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139062A - Lte/τdd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의 동적 조정 및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Lte/τdd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의 동적 조정 및 시그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9062A
KR20100139062A KR1020107023686A KR20107023686A KR20100139062A KR 20100139062 A KR20100139062 A KR 20100139062A KR 1020107023686 A KR1020107023686 A KR 1020107023686A KR 20107023686 A KR20107023686 A KR 20107023686A KR 20100139062 A KR20100139062 A KR 20100139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downlink
uplink
mute
resource allo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3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펭 장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filed Critical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139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906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Bidirectional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LTE(Long-Term Evolution)/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의 동적인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제1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소정의 서브프레임 패턴의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에, 이 뮤트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되어 다른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한다. 뮤트 서브프레임을 교환하는 것이 소정의 이 다른 서브프레임 패턴을 가져오도록, 뮤트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패턴이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된다. 제2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다른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이 스케쥴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업링크 서브프레임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서브프레임 패턴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된 후에, HARQ(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처리가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LTE/ΤDD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의 동적 조정 및 시그널링{DYNAMIC ADJUSTMENT AND SIGNALING OF DOWNLINK/UPLINK ALLOCATION RATIO IN LTE/TDD SYSTEMS}
<상호 참조 관련 출원 문헌>
본 출원은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039,072호(2008년 3월 24일자) "Method for Signaling Downlink/Uplink Allocation Ratio Adjustment in LTE/TDD System", 및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138,896호(2008년 12월 18일자)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djustment of Downlink/Uplink Allocation Ratio in LTE/TDD System"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를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원용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동적인 리소스 할당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TE(Long-Term Evolution)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을 동적으로 변화시키고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DD 시스템은 독립(unpaired) 주파수 대역에서 대역폭 할당의 유동성과,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이하, "D/U 비율"이라 함)에 대한 선택의 유동성을 포함한다. 후자는 신규의 트래픽 서비스 타입 및 트래픽 볼륨 터뷸런스로 인하여 매력적이며, 그 양쪽 모두 광범위한 D/U 비율을 가져온다. 반면, 시스템 전역(system-wide) 동기화에 대한 요구사항은 전통적으로 TDD 시스템의 주요 단점이다. 이러한 요구사항 하에서는, 모든 기지국들과 모든 사용자 장비가, 전체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와 업링크 신호들 간의 오버랩핑을 회피하기 위하여, 송신기를 턴오프시키도록 동일한 시스템 타이밍을 따라야 한다.
타이밍 요구사항은 D/U 비율 유동성에 관한 TDD 특징들을 약화시킬 수 있다. 첫째, 모든 기지국들과 사용자 장비들이 동기화기 때문에, 시스템 전역적으로 반송 주파수당 하나의 D/U 비율만이 있을 수 있다. 둘째, 일단 시스템에 대하여 D/U 비율이 결정되면, D/U 비율을 동기적으로 변화시키기 전에, 모든 송신기들이 모두 함께 송신을 턴오프 하여야 하므로, 이를 다른 값을 변화시키기에는 너무 고가의 비용이 들 수 있다. 이러한 "콜드 리스타트(cold restart)"을 위해 지불되는 비용은, 시스템 용량의 큰 손실과 사용자 트래픽의 중단을 포함한다. 또한, 전체 시스템에서 마무리되지 않은 트래픽의 모니터링과 관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모한다.
하나의 종전의 발명은 2개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시스템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i. 하나의 값에서 다른 값으로의 시스템 전역적인 D/U 비율의 실시간 변경(Live-Change) (콜드 리스타트 없음); 및
ii. 주변 영역 중 하나로부터 다른 값으로 특정 전개 영역 내의 D/U 비율의 실시간 변경 (콜드 리스타트 없음).
몇몇 LTE TDD 시스템에 있어서, 다운링크-업링크 할당의 일례가 표 1에 규정되어 있다.
구성 스위치-포인트 주기
서브프레임 번호
0 1 2 3 4 5 6 7 8 9
0 5 ms D S U U U D S U U U
1 5 ms D S U U D D S U U D
2 5 ms D S U D D D S U D D
3 10 ms D S U U U D D D D D
4 10 ms D S U U D D D D D D
5 10 ms D S U D D D D D D D
6 5 ms D S U U U D S U U D
LTE-TDD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LTE-TDD 에서의 서브프레임들은, 다운링크 파일럿 타임슬롯(DwPTS), 보호 주기(GP), 및 업링크 파일럿 타임슬롯(UpPTS)의 3개의 필드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 업링크 서브프레임(U), 및 특수 프레임(S)일 수 있다.
이전의 발명에서는, 4번째 서브프레임 타입으로서, 뮤트 서브프레임(M)을 규정하도록 제안한다. 뮤트 서브프레임(M)은 그 전체의 서브프레임 주기 동안 다운링크 신호 또는 업링크 신호를 가지지 않는 특수한 서브프레임이다. 시스템이 특정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업링크로 변환하거나, 그 역으로 변환하도록 계획한다면, 먼저 서브프레임을 뮤트 서브프레임(M)으로서 마킹하여야 한다. 일단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허브프레임이 뮤트 서브프레임(M)으로 마킹되면, 다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마킹될 때까지 어떠한 송신에 대하여도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시스템은, 원래 업링크(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사용되어야 하는 다운링크(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인 뮤트 서브프레임을 지정할 수 있다. 뮤트 서브프레임(M)의 생성과 함께, 네트워크는 시스템 전역적으로 또는 특정 전재 영역에서만 D/U 비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D/U 할당 변경은 LTE-TDD 시스템의 기존 HARQ(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타이밍 사양에 대하여 일부 논리적인 영향을 갖는다. HARQ는 트래픽 송신이 수신기에 의해 인지되며, 트래픽 재송신이 NAK(Negative Acknowledgement)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도록 대향하는 통신 링크 상에 ACK/NAK 시그널링을 발신하는 처리이다. 트래픽 (재)송신과 인지 피드백(ACK/NAK)과의 사이의 지연이 미리 결정된다. 또한, NAK와 재송신과의 사이의 지연이 LTE 업링크 상에서 또한 미리 결정된다.
LTE 사양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UE: User Equipment)는 서브프레임 nU-k의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상의 트래픽 송신을 위해서 업링크 서브프레임(nU)에서 ACK/NAK를 송신하게 되며, 여기서, kK 이며, K(표 2에 정의됨)는 서브프레임(nU) 및 UL-DL 구성에 따라서 M개의 구성요소{k 0, k 1, L k M -1}의 다운링크 관계 지표 집합(downlink association index set)이라 한다. 다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걸친 HARQ 패킷들(ACK/NAK 번들링) 또는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걸친 HARQ 패킷들에 대응하는 모든 개별 ACK/NAK들의 논리합(AND) 연산에 의해 TDD ACK/NAK 번들링 및 멀티플렉싱이 수행된다.
LTE 사양에 따르면, UE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nD)의 스케쥴링 명령 또는 부정 ACK/NAK에 따라서 서브프레임(nD+kPUSCH)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에서 새로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거나 이전의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하게 된다; UE는 서브프레임(nU)의 PUSCH 상의 트래픽 (재)송신을 위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nU+kPHICH)의 PHICH(Physical HARQ Indication Channel) 상에서 ACK/NAK 를 기대한다. kPHUCH 및 kPHICH가 표 3에 정의되어 있다.
UL-DL 할당 ACK/NAK 서브프레임(nU): 서브프레임(nU-k)의 PDSCH
0 1 2 3 4 5 6 7 8 9
C0 - - 6 4 - - 6 4
C1 - - 7,6 4 - - - 7,6 4 -
C2 - - 8,7,4,6 - - - - 8,7,4,6 - -
C3 - - 7,6,11 6,5 5,4 - - - - -
C4 - - 12,8,7,11 6,5,4,7 - - - - - -
C5 - - TBD - - - - - - -
C6 - - 7 7 5 - - 7 7 -
LTE에서의 DL HARQ 타이밍

TDD UL-DL 할당
DL 서브프레임 번호 nD에 대한 kPUSCH
(서브프레임 nD + kPUSCH의 PUSCH)
UL 서브프레임 번호 nU에 대한 kPHICH
(서브프레임 nU + kPHICH의 PHICH)
0 1 2 3 4 5 6 7 8 9 0 1 2 3 4 5 6 7 8 9
C0 4 6 - - - 4 6 - - - - - 4 7 6 - - 4 7 6
C1 6 - - 4 6 - - 4 - - 4 6 - - - 4 6 -
C2 - 4 - 4 - - 6 - - - - 6 - -
C3 4 - - - 4 4 - - 6 6 6 - - - - -
C4 - - 4 4 - - 6 6 - - - - - -
C5 - 4 - - 6 - - - - - - -
C6 7 7 - - - 7 7 - - 5 - - 4 6 6 - - 4 7 -
LTE에서의 UL HARQ 타이밍
<발명의 요약>
본 개시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이슈들을 해소하고, 첨부 도면들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명백하게 되는 추가의 특징들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는 LTE(Long-Term Evolution)/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의 동적인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제1 서브프레임 패턴의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제2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제1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단계; 제2 서브프레임 패턴내의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을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나타내는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제2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뮤트 서브프레임을 교환하는 것이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가져오도록,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이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업링크 서브프레임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되어 제1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한 후에, HARQ(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처리를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LTE TDD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국(station)에 관한 것이다. 국은 제1 서브프레임 패턴에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며, 제2 서브프레임 패턴 내의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을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제1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제2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제1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며, 제2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제2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도록 구성되는 스케쥴러를 포함한다.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은, 뮤트 서브프레임을 교환하는 것이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가져오도록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국은 LTE TDD 시스템의 기지국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LTE TDD 시스템에 있어서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의 동적 조정 방법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제1 서브프레임 패턴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제2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제1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단계; 제2 서브프레임 패턴내의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을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나타내는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제2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뮤트 서브프레임을 교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가져오도록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이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른 본 방법은 또한 업링크 서브프레임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되어 제1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한 후에, HARQ(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처리를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각종 실시예들의 구조와 동작뿐만 아니라 본 개시물의 또 다른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나 이상의 각종 실시예에 따른 본 개시물은 참조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시를 목적으로만 도면들이 제공되며, 단지 본 개시물의 일례의 실시예들만을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물의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물의 적용도, 범주,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이러한 도면들은 예시의 명확성과 용이성을 위하여 반드시 스케일할 필요는 없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하고 송신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포함되는 2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요약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0과 구성-6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6과 구성-1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1과 구성-2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2과 구성-5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5과 구성-4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4과 구성-3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당 각각 2개 및 1개의 스위치 포인트를 갖는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요약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0과 구성-6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6과 구성-1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1과 구성-2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5와 구성-4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4과 구성-3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LTE TDD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의 동적인 조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구체적인 장치, 기술, 및 적용예들의 설명은 일례로서만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들의 다양한 변형예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되는 일반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주를 일탈하지 않고서 다른 예들과 적용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들에 한하지 않으며, 청구항을 따르는 범주와 일치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례의(exemplary)"라는 단어는, "일례로서 또는 예시로서 기능함"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일례의"로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양태 또는 설계는 다른 양태 또는 설계들에 대하여 바람직하거나 용이한 것으로 반드시 이해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주제의 기술의 양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참조가 이루어지며, 그 예들이 첨부도면에 도시되며,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처리들의 단계들의 구체적 순서들 또는 계층구조는 일례의 접근법의 예시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계 기호도에 따라서, 본 개시물의 범주 내에서 처리의 단계들의 구체적인 순서 또는 계층구조는 재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동반하는 방법 클레임들은 샘플 순서로 각종 스텝들의 구성요소들을 제공하며, 제공되는 구체적인 순서 또는 계층구조에 한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송신하고 송신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일례를 나타낸다. 시스템(100)은 본 명세서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필요는 없는 공지의 또는 종래의 동작 특징들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성분과 요소들을 포함한다. 시스템(100)은 일반적으로 기지국 송수신기 모듈(103), 기지국 안테나(106), 기지국 프로세서 모듈(116), 및 기지국 메모리 모듈(118)을 갖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시스템(100)은 일반적으로 이동국 송수신기 모듈(108), 이동국 안테나(112), 이동국 메모리 모듈(120), 이동국 프로세서 모듈(122), 및 네트워크 통신 모듈(126)을 갖는 이동국(104)을 포함한다. 물론, 기지국(102)과 이동국(104)은 본 발명의 범주를 일탈하지 않고서 추가의 또는 대체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지국(102) 및 하나의 이동국(104)만이 시스템(100)의 일례에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수의 기지국(102) 및 이동국(104)이 포함될 수 있다.
시스템(100)의 이러한 구성요소 및 기타의 구성요소들은 데이터 통신 버스(예컨대, 128, 130) 또는 임의의 적합한 배선 배치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선은 무선 시스템(200)의 각종 구성요소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연계하여 설명되는 각종 예시의 블록, 모듈, 회로, 및 처리 논리들이 하드웨어, 컴퓨터 판독가능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임의의 실제의 그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호환성과 상호교환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의 성분, 블록, 모듈, 회로, 및 스텝들이 그 기능의 측면에서 대략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의 적용예와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한요소에 의존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개념에 익숙한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능을 적절한 방법으로 각각의 특정 적용예에서 구현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러한 구현예의 결정이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일탈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100)의 일례에 있어서, 기지국 송수신기(103) 및 이동국 송수신기(108) 각각은 송신기 모듈과 수신기 모듈(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당업자라면, 송신기가 2개 이상의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다수의 송신기가 동일한 수신기에 송신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TDD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타이밍 갭은 송신으로부터 수신으로 및 그 역으로 전환에 대한 보호를 위하여 보호 대역(guard band)로서 존재한다.
도 1에 도시된 특정예 1의 시스템에 있어서, "업링크" 송신기(108)는 업링크 수신기와 안테나를 공유하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듀플렉스 스위치는 타임 듀플렉스 방식으로 업링크 안테나에 대하여 업링크 송신기 또는 수신기를 교호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운링크" 송수신기(103)는 다운링크 수신기와 다운링크 안테나를 공유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듀플렉스 스위치는 타임 듀플렉스 방식으로 다운링크 송신기 또는 수신기를 다운링크 안테나에 교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동국 송수신기(108) 및 기지국 송수신기(103)는 무선 데이터 통신 링크(114)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동국 송수신기(108) 및 기지국 송수신기(102)는 특정 무선 통신 프로토콜 및 변조 기법을 지원할 수 있는 적합하게 구성된 RF 안테나 배치(106/112)와 함께 협동한다. 일례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 송수신기(108) 및 기지국 송수신기(102)는 3GPP LTE(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3Gpp2 UMB(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Ultra Mobile Broadband), TD-SCDMA(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WiMAX(Wireless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산업 표준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동국 송수신기(108) 및 기지국 송수신기(102)는 IEEE 802.16e, IEEE 802.16m, 등의 IEEE 802.16의 향후의 변형형태를 포함하는 대체의 또는 추가의 무선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02)는 무선 리소스 할당 및 지정을 제어하며, 이동국(104)은 할당 프로토콜을 디코딩하여 해석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들은 다수의 이동국(104)들이 하나의 기지국(102)에 의해 제어되는 동일한 무선 채널을 공유하는 시스템들에서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대체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104)은 특정 링크에 대한 무선 리소스들의 할당을 제어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리소스 컨트롤러 또는 알로케이터(allocator)의 역할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116/122)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함수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범용 프로세서, 콘텐츠 어드레서블 메모리, 디지털 신호 처리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임의의 적합한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성분, 또는 임의의 그 조합으로 구현 또는 실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상태 머신, 등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장치들의 조합, 예컨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기타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116/122)들은 시스템(100)의 동작과 관계되는 처리 태스크들, 기법들, 및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논리를 포함한다. 특히, 처리 논리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프레임 구조 파라미터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논리는 기지국에 상주할 수 있으며, 및/또는 기지국 송수신기(103)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쳐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연계하여 기재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 펌웨어에, 프로세서 모듈(116/122)들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직접 실시되거나, 임의의 실제적인 그 조합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탈착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의 저장 매체의 임의의 기타 형태로서 실시될 수 있는, 메모리 모듈(118/120)에 상주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메모리 모듈(118/120)들은 프로세서 모듈(116/120)들이 메모리 모듈(118/120)들에 정보를 기입하고 정보를 이로부터 판독할 수 있도록 각각 프로세서 모듈(118/122)들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프로세서 모듈(116), 및 메모리 모듈(118), 프로세서 모듈(122), 및 메모리 모듈(120)은 자신의 각각의 ASIC들에 상주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118/120)들은 또한 프로세서 모듈(116/120)들에 집적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모듈(118/220)은 프로세서 모듈(116/222)들에 의해 인스트럭션들이 실행되는 중에 임시적인 변수들 또는 기타의 중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캐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모듈(118/120)들은 또한 프로세서 모듈(116/120)들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기 위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모듈(118/120)들은 본 발명의 일례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 데이터베이스(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레임 구조 파라미터 데이터베이스는 이하에 기재된 방식으로 시스템(100)의 기능성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저장, 유지, 및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구조 데이터베이스는 프로세서(116/122)들에 결합되는 로컬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중앙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등의 원격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프레임 구조 데이터베이스는, 이에 한하지는 않지만,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은 프레임 구조 파라미터들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구조 데이터베이스는 프레임 구조 파라미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모듈(126)은 일반적으로 기지국 송수신기(103)와 기지국 송수신기(103)가 연결되는 네트워크 성분들과의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처리 논리, 및/또는 시스템(100)의 기타 성분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 모듈(126)은 인터넷 또는 WiMAX 트래픽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형적인 전개로서, 이에 한하지는 않지만, 네트워크 통신 모듈(126)은 기지국 송수신기(103)가 종래의 이더넷 기반의 컴퓨터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802.3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통신 모듈(126)은 컴퓨터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을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예컨대, MSC(Mobile Switching Cent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 양측에 있어서, 시간 상의 무선 신호 송신은 주기적인 프레임들(또는 서브프레임, 슬롯, 등)로 분할된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데이터 심볼(DS) 및 기준 심볼(RS)을 포함하는 다수의 타임 심볼들을 포함한다. 데이터 심볼들은 데이터 정보를 반송하는 반면, 기준 심볼들은 송신기 수신기 양측에 알려져 있으며, 채널 예측을 위해서 사용된다. 여기서, 본 개시물에 기재된 기능들은 기지국(102) 또는 이동국(104) 어디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이동국(104)은 휴대폰 등의 임의의 사용자 장치일 수 있으며, 이동국은 사용자 장치(UE)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정의 적용예를 갖지만, 4세대 무선 시스템의 후보 중 하나인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한하지 않는다. LTE 시스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이동국(104)으로부터 기지국(102)에 송신하는데 필요한 2개의 업링크 제어 메시지들이 있을 수 있다. 이들 중 하나는 ACK/NACK차 시그널링으로서, 다운링크 HARQ 송신에 대한 수신확인으로서 기능한다. 1 비트의 ACK/NACK는 그 다운링크 HARQ 채널 상의 최종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하나의 다운링크 HARQ 채널에 상응한다. 다운링크 HARQ 패킷의 성공적인 수신에 대하여 ACK가 발신되며, 그렇지 않다면, NACK가 발신된다. LTE 시스템의 ACK/NACK 메시지 당 1 비트(NACK = 1) 또는 2 비트(NACK=2)의 ACK/NACK가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 1에 도시된 LTE/TDD D/U 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뮤트 서브프레임(M)을 사용함으로써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여기서, Ci는 표 1에서 i번째 할당 구성을 나타낸다. 중간 송신 프로세스 또는 중간 타이어(tier)에서 사용되는 뮤트 서브프레임(M) 패턴들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2는 2개의 뮤트 서브프레임 이상을 포함하지 않는 비율 조정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당업자라면, 본 개시물이 이러한 조정예에 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0와 C1과의 사이의 직접 비율 교환(점선)은 C6를 통한 간접 비율 교환(실선)과 등가이다. 따라서, C0과 C1과의 사이의 직접 비율 교환은 구현에 있어서 필요치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M)이 순간적인 시스템 용량을 저장하기 위하여 비율 조정 스텝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패턴의 총수는 15일 수 있고, 이는 뮤트 서브프레임(M)이 없는 7개의 패턴과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M)을 갖는 8개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뮤트 서브프레임(M)을 표시하기 위하여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에서 여분의 1 비트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일례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15 패턴들은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이진 부호화된다:
a) 구성 0-6 에서는 뮤트 서브프레임(M)이 없다.
b) 구성 7이 사용되지 않는다.
c) 뮤트 서브프레임(M)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하여 시그널링 인코딩에서 1 비트가 존재한다.
d) i<7의 경우, 구성 i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뮤트 서브프레임(M)과 교환함으로써 구성 (i+8)이 얻어진다; 구성 2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뮤트 서브프레임(M)과 교환함으로써 구성 15가 얻어진다.
구성
시그널링 코딩 (4 비트) 스위치-포인트 주기성 서브프레임 패턴
0 1 2 3 4 5 6 7 8 9
0 0000 5 ms D S U U U D S U U U
1 0001 5 ms D S U U D D S U U D
2 0010 5 ms D S U D D D S U D D
3 0011 10 ms D S U U U D D D D D
4 0100 10 ms D S U U D D D D D D
5 0101 10 ms D S U D D D D D D D
6 0110 10 ms D S U U U D S U U D
7 0111 사용안함
8 1000 5 ms D S U U U D S U U M
9 1001 5 ms D S U U D D S U M D
10 1010 5 ms D S U M D D S U D D
11 1011 10 ms D S U U M D D D D D
12 1100 10 ms D S U M D D D D D D
13 1101 10 ms D S U D D D M D D D
14 1110 10 ms D S U U M D S U U D
15 1111 5 ms D S U D D D S M D D
뮤트 서브프레임과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이와 같이, 표 4에 나타낸 할당 지정을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낸 모든 D/U 비율 조정이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0 (C0)와 구성-6(C6)와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0에서의 최종 서브프레임(원래, 업링크 서브프레임(U))는 뮤트로 되며, 이는 구성-8(C8)에 대응한다. 그 후, 뮤트 서브프레임(M)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로 변화시킴으로써 C6가 유도된다. 마찬가지로, C6 내지 C8로부터 C0가 얻어질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C6와 구성-1(C1)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6(원래, 업링크 서브프레임(U))의 5번째 서브프레임이 뮤트로 되고, 이는 구성-14(C14)에 대응한다. 그 후, 뮤트 서브프레임(M)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로 변화시킴으로써 C1이 유도된다. 마찬가지로, C1 내지 C14로부터 C6가 얻어질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C1과 구성-2(C2)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1의 9번째 서브프레임(원래, 업링크 서브프레임(U))은 뮤트로 되며, 이는 구성-9(C9)에 대응한다. 뮤트 서브프레임(M)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로 변화시킴으로써, 또한 4번째 서브프레임(원래, 업링크 서브프레임(U))을 뮤트로 함으로써, 구성-10(C10)을 생성한다. 그 후, 뮤트 서브프레임(M)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으로 변화시킴으로써 C2가 유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2 내지 C9 및 C10으로부터 C1이 얻어질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C2와 구성-5(C5)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2의 8번째 서브프레임(원래, 업링크 서브프레임(U))가 뮤트로 되며, 이는 C15에 대응한다. 뮤트 서브프레임(M)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로 변화시킴으로써, 또한 7번째 서브프레임(원래, 특수 서브프레임(S))을 뮤트로 함으로써, 구성-13(C13)을 생성한다. 그 후, 뮤트 서브프레임(M)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으로 변화시킴으로써 C5가 유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5 내지 C15 및 C13으로부터 C2가 얻어질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다른 C5와 구성-4(C4)와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5의 4번째 서브프레임(원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이 뮤트로되며, 이는 구성-12(C12)에 대응한다. 그 후, 뮤트 서브프레임(M)을 업링크 서브프레임(U)으로 변화시킴으로써 C4가 유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C4 내지 C12로부터 C5가 얻어질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C4와 구성-3(C3)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4의 5번째 서브프레임(원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이 뮤트로 되며, 이는 구성-11(C11)에 대응한다. 그 후, 뮤트 서브프레임(M)을 업링크 서브프레임(U)로 변화시킴으로써 C3가 유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3 내지 C11로부터 C4가 얻어질 수 있다.
각각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M)만큼을 가지는 8개의 구성을 포함한 15개의 구성으로 전술한 해결책 이외에도, 뮤트 서브프레임(M) 없이 특정 구성들의 특수한 변형예로서 2개 이상의 뮤트 서브프레임(M)을 갖는 새로운 구성들이 다루어지는 또 다른 해결책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LTE 표준 개발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이하의 가정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다운링크 신호는 뮤트될 수 없고, 조기 배포 LTE 단말들은 구성 0-6만을 인식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가정들은 또한 5 ms의 스위치 포인트 주기의 할당과 10 ms의 스위치 포인트 주기의 할당이 서로 교환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5는 할당의 실시간 변경(Live-change)를 지원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운링크-업링크 할당을 열거하고 있으며, 할당 Ck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집합 {Ui}를 뮤트 서브프레임(M)으로 설정함으로써 기존의 할당 Ck로부터 얻어지는 뮤트 서브프레임(M)을 갖는 새로운 할당 Ak {k = 0, 1, 3, 4, 6}를 나타내며, 여기서, "Ui"는 무선 프레임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을 서브프레임 0으로서 카운팅함으로써 그 서브프레임 오프셋이 i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지칭한다. 이에 따라서,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 프레임당 2개 및 1개의 스위치 포인트를 갖는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요약한다.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서브프레임 패턴
0 1 2 3 4 5 6 7 8 9
현재의 D/U 할당


C0 D S U U U D S U U U
C1 D S U U D D S U U D
C2 D S U D D D S U D D
C3 D S U U U D D D D D
C4 D S U U D D D D D D
C5 D S U D D D D D D D
C6 D S U U U D S U U D
D/U 할당 w/ 뮤트 서브프레임

A0:C0에서 U9 뮤트 D S U U U D S U U M
A1:C1에서 U3, U8 뮤트 D S U M D D S U M D
A3:C3에서 U4 뮤트 D S U U M D D D D D
A4:C4에서 U3 뮤트 D S U M D D D D D D
A6:C6에서 U4 뮤트 D S U U M D S U U D
허용되는 모든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도 10은 표 5 및 도 9의 (a) 및 도 9의 (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0(C0)과 구성-6(C6)과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C0의 최종 서브프레임(원래, 업링크 서브프레임(U))이 뮤트로 되고, 이는 할당-0(A0)에 대응한다. 그 후, 뮤트 서브프레임(M)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으로 변화시킴으로써 C6가 유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6 내지 A0로부터 C0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C6와 구성-1(C1)와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6에서 5번째 서브프레임(원래, 업링크 서브프레임(U))이 뮤트로 되고, 이는 할당-6(A6)에 해당한다. 그 후, 뮤트 서브프레임(M)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으로 변화시킴으로써 C1이 유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1 내지 A6로부터 C6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C1과 구성-2(C2)와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1에서 4번째와 9번째 서브프레임 양쪽 모두(원래, 모두 업링크 서브프레임(U))가 뮤트로 되고, 이는 할당-1(A1)에 해당한다. 그 후, 뮤트 서브프레임(M)을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으로 변화시킴으로써 C2가 유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2 내지 A1으로부터 C1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5(C5)와 구성-4(C4)와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5에서 4번째 서브프레임(원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이 뮤트로 되고, 이는 할당-4(A4)에 해당한다. 그 후, 뮤트 서브프레임(M)를 업링크 서브프레임(U)으로 변화시킴으로써 C4가 유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4 내지 A4로부터 C5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C4와 구성-3(C3)와의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4에서 5번째 서브프레임(원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가 뮤트로 되고, 이는 할당-3(A3)에 해당한다. 그 후, 뮤트 서브프레임(M)을 업링크 서브프레임(U)으로 변화시킴으로써 C3가 유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3 내지 A3로부터 C4가 얻어질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표 5의 할당의 정의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뮤팅 제어 메카니즘을 구현하기 위하여, 소위, 스케쥴링-제어 솔루션 및 시그널링-제어 솔루션의 2개의 일례의 솔루션이 있다. 물론, 본 개시물의 범주 내에서 다른 솔루션들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수 있다.
스케쥴링 -제어 솔루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제어 솔루션에 있어서, 뮤트 서브프레임(M)을 갖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HARQ 프로세스들은 LTE 단말(예컨대, UE 또는 이동국(104))이 뮤트 서브프레임(M)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고, 뮤트 동작이 기지국(102)에서의 스케쥴링에 의해 성취되는 조건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즉:
ㆍ 다운링크 HARQ에 있어서, 기지국(102)은 뮤트된 UL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ACK/NAK를 가질 수 있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UE를 스케쥴링하지 않는다. 그 결과의 다운링크 HARQ 타이밍이 표 6에 나타내어 있으며, 여기서, 그러한 언스케쥴링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은 하이라이트되어 있다.
ㆍ UL HARQ에 있어서, 기지국(102)은 PUSCH 디코딩 결과에 무관하게 피드백 인스턴스에서 긍정 ACK를 발신하여, 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뮤트된 UL 서브프레임에서 임박한 트래픽 송신을 중단시키고, 여기서, 일정한 긍정 ACK를 유지하는 그러한 피드백 인스턴스들이 하이라이트된다. 또한, 기지국(102)은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뮤트된 UL 서브프레임을 통과할 수 있는 반지속성 업링크 트래픽 송신을 스케쥴링하지 않을 수 있다.
Figure pct00001
스케쥴링-제어 솔루션에서의 DL HARQ 타이밍
Figure pct00002
스케쥴링-제어 솔루션에서의 UL HARQ 타이밍
시그널링 -제어 솔루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제어 솔루션에 있어서, UE(104)는 표 5에서 뮤트 서브프레임(M)의 존재의 시그널링에 의해 정보를 받는다. 기지국(102)과 UE(104) 양쪽 모두에 있어서 뮤트 서브프레임(M)의 인식함으로써, 더 양호한 HARQ 타이밍이 정렬될 수 있다. 현재의 LTE 사양에 대하여 변형예를 최소로 유지하기 위하여, 표 8 및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 다운링크/업링크 HARQ 타이밍이 재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BCCH에서의 구성"(BCCH: Broadcast Channel)은 현재의 사양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UE(104)에 의해 해석될 있으며, "타이밍이 재사용되는 구성"은 뮤트 서브프레임의 존재가 시그널링되는 때에 HARQ 타이밍 파라미터들이 재사용되는 TDD 구성이다.
표 8은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 뮤트 서브프레임(M)에 대한 어떠한 ACK/NAK 손실없이 다운링크 HARQ에 대하여 활용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주어진 업링크 서브프레임(nU)에 있어서, BCCH에 지정된 TDD 구성하에서 서브프레임(nU-k)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되지 않도록, 해당하는 다운링크 관계 인덱스 셋트(각 테이블 엔트리의 수들)에 k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k의 값들은 표 8에서 "[]"에 삽입된다. 현재의 LTE 사양에 대하여 개조를 최소로 하기 위하여, 서브프레임(nU-k)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아니라면, 그 서브프레임에 대한 ACK/NAK 버들링/멀티플렉싱의 논리합(AND) 동작에서 긍정 ACK가 사용될 수 있다. 논리합 연산에서의 모든 개별 ACK/NAK가 비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해당한다면, 번들링된 ACK/NAK는 특정 실시예에 따라서 업링크 서브프레임(nU)에서 송신되지 않는다.
업링크 HARQ 타이밍에 있어서, 기존의 TDD D/U 구성들로부터 재사용되는 특정의 HARQ 타이밍 프로토콜들이 표 9에 열거되어 있으며, 구성 C1 또는 구성 C6에서의 HARQ 타이밍은, 예를 들어, 할당 A6에서 재사용된 타이밍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nU에서의 업링크 트래픽 송신에 있어서, 그 ACK/NAK 확인이 송신되지 않으며, ACK/NAK가 속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nU+kPHICH)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아니라면, 긍정 ACK로서 간주된다. 소실(missing)에 해당하지만 긍정 ACK/NAK로서 해석되는 그러한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표 9에서 하이라이트되어 있다.
Figure pct00003
시그널링-제어 솔루션에 있어서의 DL HARQ 타이밍
Figure pct00004
시그널링-제어 솔루션에 있어서의 UL HARQ 타이밍
시그널링 포맷
스케쥴링-제어 솔루션은 기지국(102)에 대하여 뮤트 서브프레임(M)의 존재를 브로드캐스트하도록 요구하지 않는다. 시그널링-제어 솔루션에 있어서, 1 비트가 전체 셀에 걸쳐 브로드캐스트되는 시스템 정보에 추가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1 비트 시그널링의 상이한 값들에 대하여, TDD 구성(x)가 뮤트 서브프레임(M)이 없는 표 5에서의 Cx 또는 x=0,1,3,4,6에 대한 뮤트 서브프레임(M)을 갖는 표 5의 Ax로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1 비트 시그널링은 LTE 시스템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인 TDD-구성 IE(information element)에 삽입될 수 있다.
스케쥴링-제어 솔루션 및 시그널링-제어 솔루션 양쪽 모두는, UE(104) 및 기지국(102)이 특정 시간 주기 동안 TDD 구성들에 관한 상이한 이해를 가질 수 있는 동일한 문제를 마주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UE(104)는 2개의 셀 사이에 핸드오프를 수행한 후에 일어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무선 프레임 당 뮤트 서브프레임(M)을 가지며,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다. UE(104)는 일단 타겟 셀에 연결되면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기 위하여 특정량의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UE(104)는 타겟 셀에서 브로드캐스트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새로운 TDD 구성을 인지할 때까지, 타겟 셀 내에서 소스 셀에서 유효한 자신의 제어 채널 타이밍들(예를 들어, HARQ 타이밍)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UE(104)의 핸드오프 절차 후에 UE(104)와 타겟 셀 기지국(102)과의 사이의 TDD 할당의 가능한 일치하지 않는 이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는 UE(104)에 타겟 셀에서, 있다면, 뮤트 서브프레임(M)뿐만 아니라 TDD 할당을 알리기 위하여 시그널링을 또한 반송하여야 한다. 일례의 솔루션은 TDD 구성 정보 요소(새롭게 정의된 1 비트의 시그널링을 가짐)를 완전히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 추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하여, 본 개시물의 범주 내에서, 다른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 각각 스케쥴링-제어 및 시그널링-제어에 대하여 효율적인 시그널링 포맷을 이하에 설명한다.
스케쥴링 -제어에 있어서 이동성 제어 IE 에서의 시그널링
특정 실시예에 따른 스케쥴링-제어 솔루션에 있어서, 타겟 셀의 TDD 할당은 소스 셀에서의 할당에 비하여 3개의 변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 있어서 2 비트 시그널링(s1s0)으로 충분할 수 있다. 표 10에 일례의 시그널링 정의가 주어져 있으며, 여기서, a0, a1, 및 a2는 3개의 동등하지 않는 2 비트 값으로서, 예컨대, a0=00, a1=01, a2=10이다. 이 때, 이러한 시그널링의 부재가 소스 셀과 타겟 셀과의 사이에 동일한 TDD 할당을 나타낸다면, 표 10의 "s1s0=a0"에 대한 열은 삭제될 수 있으며, 1비트의 시그널링 s0(s0는 없고, s0=b0, s0=b1)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셀에서의 TDD 할당을 나타내는데 충분하다. 표 10의 각각의 행은, 본 개시물의 범주 내에서, 다른 구현 변형예에 있어서, 섞여진 2개의 최우측 열들에 자신들의 엔트리를 가질 수 있다.
소스 셀에서의 TDD 구성 타겟 셀에서의 TDD 구성
s0 없음 s0=b0 s0=b1
s1s0 = a0 s1s0 = a1 s1s0 = a2
0 0 해당없음 6
1 1 6 2
2 2 1 해당없음
3 3 해당없음 4
4 4 3 5
5 5 4 해당없음
6 6 0 1
소스 셀과 타겟 셀과의 사이의 TDD 할당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1 비트 및 2 비트의 시그널링
시그널링 -제어를 위한 이동성 제어 IE 에서의 시그널링
시그널링-제어 솔루선에 있어서, 각각의 TDD 할당은 Cx 또는 Ax일 수 있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셀에서의 TDD 할당이 소스 셀에서의 할당에 기초하여 3개의 변형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 2 비트 시그널링 s1s0이 충분하다. 시그널링 정의의 일례가 표 11에 주어져 있으며, 여기서, a0, a1, 및 a2는 3개의 동등하지 않는 2 비트 값이다. 예를 들어, a0=00, a1=01, a2=10이다. 이 때, 이러한 시그널링의 부재가 소스 셀과 타겟 셀과의 사이에 동일한 TDD 할당을 나타낸다면, 표 11의 "s1s0=a0"에 대한 열은 삭제될 수 있으며, 1비트의 시그널링 s0(s0는 없고, s0=b0, s0=b1)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TDD 할당을 나타내는데 충분하다. 표 11의 각각의 행은, 다른 구현 변형예에 있어서, 섞여진 2개의 최우측 열들에 자신들의 엔트리를 가질 수 있다.
소스 셀에서의 TDD 할당 타겟 셀에서의 TDD 할당
s0 없음 s0=b0 s0=b1
s1s0 = a0 s1s0 = a1 s1s0 = a2
C0 C0 해당없음 A0
A0 A0 C0 C6
C1 C1 A6 A1
A1 A1 C1 C2
C2 C2 A1 해당없음
C3 C3 해당없음 A3
A3 A3 C3 C4
C4 C4 A3 A4
A4 A4 C4 C5
C5 C5 A4 해당없음
C6 C6 A0 A6
A6 A6 C6 C1
소스 셀과 타겟 셀과의 사이의 TDD 할당 관계를 표시하기 위한 1 비트 및 2 비트 시그널링
도 15는 LTE TDD 시스템에 있어서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의 동적 조정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동작 1500에서, 기지국 프로세서 모듈(116)은, 예를 들어, 제1 서브프레임 패턴에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서브프레임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M)과 교환하여,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이 제1 타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도록 한다. 단계 1510에서, 기지국 프로세서 모듈(116)은 또한 제2 서브프레임 패턴 내의 뮤트 서브프레임(M)을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뮤트 서브프레임을 교환하는 것이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가져오도록 하나 이상의 룩업 테이블(예컨대, 표 4 또는 표 5)로부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이 얻어진다. 룩업 테이블(들)은 기지국 메모리 모듈(118)에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 모듈(116)을 이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다.
동작 1530에서, 스케쥴러(예컨대, 기지국 프로세서 모듈(116)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됨)는 제2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제3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을 스케쥴링한다. 마찬가지로, TDD 구성이, 예를 들어, 제1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에 머물러 있다면, 스케쥴러는 제2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단계 1505에서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뮤트 서브프레임(M)을 교환한 후에,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이 소망하는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지 않는다면, 업링크 서브프레임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또 다른 적어도 하나가 제2 서브프레임 패턴에서 뮤트 서브프레임(M)과 교환되어,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의 뮤트 서브프레임(M)이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되어 제4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해당하는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현재 패턴에 TDD 할당이 유지되고 있는 때에는 4개의 서브프레임 패턴 중 임의의 것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이 스케쥴링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1520에 있어서, HARQ 프로세서(예컨대, 기지국 프로세서 모듈(116)에 통신가능하게 결함됨)는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제 서브프레임 패턴의 뮤트 서브프레임(M)과 표환된 후에 HARQ 처리를 구현한다. 뮤트 서브프레임(M)의 존재로 인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HARQ 처리들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HARQ 처리에서 스케쥴링-제어 솔루션 및 시그널링-제어 솔루션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스케쥴링-제어 솔루션으로 뮤트 서브프레임(M)이 이동국(들)(104)에 시그널링되지 않는다. 반면, 시그널링-제어 솔루션으로 동작 1540에서 송수신기(예컨대, 기지국 송수신기 모듈(103) 및/또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126))는 뮤트 서브프레임(M)을 이동국(들)(104)에 시그널링한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102)과 이동국(들)(104) 양쪽 모두는 뮤트 서브프레임(M)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뮤트 서브프레임(M)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표준 HARQ 타이밍이 사용될 수 있다.
핸드오프 상황에 있어서, 예를 들어, 이동국(104)이 타겟 셀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인지하고 있을 수 있는 상황에서, 동작 1550에서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TDD 정보 요소에서의 2 비트이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이러한 시그널링의 부재가 소스 셀과 타겟 셀과의 사이의 동일한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나타낸다면, 핸드오프 중에 타겟 셀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서 1 비트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기에서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일례로서만 주어진 것으로서,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각종 도면들은 일례의 아키텍쳐 또는 개시를 위한 기타의 구성을 도시할 수 있으며, 이는 개시물에 포함될 수 있는 특징과 기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시물은 예시된 일례의 아키텍쳐 또는 구성들에 한하지 않지만, 다양한 대체의 아키텍쳐 및 구성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물을 다양한 일례의 실시예들과 구현예들의 측면에서 상기에서 설명하였지만, 개별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서 설명한 각종 특징과 기능은 그 적용성에 있어서,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 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대신, 실시예들이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이러한 실시예들이 기재되었는지 여부, 이러한 특징들이 기재된 실시예들의 일부에 제공되는지 여부는 무관하게 본 개시물의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폭과 범주는 상기 예시의 실시예들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모듈"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관련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기타의 이들 구성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을 일컫는다. 또한, 논의를 위해, 다양한 모듈들이 이산 모듈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모듈들이 결합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련 기능들을 수행하는 하나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문서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등의 용어는 메모리 저장 장치 또는 저장 유닛 등의 매체를 일반적으로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또는 기타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서가 지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프로세서의 의해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것에 관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또는 기타의 그룹핑으로 그룹화될 수 있음)라고 하는 이러한 인스트럭션들은, 실행시, 컴퓨팅 시스템을 인에이블시킨다.
명확화를 위하여, 상기 설명에서는 다른 기능적 유닛들과 프로세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기능 유닛들, 프로세서들, 또는 도메인들 간의 기능의 임의의 적합한 분포가 본 발명을 훼손하지 않고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별도의 프로세서들 또는 컨트롤러들에 의해 수행되도록 예시된 기능이 동일한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기능 유닛에 대한 참조는, 구체적인 논리적 또는 물리적 구조 또는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기재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합한 수단에 대한 참조로서 보아야만 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과 어구들, 및 그 변형형태들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제한이 없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의 예로서, "포함한다(including)"라는 용어는 "이에 한하지 않고 포함한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읽혀져야 하며, "예(example)"라는 용어는 논의중인 항목의 예시들을 소진적이거나 한적인인 열거가 아닌 것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종래의", "전통적인", "보통의", "표준의", "공지된", 등의 형용사, 및 유사한 의미의 용어들은 주어진 시간 주기에 대하여 설명된 항목에 한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주어진 시간에 활용가능한 항목에 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그 대신, 이러한 용어들은 지금 또는 향후의 임의의 때에 활용이 가능하거나 알려지게 될 수 있는 종래의, 전통적인, 보통의, 또는 표준적인 기술들을 포괄하도록 읽혀져야 한다. 마찬가지로, "및(and)"로 연결된 항목들의 그룹은 그룹핑에 그러한 항목들 각각이 그리고 모든 것들이 존재하여야 함을 요구하는 것으로 읽혀져서는 아니되며,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및/또는"으로서 읽혀져야 한다. 마찬가지로, "또는(or)"로 연결되느 항목들의 그룹은 그 그룹 중에서의 상호 배타성을 요하는 것으로 읽혀져서는 아니되며,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및/또는"으로서 읽혀져야 한다. 또한, 본 개시물의 항목들, 요소들, 또는 성분들은 단수형으로서 기재 또는 청구될 수 있지만, 단수형으로 한정하도록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이 그 범주 내인 것으로 상정한다. 일부 예에 있어서의 "하나 이상(one or more)", "적어도(at least)", "이에 한하지 않지만(but not limited to)" 등의 확대형 단어 또는 어구의 존재는, 그러한 확대 어구가 없는 경우에 더 좁은 경우가 의도되거나 요구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읽혀져서는 아니된다.
또한, 통신 성분들뿐만 아니라 메모리 또는 기타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채용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하여, 상이한 기능 유닛들과 프로세서들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기 설명에서 설명하였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기능 유닛들, 처리 논리 요소들, 또는 도메인들과의 사이의 기능성의 임의의 적합한 분포가 본 발명의 훼손하지 않고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별도의 처리 논리 요소들, 또는 컨트롤러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된 기능은 동일한 처리 논리 요소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기능 유닛에 대한 참조는 기재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합한 수단에 대한 참조로서 보아야만 하며, 구체적인 논리 또는 물리적인 구조 또는 조직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개별적으로 열거되어 있지만, 복수의 수단들, 구성요소들, 또는 방법 단계들은, 예를 들어, 하나의 유닛 또는 처리 논리 요소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청구항들에 개별 특징들은 포함될 수 있지만, 이들은 유익하게도 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이한 청구항들에 포함된 것은, 특징들의 조합이 쉽다거나, 및/또는 유익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청구항들의 하나의 카테고리에 특징을 포함하는 것은, 이러한 카테고리에 한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다면 다른 청구항 카테고리에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43)

  1. LTE(Long-Term Evolution)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 있어서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제1 서브프레임 패턴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뮤트(mute)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제1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을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상기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제2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뮤트 서브프레임을 교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가져오도록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이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되는 동적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되어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한 후에, HARQ(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처리를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적 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ACK/NAK 신호를 가질 수 있는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송신이 언스케쥴링되는(unscheduled) 동적 조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 중에 업링크 송신을 중단하기 위하여, 디코딩 결과에 무관하게 긍정 ACK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적 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통과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서 반지속성(semi-persistent) 업링크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적 조정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의 존재를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적 조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HARQ 처리는, 아무런 뮤트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표준 다운링크 HARQ 타이밍을 재사용함으로써 구현되는 동적 조정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HARQ 처리는, 상기 ACK/NAK 신호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해당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긍정 ACK로서 해석된다면, 아무런 뮤트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ACK/NAK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것처럼, 표준 다운링크 HARQ 타이밍을 재사용함으로써 구현되는 동적 조정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한 TDD 구성 정보 요소에서의 2 비트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동적 조정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한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서의 2 비트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동적 조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이러한 시그널링의 부재가 소스 셀과 타겟 셀과의 사이의 동일한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나타낸다면, 핸드오프 중의 타겟 셀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서의 1 비트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동적 조정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서 2 비트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적 조정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이러한 시그널링의 부재가 소스 셀과 타겟 셀과의 사이에 동일한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나타낸다면, 핸드오프 중의 타겟 셀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서 1 비트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적 조정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을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또 다른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을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다른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한 후의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이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되는 동적 조정 방법.
  15. LTE(Long-Term Evolution)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동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국(station)으로서,
    제1 서브프레임 패턴의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을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제1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제1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며, 제2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상기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제2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도록 구성되는 스케쥴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은, 상기 뮤트 서브프레임을 교환하는 것이 상기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가져오도록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되는 시스템의 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패턴의 상기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된 후에, HARQ(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처리를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HARQ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의 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ACK/NAK 신호를 가질 수 있는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송신이 언스케쥴링되는 시스템의 국.
  18. 제16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 중에 업링크 송신을 중단하기 위하여 디코딩 결과에 무관하게 긍정 ACK 신호를 발신하는 송수신기
    더 포함하는 시스템의 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러는,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통과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서 반지속성 업링크 송신을 스케쥴링하도록 더 구성되는 시스템의 국.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의 존재를 하나 이상의 이동국에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의 국.
  21. 제20항에 있어서,
    아무런 뮤트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표준 다운링크 HARQ 타이밍을 재사용함으로써 상기 HARQ 처리가 구현되는 시스템의 국.
  22. 제20항에 있어서,
    ACK/NAK 신호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해당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긍정 ACK로 해석된다면, 아무런 뮤트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ACK/NAK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것처럼, 표준 업링크 HARQ 타이밍을 재사용함으로써 상기 HARQ 처리가 구현되는 시스템의 국.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TDD 구성 정보 요소에서 2 비트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국.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이러한 시그널링의 부재가 소스 셀과 타겟 셀과의 사이에 동일한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나타낸다면, 핸드오프 중의 타겟 셀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서 1 비트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국.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서 2 비트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국.
  26. 제16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서 2 비트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의 국.
  27. 제16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이러한 시그널링의 부재가 소스 셀과 타겟 셀과의 사이에 동일한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나타낸다면, 핸드오프 중의 타겟 셀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국 제어 정보 요소에서 1 비트 시그널링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의 국.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또 다른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하고,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프레임을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다른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한 후의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은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되는 시스템의 국.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국은 기지국인 시스템의 국.
  30. LTE(Long-Term Evolution)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 있어서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의 동적 조정 방법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동적 조정 방법은,
    제1 서브프레임 패턴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제1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제1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을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 상기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에 따라서 제2 데이터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뮤트 서브프레임을 교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가져오도록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이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조정 방법은,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서버프레임 패턴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된 후 HARQ(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처리를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ACK/NAK 신호를 가질 수 있는 서브프레임에서 다운링크 송신이 언스케쥴링되는(unscheduled)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조정 방법은, 이동국이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 중에 업링크 송신을 중단하기 위하여, 디코딩 결과에 무관하게 긍정 ACK 신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조정 방법은,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통과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서 반지속성 업링크 송신을 스케쥴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조정 방법은, 하나 이상의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의 존재를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HARQ 처리는, 아무런 뮤트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표준 다운링크 HARQ 타이밍을 재사용함으로써 구현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HARQ 처리는, ACK/NAK 신호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해당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의해 긍정 ACK로서 해석된다면, 아무런 뮤트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ACK/NAK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것처럼, 표준 업링크 HARQ 타이밍을 재사용함으로써 구현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한 TDD 구성 정보 요소에서의 2 비트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이러한 시그널링의 부재가 소스 셀과 타겟 셀과의 사이의 동일한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나타낸다면, 핸드오프 중의 타겟 셀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서의 1 비트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한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서의 2 비트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조정 방법은, 이동국이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서 2 비트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조정 방법은, 이동국이 상기 뮤트 업링크 서브프레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이러한 시그널링의 부재가 소스 셀과 타겟 셀과의 사이에 동일한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나타낸다면, 핸드오프 중의 타겟 셀의 다운링크/업링크 리소스 할당 비율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동성 제어 정보 요소에서 1 비트 시그널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을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하여 제3 서브프레임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또 다른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의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의 다른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을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다른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뮤트 서브프레임과 교환한 후의 상기 제2 서브프레임 패턴이 상기 룩업 테이블로부터 취득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07023686A 2008-03-24 2009-03-24 Lte/τdd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의 동적 조정 및 시그널링 Withdrawn KR20100139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07208P 2008-03-24 2008-03-24
US61/039,072 2008-03-24
US13889608P 2008-12-18 2008-12-18
US61/138,896 2008-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9062A true KR20100139062A (ko) 2010-12-31

Family

ID=4111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3686A Withdrawn KR20100139062A (ko) 2008-03-24 2009-03-24 Lte/τdd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의 동적 조정 및 시그널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09576B2 (ko)
EP (1) EP2266362A4 (ko)
JP (1) JP5230794B2 (ko)
KR (1) KR20100139062A (ko)
CN (1) CN101926214B (ko)
CA (1) CA2711260A1 (ko)
WO (1) WO2009120701A2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1574A2 (en) * 2011-03-10 201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system
WO2012124923A2 (ko) * 2011-03-11 2012-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서브프레임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134107A2 (ko) * 2011-03-25 201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2118345A3 (ko) * 2011-03-01 2012-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d-tdd(dynamic-time division duplex) 하향링크-상향링크 구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066072A1 (ko) * 2011-11-01 2013-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103280A1 (ko) * 2012-01-06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번들링 관련 채널의 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3125930A1 (ko) * 2012-02-26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142585A1 (en) * 2013-03-13 2014-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s for adaptively configured tdd communication systems
KR20140115369A (ko) * 2012-01-23 2014-09-30 인텔 코포레이션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동적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
WO2014209041A1 (ko) * 2013-06-26 201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자원의 용도 변경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5126027A1 (ko) * 2014-02-18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특정 플렉서블 tdd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033576B2 (en) 2013-09-23 2018-07-24 China Academy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3234A1 (zh) * 2008-02-18 2009-08-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tdd系统的小区间时分双工模式的配置方法及装置
CN101282273B (zh) * 2008-05-27 2010-11-10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基带epcn系统中的时隙分配方法和设备
KR101638900B1 (ko) * 2008-08-05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멀티 캐리어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KR101253190B1 (ko) * 2008-08-08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 및 상기 채널 품질 정보에 따라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WO2010018508A1 (en) * 2008-08-12 2010-02-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network, radio stations and a system therefor
JP5199223B2 (ja) * 2008-12-30 2013-05-15 創新音▲速▼股▲ふん▼有限公司 Ack/nackバンドリングを改善する方法及び通信装置
KR101470654B1 (ko) * 2009-01-05 2014-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중계 방법
CN101841404B (zh) * 2009-03-16 2013-08-07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中继通信方法及其系统和装置
US8948105B2 (en) 2009-04-28 2015-02-03 Zte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djustment of downlink/uplink allocation ratio in LTE/TDD system
JP5297317B2 (ja) * 2009-09-16 2013-09-25 Kddi株式会社 無線リソース割当装置および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
US8707119B2 (en) * 2009-10-23 2014-04-2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HARQ feedback and its method
WO2011050849A1 (en) * 2009-10-29 2011-05-05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176461A1 (en) * 2009-12-23 2011-07-21 Telefonaka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rmining configuration of subframes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8559343B2 (en) 2009-12-23 2013-10-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subframes
US9036523B2 (en) * 2010-02-16 2015-05-19 Zt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energy saving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10230144A1 (en) * 2010-03-17 2011-09-22 Iana Siomina Method and Apparatus for Muting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908460B1 (en) 2010-04-30 2018-11-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316591B (zh) * 2010-06-30 2015-07-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信系统中物理资源的配置方法和通信系统
US8750887B2 (en) * 2010-07-16 2014-06-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cell signaling of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an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muting
CN103069899A (zh) * 2010-08-12 2013-04-24 诺基亚公司 配置用于在蜂窝网络下的设备到设备通信的上行链路和下行链路划分模式
US9819458B2 (en) * 2010-08-13 2017-11-14 Qualcomm Incorporation Feedback bundling for power-limited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2041393A1 (en) * 2010-10-01 2012-04-05 Nokia Siemens Networks Oy Muting data transmissions
CN102064879B (zh) * 2010-11-30 2014-05-0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通信的方法、系统和设备
CN103024905B (zh) * 2011-01-07 2015-09-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子帧配比方法与装置
EP2675225A1 (en) * 2011-02-10 2013-12-18 Panasonic Corporation Base station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US8958364B2 (en) * 2011-02-14 2015-02-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RQ handling at relay node reconfiguration
EP2679068B1 (en) * 2011-02-21 2017-04-05 Broadcom Corporation Dynamic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for time division duplex
CN102651678B (zh) * 2011-02-23 2015-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2651662B (zh) 2011-02-23 2015-04-0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和装置
CN102651679B (zh) * 2011-02-28 2016-02-03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演进基站以及用户设备
CN102684855A (zh) * 2011-03-11 2012-09-1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混合自动重传定时关系的指示方法
CN102685872B (zh) * 2011-03-11 2015-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时分双工系统的通信方法和装置
EP2688239B1 (en) * 2011-03-13 2018-1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and device therefor
KR101548067B1 (ko) * 2011-03-21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2128490A2 (ko) * 2011-03-23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서브프레임 설정 시 재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868975B (zh) * 2011-03-31 2019-07-19 华为技术有限公司 时分双工系统中子帧配置的方法、基站及用户设备
EP2695312B1 (en) * 2011-04-01 2019-01-30 Intel Corporation Flexible adjustment of uplink and downlink ratio configuration
KR101623245B1 (ko) 2011-04-05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N107182065B (zh) * 2011-04-15 2020-06-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监测通讯系统子帧的方法及装置
US9060309B2 (en) * 2011-04-18 2015-06-16 Lg Electronics Inc. Radio resource division for compensating ratio changes of other clusters
WO2012150775A2 (ko) * 2011-05-03 201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51240B1 (ko) 2011-05-23 2018-04-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동적 시분할 복식 데이터 채널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691845B2 (ja) 2011-05-30 2015-04-0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及び無線リソース割当装置、並びに通信システム
KR101961807B1 (ko) 2011-05-31 2019-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tdd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채널의 송수신 타이밍 및 자원 할당을 정의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231662B (zh) * 2011-06-03 2013-05-0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US20140185545A1 (en) * 2011-06-10 2014-07-03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for Configuring a User Equipment
CN102843732B (zh) 2011-06-20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tdd通信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9137804B2 (en) * 2011-06-21 2015-09-15 Media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fferent TDD configurations in carrier aggregation
WO2013014169A1 (en) 2011-07-26 2013-01-31 Nec Europe Ltd.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and resource management system
CN103782639B (zh) * 2011-08-12 2018-02-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多小区通信网络中的控制定时配置指配的基站、用户设备及其方法
US9036491B2 (en) * 2011-08-12 2015-05-1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vices for converting a downlink subframe
EP2742720B1 (en) * 2011-08-12 2019-03-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CN102958058B (zh) * 2011-08-17 2016-07-06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在异构网中用于通知动态上下行配置的方法和装置
US8934424B2 (en) 2011-09-29 2015-01-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vices for reconfiguring a subframe allocation
CN105142187B (zh) * 2011-09-30 2019-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资源配置方法及相关设备和通信系统
CN103036657B (zh) * 2011-09-30 2015-06-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JP5856308B2 (ja) 2011-10-20 2016-02-0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情報の送信方法及び装置
WO2013069218A1 (ja) * 2011-11-07 2013-05-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WO2013094958A1 (ko) * 2011-12-19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13103270A1 (ko) * 2012-01-06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시분할 모드를 이용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953478B2 (en) 2012-01-27 2015-02-10 Intel Corporation Evolved node B and method for coherent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with per CSI-RS feedback
US9602251B2 (en) * 2012-01-27 2017-03-21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reconfiguring uplink and downlink allocations in time domain duplexing wireless systems
WO2013119089A1 (ko) * 2012-02-09 2013-08-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137435B (zh) * 2012-02-29 2018-03-27 Lg电子株式会社 在协作多小区无线通信系统中减小小区间干扰的方法及设备
EP2826322A4 (en) * 2012-03-16 2015-10-21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NETWORK NUMBER,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RESOURCE ALLOCATION BETWEEN DOWNLINK COMMUNICATIONS AND UPLINK COMMUNICATIONS
CN103326840A (zh) * 2012-03-23 2013-09-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时分双工通信的方法、系统和设备
US9392606B2 (en) 2012-03-30 2016-07-12 Nec (China)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KR101633209B1 (ko) * 2012-04-05 2016-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집성 방법 및 장치
WO2013154327A1 (ko) * 2012-04-10 201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143984B2 (en) 2012-04-13 2015-09-22 Intel Corporation Mapping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3391262A (zh) 2012-05-07 2013-11-1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pdsch数据处理方法
WO2013166723A1 (en) * 2012-05-11 2013-11-14 Nokia Siemens Networks Oy Ack/nak bit bundling in carrier aggregation scenarios
US8838127B2 (en) * 2012-05-11 2014-09-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terference mitigation method in cellular wireless network, and apparatus with the same
WO2013166713A1 (en) * 2012-05-11 2013-11-14 Nokia Siemens Networks Oy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 subsets under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 (tdd) ul/dl configuration
EP3309988B1 (en) * 2012-05-11 2021-07-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pporting harq,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03427962A (zh) * 2012-05-18 2013-12-0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下行数据的harq反馈方法
CN103427968B (zh) * 2012-05-21 2019-0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系统中子帧的管理方法和系统
TWI620459B (zh) 2012-05-31 2018-04-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在蜂巢式通訊系統中賦能直鏈通訊排程及控制方法
JP6297542B2 (ja) * 2012-05-31 2018-03-20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非対称lte展開における干渉緩和
CN103458513B (zh) * 2012-06-01 2016-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基站及终端
US9825751B2 (en) 2012-07-05 2017-11-21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program,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US9066273B2 (en) * 2012-07-30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Cell selection based on favorable ULDL configuration in LTE/TDD networks
KR20140047914A (ko) * 2012-10-15 2014-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Tdd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EP2936910B1 (en) * 2012-12-21 2016-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on-consecutive subframes in multi-tti scheduling messages
CN103037524B (zh) * 2013-01-18 2015-04-08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Tdd上下行子帧比例的双周期动态配置方法、基站、系统和通信设备
CN104956618B (zh) * 2013-01-25 2018-12-1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在无线通信设备以动态tdd配置报告ack/nack的方法、无线通信设备和计算机可读产品
US10009164B2 (en) * 2013-01-28 2018-06-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reconfiguration timer for updating TDD configuration
JP6449172B2 (ja) 2013-01-28 2019-01-09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更新tdd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のための再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タイマを利用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3973420B (zh) * 2013-02-06 2017-05-03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选择上下行子帧配置模式或处理重传信息的方法和装置
EP2954633A1 (en) * 2013-02-07 2015-12-1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ime-division duplexing
JP6153350B2 (ja) * 2013-03-07 2017-06-28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4142628A2 (en) * 2013-03-15 2014-09-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ynchroniz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53700A1 (en) * 2013-03-25 2014-10-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initiating handover,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US20140334352A1 (en) * 2013-05-10 2014-11-13 Alcatel-Lucent Usa Inc. Cell cluster coordination
US9814037B2 (en) * 2013-06-28 2017-11-07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efficient channel estimation and beamforming in FDD system by exploiting uplink-downlink correspondence
JP6162244B2 (ja) * 2013-08-09 2017-07-12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9876628B2 (en) 2013-08-09 2018-01-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DD uplink/downlink re-configuration mechanism
PL3832905T3 (pl) * 2013-12-04 2024-03-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kracanie podramki łącza wstępującego w systemach dupleksu z podziałem czasu (TDD)
PT3249830T (pt) 2013-12-04 2019-06-04 Ericsson Telefon Ab L M Encurtamento de subtrama de ligação descendente em sistemas de duplexagem por divisão de tempo (tdd)
US20150195056A1 (en) * 2014-01-06 2015-07-09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to support a fast tdd configuration indication
WO2015117275A1 (en) 2014-02-10 2015-08-13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into dynamic tdd ul/dl configuration enabled cells and/or comp cells
TWI568299B (zh) * 2014-12-01 2017-01-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長期演進技術基地台及其無線資源排程方法
CN105722219A (zh) * 2014-12-01 2016-06-29 财团法人资讯工业策进会 长期演进技术基地台及其无线资源排程方法
US10412749B2 (en) * 2015-05-21 2019-09-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cheduling in license assisted access
EP3297320B1 (en) * 2015-06-10 2019-08-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sending or receiving informat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06535220B (zh) * 2015-09-14 2019-08-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动态tdd子帧配比调整方法及基站、网络管理设备
CN109155937B (zh) * 2016-05-12 2022-06-28 富士通株式会社 基站、终端、无线通信系统以及通信方法
CN108633055B (zh) * 2017-03-24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通信设备
US10904908B2 (en) * 2017-06-01 2021-01-26 Qualcomm Incorporated Grantless uplink transmission for eMTC-U
WO2019216745A1 (ko) * 2018-05-09 2019-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EP3824688B1 (en) * 2018-07-17 2023-10-04 Nokia Technologies Oy Multicell link direction alignment
CN112399502B (zh) * 2019-08-16 2021-09-17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子帧配比的调整方法及基站
US20220109551A1 (en) * 2020-10-05 2022-04-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grant free transmissions in full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2562A (en) * 1989-05-26 1990-12-12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Data transmission over a tdm duplex channel
US5933421A (en) * 1997-02-06 1999-08-03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for frequency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s
US6016311A (en) * 1997-11-19 2000-01-18 Ensemble Communications, Inc. Adaptive time division duplex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G114476A1 (en) * 1999-11-04 2005-09-28 Ntt Docomo Inc Method,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for timeslot selection and timeslot assignment
US7177598B2 (en) * 2000-11-15 2007-02-13 Wi-Lan,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channel interference in a frame-synchroniz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802372B2 (ja) * 2001-05-16 2006-07-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
JP3938853B2 (ja) * 2001-07-17 2007-06-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タイムスロット割当て方法、信号伝送方法、無線基地局制御装置、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EP1307059A1 (en) * 2001-10-29 2003-05-02 Alcatel Method for fast message exchange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59629A1 (en) * 2004-05-24 2005-11-24 Neal Oliver Adapting uplink/downlink subframe ratio in time division duplex physical frames
US9143288B2 (en) * 2006-07-24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control channe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43310B1 (ko) 2006-09-26 2008-07-0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Ofdma/tdd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의 동적 자원 할당 방법
US7953049B2 (en) * 2007-10-22 2011-05-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ceiver resources based on delay
GB0721763D0 (en) * 2007-11-06 2007-12-19 Fujitsu Ltd Frame structur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416140B2 (ja) * 2008-02-08 2014-02-12 ゼットティーイー(ユーエスエ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Tdd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ダウンリンク/アップリンク割当比の動的調整
US8547926B2 (en) * 2008-03-02 2013-10-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elements in a wireless access system
KR20090094736A (ko) * 2008-03-03 2009-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전송방법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2136B2 (en) 2011-03-01 2016-08-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a dynamic-time division duplex (D-TDD) downlink-uplink 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2118345A3 (ko) * 2011-03-01 2012-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d-tdd(dynamic-time division duplex) 하향링크-상향링크 구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121574A2 (en) * 2011-03-10 201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system
US9906293B2 (en) 2011-03-10 2018-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system
WO2012121574A3 (en) * 2011-03-10 2012-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system
US10999837B2 (en) 2011-03-11 2021-05-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dynamic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2124923A3 (ko) * 2011-03-11 2012-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서브프레임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051622B2 (en) 2011-03-11 2018-08-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dynamic sub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2124923A2 (ko) * 2011-03-11 2012-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서브프레임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134107A3 (ko) * 2011-03-25 2013-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US9155079B2 (en) 2011-03-25 2015-10-06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134107A2 (ko) * 2011-03-25 201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3066072A1 (ko) * 2011-11-01 2013-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893802B2 (en) 2011-11-01 2018-02-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cells having different uplink-downlink configurations, and apparatus therefor
US9419762B2 (en) 2011-11-01 2016-08-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apparatus therefor
WO2013103280A1 (ko) * 2012-01-06 2013-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번들링 관련 채널의 할당 방법 및 장치
US9504033B2 (en) 2012-01-06 2016-1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channels related to uplink bundling
KR20140115369A (ko) * 2012-01-23 2014-09-30 인텔 코포레이션 플렉서블 서브프레임을 이용한 동적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
US9544823B2 (en) 2012-01-23 2017-01-10 Intel Corporation Dynamic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using flexible subframes
US9877317B2 (en) 2012-01-23 2018-01-23 Intel Corporation Dynamic uplink and downlink configuration using flexible subframes
KR20140130430A (ko) * 2012-02-26 201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461779B2 (en) 2012-02-26 2016-10-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3125930A1 (ko) * 2012-02-26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00451B2 (en) 2013-03-13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s for adaptively configured TDD communication systems
WO2014142585A1 (en) * 2013-03-13 2014-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s for adaptively configured tdd communication systems
WO2014209041A1 (ko) * 2013-06-26 201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자원의 용도 변경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237882B2 (en) 2013-06-26 2019-03-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discontinuous reception and apparatus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reconfiguration of wireless resource
US10568111B2 (en) 2013-06-26 2020-02-1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discontinuous reception and apparatus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reconfiguration of wireless resource
US10785782B2 (en) 2013-06-26 2020-09-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discontinuous reception and apparatus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reconfiguration of wireless resource
US10033576B2 (en) 2013-09-23 2018-07-24 China Academy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10122488B2 (en) 2014-02-18 2018-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receiving signals using user-specific flexible TDD techn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WO2015126027A1 (ko) * 2014-02-18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특정 플렉서블 tdd 기법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6362A4 (en) 2012-06-20
CA2711260A1 (en) 2009-10-01
US8209576B2 (en) 2012-06-26
JP2011521500A (ja) 2011-07-21
EP2266362A2 (en) 2010-12-29
US20090249153A1 (en) 2009-10-01
CN101926214A (zh) 2010-12-22
JP5230794B2 (ja) 2013-07-10
CN101926214B (zh) 2013-08-21
WO2009120701A3 (en) 2009-12-23
WO2009120701A2 (en)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9062A (ko) Lte/τdd 시스템에서의 다운링크/업링크 할당 비율의 동적 조정 및 시그널링
EP2425554B1 (en) Method and station for dynamic adjustment of downlink/uplink allocation ratio in lte/tdd systems
RU258767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harq для системы связи
US10790941B2 (en) Method and device for narrowband cellular communication
US11271693B2 (en) Transmission based on data blocks
EP394574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ision handling and semi-persistently schedul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release
US1171117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timing of feedback transmissions
CN114175544A (zh) 用于确定反馈码本的系统和方法
US20210337528A1 (en) Network access node and client device for indication of multiple data channels in a single control message
CN103313270A (zh) 增强上行链路覆盖的方法及装置、基站
CN113676291A (zh) 一种信息发送的方法及设备
JP7130692B2 (ja) 端末、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KR20240074801A (ko) 방법들, 통신 디바이스들, 및 기반구조 장비
CN116391335A (zh) 半永久性调度的反馈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