레 부재의 길이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뒤 몸통둘레 부재의 길이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07024126A 2008-03-31 2009-03-24 흡수성 물품 Withdrawn KR201001390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94108 2008-03-31
JP2008094108A JP5403934B2 (ja) 2008-03-31 2008-03-31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9099A true KR20100139099A (ko) 2010-12-31

Family

ID=41135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126A Withdrawn KR20100139099A (ko) 2008-03-31 2009-03-2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814844B2 (ko)
EP (1) EP2266516B1 (ko)
JP (1) JP5403934B2 (ko)
KR (1) KR20100139099A (ko)
CN (1) CN101795652A (ko)
AU (1) AU2009232975B2 (ko)
BR (1) BRPI0906304A2 (ko)
CA (1) CA2720135A1 (ko)
CO (1) CO6311061A2 (ko)
EA (1) EA018410B1 (ko)
EG (1) EG27058A (ko)
MA (1) MA32258B1 (ko)
MX (1) MX2010010855A (ko)
TW (1) TW201002284A (ko)
UA (1) UA99858C2 (ko)
WO (1) WO2009122970A1 (ko)
ZA (1) ZA2010078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7306B2 (en) * 2011-12-22 2015-04-28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fastening components and related methods
JP6319578B2 (ja) * 2014-09-29 2018-05-09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1655A (ja) 1990-12-31 1992-09-17 Zuikou:Kk 紙おむつの製造方法
US6110157A (en) * 1995-02-24 2000-08-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ntegrated fastening system
JP3575990B2 (ja) * 1998-06-30 2004-10-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261655B2 (ja) 1998-12-18 2009-04-30 株式会社東芝 画像読取システム
SE521378C2 (sv) * 2000-09-29 2003-10-28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astsättningsanordning
US6819347B2 (en) 2001-08-22 2004-11-16 Polaroid Corporation Thermal response correction system
US20030055389A1 (en) * 2001-09-14 2003-03-20 Sanders Donald J.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refastenable absorbent garment
JP2003180752A (ja) 2001-12-19 2003-07-02 Oji Paper Co Ltd ファスニングテープを有する使いすておむつ
JP4969894B2 (ja) 2005-04-11 2012-07-04 王子ネピア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7061462A (ja) * 2005-09-01 2007-03-15 Oji Nepia Kk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6305377A (ja) 2006-08-07 2006-11-09 Daio Paper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5328438B2 (ja) 2008-03-31 2013-10-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22970A1 (ja) 2009-10-08
CN101795652A (zh) 2010-08-04
JP2009240717A (ja) 2009-10-22
US8814844B2 (en) 2014-08-26
EA201001573A1 (ru) 2011-04-29
UA99858C2 (ru) 2012-10-10
TW201002284A (en) 2010-01-16
EP2266516A4 (en) 2012-12-19
EA018410B1 (ru) 2013-07-30
CA2720135A1 (en) 2009-10-08
ZA201007802B (en) 2012-09-26
AU2009232975B2 (en) 2014-07-03
MA32258B1 (fr) 2011-04-01
MX2010010855A (es) 2010-11-12
EP2266516B1 (en) 2014-10-01
JP5403934B2 (ja) 2014-01-29
EP2266516A1 (en) 2010-12-29
US20110144612A1 (en) 2011-06-16
CO6311061A2 (es) 2011-08-22
EG27058A (en) 2015-05-04
AU2009232975A1 (en) 2009-10-08
BRPI0906304A2 (pt)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7574B2 (en) Absorbent article
JP2006198132A (ja) 吸収性物品
US20080140038A1 (en) Absorbent article
JP2012527334A (ja) 折り畳み式失禁用品
AU2007270573A1 (en) Pants-type wearing article
JP5114078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体
US20120238989A1 (en) Disposable diaper
JP5060816B2 (ja) 吸収性物品
KR20120023802A (ko) 흡수성 물품
CN105451703A (zh) 具有扣合系统的吸收性物品
JP5777271B2 (ja) 着用物品
JP4514593B2 (ja) 吸収性物品
JP4234052B2 (ja) ファスニングテープを有する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CN101466337A (zh) 一次性穿戴物品的制造方法
JP4777233B2 (ja) 吸収性物品
KR20100139099A (ko) 흡수성 물품
JP5750146B2 (ja) 吸収性物品の包装体
JP5845914B2 (ja) テープ型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92112A (ja) 使い捨ておむつ
CN110536667B (zh) 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
JP2011139720A (ja) 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0235179A1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CN102333508B (zh) 穿用物品的制造方法
CN113260342A (zh) 复合片的制造方法、吸收性物品的制造方法、复合片及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