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4979A - 투명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4979A KR20090074979A KR1020080000715A KR20080000715A KR20090074979A KR 20090074979 A KR20090074979 A KR 20090074979A KR 1020080000715 A KR1020080000715 A KR 1020080000715A KR 20080000715 A KR20080000715 A KR 20080000715A KR 20090074979 A KR20090074979 A KR 200900749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rylate
- transparent resin
- resin composition
- weight
- shel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6—Vinyl aromatic monomers and methacrylates as the only mono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구분 | 투명도 (%) | 헤이즈 (%) | 충격강도 (㎏·㎝/㎝) | MI (g/10min) | 경도 | 내후성 | |
실 시 예 | 1 | 92.8 | 1.6 | 7.5 | 20.0 | 108.2 | 1.4 |
2 | 92.7 | 1.6 | 9.0 | 18.4 | 110.6 | 1.7 | |
3 | 93.0 | 1.5 | 10.5 | 20.1 | 106.5 | 1.5 | |
비 교 예 | 1 | 86.4 | 5.2 | 7.1 | 9.3 | 98.5 | 2.2 |
2 | 93.5 | 1.6 | 3.6 | 18.2 | 108.9 | 1.6 | |
3 | 89.7 | 6.5 | 8.5 | 16.7 | 101.7 | 5.6 | |
4 | 90.3 | 2.0 | 10.2 | 20.1 | 112.5 | 5.3 | |
5 | 93.1 | 1.5 | 8.1 | 10.2 | 107.5 | 2.1 |
Claims (15)
-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중합되어 형성되는 시드 1 내지 10 중량%;(b) 상기 시드를 감싸며,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되는 아크릴계 고무 코어 10 내지 50 중량%; 및(c) 상기 코어를 감싸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이 중합되어 형성되는 쉘 40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며,상기 (a)시드, (b)코어 및 (c)쉘의 굴절율이 각각 1.48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c)쉘은 1,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가교제가 더욱 첨가되어 중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b)아크릴계 고무 코어는 상기 투명 수지 조성물을 이루는 총 단량체 100 중량%에 대하여 알킬 아크릴레이트 8 내지 4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2 내지 10 중량%가 중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c)쉘은 상기 투명 수지 조성물을 이루는 총 단량체 100 중량%에 대하여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9 내지 70 중량%,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 1 내지 10 중량%가 중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a)시드는 평균입경이 50 내지 2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b)아크릴계 고무 코어는 평균입경이 100 내지 4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c)쉘은 평균입경이 200 내지 10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b) 및 (c)의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b) 및 (c)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
-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중합하여 시드를 제조하는 단계;(B) 제조된 시드의 존재 하에,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중합하여 아크릴계 고무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및(C) 제조된 코어의 존재 하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중합하여 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C)의 쉘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1,3-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비닐벤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가교제를 더욱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C)의 쉘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t-도데실 메르캅탄(tertiary-dodecyl mercaptane) 및 n-옥틸 메르캅탄(n-octyl mercapt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 하에 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A)시드, (B)코어 및 (C)쉘은 각각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0715A KR100998413B1 (ko) | 2008-01-03 | 2008-01-03 | 투명 아크릴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0715A KR100998413B1 (ko) | 2008-01-03 | 2008-01-03 | 투명 아크릴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4979A true KR20090074979A (ko) | 2009-07-08 |
KR100998413B1 KR100998413B1 (ko) | 2010-12-03 |
Family
ID=4133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0715A KR100998413B1 (ko) | 2008-01-03 | 2008-01-03 | 투명 아크릴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841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8280B1 (ko) * | 2010-01-29 | 2013-07-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층 구조를 가지는 투명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KR101429801B1 (ko) * | 2011-06-03 | 2014-08-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충격강도 및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용 충격보강제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143205A (ko) * | 2014-06-13 | 2015-12-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투명 수지,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WO2019117433A1 (ko) * | 2017-12-14 | 2019-06-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
KR20190071572A (ko) * | 2017-12-14 | 2019-06-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9193B1 (ko) * | 1999-12-20 | 2002-05-31 | 구광시 | 투명아크릴계 수지용 충격보강제 및 그의 제조방법 |
-
2008
- 2008-01-03 KR KR1020080000715A patent/KR10099841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8280B1 (ko) * | 2010-01-29 | 2013-07-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층 구조를 가지는 투명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KR101429801B1 (ko) * | 2011-06-03 | 2014-08-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충격강도 및 투명도가 우수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용 충격보강제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143205A (ko) * | 2014-06-13 | 2015-12-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투명 수지,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
WO2019117433A1 (ko) * | 2017-12-14 | 2019-06-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
KR20190071572A (ko) * | 2017-12-14 | 2019-06-2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
CN110167978A (zh) * | 2017-12-14 | 2019-08-23 | 株式会社Lg化学 | 接枝共聚物、包含该接枝共聚物的热塑性树脂组合物和热塑性树脂模制品 |
CN110167978B (zh) * | 2017-12-14 | 2021-10-01 | 株式会社Lg化学 | 接枝共聚物、包含该接枝共聚物的热塑性树脂组合物和热塑性树脂模制品 |
US11384189B2 (en) | 2017-12-14 | 2022-07-12 | Lg Chem, Ltd. |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thermoplastic resin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8413B1 (ko) | 2010-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15995B1 (ko) | 저온 및 상온 내충격성과 착색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
KR101644752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 |
KR101692106B1 (ko) | 코어-쉘 구조의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 |
US4393172A (en) | High-notched-impact core-shell polymers having improved weather resistance | |
KR20040105464A (ko) | 내후성 및 외관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EP2530097B1 (en) | Impact modifier for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transparenc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
KR101288280B1 (ko) | 다층 구조를 가지는 투명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131250B1 (ko) | 투명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 조성물 | |
KR100998413B1 (ko) | 투명 아크릴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477944B1 (ko) |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215754B1 (ko) | 내충격성 및 색상이 우수한 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 |
JPS6395211A (ja) | 熱可塑性樹脂組成物 | |
KR20080060740A (ko) | 투명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564816B1 (ko) | 내열성, 투명성 및 자연색상이 우수한 abs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 | |
KR100985334B1 (ko) | 내후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0558675B1 (ko) | 투명 아크릴 수지용 충격보강제의 제조 방법 | |
KR101089146B1 (ko) | 열가소성 abs 수지 조성물 | |
KR102536520B1 (ko) | 그라프트 중합체의 제조방법 | |
KR100507336B1 (ko) | 내열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 |
KR100696081B1 (ko) | 투명 아크릴 수지용 충격보강제 | |
KR100463301B1 (ko) | 투명성과 내충격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조성물 | |
KR101182066B1 (ko) | 투명 압출 필름용 열가소성 투명 수지, 투명 압출 필름용 열가소성 투명 수지 조성물, 및 이들로부터 제조된 투명 압출 필름 | |
KR100519116B1 (ko) | 내백화성과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조성물 | |
KR100429062B1 (ko) |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 |
KR102237631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3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