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56647A - 가동 접점체와 이를 이용한 스위치 - Google Patents

가동 접점체와 이를 이용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647A
KR20080056647A KR1020070128974A KR20070128974A KR20080056647A KR 20080056647 A KR20080056647 A KR 20080056647A KR 1020070128974 A KR1020070128974 A KR 1020070128974A KR 20070128974 A KR20070128974 A KR 20070128974A KR 20080056647 A KR20080056647 A KR 20080056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base sheet
contact body
pressing
do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381B1 (ko
Inventor
미노루 가라키
마사히로 이토
고지 다나베
히로토시 와타나베
유스케 치카히사
야스타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3966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530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275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192522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6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38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06Only mechanic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08Part of substrate or membr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22Collapsable d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가동 접점체는, 폴리우레탄 수지제의 베이스 시트와, 돔 형상으로 금속 박판제의 가동 접점과, 가압 돌기를 가진다. 가동 접점은 베이스 시트의 제1면 측에 유지된다. 가압 돌기는 베이스 시트의 제2면에 형성되어 가동 접점의 돔 형상 정상부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가동 접점체와 이를 이용한 스위치{MOVABLE CONTACT UNIT AND SWITC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전자 기기의 조작에 이용되는 가동 접점체와 이를 이용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각종 전자 기기, 특히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 기기에 대하여, 쓰기 쉽고 저렴한 조작부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조작부를 구성한 가동 접점체와 이를 이용한 스위치에 대하여, 도 9,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종래의 가동 접점체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가동 접점체를 이용한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가동 접점체(30)는 베이스 시트(31)와, 가동 접점(33)과, 가압 돌기(34)를 가진다. 베이스 시트(31)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31)의 아래쪽 면에는 점착층(32)이 설치된다. 가동 접점(33)은 스텐레스 등의 탄성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다. 가동 접점(33)은 아래쪽 면이 개방되고 위쪽으로 부풀어 오른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가동 접점(33)은, 그 돔 형상의 표면을 점착층(32)으로 점착 베이스 시트(31)의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가압 돌기(34)는 베이스 시트(31) 표면의 가동 접점(33)의 돔 형상 정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착제(35)로 인해 고착된다. 가압 돌기(34)의 대부분은 PET 수지로 구성된다.
접착제(35)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이다. 베이스 시트(31)와 가압 돌기(34)의 쌍방 고착면에는 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층(31A)과 수지층(34A)이 각각 마련된다.
베이스 시트(31)의 아래쪽 면에는 절연 필름제의 세퍼레이터(36)가 점착층(32)에 의해 붙여져, 가동 접점체(30)가 반송, 보관된다.
가동 접점체(30)를 사용할 때에는, 세퍼레이터(36)를 박리한 가동 접점체(30)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 기판(이하, 기판)(40)에 베이스 시트(31) 아래쪽 면의 점착층(32)에 붙인다. 기판(40) 표면에는, 중앙 고정 접점(41)과 외측 고정 접점(42)을 한 쌍으로 된 복수 쌍의 고정 접점이 배치된다. 고정 접점은 각 가동 접점(33)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체(30)를 기판(40)에 붙임으로써 스위치(50)가 구성된다.
스위치(50)에 대하여, 가동 접점(33)의 돔 형상 정상부는 중앙 고정 접점(41)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대치하도록, 또한 외주 하단이 외측 고정 접점(42) 상에 얹어 놓아 배치된다. 가동 접점(33)과 한 쌍의 고정 접점(41, 42)이 하나의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는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 패널용 스위치(50)가 된다. 또한, 베이스 시트(31) 상의 가압 돌기(34)의 위쪽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전자 기기의 조작 버튼(43)이 배치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동 접점체(30)를 이용한 스위치(50)의 동 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손가락 등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 버튼(43)을 가압 조작하면, 조작 버튼(43)이 하부로 내려간다. 그리고, 조작 버튼(43)에 접촉한 가압 돌기(34)에 가압력이 가해진다. 접시 베이스 시트(31)를 통해 가동 접점(33)의 돔 형상 정상부에 그 가압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그 힘이 가동 접점(33)의 탄성 반전하는 가압력보다 커지면, 가동 접점(33)의 돔 형상 부분이 클릭 감촉을 따라 하부로 부풀어 오른 방향으로 탄성 반전한다. 이 반전에 의해 돔 형상 정상부의 아래쪽 면이, 중앙 고정 접점(41)과 접촉해, 가동 접점(33)을 통해 고정 접점(41, 42)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가 된다.
조작 버튼(43)에 가하고 있던 가압력을 해제하면, 가압 돌기(34)나 베이스 시트(31)를 통해 가해지는 가동 접점(33)으로의 가압력이 작아진다. 그 힘이, 가동 접점(33)의 탄성 반전하는 돔 형상 부분의 반전 복귀하는 힘보다 작아지면, 가동 접점(33)은 클릭 감촉을 따라 원래 돔 형상으로 복귀한다. 그 때문에, 가동 접점(33)은 중앙 고정 접점(41)으로부터 멀어져, 고정 접점(41, 42) 사이가 전기적인 절연 상태로 돌아온다.
또한, 가압 돌기(34)는, 조작 버튼(43)이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를 가압 했을 경우에도 항상 가동 접점(33)의 돔 형상 정상부의 중앙부가 가압 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조작시에서의 가동 접점(33)의 반전·복귀에 따라 생기는 클릭 감촉이 안정되어 양호한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베이스 시트(31)로서는, 일반적으로 PET 수지가 이용된다. PET 수지의 파단 강도는 200㎫~260㎫, 파단 신장도는 80%~140%이다. 즉, PET 수지는 비교적 경질 재료이다. 그 때문에, 가동 접점(33)이 탄성 반전할 때의 클릭 감촉이 저하한다. 이는 조작시에, PET 수지제의 베이스 시트(31)를 통해 가동 접점(33)을 가압하게 되어, 베이스 시트(31) 자체를 변형시키는 힘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베이스 시트(31)의 아래쪽 면에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ectroluminescence) 소자(이하, EL 소자)가 형성될 경우, 이 경향은 현저하다.
이 클릭 감촉의 저하를 막기 위해, 베이스 시트(31)는 비교적 얇게 형성된다. 즉, 베이스 시트(31)의 두께는 25㎛~75㎛ 전후이다. 더 이상 얇게 하면 EL 소자를 인쇄 형성할 때나, 기판(40)으로 붙일 때 등 베이스 시트(31)가 파손할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스위치(50)로서의 가압 조작시의 클릭 감촉 개선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경쾌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고, 양호한 감촉으로 조작할 수 있는 가동 접점체와 이를 이용한 스위치이다.
본 발명의 가동 접점체는, 폴리우레탄 수지제의 베이스 시트와, 돔 형상인 금속 박판제의 가동 접점과, 가압 돌기를 가진다. 가동 접점체는 베이스 시트의 제1면 측에 유지되어 있다. 가압 돌기는 베이스 시트의 제2면에 형성되고, 가동 접점의 돔 형상 정상부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베이스 시트를 폴리우레탄으로 형성함으로써 클릭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가동 접점체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접점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가동 접점체를 이용한 스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그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가동 접점체(20)는 베이스 시트(1)와, 가동 접점(3)과, 가압 돌기(4)를 가진다.
베이스 시트(1)는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1)의 표면에는 종래와 달리 에스테르계의 수지층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베이스 시트(1)의 아래쪽 면(제1면) 전체에는 아크릴이나 부틸 고무 등의 점착층(2)이 설치된다. 원형의 가동 접점(3)은 동합금이나 강, 스테인리스 등의 탄성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다. 가동 접점(3)은 아래쪽 면이 개방되고 위쪽으로 부풀어 오른 돔 형상으로 형성 된다. 가동 접점(3)은, 소정 가압력을 받으면 클릭 감촉에 따라 탄성 반전하고, 가압력의 해제에 의해 클릭 감촉을 따라 원래 아래쪽 면 개구(開口)의 돔 형상에 탄성 복귀한다.
복수의 가동 접점(3)은, 그 돔 형상의 표면을 점착층(2)으로 점착되어 베이스 시트(1)의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원주 형상의 가압 돌기(4)는 베이스 시트(1)의 표면(제2면)의 가동 접점(3)의 돔 형상 정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착제(5)로 고착된다. 가압 돌기(4)는 소재의 수지 시트를 펀칭(Punching)가공하여 제작된다.가압 돌기(4)의 대부분은 PET 수지로 구성된다.
접착제(5)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이다.가압 돌기(4)의 고착면에는 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층(4A)이 설치된다.
베이스 시트(1)의 아래쪽 면에는 두께 50~100㎛ 전후로 PET 등의 절연 필름제의 세퍼레이터(6)가 점착층(2)에 의해 붙여져 있고, 가동 접점체(20)가 반송, 보관된다. 세퍼레이터(6)의 표면은 이형(離型) 처리된다. 세퍼레이터(6)를 이용함으로써 가동 접점(3)의 아래쪽 면이 보호되어 표면의 산화가 방지되는 동시에, 점착층(2)에 이물질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1)의 아래쪽 면 전체가 세퍼레이터(6)로 덮여. 가동 접점(3)은 베이스 시트(1)와 세퍼레이터(6) 사이에 끼워 반송, 보관된다.
가동 접점체(20)를 사용할 때에는, 세퍼레이터(6)를 박리한 가동 접점체(20)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 기판(이하, 기판)(10)에 베이스 시트(1)의 아래쪽 면의 점착층(2)에 붙인다. 기판(10)은 종이 페놀이나 유리가 들어간 에폭시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표면 및/또는 아래쪽 면에는 동박 등으로 인해 복수의 배선 패턴이 형성된다. 더욱이, 기판(10)의 표면에는, 대략 원 형상의 중앙 고정 접점(11)과, 대략 말굽 모양의 외측 고정 접점(12)을 한 쌍으로 한 복수 쌍의 고정 접점(14)이 배치된다. 고정 접점(14)은 각 가동 접점(3)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가동 접점체(20)의 가동 접점(3)을, 기판(10)의 고정 접점(14)에 대향하도록 하고, 베이스 시트(1)의 아래쪽 면 측에서 기판(10)에 붙임으로써 스위치(21)가 구성된다.
스위치(21)에 대하여, 가동 접점(3)의 돔 형상 정상부는 중앙 고정 접점(11)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대치하도록 하고, 외주 하단이 외측 고정 접점(12) 상에 얹어 놓아 배치된다. 가동 접점(3)과 고정 접점(14)이 하나의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는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조작 패널용 스위치(21)가 된다. 또한, 베이스 시트(1) 상의 가압 돌기(4)의 위쪽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절연 수지제의 조작체(13)가 배치된다. 조작체(13)의 아래쪽 면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가압부(13A)는, 가압 돌기(4)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 스위치(21)는 전자 기기(도시하지 않음)에 조립된다. 중앙 고정 접점(11), 외측 고정 접점(12)은 배선 패턴이나 연결기 등에 의해, 전자 기기의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가동 접점체(20)를 이용한 스위치(21)의 동작을,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손가락 등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체(13)를 가압 조작하면, 조작체(13)가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그리고, 조작체(13)의 가압부(13A)에 접촉하는 가압 돌기(4)에 가압력이 가해진다. 또한 베이스 시트(1)를 통하여 가동 접점(3)의 돔 형상 정상부에 그 가압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그 힘이, 가동 접점(3)의 탄성 반전하는 가압력보다 커지면, 가동 접점(3)의 돔 형상 부분이 클릭 감촉을 따라 하부에 부풀어 오른 오른 방향으로 탄성 반전한다. 이 반전에 의해 돔 형상 정상부의 아래쪽 면이, 중앙 고정 접점(11)에 접촉해, 가동 접점(3)을 통해 고정 접점(11, 12) 사이가 전기적인 도통 상태가 된다.
조작체(13)로 더해진 가압력을 해제하면, 가압 돌기(4)나 베이스 시트(1)를 통하여 가해지는 가동 접점(3)으로의 가압력이 작아진다. 그 힘이, 가동 접점(3)의 탄성 반전한 돔 형상 부분의 반전 복귀하는 힘보다 작아지면, 가동 접점(3)은 클릭 감촉을 따라 원래 돔 모양으로 복귀한다. 그 때문에, 가동 접점(3)은 중앙 고정 접점(11)으로부터 떨어지고, 고정 접점(11, 12) 사이가 전기적으로 절연 상태로 돌아간다.
또한, 가압 돌기(4)는, 조작체(13)가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로 가압했을 경우에도 항상 가동 접점(3)의 돔 형상 정상부의 중앙부가 가압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조작시에서의 가동 접점(3)의 반전·복귀에 따라 생기는 클릭 감촉이 안정화되어, 양호한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시트(1)로서 파단 강도 2㎫~10㎫, 파단 신장도 300%~1000%로 PET 등에 비해 부드럽고 연성, 탄력성이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제 시트를 이용한다. 베이스 시트(1)는, 작은 힘으로 변형된다. 그 때문에, 조작체(13)를 가압 조작하여 가동 접점(3)에 가압력을 가했을 때의 돔 형상 부분의 탄성변형의 거동이, 가동 접점(3)을 단독으로 직접 가압 조작한 상태와 가깝다. 그 결과, 클릭 감촉이 시원한 경쾌한 상태가 된다.
이 클릭 감촉을 계량 값으로 평가하는 지표로서 클릭율이 있다. 가압시의 탄성 반전하기 직전의 가압력(P1)과 그 가압을 해제하면서 탄성 반전 상태로부터 탄성 복귀하기 직전의 가압력(P2)을 측정한다. 그리고 P1과 P2의 차이(D)를 P1로 나눈다. 그 값을 백분율로 나타냄으로써 클릭율이 구해진다.
PET 수지제의 베이스 시트를 이용하면, 가동 접점(3) 단독에 비해, 클릭율이 3~6% 저하된다. 한편, 폴리우레탄 수지제의 베이스 시트(1)를 이용했을 경우, 클릭율의 저하는 1~2%에 머문다.
또, 접착제(5)와 피접착 부재인 베이스 시트(1)가 같은 우레탄계 수지이기 때문에, 접착 계면 사이의 친화성이 높아진다. 그 친화성이 높아짐으로써, 베이스 시트(1)의 접착면에 수지층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되고, 부재인 베이스 시트(1)의 조달도 쉬워진다. 또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5)는 단시간에 경화시킬 수 있고, 제조 작업 측면에서 상당히 적합하다.
또한, 베이스 시트(1)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베이스 시트(1)에 대해서는 두께가 15㎛~100㎛, 더 바람직하기는 50 ㎛ 전후의 TPU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돌기(13)가 베이스 시트(1)보다 경질 재료의 PET 수지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조작체(13)를 가압 조작할 때, 가압부(13A)와 가동 접점(3) 사이에서 약간 중심 차이가 있을 경우에도, 가압 돌기(4) 자체의 구부러짐이 적기 때문에, 가동 접점(3)의 돔 형상의 정상부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확 실한 가동 접점(3)의 탄성 반전이 가능하다. 또, 양호한 감촉으로 가동 접점(3)을 조작할 수 있다.
또, 가압 돌기(4)가 PET 수지로 형성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 돌기(4)의 고착면에는 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층(4A)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압 돌기(4)의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다른 구조를 가진 가동 접점체에 대해 도 5~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다른 가동 접점체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가동 접점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가동 접점체를 이용한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가동 접점체(20A)가 도 1에 나타낸 가동 접점체(20)와 다른 점은, 다음의 2점이다. 베이스 시트(1)를 대신하여 광 투과성으로 가요성(可撓性)을 가진 베이스 시트(1A)가 이용된다. 또, 베이스 시트(1A)의 아래쪽 면에는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이하, EL 소자)(7)가 형성된다. 그리고 EL 소자(7)의 아래쪽 면에 점착층(2)이 형성된다. 즉, EL 소자(7)는 베이스 시트(1A)와 가동 접점(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EL 소자(7)는 광 투과 전극층(71)과, 발광체층(72)과, 유전체층(73)과, 배면 전극층(74)을 가진다. 광 투과 전극층(71)은, 산화 인듐주석 등을 분산한 광 투과 합성 수지나,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 등의 도전성 수지를 베이스 시트(1A)의 아래쪽 면에 인쇄하여 형성된다. 발광체층(72)은, 불소 고무 등의 합성 수지 내에 발광 모재가 되는 유화 아연 등의 형광체를 분산해, 광 투과 전극층(71)의 아래쪽 면에 인쇄하여 형성된다. 유전체층(73)은 합성 수지에 티탄산바륨 등을 분산해, 발광체층(72)의 아래쪽 면에 인쇄하여 형성된다. 배면 전극층(74)은, 수지에 은이나 카본 등을 분산해, 유전체층(73)의 아래쪽 면에 인쇄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층을 덮는 에폭시 수지나 폴리에스텔 수지 등의 절연층이 설치되어도 좋다. 광 투과 전극층(71)이나 배면 전극층(74)은 배선 패턴이나 연결기 등에 의해, 전자 기기의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이 구성에서는, 조작체(13)의 가압 조작에 의한 고정 접점(14)의 전기적인 접촉 또는 이격에 따라, 전자 기기의 각 기능의 전환이 행해진다. 그와 동시에, 전자 기기의 전자 회로로부터 EL 소자(7)의 광 투과 전극층(71)과 배면 전극층(74)으로 전압이 인가되면 발광체층(72)이 발광한다. 이 광이 베이스 시트(1A)를 통해 조작체(13)를 하부로부터 조광(照光)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도 사용자는 전자 기기의 조작부의 식별이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1A)는 광 투과성의 폴리우레탄 수지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베이스 시트(1A)의 아래쪽 면에, 두께 50㎛~100㎛ 전후의 EL 소자(7)가 형성된 경우에서도, 가동 접점(3)은 탄성 반전할 때의 클릭 감촉을 잃지 않는다. 그래서 사용자는 경쾌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고, 양호한 감촉으로 스위치(21A)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PET 수지제의 가압 돌기(4)에 대체하여 베이스 시트(1A)의 경도와 동등 이하의 재료로 구성된 가압 돌기(4B)를 이용해도 좋다. 가압 돌기(4B)는 베이스 시트(1A)와 동등 또는 그보다 경도가 작은 종류, 등급 의 TPU 수지나 실리콘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또 가압 돌기(4B)는 두께 100㎛~250㎛ 전후의 시트상의 재료로부터 펑칭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가압 돌기(4B)를 이용하면, PET 수지제의 가압 돌기(4)를 이용할 경우에 비해, 가압 돌기(4B) 자체도 구부러지면서 가동 접점(3)을 가압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부드러운 느낌을 가진 양호한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 가압 돌기(4B)를 베이스 시트(1A)와 같은 폴리우레탄 수지로 형성할 경우, 접착면 측이 되는 아래쪽 면에는 PET 수지제의 가압 돌기(4)와 같이 에스테르계의 수지층(4A)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접착제(5)와 피접착 부재인 가압 돌기(4B)를 같은 우레탄계 수지끼리로 함으로써, 접착계면 사이의 친화성이 높아진다. 그 결과, 강고한 접착 상태로 가압 돌기(4B)가 고착된다.
또, 베이스 시트(1A)와 가압 돌기(4B)가 탄성을 가진 경우이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점체(20B)가 실장되어 스위치를 구성할 경우, 이하와 같이, 조작체(13)가 덜걱거리는 일이 저감 될 수 있다. 즉, 기판(10)의 표면으로부터 조작체(13)의 아래쪽 면 위치까지의 치수에 대해, 가동 접점체(20B) 전체의 높이 치수, 즉 기판(10)에 붙이는 위치의 점착층(2) 아래쪽 면으로부터 가압 돌기(4B)의 표면까지의 치수를 약간 크게 설정한다. 그리고 조작체(13)를 가압 돌기(4B)에 탄성 접촉시킨 상태에서 조립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시에 생기는 치수 차이를 가압 돌기(4B)의 탄성으로 흡수시킨다. 이에 의해 조작체(13)가 덜걱거리지 않고 고품위의 조작 패널용 스위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만약 조작체(13)의 아래쪽 면과 가압 돌기(4B)의 상면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생겨도, 가압 돌기(4B)라 면, 가압 조작에 의한 조작체(13) 아래쪽 면과 가압 돌기(4B) 상면과 충돌음이 발생하지 않는 고품위의 조작 패널용 스위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는, EL 소자(7)를 마련한 가동 접점체(20B)를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EL 소자(7)를 마련하지 않고 베이스 시트(1A)의 경도와 동등 이하의 재료로 구성된 가압 돌기(4B)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광 투과성의 베이스 시트(1A)에 대신하여 광 투과성이지 않는 베이스 시트(1)를 이용하면 저렴하게 된다.
또한, 가압 돌기(4, 4B)는 시트를 펀칭 가공하는 외에, 인쇄로 형성시켜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동 접점체와 이를 이용한 스위치는, 양호한 클릭 감촉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 가동 접점체와 이를 이용한 스위치는, 각종 전자 기기의 조작용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가동 접점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가동 접점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가동 접점체를 이용한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다른 가동 접점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가동 접점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가동 접점체를 이용한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다른 가동 접점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가동 접점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가동 접점체를 이용한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Claims (13)

  1.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 측의 제2면을 가진 폴리우레탄 수지제의 베이스 시트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제1면 측에 유지된, 돔 형상의 금속 박판제 가동 접점과,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제2면의, 상기 가동 접점의 돔 형상 정상부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 가압 돌기를 구비한 가동 접점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제인, 가동 접점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제1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 접점을 점착 유지하는 점착층을 더 구비한 가동 접점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와 상기 가압 돌기가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가동 접점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는 상기 베이스 시트보다 경질인, 가동 접점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인, 가동 접점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와 상기 가압 돌기가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가압 돌기는 접착되는 면에 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층을 갖는, 가동 접점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의 경도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경도 이하인, 가동 접점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가 폴리우레탄 수지제인, 가동 접점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압 돌기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제인, 가동 접점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와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설치된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ectroluminescence)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시트가 광투과성인, 가동 접점체.
  12.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반대측의 제2면을 가진 폴리우레탄 수지제의 베이스 시트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제1면 측에 유지된, 돔 형상의 금속 박판제의 가동 접점과,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제2면의, 상기 가동 접점의 돔 형상 정상부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 가압 돌기를 가진 가동 접점체와,
    고정 접점을 갖는 기판을 구비하여,
    상기 가동 접점체의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기판의 상기 고정 접점에 대향 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제1면 측으로 상기 가동 접점체가 상기 기판에 붙여진, 스위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와 상기 가동 접점 사이에 설치된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시트가 광투과성인, 스위치.
KR1020070128974A 2006-12-18 2007-12-12 가동 접점체와 이를 이용한 스위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28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9662A JP2008153051A (ja) 2006-12-18 2006-12-18 可動接点体
JPJP-P-2006-00339662 2006-12-18
JPJP-P-2007-00027511 2007-02-07
JP2007027511A JP2008192522A (ja) 2007-02-07 2007-02-07 可動接点体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647A true KR20080056647A (ko) 2008-06-23
KR100928381B1 KR100928381B1 (ko) 2009-11-23

Family

ID=3952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9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8381B1 (ko) 2006-12-18 2007-12-12 가동 접점체와 이를 이용한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605338B2 (ko)
KR (1) KR100928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9864A (ja) * 2007-04-18 2008-11-06 Sunarrow Ltd 押圧突起を備えたメタルドームシート及び押し釦スイッチ
JP4190568B1 (ja) * 2007-07-30 2008-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
JP5298819B2 (ja) * 2007-12-11 2013-09-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導光機能付き可動接点体とそれを用いて構成した照光パネルスイッチ
CN101494127A (zh) * 2008-01-23 2009-07-2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压装置及其制造方法
TWM356171U (en) * 2008-12-17 2009-05-01 Darfon Electronics Corp Membrane switch
EP2284853A1 (en) * 2009-08-11 2011-02-16 CoActive Technologies, Inc. Electrical switch comprising a force transmission element fixed between a film and a snap disc
TW201142889A (en) * 2010-05-20 2011-12-01 Ichia Tech Inc Keypad plunge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11243476A (ja) 2010-05-20 2011-12-01 Panasonic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
JP5817212B2 (ja) * 2011-05-19 2015-11-1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
US8847092B2 (en) * 2012-07-30 2014-09-30 Blackberry Limited Hybrid keypad apparatus
TWI564924B (zh) * 2015-01-30 2017-01-0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鍵盤模組及具有鍵盤模組之筆記型電腦
US10102985B1 (en) 2015-04-23 2018-10-16 Apple Inc. Thin profile sealed button assembly
US20170069444A1 (en) * 2015-09-04 2017-03-09 Apple Inc. Film-based housing and switch for keyboard assembly
JP2017091917A (ja) * 2015-11-13 2017-05-2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スイッチ装置及び電子機器
CN205751968U (zh) * 2016-04-28 2016-11-3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金属弹片
US11114259B2 (en) * 2017-02-15 2021-09-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witch body
US11262852B2 (en) * 2018-06-01 2022-03-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8356A (en) * 1971-01-04 1972-06-06 Ibm Mechanical key actuator including a cantilever beam restoring force means
US6329617B1 (en) * 2000-09-19 2001-12-11 Lester E. Burgess Pressure activated switching device
JP2002216582A (ja) 2001-01-23 2002-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動接点体
JP2004193047A (ja) 2002-12-13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押圧用突起付可動接点体
JP4398738B2 (ja) 2004-01-09 2010-01-13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シート
CA2519814C (en) * 2004-09-20 2013-11-26 Lg Electronics Inc. Keypad assembly for mobil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05338B2 (en) 2009-10-20
KR100928381B1 (ko) 2009-11-23
US20080142350A1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381B1 (ko) 가동 접점체와 이를 이용한 스위치
JP4899963B2 (ja) 入力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4898323B2 (ja) キーシートおよび押釦スイッチ
US8403576B2 (en) Keyboard for hand held computing device
US8362381B2 (en) Switch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WO2002005302A1 (fr) Feuille electroluminescente et interrupteur comprenant une telle feuille
JP2008204769A (ja) 導光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可動接点体とスイッチ
WO2004006277A1 (ja) スイッチ統合型筐体およびこれを有する電子機器
US20110186413A1 (en) Keyboard dome overlay structure
JP2009170195A (ja) 可動接点体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US20110011715A1 (en) Switch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CN101206964B (zh) 可动接点体以及使用其的开关
US20070158173A1 (en) Switches
US7329823B2 (en) Movable contact element and panel switch formed using the same
US20080164132A1 (en) Button input device using E-paper
JPH1139984A (ja) El照光式スイッチ
KR100514759B1 (ko) 초박형 발광 키패드
JP2009117222A (ja) 可動接点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JP4187717B2 (ja) クリックばね付き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2008192522A (ja) 可動接点体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US7301114B2 (en) Movable contact unit
US8104942B2 (en) Light guide sheet and movable contact element using the same
JP2007220528A (ja) 可動接点構造体及び押ボタンスイッチ
JP2012054068A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2007012285A (ja) 可動接点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