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80116A - 차량용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0116A
KR20090080116A KR1020097011799A KR20097011799A KR20090080116A KR 20090080116 A KR20090080116 A KR 20090080116A KR 1020097011799 A KR1020097011799 A KR 1020097011799A KR 20097011799 A KR20097011799 A KR 20097011799A KR 20090080116 A KR20090080116 A KR 20090080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
latch
preliminary
stop notch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227B1 (ko
Inventor
외르크 베르크한
한스-귄터 카이저
위르겐 모치겜바
엑카르트 슐러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8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2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42Means for damping the movement of lock parts, e.g. slowing down the return movement of a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40Lock elements covered by silencing layers, e.g.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05B81/68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det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6Sliding
    • Y10T292/1014Operating means
    • Y10T292/1021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물쇠 및 상기 자물쇠와 상호작용하는 폐쇄 부재로 이루어진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물쇠는 캐치(10) 및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치(10)는 폐쇄 부재를 위한 수용부(19) 및 둘레방향으로 볼 때 하나의 계단식의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계단식의 프로파일은 래치 상의 차단 위치를 위한 예비 멈춤 노치(13) 및 메인 멈춤 노치(14)를 발생시킨다. 상기 캐치(10)는 적어도 3개의 회전 위치 사이에서, 즉 개방 위치, 예비 캐치 위치 및 메인 캐치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고장 없이 잠금 장치를 작동하기 위해, 예비 멈춤 노치(13) 및 메인 멈춤 노치(14)가 캐치(10)의 회전축(11)에 대해 서로 상이한 반지름 간격(47, 48)으로 배치되도록 제안된다. 센서는 한편으로는 예비 캐치 위치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메인 캐치 위치에서 주어지는 상이한 반지름 간격을 검출하며 상기와 같이 검출된 반지름 간격은 제어부에 전송된다. 제어부는 센서의 통지에 따라 차량 내 정해진 기능을 실행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잠금 장치 {LATCH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제시된 유형의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잠금 장치는 차량의 가동성 부분과 고정 부분 사이에, 즉 차량의 도어 또는 플랩과 차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자물쇠(lock)는 차량의 가동성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 상기 자물쇠와 상호 작용하는 폐쇄 부재는 차량의 고정 부분에 장착된다.
자물쇠의 주요 구성 부품은 회전하는 캐치 및 상기 캐치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받는 선회하는 래치이다. 래치와 캐치의 상호작용에 의해 캐치는 적어도 3개의 회전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데, 상기 3개의 회전 위치를 더 상세하게 기술하면 개방 위치, 예비 캐치 위치(pre-catch position) 및 메인 캐치 위치(main catch position)이다. 주어진 하나의 센서는 예비 캐치 위치를 모니터링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며 그리고 나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의 정해진 기능들을 작동시킨다. 이를 위해서는 예컨대 당김-보조 수단의 전원 연결이 필요하며, 이러한 당김-보조 수단의 구동은 회전 캐치를 예비 캐치 위치에서 메인 캐치 위치로 전환하고, 상기 메인 캐치 위치에 있을 때 도어는 자물쇠 및 폐쇄 부재에 의해 차체에 대해 최종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실제로는 회전 캐치가 3개의 회전 위치 중 하나의 회전 위치로 정확히 도달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되는데, 그로 인해 센서가 작동하지 않으며 도어 상에서는 원하는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제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언급된 유형의 잠금 장치를 개발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제시된 조치들에 의해서 달성되며, 이는 하기에서 설명된다.
예비 멈춤 노치(pre-stop notch) 및 메인 멈춤 노치(main stop notch)는 확연히 서로 다른 반지름 간격에 존재하므로, 유효 반지름 간격의 규정은 센서에 의해 명확히 결정될 수 있으며, 그런 경우 상기 센서는 원하는 기능이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부를 조정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동은 캐치 상에 제공된 계단식의 프로파일의 개별 섹션에서 반지름 간격이 일정할 경우에 유효하다. 이러한 일정한 반지름 간격은 한편으로는 예비 멈춤 노치 앞에 있는, 계단식의 프로파일의 출발 섹션에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예비 멈춤 노치와 메인 멈춤 노치 사이에 있는, 계단식의 프로파일의 중간 섹션에 존재할 수 있다.
반지름 간격의 규정은 캐치 상에서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상기 반지름 간격의 규정이 래치에 의해 간접적으로 실행되도록 제안한다. 캐치의 서로 다른 3개의 회전 위치에 상응하게 래치는 서로 다른 각도로 기울어지는 3개의 유사 선회 위치에 이른다. 래치의 선회 위치들은 회전 캐치의 회전 위치들을 정확히 재현하기 때문에, 제어부는 회전 캐치 상에서 원하는 동력구동식 이동들을 정확히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오작동들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조치들 및 장점들은 종속항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제시된다. 도면들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물쇠의 캐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Ⅱ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을 추가로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자물쇠의 주요 구성 부품들을 상이한 위치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며, 상기 자물쇠 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캐치가 존재하며, 더 정확히 설명하면, 도 3에는 캐치의 개방 위치, 도 4에는 캐치의 예비 캐치 위치 및 도 5에는 캐치의 메인 캐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차량의 가동성 부분에 배치되는 자물쇠(30)를 포함하는 도어의 섹션(4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자물쇠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주요 핵심 구성 부품들은 캐치(10)와 래치(20)로 구분될 수 있다. 회전 캐치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자물쇠 하우징 내의 하나의 고정 축(11) 상에서 회전한다. 래치(20)도 마찬가지로 래치(20)를 선회시키기 위한 하나의 고정 축(21)을 갖는다. 아울러,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반동스프링에 의해 캐치(10)는 회전 화살표(12) 방향으로 힘 하중을 받고, 래치(20)는 회전 화살표(22) 방향으로 힘 하중을 받는다. 회전 화살표(12)의 힘 하중으로 인해 캐치(10)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회 전 스토퍼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소정의 제 1 회전 위치에서 멈추게 되며, 도 3에서 보조라인(10.1)으로 표시된 상기 제 1 회전 위치는 "개방 위치"로 표기될 수 있다. 둘레영역에서 회전 캐치(11)는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을 가지며, 상기 계단식의 프로파일은 예비 멈춤 노치(13) 및 메인 멈춤 노치(14)를 가진다.
래치(20)는 차단 위치(23) 및 지지 위치(24)를 가지며, 상기 차단 위치 및 지지 위치는 더 상세히 기술하면 캐치(10)의 계단식의 프로파일(15)과 상호작용한다. 래치(20)는 캐치(10)의 개별 회전 위치를 정하는 자물쇠(30)의 수동 부재이며, 캐치는 자물쇠(30)의 능동 부재이다. 도 3에서 차단 위치(23)는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출발 섹션(16) 상에서 지지되며, 상기 출발 섹션은 회전방향(12)으로 볼 때 캐치(10)의 예비 멈춤 노치(13) 앞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캐치(10)는 자유롭다. 도어(40)는 차량의 차체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또한, 캐치(10)는 폐쇄 부재(51)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폐쇄 부재는 예컨대 차체에 고정 장착되어 있는 볼트로 이루어지며, 그 중에서 도 3에는 섹션(5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캐치(10)는 폐쇄 부재(51)를 위한 수용부(19)를 가진다. 도어가 개방될 경우, 폐쇄 부재(51)는 수용부(19)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동 가능한 도어(40)와 고정된 폐쇄 부재(51) 사이의 상대 운동은 도 3에서 폐쇄 부재(51)의 화살표(52)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이러한 상대 운동 시 폐쇄 부재(51)는 U자형으로 형성된 수용부(19)의 긴 측벽(31)에 충돌하여 캐치(10)에 토크(torque)를 가하게 되는데, 상기 토크는 캐치의 힘 하중(12)과 반대이다. 이러한 경우 도 3에 이동 화살표(32)로 표시된 캐치(10)의 회전 공정이 시작되며, 이때 캐치는 자신의 힘 하중(12)과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제 2 회전 위치(10.2)로 전환된다.
도 4에서 캐치(10)는 예비 캐치 위치(10.2)에 존재하고, 이때 래치(20)의 차단 위치(23)는 앞서 언급한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예비 멈춤 노치(13)의 뒤로 맞물린다. 이러한 경우 폐쇄 부재(51)는 이미 수용부(19)의 짧은 측벽(3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고정될 정도로 멀리 뒤로 맞물려 있다. 이때 도어는 차체에 대해 예비-폐쇄 위치에 존재한다. 캐치(10)의 예비 캐치 위치(10.2)에서는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다른 섹션(17)이 작동된다. 그로 인해 차량 내의 정해진 기능, 즉 당김-보조 수단이 작동되며, 상기 당김-보조 수단은 캐치(10)를 도 5에 도시된 캐치의 또 다른 회전 위치(10.3)로 전환하고, 상기 회전 위치는 "메인 캐치 위치"로 표기될 수 있다.
이전에는 메인 캐치 위치(10.3)에서 수용부(19)가 폐쇄 부재(51)와 종동하였다. 그러나 이제 캐치(20)의 차단 부재(23)는 캐치(10)의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메인 멈춤 노치(14)의 뒤로 맞물린다. 이때 도어는 자신의 최종-폐쇄 위치에 존재한다. 예비 캐치 위치(10.2)에서 시작된 당김-과정이 종결되는데, 그 이유는 도 4에서 회전 화살표(32')로 표시된 동력구동식 회전이 멈추기 때문이다. 캐치(10)의 회전 위치(10.1 내지 10.3)에 따른 원하는 기능들의 스위치-온(ON) 및 스위치-오프(OFF)는 앞서 언급한 특정 방식으로 형성된 캐치(10)의 계단식의 프로파일(15)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계단식의 프로파일은 센서(35)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모니터링된다. 상기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특정한 형태는 도 1에 가장 잘 제시되어 있다.
캐치(10)의 둘레영역 내에 배치된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은 3개의 프로파일 섹션(16 내지 18)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개의 프로파일 섹션은 캐치-회전축(11)에 대해 서로 상이한 반지름 간격(46 내지 48)을 가진다. 도 3에 따른 캐치(10)의 개방 위치(10.1)에서는 래치(20)를 위한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출발 섹션(16)이 작동되고, 상기 출발 섹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회전축(11)으로부터 큰 반지름 간격(46)을 가진다. 상기 반지름(46)은 출발 섹션(16)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하다.
도 4에 따른 캐치(10)의 멈춤 캐치 위치(10.2)에서는 래치(20)를 위한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중간 섹션(17)이 작동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 섹션은 캐치-회전축(11)에 대해 상기 반지름 간격(46)보다 더 작은 반지름 간격(47)을 가진다. 도 2에서 (37)로 표시된, 예비 멈춤 노치(13)에 바로 연속하는 스타트 섹션을 제외하면, 프로파일-중간 섹션(17) 또한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일정한 반지름(47)을 갖는다. 도 2에서 확대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스타트 섹션(37)은 프로파일-중간 섹션(17)의 연속 잔여 섹션(39) 내에 도시되는 반지름 간격(47)에 비해 반지름차이(38)만큼 감소한다. 그로 인해 결합 시에는 래치-차단 위치(23)의 자유 단부가 예비 멈춤 노치(13) 옆의 프로파일 경계면에 충돌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예비 멈춤 노치(13)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스타트 섹션(37)의 함몰된 반지름 간격은 연속 섹션(39) 내의 전술한 전체 반지름 간격(47)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도 1에 의하면 (18)로 표시된, 캐치(10)의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최종 섹션은 메인 멈춤 노치(14)에 연속한다. 도 5에 도시된 래치의 결합 위치로서 사용되는 메인 멈춤 노치(14)는 도 1에서 (48)로 표기되는 가장 작은 반지름 간격을 갖는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메인 멈춤 노치(14)는 수용부(19)의 한 긴 측벽(31)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를 이용하여 폐쇄 부재(51)는 도 3에 도시되어 이미 기술된 도어의 폐쇄 운동(52) 시 삽입된다. 수용부(19)로 인하여 메인 멈춤 노치(14)에서 작용하는 반지름(48)은 더 이상 물리적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그런 경우 차단 위치(23) 상의 최대 결합 깊이는 앞서 언급한 래치(20)의 추가 지지 위치(24)를 결정한다. 도 5의 메인 캐치 위치(10.3)에 있을 때 지지 위치(24)는 출발 섹션(16)의 둘레반지름(46)에 인접한다.
이미 언급되었던 바와 같이, 상이한 반지름 간격들(46 내지 48)은 센서(35)에 의해 모니터링되며, 상기 센서는 추후에 캐치(10)의 상이한 회전 위치들(10.1 내지 10.3)에 상응하게 차량 내의 여러 기능들을 개시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래치의 3개의 선회 위치(20.1 내지 20.3)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상기와 같은 차량 내의 기능들의 구동은 본 발명에서는 래치(20)에 의해 간접적으로 일어난다.
도 3에 따른 개방 위치(10.1)에서 래치(20)는 정지 위치(20.1)에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센서(35)는 실시예에서 한 쌍의 누름 스위치(34, 36)로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 스위치는 래치(2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는 방사형 캠(25)(radial cam)과 상호작용한다. 방사형 캠(25)은 곡선의 연장된 암(27)에 장착된다. 두 누름 스위치(34, 36)는 자물쇠 하우징 내의 고정 위치(29) 에 장착되어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전기구동식 제어부를 갖는 고정 위치의 전기 단자(41 또는 43)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의 언급된 원하는 기능들을 작동한다. 누름 스위치(34)에 속하는 누름 부재(42)는 방사형 캠(25)의 제 1 곡선 섹션(26)과 상호작용하는 반면에 제 2 스위치(36)의 누름 부재(44)는 제 2 곡선 섹션(28)에 맞물린다. 제 2 곡선 섹션(28)은 실제로 래치(20)의 선회 축(21)에 대한 원호-섹션이다. 제 1 곡선 섹션(26)은 제 2 곡선 섹션(28) 대해 구부러져 있다.
도 3의 캐치(20)의 정치위치(20.1)에서 두 누름 부재(42, 44)는 눌러져 있다. 이러한 경우 두 누름 스위치(34, 36)는 스위치-오프 위치에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오프-오프(OFF-OFF)" 신호는 제어부에 의해 검출되어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당김-보조 수단의 구동을 정지한다. 본 경우에는 당김-보조 수단이 차량 내의 원하는 기능을 실행해야 한다. 따라서, 래치(20)의 위치(20.2)는 "작동-시작 위치"로서 표기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래치(20)의 작동-시작 위치(20.2)에서는 - 변경된 각 위치로 인하여 - 제 1 곡선 섹션(26)이 제 1 누름 스위치(34)의 누름 단추(42)를 해제하는 반면에, 제 2 누름 스위치(36)는 여전히 스위치-온 상태로 유지된다. 센서는 제어부에 "온-오프(ON-OFF)"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제어부는 당김-보조 수단을 구동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기어 수단을 통하여 도 5의 메인 캐치 위치(10.3)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 화살표(32') 방향으로 캐치(10)를 계속 회전시킨다.
도 5에서 래치(20)는 두 스위치(34, 36)의 누름 부재(42, 44)가 방사형 캠(26)으로부터 릴리스될 정도로 선회된 위치(20.3)에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두 누름 스위치(34, 36)로부터 "온-온(ON-ON)" 전기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당김-보조 수단의 전동식 구동이 멈추게 된다. 따라서, 래치(20)의 달성된 동력구동식 선회 위치(20.3)는 센서(35)를 위한 "작동-최종 위치"가 된다.
이미 언급되었던 바와 같이, 센서(35)에 의해 제어되는 개방-보조 수단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 하나의 자체 트리거(trigger)가 제공되며, 상기 트리거는 래치(20)를 리프팅(lifting)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캐치(10)를 도 3의 개방 위치(10.1)에 도달할 때까지 역회전시킨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경우에는 래치(20)가 릴리스 되며, 상기 래치는 자신의 스프링 하중(22)에 의해 이미 도 3에 도시된 정지 위치(20.1)로 선회한다.
중량 및 비용 문제로 인해 캐치(10)는 플라스틱 바디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라스틱 바디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휘기 쉬운 탄성 루프(45)(loop) 및 슬롯(55)을 가진다. 슬롯(55)은 캐치(10)의 윤곽 패턴의 프로필에 상응하게 개개의 위치에 매칭되며 그곳에도 마찬가지로 소음을 방지하는 구역들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역들은 래치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래치와의 상호작용의 소음이 방지되도록 한다.
강한 하중이 발생되는 캐치(10)의 위치들에서 치수를 정확하게 유지하고 그리고 기계의 마멸을 방지하기 위해 캐치의 플라스틱 부재 내에는 상이한 금속 삽입물들이 주입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물들은 도 1 및 도 2에서 음영으로 나타나 있 다. 제 1 금속 및 제 2 금속 삽입물(53, 54)은 캐치(10)의 각 위치들에 존재하며, 상기 캐치의 위치들은 예비 멈춤 노치(13) 및 메인 멈춤 노치(14) 역할을 한다. 또 다른 금속 삽입물은 캐치(10) 내에서 수용부(19)의 내부 윤곽을 제한한다. 또한, 강도를 높이기 위해 캐치(10) 내에는 베어링 보어(57)가 있으며, 상기 베어링 보어는 회전 축(11)을 결정하고, 점 형태로 도시된 3개의 금속 삽입물들(58)을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캐치(10)의 둘레영역에는 금속 태핏(59)이 제공되며, 상기 금속 태핏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작동 부재들, 예를 들어 언급된 당김-보조 수단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캐치
10.1: 10의 개방 위치(도 3)
10.2: 10의 예비 캐치 위치(도 4)
10.3: 10의 메인 캐치 위치(도 5)
11: 10의 회전 캐치
12: 10의 스프링 하중 힘 화살표(도 3)
13: 10에서의 예비 멈춤 노치
14: 10에서의 메인 멈춤 노치
15: 10에서의 계단식의 프로파일
16: 15의 출발 섹션
17: 15의 중간 섹션
18: 15의 최종 섹션
19: 10 내의 51을 위한 수용부
20: 래치
20.1: 20의 정지 위치(도 3)
20.2: 20의 작동-시작 위치(도 4)
20.3: 20의 작동-최종 위치(도 5)
21: 20의 선회 축
22: 20의 스프링 하중 힘 화살표(도 3)
23: 20의 차단 위치
24: 20의 지지 위치
25: 20에서의 방사형 캠
26: 25의 제 1 곡선부(도 3)
27: 25를 위한 20의 연장 암(도 3)
28: 25의 제 2 곡선부(도 3)
29: 34, 36을 위한 고정 위치(도 3)
30: 자물쇠(도 3)
31: 19의 긴 측벽(도 3)
32; 10의 기계식 회전 운동 화살표(도 3)
32': 10의 동력구동식 회전 운동 화살표(도 4)
33; 19의 짧은 측벽(도 4)
34; 35의 제 1 누름 스위치
35: 34, 36으로 구성된 센서
36: 35의 제 2 누름 스위치
37: 17 내의 스타트 세그먼트(도 2)
38: 37과 39 사이의 반지름차이(도 2)
39: 17의 연속 세그먼트(도 2)
40: 차량의 가동성 부분, 도어 섹션(도 3)
41: 34에서의 전기 단자(도 3)
42: 34의 누름 부재(도 3)
43: 36에서의 전기 단자(도 3)
44: 36의 누름 부재(도 3)
45: 10에서의 전기 루프(도 1)
46: 16의 반지름 간격, 반지름(도 1)
47: 17의 반지름 간격, 반지름(도 1)
48: 18의 반지름 간격, 반지름(도 1)
49: 10 내의 함몰부(excavation)(도 1)
50: 차량의 고정 부분, 차체 섹션(도 3)
51: 50에서의 폐쇄 부재(도 3)
52: 30에 대항하는 51의 폐쇄 운동 화살표(도 3)
53: 10 내의 13을 위한 금속 삽입부(도 2)
54: 10 내의 14를 위한 금속 삽입부(도 2)
55: 10 내의 슬롯(도 1)
56: 10 내의 19를 위한 금속 윤곽(도 1)
57: 11을 위한 베어링 보어(도 1)
58: 57 내의 점 형태의 금속 삽입부(도 1)
59: 10에서의 금속 태핏(도 1)

Claims (18)

  1. 차량에 장착된 도어(40) 또는 플랩과 같은 차량의 가동성 부분과 차량의 고정 부분, 즉 차체(50) 사이의 잠금 장치로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차량의 상기 가동성 부분에 장착된 자물쇠(30)와 상기 고정 부분에 장착된 폐쇄 부재(51)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상기 자물쇠(30)는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지지되는 캐치(10) 및 상기 캐치(10)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22)을 받는, 선회 축(21)을 중심으로 지지되는 래치(20)를 포함하며,
    상기 캐치는 상기 폐쇄 부재(51)를 위한 수용부(19)를 가지고, 둘레방향으로 볼 때 상기 래치(20) 상에서 차단 위치(23)를 위한 예비 멈춤 노치(13) 및 메인 멈춤 노치(14)를 갖는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을 가지며, 그리고 적어도 3개의 회전 위치(10.1 내지 10.3)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3개 회전 위치 중 상기 캐치(10)의 개방 위치(10.1)에서는,
    상기 폐쇄 부재(51)가 상기 수용부(19) 내부로 또는 외부로 삽입 또는 인출(52)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20)는 상기 차단 위치에서 상기 메인 멈춤 노치(14) 및 상기 예비 멈춤 노치(13) 앞에 있는 상기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출발 섹션(16) 상에서 지지되고, 상기 도어(40)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예비 캐치 위치(10.2)에서는 상기 폐쇄 부재(51)가 상기 수용부(19)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래치(20)의 차단 부재(23)는 상기 계단식의 프로 파일(15)의 상기 예비 멈춤 노치(13) 뒤로 맞물리고, 상기 도어(40)는 예비 폐쇄 위치에 있으며,
    메인 캐치 위치(10.3)에서는 상기 폐쇄 부재(51)가 상기 캐치(10)에 의해 계속해서 함께 움직이며, 상기 래치(20)의 상기 차단 부재(23)는 상기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상기 메인 멈춤 노치(14) 뒤로 맞물리고, 상기 도어(40)는 최종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비 멈춤 노치(13)와 상기 메인 멈춤 노치(14)는 상기 캐치(10)의 상기 회전축(11)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반지름 간격(47, 48)을 가지고,
    센서(35)는 상기 캐치(10)의 예비 캐치 위치(10.2)와 상기 메인 캐치 위치(10.3)에서 상기와 같은 반지름 간격(47, 48)을 결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며,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35)의 통지에 따라 상기 차량 내 정해진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멈춤 노치(13) 앞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캐치(10)의 세그먼트가 상기 예비 멈춤 노치(13) 뒤에 놓여있는 상기 캐치(10)의 세그먼트 보다 더 큰 반지름(4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치(10)를 위한 동력구동식 당김-보조 수단 및/또는 동력구동식 개방 보조 수단을 작동시키고 그리고/또는 비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10.1)에서 상기 래치(20)의 상기 차단 위치(23)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캐치(10)의 상기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출발 섹션(16)은 상기 캐치(10)의 상기 회전축(11)에 대해 반지름 간격(46)을 가지고, 상기 반지름 간격(46)은 상기 예비 멈춤 노치(13)의 상기 반지름 간격(47)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 멈춤 노치(14)의 상기 반지름 간격(48)과도 상이하며,
    또한, 상기와 같은 반지름 간격(46)은 상기 센서(35)에 의해 모니터링되어 상기 제어부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35)는 상기 캐치의 예비 캐치 위치(10.2) 및 상기 메인 캐치 위치(10.3)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제공되며, 또한 상기 개방 위치(10.1)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35)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누름단추 스위치(34, 36)로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단추 스위치(34, 36)는 스위치를 오프 및 온으로 변동시킴으로써 상기 제어부를 위한 상기 캐치(10)의 3개의 회전 위치(10.1 내지 10.3)를 정확히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10)의 상기 예비 멈춤 노치(13)와 상기 메인 멈춤 노치(14) 사이에 상기 캐치(10)의 상기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중간 섹션(17)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체 중간 섹션(17)은 상기 캐치(10)의 상기 회전축(11)에 대해 실제로 일정한 반지름 간격(4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10)의 중간 섹션(17)은 둘레에 대한 가장자리 영역에 슬롯(55)을 구비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래치(20)가 상기 캐치(10)의 상기 예비 멈춤 노치(13)로 이동할 경우 소음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10)의 상기 개방 위치(10.1)에서 실행되어 상기 캐치의 상기 예비 멈춤 노치(13)까지 도달하는 상기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전체 출발 섹션(16)은 상기 캐치(10)의 상기 회전축(11)에 대해 실제로 일정한 반지름 간격(4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0.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10)의 상기 메인 캐치 위치(10.3)에서 상기 래치(20)와 상호 작용하는 상기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최종 섹션(18)은 상기 회전축(11)에 대해 가장 짧은 반지름 간격(48)을 가지며,
    상기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중간 섹션(17)은 상기 회전축(11)에 대해 평균 반지름 간격(47)을 가지며, 상기 출발 섹션(16)은 상기 회전축(11)에 대해 큰 반지름 간격(4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중간 섹션(17)은 상기 예비 멈춤 노치(13)에 바로 연속하는 스타트 세그먼트(37)를 가지며, 상기 스타트 세그먼트는 우선 프로파일-중간 섹션(17)의 잔여 세그먼트(39)에 대하여 감소된 반지름차이(3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스타트 세그먼트(37)의 반지름 간격은 상기 예비 멈춤 노치(13)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프로파일-중간 섹션(17)의 잔여 세그먼트(39)의 반지름 간 격(47)까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20)가 상기 캐치(10)의 상기 예비 멈춤 노치(13) 상에서 지지될 경우, 프로파일-중간 섹션(17)의 함몰된 스타트 세그먼트(37)는 래치-차단 위치(23)의 단부에 의한 충돌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멈춤 노치(14)는 상기 캐치(10) 내의 상기 수용부(19)의 한 측벽(31)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폐쇄 부재(51)는 상기 도어(40) 폐쇄(52) 시 상기 수용부 내로 삽입되며,
    상기 래치(20)는 상기 차단 위치(23) 외에도 지지 위치(24)를 가지며, 상기 지지 위치는 상기 캐치(10)가 상기 메인 캐치 위치(10.3) 있을 때 상기 계단식의 프로파일(15)의 출발 섹션(16) 상에서 지지되고 상기 캐치(10) 내부에 결합되는 상기 래치(20)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10)가 3개의 회전 위치(10.1 내지 10.3)에 있을 때 상기 래치(20)는 서로 상이한 3개의 선회 위치(20.1 내지 20.3), 즉
    상기 캐치(10)가 상기 개방 위치(10.1)에 있는 정지 위치(20.1), 상기 캐치(10)가 예비 캐치 위치(10.2)에 있는 작동-시작 위치(20.2) 그리고 상기 캐치(10)가 상기 메인 캐치 위치(10.3)에는 있는 작동-최종 위치(20.3)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35)는 상기 래치(20)에 고정되고,
    상기 캐치(10)의 각각의 실제 회전 위치(10.1 내지 10.3)는 상기 센서(35)에 의해 상기 래치(20)의 3개의 상이한 선회 위치(20.1 내지 20.3)를 참고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방사형 캠(25)은 상기 래치(2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방사형 캠(25)은 상기 센서(35)에 의해 주사(scanning)되며,
    상기 래치(20)의 수평 선회시 상기 방사형 캠(25)은 3개의 선회 위치(20.1 내지 20.3) 사이에서 함께 수평 선회되고 상기 센서(35)에 대한 자신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형 캠(25)은 상기 래치(20)의 연장된 암(27)에 존재하고, 상기 센서(35)는 상기 방사형 캠(25)의 선회 이동 경로 내에 고정적으로(29)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 이동 경로는 상기 래치(20)가 상기 정지 위치(20.1)와 상기 작동-최종 위치(20.3) 사이에서 이동할 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잠금 장치.
KR1020097011799A 2006-11-09 2007-10-26 차량용 잠금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373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52773A DE102006052773A1 (de) 2006-11-09 2006-11-09 Verschluss eines Fahrzeugs
DE102006052773.9 2006-11-09
PCT/EP2007/009294 WO2008055596A2 (de) 2006-11-09 2007-10-26 Verschluss eines 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116A true KR20090080116A (ko) 2009-07-23
KR101373227B1 KR101373227B1 (ko) 2014-03-12

Family

ID=3927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17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73227B1 (ko) 2006-11-09 2007-10-26 차량용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03003B2 (ko)
EP (1) EP2087188B1 (ko)
KR (1) KR101373227B1 (ko)
CN (1) CN101535583B (ko)
AT (1) ATE478222T1 (ko)
DE (2) DE102006052773A1 (ko)
WO (1) WO20080555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2894A1 (de) * 2009-07-13 2011-01-20 Kiekert Ag Schloss für eine Tür oder eine Klappe an einem Kraftfahrzeug
DE202009013269U1 (de) * 2009-10-02 2011-02-2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ß
CN101812941A (zh) * 2010-04-20 2010-08-25 无锡皓月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静音汽车门锁
DE102011106324A1 (de) * 2011-06-08 2012-12-1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schlossbaugrupp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2207443A1 (de) * 2012-05-04 2013-11-07 Kiekert Ag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JP5795565B2 (ja) * 2012-09-13 2015-10-14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のラッチ制御装置
DE102013102814A1 (de) 2013-03-19 2014-09-2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icherungsvorrichtung für ein Schloss
US9879449B2 (en) * 2014-01-03 2018-01-30 Inteva Products, Llc Vehicle latch assembly and method of dampening sound during a closing process of the vehicle latch assembly
DE102014205370A1 (de) * 2014-03-22 2015-09-2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ießsystem
DE102014205371A1 (de) * 2014-03-22 2015-09-2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EP2966246A1 (en) * 2014-07-10 2016-01-13 U-Shin France Latch and automotive vehicle latch assembly
US9334681B2 (en) 2014-10-03 2016-05-10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Automatic door child safety lock release in a crash event
DE102015004283A1 (de) * 2015-04-08 2016-10-13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6471600B2 (ja) * 2015-04-23 2019-02-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DE102016108877A1 (de) * 2016-05-13 2017-11-16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2016115438A1 (de) * 2016-08-19 2018-02-2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US12152416B2 (en) * 2016-09-23 2024-11-26 Inteva Products, Llc Liftgate latch
DE102017009900A1 (de) * 2017-10-24 2019-04-25 Audi Ag Fahrzeugschloss
DE102018113960A1 (de) * 2018-06-12 2019-12-12 Kiekert Ag Kraftfahrzeugtürschloss
JP6915214B2 (ja) * 2018-11-19 2021-08-04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DE102019102302A1 (de) 2019-01-30 2020-07-30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anordnung
DE102020104297A1 (de) * 2020-02-19 2021-08-19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ießeinrichtung
DE102020108310A1 (de) * 2020-03-25 2021-09-30 Kiekert Aktiengesellschaft Haubenschloss - Zwangsmitnahme SPK durch DRF bei Doppelhub
CN111894369B (zh) * 2020-06-19 2021-12-2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自调节式车门锁扣及具有其的车辆
US20220372799A1 (en) * 2021-05-20 2022-11-24 Rivian Ip Holdings, Llc Devices, structur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latching operations
DE102022106081A1 (de) 2022-03-16 2023-09-21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für ein Verschlusselement eines Kraftfahrzeuges
DE102022119992A1 (de) * 2022-08-09 2024-02-15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23111648A1 (de) * 2023-05-04 2024-11-07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ießeinrichtung
DE102023112430A1 (de) * 2023-05-11 2024-11-14 Kiekert Aktiengesellschaft Schloss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88115A1 (fr) * 1977-04-21 1978-11-17 Kiekert Soehne Arn Serrure de porte pour vehicule automobile avec assujettissement a palpage
DE2728042A1 (de) * 1977-06-22 1979-01-11 Daimler Benz Ag Tuerverschluss,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tueren
JPS63271835A (ja) * 1987-04-30 1988-11-09 Oi Seisakusho Co Ltd ドアロツクにおける回動部材の位置検知スイツチ装置
JP2707637B2 (ja) * 1988-09-30 1998-02-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ラゲージドアロック装置
US5642636A (en) * 1993-01-22 1997-07-01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Locking device for trunk lids
GB2276913B (en) * 1993-04-07 1996-08-07 Mitsui Mining & Smelting Co Door lock apparatus with automatic door closing mechanism
GB2300875B (en) * 1995-05-13 1998-11-04 Rockwell Body & Chassis Syst Vehicle door latch assembly
DE19533193A1 (de) * 1995-09-08 1997-03-13 Kiekert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verschlusses mit ortsfestem Anschlagelement für ein Abtriebselement
IT1290824B1 (it) * 1996-04-02 1998-12-11 Kiekert Ag Veicolo con almeno una porta scorrevole disposta in una parete laterale
US5632517A (en) * 1996-05-21 1997-05-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closure latch
AU9735098A (en) * 1997-08-25 1999-03-16 Robert Bosch Gmbh Motor vehicle closing device with a position recognition system for a moveable control element
FR2768764B1 (fr) * 1997-09-19 1999-11-26 Valeo Systemes De Fermetures Serrure electrique pour portiere de vehicule
GB2321276B (en) * 1997-11-14 1999-06-1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atch device for a vehicle back door
DE19828040B4 (de) * 1998-06-24 2005-05-19 Siemens Ag Kraftunterstützte Schließeinrichtung
US6053543A (en) * 1998-07-21 2000-04-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door latch
DE19943483B4 (de) * 1999-09-10 2008-03-06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20122292U1 (de) * 2000-03-23 2005-01-13 Arvinmeritor Light Vehicle Systems (Uk) Ltd Schließmechanismus
GB0006932D0 (en) * 2000-03-23 2000-05-1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Latch mechanism
DE10133092A1 (de) * 2001-07-11 2003-01-30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oß,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türen, -klappen od. dgl.
JP3933898B2 (ja) * 2001-09-21 2007-06-2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FR2835867B1 (fr) * 2002-02-12 2004-08-20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Serrur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39734A1 (de) * 2002-08-26 2004-03-11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Klappenschluß o. dgl.
EP1457625A3 (de) * 2003-03-08 2008-08-27 Brose Schliesssysteme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oss mit elektrischem Öffnungsantrieb
DE10320443A1 (de) * 2003-05-08 2004-12-16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320445A1 (de) * 2003-05-08 2004-12-16 Kiekert Ag Mehrfunktionshebel
DE10320447A1 (de) * 2003-05-08 2004-11-25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320459A1 (de) * 2003-05-08 2004-12-16 Kiekert Ag Kraftfahrzeugtürverschluss
DE10330194A1 (de) * 2003-07-03 2005-01-20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KG Kraftfahrzeug-Türschloß
US7040674B2 (en) * 2004-02-09 2006-05-09 Hti Technology & Industries, Corp Powered latch assembly
ATE365258T1 (de) * 2004-09-15 2007-07-15 Huf Huelsbeck & Fuerst Gmbh Verschluss für klappen oder türen von fahrzeugen
EP1703049B1 (en) * 2005-02-16 2010-06-16 INTIER AUTOMOTIVE CLOSURES S.p.A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the child safety lock function of vehicle doors
BRPI0609689A2 (pt) * 2005-03-23 2011-10-18 Magna Closures Inc trinco para uma porta automotiva
CN101668916B (zh) * 2007-02-28 2017-07-28 马格纳·克劳祖雷斯有限公司 模块式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87188A2 (de) 2009-08-12
DE102006052773A1 (de) 2008-05-15
EP2087188B1 (de) 2010-08-18
US8303003B2 (en) 2012-11-06
WO2008055596A2 (de) 2008-05-15
CN101535583A (zh) 2009-09-16
US20100045051A1 (en) 2010-02-25
DE502007004819D1 (de) 2010-09-30
ATE478222T1 (de) 2010-09-15
WO2008055596A3 (de) 2008-08-28
CN101535583B (zh) 2013-01-09
KR101373227B1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227B1 (ko) 차량용 잠금 장치
US5934717A (en) Motor Vehicle lid or door lock
US6568720B1 (en) Door lock with roller catch,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CN102165130B (zh) 机动车门锁
KR102015685B1 (ko) 차량 도어 록
KR20010013868A (ko) 차량용 회전 캐취 로크
AU757846B2 (en) Door lock,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US6550826B2 (en) Door lock apparatus
US8474886B2 (en) Vehicle door latch
KR20040103937A (ko) 특히 자동차 문이나 플랩 등을 위한 로크
US8632106B2 (en) Drive unit comprising a blocked functional element for a central locking mechanism
KR20140010123A (ko) 차량 도어 록킹 장치
KR19980702291A (ko) 자동차의 플랩 로크, 특히 뒷문 플랩 로크
CN110195535B (zh) 带撞击保护的动力闩锁组件
KR20080081981A (ko) 자동차 도어록
KR20170119280A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모듈
JP3777270B2 (ja) 車両用扉のクロージャー装置
JP2004182177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EP0347393A2 (en) Automatic locking device to stop the drum of washing machines at a given position
US7946634B2 (en) Vehicle door latch
KR20200141639A (ko) 테일 게이트와 트렁크에 적용되는 래치
KR20200074768A (ko) 감지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래치
KR20010102238A (ko) 자동차용 도어 로크
EP3684994B1 (en) Drive unit for a motor vehicle component
JPH0667775U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閉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0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