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64653A -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 Google Patents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653A
KR20100064653A KR1020080123180A KR20080123180A KR20100064653A KR 20100064653 A KR20100064653 A KR 20100064653A KR 1020080123180 A KR1020080123180 A KR 1020080123180A KR 20080123180 A KR20080123180 A KR 20080123180A KR 20100064653 A KR20100064653 A KR 20100064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anel
release material
wall
form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근석
Original Assignee
(주)알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루텍 filed Critical (주)알루텍
Priority to KR102008012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4653A/ko
Publication of KR2010006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65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내벽 또는 외벽의 형성을 위해 시공되는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구성은, 벽체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정면부에 요철부가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요철부에 삽입되어 패널의 정면부를 커버링하며 상기 요철부로부터 탈거할 수 있게 되는 표면 이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패널의 정면부에 삽입되는 표면 이형재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에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잔재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의 분리 작업성이 우수하고, 세척작업에 따르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 이형재에 디자인적 문양을 부여하여 별도의 작업 없이 건물의 외벽에 장식적인 문양을 쉽게 표현할 수가 있고, 상이한 문양의 표현이 요구되는 다른 건축물에 동일한 거푸집을 재사용할 경우에는 표면 이형재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거푸집의 재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세척, 표면 이형재, 합성수지, 분리

Description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Form for concret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의 콘크리트 내벽 또는 외벽의 형성을 위해 시공되는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시에 구축할 구조물의 외형을 만들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원하는 구조물의 형상대로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거푸집이 서로 연결되어 시공된다.
최근에 가볍고 반복 사용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강한 알루미늄 거푸집이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으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1)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1)은 직사각형의 패널(1a)을 바탕으로 하여 패널(1a)의 장축방향 테두리가 직각으로 절곡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패널(1a)의 양단부에는 마구리 부재(1b)가 용접됨과 아울러, 패널(1a)의 장축방향 테두리 사이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1c)가 용접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1)은 도 2와 같이 벽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다수개가 2열 배치되되 패널(1a)의 매끈한 표면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시공되어, 그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한편, 콘크리트의 양생이 종료된 다음에는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을 분리하여 세척을 함으로써, 거푸집의 매끈한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콘크리트 잔재를 제거한 뒤 재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은 콘크리트 양생 후에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분리된 거푸집에 다량의 콘크리트 잔재물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작업에 따른 폐수와 분진 또는 폐기물의 발생량이 많아 환경오염이 유발되며, 소요되는 비용면에서도 불리한 문제가 있다.
또한, 아파트 등의 건물 외벽에 소정의 디자인적인 문양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기존의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에 원하는 디자인적 문양을 형성하기도 쉽지 않고, 표면에 소정의 문양이 형성된 거푸집을 상이한 문양이 요구되는 다른 건축물에 재사용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콘크리트 시공시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에 분리가 용이하고, 세척작업에 따르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소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용 알루미늄트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에 원하는 디자인적 문양을 형성하기 쉽고, 표면에 소정의 문양이 형성된 거푸집을 상이한 문양이 요구되는 다른 건축물에 재사용하기도 쉬운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정면부에 요철부가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의 요철부에 삽입되어 패널의 정면부를 커버링하며 상기 요철부로부터 탈거할 수 있게 되는 표면 이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을 개시한다. 특히, 상기 요철부는 사다리꼴과 역사다리꼴로 교번하여 형성되며, 상기 패널의 상하방향으로 결을 형성하는 형태로 균등하게 배열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정면부에 복수 개의 분할된 홈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각각의 홈에 삽입되어 패널의 정면부 전체를 커버링하며 상기 홈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게 되는 복수 개의 표면 이형재를 포함하 여 이루어진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을 개시한다. 특히, 상기 홈의 가장자리는 상기 표면 이형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의 정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임의 탈거되지 않도록 경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이형재는 콘크리트와의 상호 반응성이 작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열팽창률을 감소시키는 경화제가 첨가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이형재에는 상기 벽체의 표면에 문양을 부여하는 형상이 음각 또는 양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패널의 정면부에 삽입되는 표면 이형재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에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잔재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의 분리 작업성이 우수하고, 세척작업에 따르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 이형재에 디자인적 문양을 부여하여 별도의 작업 없이 건물의 외벽에 장식적인 문양을 쉽게 표현할 수가 있고, 상이한 문양의 표현이 요구되는 다른 건축물에 동일한 거푸집을 재사용할 경우에는 표면 이형재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거푸집의 재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10)은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에 유리하도록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소재의 패널(11)을 기본적인 구성 부재로 하고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시 다수 개의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10)이 패널(11)들의 측면끼리 맞닿도록 2열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패널(11)의 정면부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패널(11)의 정면부에 패널(11)의 정면부 전체에 걸쳐서 요철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 요철부(11a)는 패널(11)의 상하방향으로 결을 형성하는 형태로 복수 개가 균등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요철부(11a)의 단면 구조는 직사각형이나 사다리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후술하는 표면 이형재(12)가 패널(11)의 정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임의 탈거되지 않도록 요철부(11a)는 사다리꼴과 역사다리꼴로 교번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요철부(11a)에는 패널(11)의 정면부를 커버링하는 표면 이형재(離型材 : 12)가 패널(11)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 표면 이형재(12)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염화비닐(PVC), 에폭시,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합성수지는 콘크리트와의 상호 반응성이 작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후에 거푸집(10)이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분리된다. 특히,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발생하는 반응열에 의해 표면 이형재(12)가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합성수지에 유리분말과 같은 경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열팽창률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이형재(12)는 패널(11)의 요철부(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패널(11)의 가장자리 부분과 접하는 부위가 실리콘 등으로 접착된다. 이에 따라, 표면 이형재(12)는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시공시 패널(11)의 요철부(11a)로부터 임의로 탈거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표면 이형재(12)와 최외각 부위에 위치하는 요철부(11a)의 가장자리 사이를 통해 콘크리트 성분이 패널(11)의 정면부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 콘크리트 양생 완료 후에는 실리콘만 제거하면 표면 이형재(12)를 패널(11)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표면 이형재(12)에는 벽체의 표면에 문양을 부여하는 형상이 음각 또는 양각된다. 즉, 예를 들어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외벽에 장식용으로 디자인적 문양을 표현하거나 건설사의 로고 등을 새기고자 할 경우, 본 발명의 거푸집(10)에 부착되는 표면 이형재(12)에 해당 문양(12a)을 음각이나 양각으로 새겨넣어 패널(11)의 요철부(11a)에 삽입하면 콘크리트 양생시 그 문양(12a)이 콘크리트 외 벽에 그대로 표현이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20)을 구성하는 패널(21)의 정면부에 복수 개의 홈(21a,21a')이 분할 형성되고, 이들 홈(21a,21a') 각각에 삽입되어 패널(21)의 정면부 전체를 커버링하는 복수 개의 표면 이형재(22)가 구비됨에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널(21)의 정면부 중앙을 경계로 하여 두 개의 홈(21a,2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홈(21a,21a')은 각각의 홈(21a,21a') 가장자리(즉, 패널(21)의 좌우측 테두리 부위와 중앙 부위)를 제외하고는 패널(21)의 정면부 전체를 점유하고 있다. 특히, 홈(21a,21a')의 가장자리는 상기 표면 이형재(22)가 삽입된 상태에서 패널(21)의 정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임의 탈거되지 않도록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표면 이형재(22)는 패널(21)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홈(21a,21a')에 삽입되거나 홈(21a,21a')으로부터 탈거된다.
한편,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표면 이형재(22)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염화비닐(PVC), 에폭시, 나일론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 양생시 발생하는 반응열에 의해 표면 이형재(22)가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유리분말과 같은 경화제가 첨가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이형재(22)의 표면에는 디자인적 문양(22a)이 음각 또는 양각에 의해 새겨짐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과정에서 건물의 외벽에 장식적인 문양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10,20)은 콘크리트와의 상호 반응성이 작은 소재로 이루어진 표면 이형재(12,22)가 패널(11,21)의 정면부에 삽입 설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콘크리트 양생 후에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매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잔재물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10,20)에 삽입되는 표면 이형재(12,22)에 디자인적 문양을 부여하면 별도의 작업 없이 건물의 외벽에 장식적인 문양을 쉽게 표현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이 벽체 형성을 위해 다수 개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11,21 : 패널
11a : 요철부 12,22 : 표면 이형재
12a,22a : 문양 21a,21a' : 홈

Claims (7)

  1. 벽체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정면부에 요철부가 형성된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요철부에 삽입되어 패널의 정면부를 커버링하며, 상기 요철부로부터 탈거할 수 있게 되는 표면 이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사다리꼴과 역사다리꼴로 교번하여 형성되며, 상기 패널의 상하방향으로 결을 형성하는 형태로 균등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3. 벽체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정면부에 복수 개의 분할된 홈이 형성된 패널; 및
    상기 각각의 홈에 삽입되어 패널의 정면부 전체를 커버링하며, 상기 홈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게 되는 복수 개의 표면 이형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가장자리는 상기 표면 이형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의 정면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임의 탈거되지 않도록 경사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이형재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이형재는 합성수지에 열팽창률을 감소시키는 경화제가 첨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이형재에는 상기 벽체의 표면에 문양을 부여하는 형상이 음각 또 는 양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KR1020080123180A 2008-12-05 2008-12-05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Ceased KR20100064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180A KR20100064653A (ko) 2008-12-05 2008-12-05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180A KR20100064653A (ko) 2008-12-05 2008-12-05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653A true KR20100064653A (ko) 2010-06-15

Family

ID=4236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180A Ceased KR20100064653A (ko) 2008-12-05 2008-12-05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46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235B1 (ko) * 2013-06-20 2014-10-31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콘크리트 거더의 문양 형성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
KR20160137850A (ko) 2015-05-22 2016-12-01 (주)에스케이지르콘 마그네슘 거푸집
CN108360812A (zh) * 2018-03-22 2018-08-03 中国冶集团有限公司 一种铝合金模板施工装置及其浇筑混凝土面免抹灰的施工方法
CN109537878A (zh) * 2018-12-17 2019-03-29 北京古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建筑模具及装饰建筑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235B1 (ko) * 2013-06-20 2014-10-31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콘크리트 거더의 문양 형성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방법
KR20160137850A (ko) 2015-05-22 2016-12-01 (주)에스케이지르콘 마그네슘 거푸집
CN108360812A (zh) * 2018-03-22 2018-08-03 中国冶集团有限公司 一种铝合金模板施工装置及其浇筑混凝土面免抹灰的施工方法
CN109537878A (zh) * 2018-12-17 2019-03-29 北京古达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建筑模具及装饰建筑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8693B (zh) 建筑块、使用该建筑块的建筑结构和砌墙方法
KR20100064653A (ko) 콘크리트용 알루미늄 거푸집
WO2007070532A3 (en) Liner system for forming concrete panels
KR20130068662A (ko) 엘리베이터의 벽 및 그의 시공방법
CN217631063U (zh) 装饰模框以及构造物
WO2012123964A2 (en) Casting designer walls for building by using moulds
KR20150130754A (ko) 벽체용 거푸집
KR20100037342A (ko) 건물 저층 외벽용 문양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KR200152667Y1 (ko) 문양 거푸집의 구조
EP2092133B1 (en) Building block and method of bricking a wall using the same
JP2006095775A (ja) コンクリート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型枠構造
JP4866271B2 (ja) 排水溝成形型枠兼目地材
CN211690997U (zh) 一种凸槽式边模生产预制板构件
JPH04348907A (ja) コンクリート成型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型枠
CN114278001B (zh) 一种建筑墙面用防污防水型铝单板及其制造工艺
JP4056789B2 (ja) 外壁パネルの製造方法
JPH11200618A (ja) 型枠材
JP4587714B2 (ja) 住宅用残存化粧型枠及び住宅の基礎の施工方法
CN201198658Y (zh) 具高透明度的板模结构
KR100447994B1 (ko) 건설용 장식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또는 건축물 외벽의시공방법
JP2011111857A (ja) 建物外装材の製造方法
JP4471774B2 (ja) 塀付建物
JP2009057751A (ja) コーナーカバー役物の製造方法
JP4680724B2 (ja) 住宅用残存化粧型枠
KR100716619B1 (ko) 건축구조물의 외벽문양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