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61516A - 두 개의 중공 프로파일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두 개의 중공 프로파일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516A
KR20100061516A KR1020107007208A KR20107007208A KR20100061516A KR 20100061516 A KR20100061516 A KR 20100061516A KR 1020107007208 A KR1020107007208 A KR 1020107007208A KR 20107007208 A KR20107007208 A KR 20107007208A KR 20100061516 A KR20100061516 A KR 20100061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ealing element
support
cut piece
hol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르너드 수브라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00061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51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7Connec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중공 프로파일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에 관한 것이며, 상기 커넥터(1)는 본체(10)와, 액체, 기체 및 수증기에 대하여 밀봉이며, 본체(10)의 일부(11)에 의해 지지되는 밀봉 부재(3)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3)는 밀봉 부재의 지지부(11)로부터 측면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돌출부(31,32)를 포함하고, 이들은 상기 돌출부와 본체(10) 사이에 두 개의 수용 공간(40,41)을 개별적으로 한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 개의 중공 프로파일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TWO HOLLOW PROFILE END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스페이서(spacer)를 구성하는 프레임(frame)을 형성하기 위한, 두 개의 중공(中空) 절단 단편 단부 (section-piece ends)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는 본체와, 기체 및 수증기에 대해 밀봉되고 본체의 일부에 대해 단단한 부착부(secure attachment)로서 배열되는 밀봉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더욱 특히 비제한적으로 글레이징의 유닛에 대한 용도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고, 다른 비-유리제조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공지의 유형인 절연 글레이징 유닛은 공기와 같은 기체의 층에 의해 이격된 두 장의 유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 시트는 모양대로 구부려지는 중공 금속 절단 단편 또는 커넥터로서 알려진 중앙 및/또는 모서리 단편에 의해 조립된 절단 단편으로 구성된 스페이서 프레임에 의해 이격되어 유지되고 함께 지탱된다. 절단 단편은 분자 체(molecular sieve)로 덮여 있으며, 상기 분자 체는 글레이징 유닛의 제조시에 공기 중간층 내에 갇히는 임의의 물 분자를 흡착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물 분자는 글레이징의 수명 동안 글레이징 유닛 내에 침투하기 쉽고(절연 글레이징 유닛은 결코 완전히 밀봉되지 않음), 차가운 날씨에서 응축되어 안개를 야기하기 쉬울 수 있다.
글레이징 유닛을 밀봉하기 위해서, 스페이서 프레임은 부틸 고무 유형의 탄성 중합체의 비드를 이용하여 유리 시트에 결합되고, 상기 비드는 노즐을 통한 사출에 의해 스페이서 프레임을 형성하는 절단 단편에 직접적으로 도포된다.
일단 글레이징 유닛이 조립되면, 밀봉 탄성 중합체의 비드는 일시적으로 유리 시트를 기계적으로 지탱하도록 작용한다. 최종적으로 폴리술파이드,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유형의 가교결합 가능한 밀봉 매스틱(mastic)이 두 장의 유리 시트와 스페이서 프레임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주변의 홈 내로 주입되어, 유리 시트의 기계적인 조립을 완성시킨다. 부틸 고무의 주요 목적은 수증기에 대해 글레이징 유닛 내부를 밀봉하는 것이며, 동시에 매스틱은 액체인 물 또는 용매에 대한 밀봉을 제공한다.
절연 글레이징 유닛 스페이서 절단 단편을 위한 커넥터로 알려진 것은 예를 들면 유럽특허출원 EP 0 283 689에 기술된 커넥터이다. 이 커넥터는 중공 절단 단편 단부 내에 강제적으로 삽입되고, 절단 단편 단부가 해체될 경우에 당겨져야만 하는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을 향하는 돌출부(projections)를 측면으로 유지함으로써 단단히 유지된다.
일단 두 개의 절단 단편 단부가 함께 접합되면 결합부에 불가피한 미세 공간이 존재하는데, 이는 기체에 대해 밀봉되어야 한다. 이미 상술된 부틸 유형의 밀봉 개스킷(sealing gasket) 또는 대안적으로 약간의 매스틱이 더 일반적으로 상기 결합부에 그리고 기체의 층을 마주할 중간층의 면에 첨가된다.
미국특허출원 US 2003/0059253에서, 두 개의 절단 단편 단부 사이의 결합부의 밀봉은 밀봉 물질을 이용해서 만들어지고, 상기 밀봉 물질은 절단 단편 단부가 함께 접합된 이후에 이들의 외부에 첨가되지 않고, 두 개의 중공 절단 단편 단부 내부에 증착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결합부에서 커넥터의 본체 내에 만들어진 공동(cavity) 내에 배열된다. 이것은 제1 절단 단편 단부가 연결된 이후에 커넥터의 공동 내에 주입되는 물질이며, 상기 물질은 밀봉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절한 위치로 흐르고, 제2 단부는 그 후에 제1 단부에 대하여 부착된다.
상기 문서들은 긴방향(lengthwise) 결합부 내 프레임의 한 면을 따라 절단 단편을 접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평면 커넥터를 기술한다. 프레임이 모서리에서 모양대로 구부러지는 절단 단편으로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에, 프레임의 모서리 연결에 대한 연결 원칙은 유사하다. 직사각형 프레임은 사실상 장축(longitudinal) 절단 단편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장축 단편은 모서리 커넥터를 이용하여 모서리에서 연결되며, 부틸을 첨가함으로써 밀봉이 성취된다.
그렇지만 긴방향 결합부 또는 모서리 결합부 내의 두 개의 절단 단편 단부 사이의 결합부를 밀봉하기 위한 이러한 여러 방법은, 프레임의 제조 시 밀봉제 증착의 부가적인 작업을 야기하고, 그로 인해 물질의 부가 및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특별한 용도의 도구를 필요로 한다.
게다가 특정 생산라인에서 밀봉 작업이 절단 단편 단부의 연결 작업 이후에 수행되는 경우에(특히, 단부가 함께 결합된 이후에 물질이 부가되는 경우), 특히 긴방향 결합을 제조하는 경우에, 적합한 수단을 통해서 물질이 정확한 위치에 부가될 수 있도록 결합부(들)의 정밀한 위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작업은 제조 단가 절약 및 생산률 향상에 대하여 기여하지 않는다.
현재는 제조 공정에서 단계 수를 줄이고/줄이거나 상기 단계들을 단순화하고 제조 단가를 최소화하는 것이 늘 바람직하다.
국제특허출원 WO 05/106177은 새로운 해결책을 제안하고, 본체의 중심부 및 한 면 상에 기체 및 수증기에 대한 밀봉 수단이 직접적으로 장착된 커넥터를 기술한다. 이러한 밀봉 수단은 적합한 형상을 갖거나, 커넥터 본체의 대향 면 상에서 상기 밀봉 수단을 압착하기 위한 시스템과 연결되어, 커넥터가 함께 결합될 두 개의 절단 단편의 중공 단부 내로 삽입될 때 절단 단편의 내벽 중 하나는 밀봉 수단이 설치되는 면에 대향하는 커넥터의 면에 대해 밀어 넣어지고, 그로 인해 절단 단편의 대향 내벽에 대하여 밀봉 수단을 압착한다.
위의 문서에서 제안된 해결책은 밀봉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를 직접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두 개의 절단 단편을 연결하는 작업을 단순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밀봉 수단을 또한 병합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그로 인해 두 개의 절단 단편 단부가 긴방향이나 모서리 결합부 내에서 밀봉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수단은 커넥터에 대해서 고유하다. 일단 커넥터가 만들어지면 밀봉도 또한 확실하다. 추가적인 밀봉 작업은 수행될 필요 없다.
본 발명에 따라, 커넥터는 본체와, 액체, 기체 및 수증기가 스며들지 않고 본체의 일부에 의해 지지되는 밀봉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요소는 두 대향된 돌출부(protrusion)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이러한 돌출부들과 본체 사이에 개별적인 두 수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밀봉 요소 지지부에 대해 측면으로 돌출하며, 밀봉 요소의 돌출부들은 개별적인 단부들을 갖고, 상기 단부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비스듬하고, 특히 커넥터의 본체에 대해 굽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의 본체 및 밀봉 요소는 두 개의 다른 물질 또는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한 특징에 따르면, 돌출부들은 탄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밀봉 요소는 탄성 중합체와 같은 20 내지 60 쇼어(shore) A 사이의 범위인 경도(hardness)를 구비한 플라스틱 물질, 예를 들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유형의 탄성체 또는 주입가능한 폴리우레탄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 또는 대안적으로 EPDM이다.
커넥터가 연결될 디바이스에 대해 부과될 밀봉으로 인해, 밀봉 요소는 커넥터 일부의 적어도 한 면을 덮고,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의 상기 일부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 위에 낙하된다.
밀봉 요소의 높이는 1㎜를 초과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약 0.5㎜이다. 사실상 후술되는 것과 같이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절단 단편과 일단 연결된 커넥터는, 수득된 프레임의 외면이 그 전체 주변부에 걸쳐 동일한 높이에 있지 않도록, 절단 단편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밀봉 요소를 구비한다. 이제, 유리 시트에 대한 프레임의 결합에 관하여 절단 단편의 측벽에 부틸을 도포하는 자동화된 단계에 대한 양호한 결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이러한 수평에서의 차이가 너무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부(들)는 컨베이어에 대하여 특정 높이로 프레임의 절단 단편에 부틸 비드를 도포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고, 프레임은 상기 컨베이어 상에 놓인다; 따라서 수평의 차이는 상기 비드가 대응하는 양만큼 증착되는 높이를 오프셋시켜(높이에서 단을 형성하여), 충분한 부틸이 프레임을 유리 시트에 적당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올바른 장소 내에 도포되지 않을 위험을 야기한다.
커넥터의 용도에 따라, 본체는 예를 들면 장축 결합부를 만들기 위하여 본질적으로 장축일 수 있으며, 특히 지지부의 각 면 위에서 확장하는 두 날개부를 포함하고, 이들은 지지부의 높이의 일부 및 상기 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거리에 걸쳐 상기 지지부의 두 대향 면에 대해 연결되고, 상기 날개부는 밀봉 요소의 돌출부를 마주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모서리 연결을 만들기 위하여, 본체는 지지부의 각 면 위에서 일정 각도로, 일반적으로 직각으로 확장하는 두 날개부를 포함하고, 이들은 지지부의 높이의 일부 및 상기 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거리에 걸쳐 상기 지지부의 두 대향면에 연결되고, 날개부는 밀봉 요소의 돌출부를 마주한다.
밀봉 요소 지지부는 최소화된 너비, 특히 3㎜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의 너비를 가지며, 이는 두 절단 단편이 커넥터를 이용하여 함께 접합되는 경우에 커넥터로부터 초래되는 부가적인 길이를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다. 절단 단편은 후술되는 것과 같이 사실상 이러한 지지부에 대해 접합되는 반면, 대부분의 커넥터는 중공 절단 단편의 일부 내로 삽입된 전체 본체를 갖는다. 그러므로 절단 단편의 길이가 조절될 것이며, 이는 그로 인해 수득될 프레임에 대한 바람직한 측면 길이를 성취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특징에 따라, 커넥터의 본체는 단일 단편으로서 만들어지고, 특히 플라스틱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지만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커넥터의 본체는 밀봉 요소처럼 성형(molding)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클립-잠금(clip-fastening), 결합, 용접, 오버몰딩(overmolding)과 같은 커넥터의 본체에 밀봉 요소를 고정하는 고려가능한 여러 방법이 있다.
그렇지만 본체와 밀봉 요소가 단일한 프로세스 내에서 쉽게 얻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이중 사출 성형(two-shot injection molding) 기술을 이용한 성형이다.
최종적으로 커넥터의 본체가 날개부를 가질 경우에, 상기 날개부는 유리하게는 커넥터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고, 날개부를 바로 관통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핀과 같은 유지 시스템(retaining system)을 갖는다. 이러한 유지 시스템은 제 위치에 유지되고 불시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의도되기 때문에 커넥터가 디바이스 내로 강제로 삽입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적어도 두 개의 중공 절단 단편 단부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절단 단편 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로 형성된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커넥터의 수용 공간 각각은 개별적인 절단 단편 단부의 벽을 수용하고, 밀봉 요소는 상기 절단 단편 단부의 각각의 측벽 외면에 대해 압축되는 측면 돌출부를 갖고, 그로 인해 상기 돌출부의 비스듬한 단부를 통한 예비하중(preload)이 가해지고, 두 개의 중공 단부는 커넥터의 본체와 협력하여, 밀봉 요소 지지부의 두 대향 면에 대해 개별적으로 접합된다.
따라서 외부 환경을 향하도록 의도된 절단 단편의 외부 면 또는 외면을 구성하는 물질에 의해 성취되는 밀봉은, 절단 단편 단부의 외면을 꼭 끼워서 덮는 밀봉 요소에 의하여 두 개의 절단 단편 사이의 결합부에서 연속되게 된다.
측면 돌출부를 통해서, 밀봉 요소는 또한 커넥터의 일부에 대한 접합부 내에 절단 단편 단부를 위치시키는 경우에 존재할 수 있는 임의의 유격을 밀봉의 연속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견뎌낸다.
게다가 밀봉 요소의 측면 돌출부는 절단 단편 단부의 측벽 외면의 가장자리 부분 위로 낙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상기 외면에서 절단 단편 사이의 연결의 밀봉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커넥터의 본체에는 밀봉 요소 지지부의 두 대향 면으로부터 개별적으로 확장하는 두 개의 날개부가 장착되며, 상기 두 개의 날개부는 개별적으로 두 개의 중공 절단 단편 단부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커넥터는 날개부의 측벽 상에 존재하는 유지 시스템에 의해 중공 절단 단편 단부 내에서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두 개의 절단 단편 단부(들)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와 같은 조립체는 특히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 예를 들면 절연 글레이징 유닛 내에서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밀봉 요소는 중공 절단 단편 단부와의 결합부에서 연속적인 밀봉을 보장하며, 프레임을 형성하는 절단 단편(들)의 면은, 액체, 기체 및 수증기에 대해 밀봉되는 밀봉 요소의 돌출부로 절단 단편 단부에서 덮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이용하는 두 개의 중공 절단 단편 단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는 커넥터의 날개부 중 하나를 통해 강제적으로 제1 절단 단편 단부의 중공 부분 내로 삽입되고, 동시에 제2 절단 단편 단부는 밀봉 요소 지지부에 대해 접합될 때까지 미는 힘을 가함으로써 커넥터의 자유로운 대향 날개부 주위에 고정되며, 밀봉 요소는 밀봉 요소의 돌출부의 비스듬한 단부에 의해 발휘되는 예비하중을 이용하여 절단 단편 단부 사이의 결합부, 적어도 외부 환경을 마주도록 의도된 면 위를 덮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밀봉 수단을 병합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도 1은 긴방향 결합부를 위해 의도되고, 일부는 절단 단편의 중공 단부에 연결되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윤곽도.
도 2는 도 1의 평면 커넥터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 커넥터를 이용한 두 개의 절단 단편 단부 연결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모서리 결합을 위하여 의도되고, 일부는 절단 단편 단부의 중공에 연결되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윤곽도.
도 5는 도 4의 모서리 커넥터의 평면개략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모서리 커넥터를 이용한 두 개의 절단 단편 단부 연결의 평면개략 단면도.
도 7은 프레임에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가 장치된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개략단면도.
도 1 및 도 2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긴방향 결합부 내 두 개의 절단 단편 중공 단부의 밀봉된 연결을 위해 의도된 본 발명의 평면 커넥터(1)를 도시한다.
커넥터(1)는 제1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 본체(10)와 제2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체(10)와 연결된 밀봉 요소(3)를 포함한다.
평면 커넥터의 본체(10)는 장축 결합부를 만들기 위하여 장축방향으로 확장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진다. 물질로서, 특히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틸렌, SAN이 언급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본체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체(10)는 밀봉 요소 지지부(11)와, 상기 밀봉 요소 지지부(11)의 각 측 위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확장하는 두 날개부(20 및 21)를 포함한다.
상기 두 날개부(20 및 21)는 실질적으로 평행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이들은 각각 두 대향하는 장축 면(22 및 23)과, 날개부의 최장 길이를 따라 이어지고 상기 장축 면(22 및 23)에 연결되는 두 대향 측벽(24 및 25)을 포함한다.
날개 연결부(11)는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평행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이는 연결 날개부에 연결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끼움(thrust) 면(12 및 13), 각각의 날개부의 장축 면(22 및 23)과 동일한 면 상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두 대향 면(14 및 15) 및 각각의 날개부의 측벽(24 및 25)과 동일한 면 상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두 대향 측면(16 및 17)을 구비한다.
상기 날개 연결부(11)의 면(14 및 15)는 날개부의 장축 면(22 및 23)으로부터 돌출하고; 이와 유사하게 측면(16 및 17)은 날개부의 측벽(24 및 25)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지지부의 각 면 위에서 하나씩 확장하는 날개부는 지지부의 높이의 일부 및 상기 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걸쳐 날개 연결부(11)의 두 대향 면(12 및 13)에 연결되고, 상기 날개부는 밀봉 요소의 돌출부를 마주한다.
최종적으로 각각의 날개부(20 및 21)는 각각의 측벽(24 및 25)으로부터 돌출하는 유지 시스템(retaining system)(26)을 갖고, 이러한 시스템은 일단 커넥터가 중공 절단 단편 단부 내에 맞물리게 되면, 제 위치에서 움직이지않게 되는 커넥터를 유지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유지 시스템은 예로서, 날개부의 두께 내에 배열되고, 측벽(24 및 25)을 관통하는 금속 핀이다.
밀봉 요소(3)는 물, 기체 및 수증기가 스며들지 않는 폴리머 물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밀봉 요소(3)는 적어도 면(14)에 대해 고정됨으로써 본체(10)의 지지부(11) 상에 배열된다.
밀봉 물질을 만드는 물질은 20 내지 60 쇼어 A(Shore A) 사이인 범위의 경도를 갖는다.
이와 같은 물질은 예를 들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유형의 탄성 중합체, 또는 주입가능한 폴리우레탄(TPU), 또는 VTC에 의해 판매되는 상표명이 VITAPRENE인 물질과 같은 적절한 열가소성 물질이다.
밀봉 요소는 실질적으로 펠릿(pellet)방식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그 높이는 1㎜를 초과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약 0.5㎜이다.
상기 밀봉 요소는 밀봉부(30) 내에서 본체의 면(14)을 덮고, (30a)에서 측면(16 및 17)의 가장자리 부분 위로 낙하된다. 밀봉 요소는 또한 대향하는 측면 돌출부(31 및 32)를 구비하고, 이들의 너비는 상기 측면 돌출부가 확장하는 면(14)의 측면의 너비와 적어도 동일하다.
돌출부(31 및 32)는 본체(10)의 날개부(20 및 21) 각각을 향해 확장한다. 본체의 지지부(11)의 면(14)은 날개부의 장축 면(22 및 23)에 대하여 돌출하기 때문에, 날개부의 장축 면을 마주하는 밀봉 요소의 돌출부(31 및 32)는 따라서 지지부(11)의 각 면 상에 하나씩 두 대향하는 수용 공간 또는 홈(40 및 41)을 개별적으로 형성한다.
게다가 돌출부(31 및 32)는 본체(10)의 날개부를 향해 실질적으로 굽은 단부 (33 및 34)를 개별적으로 구비한다.
밀봉 요소(3)는 본체(10)의 면(14)에 부착되거나, 접착 또는 용접 또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결합으로 오버몰딩(overmolding)하거나 대안적으로 본체(10)의 지지부(11)와 밀봉 요소(3)의 협력하는 형상을 이용하여 클립-잠금(clip-fastening)함으로써 고정된다.
대안으로서, 밀봉 요소(3)와 본체(10)는 예를 들면 이중 사출 성형 기술을 이용한 성형에 의해 제조된 단일한 단편으로서 얻어질 수 있으며, 두 물질들 사이의 결합은 만일 이러한 물질들이 적합한 폴리아마이드와 적합한 폴리우레탄과 같이 양립가능한 경우에 기계적 또는 화학적 결합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커넥터(1)는 긴방향 결합으로 두 개의 절단 단편 단부(5)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도 3). 이러한 절단 단편 단부는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플라스틱, 이러한 물질들의 조합 또는 사실상 단편의 단부용에 적합한 임의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두 개의 절단 단편 단부를 함께 접합하는 것은 예를 들면 특히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제조를 위하여 의도되는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하여 작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절연 글레이징 유닛은 사실상 삽입 프레임(5a)에 의한 밀봉 방식으로 분리된 적어도 두 장의 유리 시트(60 및 61)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프레임(5a)은 부틸(63)을 이용하여 유리 시트의 내부 면에 대하여 상기 글레이징 유닛의 전체 주변부 주위에 고정된고, 기체(62)가 두 장의 유리 시트들 사이에 갇힌다. 밀봉 매스틱이 두 장의 유리 시트들과 삽입 프레임 사이의 외부에 도포된다.
따라서 삽입 프레임은 프레임의 모서리에 굽은 절단 단편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상기 프레임의 두 자유 단부는 평면 커넥터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옆을 따라 함께 접합된다.
글레이징 유닛을 액체가 침투하지 못하고(liquid-tight), 기밀하게 만들고, 글레이징 유닛을 수증기에 대해 밀봉시키기 위하여, 절단 단편은 적어도 글레이징 유닛의 외부를 마주하도록 의도된 면(50a)(이하, 외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바깥 면과 연결되는 측면의 일부 상에도 또한 알루미늄과 같은 적합한 밀봉 코팅을 갖거나, 대안적으로 보호될 상기 면들이 전체적으로 적합한 밀봉 물질로 만들어진다. 중간층 프레임 절단 단편에 대하여, 유럽특허출원 EP 852 280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와 절단 단편 단부 사이의 결합부는 적어도 외면(50a) 상과 바람직하게는 또한 부틸(63)로 코팅되지 않은 측면의 일부에 걸쳐서 밀봉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1)를 이용한 연결은 하기와 같이 수행된다. 각각의 중공 단부(5)는 커넥터의 날개부(20 및 21) 각각의 주위에 장치된다.
각각의 절단 단편 단부(5)는 두 대향 벽(50 및 51)을 포함하고, 그 중 하나, 본 경우에서 벽(51)은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기체 층을 마주하도록 의도된다. 벽들(50 및 51)은 두 대향하는 측벽(52 및 53)에 의해 밀봉 방식으로 연결되고, 이들 측벽(52 및 53)은 유리 시트의 내부 면에 대하여 부틸(63)에 의해 고정되도록 의도된다.
중공 절단 단편 단부(5)는 커넥터(1)의 날개부(20 또는 21) 중 하나 상에 장치되고, 이것은 유지 시스템(26)의 존재로 인해 강제적으로 수행된다. 단부(5)는 그 자유 가장자리가 커넥터의 지지부(11)의 벽들(12 또는 13) 각각 중 하나에 대해 접합될때까지 밀어넣어진다. 그 후에 제2 절단 단편의 중공 단부가 커넥터의 다른 날개부 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밀어넣어진다.
각 절단 단편 단부의 벽들은 따라서 커넥터의 각 날개부를 둘러싼다. 절단 단편 단부(5)가 둘 다 커넥터의 날개부 상으로 밀어넣어질 경우에, 절단 단편 벽(51)의 외면(51a)과 커넥터의 면(15)이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도록, 절단 단편 단부 벽(51)의 외면(51a)은 커넥터 본체의 지지부(11) 면(15)과 수평을 이룬다.
각 절단 단편 단부에 속한 대향 벽(50)은 커넥터의 홈들(40 및 41) 각각 내에 수용되고, 밀봉 요소의 돌출부(31 및 32) 각각은 돌출부의 굽은 단부(33 및 34)에 의해 발휘되는 예비 하중을 이용하여 벽(50)의 외면(50a)을 밀접하게 덮는다. 돌출부의 단부를 만든 물질은, 커넥터가 커넥터 날개부 주위로 그리고 지지부(11)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조립되고, 동시에 절단 단편 단부의 벽(50)에 대해 단단히 압착된 밀봉 요소(3)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힘을 가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의 단부가 변형되기에 충분하도록 탄성이 있다.
밀봉 요소(3)는 따라서 커넥터의 지지부(11)에서 절단 단편의 단부들 사이의 결합부를 덮는다. 벽(50)만이 외부 환경에 노출될 것이며, 그 외면(50a)은 따라서 이미 상술된 것과 같이 밀봉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밀봉 요소는 절단 단편 단부의 벽(50)의 외면(50a)을 밀접하게 덮도록 구성되고, 그로 인해 결합부에서 밀봉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유리하게는 불투과 코팅도 구비하고 있는 절단 단편 단부의 대향 측벽(52 및 53)의 가장자리 부분도 또한 밀봉 요소로도 덮이며, 그로 인해 측면 위 결합부에서의 밀봉의 연속성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서리 커넥터를 도시하며, 이것은 모서리에서 함께 접합된 두 개의 중공 절단 단편(5a 및 5b) 사이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밀봉된 모서리 결합을 만들고자 의도되는 것이다.
평면 커넥터를 이용하는 것과 같이 커넥터의 본체(10)는 두 개의 날개부(20 및 21)를 갖고, 이들은 절단 단편 단부(5)가 연결될 각도에 해당하는 각을 만든다(본 경우에는 90°). 두 날개부는 모서리에 위치된 본체(10)의 지지부(11)에서 만난다.
평면 커넥터와 같이, 본체(10)의 날개부는 동일한 참조번호에 의해 수반되는 동일한 특징부를 갖는다.
장축 면(23)의 한 면 상의 날개부는 끼움 돌출부(11a)를 형성함으로써 지지부(11)에 연결된다. 대향 면 상에, 상기 각도의 장축 면(22)에 대해 돌출한 날개부들을 연결하는 지지부(11)의 면(14) 상에, 지지부(11)는 밀봉 요소(3)를 수용한다.
밀봉 요소(3)는 대향하는 측면 돌출부(31 및 32)를 가지며, 상기 측면 돌출부는 날개부를 향해서 확장하며, 날개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고 적어도 절단 단편 단부의 벽(50)의 너비에 대하여 조절된다. 날개부(20 및 21)의 장축 면(22)을 마주하는 돌출부(31 및 32) 각각은 홈(40 및 41)을 개별적으로 형성한다.
평면 커넥터와 같이, 밀봉 요소(3)는 지지부(11)의 면(14)에 대해 밀봉 요소를 고정함으로써 부착되거나, 이중 사출 성형 기술과 같은 적합한 제조 프로세스에 의해 본체(10)와의 조합으로 직접적으로 얻어진다.
두 절단 단편(5a 및 5b) 단부(5)를 함께 접합하는 것은 또한 절연 글레이징 유닛의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프레임의 면에 대응하는 절단 단편은 이러한 모서리 커넥터를 이용하여 프레임의 모서리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모서리 커넥터(1)를 이용한 연결은 하기와 같이 수행된다. 각 중공 단부(5)는 커넥터의 각 날개부(20 및 21) 주위에 장치되고, 이것은 유지 시스템(26)의 존재로 인해 강제적으로 수행된다.
단부(5)는 자유 단부가 커넥터의 지지부(11) 각각의 벽(12 또는 13)에 대한 접합점(abutment)에 도달할 때까지 밀어넣어진다.
기체 층을 마주하도록 의도된 각각의 절단 단편 단부의 벽(51)은, 절단 단편 벽(51)의 외면(51a)과 모서리진 돌출부(11a)가 완전히 직각이 되도록, 돌출부(11a)에 대해 접합된다.
각각의 절단 단편 단부의 벽(50)은 개별적인 홈(40 및 41)에 대해 접합된다; 개별적인 돌출부(31 및 32)는 돌출부의 굽은 단부(33 또는 34)에 의한 발휘된 예비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벽의 외면(50a)을 밀접하게 덮는다. 유리하게는 면(50)에 연결된 절단 단편의 측벽(52 및 53)의 단부는 또한 외부를 마주하는 절단 단편들 사이의 결합 면을 완전히 밀봉하도록 밀봉 요소(3)로 덮인다.
상술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커넥터의 본체는 밀봉 요소 지지부(11)의 각각의 면 상으로 하나씩 확장하는 두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날개부는 중공 절단 단편 단부와 용이한 조합을 허용한다. 그렇지만, 지지부(11) 단독으로 고려도 가능하며, 본체(10)와 밀봉 요소(3)는 일종의 "버섯모양"을 형성하고, 절단 단편 단부의 자유로운 가장자리는 지지부(11)의 끼움 면(12 및 13)과 조합되고, 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밀봉 요소는 절단 단편 단부의 벽 중 하나의 외면을 덮는다.
1: 커넥터 10: 커넥터의 본체
11: 밀봉 요소 지지부 12,13: 밀봉 요소 지지부의 면
14,15: 밀봉 요소 지지부의 면 16,17: 밀봉 요소 지지부의 측면
20,21: 날개부 22,23: 날개부의 장축 면
24,25: 날개부의 측벽 26: 유지 시스템
3,30,30a: 밀봉 요소 31,32: 밀봉 요소의 돌출부
33,34: 밀봉 요소의 굽은 단부 40,41: 수용 공간
5: 절단 단편 단부 50a: 절단 단편 단부의 외벽
50,51: 절단 단편 단부의 벽 52,53: 절단 단편 단부의 측벽
60,61: 유리 시트 62: 유리 시트들 사이에 갇힌 기체
63: 부틸

Claims (23)

  1. 두 중공 절단 단편 단부(hollow section-piece ends)를 연결하도록 의도되는 커넥터(1)로서,
    상기 커넥터는 본체(10)와 밀봉 요소(3)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요소(3)는 액체, 기체 및 수증기에 대해 불투과성이고 본체(10)의 한 부분(11)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밀봉 요소(3)는 두 대향된 돌출부(31,32)를 포함하고, 이들은 밀봉 요소 지지부(11)에 대해 측면으로 돌출하여 상기 돌출부와 본체(10) 사이에 개별적인 두 개의 수용 공간(40,41)을 형성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의 돌출부(31,32)는 동일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각각의 단부(33,3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의 단부(33,34)는 커넥터의 본체(10)에 대하여 굽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본체(10)와 밀봉 요소(3)는 두 개의 다른 물질 또는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1,32)는 탄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3)는 20 내지 60 사이의 쇼어 A(Shore A) 범위의 경도(hardness)를 구비한 플라스틱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3)의 물질은 예를 들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유형의 탄성 중합체, 또는 주입가능한 폴리우레탄(TPU)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 또는 대안적인 EPD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3)는 지지부(11)의 적어도 한 면(14)을 덮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11)의 측면(16,17)의 가장자리 부분 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3)는 높이가 1㎜를 초과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약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본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지지부(11)의 각각의 면 위에서 하나씩 확장하는 두 날개부(20,21)를 포함하며, 이들은 지지부(11)의 두 대향 면들(12,13)에 지지부의 높이의 일부 및 상기 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걸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부는 밀봉 요소(3)의 돌출부(31,32)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두 날개부 (20,21)를 포함하고, 두 날개부로 지지부(11)의 각 면 상으로 일정 각도로 확장하며, 이들은 지지부(11)의 두 대향 면들(12,13)에 지지부의 높이의 일부 및 상기 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걸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부는 밀봉 요소(3)의 돌출부(31,32)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단일한 단편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플라스틱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거나,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및 상기 밀봉 요소(3)는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3)는 본체(10)의 지지부(11)에 클립-잠금(clip-fastening), 결합, 용접, 오버몰딩(overmolding)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3) 및 상기 본체(10)는 이중 사출 성형 기술(two-shot injection molding technique)을 이용하는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본체(10)의 각각의 날개부(20,21)는, 날개부의 측벽(24,25)으로부터 돌출하며, 날개부를 관통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핀과 같은 유지 시스템(retaining system)(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적어도 두 개의 중공 절단 단편 단부(5)와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고 절단 단편 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터(1)로 형성된 조립체로서,
    커넥터의 수용 공간(40,41) 각각은 개별적인 절단 단편 단부의 벽(50)을 수용하고, 밀봉 요소(3)는 상기 절단 단편 단부의 벽(50) 각각의 외면(50a)에 대해 밀봉 요소의 측면 돌출부(31,32)를 압착하고, 그로 인해 돌출부의 비스듬한 단부(33,34)를 통하여 예비하중을 발휘하며, 두 중공 단부는 커넥터의 본체와 조합하고 지지부(11)의 두 개의 대향 면(12,13)에 대하여 각각 접합되는,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3)의 측면 돌출부(31,32)는 절단 단편 단부 측벽의 외면 가장자리 부분 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본체(10)는 지지부(11)의 두 대향면으로부터 확장하는 두 날개부(20,21)가 장치되고, 상기 두 날개부는 두 개의 중공 절단 단편 단부(5) 내로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유지 시스템(26)이 장치되고, 상기 유기 시스템(26)은 커넥터의 본체 상의 소정의 위치에 중공 절단 단편 단부(5)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되는, 프레임.
  22. 제2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으로서,
    밀봉 요소(3)는 중공 절단 단편 단부와의 결합부에서 밀봉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절단 단편(들)은 프레임을 형성하고, 밀봉 요소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절단 단편 단부에서 덮여지며, 절단 단편(들)의 면은 액체, 기체 및 수증기에 대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글레이징 유닛.
  23. 제9항 또는 제10항에 따른 커넥터를 이용하여 두 개의 중공 절단 단편의 단부(5)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커넥터(1)는 커넥터의 날개부 중 하나를 통해 제1 절단 단편의 단부(5)의 중공 부분 내로 삽입되는 동시에, 밀봉 요소 지지부(11)에 대해 두 개의 절단 단편 단부가 접합될 때까지 미는 힘을 가함으로써 제2 절단 단편 단부(5)가 커넥터의 자유로운 대향 날개부 주위에 고정되고, 상기 밀봉 요소(3)는 밀봉 요소의 비스듬한 단부(33,34)에 의해 발휘되는 예비하중을 이용하여 적어도 외부 환경을 마주하도록 의도되는 면 상에서 절단 단편 단부들(5) 사이의 결합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단편의 단부를 연결하는 방법.
KR1020107007208A 2007-10-03 2007-10-03 두 개의 중공 프로파일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Ceased KR201000615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R2007/052069 WO2009043980A1 (fr) 2007-10-03 2007-10-03 Connecteur pour raccorder deux extremites creuses de prof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516A true KR20100061516A (ko) 2010-06-07

Family

ID=3958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208A Ceased KR20100061516A (ko) 2007-10-03 2007-10-03 두 개의 중공 프로파일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02824A1 (ko)
JP (1) JP5426557B2 (ko)
KR (1) KR20100061516A (ko)
CN (1) CN101815840B (ko)
CA (1) CA2696422A1 (ko)
UA (1) UA97416C2 (ko)
WO (1) WO2009043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09090B9 (de) 2011-01-21 2013-05-23 Technoform Glass Insulation Holding Gmbh Verbinder für Abstandshalter einer Isolierglaseinheit und Abstandshalteranordnung mit Verbinder für eine Isolierglaseinheit und Werkzeug für einen Verbinder
DE102012101550A1 (de) * 2012-02-27 2013-08-29 Cera Handelsgesellschaft Mbh Steckverbinder
CN103419972B (zh) * 2012-05-15 2015-05-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ic模块预加工设备的计数和对接的装置及方法
EP2792446B1 (de) * 2013-04-18 2015-07-01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Hohlprofilverbindung unter Anwendung des Reibrührschweissens
DE102018108650A1 (de) * 2018-04-11 2019-10-17 Cera Gmbh Montageteil
US11111678B2 (en) * 2019-08-19 2021-09-07 RAYVA International LLC Overlay cover and tensioning mechanism for a modular wall overl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2882A (en) * 1924-05-22 1925-04-07 Benjamin H Carpenter Coupling for rope
US1762766A (en) * 1928-03-24 1930-06-10 Altmar Steel Products Company Pipe sleeve
US1921642A (en) * 1931-07-08 1933-08-08 Frederick Snare Corp Pipe joint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2446924A (en) * 1945-12-19 1948-08-10 Kwikform Ltd Scaffolding
US2796624A (en) * 1956-04-18 1957-06-25 Harry E Speer Expansion joint for floor covering
US3000656A (en) * 1958-09-29 1961-09-19 Hollaender Mfg Company Pipe or tubing connector
US3512805A (en) * 1968-08-16 1970-05-19 Charles B Glatz Means for joining two conduits
US3727956A (en) * 1971-09-07 1973-04-17 Popeil Brothers Demountable handle assembly
US3796057A (en) * 1972-05-15 1974-03-12 Apf Corp Pile splicer with retaining means
US3886686A (en) * 1973-05-22 1975-06-03 Met L Wood Corp Door closure seal
IL45572A (en) * 1974-02-19 1977-01-31 Cassel J Connector for hollow structural elements
US3922101A (en) * 1974-09-09 1975-11-25 Jr Marshall C Sutherland Connector means for hollow rectangular tubing
US4059289A (en) * 1976-09-10 1977-11-22 Acorn Engineering Company Waste drain connection
US4105348A (en) * 1977-06-09 1978-08-08 Amco Engineering Company Building components
US4222209A (en) * 1978-02-27 1980-09-16 Peterson Metal Products, Ltd. Cornerpiece for use in multiple pane window
CA1153628A (en) * 1979-07-31 1983-09-13 Indal Limited / Indal Limitee Spacer for double glazed windows incorporating interlock means
DE3223524C2 (de) * 1982-06-24 1984-04-26 DUROTTERM Wichmann u. Ott GmbH, 2082 Uetersen Bausatz für Isolierverglasung
SE447503B (sv) * 1983-05-05 1986-11-17 Johansson Gert A Hornstycke for ramar
US4683634A (en) * 1985-10-18 1987-08-04 Cole Richard D Method of making an insulated window space assembly
US4691818A (en) * 1986-01-27 1987-09-08 The Laitram Corp. Concealed drive coupling for use with modular screw conveyor
US5127762A (en) * 1989-03-03 1992-07-07 Republic Tool & Mfg. Corp. Connector assembly
JPH076466Y2 (ja) * 1989-08-04 1995-02-15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並びにその取付け構造
US4974352A (en) * 1989-08-23 1990-12-04 Shwu Jen Chen Picture frame
ATE90999T1 (de) * 1989-10-13 1993-07-15 Chih Ching Liuo Eckverbindungsstruktur fuer zerlegbare schraenke.
US4993866A (en) * 1989-11-02 1991-02-19 Yoshichika Sugihara Connection fitting for a picture frame corner
US5112157A (en) * 1990-04-26 1992-05-12 Cooper Industries Flexible connector for curtain rods
US5144780A (en) * 1991-03-25 1992-09-08 Gieling Thomas G Portable structure
US5259687A (en) * 1991-05-23 1993-11-09 Home Fashions, Inc. Modular valance assembly
JPH05113078A (ja) * 1991-10-23 1993-05-07 Asahi Glass Co Ltd 複層ガラスの支持構造
US5149149A (en) * 1992-01-16 1992-09-22 Wu Wen C Pipe connecting device with bayonet and interlocking bushing structure
US5473853A (en) * 1993-09-16 1995-12-12 Bay Mills, Ltd. Corner assembly and frame comprising such assembly
US5454661A (en) * 1993-11-03 1995-10-03 Litvin; Charles Tubing connector
NL1003249C2 (nl) * 1996-05-31 1997-12-03 Nederland Ptt Buisconnector voor het verbinden van voor het daarin installeren van kabels bestemde buizen.
US6230385B1 (en) * 1996-11-01 2001-05-15 Premark Rwp Holdings, Inc. Molding affixed with wedged divider track
US6244012B1 (en) * 1999-01-20 2001-06-12 Glass Equipment Development, Inc. Muntin grid and joiner
NL1017200C2 (nl) * 2001-01-26 2002-07-29 Forest Group Nederland Bv Koppelelement voor gordijnrails.
DE20101486U1 (de) * 2001-01-29 2002-06-13 CERA Handelsgesellschaft mbH, 87600 Kaufbeuren Steckverbinder aus Kunststoff zur Verbindung von hohlen Abstandsprofilen und hohlen Sprossenprofilen eines Mehrscheibenisolierglases
US6752560B2 (en) * 2001-06-18 2004-06-22 Baker Hughes Incorporated Removable splined shaft end for submersible pumps
US6898914B2 (en) * 2003-05-02 2005-05-31 Peter Folsom Muntin grid assembly and mounting system
WO2004109129A1 (ja) * 2003-06-04 2004-12-16 Kokuyo Co., Ltd. 部材結合装置
JP4164752B2 (ja) * 2003-08-13 2008-10-15 旭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支持構造及び複層ガラス
FR2900218B1 (fr) * 2006-04-19 2010-08-13 Saint Gobain Connecteur pour raccorder deux extremites creuses de profile
CA2551252C (en) * 2006-06-22 2012-10-23 9031-1671 Quebec Inc. Hollow pipe connector
FR2905972B1 (fr) * 2006-09-20 2010-11-12 Saint Gobain Association a l'aide d'un connecteur, de deux extremites creuses de profiles en matiere synthetique
DE202006015739U1 (de) * 2006-10-13 2006-12-28 Schmitz, Werner Verbinder für Abstandshalterprofilleisten zwischen Isolierglasscheiben
CA2573823A1 (en) * 2007-01-12 2008-07-12 Gerard Therrien Connecting corner for screens
US7628113B2 (en) * 2007-04-18 2009-12-08 John D. Brush & Co., Inc. Water-resistant liner for a safe
US7883288B2 (en) * 2007-09-28 2011-02-08 Minnis & Samson Pty, Ltd. Connector
US7967401B2 (en) * 2009-01-21 2011-06-28 Li-Chung Hsu Systemic cabinet
US8028489B1 (en) * 2010-01-07 2011-10-04 Lawrence Barry G Framed window screen an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43980A1 (fr) 2009-04-09
CN101815840B (zh) 2012-05-09
JP2011502092A (ja) 2011-01-20
UA97416C2 (ru) 2012-02-10
JP5426557B2 (ja) 2014-02-26
CA2696422A1 (fr) 2009-04-09
CN101815840A (zh) 2010-08-25
US20100202824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1516A (ko) 두 개의 중공 프로파일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KR101269016B1 (ko)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유리 성분으로 구성된 복합 칸막이 유리와, 상기 복합 칸막이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US8250819B2 (en) Association of two hollow section ends made of plastic using a connector
KR950008989B1 (ko) 단부에 압착식 프로파일 스트립이 장착된 창유리
KR101651028B1 (ko) 차량 창을 위한 실링 장치,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US7118070B2 (en) Composite seal and window assembly
US20160001645A1 (en) Profile element for connecting a vehicle window pane to a cover part and profile element assembly
JPS59173476A (ja) 窓孔への窓ガラスの取付け部品
CN101228041A (zh) 用于把装饰性成形件固定在成形压条上的装置
US20090007511A1 (en) Window Unit Having Decorative Strip Mounted Thereon
CN1313696C (zh) 集成多窗格窗框和制造集成多窗格窗框的方法
US20080263973A1 (en) Spacer for Insulating Glass Pan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886565B (zh) 幕墙
US20080152849A1 (en) Insulating Glass Pane Comprising a Frame-Shaped Spacer
EP1847675A1 (fr) Connecteur pour raccorder deux extrémités creuses de profilé
RU2432440C1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сопряжения двух полых профильных концов
WO1983002973A1 (en) Spacer frame for an insulating glass panel
CN108425473B (zh) 后装装饰板的预制混凝土墙板及其制作方法
CN221340162U (zh) 密封条和车辆
CN108349354A (zh) 板片组件、尤其车身板片组件
CN103161242A (zh) 单元式幕墙
WO2005052272A1 (ja) カーテンウォール
GB2473941A (en) Metal gutter system
US20210188054A1 (en) Glazing assembly and forming method
JP5652709B2 (ja) グレージングチャンネル付き複層ガラス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9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2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