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90019904A - 코넥터 - Google Patents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904A
KR20090019904A KR1020097000457A KR20097000457A KR20090019904A KR 20090019904 A KR20090019904 A KR 20090019904A KR 1020097000457 A KR1020097000457 A KR 1020097000457A KR 20097000457 A KR20097000457 A KR 20097000457A KR 20090019904 A KR20090019904 A KR 20090019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s
connection
pressure receiving
connection obje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660B1 (ko
Inventor
마사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9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6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88Lever acting directly on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e.g. recess provided to this purposeon the surface or edge of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코넥터는 다수개의 콘택트로서 각각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 및, 이 압력받음부의 선단에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지점부 및, 타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진 제2 편; 및,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콘택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누름부가 회동할 때는 회전축이 이동하여 컴팩트한 회전하도록 하우징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소형화나 저배화나 협피치화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이나 낮은 조작력으로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고, 접속 대상물이 윗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아도 접속 불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없다.

Description

코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이동전화 또는 셀룰러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코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시블 프린트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등의 접속 대상물과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얻기 위한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나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CCD)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코넥터는, 매우 얇고 극단적으로 좁은 피치로 배열된 코넥터(소위 경박단소 코넥터)를 가진다. 이들 코넥터들은, 주로 하우징과 콘택트(contacts)와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하우징과 슬라이더의 사이에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을 끼워 지지하는 구조이다. 하우징과 슬라이더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을 유지하는 방법으로는, 여러가지를 생각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하우징에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을 삽입한 후에, 슬라이더를 삽입하여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을 콘택트로 눌러내리는 구조인 것이 많다.
하우징에는, 콘택트가 삽입되는 필요한 수의 삽입 구멍이 형성됨과 함께 플 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이 삽입되는 장착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콘택트(64)의 각각은 도 12A 및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주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과 접촉하는 접촉부(22)와, 기판 등에 접속하는 접속부(24) 및, 하우징(62)에 고정되는 고정부(42)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이 콘택트(64)는, 누름장착등에 의해서 하우징(62)에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66)는, 도 12A 및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필요한 수의 콘택트(64)가 배치된 하우징(62)에,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을 삽입한 후에, 상기 슬라이더(66)를 삽입한다. 이러한 슬라이더(66)는, 주로 하우징(62)에 장착되는 장착부(74)와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을 콘택트(64)의 접촉부(22)에 대해서 힘을 가하는 누름부(68)을 구비하고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이 삽입되기 이전에는, 슬라이더(66)는 하우징(62)에 임시로 장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이 삽입된 후에 슬라이더(66)를 삽입하면,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과 평행하게 상기 슬라이더(66)의 누름부(68)가 삽입되어 콘택트(64)의 접촉부(22)에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이 눌러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 이외에도, 이하에 나타내는 문헌과 같은 회동 부재 등을 사용하고, 콘택트를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의 접속 대상물에 접촉시키는 구조인 것이 있 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270,290 호의 요약에 의하면, 이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작은 조작력으로 조작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에 의한 콘택트의 이동량을 크게 하여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낮은 키의 코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액츄에이터는, 캠부와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양쪽 부분의 사이에 각 콘택트의 스프링부의 선단 부근이 삽입 탈출 가능한 릴리프 홈이 형성되고, 액츄에이터를 지점을 중심으로 90도 시계방향 회전하면, 캠부는 각 콘택트의 스프링부와 연결 스프링부를 탄성변형시키고, 그렇게 되면, 접촉부의 돌기와 접촉부의 돌기 사이에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은 끼워눌러지고, 따라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의 패턴은, 각 콘택트의 단자부를 개재하여 프린트 기판에 접속된다. 인슐레이터 또는 하우징의 천정부는, 각 콘택트의 접촉부를 피복하고, 천정부의 전면측의 하부에는,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을 코넥터에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된 구조의 코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덧붙여, 일본 특허공개2002-270,290 호의 특허청구범위에는, 청구항 1에서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상기 콘택트를 탄성변형시켜 접속 대상물에 접촉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로부터 구성되는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한쪽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부를, 다른 쪽에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한 피작동부를, 각각 가진 제1 빔과, 한쪽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부를, 다른쪽에 프린트 기판과 접속하는 단자부를, 각각 가진 제2 빔과,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을 연결하는 연결 스 프링부로부터 구성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콘택트의 적어도 한쪽의 접촉부를 끼워맞춤측으로부터 피복하는 천정부를 가지며, 상기 천정부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구조의 코넥터를 개시한다. 청구항 2에서 상기 콘택트의 적어도 한쪽의 접촉부는, 상기 연결 스프링부의 근방에 상기 접속 대상물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부를 가진 구조의 코넥터를 개시한다. 청구항 3에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조작부와, 상기 콘택트의 피작동부를 작동하는 캠부와, 상기 조작부와 상기 캠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릴리프 홈을 가지며, 상기 접속 대상물과 상기 코넥터의 접속전 상태에서는, 상기 피작동부가 상기 릴리프 홈에 삽입 가능한 구조의 코넥터를 개시한다. 청구항 4에서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상기 콘택트를 탄성변형시켜 접속 대상물에 접촉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한쪽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부를, 다른쪽에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한 피작동부를, 각각 가진 제1 빔과, 한쪽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부를, 다른쪽에 프린트 기판과 접속하는 단자부를, 각각 가진 제2 빔과,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을 연결하는 연결 스프링부로부터 구성되고, 상기 제1 빔의 접촉부는, 상기 접속 대상물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1 돌기와 제2 돌기를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으로 나란히 가지고, 상기 제2 빔의 접촉부는, 상기 접속 대상물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3 돌기와 제4 돌기를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삽입 방향으로 나란히 가지며, 상기 제3 돌기가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의 사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돌기가 상기 제3 돌기와 상기 제4 돌기의 사이에 위치하 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 또는, 상기 제3 돌기와 상기 제4 돌기가,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점이 되는 구조의 코넥터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H11-31,561/1999호의 요약에 의하면, 조작성에 뛰어나고, 편평전선의 확실한 장착이 가능한 코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편평전선의 삽입구와는 반대측의 개구부에 설치된 회동 부재가 회동의 시점 위치에 있을 때는, 회동 부재의 압접부가, 접촉자의 모서리부의 둘레가장자리에 맞닿아 있지 않아, 편평전선의 끼우고 빼기가 자유로운 개방 상태이다. 회동 부재를 회동 조작하는 것에 의해, 회동 부재의 압접부가, 접촉자의 모서리부의 둘레가장자리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켜 접촉부를 편평전선에 압접한다. 회동의 종점 위치에서는, 회동부재의 압접부가, 접촉자의 모서리부의 정점을 넘은 상태가 되어 접촉자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결선 상태를 유지시키는 방향에의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구조의 코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덧붙여, 일본 특개평H11-31,561/1999호의 특허청구범위에는, 청구항 1로서 편평전선의 삽입구를 가짐과 함께, 상기 삽입구와는 반대쪽에 개구부를 가진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접촉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부재는, 압접부를 가짐과 함께, 회동의 시점 위치에서는, 상기 압접부를 상기 접촉자에 압접시키지 않고, 하우징의 삽입구에의 편평전선의 끼우고 빼기를 허용하는 한편, 회동의 종점 위치에서는, 상기 압접부를 상기 접촉자에 압접시켜 상기 접촉자를 탄성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접촉자의 접촉부와 삽입되어 있는 편평전선을 밀접시키 는 구조의 코넥터를 개시한다. 청구항 2에서,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압접부를, 상기 접촉자의 모서리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압접시키는 것으로,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회동의 시점 위치에서는, 상기 압접부가, 회동 중심과 상기 모서리부의 정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서 그 한쪽에 있고, 회동 부재의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압접부가, 상기 연결하는 선을 넘고, 상기 회동의 종점 위치에서는, 상기 연결하는 선에 대해서 그 다른쪽이 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는 구조의 코넥터가 개시되었다. 청구항 3에서 상기 회동 부재의 압접부를, 상기 접촉자의 일단측의 상기 모서리부의 둘레가장자리에 압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접촉자의 타단측의 접촉부를, 삽입되어 있는 편평전선에 밀접시키는 구조의 코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청구항 4로서 상기 접촉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회동의 종점 위치에서는, 상기 회동 부재의 압접부가 상기 접촉자에 압접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접촉부의 한쪽이, 다른쪽으로 탄성변형되어 양 접촉부에서 삽입되어 있는 편평전선을 끼워 지지하는 구조의 코넥터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평H11-307,198/1999호의 요약에 의하면, 복수의 단자를 접속하고,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을 유지하는 프린트 배선판용 코넥터의 조작성, 유지 성능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프린트 배선판용 코넥터는 하우징에,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마련하여, 복수의 콘택트를, 접촉부를 삽입홈에 대해서 돌출 후퇴 자유롭도록, 병렬로 마련하고, 조작 부재를, 접속 위치와 해제 위치에 회동 자유롭게 마련한다. 조작 부재에는, 복수의 캠을 마련하여 조 작 부재가 접속 위치일 때, 콘택트가, 캠에 피조작부를 압압 되어 접촉부를 삽입홈에 돌출시키고,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의 단자에 압접하여, 단자를 접속함과 함께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을 유지한다 조작 부재가 해제 위치일 때, 일부의 콘택트가, 캠에 피조작부를 압압되어 접촉부를 삽입홈에 대해서 약간 돌출시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에 맞닿게 하여, 플렉시블 프린트기판등을 가유지하고, 나머지 콘택트는, 접촉부를 삽입홈에 대해서 후퇴시키는 구조의 프린트 배선판용 코넥터나 개시되어 있다. 덧붙여, 인용문헌 3호의 특허청구범위에는, 청구항 1로서, 복수의 콘택트가 병렬하여 설치되고,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의 복수의 단자를 일괄하여 접속하는 프린트 배선판용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진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삽입홈에 대해서 돌출 후퇴 자유롭게 배치되어, 조작 부재가, 접속 위치와 해제 위치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접속 위치일 때, 상기 콘택트는, 상기 조작 부재에 압압되어 상기 삽입홈에 돌출하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의 상기 단자에 압접하고, 상기 단자와 접속함과 함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을 유지하며,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일 때, 일부의 상기 콘택트는, 상기 삽입홈에 대해서 약간 돌출하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에 당접하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을 가유지하고, 나머지 상기 콘택트는, 상기 삽입홈에 대해서 후퇴하도록 구성되는 구조의 프린트 배선판용 코넥터를 개시한다. 청구항 2로서 복수의 코넥터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작 부재에는, 복수의 캠이, 접속 위치일 때, 상기 콘택트를 눌러 삽입홈에 대해서 돌출시키고, 해제 위치일 때, 일부의 상기 콘 택트를 눌러 상기 삽입홈에 대해서 약간 돌출시켜, 나머지 상기 콘택트를 상기 삽입홈에 대해서 후퇴시키도록 설치되는 구조의 프린트 배선판용 코넥터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 2004-71,160호의 요약에 의하면, 각 부위의 강도나 사양 등을 해치지 않고, 슬라이더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을 확실하게 콘택트의 접촉부에 누를 수 있어 작업성이 좋고, 피치의 협소화나 저배위화가 가능한 코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코넥터는, 콘택트의 접촉부와 접속부의 사이에 탄성부와 지점부를 마련함과 함께 접촉부와 탄성부와 지점부와 접속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고, 또한, 접속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탄성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압력받음부를 마련하고, 슬라이더에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누름부를 마련하여, 누름부가 콘택트의 접속부와 압력받음부의 사이에서 회동 자유롭게 슬라이더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구조의 코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인용문현 4의 청구항 1로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춤하는 코넥터로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진 필요한 수의 콘택트와, 이 콘택트가 유지·고정됨과 함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는 장착개구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상기 콘택트에 누르는 슬라이더를 구비한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접촉부와 접속부의 사이에 탄성부와 지점부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와 상기 지점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고, 또한, 상기 접속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탄성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 된 압력받음부를 마련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누름부를 마련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콘택트의 접속부와 압력받음부의 사이에 회동 자유롭게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는 구조의 코넥터를 개시한다. 청구항 2로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춤하는 코넥터로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진 소요수의 콘택트와, 이 콘택트가 유지·고정됨과 함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는 장착개구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상기 콘택트에 누르는 슬라이더를 구비한 코넥터에 있어서,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한쪽의 콘택트에는, 접촉부와 접속부의 사이에 탄성부와 지점부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와 상기 지점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고, 또한, 상기 접속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탄성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압력받음부를 마련하고, 또 한쪽의 콘택트에는, 접촉부와 접속부의 사이에 탄성부와 지점부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와 상기 지점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략 U자 모양으로 배치하고, 또한, 상기 탄성부로부터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압력받음부를 마련하고, 상기 슬라이더에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누름부를 마련하고, 상기 누름부가 한쪽의 콘택트의 접속부와 압력받음부의 사이 및 또 한쪽의 콘택트의 압력받음부와 상기 하우징의 사 이에 회동 자유롭게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는 구조의 코넥터를 개시한다. 청구항 3으로서 상기 슬라이더의 누름부가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접속부와 압력받음부의 사이에서 회동하면, 상기 압력받음부가 누름부에 의해서 밀어 올려짐으로써 상기 지점부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탄성부가 상기 접촉부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또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측에 눌러지는 구조의 코넥터가 개시된다. 청구항 4로서, 한쪽 혹은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압력받음부의 선단에 돌출부를 마련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누름부가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접속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의 코넥터가 개시된다. 청구항 5로서, 상기 슬라이더의 누름부의 형상을 가늘고 긴 형상으로 하는 구조의 코넥터를 개시한다. 청구항 6으로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소요수의 상기 콘택트의 돌출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멈춤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걸어멈춤구멍을 별개 독립으로 하는 구조의 코넥터를 개시한다. 청구항 7로서 상기 누름부의 가늘고 긴 형상을, 타원형으로 하는 구조의 코넥터를 개시한다. 청구항 8로서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지점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한 방향으로도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마련하는 구조의 코넥터를 개시한다. 청구항 9로서, 또 한쪽의 콘택트의 상기 지점부로부터 접속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연장설치부를 마련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누름부가 연장설치부와 압력받음부의 사이에서 회동 자유롭게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하는 구조의 코넥터를 개시한다. 청구항 10으로서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지점부와 접속부 사이에도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또는 상기 플렉 시블 플랫 케이블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마련하는 구조의 코넥터 등이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근래에 이러한 종류의 코넥터(60)에는, 전자장치의 경박단소화에 따라, 보다 저배위화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의 코넥터(60)에서는, 도 12B와 마찬가지로 6층[즉, 하우징(62)의 두께 방향 양측의 벽, 콘택트(64)의 접촉부(22)와 받이부(70), 슬라이더(66)의 누름부(68),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구조가 되어 있다. 저배위화를 고려하면, 콘택트(64)의 받이부(70)를 생략하고, 5층[즉, 하우징(62)의 두께 방향 양측의 벽, 콘택트(64)의 접촉부(22), 슬라이더(66)의 누름부(68),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러나, 각 부위의 강도나 사양 등으로부터 더 이상 저배위화할 수 없다고 하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코넥터(60)에서는, 하우징(62)의 장착개구(18)측만으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의 삽입과 콘택트(64)의 접촉부(22)를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에 억누르는 동작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코넥터가 소형화하면 할수록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또한, 코넥터(60)의 피치의 협소화가 요구될 경우, 종래의 구조와 같이 콘택트(64)를 한방향으로부터 삽입한 것은, 코넥터의 협소화에도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특허 문헌 1로부터 4와 같은 구조의 소위 백 잠금(back- lock)타입이라 불리는,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의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장착개구와 반대측에서 회동 부재 등을 조작함으로써, 콘택트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접속 대상물에 콘택트의 접촉부를 접촉시키는 구조인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구조에서는, 액츄에이터의 캠부를 일점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시키고 있으므로, 컴팩트한 회전을 하지 못하고, 또한, 더 이상의 저배화를 할 수 없게 되어, 스프링의 약화나 잠금힘의 상승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힘을 가하는 시계회전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트를 확실하게 멈출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2에 나타난 구조에서는, 저배화할 수 없고, 필요한 접촉력을 얻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에 큰 조작력이 필요하여, 접점과 기판사이의 접속 신뢰성이 낮다. 또한, 액츄에이터를 일점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시키고 있으므로, 컴팩트한 회전을 하지 못하고, 또한, 스프링의 약화나 잠금힘의 상승을 방지하는 것을 할 수 없고, 힘을 가하는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트를 확실하게 멈출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3에 나타난 구조에서도, 특허 문헌 1과 마찬가지로, 회동 부재를 회동축 X의 일점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시키고 있으므로, 컴팩트한 회전을 하지 못하고, 또한, 더 이상의 저배화를 할 수 없다. 또한, 스프링의 약화나 잠금힘의 상승을 방지할 수 없고, 또한, 힘을 가하는 회전 모멘트를 확실하게 멈출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4에 나타난 구조(도 2 및 도 6)에서는,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등의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장착개구측에 테이퍼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접속 대상물이 위쪽방향으로 뒤틀린 경우에, 하우징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기 쉽고, 억지로 콘택트도 위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접촉력을 얻을 수 없고(아래쪽을 접점으로서 이용하고 있는 경우는 특히), 접속 불량으로 이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는, 장착개구와 반대측에서 액츄에이터나 회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조인 것으로, 코넥터의 소형화나 저배화를 하면, 접속 대상물을 비틀리는 것으로 발생해 버린다. 특허 문헌 1로부터 3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또한, 특허 문헌 1 내지 3과 같이, 도면상의 위쪽 방향의 접촉부와 대향하는 측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선단 혹은 전체는, 인슐레이터, 하우징 등의 절연체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코넥터의 저배화에도 한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코넥터의 소형화나 협피치화나 저배화가 도모되어, 간단한 조작이나 작은 조작력으로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고, 접속 대상물이 갑작스럽게 외부힘을 받아도 접속 불량으로 이어지지 않는 코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접촉부(22)를 가진 복수의 콘택트(14)와, 이 콘택트(14)가 배열·유지됨과 함께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장착개구(18)를 가진 하우징(12)과, 상기 콘택트(14)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접 속 대상물에 누르는 회동 부재(16)를 구비한 코넥터(10)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14)는,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2)와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16)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20)와 이 압력받음부(20)의 선단에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26)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지점부(32)와 타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24)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34);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2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접속부(24)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콘택트(14)의 접촉부(22)를 피복하는 천정부를 구비하고,이 천정부의 적어도 양단측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윗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았을 때 상기 천정부의 떠오름을 방지하는 방지벽(17)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 부재(16)는,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누름부(36)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26)와 걸어맞춤하는 상호간에 독립적인 걸어멈춤구멍(30)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36)가 상기 콘택트(14)의 접속부(24)와 압력받음부(20)의 사이에 회동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장착함과 함께 상기 누름부(36)가 회동할 때는 회전축(50)이 이동하여 컴팩트한 회전을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중에서, 보다 더 피치의 협소화를 도모하려면,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접촉부(22)를 가진 복수의 콘택트(14)와, 이 콘택트(14)가 배열 및 유지됨과 함께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장착개구(18)를 가진 하우징(121)과, 상기 콘택트(14)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누르는 회동 부재(161)를 구비한 코넥터(101)에 있어서, 2종류의 콘택트(14,141)를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한 쪽의 상기 콘택트(14)는,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2)와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16)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20)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지점부(32)와 타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24)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34)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2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접속부(24)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고, 또 한쪽의 콘택트(141)는,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2)와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16)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20)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24)와 타단측에 지점부(32)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34)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2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접속부(24)를 대략 U자형으로 배치함과 함께 적어도 한쪽 또는 또 한쪽의 콘택트의 압력받음부(20)의 선단에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26)를 마련하고, 상기 하우징(121)은, 상기 콘택트(14,141)의 접촉부(22)를 피복하는 천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천정부의 적어도 양단측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윗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았을 때의 상기 천정부의 떠오름을 방지하는 방지벽(17)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 부재(161)는,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누름부(36)와 상기 압력받음부(20)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26)와 걸어맞춤하는 상호간에 독립적인 걸어멈춤구멍(30)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36)가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접속부(24)와 압력받음부(20)의 사이 및 또 한쪽의 콘택트(141)의 압력받음부(20)와 상기 하우징(121)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상기 하우징(121)에 장착함과 함께 상기 누 름부(36)가 회동할 때에는 회전축(50)이 이동하여 컴팩트한 회전을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코넥터(10,101)에 접속할 경우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상기 코넥터(10,101)와의 접속전 상태에서는 상기 누름부(36)의 하단(54)측이 상기 압력받음부(20)의 돌출부(26)와 접속부(24), 하우징(12,121) 혹은 연설부(44)의 사이에 위치하고, 2번째로 상기 조작부를 회동시키면 상기 누름부(36)가 장착개구(18)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단(54)이 상기 압력받음부(20)의 돌출부(26)와 접속부(24), 하우징(12,121) 혹은 연설부(44)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고, 세번째 상기 조작부를 더 회동시키면 제2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36)가 누름부(36)의 중심을 회전축(50)으로 하여 회동하고, 4번째로 상기 조작부를 더 회동시키면 제3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36)가 누름부(36)의 중심을 회전축(50)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누름부(36)가 상기 압력받음부(20)와 상기 접속부(24), 하우징(12,121) 혹은 연설부(44)의 사이에서 거의 수직이 되어 회전축(50)이 상기 돌출부(26)에 접한 상단(52) 측으로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조작부를 더 회동시키면 제4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36)가 상기 돌출부(26)에 접한 상단(52)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누름부(36)를 상기 돌출부(26)에 걸어맞춤시킨다.
상기 천정부의 거의 중앙부 부근에도 상기 접속 대상물이 윗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았을 때의 상기 천정부의 떠오름을 방지하는 방지벽(17)을 형성한다.
또, 상기 콘택트(14)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지점부(32)로부터 상기 접촉부(22)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설부(44)를 마련한다.
그리고,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141)의 상기 지점부(32)로부터 상기 압력받음부(2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설부(44)를 설치하고, 상기 회동 부재(161)의 누름부(36)가 연설부(44)와 압력받음부(20)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상기 회동 부재(161)를 상기 하우징(121)에 장착한다.
상기 콘택트(14)와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연설부(44) 및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141)의 지점부(32)와 접속부(24)의 사이에도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2)를 마련한다.
상기 하우징(121)에는 상기 장착개구(18)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을 유도하는 오목부(19)를 마련하고, 또 한쪽의 콘택트(141)의 접속부(24)가 상기 오목부(19)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한다
또한, 상기 접속 대상물에 걸어멈춤부를 마련하고, 이 걸어멈춤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콘택트(14), 한쪽의 상기 콘택트(14) 혹은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141)와 동일한 구조로 한 잠금부재를 사용한다.
상기 콘택트(14)와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연설부(44) 및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141)의 지점부(32)와 접속부(24)의 사이에 마련하는 상기 접촉부(24)에 탄성을 갖게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2,121)에, 상기 콘택트(14)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접속부(24)에 대응한 위치에 걸어멈춤부(48)를 마련하고, 상기 콘택트(14)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접속부(24)에 상기 걸어멈춤부(48)와 걸어맞춤하는 경사진 걸어맞춤부(46)를 마련하고, 상기 콘택트(14)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연설부(44)는 상기 하우징(12,121)에 유지하지 않는다.
상기 콘택트(14)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14)를, 상기 하우징(12,121)에 장착개구(18)와 반대측에서 삽입해 나가면, 상기 걸어맞춤부(46)에 상기 걸어멈춤부(48)가 걸어맞춤하기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콘택트(14)의 접촉부(22)는 상기 하우징(12,121)의 삽입 구멍(38)과 대략 평행 상태이지만, 더 삽입되면 상기 콘택트(14,14)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기 접촉부(22)는 상기 삽입 구멍(38) 상벽과 접하고, 삽입이 완료하면 기울어진 상기 걸어맞춤부(46)에 의해 상기 접촉부(22)가 상기 삽입구멍(38)과 평행 상태로 돌아온다.
또한, 각 콘택트(14) 및 다른 종류의 콘택트(14) 각각의 연설부(44)상에 마련된 접촉부(22) 및, 각각 다른 종류의 각 콘택트(141)의 접속부(24)와 지점부(32) 사이에 마련된 접촉부들은 구부러진 형상으로 장착개구(18)내로 연장되고 탄성을 가진다.
또한, 이들 접촉부(22)의 각각의 끝단에는 돌기가 마련된다.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기재된 코넥터(10,101)에,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등의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넥터(10)의 상기 하우징(12)의 장착개구(18)의 하측면 및 상기 코넥터(101)의 또 한쪽의 콘택트(141)의 접속부(24)에 부딪히도록 삽입한다.
본 코넥터(10,101)의 작용으로서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등의 접속 대상물이 상기 하우징(12,121)의 장착개구(18)내에 삽입된 후에, 상기 회동 부재(16,161)의 누름부(36)가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접속부(24)와 압력받음부(20) 및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141)의 압력받음부(20)와 연설부(44)의 사이에서 회동하면, 상기 압력받음부(20)가 누름부(36)에 의해서 밀어 올려지므로 양쪽의 상기 콘택트(14,141)의 지점부(32)를 지점으로 하여, 양쪽의 상기 콘택트(14,141)의 탄성부(34)가 상기 접촉부(22)측으로 기우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22)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등의 접속 대상물측에 눌러진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코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코넥터(10)는,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접촉부(22)를 가진 복수의 콘택트(14)와, 이 콘택트(14)가 배열·유지됨과 함께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장착개구(18)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14)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누르는 회동 부재(16)를 구비한 코넥터(10)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14)는,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2)와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16)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20) 및 이 압력받음부(20)의 선단에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26)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지점부(32)와 타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24)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34);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2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접속부(24)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하우징(12) 은, 상기 콘택트(14)의 접촉부(22)를 피복하는 천정부를 구비하고, 이 천정부의 적어도 양단측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윗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았을 때의 상기 천정부의 떠오름을 방지하는 방지벽(17)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 부재(16)는,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누름부(36)와 상기 압력받음부(20)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26)와 걸어맞춤하는 상호간에 독립적인 걸어멈춤구멍(30)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36)가 상기 콘택트(14)의 접속부(24)와 압력받음부(20)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상기 하우징(12)에 장착함과 함께 상기 누름부(36)가 회동할 때는 회전축(50)이 이동하여 컴팩트한 회전을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코넥터(10)의 소형화나 저배화나 협피치화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이나 낮은 조작력으로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고, 회동하는 축이 때마다 이동하여 컴팩트한 회동이 가능하고, 스프링 약화나 높은 잠금력을 방지할 수 있어, 접속 대상물이 윗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아도 접속 불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없다.
[2]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접촉부(22)를 가진 복수의 콘택트(14)와, 이 콘택트(14)가 배열·유지됨과 함께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장착개구(18)를 가진 하우징(121)과, 상기 콘택트(14)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누르는 회동 부재(161)를 구비한 코넥터(101)에 있어서, 2종류의 콘택트(14,141)을 지그재그로 배치하고, 한쪽의 상기 콘택트(14)는,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2)와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161)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20)을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지점부(32)와 타단측에 기 판과 접속하는 접속부(24)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34);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2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접속부(24)를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고, 또 한쪽의 콘택트(141)은,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2)와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161)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20)을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24)와 타단측에 지점부(32)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34);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2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접속부(24)를 대략 U자 형으로 배치함과 함께 적어도 한쪽 또는 또 한쪽의 콘택트(14,141)의 압력받음부(20)의 선단에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26)를 마련하고, 상기 하우징(121)은, 상기 콘택트(14,141)의 접촉부(22)를 피복하는 천정부를 구비하고, 이 천정부의 적어도 양단측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윗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았을 때의 상기 천정부의 떠오름을 방지하는 방지벽(17)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161)는,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누름부(36)와 상기 압력받음부(20)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26)와 걸어맞춤하는 상호간에 독립적인 걸어멈춤구멍(30)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36)가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접속부(24)와 압력받음부(20)의 사이 및 또 한쪽의 콘택트(141)의 압력받음부(20)와 상기 하우징(121)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상기 하우징(121)에 장착함과 함께 상기 누름부(36)가 회동할 때는 회전축(50)이 이동하여 컴팩트한 회전을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코넥터(101)의 소형화나 저배화할 수 있어, 간단한 조작이나 낮은 조작력으로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고, 회동하는 축이 때마다 이동하여, 컴팩트한 회동이 가능하고, 스프링의 약화나 높은 잠금력을 방지할 수 있고, 접속 대상물이 윗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아도 접속 불량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없고, 보다 한층 더 좁은 피치화를 도모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코넥터(10,101)에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상기 코넥터(10,101)의 접속전 상태에서는 상기 누름부(36)의 하단(54)측이 상기 압력받음부(20)의 돌출부(26)와 접속부(24), 하우징(12,121) 혹은 연설부(44)의 사이에 위치하고, 두번째로 상기 조작부를 회동시키면 상기 누름부(36)가 장착개구(18)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단(54)이 상기 압력받음부(20)의 돌출부(26)와 접속부(24), 하우징(12,121) 혹은 연설부(11)와의 사이에 끼워지지되고, 세번째로 상기 조작부를 더 회동시키면 제2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36)가 누름부(36)의 중심을 회전축(50)으로 하여 회동하고, 네번째로 상기 조작부를 더 회동시키면 제3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36)가 누름부(36)의 중심을 회전축(50)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누름부(36)가 상기 압력받음부(20)와 상기 접속부(24), 하우징(12,121) 혹은 연설부(44)의 사이에서 수직이 되어 회전축(50)이 상기 돌출부(26)에 접한 상단(52)측에 이동하고, 마지막에 상기 조작부를 더 회동시키면 제4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36)가 상기 돌출부(26)에 접한 상단(52)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누름부(36)를 상기 돌출부(26)에 걸린 상태로 걸어맞춤시키고 있으므로, 회전하는 지점이 1점이 아니라, 그때마다 지점이 이동하기 때문에 공간절약에서의 컴팩트한 회동이 가능하고, 스프링의 약화나 높은 잠금력을 방지할 수 있고, 압력받음부(20)와 접속부(24)와 돌출부(26)의 3점에서 누름부(36)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모멘트를 가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천정부 중앙부 부근에도 상기 접속 대상물이 윗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았을 때의 상기 천정부의 떠오름을 방지하는 방지벽(17)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 대상물이 외부의 예상치 않은 힘에 처해졌을 때에도 보다 확실하게 천정부의 떠오름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심수가 증가했을 때에도 접속 불량으로도 이어지지 않는다. 방지벽(17)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재료비도 저감된다.
[5]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콘택트(14)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지점부(32)로부터 상기 접촉부(22)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설부(44)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접속 대상물을 끼워 지지할 수 있어서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6] 본 발명에 따르면,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141)의 상기 지점부(32)로부터 상기 압력받음부(2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설부(44)를 마련하고, 상기 회동 부재(161)의 누름부(36)가 연설부(44)와 압력받음부(20)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상기 회동 부재(161)를 상기 하우징(121)에 장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회동 부재(161)의 누름부(36)가 콘택트(141)의 압력받음부(20)와 연설부(44)의 사이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컴팩트한 회전이고, 또한, 안정된 회전을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접속 안정성으로 연결된다.
[7]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콘택트(14)와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연설 부(44) 및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141)의 지점부(32)와 접속부(24)의 사이에도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2)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아래쪽에 접점이 있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고, 고밀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
[8]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21)에는 상기 장착개구(18) 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을 유도하는 오목부(19)를 설치하고, 또 한쪽의 콘택트(141)의 접속부(24)가 상기 오목부(19)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하고 있으므로, 코넥터(101)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접속 대상물을 또 한쪽의 콘택트(141)의 접속부(24)에 부딪히도록 함으로써 접속 대상물을 장착개구(18)내에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9]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속 대상물에 걸어멈춤부를 마련하고, 이 걸어멈춤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콘택트(14), 한쪽의 상기 콘택트(14) 혹은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141)와 동일 구조로 한 잠금부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로·인서션·포스(Zero Insertion Force:ZIF) 구조인 채로, 접속 대상물이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에 의해서 빠지는 경우가 없어,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1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콘택트(14)와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연설부(44) 및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141)의 지점부(32)와 접속부(24)의 사이에 마련하는 상기 접촉부(22)에 탄성을 갖게 하고 있다. 따라서, 접속 대상물의 아래쪽에 접점이 있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어서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11]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2, 121)에, 상기 콘택트(14)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접속부(24)에 대응한 위치에 걸어멈춤부(48)를 마련하고, 상 기 콘택트(14)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접속부(24)에 상기 걸어멈춤부(48)와 걸어맞춤하는 기울기의 걸어맞춤부(46)를 마련하고, 상기 콘택트(14)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의 연설부(44)는 상기 하우징(12, 121)에 유지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보다 한층 저배화가 가능한 동시에 상기 연설부(44)가 떠오르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안정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12]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콘택트(14)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14)를, 상기 하우징(12, 121)에 끼워맞춤(18)와 반대측으로부터 삽입해 나가면, 상기 걸어맞춤부(46)에 상기 걸어멈춤부(48)가 걸어맞춤하기 시작한 단계에서는 상기 콘택트(14)의 접촉부(22)는 상기 하우징(12,121)의 삽입 구멍(38)과 대략 평행 상태이지만, 더 삽입되면 상기 콘택트(14)는 비스듬하게 기울어 상기 접촉부(22)는 상기 삽입 구멍(38) 상벽과 접하고, 삽입이 완료하면 기울어진 상기 걸어맞춤부(46)에 의해 상기 접촉부(22)가 상기 삽입 구멍(38)과 평행 상태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상기 연설부(44)를 상기 하우징(12)에 유지하지 않아도 연설부(44)가 떠오르는 경우가 없다.
[13] 코넥터(10,101)에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등의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넥터(10)의 상기 하우징(12)의 장착개구(18)의 측면 및 상기 코넥터(101)의 또 한쪽의 콘택트(141)의 접속부(24)에 부딪히도록 삽입하고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2,121)의 천정부에 테이퍼 형상의 가이드를 마련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접속 대상물을 장착개구(18)내에 삽입할 수 있다.
[14]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 부재(16,161)를 하우징(12,121)의 콘택트 접속 부(24)측에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콘택트(14,141,142)의 접촉부(22)를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등의 접속 대상물에 접촉시키는 구조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12,121)의 장착개구(18) 에 슬라이더를 삽입하지 않고, 슬라이더의 두께분만큼 코넥터의 저배위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15] 각 콘택트(14) 및 다른 종류의 콘택트(14) 각각의 연설부(44)상에 마련된 접촉부(22) 및, 각각 다른 종류의 각 콘택트(141)의 접속부(24)와 지점부(32) 사이에 마련된 접촉부들은 구부러진 형상으로 장착개구(18)내로 연장되고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코넥터는 그의 아래쪽에 마련된 콘택트를 가지는 접속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보다 높은 밀도로 배치된 심수를 가지는 코넥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접촉부가 작동하기 용이한 접촉부에 의하여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16] 접촉부(22)의 각각의 끝단에는 돌기가 마련되므로, 보다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A로부터 도 6D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코넥터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의 장착개구측으로부터 본 본발명의 코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의 접속부측으로부터 본 본발명의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는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본 발명의 코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이 삽입되어 회동부재가 닫힌 상태에 있는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본 발명의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회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2개의 접촉부를 가진 콘택트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1개의 접촉부를 가진 다른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회동 부재가 회동하는 경우의 누름부와 회전축의 이동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콘택트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코넥터는, 주로 하우징과 회동 부재와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코넥터의 구성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콘택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콘택트는 금속제이고, 공지 기술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제작되어 있다. 상기 콘택트의 재질로서는, 스프링성이나 도전성 등이 요구되므로, 황동이나 베릴륨동이나 인청동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콘택트(14)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H자"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2)와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16)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20)와, 이 압력받음부(20)의 선단에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26)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지점부(32)로부터 제1 편의 접촉부(22)에 대향하도록 연장하여 설치된 연설부(44)와 타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24)와 상기 연설부(44)의 선단에 접촉부(22)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의 상기 지점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34)와; 상기 접속부(24)의 근방에 고정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편의 상기 접촉부(2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접속부(24)가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 다.
상기 접촉부(22)는,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등의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기 쉽도록 볼록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비록 상기 접속부(24)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1과 같이 표면 실장 타입(Surface Mounting Type:SMT)으로 되어 있지만, 딥(dip) 타입이라도 좋다. 즉, 2개의 접촉부(22)를 마련하고,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을 끼워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 양측에 접촉부(22)를 마련하는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을 2개의 접촉부(22,22)로 끼워 지지하게 되어, 확실하게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압력받음부(20)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등의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었을 때에, 다음과 같은 작용을 완수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등의 접속 대상물이 상기 하우징(12)의 장착개구(18)내에 삽입된 후에, 상기 회동 부재(16)의 누름부(36)가 상기 콘택트(14)의 접속부(24)와 압력받음부(20)의 사이에서 회동하면, 상기 압력받음부(20)가 누름부(36)에 의해서 밀어 올려지므로, 상기 콘택트(14)의 지점부(32)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콘택트(14)의 탄성부(34)가 상기 접촉부(22)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접촉부(22)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등의 접속 대상 물 측에 눌러진다.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압력받음부(20)의 크기나 형상은, 이러한 작용을 완수하기 위해서, 적절히 설계되어 있다.
또, 상기 콘택트(14)의 압력받음부(20)의 선단에 돌출부(26)를 마련하고, 회동 부재(16)의 누름부(36)를 콘택트(14)의 압력받음부(20)와 접속부(24)의 사이에서 회동시킬 때에는 회동 부재(16)의 회동에 대한 반발력이 강하기 때문에, 회동 부재(16)의 중앙부가 도 2A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팽창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26)의 크기는, 이러한 역할을 완수할 수 있으면 어떠한 크기라도 좋고, 회동 부재(16)의 누름부(36)가 걸릴 정도로 적절히 설계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26)의 역할로서는, 상기 회동 부재(16)의 회동이 종료하고, 접속 대상물과 상기 콘택트(14)가 접촉하고 있을 때에, 상기 회동 부재(16)의 누름부(36)가 넘어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도 겸하고 있다.
상기 콘택트(14)의 접속부(24)에는,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걸어멈춤부(48)와 걸어맞춤하는 기울기의 걸어맞춤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46)는, 상기 콘택트(14)를 상기 하우징(12)에 장착할 때의 가이드의 역할을 완수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콘택트(14)의 아래쪽에 설치된 접촉부(22)의 선단이 유지되어 있지 않아도 뜨지 않게 함으로써 보다 저배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 걸어맞춤부(46)의 형상·크기는 아래와 같은 작용을 하도록 적절히 설계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형상은 도 6A와 같은 기울기의 노치가 되어 있으며, 크기는 O.08mm로 하고 있다.
여기서, 도 6A 내지 도 6D에 기초하여, 상기 콘택트(14)를 상기 하우징(12) 에 장착할 때의 상기 콘택트(14)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2)에 장착개구(18)의 반대측의 화살표 C방향으로부터 콘택트(14)를 삽입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콘택트(14)는 상기 걸어맞춤부(46)에 상기 하우징(12)의 상기 걸어멈춤부(48)가 걸어맞춤하기 시작한 단계에서는 상기 콘택트(14)의 접촉부(22)는 상기 하우징(12)의 삽입 구멍(38)과 대략 평행한 상태이다.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콘택트(14)를 더 삽입해 나가면, 상기 콘택트(14)와 상기 하우징(12)의 삽입 구멍(38)의 클리어런스분만큼 상기 콘택트(14)는 비스듬하게 기울어 상기 접촉부(22)는 상기 삽입 구멍(38) 상벽과 접한다.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이 완료하면 상기 콘택트(14)의 걸어맞춤부(46)가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콘택트(14)는 상기 걸어맞춤부(46)에 가이드 되도록 상기 접촉부(22)가 상기 삽입 구멍(38)에 평행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삽입된다.
도 4B에 기초하여, 다른 콘택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콘택트(142)는, 도 4B와 같이 대략 "H자"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2)와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16)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20)와, 이 압력받음부(20)의 선단에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26)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지점부(32)와 타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24)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촉부(2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접 속부(24)는, 대략 크랭크 형상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콘택트(142)는, 도 4A의 상기 콘택트(14)의 지점부(32)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연설부(44)와, 제2 편의 접촉부(22)를 삭제한 것이다. 콘택트(142)의 작용 등에 대해서는, 상기 콘택트(14)와 같다.
다음에, 회동 부재(16)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회동부재(16)는 상기 절연성의 플라스틱이고, 공지 기술의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되고, 이 재질로서는 치수 안정성이나 가공성이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나 폴리아미드(66PA 또는 46PA)나 액정 폴리머(LCP)나 폴리카보네이트(PC)나 이들 합성 재료를 들 수 있다. 이 회동 부재(16)은 주로 조작부와 하우징(1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축(28) 부분과 상기 콘택트(14)의 압력받음부(20)를 누르는 누름부(36)와 상기 콘택트(14)의 돌출부(26)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멈춤구멍(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축(28)은, 회동 부재(16)를 회동하기 위한 지점이며, 하우징(12)의 길이 방향 양측에 회동 부재(16)가 회동 가능하게 적절히 장착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36)는, 콘택트(14)의 압력받음부(20)에 압착하는 부분이고, 그 형상으로서는 가늘고 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타원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타원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 2A와 같이 회동 부재(16)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시켜, 콘택트(14)의 압력받음부(20)와 접속부(24)의 사이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누름부(36)의 크기의 변화에 의해 콘택트(14)의 압력받음부(20)를 들어 올려지고,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등의 접속 대상물을 콘택트(14)의 접촉부(22) 측에 압착하고 있다. 누름부(36)의 형상으로서는, 콘택트(14)의 압력받음부(20)와 접속부(24)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장축과 단축과 같은 크기의 차이에 의해 콘택트(14)의 압력받음부(20)를 밀어 올릴 수 있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또, 상기 회동 부재(16)를 회동했을 때에, 회동 부재(16)의 회동에 대한 반발력이 강하고, 회동 부재(16)의 중앙부나 도 1B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팽창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콘택트(14)의 돌출부(26)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멈춤구멍(30)이 별개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어맞춤구멍(30)을 별개 독립하여 마련함으로써, 회동 부재(16)의 강도 상승이나 회동시의 변형을 방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하우징(1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하우징은 상기 절연성의 플라스틱이고, 공지 기술의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된다. 바람직한 재질로서는 치수 안정성이나 가공성이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당 선택하는데, 일반적으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나 폴리아미드((66PA,46PA)나 액정 폴리머(LCP)나 폴리카보네이트(PC)나 이들 합성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에는, 필요한 수의 콘택트(14,142)가 장착되는 삽입홈(38)이 설치되어 있으며, 압입, 랜싱(lancing), 용착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 양측에는, 상기 회동 부재(16)의 축(28)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축받이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축받이부의 형상이나 크기는, 회동 부재(16)의 축(28)을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이 역할이나 하우징(12)의 강도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콘택트(14)의 제1 편의 접촉부(22)를 덮고 있는 천정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양단측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윗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았을 때의 상기 천정부의 상부 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하는 방지벽(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지벽"이라는 용어는, 장착개구(18)의 선단 부분을 종래와 같이 테이퍼 형상으로 하지 않고, 즉, 모서리를 깎거나 기울어지게 하지 않고 에지 형상으로 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개구의 양단측에만 방지벽(17)을 형성했다. 상기 방지벽(17)을 형성함으로써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등의 접속 대상물을 가이드하는 작용 및 효과는 발휘되지 않게 되었다.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등의 접속 대상물을 상기 장착개구(18)내에 유도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1A의 장착개구(18)의 상기 하우징(12)의 아래쪽면에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를 부딪치도록 삽입한다. 이와 같이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장착개구(18)내로 유도할 수 있다.
코넥터에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를 코넥터에 대해서, 수직으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을 인장 시험기로 끌어 당겼다.(이 상태는, 프린트회로 기판이 수평위치인 사용 상태에서 예기치않게 위쪽으로 힘을 받는 경우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3에 나타낸다. 표 1 및 도 13에 나타내는 "유지력"이 나타내는 의미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를 끌어 당겼을 경우의 상기 콘택트(14,141)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의 접촉을 차단했을 때의 힘이다.
표 1 및 도 13에서, 종래의 코넥터는 방지벽(17)을 마련하지 않고, 장착개구의 천정부의 모두를 테이퍼 형상으로 한 것이다. 개량품 1은, 천정부의 장착개구의 양측에 방지벽(17)을 마련한 것(즉, 양측 부분에만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이고, 개량품 2는 천정부 모두에 방지벽(17)을 마련한 것이다.
표 1
심수 18 27
시료번호 1 2 3 4 1 2 3 4
종래기술의 제품 3.6N 3.6N 4.1N 4.0N 4.2N 4.8N 4.6N 4.5N
개선품 2 천정전체에 걸친 방지벽 9.1N 9.1N 8.8N 8.9N 9.1N 9.0N 9.0N 8.9N
개선품 1 양단에만 보호벽 8.6N 8.2N 8.4N 8.5N 9.2N 8.8N 8.6N 9.1N
종래제품의 평균치 3.83N 4.53N
평균치 개선품 2 개선품 1 8.98N 9.00N
8.43N 8.93N
도 13은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 1 및 도 13로부터 보면, 평균치에 관하여, 18심에서는 개량품 1(양단에만 보호벽) 및 개량품 2(전체에 방지벽)에서 8.4N 및 8.9N으로 증가하였으며, 27심에서는 각각 8.9N 및 9.0N으로 각각 증가하였다. 따라서, 개선품에 있어서는 유지력이 종래의 제품에 대하여 약 2배가 되었다. 이 결과로부터도 방지벽(17)을 장착개구(18)의 양단 부분만큼 및 전체에 마련하면 이러한 유지력(접촉이 차단할 때까지의 힘)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 분명하였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방지벽(17)을 장착개구(18)의 양단 부분만큼 및 전체에 마련함으로써, 예기치 않은 외부력에 대한 접촉 안정성을 의미하는 유지력이 약 2배로 상승했다. 이것은, 예기치않은 외부력에 대한 접촉 안정성이 증가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방지벽(17)을 양단 부분에만 마련한 것과 전체에 마련했을 경우의 유지력을 비교하면 그다지 큰 차이가 없는 것도 알 수 있다. 개선 비율에서는 18심에서는 220.3%, 27심에서는 197.2%로 좋아지고 있다. 개선 비율이란, 개량품을 종래품으로 나눈 값이다. 상기 방지벽(17)을 마련하는 수 및 위치로서는, 적어도 장착개구(18)의 천정부의 양단측에만 방지벽(17) 을 형성했을 경우와 천정부의 전체에 방지벽(17)을 형성했을 경우의 유지력이 큰 차이 없는 것이나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은 경우의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등의 접속 대상물의 손상 방지(파손)를 고려하면, 될 수 있는 한 적은 개소가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단 부분에만 마련했지만, 밸런스를 고려하면 양단과 중앙의 3개소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은 경우의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등의 접속 대상물의 손상 방지(파손)를 하기 위해서는,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았을 때에 접속 대상물과 접하지 않도록 적절히 설계하면 좋고, 테이퍼나, 둥근 모따기, 각진 모따기 형상, 한끝단을 오목부로 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코넥터의 디자인성이나 재료비 등을 고려하면 테이퍼 형상이 좋다.
장착개구(18)내에의 끌어들임에 대해서는, 상술 및 후술하는 방법을 취하면, 장착개구(18)의 천정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하지 않아도 충분히 끌어 들임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5A 내지 도 5E에 기초하여, 상기 회동 부재(16)의 누름부(36)의 이동 및 회동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후술하는 또 한쪽의 콘택트(141)로 회동하는 경우를 예로 든 도면이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은 "H자"형상 또는 "h자"형상의 콘택트 또는 다른 콘택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A는 상기 접속 대상물과 상기 코넥터(10)과의 접속전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누름부(36)의 하단(도면에서 우측끝단에서 본측: 54)측이 상기 압력받음부(20)의 돌출부(26)와 연설부(44), 하우징[연설부(44)가 없는경우:(12)]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를 회동(도면의 시계회전 방향)시킨다고 상기 누름부(36)가 장착개구(18)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해, 상기 누름부(36)의 하단(54)나 상기 압력받음부(20)의 돌출부와 접속부(24), 하우징(12) 혹은 연설부(44)의 사이에 끼워 지지된다.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를 더 회동시키면 도 5B의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36)가 누름부(36)의 중심을 회전축(50)으로 하여 회동한다.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를 더 회동시키면 도 5C의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36)가 누름부(36)의 중심을 회전축(50)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누름부(36)가 상기 압력받음부(20)와 상기 접속부(20), 상기 하우징(12) 혹은 상기 연설부(44)와의 사이에서 거의 수직이 되어 회전축(50)이 상기 돌출부(26)에 접한 상단(52) 측으로 이동한다.
도 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를 더 회동시키면 도 5D의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36)가 상기 돌출부(26)에 접한 상단(52)측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누름부(36)를 상기 돌출부(26)에 걸린 상태로 걸어맞춤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누름부(36)는 처음에는 이동하고, 그 후 회동하고, 회동 을 더 계속하면 회전축(50)이 변화하여, 공간절약적인 회동 또는 회전이 컴팩트하게 행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코넥터(10,101)에서는,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등의 접속 대상물을 장착개구(18)내에 삽입할 때에 삽입력이 가해지지 않는, 소위, 제로-인서션 타입구조이고, 상기 회동 부재(16,161)의 누름부(36)를 보다 상기 콘택트(14,141)의 돌출부(26)측으로 회동시킨다[보다 돌출부(26)측에서 상기 콘택트(14,141)의 압력받음부(20)을 밀어 올리는] 것에 의해 상기 회동 부재를 잠금할 수 있는 구조로, 또한, 상기 회동 부재(16,161)의 누름부(36)로 보다 상기 콘택트(14,141)의 돌출부(26)측의 압력받음부(20)을 밀어 올리는 것에 의해 높은 접촉력을 얻을 수 있는 구조가 되어 있다.
도 7A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주된 구성부품은 상술한 바와 같고, 하우징과 콘택트와 회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2종류의 콘택트(14) 및 (141)을 하우징으로의 삽입 방향을 바꾸어 지그재그로 배열하고 있는 점에 있고, 삽입 방향을 바꾸어 지그재그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서 피치의 협소화와 저배위화에 대응시킨 것이다. 상기 회동 부재(161)는 상술한 바와 같고, 또한, 한쪽의 상기 콘택트(14)도 상술한 것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는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했을 경우의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의 장착개구측으로부터 본 본 발명의 다른 코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했을 경우의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의 접속부측으로부 터 본 본 발명의 다른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했을 경우의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의 한쪽의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본 발명의 다른 코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했을 경우의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이 삽입되어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의 한쪽의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본 발명의 다른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했을 경우의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의 또 한쪽의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본 발명의 다른 코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했을 경우의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이 삽입되어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의 또 한쪽의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본 발명의 다른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또 한쪽의 콘택트의 아래쪽의 접촉부에 탄성을 갖게 했을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을 삽입했을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10D는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이 삽입된 후의 도 10C에 나타낸 코넥터의 단면도이다.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141)도 금속제이고, 공지 기술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제작되어 있다. 재질은,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와 같다.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141)에도, 도 4A 및 도 4B 에 나타낸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와 마찬가지로 대략 "h자"형 모양과 대략 "H자"형 모양의 2가지 타입이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대략 "H자"형 모양을 한 상기 콘택트(141)은,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2)와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16) 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20)와, 이 압력받음부(20)의 선단에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26)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24)와 타단측에 지점부(32)로부터 제1 편의 압력받음부(20)에 대향하도록 연장하여 설치된 연설부(44)와 제1 편의 접촉부(22)에 대향하는 위치에 접촉부(22)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의 상기 지점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34); 및, 상기 접속부(24)의 근방에 고정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편의 상기 접촉부(2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지점부(32) 와 상기 접속부(24)를 대략 U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대략 "h자" 형상(도시하지 않음)의 콘택트는,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22)와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16)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20)와, 이 압력받음부(20)의 선단에 안쪽으로 돌출한 돌출부(26)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24)와 타단측에 지점부(32)와 제1 편의 접촉부(22)에 대향하는 위치에 접촉부(22)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제2 편의 상기 지점부(32)를 연결하는 탄성부(34);와, 상기 접속부(24)의 근방에 고정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편의 상기 접촉부(2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접속부(24)를 대략 U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콘택트는, 도 9의 상기 콘택트(141)의 지점부(32)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 연설부(44)를 삭제한 것이다.
상술한 상기 콘택트(14)와 마찬가지로 상기 접촉부(22)는,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등의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기 쉽도록 볼록부 형 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부(24)는 본 실시예에서도 도 8A 및 도 9A와 같이 표면 실장 타입(SMT)으로 되어 있지만, 딥 타입이라도 좋다.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압력받음부(20)는, 한쪽의 상기 콘택트(14)와 마찬가지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등의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회동 부재(161)의 누름부(36)가 상기 콘택트(141)의 압력받음부(20)와 상기 하우징(121)과의 사이 혹은 압력받음부(20)와 연설부(44)와의 사이에 회동하면, 상기 압력받음부(20)가 누름부(36)에 의해서 밀어 올려지는 것으로 상기 콘택트(141)의 지점부(32)를 지점으로 하고, 상기 콘택트(141)의 탄성부(34)가 상기 접촉부(22) 측에 기울어지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접촉부(22)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등의 접속 대상물 측에 눌러진다. 상기 지점부(32)와 상기 탄성부(34)와 상기 압력받음부(20)의 크기나 형상은, 이러한 작용을 발휘하기 위해서, 적절히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택트(141)의 압력받음부(20)의 선단에 돌출부(26)를 마련하고, 회동 부재(161)의 누름부(36)를 도 8A의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회동 부재(161)의 회동에 대한 반발력이 강하기 때문에, 회동 부재(161)의 중앙부가 도 7B의 화살표 D 방향으로 팽창해 버리는 것을 막도록 하고 있지만, 피치의 협소화에 의한 상기 회동 부재(161)의 강도를 고려하면, 2종류 있는 콘택트중에서, 한쪽의 콘택트(14)에 마련해 두면, 충분하다. 상기 돌출부(26)의 크기는, 이러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면 어떠한 크기라도 좋고, 회동 부재(161)의 누름부(36)가 걸릴 정도로 적절히 설계한다.
여기서, 도 10A 내지 10D에 기초하여, 아래쪽의 접촉부(22)에 대하여 설명한다.
요구 사양에 따라서는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등의 접속 대상물의 아래쪽 접점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도 9A 및 도 9B와 같은 강체에서는 접촉 안정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도 10A 내지 도 10B 에서와 같이 아래쪽의 접촉부(22)에 탄성을 갖게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것 이외에, 탄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도 10C 내지 1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편형상으로 하고 있다. 형상으로서는, 탄성을 가진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코넥터(101)의 소형화나 접촉안정성이나 가공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하고 있다.
다음에, 하우징(121)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질은 상술한 것과 동일하고, 여기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21)은, 상기 콘택트(14,141)의 제1 편의 접촉부(22)를 피복하는 천정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양단측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윗방향으로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았을 때의 상기 천정부의 상부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하는 방지벽(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지벽(17)은 장착개구(18)의 선단 부분을 종래의 테이퍼 형상으로 하지 않고, 에지 형상으로 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21)의 상기 장착개구(18)측에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또는 상기 플렉시블 플랫케이블 등의 접속 대상물을 유도하는 오목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19)의 크기는, 상기 하우징(12)의 강도나 상기 콘택트(14,141)의 접속성(납땜성)이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의 유도의 용이성 을 고려하여, 상기 콘택트(141)의 접속부(24)가 상기 하우징(12)의 오목부(19)내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적절히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등의 접속 대상물의 삽입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접속 대상물을 또 한쪽의 콘택트(141)의 접속부(24)나 상기 오목부(19)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접속부(24)에 부딪히도록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접속 대상물을 장착개구(18)내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도 10E 및 도 10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개구(18)는 단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경사는 접속대상물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에 따르면, 경사의 바람직한 각도는 기초판으로부터 15도 내지 25도이다. 15도보다 작으면, 삽입의 용이성에 대한 개선이 없고, 25도를 넘으면, 접속대상물이 높이가 낮아지지 않고, 삽입도 어려워진다.
마지막으로, 잠금부재(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설명한다. 요구 사양이나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기판(40) 등의 접속 대상물의 유지력을 고려했을 경우에는, 상기 잠금부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잠금부재를 사용하는 경우는, 먼저, 접속 대상물에 걸어멈춤부를 마련한다. 이 걸어멈춤부는 관통구멍이나 홈이나 멈춤구멍이라도 좋다. 다음에, 상기 잠금부재에는 상기 걸어멈춤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마련한다. 상기 잠금부재의 구조로서는, 도 4A나 도 4B나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것과 같은 콘택트와 동일 구조로 한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절결부나 구멍등을 형성하 여, 잠금부재의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시킨다. 누름부가 회전함으로써, 콘택트와 마찬가지로 절어맞춤부가 절결부나 구멍에 걸어맞춤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제로-인서션 포스"(ZIF) 구조로 할 수 있고, 접속 대상물이 갑작스러운 외부의 힘을 받아도 빠지는 경우가 없고, 안정된 지속을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회동 부재를 잠금부재의 소정의 위치에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걸어맞춤부나 상기 접속 대상물의 걸어멈춤부에 걸어맞춤하도록 한다. 상술한 콘택트(14,141,142)의 위쪽 접촉부(22)에 상당하는 위치에, 상기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활용예로서는, 휴대 전화나 퍼스널 컴퓨터나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코넥터에 활용되고, 특히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등의 접속 대상물과의 안정된 접속을 얻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의 장착개구측으로부터 본 본발명의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의 접속부측으로부터 본 본발명의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는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본 발명의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이 삽입되어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 있는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본 발명의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회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2개의 접촉부를 가진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1개의 접촉부를 가진 다른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E는, 회동 부재가 회동하는 경우의 누름부와 회전축의 이동을 설명하는 설명도들이다;
도 6A 내지 6D 들은, 콘택트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7A는,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했을 경우의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의 장착개구측으로부터 본 본 발명의 다른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했을 경우의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의 접속부측으로부터 본 본 발명의 다른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했을 경우의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의 한쪽의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본 발명의 다른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했을 경우의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이 삽입되고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의 한쪽의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본 발명의 다른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했을 경우의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의 또 한쪽의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본 발명의 다른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2종류의 콘택트를 지그재그로 배치했을 경우의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이 삽입되어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의 또 한쪽의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본 발명의 다른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또 한쪽의 콘택트의 아래쪽의 접촉부에 탄성을 갖게 했을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을 삽입했을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D는,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이 삽입된 후의 도 10C에 나타낸 코넥터의 도면이다;
도 10E는, 삽입개구를 제외하고, 도 10A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0F는,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이 삽입된 후의 도 10E에 나타낸 코넥터의 도면이다;
도 11은, 슬라이더가 삽입되기 전의 장착개구측으로부터 본 종래의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슬라이더가 삽입되기 전의 어느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종래의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2B는, 플렉시블 프린트기판이 삽입되고 슬라이더가 삽입된 상태의 어느 콘택트 부분에서 절단한 종래의 코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벽을 구비함으로서 유지력이 증가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부호의 설명]
10, 101, 60 코넥터 12, 121, 62 하우징
14, 141, 142, 64 콘택트 16, 161 회동 부재
17 방지벽 18 장착개구
19 오목부 20 압력받음부
22 접촉부 24 접속부
26 돌출부 28 축
30 걸어멈춤구멍 32 지점부
34 탄성부 36,68 누름부
38 삽입홈 40 플렉시블 프린트기판
42 고정부 44 연설부
46 걸어맞춤부 48 걸어멈춤부
50 회전축 52 상단
54 하단 66 슬라이더
70 받이부 72 슬릿
74 장착부 76 고정구

Claims (6)

  1.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접촉부를 가진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가 배열 및 유지됨과 함께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장착개구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누르는 회동 부재를 구비한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지그재그로 교호로 배치되는 2종류의 콘택트로 구성되고,
    한쪽의 상기 콘택트는,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지점부 및 타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와 상기 지점부와 상기 접속부를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고,
    또 한쪽의 콘택트는,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 및 타단측에 지점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와 상기 지점부와 상기 접속부를 U자형상으로 배치함과 함께 적어도 한쪽 또는 또 한쪽의 콘택트의 압력받음부의 자유로운 끝단에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회동 부재의 조작부와 확고하게 걸어맞추도록 하는 돌출부를 마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의 접촉부를 피복하는 천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천정부의 적어도 양단측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갑작스러운 외부로부터의 힘을 받았을 때의 상기 천정부의 떠오름을 방지하는 방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방지벽은 모서리가 깎이거나 또는 경사지지 않은 에지 형상의 벽이며,
    상기 회동 부재는, 그 회동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누름부 및, 상기 압력받음부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와 걸어맞춤하는 상호간에 독립적인 걸어멈춤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가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접속부와 압력받음부의 사이 및 또 한쪽의 콘택트의 압력받음부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함과 함께 상기 누름부가 회동할 때는 회전축이 이동하여 컴팩트한 회전을 하며,
    상기 한쪽의 상기 콘택트에, 지점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설부를 마련하고,
    상기 콘택트와 다른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연설부상에 접촉부가 마련되고, 또한, 또 다른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지점부와 접속부의 사이에도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2.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접촉부를 가진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가 배열 및 유지됨과 함께 상기 접속 대상물이나 삽입되는 장착개구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콘택트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누르는 회동 부재를 구비한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지그재그로 교호로 배치되는 2종류의 콘택트로 구성되고,
    한쪽의 상기 콘택트는,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지점부 및 타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를 연결하는 탄성부; 및, 지점부로부터 상기 제1 편의 접촉부에 대향하는 위치로 연장되는 연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와 상기 지점부와 상기 접속부를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고,
    또 한쪽의 콘택트는,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 및 타단측에 지점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를 연결하는 탄성부; 및, 지점부로부터 상기 제1 편의 압력받음부에 대향하는 위치로 연장되는 연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와 상기 지점부와 상기 접속부를 U자형상으로 배치함과 함께 적어도 한쪽 또는 또 한쪽의 콘택트의 압력받음부의 자유로운 끝단에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회동 부재의 조작부와 확고하게 걸어맞추도록 하는 돌출부를 마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의 접촉부를 피복하는 천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천정부의 적어도 양단측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갑작스러운 외부로부터의 힘을 받았을 때의 상기 천정부의 떠오름을 방지하는 방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방지벽은 모서리가 깎이거나 또는 경사지지 않은 에지 형상의 벽이며,
    상기 회동 부재는, 그 회동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누름부 및, 상기 압력받음부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와 걸어 맞춤하는 상호간에 독립적인 걸어멈춤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코넥터에 삽입하는 경우에, 상기 접속 대상물을 상기 코넥터에 삽입전 상태에서는 상기 누름부의 하단측이 상기 압력받음부의 돌출부와 한쪽 콘택트의 접속부와 다른쪽 콘택트의 연설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두번째로 상기 조작부를 회동시키면 상기 누름부가 장착개구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단이 상기 압력받음부의 돌출부와 접속부 혹은 연설부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고, 세번째로 상기 조작부를 더 회동시키면 제2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나 누름부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히고, 네번째로 상기 조작부를 더 회동시키면 제3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가 누름부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누름부가 상기 압력받음부와 상기 접속부, 혹은 연설부의 사이에서 수직이 되어 회전축이 상기 돌출부에 접한 상단 측에 이동해, 마지막에 상기 조작부를 더 회동시키면 제4 위치에서 상기 누름부가 상기 돌출부에 접한 상단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누름부를 상기 돌출부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누름부가 회동할 때는 회전축이 이동하여 컴팩트한 회전을 하며,
    상기 콘택트와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연설부 및 또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지점부와 접속부의 사이에 마련하는 상기 접촉부에 탄성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3.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적어도 1개의 접촉부를 가진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가 배열 및 유지됨과 함께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장착개구를 가진 하 우징과, 상기 콘택트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접속 대상물에 대하여 누르는 회동 부재를 구비한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지그재그로 교호로 배치되는 2종류의 콘택트로 구성되고,
    한쪽의 상기 콘택트는,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지점부 및 타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와 상기 지점부와 상기 접속부를 크랭크 형상으로 배치하고,
    또 한쪽의 콘택트는, 일단측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타단측에 상기 회동 부재에 의해 눌러지는 압력받음부를 가진 제1 편과; 일단측에 기판과 접속하는 접속부 및 타단측에 지점부를 가진 제2 편과; 상기 제1 편과 상기 지점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와 상기 탄성부와 상기 지점부와 상기 접속부를 U자형상으로 배치함과 함께 적어도 한쪽 또는 또 한쪽의 콘택트의 압력받음부의 자유로운 끝단에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회동 부재의 조작부와 확고하게 걸어맞추도록 하는 돌출부를 마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의 접촉부를 피복하는 천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천정부의 적어도 양단측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갑작스러운 외부로부터의 힘을 받았을 때의 상기 천정부의 떠오름을 방지하는 방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방지벽은 모서리가 깎이거나 또는 경사지지 않은 에지 형상의 벽이며,
    상기 회동 부재는, 그 회동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누름부 및, 상기 압력받음부를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와 걸어맞춤하는 상호간에 독립적인 걸어멈춤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가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접속부와 압력받음부의 사이 및 또 한쪽의 콘택트의 압력받음부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서 회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함과 함께 상기 누름부가 회동할 때는 회전축이 이동하여 컴팩트한 회전하며,
    상기 접속 대상물에 걸어멈춤부를 마련하고, 상기 걸어멈춤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가진 동시에 상기 콘택트와 동일 구조로 한 잠금부재를 사용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콘택트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접속부에 대응한 위치에 걸어멈춤부를 마련하고, 상기 콘택트 및 상기 콘택트의 접속부에 상기 걸어멈춤부와 걸어맞춤하는 기울어진 걸어맞춤부를 마련하고, 상기 콘택트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연설부는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를, 상기 하우징에 장착개구와 반대측으로부터 삽입해 나가면, 상기 걸어맞춤부에 상기 걸어멈춤부가 걸어맞춤하기 시작한 단계에서는 상기 콘택트의 접촉부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 구멍과 평행 상태이지만, 더 삽입되면 상기 콘택트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삽입 구멍 상벽과 접하고, 삽입이 완료하면 기울어진 상기 오목부에 의해 상기 접촉부가 상기 삽입 구멍과 평행 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콘택트 및 한쪽의 상기 콘택트의 연설부상에 마 련된 접촉부 및, 각각 다른 종류의 각 콘택트의 접속부와 지점부 사이에 마련된 접촉부들은 구부러진 형상으로 장착개구내로 연장되고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들은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코넥터.
KR1020097000457A 2004-08-10 2005-07-21 코넥터 Active KR101047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33197 2004-08-10
JPJP-P-2004-233197 2004-08-10
PCT/JP2005/013789 WO2006016482A1 (en) 2004-08-10 2005-07-21 Connec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253A Division KR100895344B1 (ko) 2004-08-10 2005-07-21 코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904A true KR20090019904A (ko) 2009-02-25
KR101047660B1 KR101047660B1 (ko) 2011-07-08

Family

ID=358392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253A Active KR100895344B1 (ko) 2004-08-10 2005-07-21 코넥터
KR1020097000457A Active KR101047660B1 (ko) 2004-08-10 2005-07-21 코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253A Active KR100895344B1 (ko) 2004-08-10 2005-07-21 코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11542B2 (ko)
JP (1) JP4499153B2 (ko)
KR (2) KR100895344B1 (ko)
CN (1) CN1993867B (ko)
FI (1) FI122158B (ko)
GB (1) GB2431781B (ko)
WO (1) WO20060164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58B1 (ko) * 2010-04-08 2013-04-03 파나소닉 주식회사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9950A1 (ja) * 2005-10-06 2007-04-12 Ddk Ltd. コネクタ
JP2007265851A (ja) * 2006-03-29 2007-10-11 Molex Inc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707597B2 (ja) * 2006-04-13 2011-06-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199272B2 (ja) * 2006-08-23 2008-1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99271B2 (ja) * 2006-08-23 2008-1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22815B2 (ja) * 2007-04-27 2012-04-2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56339B2 (ja) * 2007-09-07 2012-06-2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7625240B2 (en) * 2007-10-26 2009-12-01 Cisco Technology, Inc. Receptacle connector
JP4992707B2 (ja) * 2007-12-28 2012-08-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669529B2 (ja) * 2008-04-23 2011-04-13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992833B1 (ko) 2008-04-23 2010-11-08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101529639B1 (ko) * 2008-12-03 2015-06-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5165630B2 (ja) * 2009-04-09 2013-03-21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171034A (ja) * 2010-02-17 2011-09-01 D D K Ltd コネクタ
JP5501788B2 (ja) * 2010-02-17 2014-05-28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89741B2 (ja) * 2010-02-26 2012-08-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704505B1 (ja) * 2010-03-30 2011-06-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6021058B2 (ja) * 2012-08-27 2016-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4089761A1 (en) 2012-12-11 2014-06-19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providing one or more socket contacts for contacting an inserted flexible, planar connector; a method
JP6206713B2 (ja) * 2013-10-01 2017-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321544B1 (ko) * 2016-05-27 2021-11-0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액츄에이터
CN113224570B (zh) * 2020-01-20 2023-11-2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带有位置保证装置的连接器组件
JP7467248B2 (ja) * 2020-06-11 2024-04-1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US11411342B2 (en) * 2020-06-24 2022-08-09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CN113359009B (zh) * 2021-06-01 2022-07-19 广东拓斯达科技股份有限公司 承托扎针机构及其载具
JP7554165B2 (ja) * 2021-07-30 2024-09-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15458995A (zh) * 2022-10-08 2022-12-09 浙江地芯引力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7083U (ja) 1983-09-27 1985-04-20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ケ−ブル用コネクタ
JPH0346469Y2 (ko) * 1987-02-26 1991-10-01
JPH038886U (ko) 1989-06-14 1991-01-28
JPH03103578U (ko) 1990-02-09 1991-10-28
GB9123104D0 (en) 1991-10-31 1991-12-18 Amp Holland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to circuit board application
JPH0686289U (ja) 1993-05-20 1994-12-13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H09199241A (ja) 1996-01-19 1997-07-31 Smk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の中継用コネクタ
JP3101951B2 (ja) * 1997-01-24 2000-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JP3047862B2 (ja) * 1997-07-08 2000-06-05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3075707B2 (ja) * 1997-12-24 2000-08-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3932521B2 (ja) * 1998-04-17 2007-06-20 Smk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ー
US5928029A (en) * 1998-05-29 1999-07-27 Thomas & Betts Corporation Multi-pin connector for flat cable
JP3430398B2 (ja) 1998-07-31 2003-07-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340697B2 (ja) 1999-04-14 2002-1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JP4248672B2 (ja) * 1999-04-30 2009-04-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278742B2 (ja) * 1999-09-03 2002-04-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446136B2 (ja) * 2000-06-05 2003-09-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3789073B2 (ja) 2000-09-11 2006-06-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導体の接続コネクタ
JP2002270920A (ja) 2001-03-07 2002-09-20 Fujitsu Ltd 磁気センサ、磁気ヘッド、及び、磁気記録装置
JP3484659B2 (ja) * 2001-03-09 2004-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03338B2 (ja) 2001-11-08 2007-04-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3666445B2 (ja) * 2001-11-13 2005-06-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3883437B2 (ja) * 2002-01-18 2007-02-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044773B2 (en) * 2002-08-01 2006-05-16 Ddk Ltd. Connector
JP2004071160A (ja) * 2002-08-01 2004-03-04 D D K Ltd コネクタ
JP4100624B2 (ja) * 2002-12-25 2008-06-1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566683U (en) * 2003-05-20 2003-12-11 P Two Ind Inc Flat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658B1 (ko) * 2010-04-08 2013-04-03 파나소닉 주식회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289A (ko) 2007-03-13
US7311542B2 (en) 2007-12-25
FI122158B (fi) 2011-09-15
CN1993867A (zh) 2007-07-04
GB2431781A (en) 2007-05-02
KR100895344B1 (ko) 2009-04-28
JP2008510265A (ja) 2008-04-03
JP4499153B2 (ja) 2010-07-07
GB0700215D0 (en) 2007-02-14
GB2431781B (en) 2009-01-28
KR101047660B1 (ko) 2011-07-08
FI20070116L (fi) 2007-04-10
US20070111602A1 (en) 2007-05-17
WO2006016482A1 (en) 2006-02-16
CN1993867B (zh)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660B1 (ko) 코넥터
KR100972501B1 (ko) 커넥터
US7140896B2 (en) Connector
CN101345361B (zh) 连接器
US7435122B2 (en) Connector
US7094093B2 (en) Connector
US7726995B2 (en) Connector
JP4630340B2 (ja) コネクタ
US7083454B2 (en) Connector
US7581973B2 (en) Cam structure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US7341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JP5185543B2 (ja) コネクタ
JP2009129562A (ja) コネクタ
JP2007179808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09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12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902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415

Appeal identifier: 2011101001418

Request date: 20110224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3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6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908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4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0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