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113390A - 점착 재료,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물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점착 재료,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물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390A
KR20080113390A KR1020087023864A KR20087023864A KR20080113390A KR 20080113390 A KR20080113390 A KR 20080113390A KR 1020087023864 A KR1020087023864 A KR 1020087023864A KR 20087023864 A KR20087023864 A KR 20087023864A KR 20080113390 A KR20080113390 A KR 20080113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polymer
adhesive material
particle
rubbery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로 야스이케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3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390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impregnant, bonding, or embedding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9J153/025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24Graft or block copolymers according to groups C08L51/00, C08L53/00 or C08L55/02;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하기 입자 (A), (B), (C) 가 혼합되어 있는 다층 공압출용 점착 재료. (A)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와, 점착 부여 수지 (2) 로 이루어지는 입자 (B)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b) 와, 가소제 (3) 로 이루어지는 입자 (C)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c) 로 이루어지는 입자.

Description

점착 재료,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물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ADHESIVE MATERIAL,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ADHESIV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DHERED ARTICLE OR LAMINATE USING THE ADHESIVE MATERIAL}
본 발명은 점착 테이프나 다층체의 점착층 등에 사용되는 점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점착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착 재료로서 종래에는 유기 용제에 녹여 코팅한 후, 유기 용제를 휘발시켜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실시되어 있지만, 최근 환경 부하가 적은 수지계 점착 재료를 사용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즉, 점착 재료를 가열하여 용융 압출함으로써, 기재에 코팅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거나 (특허 문헌 1), 공압출법에 의해 재밀봉 가능한 포장 재료 (특허 문헌 2) 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점착 재료로서는, 특허 문헌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나 염화 비닐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계 고무질 공중합체 등에 테르펜 수지나 석유계 수지 등의 점착 부여 수지, 및 유동 파라핀, 합성 왁스, 프로세스 오일 등의 가소제를 배합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점착 재료는 점착성이 있기 때문에 2 축 압출기나 그 밖의 혼련기로 혼합하지 않으면 이용할 수 없다. 2 축 압출기를 구비하면, 기재에 대한 코팅이나 압출 라미네이션 또는 다른 수지와의 공압출이 가능해지고, 점착 재료의 재점착 강도가 강하다는 장점은 있지만, 설비비가 고가가 된다는 결점이나 전용 설비가 되어 설비가 한정된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특허 문헌 2 나 특허 문헌 3 에는, 스티렌계 고무질 공중합체에 점착 부여 수지를 배합한 것이 점착 재료로서 제시되어 있다.
이들의 원료는 단축(單軸) 재료로 압출할 수는 있지만, 점착 부여 수지는 약하고, 게다가 연화점이 150℃ 이하인 것이 많기 때문에, 압출기 호퍼 하부에 점착 부여 수지의 파편이 스크루 홈에 부착되어 홈을 매립하거나 열에 의해 그것이 융해되어 오일상으로 되어 수지를 매끄럽게 하거나 함으로써 압출 변동을 일으킨다.
또한, 유동 파라핀, 합성 왁스, 프로세스 오일 등의 가소제를 배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재점착 강도가 약하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5-139477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75567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7-224255호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축 압출기로 압출시키는, 재점착 강도가 강한 점착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점착 재료 등이 제공된다.
1. 하기 입자 (A), (B), (C) 가 혼합되어 있는 다층 공압출용 점착 재료.
(A)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와, 점착 부여 수지 (2) 로 이루어지는 입자
(B)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b) 와 가소제 (3) 로 이루어지는 입자
(C)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c) 로 이루어지는 입자
2. 하기 성분이 하기 배합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1 에 기재된 다층 공압출용 점착 재료.
상기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1b) 및 (1c) 를 합친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 : 40∼70 중량%
상기 점착 부여 수지 (2) : 20∼50 중량%
상기 가소제 (3) : 10∼30 중량%
3. 하기 성분이 하기 배합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2 에 기재된 다층 공압출용 점착 재료.
상기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1b) 및 (1c) 를 합친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 : 50∼55 중량%
상기 점착 부여 수지 (2) : 24∼30 중량%
상기 가소제 (3) : 18∼21 중량%
4.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와, 점착 부여 수지 (2) 를 용융 혼합하여 입자 (A) 를 조립(造粒)하고,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b) 와, 가소제 (3) 를 용융 혼합하여 입자 (B) 를 조립하고,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c) 를 용융시켜 입자 (C) 를 조립하고,
상기 입자 (A), 상기 입자 (B) 및 상기 입자 (C) 를 드라이블렌드하는 1 에 기재된 다층 공압출용 점착 재료의 제조 방법.
5.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다층 공압출용 점착 재료를, 단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수지와 공압출하는 점착층과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6. 5 에서 제조된 적층체를 기재에 용융 접착하는 다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단축 압출기로 압출시키는 재점착 강도가 강한 점착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점착 재료는 하기 입자 (A), (B), (C) 를 혼합하여 함유한다.
(A)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와, 점착 부여 수지 (2) 로 이루어지는 입자
(B)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b) 와, 가소제 (3) 로 이루어지는 입자
(C)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c)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1b), (1c) 는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수소 첨가물도 함유한다.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블록과 비닐-폴리이소프렌 블록이 결합된 블록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블록과 에틸렌-프로필렌 블록이 결합된 블록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블록과 에틸렌부타디엔 블록이 결합된 블록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블록과 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이 결합된 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악취가 없다는 점에서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수소 첨가물이다.
또,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와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b)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여도 된다.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c) 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1b) 와 동일하거나 상이하여도 되지만, 상이한 것이 물성의 조정이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1b), (1c) 는, 그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미리, 산화 방지제 및 활제 등을 첨가하여 조립하여도 된다.
점착 부여 수지 (2) 로서는, 예를 들어, 수소첨가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수소첨가 테르펜계 수지, C5ㆍC6 계 지방족 석유 수지, 지환족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입자 (A) 에 있어서, 점착 부여 수지는 통상적으로 40 중량% 이상 90 중량% 이하에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 부여 수지가 40 중량% 미만인 경우, 조립품이 끈적거림이 있고, 9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 조립품이 약하고 스크루에 파편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가소제 (3) 로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프로세스 오일 (방향족계 또는 나프텐계 또는 파라핀계 석유계 단가 수소), 합성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입자 (B) 에 있어서, 가소제의 배합량은 통상적으로 압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40 중량% 이상 75 중량% 미만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40 중량% 미만인 경우, 얻어지는 점착 재료의 커트성, 박리의 슬립 스틱성 등의 조절 범위가 좁아져, 75 중량% 이상에서는 혼련이 불균일해진다.
본 발명의 점착 재료는 상기 입자 (A), (B) 에 첨가하고, 추가로 하기 입자 (C) 를 혼합하면,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점착 부여 수지 및 가소제의 배합 비율을 조정할 수 있고, 점착 재료의 요구에 따른 물성을 변경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별도 입자 (C) 를 첨가할 수 있으므로, 점착 재료 자체의 배합 비율을 보다 용이하고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입자 (C) 를 첨가함으로써, 입자 (A), (B) 각각의 성분의 배합 비율을 조립이 용이해지도록 조정할 수 있고, 또 입자 (A), (B) 각각의 성분의 종류를 보다 광범위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입자 (C) 를 첨가함으로써, 공압출시, 점도 조정이 가능해지고, 다층류를 정돈할 수 있어 다층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점착 재료는, 점착 재료에 함유되는 모든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 즉 상기 고무질 블록 중합체 (1a), (1b) 및 (1c) 를 합친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 점착 부여 수지 (2) 및 가소제 (3) 의 배합량이 바람직하게는 40∼70 중량% 20∼50 중량% : 10∼30 중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 중량% : 22∼50 중량% : 10∼28 중량% 이다.
(1), (2) 및 (3) 의 배합량이 상기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재접착 강도가 약해질 우려가 있다.
특히,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 50∼55 중량% 와 점착 부여 수지 (2) 24∼30 중량% 와 가소제 (3) 18∼21 중량% 를 함유하는 점착 재료는 신규 점착 재료이다.
본 발명의 점착 재료는, 예를 들어, 이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와, 점착 부여 수지 (2) 를 용융 혼합하여 입자 (A) 를 조립한다. 한편,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b) 와 가소제 (3) 를 용융 혼합하여 입자 (B) 를 조립한다. 또한,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c) 를 용융하여 입자 (C) 를 조립한다. 그 후, 입자 (A), 입자 (B), 입자 (C) 를 드라이블렌드한다.
입자 (A) 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와 점착 부여 수지 (2) 를 2 축 압출기 또는 밴버리 믹서 등으로 조립하여 얻어진다.
조립물이 끈적거리는 경우에는 블로킹을 방지하기 위해 탤크 가루 등의 활제를 조립물에 적절히 블렌드하면 된다. 조립시에 충전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입자 (B) 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b) 와 가소제 (3) 를 2 축 압출기 또는 밴버리 믹서 등으로 조립하여 얻어진다.
조립물이 끈적거리는 경우에는, 블로킹을 방지하기 위해 탤크 가루 등의 활제를 조립물에 적절히 블렌드하면 된다. 조립시에 충전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한다.
입자 (C) 에 대해서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c) 를 미리, 박리 강도 조정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착색제 등을 첨가하여 조립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 재료는 상기와 같은 입자 (A), (B), (C) 를 혼합하고 있기 때문에, 압출기의 호퍼 등에 부착되기 어려워 단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재료는 압출 성형하여 점착물로 할 수 있다.
또한, 압출기는 단축 압출기 외에, 2 축 압출기, 혼련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점착 재료는, 특히 다층 공압출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압출 성형으로서는, 예를 들어, 공압출, 압출 코팅 및 압출 라미네이션을 들 수 있다.
공압출이란, 예를 들어, 수지층/점착 재료/수지층과 같은 점착 재료를 중간층으로 한 3 층 이상의 공압출, 또는 수지층/점착 재료와 같은 점착 재료를 편면 층으로 한 2 층 이상의 공압출을 말한다. 수지층은 폴리올레핀 등으로 이루어진다.
압출 코팅에서는, 예를 들어, 종이, 합성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EVOH), 메타자일렌다이아민 (MXD)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틴렌 (PE), 나일론), 부직포를 기재로서, 기재 위에 점착 재료를 코팅한다.
압출 라미네이션에서는 예를 들어, 종이, 합성 수지 필름 (PET, EVOH, MXD 나일론, PP, PE, 나일론 등), 부직포 또는 이들이 적층된 필름 중 어느 것에서 선택되는 2 종의 필름 사이에 점착 재료를 용융 압출하고, 2 종을 압착하여 적층한다.
본 발명의 점착 재료를 압출 성형하여 얻어지는 점착물, 또는 공압출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층과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기재에 용융 접착하여 다층체를 얻을 수 있다. 기재로서는 상기 서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착 재료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함유하는 다층체와, 이 다층체에 접착하는 부재로부터, 포장체 또는 적어도 포장체의 개폐부를 구성할 수 있다. 다층체 또는 접착 부재를 박리하면, 다층체가 파단되어 점착층이 노출된다. 이 노출된 점착층에 다시 파단부를 맞춤으로써 포장체를 재밀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평가 방법]
얻어진 시료의 평가는 하기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I) 압출성 : 서징이나 호퍼 하의 스크루 오염을 확인하여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을 양호, 어느 하나 불량 현상이 보인 것을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II) 재접착 강도 : 제작된 3 층의 다층 필름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면에 대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12㎛)/직사슬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60㎛) 라미네이트 필름을, 190℃ 2Mpa 의 면압에서 PET 면으로부터 히트시일 톱니를 눌러 면적 50mm×50mm 인 히트시일을 실시하여 접착하였다. 다음으로 15mm 폭으로 슬릿한 후 한 번 손으로 때어 내고, 다시 손으로 가압한 후의 재접착 강도를 푸시풀 스케일 ((주) 이마다제 MX-500N) 로 측정하였다. 가부 판정의 기준으로서 1N/15mm∼2N/15mm 미만을 가능, 2N/15mm∼3N/15mm 미만을 양호, 3N/15mm 이상을 가장 양호로 하였다. 또, 1N/15mm 미만을 불가로 하였다.
실시예 1
[입자상 점착 재료의 제조]
(1)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 이하 약칭한다) 와 점착 부여 수지의 혼련 조립 (입자 (A1))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닛폰 제온 (주) 제조, 퀸택 3520)(MFR = 7g/10분 (200℃, 하중 5kg), 비중 0.93) 25 중량% 에 대해, C5-방향족계 공중합 수소 첨가 수지 입자 (이데미츠 흥산 (주) 제조, 아이마브 P-125)(연화점 125℃, 밀도 1.03g/㎤ (20℃)) 75 중량% 를 혼합한 것 100 중량부에, 산화 방지제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주) 제조, 이르가녹스 1010) 를 1 중량부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였다. 이 후, 2 축 압출기로 180℃ 의 온도에서 용융 혼합하 여, 수랭 스트랜드 압출하고, 추가로 이것을 커팅하여 조립하였다.
(2)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가소제의 혼련 조립 (입자 (B1))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닛폰 제온 (주) 제조, 퀸택 3520)(MFR = 7g/10분 (200℃, 하중 5kg), 비중 0.93) 40 중량% 에 대해, 프로세스 오일 (이데미츠 흥산 (주) 제조, 다이아나 프로세스 오일 PW-90)(밀도 0.8722g/㎤ (15℃)) 60 중량%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 후, 2 축 압출기로 180℃ 의 온도에서 용융 혼합하여 수랭 스트랜드 압출하고, 추가로 이것을 커팅하여 조립하였다.
조립품은 곤포 보관 중 입자끼리의 블로킹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품 100 중량부에 대해 탤크 가루를 0.5 중량부 외첨하였다.
(3) 입자 (A1), (B1), (C1) 의 혼합
상기 입자 (A1) 와 입자 (B1) 에, 스티렌계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입자 (닛폰 제온 (주) 제조, 퀸택 SL-125)(MFR = 17g/10분 (200℃, 하중 5kg), 비중 0.93) (C1) 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점착 재료를 제조하였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점착 부여 수지 및 가소제의 배합 비율은 50.8 중량% : 30.0 중량% : 19.2 중량% 이었다.
[점착 재료의 공압출]
HDPE (프라임 폴리머 (주) 제조, 하이젝스 110J)(MFR = 12g/10분, 밀도 0.962g/㎤), 상기에서 얻어진 점착 재료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 (RPP)(프라임 폴리머 (주) 제조, 프라임 폴리프로 F-744NP)(MFR = 6.4g/10분, 밀도 0.9g/㎤) 을, 모두 L/D = 26 의 풀플라이트스크루가 구비된 3 대의 30mmφ 단축 압출기와 다층 피 드 블록과 T 다이 (폭 400mm) 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캐스트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220℃ 에서 압출하여 3 층의 다층 필름을 제작하였다. 필름의 두께는 HDPE 층 10㎛/점착물층 20㎛/RPP 층 50㎛ 로 하였다. 점착 재료는 장시간 계속하여 순조롭게 압출할 수 있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입자 (B1) 32 중량% 에, C5-방향족계 공중합 수소 첨가 수지 입자 (이데미츠 흥산 (주) 제조, 아이마브 P-125)(연화점 125℃, 밀도 1.03g/㎤ (20℃)) 를 30 중량% 첨가하고, 추가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입자로서 SL-125 38 중량% 를 혼합함으로써,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 점착 부여 수지 : 가소제의 비율을 50.8 중량% : 30.0 중량% : 19.2 중량% 로 하였다.
상기의 점착 재료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압출을 개시한 후, 잠시 후에 점착물층의 압출량이 변동하기 시작하였다.
이 압출기를 정지하고, 호퍼 하의 스크루 오염을 확인한 결과, 스크루 홈에 석유 수지가 연화 부착되어 있어 압출 불량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1 에서는 샘플을 채취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재접착 강도는 평가하지 않았다.
실시예 2-14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입자 (A1), 입자 (B1), 입자 (C1) 를 스티렌계 엘라스 토머 : 점착 부여 수지: 가소제의 비율이 표 1 과 동일하게 되도록 배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필름을 제조함과 함께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5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입자 (A1) 에, SL-125 입자를,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 점착 부여 수지 : 가소제의 비율이 표 1 과 같이 되도록 배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조함과 함께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8357113-PCT00001
실시예 15-17
입자 (A1) 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 비율을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입자를 제조하였다. 입자를 20kg 씩 봉투에 충전 포장하여 2 주간 보관 후의 펠릿 사이의 블로킹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8-20
입자 (A1) 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점착 부여 수지의 배합 비율을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5-17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8068357113-PCT00002
실시예 21
실시예 1 에서 제조된 점착 재료를 40mmφ 싱글플라이트스크루 (L/D = 28) 압출기에 폭 500mm 의 T 다이가 부착되고, 압출 멜트웹을 고무 롤과 냉각 금속 롤의 2 개 롤로 압착하는 압출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멜트웹의 양측지(兩側紙) 및 실리콘 코트 공정지(工程紙) (코트측을 멜트웹측으로 한다) 를 통지하였다. 구성은 인쇄지 (150g/㎡)/점착재층 (20㎛)/공정지 (100g/㎡) 이었다.
라미네이트된 3 층 시트를 140mm×210mm 로 절단한 후, 공정지를 박리하고, 점착면을 유리에 부착한 후, 환경 온도 23℃ 로 2 주간 방치하였다. 접착 상태는 양호하고, 부착 중의 기간은 박리되지 않고, 2 주일 후에 박리되었을 때에는 풀을 남기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고착 재료는, 포스터, 점착 테이프, 라벨 등의 산업 자재나, 재밀봉 식품ㆍ의약품 포장 자재, 보호 필름 등의 포장 자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입자 (A), (B), (C) 가 혼합되어 있는 다층 공압출용 점착 재료.
    (A)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와, 점착 부여 수지 (2) 로 이루어지는 입자
    (B)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b) 와, 가소제 (3) 로 이루어지는 입자
    (C)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c) 로 이루어지는 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이 하기 배합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다층 공압출용 점착 재료.
    상기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1b) 및 (1c) 를 합친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 : 40∼70 중량%
    상기 점착 부여 수지 (2) : 20∼50 중량%
    상기 가소제 (3) : 10∼30 중량%
  3.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성분이 하기 배합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다층 공압출용 점착 재료.
    상기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1b) 및 (1c) 를 합친 고무질 블록 공중합 체 (1) : 50∼55 중량%
    상기 점착 부여 수지 (2) : 24∼30 중량%
    상기 가소제 (3) : 18∼21 중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a) 와, 점착 부여 수지 (2) 를 용융 혼합하여 입자 (A) 를 조립(造粒)하고,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b) 와, 가소제 (3) 를 용융 혼합하여 입자 (B) 를 조립하고,
    주로 스티렌 블록과 디엔 블록을 함유하는 고무질 블록 공중합체 (1c) 를 용융하여 입자 (C) 를 조립하고,
    상기 입자 (A), 상기 입자 (B) 및 상기 입자 (C) 를 드라이 블렌드하는 다층 공압출용 점착 재료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층 공압출용 점착 재료를, 단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수지와 공압출하는 점착층과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서 제조된 적층체를 기재에 용융 접착하는 다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087023864A 2006-04-12 2007-03-14 점착 재료,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물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Abandoned KR200801133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9586A JP3939738B1 (ja) 2006-04-12 2006-04-12 粘着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物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JP-P-2006-00109586 2006-04-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390A true KR20080113390A (ko) 2008-12-30

Family

ID=3830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864A Abandoned KR20080113390A (ko) 2006-04-12 2007-03-14 점착 재료,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물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39738B1 (ko)
KR (1) KR20080113390A (ko)
WO (1) WO2007116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2761A (ja) * 2008-12-04 2010-06-17 Tosoh Corp 粘着剤組成物
WO2018131211A1 (ja) * 2017-01-11 2018-07-19 Jsr株式会社 組成物及び成形体
JP6985395B2 (ja) * 2017-08-10 2021-12-22 旭化成株式会社 感圧型接着剤用組成物、感圧型接着剤用材料、感圧型接着剤の形成方法、感圧型接着剤、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EP3940036A3 (en) * 2020-07-13 2022-08-03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Material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method for produc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ultilayer film, and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2117B2 (ja) * 1993-06-25 2002-11-05 株式会社クラレ 混合型ホットメルト粘着剤
WO2001042353A1 (en) * 1999-12-08 2001-06-14 Kraton Polymers Research B.V. Free flowing pow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16626A1 (ja) 2007-10-18
JP2007284464A (ja) 2007-11-01
JP3939738B1 (ja)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6402B1 (en) Resin composition, laminate using the same, and molded body using the laminate
JP5356651B2 (ja) ヒートシール可能であり容易に開封できる包装用の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の組成物
JP504757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662180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接着性塗料、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
JP643428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080113390A (ko) 점착 재료,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물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EP1364775B1 (en) Polymeric films
JP4781583B2 (ja) ポリエチレン用易剥離性接着剤及びその構造物
JP6958135B2 (ja) 接着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シート、容器用蓋材及び容器
JP2021507828A (ja) 非イオン性界面活性剤を含む多層フィルムと、再密封可能な包装でのその使用
JP6705181B2 (ja) 接着剤、フィルム及び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製容器用蓋材
KR20070101763A (ko)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포장체
JP5031320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6922590B2 (ja) 接着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シート、蓋材、密封容器用部材セット、および開封可能な容器
WO2023243631A1 (ja) 接着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シート、蓋材、部材セット及び容器
JP643428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H11323295A (ja) 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3226853A (ja) 粘着剤
JP4904770B2 (ja) ポリエチレン用易剥離性接着剤及びその構造物
JP2005212846A (ja) 再封止可能な袋
JPH0455487A (ja) 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386804B2 (ja) ポリオレフィン用易剥離性接着剤及びその構造物
JP2020114889A (ja) 接着性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体
JP2020015855A (ja) 接着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シート、蓋材、密封容器用部材セット、及び開封可能な容器
JP2007301981A (ja) 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29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