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109264A -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성형제품 - Google Patents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성형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264A
KR20080109264A KR1020070057369A KR20070057369A KR20080109264A KR 20080109264 A KR20080109264 A KR 20080109264A KR 1020070057369 A KR1020070057369 A KR 1020070057369A KR 20070057369 A KR20070057369 A KR 20070057369A KR 20080109264 A KR20080109264 A KR 20080109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resin composition
cyclohexanedimethanol
mol
flame retardanc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4496B1 (ko
Inventor
김진원
최오곤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7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496B1/ko
Publication of KR2008010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49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8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63/692Polyester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1Preparation processes using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08G63/85Germanium, tin, lead, arsenic, antimony, bismuth, titanium, zirconium, hafnium, vanadium, niobium, tantalum, or compounds thereof
    • C08G63/86Germanium, antimony,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9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9Est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not representing cyclic esters of phosphoric or phosphorous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59Stability
    • C08G2261/592Stability against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63Viscos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성형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종래의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 단계에 투입하여 제조됨으로써, 투명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UL-94V 규격에 부합된 V-0 수준의 난연성이 부여된다. 나아가, 상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단독 또는 이종의 폴리머와 블렌딩하여 성형화된 성형제품에 난연성을 부여함으로써, 광범위한 산업용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7042507896-PAT00001
Figure 112007042507896-PAT00002
사이클로헥산메탄올, 폴리에스테르 수지, 난연성, 반응형 난연제

Description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성형제품{FLAME RETARDANT COPOLYESTER COMPOSITION CONTAINING 1,4-CYCLOHEXANEDIMETHANOL, ITS PREPARATION AND PRODUCTS USING IT}
본 발명은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성형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반응형 인계 난연제를 함유하여 제조함으로써, 투명하고 색상변화가 적고 옐로우쉬한 색조를 띄지 않으면서,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단독 또는 이종의 폴리머와 블렌딩하여 성형화된 성형제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성형품, 필름 및 포장재료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산업용으로 투명성과 가공성이 우수하여 많은 분야에 접목되고 있다. 특히, 디올 성분인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단독 또는 이종의 수지와 컴파운딩하여 투명성을 부여하는 가공 공정에 접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산업 분야에서는 안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도 난연성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반응형 난연제를 이용하거나 첨가형 난연제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첨가형 난연제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고농도의 난연제가 포함된 폴리에스테르 마스터배치 수지를 제조하고, 상기 마스터배치 수지를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방사공정에 일정비율로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형 난연제를 이용한 방법은 난연제를 다량 함유할 수 있으나, 고농도의 난연제로 인하여 마스터배치 수지의 제조공정에서 점도가 떨어지며, 난연제를 균일하게 제조하지 못하며, 결국 난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난연제 분말 또는 입자형태의 난연 성분을 첨가하면, 성형 가공 시, 입자에 의한 파단이나 균일한 표면을 얻기 힘들다.
이에 반하여, 반응형 난연제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와 반응할 수 있는 난연제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에 함께 투입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공중합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난연제가 공중합되므로, 균일한 난연제의 분포를 가져올 수 있으며, 난연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투명성과 가공 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대부분은 난연성에 대한 기능을 갖추기 못하고 있다.
투명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대한 제조방법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71712호에서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로 공중합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블렌딩되어 제조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첨가형 난연제를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30726호, 제2004-29760호 및 제2004-80323호 역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사용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난연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기술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방법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에 공정 상 투입에 대한 문제로 인하여 첨가형 난연제를 사용하며, 상기 첨가형 난연제를 사용할 경우는 점도와 투명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304호에 따르면,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시 다관능성 모노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비스페놀-A를 추가하여 공중합함으로써, 우수한 투명성과 높은 용융점도 및 용융강도를 가지며, 그에 반해 낮은 용융압력으로 인한 우수한 성형성을 갖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서도 난연성을 부여하 기 위해서는 첨가형 난연제를 사용하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투명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난연성을 효율적으로 부여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특정의 반응형 인계 난연제를 함유하여, 투명하고 색상변화가 적고 옐로우쉬한 색조를 띄지 않으면서,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단독 또는 이종의 폴리머와 블렌딩하여 성형화된 성형제품의 난연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와 특정의 반응형 인계 난연제를 공중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성이 확보된 그 성형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엑시드 성분 100몰%에 대하여, 디올 성분의 합이 100몰%가 되도록 중축합 반응하여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되, 상기 디올 성분이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30∼80 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제외한 디올 성분 5∼69 몰% 및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 1∼25 몰%로 이루어진,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2507896-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07042507896-PAT00004
상기 인계 난연제는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인의 함량이 1,000 ∼30,000 ppm이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 디엑시드 성분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티메틸이소프탈레이트 및 프탈릭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디올 성분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렌글리콜, 1-메틸 프로필렌 글리콜, 펜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1) 디엑시드 100 몰%에 대하여, 디올 성분의 합이 100몰%가 되도록 중축합 반응시키되, 디올 성분 5∼69 몰% 및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30∼80 몰%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비스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고,
2) 상기 비스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에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인계 난연제 1∼25 몰%을 투입하고,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반응촉매 60 ∼ 400 ppm를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3) 상기 혼합물을 1.0 Torr이하의 진공하에서 중축합 반응시켜, 고유점도 0.5 내지 1.0 dl/g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반응촉매는 티타늄 화합물, 안티몬 화합물, 게르마늄 화합물 및 알루미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형태를 사용하고,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60 ∼ 400 ppm 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촉매가 티타늄 화합물 10 내지 100 ppm 및 안티몬 화합물 50 내지 300 ppm을 함유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단독 또는 이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블렌딩하여 성형화된 난연성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성형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이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블렌딩하는 경우는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내지 30 중량%를 이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70 내지 95 중량%에 블렌딩하여 성형화된, 난연성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성형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디엑시드 성분 100몰%에 대하여, 디올 성분의 합이 100몰%가 되도록 중축합 반응하여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되, 상기 디올 성분이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30∼80 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제외한 디올 성분 5∼69 몰% 및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 1∼25 몰%로 이루어진,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2507896-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07042507896-PAT00006
본 발명은 디엑시드 성분과 디올 성분로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공정 중, 추가적인 디올 성분으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에스테르화 반응단계에 투입하여 제조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대상으로 한다.
이때, 디엑시드 성분 및 디올 성분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디엑시드 성분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티메틸이소프탈레이트 및 프탈릭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디올 성분은 에틸렌 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렌글리콜, 1-메틸 프로필렌 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사용한다.
이에, 본 발명의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에 디엑시드 성분에 대하여 디올 화합물의 반응몰은 1.1 내지 2.0 몰비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의 디올 성분을 더 함유함으로써, 통상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투명성과 우수한 가공성을 부여한다.
이때,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전체 디올성분의 30∼80 몰%를 함유하며, 30 몰% 미만이면, 얻어지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부여되는 투명성이 미흡하고, 80 몰%를 초과하면, 인계 난연제와 공중합이 어려워지며, 가격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서, 인계 난연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3-(하이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파노익 에시드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3-(하이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파노익 글리콜 에스테르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계 난연제는 종래의 할로겐원소를 함유하는 난연제로 인한 환경적인 문제를 해소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적용할 경우, 난용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이를 함유하는 최종 제품의 옐로쉬(yellowsh)한 문제를 최소화한 난연제이다.
본 발명의 인계 난연제는 전체 디올성분의 1∼25 몰%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1몰% 미만이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내 인 함량이 낮아 난연성 효과가 미흡하게 되고, 25몰%를 초과하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내 인 함량이 과량 존재하여 옐로쉬(yellowsh)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핵자기 공명분석 기기를 통하여 각 성분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본 발명의 인계 난연제는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인의 함량 1,000∼30,000 ppm이 함유되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난연성을 부여한다. 이때, 인계 난연제의 함량이 1,000 ppm 미만이면, 난연성 효과가 미흡하고, 30,000 ppm을 초과하면, 과도한 반응형 난연제로 인하여 가격이 상승하고, 제조공정이 불안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은 색상변화가 적고 옐로우쉬한 색조를 띄지 않으면서 UL-94V 규격에 의한, V-0 수준의 우수한 난연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1) 디엑시드 100 몰%에 대하여, 디올 성분의 합이 100몰%가 되도록 중축합 반응시키되, 디올 성분 5∼69 몰% 및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30∼80 몰%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비스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고,
2) 상기 비스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에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 물에서 선택되는 인계 난연제 1∼25 몰%을 투입하고,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반응촉매 60 ∼ 400 ppm를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3) 상기 혼합물을 1.0 Torr이하의 진공하에서 중축합 반응시켜, 고유점도 0.5 내지 1.0 dl/g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단계 1의 에스테르화 반응은 200∼250℃ 온도에서 상압 또는 2.0 kgf/cm3 이하의 압력 하에서 실시한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단계에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성분을 투입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제조된 비스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BHTE)를 제조한다. 이때, 사용된 디엑시드 성분, 디올 성분 및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단계 2에서 사용되는 인계 난연제 중, 화학식 1로 표시되는 3-(하이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파노익 에시드는 분말형태로 글리콜 화합물과 슬러리화하여 투입하고, 화학식 2로 표시되는 3-(하이드록시페닐포스피닐)-프로파노익 글리콜 에스테르는 액상 형태로서, 중축합 단계에서 투입이 용이하다. 인계 난연제의 함량은 1∼25 몰%가 바람직하고,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인의 함량 1,000∼30,000 ppm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계 난연제의 함량이 1,000 ppm 미만이면, 난연성 효과가 미흡하고, 30,000 ppm을 초과하면, 과도한 반응형 난연제 로 인하여 가격이 상승하고, 제조공정이 불안한 단점이 있다
단계 2에서 사용되는 반응촉매라 함은 티타늄 화합물, 안티몬 화합물, 게르마늄 화합물 및 알루미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형태를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60 ∼ 400 ppm 함유되는 것이다.
상기 반응촉매 중, 티타늄 화합물은 소량 사용하여도 반응이 빠른 단점이 있으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색상이 엘로우쉬하게 변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안티몬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합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촉매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안정적인 반응을 가져오지만, 공중합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점도형성이 급격히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게르마늄과 알루미늄 화합물은 소량 사용하여도 반응이 가능하지만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중합물의 점도 형성과 색상을 확보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반응촉매로서, 상기 티타늄 화합물 및 안티몬 화합물을 조합하여 실시하고, 바람직한 반응촉매의 사용량은 티타늄 화합물 10 내지 100 ppm 및 안티몬 화합물 50 내지 300 ppm 범위에서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티타늄 화합물 10 ppm 미만이고, 안티몬 화합물 50 ppm 미만이면, 점도형성이 어려우며 색상이 나쁘게 변하는 단점이 있고, 티타늄 화합물이 100 ppm을 초과하고, 안티몬 화합물이 300 ppm을 초과되면, 점도 형성이 쉽지만, 색상에서 엘로쉬하게 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계 2의 중축합 반응에서는 열안정제, 보색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로는 인산 또는 인산화합물인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등을 100∼500 ppm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계 난연제로 함유하여 난연성을 부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투입하지 않아도 무관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색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보색제로는 코발트 화합물 또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단계 3의 중축합 반응은 1.0 torr이하의 진공 하에서 실시하며, 고유점도가 0.5 ∼ 1.0 dl/g가 되는 공중합 난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다.
이때, 제조된 고유점도가 0.5 dl/g 미만이면, 수지의 점도가 너무 낮아 원하는 물성을 가질 수가 없으며, 1.0 dl/g을 초과하면, 중합 공정이 길어지고, 수지의 색상이 나빠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단독 또는 이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블렌딩하여 성형화된 난연성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성형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이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블렌딩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내지 30 중량% 및 이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70 내지 95 중량%를 블렌딩하여 성형화된, 난연성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성형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성형제품이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이용될 수 있는 분야에서 성형화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필름, 시트, 튜브, 보틀 등의 압출 중공 성형제품 및 이형 압출 성형제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난연성을 갖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과 블렌딩하는 수지의 고유한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난연성과 가공성을 향상시켜주는 사출 또는 압출 성형제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성형제품은 상기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함유됨으로써, 투명성은 유지되면서, UL-94V 규격에 의한 V-0 수준의 우수한 난연성이 제공된다.
특히, 이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블렌딩하여 성형화된 성형제품의 경우, 본 발명의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5 내지 30 중량% 함유됨으로써, UL-94V 규격에 의한 V-0 수준의 우수한 난연성이 부여된다.
이때, 본 발명의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 5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기대하는 난연성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30 중량%로 초과 함유되면,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점과 블렌딩하고자 하는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일례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스테르화 반응기와 중축합 반응기로 구성된 설비를 이용하되, 2L의 에스테르화 반응기에 테레프탈산 648g와 에틸렌글리콜 119g,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337g을 투입하여 비스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BHTE)를 제조한 후, 중축합 반응기로 보내어 인계 난연제 42g을 투입하고 반응촉매인 티타늄과 안티몬 화합물을 전체 폴리머에 대하여 각각 20 ppm과 200 ppm 투입하였다. 보색제로 코발트아세테이트를 150 ppm을 투입하여 진공 1.0 Torr이하에서 고유점도 0.65 dl/g 될 때까지 반응시키고 칩상으로 토출하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에스테르화 반응기와 중축합 반응기로 구성된 설비를 이용하되, 2L의 에스테르화 반응기에 테레프탈산 583g와 에틸렌글리콜 106g,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304g을 투입하여 BHET를 제조한 후, 중축합 반응기로 보내어 인계 난연제 111g을 투입하고 반응촉매인 티타늄과 안티몬 화합물을 전체 폴리머에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5 ppm과 250ppm 투입하였다. 보색제로 코발트아세테이트를 150 ppm투입하여 진공 1.0 Torr이하에서 고유점도 0.68 dl/g 될 때까지 반응시키고 칩상으로 토출하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BHET를 제조하되, 이후 인계 난연제를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반응촉매로서 티타늄 5 ppm 및 안티몬 150 ppm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이때 고유점도는 반응시간을 길게 하였으나, 0.45 dl/g였다.
Figure 112007042507896-PAT00007
<실험예 1> 고유점도 측정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오르쏘-클로로 페놀(ortho-chloro phenol) 용매에 110℃ 온도에서 2.0g/25ml의 농도로 30분간 용융한 후, 25℃에서 30분간 항온하여 캐논(CANON) 점도계가 연결된 자동 점도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2> 수지의 색상 측정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니폰덴소끼의 ZE-2000 컬러메터를 사용하여 색상(L, a, b)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3> 수지의 성분분석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1H-핵자기 공명분석기(Nuclear Magnetic Resonance)를 이용하여, 디엑시드, 디올 및 인계 난연제 성분의 몰 성분비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난연성 UL-94V 시험
표준시험시편을 제작하여 수직으로 시편을 유지하고, 하단에 버너의 불을 10초간 접염시킨 후에 불길을 제거하고, 시험편에 착화한 불이 꺼지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시험편에 불이 꺼짐과 동시에 다시 접염을 10초간 개시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불을 제거하고 착화한 불이 꺼지는 시간을 반복 측정하였다.
또한, 낙하하는 불씨에 의해서 시험편의 아래의 면이 착화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동시에 평가하였다.
상기에서 측정한 연소시간과 아래의 면에 착화되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UL-94V 규격에 의하여, V-0, V-1, V-2로 분류하여 난연성의 평가하였다. 이때, V-0일 때, 최고의 난연성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대하여, 산소지수에 대해서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산소지수는 연소 원통 속에 봉상 플라스틱 시편을 세우고, 하부에서 산소와 질소의 혼합가스를 보내면서, 시료의 선단에서 점화하여 어느 정도 연소하는지를 시험하였다. 산소지수는 하기 식 1에 의해서 산출되었다.
Figure 112007042507896-PAT00008
(상기에서, OI(Oxygen Index)는 산소지수이고, [O2]는 산소유량 (l/min)이고, [N2]는 질소유량 (l/min)이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고유점도, 색상, 각 성분의 함량 결과 및 난연성 시험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7042507896-PAT00009
상기 표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색상변화가 적고 옐로우쉬한 색조를 띄지 않으며, 특히 UL-94V 규격에 의한, V-0 수준의 난연성을 확인하였다.
상세하게는, 인계 난연제를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비교예 1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와 비교할 때,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명도가 낮으면서 색상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우수한 난연성을 보였다.
또한, 반응촉매인 티타늄 촉매 및 안티몬 촉매의 함량에 따른 실시예 2와 비교예 3에서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비교하면, 난연성에는 차이가 없으나 큰 색상변화로 인하여, 최종 제품의 색상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인 함량의 증가에 따라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산소지수가 높으므로, 우수한 난연성을 뒷받침한다.
<실시예 3>
이종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130℃에서 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한 폴리카보네이트(삼양사 제품) 85 중량%와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난연성이 부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15 중량%를 블렌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압출 성형하여 폴리카보네이트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시편을 난연성 시험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3>
난연성이 부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투입하지 않은 상태의 폴리카보네이트(삼양사 제품)에 대하여, 난연성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7042507896-PAT00010
상기 표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연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함으로써, 투명성은 유지되면서,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3의 폴리카보네이트 보다 현저히 난연성이 향상되었으며, UL-94V 규격에 의한 V-0 수준의 난연성을 보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투명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UL-94V 규격에 부합된 V-0 수준의 난연성을 갖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였고,
둘째,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반응형 인계 난연제를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 단계에 투입하여 제조되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였고,
셋째,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성이 확보된 그 성형제품을 제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디엑시드 성분 100몰%에 대하여, 디올 성분의 합이 100몰%가 되도록 중축합 반응하여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이되, 상기 디올 성분이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30∼80 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제외한 디올 성분 5∼69 몰% 및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인계 난연제 1∼25 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42507896-PAT00011
    화학식 2
    Figure 112007042507896-PAT0001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인의 함 량이 1,000∼30,000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엑시드 성분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티메틸이소프탈레이트 및 프탈릭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 성분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렌글리콜, 1-메틸 프로필렌 글리콜, 펜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1) 디엑시드 100 몰%에 대하여, 디올 성분의 합이 100몰%가 되도록 중축합 반응시키되, 디올 성분 5∼69 몰% 및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30∼80 몰%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비스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고,
    2) 상기 비스하이드록시테레프탈레이트에 하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인계 난연제 1∼25 몰%을 투입하고,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반응촉매 60 ∼ 400 ppm를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3) 상기 혼합물을 1.0 Torr이하의 진공하에서 중축합 반응시켜, 고유점도 0.5 내지 1.0 dl/g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7042507896-PAT00013
    화학식 2
    Figure 112007042507896-PAT00014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촉매가 티타늄 화합물, 안티몬 화합물, 게르마늄 화합물 및 알루미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혼합형태이고, 전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60 ∼ 400 ppm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촉매가 티타늄 화합물 10 내지 100 ppm 및 안티몬 화합물 50 내지 300 ppm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1항의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단독 또는 이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블렌딩하여 성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성형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이 부여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5 내지 30 중량%를 이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70 내지 95 중량%에 블렌딩하여 성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난연성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성형제품.
KR1020070057369A 2007-06-12 2007-06-12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성형제품 Expired - Fee Related KR100894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369A KR100894496B1 (ko) 2007-06-12 2007-06-12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성형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369A KR100894496B1 (ko) 2007-06-12 2007-06-12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성형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264A true KR20080109264A (ko) 2008-12-17
KR100894496B1 KR100894496B1 (ko) 2009-04-22

Family

ID=4036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3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94496B1 (ko) 2007-06-12 2007-06-12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성형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4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519A1 (ko) * 2012-09-24 2014-03-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색상이 우수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WO2014204157A1 (ko) * 2013-06-17 2014-12-2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수축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열수축 필름
KR20140146543A (ko) * 2013-06-17 2014-12-2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수축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206B1 (ko) 2012-08-28 2017-11-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우수한 탄화 수득율을 가지는 난연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1394B2 (ja) * 1997-04-04 2006-02-0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難燃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519A1 (ko) * 2012-09-24 2014-03-2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색상이 우수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CN104640905A (zh) * 2012-09-24 2015-05-20 Sk化学株式会社 用于生产具有优良的着色性质的聚对苯二甲酸环己二亚甲酯树脂的方法和由此生产的聚对苯二甲酸环己二亚甲酯树脂
US9487623B2 (en) 2012-09-24 2016-11-08 Sk Chemicals Co., Ltd. Preparation method of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having excellent color, and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repared by the same
WO2014204157A1 (ko) * 2013-06-17 2014-12-2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수축 필름 형성용 조성물, 및 열수축 필름
KR20140146543A (ko) * 2013-06-17 2014-12-26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수축 필름
US10723852B2 (en) 2013-06-17 2020-07-28 Sk Chemicals Co., Ltd. Heat shrinkable film composition comprising polyethyleneterephtalate resin and polyester based copolymer, and heat shrinkable film
US11203676B2 (en) 2013-06-17 2021-12-21 Sk Chemicals Co., Ltd. Heat shrinkable film comprising polyester based copolymer
US11236210B2 (en) 2013-06-17 2022-02-01 Sk Chemicals Co., Ltd. Heat shrinkable film composition comprising polyethyleneterephtalate resin and polyester based copolymer, and heat shrinkabl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496B1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0916B2 (en) Halogen-free flame retardants
KR101130527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511798B (zh) 聚酯树脂以及聚酯树脂的制备方法
KR20110028696A (ko) 아이소소바이드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CN111032728B (zh) 具有改善的熔体流动性质的共聚酯树脂组合物
KR102299987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품 및 열수축성 필름
KR100894496B1 (ko) 난연성이 우수한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함유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성형제품
KR20090041974A (ko) 색상이 우수한 고투명성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JP7369178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6064241A1 (ko) 결정화 속도가 향상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5396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KR20180129438A (ko)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100950932B1 (ko) 난연성이 우수한 무연신 폴리카보네이트 블렌딩 시트, 그의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성형제품
US6531548B1 (en) Blends of poly(1,3-propylene 2,6-naphthalate)
KR101083773B1 (ko) 색상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147804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및 난연성 마스터 배치
JP2011144237A (ja) 非ハロゲン難燃性帯電防止性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100215637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100197947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7206011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JP7295636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TW202436436A (zh) 共聚合聚酯樹脂之製造方法
JP341547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1163962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203975A1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4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