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77714A -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7714A
KR20090077714A KR1020090001766A KR20090001766A KR20090077714A KR 20090077714 A KR20090077714 A KR 20090077714A KR 1020090001766 A KR1020090001766 A KR 1020090001766A KR 20090001766 A KR20090001766 A KR 20090001766A KR 20090077714 A KR20090077714 A KR 20090077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terminal
connection
parallel
gr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셈바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7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771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20Cables having a multiplicity of coaxial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83Terminal blocks specially adapted for grou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와 접속 단자를 안정한 도전 접속 상태로 하면서, 그랜드 바의 안정한 접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를 제공한다. 복수의 동축 케이블(20)이 병렬로 배치되고, 각각의 동축 케이블(20)의 단부에서 중심 도체(21)가, 병렬로 배치된 접속 단자(17)에 납땜으로 도전 접속되어 있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20)의 외부 도체(23)가 공통의 그랜드 바(14)에 도전 접속되고, 그랜드 바(14)는 동축 케이블(20)의 병렬 방향으로 연장한 본체부(16)의 양 단부의 단부 접지부(18)와, 단부 접지부(18) 이외의 개소에서 본체부(16)로부터 연장하여 접속 단자(17)와 병렬로 배치된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에 납땜으로 도전 접속된 돌출부(13)를 갖고, 돌출부(13)는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에 도전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13d)와 본체부(16)의 사이에 단자 접속부(13d)보다 폭이 작은 좁은 폭 부분(幅小部)(13c)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CONNECTION STRUCTURE OF A COAXIAL CABLE HARNESS}
본 발명은 병렬로 배치한 복수의 동축 케이블을 접속 단자에 접속한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휴대 전화기, 소형 비디오 카메라 등의 기기에 있어서, 기기본체와 액정 표시부와의 접속이나 기기내의 배선 등에 지극히 가는 동축 케이블이 이용된다. 배선의 용이성 때문에, 복수개의 동축 케이블을 집합 일체화시킨 하네스 형상의 동축 케이블 하네스가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동축 케이블 하네스에 사용되는 동축 케이블은 내측으로부터 중심 도체, 내부 절연체, 외부 도체, 외피를 순차적으로 동축 형상으로 배설해서 구성된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을 복수개 집합 일체화해서 동축 케이블 하네스를 구성한다. 이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단말 부분은, 소정 피치의 커넥터 단자나 기판 등에 납땜 등의 도전 접속으로 접속 고정된다. 종래의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일 예를 도 7 및 도 8에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동축 케이블 하네스(1)의 일 단부를 도시하는 것이다. 동축 케이블 하네스(1)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2)과 절연 케이블(3)이 병렬로 배치되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2)의 외부 도체(2a)와 절연 케이블(3)의 중심 도체(3a)가 공통의 그랜드 바(4, 5)에 도전 접속된다. 그랜드 바(4, 5)는 그 양 단부에 단부 접지부(4a)가 마련되고, 접지용의 피접속부에 도전 접속되어 있다. 그랜드 바(4)의 단부 접지부(4a) 이외의 개소에는, 그랜드 바(4)와 절연 케이블(3)의 중심 도체(3a)의 사이에 그랜드 핀(6)으로 이루어지는 중간 접지부가 마련되고, 그랜드 핀(6)이 중심 도체(3a) 및 그랜드 바(4)에 도전 접속되어 있다. 또한, 그랜드 핀(6)이 기판이나 커넥터 등의 피접속 부재(7)에 마련된 접속 단자(8)에 납땜에 의해 도전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그랜드 바(4)의 양 단부[단부 접지부(4a)]에서 피접속 부재(7)에 대하여 위치를 고정하면서 접지를 실행하는 동시에, 그랜드 바(4)의 중간 접지부[그랜드 핀(6)]에서도 접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7-280772 호 공보
중간 접지부는 땜납 접속 전에는 그랜드 바의 본체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직선 형상으로 연장한 형상이지만, 땜납 접속시에는 가압되어서 그 선단이 접속 단자에 접속된 상태로 구부려 진다(도 7 참조). 따라서, 접속 단자로의 접속후에는 중간 접지부의 내부에 굽혀짐에 의한 잔류 응력이 존재한 상태가 된다. 잔류 응력이 크면, 납땜 직후에 중간 접지부가 접속 단자로부터 박리해 버리는 일이 있다. 또한, 실장후에 진동한 경우에 잔류 응력이 원인이 되어서 중간 접지부가 접속 단자로부터 박리해 버리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그랜드 바의 중앙 부근에 있어서의 접지 성능이 불안정해져서 노이즈 제거 효과가 불충분해져 버릴 가능성이 있 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와 접속 단자를 안정한 도전 접속 상태로 하면서, 그랜드 바의 안정한 접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접속 단자에 납땜되어서 도전 접속된 것이다. 상기 동축 케이블은 중심 도체, 상기 중심 도체의 외주에 배설된 내부 절연체, 상기 내부 절연체의 외주에 배설된 외부 도체, 및 상기 외부 도체의 외주에 배설된 외피를 갖는다. 상기 복수의 동축 케이블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서 상기 중심 도체가 병렬로 배치된 접속 단자에 납땜되어서 도전 접속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공통의 그랜드 바에 도전 접속되어 있다. 상기 그랜드 바는 본체부와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복수의 동축 케이블의 병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 단부 이외의 개소에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는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에 납땜되어서 도전 접속되어 있다. 상기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는 상기 접속 단자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에 도전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와 좁은 폭 부분을 갖는다. 상기 좁은 폭 부분은 상기 단자 접속부보다 폭이 작고,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그랜드 바 본체부와의 사이에 형 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좁은 폭 부분의 폭은 상기 단자 접속부의 폭에 대하여 5/6 이하 또한 1/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그랜드 바는 성형후에 도금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랜드 바의 양 단부의 단부 접지부 이외의 개소에 마련된 돌출부에는, 단자 접속부와 본체부와의 사이에, 단자 접속부보다 폭이 작은 좁은 폭 부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땜납 접속시에 돌출부를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에 가압해서 구부린 상태로 접속해도, 구부려진 부분의 폭이 작기 때문에 잔류 응력은 종래와 비교해서 작아진다. 그 때문에, 돌출부가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로부터 박리하려고 하는 힘이 약해져서, 납땜 직후에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로부터 박리해 버리는 것이나, 실장후의 진동 등에 의해 박리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와 접속 단자의 안정한 도전 접속 상태를 얻는 동시에, 그랜드 바의 중간부에 있어서의 안정한 접지 상태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및 접속 방법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는 동축 케이블 하 네스의 양 단측에 커넥터가 부착되는 경우나, 일 단측에만 커넥터가 부착되고 타 단측은 기판에 접속되는 경우 등 여러가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일 단측의 구성과 접속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동축 케이블 하네스에 이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하네스(10)는 동종 및 동사이즈의 복수(예를 들면 34개)의 동축 케이블(20)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고, 그 축방향의 단부에서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20)의 외부 도체(23)가 공통의 그랜드 바(14)에 도전 접속되는 동시에, 각 동축 케이블(20)의 중심 도체(21) 및 그랜드 바(14)가 병렬로 배치된 접속 단자(17) 및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에 납땜으로 도전 접속된 접속 구조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접속 단자(17) 및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는 커넥터 또는 기판인 피접속 부재(11)에 소정의 피치(예를 들면 0.3㎜)에서 병렬로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0)은 중심 도체(21), 그 외주에 배설된 내부 절연체(22), 내부 절연체(22)의 외주에 배설된 외부 도체(23) 및 외부 도체(23)의 외주에 배설된 절연성의 외피(24)를 갖고 있고, 이들을 동축 형상으로 배설해서 구성된다.
동축 케이블(20)은, 예컨대 AWG(American Wire Gage)의 규격에 의한 AWG42에 해당하는 케이블, 또는 AWG42보다 가는 케이블이 이용되고 있다. AWG42의 동축 케 이블(20)은 중심 도체(21)가, 예를 들면 외경 0.025㎜의 은 도금 동합금의 소선(21a)을 7개 꼬아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 절연체(22)는 중심 도체(21)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예컨대 PFA 등의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고 외경 0.17㎜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도체(23)는 외경 0.03㎜의 예컨대 은 도금 동합금의 소선(23a) 복수개를 내부 절연체(22)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권취하는 것으로 외경 0.23㎜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외피(24)는 외부 도체(23)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예컨대 PFA 등의 불소 수지로 이루어지고, AWG42의 경우는 외경 0.31㎜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0)의 단부는 입구노출 처리되어 있고, 선단측에서부터 순차로 중심 도체(21), 내부 절연체(22) 및 외부 도체(23)가 각각 단계적으로 소정 길이씩 노출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 하네스(10)는 모든 동축 케이블(20)이 병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위치를 맞춘 외부 도체(23)가 공통의 2개의 그랜드 바(14, 15)에 협지되고, 납땜에 의해 도전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 하네스(10)는 동축 케이블(20) 이외에, 중심 도체 및 외피에 의해 구성된 절연 케이블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 그랜드 바(14, 15)는 서로 외피가 접촉하거나 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된 모든 동축 케이블(20)의 외부 도체(23)에 걸쳐서 접촉 가능한 길이이며 일정 두께의 판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컨대 동판 등의 도전성의 금속판을 구멍을 뚫어서 형성되어 있다. 피접속 부재(11)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는 그랜드 바(15)는 동축 케이블(20)의 병렬 방향으로 연장한 장방형상이며, 피접속 부재(11)에 먼 쪽 에 배치되는 그랜드 바(14)는 동축 케이블(20)의 병렬 방향으로 연장하는 장방형상의 본체부(16)와, 본체부(16)의 양 단부의 단부 접지부(18) 이외의 개소에서 본체부(16)로부터 동축 케이블(20)의 축방향으로 연장한 돌출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랜드 바(14, 15)는 동축 케이블(20)의 병렬 방향 양 단부에 피접속 부재(11) 상의 접지용 단자(17c)에 납땜되어서 도전 접속된다. 이에 의해, 양 그랜드 바에 공통의 단부 접지부(18)가 구성된다.
그랜드 바(14)의 돌출부(13)는 하나 또는 복수의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에 대하여 납땜되어서 도전 접속됨으로써, 그랜드 바(14)의 중간 접지부로서 기능한다. 이 돌출부(1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랜드 바(14)의 본체부(16)와 함께 일체 성형된 것이다.
또한, 그랜드 바의 돌출부(13)는,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에 도전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13d)와 본체부(16)의 사이에, 단자 접속부(13d)보다 폭이 작은 좁은 폭 부분(13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좁은 폭 부분(13c)은 납땜시에 변형하는 부분이며, 변형하는 부분의 폭이 작아져 있는 것에 의해, 납땜후의 돌출부(13)에 생기는 잔류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잔류 응력에 의해 돌출부(13)가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로부터 박리하는 방향으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잔류 응력이 크면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로부터 박리해 버리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단자 접속부(13d)보다 폭이 작은 좁은 폭 부분(13c)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납땜 직후에 초기 상태에서 돌출부(13)가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로부터 박리하는 것이나, 실장후에 진동한 때에 잔류 응력이 원인으로 돌출부(13) 가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로부터 박리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좁은 폭 부분(13c)의 폭은 돌출부(13)가 꺾이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확보하는 크기이며 잔류 응력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할 수 있도록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좁은 폭 부분(13c)의 폭은 돌출부(13)의 판 두께 이상이고, 단자 접속부(13d)의 폭에 대하여 5/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자 접속부(13d)의 폭에 대하여 2/3 이하 또한 1/4 이상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접속부(13d)의 폭은 0.37㎜이며, 좁은 폭 부분(13c)의 폭은 0.18㎜이다. 돌출부(13)의 판 두께는 0.08㎜이다.
또한, 돌출부(13)의 측면(판 두께 부분)(13b)에도 땜납이 부착되고, 이에 의해 돌출부(13)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 외주 부분이 접속 단자(17)에 대하여 고정되고, 도전 접속되어 있다. 그랜드 바(14)는 주석 도금이나 도금된 동판 등의 판형상 부재를 구멍을 뚫은 것으로 성형할 수 있지만, 그 경우는 상하면에만 도금이 존재하게 된다. 돌출부(13)의 측면(13b)에도 땜납이 마련되는 것을 고려하면, 땜납 습윤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측면(13b)에도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그랜드 바(14)는 판형상 부재를 구멍을 뚫어서 성형한 후, 도금액에 담궈서 도금 가공을 실시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접속 부재(11)가 기판이 아닌 커넥터인 경우에는, 한쪽의 그랜드 바(14)상에 단면 U자 형상의 금속판의 쉘(도시 생략)이 덮여져서 납땜된다. 그리고, 그 쉘의 양쪽 선단이 커넥터의 접지용 접속부에 접속됨으로써, 그랜드 바(14)의 접지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도, 돌출부가 중간 접지부로서 작용하고, 그랜드 전위의 안정화를 실현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상기 동축 케이블 하네스(10)의 접속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동축 케이블 하네스(10)를 구성하는 모든 복수의 동축 케이블(20)과 절연 케이블(12)을 병렬로 배치해서 지그 혹은 테이프 등(도시 생략)으로 보지하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20)의 단부를 입구노출 처리한다(입구노출 공정). 이 입구노출 처리에서는 YAG 레이저 또는 CO2 레이저 등의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한다. 우선, CO2 레이저를 파장이나 강도를 조정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20)의 외피(24)에 조사해서 외피(24)를 절단한다. 절단된 외피(24)의 단부측 부분을 동축 케이블(20)로부터 인발하여 제거한다. 이렇게 해서 외부 도체(23)가 노출된다. 다음에, 노출된 외부 도체(23)에, YAG 레이저를 파장이나 강도를 조정해서 조사해서 외부 도체(23)를 절단한다. 절단된 외부 도체(23)의 단부측 부분을 동축 케이블(20)로부터 인발하여 제거한다. 이렇게 해서 내부 도체(22)가 노출된다. 그 후, 노출된 내부 도체(22)에, CO2 레이저를 파장이나 강도를 조정해서 조사해서 내부 절연체(22)를 절단한다. 절단된 내부 도체(22)의 단부측 부분을 동축 케이블로부터 인발하여 제거한다. 이렇게 해서 중심 도체(21)가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입구노출 공정을 실행하면, 모든 동축 케이블(20)의 외부 도체(23)를 그랜드 바(14, 15)의 사이에 끼워서 보지한다. 그 때, 그랜드 바(14)의 돌출부(13)에는 동축 케이블(20)을 배치시키지 않고, 돌출부(13)와 동축 케이블(20)의 중심 도체(21)가 도 1과 같이 위에서 보아서 병렬하도록 배치한다. 돌출 부(13)와 중심 도체(21)의 높이가 어긋나 있어도 상관없다. 여기에서, 그랜드 바(14, 15)에는, 각각 한쪽의 면에, 땜납을 도포해서 이루어지는 땜납층이 마련되어 있고, 외부 도체(23)를 협지하는 때에는 땜납층측을 내측으로 한다. 그 상태에서, 그랜드 바(14, 15)를 거쳐서 가열을 실행한다. 그렇게 하면, 그랜드 바(14, 15)의 땜납층이 용융하고, 모든 동축 케이블(20)의 외부 도체(23)가 그랜드 바(14, 15)에 도전 접속된다.
이렇게 하여, 단부가 집합 일체화된 동축 케이블 하네스(10)가 커넥터 단자나 FPC 등의 기판 등의 피접속 부재(11)에 접속된다.
기판인 피접속 부재(11)에 접속하는 경우는, 우선 그랜드 바(14, 15)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접지부(18)를 접지용 단자(17c)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리고, 접속 단자(17)에 대한 중심 도체(21), 및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에 대한 돌출부(13)의 일괄 납땜을 실행한다. 우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0) 중심 도체(21)와 접속 단자(17)의 접속 부분 및 그랜드 바(14)의 돌출부(13)와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의 접속 부분에 선 형상(예컨대, 직경 0.08㎜의 둥근 막대 형상)의 판 땜납(S1)을 끼워서 배치한다. 그 때, 돌출부(13)의 단자 접속부(13d)가 접속 대향 부분에 면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중심 도체(21)와 돌출부(13)의 위로부터 펄스 히터의 히트칩(9)을 밀어 붙이고, 접속 단자(17) 및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를 향해서 가압하면서 가열한다. 이에 의해, 열이 중심 도체(21) 및 돌출부(13)를 거쳐서 판 땜납(S1)에 전해지고, 판 땜납(S1)이 용융해서 근방의 중심 도체(21) 및 돌출부(13)에 모인다. 그 후, 냉각되 면, 돌출부(13)의 단자 접속부(13d)와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의 사이나 단자 접속부(13d)의 주위의 판 두께 부분에서 땜납이 굳어지고,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에 대하여 돌출부(13)가 강고하게 고정되고, 도전 접속된다. 또한, 중심 도체(21)도 접속 단자(17)에 대하여 땜납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고, 도전 접속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3)는 2개의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에 접속된다. 돌출부가 3개 이상의 복수의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에 접속되어도 좋다.
돌출부(13)의 위치는 병렬하는 동축 케이블(20)의 안에서 임의의 위치로 할 수 있다. 단, 중간 접지의 목적을 위해서는, 병렬하는 동축 케이블(20)의 중앙 부분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는 동축 케이블(20)이 접속되는 접속 단자(17)와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고, 그들의 병렬 피치도 일정하면 좋다.
또한, 이 일괄 납땜시에, 돌출부(13)는, 히트칩(9)에 의한 열과 가압력에 의해, 선단이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에 접촉하도록 좁은 폭 부분(13c)이 변형한다. 일괄 납땜후는, 이 변형한 형상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변형하는 부분의 폭이 작아져 있는 것에 의해, 일괄 납땜후의 돌출부(13)에 생기는 잔류 응력은 종래와 비교해서 작아지고, 돌출부(13)가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17a)로부터 박리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형상과 접속 강도의 관계에 대해서, 단자 접속부(13d)와 본체부(16)의 사이에 좁은 폭 부분(13c)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도 1 참조)와 좁은 폭 부분이 없는 형태(도 6 참조)에서 조사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도시한다. 또한, 샘플수는 각각 15이다. 접속 강도는 다음과 같이 해서 측정한다. 돌출부를 커넥터의 중간 접지용 단자에 납땜하고, 커넥터를 고정해서, 그랜드 바를 25m/분의 속도에서 90°위로 끌어올린다. 돌출부가 단자로부터 박리한 때의 힘을 접속 강도로 한다.
[표 1]
좁은 폭 부분이 있음(실시예) 좁은 폭 부분이 없음(비교예)
최대값(gf) 103.0 18.0
최소값(gf) 58.0 4.0
평균값(gf) 84.3 10.1
좁은 폭 부분이 있는 경우(실시예)에는 좁은 폭 부분이 없는 경우(비교예)와 비교해서 접속 강도가 명확하게 향상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를 가압해서 구부리면서 일괄 땜납 접속해도, 그랜드 바의 돌출부에 있어서의 안정한 접지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그랜드 바의 돌출부의 형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접속 단자에만 접속되는 폭이어도 좋다.
도 5에 도시하는 돌출부(13C)는 좁은 폭 부분(13c)을 갖는 동시에 좁은 폭 부분(13c)보다 폭이 넓은 단자 접속부(13d)가 하나의 접속 단자(17)에만 접속되는 형태이다. 접속 단자(17)의 병렬 피치가 1㎜인 경우, 접속 단자(17)의 폭이 0.5㎜ 정도가 되기 때문에, 돌출부(13C)의 경우, 좁은 폭 부분(13c)의 폭은 0.15㎜ 정도, 단자 접속부(13d)의 폭은 0.25㎜ 정도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동축 케이블 하네스에 이용되는 동축 케이블의 단면도,
도 3은 동축 케이블 하네스를 도시하는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동축 케이블 하네스를 일괄 땜납 접속하는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하나의 접속 단자에 접속되는 돌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비교예의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종래의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축 케이블 하네스 11 : 피접속 부재
13, 13C : 돌출부 13b : 측면
13c : 좁은 폭 부분 13d : 단자 접속부
14, 15 : 그랜드 바 16 : 본체부
17 : 접속 단자 17a :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
18 : 단부 접지부 20 : 동축 케이블
21 : 중심 도체 22 : 내부 절연체
23 : 외부 도체 24 : 외피
S1 : 판 땜납

Claims (3)

  1. 중심 도체, 상기 중심 도체의 외주에 배설된 내부 절연체, 상기 내부 절연체의 외주에 배설된 외부 도체, 및 상기 외부 도체의 외주에 배설된 외피를 갖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병렬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서 상기 중심 도체가 병렬로 배치된 접속 단자에 납땜으로 도전 접속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공통의 그랜드 바에 도전 접속되고,
    상기 그랜드 바는 본체부와 돌출부를 갖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복수의 동축 케이블의 병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 단부 이외의 개소에서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에 납땜되어서 도전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는 상기 접속 단자와 병렬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간 접지용 접속 단자에 도전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와 좁은 폭 부분을 갖고, 상기 좁은 폭 부분은 상기 단자 접속부보다 폭이 작고, 상기 단자 접속부와 상기 그랜드 바 본체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좁은 폭 부분의 폭은 상기 단자 접속부의 폭에 대하여 5/6 이하 또한 1/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랜드 바는 성형후에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KR1020090001766A 2008-01-11 2009-01-09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Ceased KR200900777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04276A JP2009170141A (ja) 2008-01-11 2008-01-11 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JP-P-2008-004276 2008-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7714A true KR20090077714A (ko) 2009-07-15

Family

ID=4088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766A Ceased KR20090077714A (ko) 2008-01-11 2009-01-09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170141A (ko)
KR (1) KR20090077714A (ko)
CN (1) CN101483283A (ko)
TW (1) TWI37536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08Y1 (ko) * 2011-03-31 2013-06-14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심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5389B2 (ja) * 2009-07-21 2013-12-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
JP2011076908A (ja) * 2009-09-30 2011-04-14 Hitachi Cable Ltd 同軸ケーブル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方法
JP5353634B2 (ja) * 2009-10-27 2013-11-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
CN104810639A (zh) * 2014-01-24 2015-07-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WO2015123863A1 (en) * 2014-02-21 2015-08-2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Wiring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7513203A (ja) * 2014-02-21 2017-05-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部材
CN104218394B (zh) * 2014-07-30 2023-05-05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
CN104218392A (zh) * 2014-07-30 2014-12-17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微型高速插头电连接器
CN104218393A (zh) * 2014-07-30 2014-12-17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
CN107534229B (zh) * 2015-09-06 2021-02-26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带连接器的多芯线缆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8556B2 (ja) * 2001-07-31 2008-06-11 ローム株式会社 端子板、この端子板を備えた回路基板、およびこの端子板の接続方法
JP2007227002A (ja) * 2006-02-21 2007-09-06 Sumitomo Electric Ind Ltd 配線部材
JP2007280772A (ja) * 2006-04-06 2007-10-25 Sumitomo Electric Ind Ltd 多心ケーブル、コネクタ付き多心ケーブル、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508Y1 (ko) * 2011-03-31 2013-06-14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심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83283A (zh) 2009-07-15
JP2009170141A (ja) 2009-07-30
TW200937775A (en) 2009-09-01
TWI375367B (en) 201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590B1 (ko)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및 접속 방법
KR20090077714A (ko)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US7950953B2 (en) Multicore cable connector with an alignment plate with a cable receiving portion on one side and a substrate receiv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US9947440B2 (en) Mounting c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unting cable
CN102099873B (zh) 同轴电缆束
JP2007280772A (ja) 多心ケーブル、コネクタ付き多心ケーブル、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141105B2 (ja) 多心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付き多心ケーブルハーネス
WO2009139041A1 (ja) ケーブルハーネス、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ケーブルハーネスの接続構造
JP4240105B2 (ja) 多心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70935B2 (ja) 多心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10721B2 (ja) 多心ケーブル、コネクタ付き多心ケーブル及び多心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2008210563A (ja) 多心同軸ケーブルおよび多心同軸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5263021B2 (ja) 細径同軸ケーブル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37773A (ja) コネクタ、ケーブル接続構造、電子機器及びコネクタと基板の接続方法
JP2009117104A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807796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JP2012134048A (ja) 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534229B (zh) 带连接器的多芯线缆及其制造方法
JPH11297133A (ja) 電線加工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68500A (ja) 極細同軸ケーブルアセンブリおよび極細同軸ケーブルの接続方法
US20190140401A1 (en) Cable connector with shield
JP2008251486A (ja) 同軸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41019B1 (ko) 땜납 습윤성을 제어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및, 콘택트의 도금 처리 방법
KR20090122414A (ko) 케이블 하니스, 커넥터 부착 케이블 하니스 및 케이블 하니스의 접속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