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283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833B1
KR100992833B1 KR1020080064703A KR20080064703A KR100992833B1 KR 100992833 B1 KR100992833 B1 KR 100992833B1 KR 1020080064703 A KR1020080064703 A KR 1020080064703A KR 20080064703 A KR20080064703 A KR 20080064703A KR 100992833 B1 KR100992833 B1 KR 10099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rm
insulator
engagement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530A (ko
Inventor
토모카즈 사토우
아츠노부 후쿠오카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006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8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는 인슐레이터를 변형시키는 것이 아니라 컨택트를 인슐레이터에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는 커넥터이다.
인슐레이터(20)에 컨택트 지지홈(26F),(26R)과 통하는 피걸어맞춤부 (27),(28)를 형성하고, 컨택트에 피걸어맞춤부에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컨택트를 인슐레이터에 대해 유지하는 걸어맞춤 돌기부(47),(48)를 돌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 컨택트, 컨택트 지지홈, 걸어맞춤 돌기부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1의 커넥터는 복수의 컨택트 지지홈을 가지는 하우징(12)(인슐레이터)과 각 컨택트 지지홈에 눌러 넣은 복수의 컨택트(14)와, 하우징(12)으로 지지한 슬라이더(13)(액추에이터)를 가지고 있다.
각 컨택트(14)의 측면에는 돌기인 고정부(42)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컨택트(14)를 대응하는 컨택트 지지홈에 눌러 넣으면 고정부(42)가 이웃하는 컨택트 지지홈을 나누는 칸막이벽의 측면에 가압 접속되어 각 그 측면으로 침입한다. 그러면, 각 고정부(42)와 대응하는 칸막이벽 사이엔 침입력이 발생하므로, 각 컨택트 지지홈에서 컨택트(14)가 쉽게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특허문헌1)특개2008-60087호 공보
최근 커넥터의 소형화와 컨택트의 다극화에 의한 좁은 피치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최근 커넥터의 칸막이는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얇은 두께로 되고,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이 쉽다. 칸막이벽이 변형되기 쉬우면, 컨택트(14)를 컨택트 지지홈에 삽입했을 때 고정부(42)가 칸막이 벽에 들어가기 어려우므로, 컨택트 지지홈(칸막이벽)에 의한 컨택트의 유지력이 저하되고 만다.
또, 각 칸막이벽이 얇은 두께가 되면, 컨택트(14)를 컨택트 지지홈에 눌러 넣는 것에 의해 각 칸막이벽에 발생하는 응력을 충분히 분산시킬 수 없어서 잔류 되어 버리고, 하우징(12) 전체가 휘어져 버릴 우려가 있다. 특히, 각 컨택트를 회로기판에 납땜할 때 리플로우를 하면 리플로우 열이 하우징(12)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잔류해 있던 응력이 원인이 되어 하우징(12)이 크게 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하우징(12)의 변형은 회로 기판의 실장 불량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슐레이터를 변형시키는 것이 아니라 컨택트를 인슐레이터에 견고히 유지되도록 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컨택트 지지홈을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이 인슐레이터의 상기 컨택트 지지홈으로 끼워져 삽입되어 상기 인슐레이터 내부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컨택트를 가지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상기 컨택트 지지홈과 통하는 오목홈부 또는 관통 구멍으로 된 피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컨택트에 상기 피걸어 맞춤부에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 이 컨택트를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해 유지시키는 걸어맞춤 돌기부를 돌출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컨택트에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와는 상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도록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와 마주보는 면을 상기 피걸어맞춤부에 접촉시키며, 상기 걸어맞춤부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와 마주보는 면을 상기 인슐레이터에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를 상기 컨택트의 측면에 돌출 설치하고, 상기 피걸어맞춤부를 상기 컨택트 지지홈의 측면에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는 상기 컨택트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제1암 및 제2암과, 이 제1암과 제2암의 중간부끼리를 접속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변형접속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1암과 제2암의 한쪽의 단부 사이에 상기 접속 대상물을 삽입한 상태로 상기 제2암의 다른 쪽 단부를 상기 제1암의 다른 쪽 단부에서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암의 한쪽 단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 쪽으로 이동되는 액츄에이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를 상기 컨택트의 상면에 돌출 설치하고 상기 피걸어맞춤부를 상기 컨택트 지지홈의 천정면에 형성해도 좋다.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의 상면을 상기 피걸어맞춤부에 접속시키고 상기 컨택트의 바닥면을 상기 컨택트 지지홈의 바닥면에 접속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슐레이터의 컨택트 지지홈에 컨택트를 끼워넣으면 컨택트에 돌출 설치한 걸어맞춤 돌기부가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에 끼워 맞춰지므로, 컨택트는 인슐레이터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컨택트 지지홈으로의 컨택트의 삽입이 완료된 최종 상태에서 걸어맞춤 돌기부는 컨택트 지지홈의 측면을 누르지 않으므로, 인슐레이터에 응력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이에 따라 인슐레이터는 변형되지 않는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피걸어맞춤부가 특정 일직선상에 늘어선 것에 비해, 인슐레이터의 기기적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를 사출성형할 때 수지의 유동성(성형성)이 좋아진다.
제2암의 상면에 걸어맞춤 돌기부를 돌출 설치하고 이 걸어맞춤 돌기부를 인슐레이터의 천정면에 형성한 피걸어맞춤부에 끼워 맞추는 구조로는 제2암이 제1암에 대해 상대 이동 불능이 된다. 그래서 이런 구조의 커넥터에 액츄에이터를 설치 해도 액츄에이터로 제2암을 이동시킬 수 없다.
그러나, 청구항 3과 같이 컨택트의 측면에 걸어맞춤 돌기부를 돌출 설치함과 동시에 컨택트 지지홈의 측면에 피걸어맞춤부를 설치한 구조의 커넥터에 청구항 4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적용하면,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2암의 한쪽 단부를 접속 대상물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제1암과 제2암을 접속대상물에 확실하게 누를(접속)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인슐레이터에 대한 컨택트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컨택트의 인슐레이터로의 삽입 방향에 상관없이 컨택트가 인슐레이터에 대해 컨택트의 길이 방향 위치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부터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안의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는 FPC 용 커넥터이고,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인슐레이터(20), 금속부품(35), 제1컨택트(40F), 제2컨택트(40R) 및 회전식 액츄에이터(50)를 가지고 있다.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과 내열성의 합성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고, 좌우 한 쌍의 측벽부(21)와, 좌우 측벽부(21)의 하단부를 접속하는 바닥부(22)와, 좌우의 측벽부(21) 상단부의 전반부를 접속하는 천정부(23)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22)와 천정부(23)의 사이에는 좌우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늘어선 16매의 칸막이벽(24)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벽(24)은 대략 수직이고 그 전면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삽입용 오목홈부(24a)가 설치되어 있고 (도 7,도 8,도 9 참조), 칸막이벽(24)의 후단은 천정부(23)의 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2 및 도 7부터 도 9 참조). 또한,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각 칸막이벽(24)의 좌측면의 후단부 근방에는 그 전후 부분에 비해서 좌측에 돌출되어 있고, 그 좌측면은 지지평면(25)으로 되어 있다. 또, 칸막이벽(24)의 좌우 양 측면의 후단부 근방에는 제1컨택트(40F)와 제2컨택트(40R)를 인슐레이터(20)에 삽입할 때 끌어들이는 작용을 하는 유도 오목홈부(24b)가 설치되어 있다.
이웃하는 칸막이벽(24) 사이의 공간은, 다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총 8개의 제1컨택트 지지홈(26F)과 총 7개의 제2컨택트 지지홈(26R)으로 되어 있다. 도시와 같이, 각 제1컨택트 지지홈(26F)과 각 제2컨택트 지지홈(26R)은 교차되어 늘어서 있다. 바닥부(22)의 상면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은 제1컨택트 지지홈(26F) 및 제2컨택트 지지홈(26R)의 하단부를 구성하고 있고, 천정부(23)의 하면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은 제1컨택트 지지홈(26F) 및 제2컨택트 지지홈(26R)의 상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5부터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각 칸막이벽(24) 및 바닥부(22)에는 칸막이벽(24)의 우측면의 하단부를 좌측으로 움푹 들어가게 함과 동시에 바닥부(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끼워맞춤구멍(피걸어맞춤부)(27)과 끼워맞춤구멍(피걸어맞춤부)(2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와 같이, 끼워맞춤구멍(27)은 제1컨택트 지지홈(26F)과 통하고, 끼워맞춤구멍(28)은 제2컨택트 지지홈(26R)과 통하며, 끼워맞춤구멍(28)은 끼워맞춤구멍(27)에 비해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바닥부(22)의 하면의 뒤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각 제1컨택트 지지홈(26F), 제2컨택트 지지홈(26R)의 후단부의 바로 밑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각각 걸어맞춤 오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좌우의 측벽부(21)의 후부의 내측면에는 축받침용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측벽부(21)의 전면의 좌우 양단부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금속부품 용 오목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금속부품용 오목부(31)에는, 대략 수평한 테일부(36)를 가지는 금속부품(35)의 후부를 전방에서 끼워맞추고 있다.
총 8개의 제1컨택트(40F)와 총 7개의 제2컨택트(40R)는 다 같이 스프링탄성을 가진 동합금(예를 들면 링 청동, 벨릴륨동, 티탄동)과 코르손계 동합금의 얇은 판을 도시 형상의 순송금형(스템핑)에 의해 성형 가공한 것이고, 표면에 니켈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도금을 하였다.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제1컨택트(40F) 및 제2컨택트(40F)는 다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약 H자 형상이고, 서로 대략 평행을 이루면서 제1암(41) 및 제2암(42)과, 제1암(41)과 제2암(42)의 중간부끼리 접속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변형접속부(43)를 가지고 있다. 제1암(41) 및 제2암(42)의 전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접촉돌기부(44)와 접촉돌기부(45)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고, 제1암(41)의 하면의 후단부에는 갈고리모양 걸어맞춤부(4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컨택트(40F)의 대략 중앙부의 좌측면에는 왼쪽을 향해 돌출된 걸어맞춤 돌기부(47)가 형성되어 있고, 제2컨택트(40R)의 제1암(41)의 대략 중앙부의 좌측면에는 왼쪽을 향해 돌출된 걸어맞춤 돌기부(48)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제1컨택트(40F)의 걸어맞춤 돌기부(47) 및 제2컨택트(40R)의 걸어맞춤 돌기부(48)에는 전방경사면(49F)과 후방경사면(49R)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제1컨택트(40F)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부(47)쪽이 제2컨택트(40R)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부(48)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각 제1컨택트(40F)는 인슐레이터(20)의 대응하는 제1켄텍트 지지홈(26F)에 후방에서부터 삽입되고 있고, 각 제2컨택트(40R)는 대응하는 제2컨택트 지지홈(26R)에 후방에서부터 삽입되고 있다.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제1컨택트(40F)를 제1컨택트 지지홈(26F)에 삽입하면, 제1암(41)의 하면은 제1컨택트 지지홈(26F)의 바닥면(바닥부(22)에 형성한 오목홈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제2암(42)의 상면은 제1컨택트 지지홈(26F)의 천정면(천정부(23)에 형성한 오목홈의 천정면)에서 아래쪽으로 이격되어, 걸어맞춤 돌기부(47)이 대응하는 끼워맞춤 구멍(27)에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걸어맞춤 돌기부(47)의 후방 경사면(49R)이 끼워맞춤 구멍(27)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접촉하고, 또 갈고리모양 걸어맞춤부(46)가 인슐레이터(20)의 대응하는 걸어맞춤 오목부(29)에 끼워 맞추어지므로 (도 3 및 도 7부터 도 9 참조) 제1컨택트 지지홈(26F)에 삽입 된 제1컨택트(40F)는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는다. 또, 상술한 것처럼 걸어맞춤 돌기부(47)의 후방경사면(49R)이 걸어맞춤구멍(27)의 후단 가장 자리부에 접촉하고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컨텍트(40F)의 우측 면이 칸막이벽(24)의 지지평면(25)에 접속되므로 제1컨텍트(49R)는 좌우 방향으로도 흔들리지 않는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제1암(41)의 바닥면이 제1컨택트 지지홈(26F)의 바닥면에 접촉 하고, 또 걸어맞춤 돌기부(47)의 상면이 끼워맞춤 구멍(27)의 천정면에 접속하므로 (도 6참조), 제1컨택트(40F)가 상하방향으로 흔들릴 일도 없다.
마찬가지로,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제2컨택트(40R)를 제2컨택트 지지홈(26R)에 삽입하면, 제1암(41)의 하면은 제2컨택트 지지홈(26R)의 바닥면(바닥부(22)에 형성된 오목홈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제2암(42)의 상면은 제1컨택트 지 지홈(26F)의 천정면(천정부(23)에 형성된 오목홈의 천정면)에서 하방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각 걸어맞춤 돌기부(48)가 대응하는 끼워맞춤 구멍(28)에 끼워 맞추어지고, 그 후방경사면(49R)이 끼워맞춤구멍(28)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며, 또 갈고리모양 걸어맞춤부(46)가 인슐레이터(20)가 대응하는 걸어맞춤 오목부(29)에 끼워맞춰진다. 또 제2컨택트(40R)의 우측면이 칸막이벽(24)의 지지평면(25)에 접속하고, 제2컨택트(40R)의 제1암(41)의 하면이 제2컨택트 지지홈(26R)의 저면에 접속하며, 또한 제2컨택트(40R)의 걸어맞춤 돌기부(48)의 상면이 끼워맞춤구멍(28)의 천정면에 접속한다. 따라서, 제2컨택트 지지홈(26R)에 삽입된 제2컨택트(40R)는 전후, 좌우, 상하의 어느 방향으로도 흔들리지 않는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제1컨택트(40F)와 제2컨택트(40R)의 앞부분은 칸막이벽(24)의 좌측면에 있어서 지지평면(25)보다 앞쪽 부분에는 접촉하지 않고. 또 칸막이벽(24)의 우측면에도 접촉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제1컨택트(40F) 및 제2컨택트(40R)의 제1암(41)과 제2암(42)은 제1컨택트 지지홈(26F)과 제2컨택트 지지홈(26R)의 내부에서 탄성변형 가능하다.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판자모양 부재료인 회전식 액츄에이터(50)는 내열성 합성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다. 회전식 액츄에이터(50)에는 총 15개의 관통 구멍(51)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뚫려 있고, 각 회전식 액츄에이터(50)의 바로 밑에는 단면 형상이 대략 길이 방향을 이루는 캠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식 액츄에이터(50)의 좌우양측면의 하단부에는 각 캠부(52)와 대략 같은 축을 이루는 회전 지지축(53)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런 구조의 회전식 액츄에이터(50)는, 각 관통구멍(51)에 제1컨택트(40F) 및 제2컨택트(40R)의 제2암(42)의 후단부를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좌우의 회전 지지축(53)을 인슐레이터(20)에 형성한 좌우의 축받침용 오목부(30)에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도 5 및 도 6 참조), 인슐레이터(20) 좌우의 회전 지지축(5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식 액츄에이터(5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대략 수직을 이루는 비잠금 위치와 도 9에서처럼 대략 수평을 이루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를 회로기판 CB(도 7 부터 도 9 참조)의 상면에 실장 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컨택트(40F) 및 제2컨택트(40R)의 제1암(41)의 후단부(테일부)와 회로기판 CB의 상면에 형성한 회로 패턴(미도시)을 서로 맞추어 납땜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또 좌우의 금속부품(35)의 테일부(36)와 회로기판 CB의 상면에 형성된 접지 패턴을 서로 맞추어 납땜 페이스트를 도포하며, 리플로우 고로에서 각 납땜 페이스트를 가열 용융한다. 그러면 각 제1컨택트(40F), 제2컨택트(40R)의 제1암(41)의 후단부와 상기 회로패턴이 납땜되고, 또 좌우의 테일부(36)와 상기 접지패턴이 납땜되므로, 커넥터(10)이 회로기판 CB에 실장된다.
그리고 도 7부터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회로기판 CB와 일체화된 커넥터(10)의 인슐레이터(20)의 앞쪽부터 바닥부(22)와 천정부(23)의 사이에 FPC(접속대상물)(60)를 삽입하면, FPC(60)의 후부가 제1컨택트(40F) 및 제2컨택트(40R)의 제1암(41)의 전부와 제2암(42)의 전부의 사이 및 각 칸막이벽(24)의 삽입용 오목홈부(24a)의 내부에 위치한다.
회전식 액츄에이터(50)을 도 9처럼 잠금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각 캠부(52)가 대응하는 제2암(42)의 후부의 하면을 위쪽으로 누르므로, 변형 접속부(43)이 탄성 변형하고 제2암(42)가 변형 접속부(43)을 중심으로 측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각 접촉 돌기부(45)가 FPC(60)의 상면의 상기 회로패턴에 접촉하고 또한 각 접촉돌기부(44)와 FPC(60)의 하면의 상기 회로 패턴과의 접촉 압력이 높아지므로, 제1컨택트(40F) 및 제2컨택트(40R)가 FPC(60)와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이상의 설명처럼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컨택트(40F)와 제2컨택트(40R)를 인슐레이터(20)의 제1컨택트 지지홈(26F)과 제2컨택트 지지홈(26R)에 각각 삽입하면, 제1컨택트(40F)의 걸어맞춤 돌기부(47)가 끼워맞춤구멍(27)에 끼워 맞추어짐과 동시에 제2컨택트(40R)의 걸어맞춤 돌기부(48)가 끼워맞춤구멍(28)에 끼워 맞추어지므로, 제1컨택트(40F)와 제2컨택트(40R)를 제1컨택트 지지홈(26F)과 제2컨택트 지지홈(26R)에 대해 각각 견고하게 이탈현상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걸어맞춤 돌기부(47)와 걸어맞춤 돌기부(48)가 끼워맞춤구멍(27)과 끼워맞춤구멍(28)에 끼워 맞추어져도, 각 칸막이벽(24)에는 걸어맞춤 돌기부(47),(48)에 의한 응력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인슐레이터(20)에는 조립에 의한 휘어짐 등의 변형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납땜될 때에 리플로우 열이 인슐레이터(20)에 영향을 주어도, 인슐레이터(20)에는 잔류한 응력으로 인해 일어나는 휘어짐 등의 변형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10)를 회로기판 CB에 쉽게 실장할 수 있고 끼워맞춤구멍(27),(28)에 의한 제1컨택트(40F)와 제2컨택트(40R)의 유지력 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만약 천정부(23)에 형성한 오목홈의 천정면에 끼워맞춤구멍(27), 끼워맞춤구멍(28)을 형성하고, 또한 제1컨택트(40F), 제1컨택트(40F)의 제2암(42)의 상면에 이 끼워맞춤구멍(27),(28)에 각각 끼워 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돌기부(47), 걸어맞춤 돌기부(48)를 돌출 설치한 경우는, 회전식 액츄에이터(50)를 회전 조작해도 제1컨택트(40F) 및 제2컨택트(40R)의 제2암(42)은 회전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처럼 제1컨택트(40F) 및 제2컨택트(40R)의 제1암(41)의 측면에 걸어맞춤 돌기부(47)와 걸어맞춤 돌기부(48)를 돌출 설치한 경우는 제2암(42)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는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제1컨택트(40F)의 걸어맞춤 돌기부(47)(끼워맞춤구멍(27))과 제2컨택트(40R)의 걸어맞춤 돌기부(48)(끼워맞춤구멍(28))의 전후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으므로 (갈지자 배치를 하고 있다) 제1컨택트(40F), 제2컨택트(40R)를 인슐레이터(20)에 장착할 때에, 각 칸막이벽(24)의 길이 방향의 같은 위치에 부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 삽입 방향에 대해 끼워맞춤 대상인 걸어맞춤구멍(27)이 걸어맞춤구멍(28)보다도 앞쪽에 있는 제1컨택트(40F)만 먼저 인슐레이터(20)에 장착하고, 그 다음 끼워맞춤 대상인 걸어맞춤구멍(28)이 걸어맞춤구멍(27)보다도 뒤쪽에 있는 제2컨택트(40R)를 인슐레이터(20)에 장착하는 것으로 인슐레이터(20)의 부하를 보다 저감 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칸막이벽(24)의 길이 방향의 같은 위치에 얇은 부분(끼워맞춤구멍(27),(28)을 형성한 부분)을 설치하면, 인슐레이터(20)의 길이 방향의 해당 부분의 강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서 크게 저하되거나, 인슐레이터(20)를 사출 성형할 때에 수지의 유동성이 악화되거나 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칸막이벽(24)의 얇은 부분을 2개의 위치에 분산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을 가해가면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1와 같은 상태로 실시해도 좋다. 이 커넥터(10')는 인슐레이터(20')와 복수의 컨택트(70)와 회전식 액츄에이터(50')와 인슐레이터(20')의 내부 공간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지지 금속부품(80)을 가지고 있다.
인슐레이터(20')는 좌우 한 쌍의 측벽부(21')와 바닥부(22')와 천정부(23')와 복수의 칸막이벽을 가지며 각 컨택트(70)는 인슐레이터(20')에 이웃하는 칸막이벽(24') 사이의 공간인 컨택트 지지홈(26')에 삽입되고 있다. 회전식 액츄에이터(50')는 여러 개의 관통구멍(51')과 한 쌍의 회전 지지축과 회전식 액츄에이터(50)의 캠부(52)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된 관통 구멍(51')과 같은 수의 회전 끼워맞춤부(54)를 가진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택트(70)는 기부(71)와 기부(71)에서 함께 앞쪽으로 연장된 제1암(72) 및 제2암(73)을 구비하고, 제1암(72)의 전단부에는 위를 향해있는 접촉돌기부(74)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제2암(73)의 하면에는 끼워맞춤 오목부(75)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식 액츄에이터(50') 좌우의 회전지지축은 지지 금속부품(80)의 뒤쪽 상면에 형성된 지지면 (81)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각 컨택트(70)의 제2암(73)이 회전식 액츄에이터(50')에 대응하는 관통구멍(51')을 관통하고 각 제2암(73)의 끼워맞춤 오목부(75)에 대응하는 회전 끼워맞춤부(54)가 끼워 맞춰져 있다.
회전식 액츄에이터(50')가 도 11에 나타난 것처럼 대략 수직인 비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에 FPC(60)를 커넥터(10')의 내부에 삽입하면 각 컨택트(70)의 제1암(72)의 접촉 돌기부(74)에 FPC(60) 하면의 회로 패턴이 접촉한다. 그리고 회전식 액츄에이터(50')를 앞쪽으로 회전시켜 대략 수평을 이루는 잠금 위치(미도시)까지 회전시키면, 회전식 액츄에이터(50')의 하단부(기단부)에 형성된 캠부(52')가 FPC(60)의 상면에 눌리어 접촉하므로, 각 제1암(72)의 접촉 돌기부(74)와 FPC(60)의 하면의 회로 패턴과의 접촉 압력이 높아지고, FPC(60)과 각 제1암(72)이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그리고, 본 변형 예의 천정부(23)의 후단부 근처에는 복수의 바닥을 가진 끼워맞춤구멍(피걸어맞춤부)(27')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뚫려있다(각 끼워맞춤구멍(27')은 하나씩 그 전후 위치를 떨어지게 하여 놓는다). 또한, 각 컨택트(70)의 기부(71)의 상면에는 대응하는 끼워맞춤구멍(27')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맞춤 돌기부(7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각 컨택트(70)에 있어서 걸어맞춤 돌기부(76)의 돌출 설치 위치는 대응하는 끼워맞춤구멍(27')의 위치에 맞춰서 하나씩 그 전후 위치에서 떨어뜨려 놓는다.)
본 변형 예에서는 각 컨택트(70)의 걸어맞춤 돌기부(76)의 후방경사면이 대응하는 끼워맞춤구멍(27')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접촉하고, 또한 각 컨택트(70)의 하면의 후단부에 돌출 설치한 테일부(77)(회로기판 CB 상면의 회로패턴에 납땜된 부분)의 앞면이 인슐레이터(20')의 바닥부(22')의 후단면에 접하고 있으므로, 인슐레이터(20')의 각 컨택트 지지홈(26')에 컨택트(70)를 삽입하면 컨택트(70)는 인슐레이터(2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는다.
또한, 걸어맞춤 돌기부(76)를 컨택트(70)의 하면에 돌출 설치함과 동시에 걸어맞춤구멍(27')을 바닥부(22')에 형성하고 또한 컨택트(70)의 상면을 천정부(23')의 천정면에 접촉시켜도 좋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컨택트(90)처럼 걸어맞춤 돌기부(91)를 후단부가 경사면이 아닌 컨택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평면이 되어 있는 것도 좋다. 이 경우는 제1컨택트(90F)를 제1컨택트 지지홈(26F)에 삽입하면 걸어맞춤 돌기부(91)의 후단면(평면)이 대응하는 걸어맞춤구멍(27)의 뒷면에 닿는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컨택트(95F)처럼 자르기보다 탄성 변형 가능한 걸어맞춤 돌기부(96)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조립과정(제1컨택트(95F)를 제1컨택트 지지홈(26F)에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걸어맞춤 돌기부(96)는 제1컨택트 지지홈(26F)의 측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탄성 변형되고, 제1컨택트(95F)가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되면 걸어맞춤 돌기부(96)가 탄성 복귀하는 것에 의해 대응하는 걸어맞춤구멍(27)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도 12부터 도 15의 변형 예는 제2컨택트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난 것처럼, 각 제1컨택트(40F")를 앞쪽에서 인슐레이터(20)에 장착시키는 구조의 커넥터(10")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슐레이터(20")의 바닥부(22")의 앞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각 제1컨택트(40 F")와 마주보는 부분에는 걸어맞춤 오목부(29")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부(22")에는 끼워맞춤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컨택트(40F")는 제1암(41")과 제2암(42)과 변형접속부(43)를 구비하고, 제1암(41")의 전단부에는 걸어맞춤 오목부(29")에 끼워 맞춰지는 갈고리모양 걸어맞춤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암(41")의 후단부에는 끼워맞춤 오목부(22A)에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 돌기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조는 커넥트(10)와 같고, 제2컨택트(40R)는 커넥터(10)와 같은 식으로 뒤쪽에서부터 인슐레이터(20")에 삽입된다.
도 17에서처럼 제1컨택트(40F")의 좌측면에 돌출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부(47")에는 전방경사면(49F")과 후방경사면(49R")이 형성되어있고, 전방경사면(49F")이 걸어맞춤 구멍(27")의 전단 가장자리부에 접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걸어맞춤 돌기부(47")의 상면은 걸어맞춤구멍(27")의 천정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도 18에서처럼, 제1컨택트(40F")에 걸어맞춤 돌기부(47") 대신 걸어맞춤 돌기부(47F")를 형성해도 좋다. 이 걸어맞춤 돌기부(47"')에는 전방경사면(49F"')과 후방경사면(49R"')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 경사면(49F"')과 후방경사면(49R"')은 걸어맞춤 구멍(27"')의 전단 가장자리부와 후단 가장자리부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걸어맞춤 돌기부(47"')의 상면은 걸어맞춤 구멍(27")의 천정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이 걸어맞춤 돌기부(47"')는 제1컨택트(40F)나 제2컨택트(40R)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각 변형 예로는 걸어맞춤 돌기부(47),(48). (47"),(48"),(47"')가 대응하는 걸어맞춤구멍(27),(28),(27")에 접촉하고 있지만, 양자를 약간 간격을 두어 마주보게 해도 좋다. 또한, 각 걸어맞춤 돌기부 (47),(48),(47"),(47"')의 상면과 대응하는 걸어맞춤구멍(27),(28),(27")의 천정면의 관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걸어맞춤 돌기부(47)와 걸어맞춤 돌기부(48)를 끼워맞춤구멍(27) 및 끼워맞춤구멍(28)과 같은 단면 형상으로 하고, 제1컨택트(40F)와 제2컨택트(40R)를 제1컨택트 지지홈(26F)과 제2컨택트 지지홈(26F)에 각각 삽입했을 시에, 걸어맞춤 돌기부(47)와 걸어맞출 돌기부(48)의 전후 양면과 상하 양면이 끼워맞춤구멍(27)과 끼워맞춤구멍(28)의 전후 양면과 상하 양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끼워맞춤구멍(27)과 끼워맞춤구멍(28)에 의한 제1컨택트(40F)와 제2컨택트(40R)의 유지력이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도 11의 변형 예의 걸어맞춤 돌기(76)를 끼워맞춤구멍(27')과 같은 단면 형상으로 하고. 걸어맞춤 돌기부(76)의 전후 양면과 상하 양면이 끼워맞춤구멍(27')의 전후 양면과 좌우 단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인슐레이터(20)의 부담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모든 끼워맞춤구멍(27), 걸어맞춤 구멍(28), 끼워맞춤 돌기부(47), 걸어맞춤 돌기부(48)를 같은 전후방향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도 11의 변형 예의 모든 끼워맞춤구멍(27')과 걸어맞춤 돌기부(76)를 똑같이 전후방향 위치로 설치해도 좋다.
또한, 끼워맞춤구멍(27)과 끼워맞춤구멍(28)을 칸막이벽(24)를 좌우 방향에서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 설계하거나, 끼워맞춤구멍(27')을 천정부(23')를 상하 방향에서 관통하는 바닥을 가지는 구멍으로 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의 기본 구조는 상기 실시 형태나 변형 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슬라이드식의 액츄에이터를 가지는 것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접속대상물은 FPC 이외의 케이블,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플레이트 케이블(FFC)이어도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의 앞쪽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2는 커넥터의 앞쪽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3은 커넥터의 뒤쪽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4는 커넥터의 정면도,
도5는 도4의 V-V선 단면도,
도6은 도5의 VI-VI선 단면도,
도7은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비잠금 위치에 위치 할 때의 도4의
Ⅶ-Ⅶ선 단면도,
도8은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비잠금 위치에 위치 할 때의 도4의
Ⅷ-Ⅷ선 단면도,
도9는 회전식 액츄에이터가 잠금 위치에 위치 할 때의 도8과 같은 단면도,
도10은 제2컨택트의 앞쪽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확대 사시도,
도11은 변형 예의 도7과 같은 형태의 단면도,
도12는 다른 변형 예의 제1컨택트의 사시도,
도13은 도12의 ⅩⅢ-ⅩⅢ선 단면도,
도14는 다른 변형 예의 제1컨택트의 사시도,
도15는 도14의 ⅩⅤ-ⅩⅤ선 단면도,
도16은 또 다른 변형 예의 도7과 같은 형태의 단면도,
도17은 걸어맞춤 돌기부와 걸어맞춤 구멍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18은 다른 걸어맞춤 돌기부와 걸어맞춤 구멍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10": 커넥터 20,20',20": 인슐레이터
21,21': 측벽부 22,22',22": 바닥부
22A: 끼워맞춤 오목부 23,23': 천정부
24,24': 칸막이벽 24a: 삽입용 오목홈부
24b: 유도 오목부 25,25': 지지평면
26F: 제1컨택트 지지홈 26R: 제2컨택트 지지홈
26': 컨택트 지지홈
27,27',27",28: 걸어맞춤 구멍
29,29': 걸어맞춤 오목부 30: 축받침용 오목부
31: 금속부품용 오목부 35: 금속부품
36: 테일부 40F,40F": 제1컨택트
40R: 제2컨택트 41,41": 제1암
41A: 끼워맞춤 돌기부 42: 제2암
43: 변형 접속부 44,45: 접촉 돌기부
46,46": 걸어맞춤부
47,47",48: 걸어맞춤 돌기부 49F,49": 전방경사면
49R,49R": 후방경사면 50,50': 회전식 액츄에이터
51,51": 관통구멍 52,52': 캠부
53: 회전 지지축 54: 회전 끼워맞춤부
60: FPC 70: 컨택트
71: 기부 72: 제1암
73: 제2암 74: 접촉돌기부
75: 끼워맞춤 오목부 76: 걸어맞춤 돌기부
77: 테일부 80: 지지 금속부품
81: 지지면 90F: 제1컨택트
91: 걸어맞춤 돌기부 95F: 제1컨택트
96: 걸어맞춤 돌기부 CB: 회로기판

Claims (7)

  1. 소정의 직선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개 형성된 컨택트 지지홈을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기 컨택트 지지홈에 끼워 맞추어지고 상기 인슐레이터 내부로 끼워넣는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컨택트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상기 컨택트 지시홈과 통하는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으로 되어 있는 피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컨택트에, 상기 피 걸어맞춤부에 끼워 맞추어서 상기 컨택트를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해 유지시키는 걸어맞춤 돌기부를 돌출되게 설치하며,
    각 컨택트 지지홈과 각각 통하는 복수의 상기 피 걸어맞춤부를, 상기 컨택트 지지홈의 길이 방향의 위치를 하나 걸러 하나씩 어긋나게 형성하고,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가 각 컨택트 지지홈에 끼워 맞추어지는 복수의 상기 컨택트에 대응하는 상기 피 걸어맞춤부에 각각 끼워 맞추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를 상기 컨택트의 측면에 돌출 설치하고 상기 피걸어맞춤부를 상기 컨택트 지지홈의 측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가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제1암 및 제2암과, 이 제1암과 제2암의 중간부 끼리를 접속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변형접속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1암과 제2암의 한쪽의 단부 사이에 상기 접속 대상물을 삽입한 상태로 상기 제2암의 다른 쪽 단부를 상기 제1암의 다른 쪽 단부에서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제2암의 한쪽 단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 쪽으로 이동되는 액츄에이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의 상면을 상기 피걸어맞춤부의 상면과 마주 보게하고, 상기 컨택트의 바닥면을 상기 컨택트 지지홈의 바닥면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를 상기 컨택트의 상면 또는 하면에 돌출 설치하고, 상기 피걸어맞춤부를 상기 컨택트 지지홈의 천정면 또는 바닥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에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와는 상기 컨택트의 길이 방향의 위치가 어긋나도록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와 마주보는 면을 상기 피걸어맞춤부의 내면으로 마주보게 하고, 상기 걸어맞춤부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와 마주보는 면을 상기 인슐레이터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80064703A 2008-04-23 2008-07-04 커넥터 KR10099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703A KR100992833B1 (ko) 2008-04-23 2008-07-04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0112119 2008-04-23
KR1020080064703A KR100992833B1 (ko) 2008-04-23 2008-07-04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30A KR20090112530A (ko) 2009-10-28
KR100992833B1 true KR100992833B1 (ko) 2010-11-08

Family

ID=4155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703A KR100992833B1 (ko) 2008-04-23 2008-07-04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8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3551A1 (en) 2002-08-01 2004-02-05 Masayuki Suzuki Connector
US7311542B2 (en) 2004-08-10 2007-12-25 Ddk Ltd.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3551A1 (en) 2002-08-01 2004-02-05 Masayuki Suzuki Connector
US7311542B2 (en) 2004-08-10 2007-12-25 Ddk Lt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30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9529B2 (ja) コネクタ
US8192219B2 (en) Connector for plate-shaped object
KR100783419B1 (ko) 커넥터
US7381071B2 (en)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with twisted contacts
JP5154624B2 (ja) コネクタ
US9735503B2 (en) Connector for receiv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 cable
KR20120020033A (ko) 커넥터
KR20120027007A (ko) 커넥터
KR20090067166A (ko) 가요성 케이블용 릴레이 커넥터
KR100825244B1 (ko) 메이팅 커넥터의 삽입 및 분리를 안내해주는 기능이 있는쉘을 가진 커넥터
US11322874B2 (en) Connector
US10622763B2 (en) Connector
KR101282731B1 (ko) 커넥터
JP4933603B2 (ja) コネクタ
KR100992833B1 (ko) 커넥터
KR102136766B1 (ko) 플랫 케이블 커넥터
JP2003109695A (ja) Fpc用コネクタ
CN114122766B (zh) 连接器
JP4795461B2 (ja) コネクタ
JP2009146769A (ja) コネクタ
KR101161261B1 (ko) 커넥터
US20090298345A1 (en) Connector
JP5405648B2 (ja) コネクタ
JP2009146770A (ja) コネクタ
JP2000100507A (ja) Fpc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