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19451A -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 - Google Patents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451A
KR20100019451A KR1020097024027A KR20097024027A KR20100019451A KR 20100019451 A KR20100019451 A KR 20100019451A KR 1020097024027 A KR1020097024027 A KR 1020097024027A KR 20097024027 A KR20097024027 A KR 20097024027A KR 20100019451 A KR20100019451 A KR 20100019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die
cross
hole
sheet me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오이시
데루오 아라미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원즈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원즈,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원즈
Publication of KR20100019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45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구멍을 뚫기 위한 박판 금속에 대면하는 단면(60)과, 이 단면(60)에서 개구됨과 동시에 이 단면(60)에서의 개구(61)로부터 펀치(13)가 삽입되는 관통공(62)과, 이 관통공(62)을 규정하는 내주면(63)을 구비하고 있고, 단면(60)과 내주면(63)은 관통공(62)의 단면(60)에서의 개구(61)에서 예각(θ)으로 서로 연접하고 있는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10).

Description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Thin plate metal punching die and thin plate metal punch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die}
본 발명은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제2005―26226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 제2002―153920호 공보
다이의 구멍 직경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는 원기동형 펀치 본체와 이 펀치 본체의 한쪽 단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추형 돌기를 가지는 펀치를 박판 금속에 눌러붙여 펀치의 돌기에 의해 박판 금속에 미리 돌파구멍을 뚫고, 돌파구멍에 삽입된 돌기에 의해 박판 금속의 이동을 규제한 상태에서 펀치 본체를 다이의 원형구멍에 그 다이의 원형구멍의 개구로부터 더 삽입함으로써 펀치 본체와 협동하여 다이의 원형구멍의 일단을 규정하는 다이 내주면의 원환형 테두리 주위에서 박판 금속을 파단시켜 박판 금속에 관통공을 형성하도록 한 구멍 뚫기 장치가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이러한 구멍 뚫기 장치에 의하면, 돌기에 의해 박판 금속의 위치결정을 행하 고, 전단력보다도 주로 인장력을 펀치 본체와 다이에 의해 박판 금속에 가하여 펀치 본체와 다이 사이에서 박판 금속을 당겨찢어 펀치 본체의 외주면 형상에 상당한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해 버어(burr) 없이 정확하게 관통공을 박판 금속에 형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판두께가 0.8 ㎜ 이상인 박판 금속의 경우에는 인장(당겨찢음)력에 의한 절단보다도 전단력에 의한 절단이 주가 되는 결과, 전단에 의한 큰 버어가 관통공 주위의 박판 금속의 한쪽 면에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 및 2에서 제안되는 구멍 뚫기 장치는 0.8㎜를 넘지 않는 판두께의 박판 금속에 적용하면 매우 유효하지만, 0.8㎜ 이상 판두께의 박판 금속의 경우에는 큰(높이가 높은) 버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아직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든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0.8㎜를 넘지 않는 박판 금속은 물론 0.8㎜ 이상의 박판 금속에 대해서도 버어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어 구멍 뚫기를 할 수 있는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는, 구멍을 뚫기 위한 박판 금속에 대면하는 단면(端面)과, 이 단면에서 개구됨과 동시에 이 단면에서의 개구로부터 펀치가 삽입되는 관통공과, 이 관통공을 규정하는 내주면을 구비하고 있고, 단면과 내주면은 관통공의 단면에서의 개구에서 예각(θ)으로 서로 연접하고 있다.
이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에 의하면, 단면과 내주면의 상호 연접이 예각(θ)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바꿔 말하면 다이의 날끝인 단면과 내주면의 상호 연접부가 예각(θ)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펀치와의 협동에 의해 박판 금속에 구멍을 뚫을 때 예각(θ)을 가지는 단면과 내주면의 상호 연접부에서 박판 금속에 매우 큰 집중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결과, 박판 금속의 신장을 최대한 억제하여 박판 금속을 단면과 내주면의 상호 연접부로 절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0.8㎜를 넘지 않는 판두께의 박판 금속은 물론 0.8㎜ 이상의 판두께의 박판 금속에 대해서도 버어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어 구멍 뚫기를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에서는, 단면은, 펀치의 축심에 대해 경사져 연장되어 있으며, 내주면은 펀치의 축심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경사져 연장된 단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내주면은 관통공의 단면에서의 개구에서 예각(θ)으로 서로 연접하고,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는, 단면은 펀치의 축심에 대해 직교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내주면은 펀치의 축심에 대해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직교하여 연장된 단면과 경사져 연장된 내주면은 관통공의 단면에서의 개구에서 예각(θ)으로 서로 연접한다.
예각(θ)은 가능한 한 작으면 좋지만, 너무 작으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날끝의 조기 열화,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5°∼87°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8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5°∼83°이다.
구멍 뚫린 박판 금속의 구멍 형상이 되는 개구는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타원형, 장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을 포함한 사각형, 다각형 또는 다른 형상이어도 좋고,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을 포함한 사각형 및 다각형 등의 모서리부(角部)를 가지는 형상인 경우에는 모서리부를 적절히 둥글게 해도 좋다.
본 발명의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는, 상기 어느 한 형태의 다이와, 다이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펀치를 구비하고 있고, 펀치는 축심에 평행하게 연장된 통면(筒面)을 가지는 기둥형 펀치 본체와, 다이를 관통공에 삽입하는 쪽 펀치 본체의 한쪽 단면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펀치 본체의 한쪽 단면은 돌기 저면(底面)을 둘러쌈과 동시에 축심에 직교하여 연장된 환형면과, 이 환형면의 환형 바깥테두리에서 통면의 환형 테두리까지 연장되는 만곡면을 구비하고 있고, 예각(θ)으로 서로 연접하고 있는 다이의 단면 및 내주면과 펀치 본체의 만곡면의 협동에 의해 박판 금속에 구멍을 뚫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이 및 이 다이를 사용한 본 발명의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는, 판두께가 0.8㎜를 넘는 박판 금속의 구멍 뚫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판두께가 0.8㎜ 이하인 박판 금속의 구멍 뚫기에 사용되어도 좋고 이 박판 금속의 구멍 뚫기에 사용되면 종래의 것에 비해 버어가 없는 매우 만족할만한 구멍 뚫린 박판 금속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펀치의 만곡면은 버어의 원인이 되는 전단의 효과를 줄이고 박판 금속을 보다 양호하게 인장 파단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O.1㎜ 내지 5㎜의 곡률 반경(R)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관통공을 규정하는 다이의 내주면에 대한 날끝 부위에서의 펀치 본체의 클리어런스로서의 차이는, 박판 금속의 두께를 t라고 하면 0.15t 이상이며 2㎜ 이하이면 좋다.
본 발명의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에 의해 구멍이 뚫리는 박판 금속은, 양호한 결과를 얻으려면 그 판두께가 0.4㎜ 내지 2.0㎜ 정도의 것이어야 하는데, 보다 양호한 결과를 얻으려면 그 판두께가 0.6㎜ 내지 1.6㎜ 정도의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0.8㎜를 넘지 않는 박판 금속은 물론 0.8㎜ 이상의 박판 금속에 대해서도 버어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어 구멍을 뚫을 수 있는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일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예에 사용한 펀치의 일부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펀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예에 사용한 펀치와 다이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예에 사용한 다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예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다이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다이의 다른 예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다이의 다른 예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다이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들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본 예의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1)는, 유압 램 등에 의해 승강되는 상형(上型) 홀더(2)와, 상형 홀더(2)에 고착된 압압판(3)과, 상형 홀더(2)에 탄성 부재(4)를 통해 매달려 있는 압압 패드(5)와, 압압 패드(5)에 볼트(6) 등을 통해 고착된 펀치 유닛으로서 구성된 펀치 홀더(7)와, 구멍 뚫기 가공이 이루어지는 얇은 박판 금속(8)이 놓이는 하형(下型)(9)과, 하형(9)에 매설된 다이(10)를 구비하고 있다.
펀치 홀더(7)는, 압압 패드(5)에 볼트(6) 등으로 고착된 원통형 케이스(11)와, 케이스(11)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원통형 슬라이더(12)와, 슬라이더(12) 안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펀치(13)와, 슬라이더(12) 안에 배치됨과 동시에 펀치(13)를 통해 슬라이더(12)를 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펀치(13) 및 슬라이더(12)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 스프링(14)을 구비한 복귀 수단과, 펀치(13)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케이스(11)에 마련된 슬라이딩 안내 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12)는 오목부(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코일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스(1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케이스(11)에 고착된 빠짐 방지 핀(22)에 오목부(21)에서 걸어맞춤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형 홀더(2)의 하강시에 압압판(3)에 의해 아래쪽으로 압압되도록 되어 있다.
박판 금속(8)의 구멍 뚫기용 펀치(13)는 원기동형 펀치 본체(25)와, 펀치 본체(25)의 한쪽 단면인 원형 단면(26)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돌기(27)와, 펀치 본체(25)의 다른 쪽 단면인 원형 단면(28)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턱(29)을 구비하고 있다.
펀치 본체(25)는 축심(31)에 평행하게 연장된 통면으로서의 원통면(32)과, 축심(31)에 직교하여 연장된 원환형면(33)과, 원환형면(33)의 바깥테두리에서 원통면(32)의 바깥테두리까지 연장되는 만곡면(34)을 구비하고 있으며, 펀치 본체(25)의 직경D1(=2×r1)은 1㎜ 내지 25㎜, 1㎜ 내지 1O㎜ 또는 1㎜ 내지 5㎜의 범위로서, 만곡면(34)의 곡률 반경(r2)은 0.1㎜ 내지 5㎜의 범위이다.
돌기(27)는 펀치 본체(25)의 한쪽 원형 단면(26)에 그 원형 단면(26)과 동심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그 원형 단면(26)의 직경(D1)보다도 작은 직경(D3=2×r3)를 가지는 원형 저면(41) 및 원형 꼭대기면(42)에 그 원형 저면(41)을 가지고 일체적으로 마련된 높이 h의 원기동형부(43)와, 원기동형부(43)의 원형 꼭대기면(42)에 그 원형 꼭대기면(42)와 동심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그 원형 꼭대기면(42)의 직경(D3)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형 저면(44)을 가지고 그 원형 저면(44)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원추형부(45)를 구비하고 있고, 원기동형부(43)의 원형 저면(41)은 펀치 본체(25)의 원환형면(33)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상의 펀치(13)에서 펀치 본체(25)의 반경을 r1(=D1×1/2), 만곡면(34)의 곡률 반경을 r2, 원기동형부(43)의 반경을 r3(=D3×1/2), 원기동형부(43)의 높이를 h, 구멍을 뚫기 위한 박판 금속(8)의 판두께를 t라고 한 경우, r3<r1―r2이며, h>t+r3이다.
코일 스프링(14)은 일단에서는 턱(29)에 타단에서는 슬라이딩 안내 부재(15)의 플랜지부(51)에 접촉하며, 슬라이딩 안내 부재(15)는 플랜지부(51)에 추가하여 플랜지부(51)와 일체임과 동시에 케이스(11)의 구멍(52)에서 그 케이스(11)에 끼워져 장착된 원통부(53)를 가지고 있으며, 원통부(53)의 내주면에서 펀치(13)의 펀치 본체(25)의 하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고 있다.
다이(10)는 구멍을 뚫기 위한 박판 금속(8)에 대면하는 환형의 단면(60)과, 단면(60)에 개구됨과 동시에 단면(60)에서의 개구(61)로부터 펀치(13)의 펀치 본체(25)가 삽입되는 관통공으로서의 원형구멍(62)과, 원형구멍(62)을 규정하는 내주면(63)과, 원형구멍(62)과 연속됨과 동시에 원형구멍(62)보다도 큰 직경이며 펀치 칩(64)(도 9 참조)을 배출하는 원형구멍(65)과, 원통형 외주면(66)을 가지고 있다.
원뿔대 외면이 되는 단면(60)은 펀치(13)의 축심(31)에 대해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원통면이 되는 내주면(63)은 펀치(13)의 축심(3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경사져 연장된 단면(60)과 평행하게 연장된 내주면(63)은 원형구멍(62)의 단면(60)에서의 개구(61)에서 예각(θ)으로 서로 연접하고, 이에 따라, 다이(10)는 개구(61)에서 예각(θ)의 날끝(67)을 갖게 된다.
원형 단면(26)의 직경(D1)에 대한 원형구멍(62)의 직경(D4)의 비(D1/D4)는 0.80 이상이며, 구멍을 뚫기 위한 박판 금속(8)의 두께를 t라고 하면, 원형 단 면(26)의 반경(r1=D1×1/2)과 다이(10)의 원형구멍(62)의 반경(r4=D4×1/2)의 차이(클리어런스)(f)는 0.15t 이상이며 2㎜ 이하이고, 다이(10)는 외주면(66)에서 하형(9)에 끼워져 부착되어 매설되어 있다.
이상의 구멍 뚫기 장치(1)에서는, 상형 홀더(2)의 하강과 함께 압압판(3), 압압 패드(5) 및 펀치 홀더(7)가 하강되면, 하형(9)에 놓인 박판 금속(8)이 압압 패드(5)에 의해 압압되어 하형(9)과 압압 패드(5) 사이에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슬라이더(12)가 압압판(3)에 밀리고, 슬라이더(12)의 밀림과 동시에 펀치(13)가 하강하고, 펀치(13)의 하강으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돌기(27)의 원추형부(45)에 의해, 그리고 계속해서 원기동형부(43)에 의해 박판 금속(8)에 돌파구멍(71)이 뚫리고, 돌파구멍(71)에 삽입된 돌기(27)의 원기동형부(43)에 의해 박판 금속(8)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펀치(13)가 더욱 하강되어 다이(10)의 원형구멍(62)에 펀치(13)의 펀치 본체(25)가 삽입되면, 원형 단면(26)의 원환형면(33)에 접촉한 박판 금속(8)이 그 원환형면(33)에 눌려 펀치 본체(25)의 하강과 함께 하강되고, 이 하강에서, 원형 단면(26)의 만곡면(34)과 다이(10)의 날끝(67)에서 그 사이에 있는 박판 금속(8)이 인장되어 신장되고, 그 후 다이(10)의 날끝(67)쪽에서 박판 금속(8)은,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전단과 함께 당겨찢어져 파단되고, 박판 금속(8)이 다이(10)의 날끝(67)쪽에서 파단된 후,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펀치(13)는 상승되는 한편, 펀치 칩(64)은 원형구멍(65)을 통해 배출되고, 이렇게 해서 박판 금속(8)에는 관통공(72)이 형성된다.
그런데 다이(10)에서는 단면(60)과 내주면(63)의 상호 연접이 예각(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다이(10)의 날끝(67)이 예각(θ)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펀치(13)의 펀치 본체(25)와의 협동에 의해 박판 금속(8)에 구멍을 뚫을 때에 예각(θ)을 가지는 단면(60)과 내주면(63)의 상호 연접부에서 박판 금속(8)에 매우 큰 집중 응력을 발생시키는 결과, 날끝(67) 근방의 박판 금속(8)의 신장을 최대한 억제하여, 박판 금속(8)을 단면(60)과 내주면(63)의 상호 연접부에 의해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0.8㎜를 넘지 않는 판두께의 박판 금속은 물론 0.8㎜ 이상의 판두께의 박판 금속에 대해서도 버어의 발생을 충분히 억제하여 구멍을 뚫을 수 있다.
또한, 예각(θ)으로 서로 연접하고 있는 단면(60) 및 내주면(63)과 만곡면(34)의 협동에 의해 박판 금속(8)에 구멍 뚫기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구멍 뚫기 장치(1)에서는, 돌기(27)가 펀치 본체(25)의 한쪽 원환형면(33)에 원형 저면(41) 및 원형 꼭대기면(42)을 가지고 일체적으로 마련된 원기동형부(43)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돌기(27)의 원추형부(45) 끝단의 원추각을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얻을 수 있도록 크게 함과 동시에 돌기(27)에 의해 돌파구멍(71)이 형성된 후 돌파구멍(71)으로부터 돌기(27)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기(27) 전체를 높이더라도, 돌기(27)의 원기동형부(43)의 원형 저면(41)을 둘러싸고 있음과 동시에 축심(31)에 직교하여 연장된 원환형면(33)을 충분한 넓이로 펀치 본체(25)의 원형 단면(26)에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펀치 본체(25)와 협동하여 다이(10)의 날끝(67) 주위에서 박판 금속(8)을 확실하게 파단시켜 박판 금속(8)에 관통공(72)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만곡면(34)이 0.1㎜ 내지 5㎜의 곡률 반경(r2)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버어의 원인이 되는 전단의 효과를 줄여 박판 금속(8)을 보다 양호하게 인장 파단시킬 수 있으며, 덧붙여 비(D1/D4)가 0.80 이상이고 차(f)가 0.15t 이상이므로, 다소의 전단에 추가하여 주로 인장 파단을 일으켜 효과적으로 박판 금속(8)에 관통공(72)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진 단면(60)을 가지고 있는 다이(10)에 의하면, 박판 금속(8)의 형상에 대응시켜 단면(60)을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구멍 뚫기 장치(1)에서는 펀치(13)를 상하 이동시켜서 관통공(72)을 형성하였으나, 펀치(13)를 비스듬히 이동시켜 박판 금속(8)의 경사부에 관통공(72)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다이(10)에서는, 예각(θ)의 날끝(67)을 펀치(13)의 축심(31)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한 단면(60)으로 구체화하였으나, 그 대신에 또는 그와 함께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내주면(63)을 펀치(13)의 축심(31)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시켜 원뿔대 내면으로 하고, 단면(60)과 내주면(63)을 원형구멍(62)의 단면(60)에서의 개구(61)에서 예각(θ)으로 서로 연접시켜도 좋고, 이 경우, 단면(60)을 펀치(13)의 축심(31)에 대해 직교하여 연장시켜도 좋다.
개구(61)는 상기 예에서는 원형이지만, 그 대신에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모서리부가 둥근 사각형이어도 좋고,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장원형이어도 좋고, 기타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다각형이어도 좋다.
또, 상기 예의 다이(10)에서는 원형구멍(65)을 원형구멍(62)에 연속하여 형성했으나,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원형구멍(62)과 원형구멍(65) 사이에 원형구멍(62)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은 직경인 동시에 원형구멍(62)과 동심이며 펀치 본체(25)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의 원형구멍(75)를 개재시켜, 관통공(72) 형성 후 펀치(13)의 하강시에 펀치 칩(64)을 원형구멍(75)까지 밀어내고, 펀치 칩(64)의 원형구멍(75)까지 밀어낸 후 펀치(13)가 상승할 때, 펀치 칩(64)이 원형구멍(75)을 규정하는 다이(10)의 내주면(76)에 걸려 펀치(13)에 이끌려 상승하지 않고 확실하게 원형구멍(65)으로 배출되도록 해도 좋다.

Claims (8)

  1. 구멍을 뚫기 위한 박판 금속에 대면하는 단면(端面)과, 이 단면에서 개구됨과 동시에 이 단면에서의 개구로부터 펀치가 삽입되는 관통공과, 이 관통공을 규정하는 내주면을 구비하고 있고, 단면과 내주면은 관통공의 단면에서의 개구에서 예각(θ)으로 서로 연접(連接)하고 있는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2. 제1항에 있어서,
    단면은 펀치의 축심에 대해 경사져 연장되어 있으며, 내주면은 펀치의 축심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경사져 연장된 단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내주면은 관통공의 단면에서의 개구에서 예각(θ)으로 서로 연접하고 있는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면은 펀치의 축심에 대해 직교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내주면은 펀치의 축심에 대해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직교하여 연장된 단면과 경사져 연장된 내주면은 관통공의 단면에서의 개구에서 예각(θ)으로 서로 연접하고 있는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각(θ)은 45°∼87°인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각(θ)은 65°∼85°인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각(θ)은 75°∼83°인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구는 원형, 타원형, 장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인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이와, 다이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펀치를 구비하고 있고, 펀치는 축심에 평행하게 연장된 통면(筒面)을 가지는 기둥형 펀치 본체와, 다이의 관통공에의 삽입측의 펀치 본체의 한쪽 단면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펀치 본체의 한쪽 단면은, 돌기 저면을 둘러쌈과 동시에 축심에 직교하여 연장된 환형면과, 이 환형면의 환형 바깥테두리로부터 통면의 환형 테두리까지 연장되는 만곡면을 구비하고 있고, 예각(θ)으로 서로 연접하고 있는 다이의 단면 및 내주면과 펀치 본체의 만곡면의 협동에 의해 박판 금속에 구멍을 뚫기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KR1020097024027A 2007-05-22 2008-05-22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 Ceased KR20100019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36049 2007-05-22
JP2007136049A JP5141093B2 (ja) 2007-05-22 2007-05-22 薄板金属孔明け用のダイス及びこのダイスを具備した薄板金属用孔明け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110A Division KR20120084785A (ko) 2007-05-22 2008-05-22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451A true KR20100019451A (ko) 2010-02-18

Family

ID=400315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110A Ceased KR20120084785A (ko) 2007-05-22 2008-05-22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
KR1020097024027A Ceased KR20100019451A (ko) 2007-05-22 2008-05-22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110A Ceased KR20120084785A (ko) 2007-05-22 2008-05-22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212388A1 (ko)
EP (1) EP2153915B1 (ko)
JP (1) JP5141093B2 (ko)
KR (2) KR20120084785A (ko)
CN (2) CN101687243B (ko)
CA (2) CA2785962C (ko)
ES (1) ES2524641T3 (ko)
WO (1) WO2008142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9230B2 (ja) * 2009-01-22 2014-04-02 株式会社ワンズ 薄板金属の孔開け装置及びその方法
JP5857446B2 (ja) * 2011-05-18 2016-02-10 株式会社ワンズ 薄板金属の孔明け用のパンチユニット及びこのパンチユニットを具備し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
EP2610019A1 (de) 2011-12-28 2013-07-03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Werkzeugmatrize für eine Werkzeugeinheit
JP5799992B2 (ja) * 2013-08-15 2015-10-28 株式会社ワンズ 薄板金属の孔開け装置
US10562091B2 (en) * 2014-01-29 2020-02-18 Nippon Steel Corporation Burring method and burring apparatus
CN103950068A (zh) * 2014-05-06 2014-07-30 天津市鑫泰达机械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液压冲切设备
CN105583287A (zh) * 2014-11-17 2016-05-18 昌河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气动冲孔机构
JP5967180B2 (ja) * 2014-12-09 2016-08-10 株式会社ワンズ 薄板金属孔明け用のパンチ及びこれを用い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
EP3112042B1 (de) * 2015-06-30 2019-05-01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Stanzwerkzeug und stanzverfahren
CN112385069A (zh) * 2018-07-13 2021-02-19 日立造船株式会社 全固态二次电池的制造设备
CN109013850A (zh) * 2018-08-22 2018-12-18 安徽信息工程学院 提高板件冲孔精度符合率的工艺方法
JP7560330B2 (ja) * 2020-11-16 2024-10-02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ナット
CN113263101A (zh) * 2021-06-24 2021-08-17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卡车纵梁落料冲孔模具
CN113954173B (zh) * 2021-11-02 2023-09-26 四川海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智能化印制板的冲裁装置及其方法
CN115846501B (zh) * 2022-08-05 2023-12-01 江苏冠安机电有限公司 一种高耐磨型金属切边模
CN115780653B (zh) * 2023-02-03 2023-04-18 新乡职业技术学院 一种电池组外壳盖板冲压模具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468A (en) * 1909-01-21 1909-11-09 Edward D Boyce Forming-dies.
US2031024A (en) * 1935-01-14 1936-02-18 Gustaf R Ahlquist Punch
US2212886A (en) * 1938-07-01 1940-08-27 Fred F Ruland Cutting tool
US2323756A (en) * 1942-06-05 1943-07-06 Claude A Benjamin Punch mounting
US5722139A (en) * 1981-01-28 1998-03-03 Multifastener Corporation Installation apparatus for attaching a fastener to a panel
JPS5825816A (ja) * 1981-08-08 1983-02-16 Nippon Light Metal Co Ltd 金属板のすべり止め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S5946699U (ja) * 1982-09-17 1984-03-28 田中印刷興業株式会社 切り刃付きプレス金型
US4526077A (en) * 1983-07-21 1985-07-02 Detroit Punch & Retainer Corporation Heavy duty punch
JPS62292398A (ja) * 1986-06-11 1987-12-19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打抜金型
JPH0399728A (ja) * 1989-09-11 1991-04-24 Toyota Motor Corp せん断型
JPH03110026A (ja) * 1989-09-26 1991-05-10 Joji Hasegawa 穿孔装置
JPH05169149A (ja) * 1991-12-20 1993-07-09 Metal Tec Kk バリなしパンチングメタルの製造装置
JP2909714B2 (ja) * 1995-08-04 1999-06-23 純宏 後藤 穴あけ用のダイス
US6109086A (en) * 1999-06-24 2000-08-29 Daimlerchrysler Corporation Punch and method for forming slugless pierced conical extrusions
JP4556326B2 (ja) 2000-11-19 2010-10-06 株式会社ワンズ 薄板金属のプレス穴あけ方法及びプレス金型
JP2002273530A (ja) * 2001-03-16 2002-09-25 Nakamura Seisakusho Kk 打ち抜き加工装置
WO2003106066A1 (ja) * 2002-06-18 2003-12-24 株式会社アマダ ダイ及びダイ装置
US8087333B2 (en) * 2002-12-17 2012-01-03 Ones Co., Ltd. Method for press punching a hole in sheet metal and press die
ITMI20030218A1 (it) * 2003-02-07 2004-08-08 Salvagnini Italia Spa Testa operatrice multipressa per macchina punzonatrice a controllo numerico per fogli di lamiera
US20060107721A1 (en) * 2003-04-30 2006-05-25 Masatoshi Oishi Punch for punching sheet metal and apparatus for punching sheet metal having the punch
JP3909714B2 (ja) * 2003-09-18 2007-04-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予備吐出制御方法
JP4775782B2 (ja) 2004-03-17 2011-09-21 株式会社ワンズ 孔明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7243A (zh) 2010-03-31
CA2686479A1 (en) 2008-11-27
CA2785962A1 (en) 2008-11-27
CN101687243B (zh) 2012-02-22
EP2153915B1 (en) 2014-08-27
US20100212388A1 (en) 2010-08-26
EP2153915A1 (en) 2010-02-17
WO2008142870A1 (ja) 2008-11-27
CA2686479C (en) 2013-07-09
CN102319793A (zh) 2012-01-18
CA2785962C (en) 2016-10-04
JP2008290088A (ja) 2008-12-04
EP2153915A4 (en) 2013-08-28
JP5141093B2 (ja) 2013-02-13
ES2524641T3 (es) 2014-12-10
KR20120084785A (ko)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9451A (ko) 박판 금속 구멍 뚫기용 다이 및 이 다이를 구비한 박판 금속용 구멍 뚫기 장치
KR101165391B1 (ko) 박판 금속의 펀칭용의 펀치 및 이 펀치를 구비한 박판금속의 펀칭 장치
JP2008155216A (ja) 薄板金属の孔明け用のパンチ及びこのパンチを具備し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並びにその方法
JP2005262263A (ja) 孔明け装置
WO2009153833A1 (ja) 薄板金属の孔明け用のパンチ及びこのパンチを具備し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並びにその方法
JP2009279642A (ja) バーリング金型、バーリングパンチ及びバーリング加工方法
JP4830759B2 (ja) 薄板金属の孔明け用のパンチ及びそのパンチを具備し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並びに薄板金属の孔明け方法
JP5678933B2 (ja) 薄板金属の孔明け用のパンチを具備し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
JP4985174B2 (ja) 薄板金属の孔開け装置及びその方法
JP5794611B2 (ja) 薄板金属孔明け用のパンチ及びこれを用い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
JP5577666B2 (ja) 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ダイス
JP5967180B2 (ja) 薄板金属孔明け用のパンチ及びこれを用い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
JP5459230B2 (ja) 薄板金属の孔開け装置及びその方法
JP5799992B2 (ja) 薄板金属の孔開け装置
JPH0252124A (ja) バーリング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6664629B1 (ja) 金型のダイ
JP5857446B2 (ja) 薄板金属の孔明け用のパンチユニット及びこのパンチユニットを具備した薄板金属の孔明け装置
CN118023389A (zh) 一种防跳料方法
JP2013013901A (ja) 穴抜きパンチ
JP2008137051A (ja) パンチ金型
JP2004230420A (ja) 曲面を有する部材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20611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4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1125

Appeal identifier: 2012101009398

Request date: 20121102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11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6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072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102

Effective date: 2013112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11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21102

Decision date: 20131125

Appeal identifier: 2012101009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