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10258A - 성형체 - Google Patents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258A
KR20080010258A KR1020067023512A KR20067023512A KR20080010258A KR 20080010258 A KR20080010258 A KR 20080010258A KR 1020067023512 A KR1020067023512 A KR 1020067023512A KR 20067023512 A KR20067023512 A KR 20067023512A KR 20080010258 A KR20080010258 A KR 20080010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ed
mold
fiber
inorganic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523B1 (ko
Inventor
마사유키 오사키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0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JFIBREBOARD;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CELLULOSIC FIBROUS SUSPENSIONS OR FROM PAPIER-MACHE
    • D21J3/00Manufacture of articles by pressing wet fibre pulp, or papier-mâché, between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00Compositions of refractory mould or core materials; Grain structures thereof; Chemical or physical features in the formation or manufacture 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07Resin-bonded materials, e.g. 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03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6Slip casting, i.e. applying a slip or slurry on a perforated or porous or absorbent surface with the liquid being drained a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8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44/44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n solid form
    • B29C44/445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 closed space, i.e. to make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n solid form in the form of expandable granules, particles or b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29C2043/046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travelling between different stations, e.g. feeding, moulding, cur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0Thermosetting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58Liquid or visquous
    • B29K2105/0061Gel or s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29K2105/048Expandable particles, beads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short lengths, e.g. chopped filaments, staple fibres or br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29K2105/165Hollow fillers, e.g. microballoons or expande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3/00Use of resin-bonded materials as reinforcement
    • B29K2303/04In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11/00Use of natural products or their composit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201/00 - B29K2309/00, as reinforcement
    • B29K2311/10Natural fibres, e.g. wool or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3/00Use of resin-bonded materials as filler
    • B29K2503/04Inorgan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3/00Use of resin-bonded materials as filler
    • B29K2503/04Inorganic materials
    • B29K2503/08Mineral aggregates, e.g. sand, clay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ld Materials And Core Materials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성형체는 무기분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무기섬유, 유기섬유, 열경화성수지 및 열팽창성입자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열팽창성입자를, 상기 무기분체, 상기 무기섬유, 상기 유기섬유, 상기 열경화성수지, 및 상기 열팽창성입자의 총질량에 대해, 0.5~10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분체, 상기 무기섬유, 상기 유기섬유, 및 상기 열경화성수지가, 각각 흑연, 탄소섬유, 펄프섬유, 및 페놀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체, 무기분체, 무기섬유, 세부, 열경화성수지, 열팽창성입자

Description

성형체{MOLDED ARTICLE}
본 발명은 무기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형체 및 제조방법에 관하며, 특히 주물제조용의 주형 또는 구조체(이하, 금형 등이라고도 함)에 호적한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주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목형(木型)이나 금형(金型) 등에 기초해 내부에 캐비티를 가지는 주형(鑄型)을 주물사(鑄物砂)로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에 용탕을 공급해서, 냉각 후에 주형에서 주물을 꺼내고 있다.
그런데 목형이나 금형의 제조는 가공에 숙련을 요하고, 고가의 설비도 필요하며, 고가이면서 중량이 커지는 등의 결점과 함께 폐기처리의 문제도 생기고, 양산의 주물의 외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주물사를 사용한 사형은 통상의 모래에 바인더를 첨가한 주사(鑄砂)를 경화시켜서 부형하고 있기 때문에, 모래를 재이용할 경우에는 재생처리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 재생처리 시에 더스트(dust) 등의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도 생기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출원인은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의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은 주조에 사용하는 주형 등을, 유기섬유, 무기섬유 및 열경화성수지를 포함하는 성형체로 구성한 것이다. 이 기술에 의한 성형체는 종 래의 주사를 사용한 주형 등에 비해서, 박육·경량이면서 가공성에 뛰어나다. 또한 상술의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도 없다. 그러나 주물에 따라서는 복잡한 형상으로세부(細部)에 걸쳐서 정밀도가 요구될 경우가 있고, 이러한 주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성형체가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4-181472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에 감안해 이루어진 것이며, 복잡하면서 더욱이 세부에 걸쳐서 정밀도 좋게 부형이 가능한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무기분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무기섬유, 유기섬유, 열경화성수지 및 열팽창성입자를 함유하는 성형체로서, 상기 열팽창성입자를, 상기 무기분체, 상기 무기섬유, 상기 유기섬유, 상기 열경화성수지 및 상기 열팽창성입자의 총질량에 대해서, 0.5~10질량% 함유하는 성형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무기분체, 상기 무기섬유, 상기 유기섬유, 상기 열경화성수지 및 상기 열팽창성입자를 분산매에 분산시켜서 원료슬러리를 조제한 후, 상기 원료슬러리에서 습윤상태의 초조체를 초조해, 상기 초조체를 성형몰드 내에서 가열해 상기 열팽창성입자를 팽창시키면서 건조성형하는 성형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1실시형태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초조몰드의 1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를 파단해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동(同) 제조장치의 건조성형수단이 구비하는 수몰드(male mold)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초조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섬유성형체의 제조방법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초조공정 종료 후에 있어서의 초조체의 이행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건조성형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의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건조성형공정 종료 후의 탈몰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으로 초조되는 초조체의 1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성형체의 1실시형태의 건조성형 후에 있어서의 모서리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a)은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성형체의 1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2개의 성형체를 접합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b)은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성형체의 1예를 나타 내는 도이며, 접합된 성형체의 모서리부끼리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그 실시형태에 기초해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성형체를 주형 등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기초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체는 무기분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무기섬유, 유기섬유, 열경화성수지 및 열팽창성입자를 함유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무기분체를 주성분으로 한다고 함은 성형체에 포함되는 전체 성분 중에서 무기분체가, 질량비율에서 가장 많음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체는 상기 무기분체, 무기섬유, 유기섬유, 열경화성수지 및 팽창성입자의 총질량에 대해, 열팽창성입자를 0.5~10%(질량%)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8%(질량%) 포함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팽창성입자를 이러한 범위로 포함하고 있으면 팽창에 의한 성형 정밀도에의 악영향을 억제하는데다 첨가 효과가 충분히 얻어진다. 따라서 초조몰드의 형상이 세부로 걸쳐서 충실하게 성형체에 전사할 수 있다. 또한 초조몰드이 복잡한 형상이라도 세부에 걸쳐 정밀도 좋게 금이나 찢김을 성형체에 발생하는 일 없이 초조가 가능해진다. 이것은 열팽창성입자가 팽창함으로써 초조원료를 초조몰드의 구석구석까지 펴서 넓혀가기 때문이다. 또한 대량의 열팽창성입자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과팽창을 방지할 수 있고, 여분의 냉각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체는 열에 의해 팽창하고, 또한 팽창 전의 평균직경이 바람직하게는 5~8㎛,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인 상기 열팽창성입자를 포함하고 있 다. 열팽창성입자의 평균직경이 이러한 범위이면 팽창에 의한 성형정밀도에의 악영향을 억제하는데다 첨가 효과가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체는 상기 무기분체, 무기섬유, 유기섬유, 열경화성수지 및 열팽창성입자의 총질량에 대해, 각 성분의 배합비(질량비율)는 무기분체/무기섬유/유기섬유/열경화성수지/열팽창성입자=70~80/2~6/2~10/8~16/0.5~10(질량비율)이 바람직하고, 70~80/2~8/2~6/10~14/2~8(질량비율)이 보다 바람직하다(다만, 상기 질량비율의 합계는 100임).
무기분체의 배합이 이러한 범위이면, 캐스팅시에서의 형상유지성, 성형품의 표면성이 양호해지며, 또한 성형 후의 이형성도 호적하게 된다. 또한 열팽창성입자의 팽창력과 무기분체의 배합에 의한 상승효과에 의해 무기섬유, 유기섬유 등의 각 성분이 적당히 이동하기 쉬워져서 성형몰드의 형상이 성형체에 충실히 전사되기 쉬워진다.
무기섬유의 배합비가 이러한 범위이면, 성형성, 캐스팅시의 형상유지성이 양호하다. 유기섬유의 배합비가 이러한 범위이면 성형성이 양호하며, 캐스팅시의 가스발생량, 플로우오프(flow-off)로부터의 불꽃 분출을 억제할 수 있다. 열경화성수지의 배합비가 이러한 범위이면, 주형의 성형성, 캐스팅 후의 형상유지성, 표면평활성이 양호하다.
상기 무기분체로서는 판상흑연(비늘상흑연), 토상흑연 등의 흑연, 흑요석, 운모, 뮬라이트, 실리카, 마그네시아 등을 들 수 있다. 무기분체는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이상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성형성, 비용의 점에서 흑연, 특히 판상 흑연(비늘상흑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섬유는 주로 성형체의 골격을 이루며, 예를 들면 주조시의 용융금속의 열에 의해서도 연소하지 않고 그 형상을 유지한다. 상기 무기섬유로서는 탄소섬유, 록울(rock wool) 등의 인조광물섬유, 세라믹섬유, 천연광물섬유를 들 수 있으며, 그들이 단독 또는 2이상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기 열경화성수지의 탄화에 수반하는 수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점에서 고온에서도 고강도를 가지는 피치계나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의 탄소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PAN계의 탄소섬유가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섬유는 주형 등을 초조해 탈수하는 경우의 탈수성, 주형 등의 성형성, 균일성의 관점에서 평균 섬유장이 0.5~15mm, 특히 1~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섬유로는 지섬유(펄프섬유), 피브릴화한 합성섬유, 재생섬유(예를 들면 레이온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섬유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성형성, 건조 후의 강도, 비용의 점에서 지섬유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섬유로서는 목재펄프, 코튼펄트, 린터펄프, 대나무나 짚 그 외의 비목재펄프를 들 수 있다. 지섬유는 이들의 퍼지펄프 혹은 고지펄프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지섬유는 입수의 용이성, 환경보호, 제조비용의 저감 등의 점에서, 특히 고지펄프가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섬유는 성형체의 성형성, 표면평활성, 내충격성을 고려하면, 평균섬유장이 0.8~2.0mm, 특히 0.9~1.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성형체의 상온강도 및 열간강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형체의 표면성을 양호하게 하고, 성형체를 주형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주물에 표면조도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성분이다. 상기 열경화성수지로서는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푸란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중에서도 특히 가연가스의 발생이 적고, 연소억제 효과가 있고, 열분해(탄화) 후에 있어서의 잔탄율이 25%이상으로 높고, 성형체를 주형에 사용했을 경우에 탄화피막을 형성해 양호한 주피부(casting surface)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페놀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놀수지에는 경화제를 필요로 하는 노블락페놀수지, 경화제가 필요없는 레졸 타입 등의 페놀수지가 사용된다. 노블락페놀수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경화제를 필요로 한다. 상기 경화제는 물에 녹기 쉽기 때문에 성형체의 탈수 후에 그 표면에 도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에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팽창성입자로서는 열가소성수지의 각벽(慤壁)에, 기화해 팽창하는 팽창제를 내포한 마이크로캡슐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80~200℃에서 가열하면,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3~5배, 체적이 바람직하게는 50~100배로 팽창하고, 팽창 전의 평균입경이 바람직하게는 5~8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의 입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각벽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각벽에 내포되는 팽창제로서는 프로판, 부탄, 펜탄, 이소부탄, 석유에테르 등의 저비점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체로는 상기 각 성분 이외에,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폴리아미드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수지 등의 지력강화재, 응집제, 착색제 등의 다른 성분을 적절한 비율로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체는 물을 포함하는 원료슬러리를 사용해 제조된 경우는 상기 성형체의 사용 전(주조에 공급되기 전)의 질량함수율은 8%이하가 바람직하고, 3%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함수율이 낮을수록 주조시의 열경화성수지의 열분해(탄화)에 기인하는 가스발생량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체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서 설정된다. 성형체의 두께는 0.2~5mm가 바람직하고, 0.7~1.5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가 이러한 범위이면, 상기 열팽창성입자의 팽창의 성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는데다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고, 주조시의 가스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상기 실시형태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1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들의 도에 있어서 부호 1은 제조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장치(1)는 개구부의 주연부에 플랜지부(111)를 가지는 반통상(半筒狀)의 성형체(11)(도 10 참조)를 제조하는 것이며, 원료슬러리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2)과, 원료공급수단(2)에서 공급되는 원료슬러리에서 습윤상태의 초조체(중간체)를 초조하는 초조수단(3)과, 초조된 초조체를 건조성형하는 건조성형수단(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2개의 동형의 반통상의 성형체(11)가 합체되어 캐비티가 형성된다.
원료공급수단(2)은 주입틀(20)과, 이 주입틀(20)을 상하동시키는 상하동기구(21)와, 주입틀(20) 내에 원료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공급관(22)을 구비하고 있다. 슬러리공급관(22)에는 밸브(23)가 배설되어 있다.
초조수단(3)은 소위 수몰드의 형태를 가지는 초조몰형(30)을 구비하고 있다. 초조몰드(30)은 초조하는 초조체의 형상에 대응한 초조부(300)를 가지고 있다. 초조부(300)에는 그 표면에 있어서 개구하는 기액유통로(301)(도 2 참조)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기액유통로(301)에는 흡인펌프(302)로 통하는 배출관(303)이 접속되어 있다. 배출관(303)에는 밸브(304)가 배설되어 있다. 초조부(300)의 표면에는 초조네트(305;papermaking)가 배치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조성형수단(4)은 암몰드(40) 및 수몰드(41)를 구비하고 있다. 암몰드(40) 및 수몰드(41)가 접합시켜졌을 때, 이들의 몰드 사이에는 성형하는 성형체의 외형형상에 대응한 공극(clearance)이 형성된다. 암몰드(40)는 얻어지는 성형체(11)의 외형형상에 대응한 오목상의 성형부(400)를 가지고 있다. 암몰드(40)는 상기 성형부(400)를 가열하는 히터(가열수단)(401)를 구비하고 있다. 암몰드(40)는 상하동수단(402)에 의해서 상하동한다. 암몰드(40)에는 성형부(400)에 있어서 개구하는 기액유통로(도시하지 않음)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기액유통로에는 흡인펌프 및 컴프레서(모두 도시하지 않음)로 통하는 유 통관(403)이 접속되어 있다. 유통관(403)에는 밸브(404)가 배설되어 있다. 수몰드(41)는 얻어지는 성형체(11)의 내면형상에 대응한 볼록상의 성형부(410)를 가지고 있다. 수몰드(41)의 성형부(410)에는 그 표면에 있어서 개구하는 기액유통로(411)(도 3 참조)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기액유통로(411)에는 흡인펌프(412)로 통하는 배출관(413)이 접속되어 있다. 배출관(413)에는 밸브(414)가 배설되어 있다. 도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성형부(410)의 내부에는 성형부(410)를 가열하는 히터(가열수단)가 배치되어 있다. 성형부(400) 및 (410)의 표면은 불소수지에 의해 표면이 코팅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제조장치(1)는 상기 초조몰드(30) 및 수몰드(41)를 가이드(50)를 따라서 소정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조장치(1)는 상기 각 수단과 접속되어 이들 각 수단을 후술하는 바와 같은 순서에 따라서 작동시키는 시퀀서(sequence)를 구비한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장치(1)를 사용한 성형체의 제조방법을, 도 4~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도 중, 부호 10은 초조체, 11은 성형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무기분체, 상기 무기섬유, 상기 유기섬유, 상기 열경화성수지 및 상기 열팽창성입자를 분산매에 분산시켜서 원료슬러리를 조제한다. 원료슬러리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하는 성형체에 적합하게끔 조제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분산매로서는 물, 백수 외, 에탄올, 메탄올 등의 용제 또는 이들의 혼합계 등을 들 수 있다. 초조·탈수성형의 안정성, 성형체의 품질의 안정성, 비용, 취급용이성 등의 점에서 특히 물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제한 원료슬러리에서 습윤상태의 초조체(10)(도 8 참조)를 초조한다. 초조체(10)의 초조공정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동기구(21)에 의해서 주입틀(20)이 내려지며, 밸브(23)가 열리고, 슬러리공급관(22)을 통해서 원료슬러리가 주입틀(20) 내로 공급된다. 원료슬러리의 공급량이 소정량에 달하면, 밸브(23)가 닫혀 원료슬러리의 공급이 정지된다. 그리고 밸브(304)가 열리고, 기액유통로(301) 및 배출관(303)을 통해서 흡인펌프(302)에 의해서 원료슬러리의 액체분이 흡인됨과 동시에, 고형분이 초조네트(305)의 표면에 퇴적되어 습윤상태의 초조체(10)가 형성된다. 초조체(10) 중의 액체 함유율은 초조체(10)의 핸들링성, 초조체(10)가 암몰드(40)와 수몰드(41)에 끼워져 프레스될 시의 섬유의 유동에 의한 초조체(10)의 변형(프레스에 의해 어느 정도는 변형하는 편이 좋음)을 고려하면, 성형체(10) 중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액체분을 50~300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200질량부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함유율은 흡인펌프(302)를 통한 액체성분의 흡인에 의해 조정되며, 소정의 액체 함유율이 되었을 때 흡인이 정지된다.
초조체(10)의 초조가 종료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동기구(21)에 의해서 주입틀(20)이 끌어 올려지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서 초조몰드(30)이 가이드(50)를 따라서 암몰드(40)의 하방으로 옮겨진다. 이와 같이 해서 도 8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개구부의 주연부에 플랜지부(101)를 가지고, 플랜지부(101)와 주벽부(102)와의 사이에 모서리부(103)를 가지는 초조체(10)가 초조된다.
다음으로 암몰드(40)가 상하동기구(402)에 의해서 내려지며, 초조몰드(30)와 접합된다. 그리고 암몰드(40)에 있어서의 유통관(403)을 통해서 초조체(10)가 성형면(400)측에 흡착된 후, 상하동기구(402)에 의해서 암몰드(40)가 끌어 올려지며, 초조몰드(30)에서 암몰드(40)로 초조체(10)가 전달된다. 암몰드(40)는 그 후 도 6에 나타내는 수몰드(41)와의 건조성형위치로 옮겨진다.
다음으로 초조체를 성형몰드 내에서 가열해 상기 열팽창성입자를 팽창시키면서 건조성형한다. 건조공정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몰드(성형몰드)(40)가 상하동기구(402)에 의해서 내려지며, 소정온도로 가열된 수몰드(성형몰드)(41)와 접합되며, 이들의 수암몰드의 사이에서 초조체(10)가 프레스성형된다. 이때, 상기 열팽창성입자가 팽창되면서 건조성형이 진행하고, 가열건조가 행해진 성형체가 얻어진다. 상기 열팽창성입자가 팽창되면서 건조성형이 진행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품의 전사성이 향상해, 성형체(11)에 있어서의 플랜지부(111)와 주벽부(112)와의 교점에 형성되는 모서리부(113)의 정점이 첨예하게 된다. 또한 암몰드(성형몰드)(40)와 수몰드(성형몰드)(41)의 접합만으로는 충분한 프레스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운 성형체(11)에 있어서의 벽면부(114, 115) 등(도 10(a) 참조)에 있어서도 표면의 평활성에 뛰어난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암몰드(40)와 수몰드(41)의 온도(금형온도)는 제조하는 성형체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지만, 초조체(10)의 누름방지 등을 고려하면, 100~250℃가 바람직하고, 120~2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암몰드(40)와 수몰드(41)에 의한 프레스성형의 압력은 육후부(肉厚部)를 확실하게 눌러 뭉개는 것 등을 고려하면, 0.2MPa~10MPa이 바람직하고, 0.5MPa~5MPa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만 프레스성형의 압력은 성형체를 구성하는 재료의 종류, 강도 등에서 크게 변화할 수도 있다.
건조성형 시는 밸브(414)가 열려 있고, 초조체(10)의 수분은 기액유통로(411)(도 3 참조) 및 배출관(413)을 통해서 흡인펌프(412)에 의해서 흡인되어 외부에 배출된다. 그 한편으로 상하동기구(21)에 의해서 주입틀(20)이 내려지며, 초조몰드(30)의 초조부(300)가 다시 주입틀(20)에 내포된다. 그리고 상기 초조공정과 동일하게 해서 초조체가 새롭게 초조된다.
건조성형공정이 종료하면, 유통관(403)에서의 흡인이 상기 컴프레서에 의한 공기분사로 전환되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동기구(402)에 의해서 암몰드(40)가 끌어 올려진다. 그리고 흡인펌프(412)에 의한 흡인이 정지된 후, 수몰드(41)측에 남은 성형체(11)를 수몰드(41)에서 떼어내고, 성형체(11)의 제조를 완료한다. 또한 상하동기구(21)에 의해서 주입틀(20)이 끌어 올려지며, 초조공정을 끝낸 새로운 초조체는 그 후 가열공정으로 옮겨진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서는 이와 같은 초조, 건조성형의 공정이 반복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해서 제조된 성형체(11)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11)끼리를 대향시켜서 접합시킨 경우에,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의 모서리부(113)의 정점이 첨예하므로, 예를 들면 상기 성형체를 2개 접합시켜서 주물제조용 주형으로 하고, 그 캐비티 내에 용탕을 공급해 주물을 제조할 경우, 도 10(b)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당해 모서리부끼리의 접합부분에는 실질적으로 틈새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얻어지는 주물에 플래싱이 생기지 않는다.
얻어진 성형체에는 필요에 따라서 더욱 상기 열경화성수지를 부분적 또는 전체에 함침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열경화성수지를 함침시킨 후, 성형체를 소정온도로 가열 건조해, 당해 열경화성수지를 열경화시켜 필요에 따라서 트리밍(trimming), 절단가공 등을 처리해 최종적인 성형체를 얻는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지는 성형체는 무기분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무기섬유, 유기섬유, 열경화성수지 및 열팽창성입자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건조성형공정에 있어서 팽창한 상기 열팽창성입자가 성형체의 세부에 있어서의 내부의 틈새를 채우고 있으며, 복잡한 형상이라도 그 세부에 걸쳐서 성형정밀도가 높은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성에 부가해, 표면의 평활성에 뛰어나면서, 또한 캐스팅시에 있어서도 이것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한 주물의 제조방법에서는 얻어지는 주물의 표면평활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종래와 같은 도형제를 처리하지 않아도, 주조 후의 소착(burn-on)이 대폭으로 저감되기 때문에 주물의 제조공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캐스팅시에 있어서도 열간강도 및 형상유지성에 뛰어나기 때문에, 이것을 사용한 주물의 제조방법에서는 조형시에 주물사를 바인더로 경화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주조 후에 기계적 연마에 의해 모래를 재생할 필요가 없고, 종래에 비해서 폐기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중공형상의 중자에 적용할 경우라도 중자 내로의 주물사의 충전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또한 캐스팅 후의 제거성이 양호하며, 종래에 비해서 용이하게 주형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외에 경량이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각 성분을 포함하는 원료슬러리를 초조해 제조하므로, 각 성분이 골고루 균일하게 분산한 주형 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열수축에 수반하는 금감(cracking) 등의 발생이 억제되며, 높은 열간강도가 얻어지며, 표면의 평활성에도 뛰어나며, 성형정밀도나 기계적강도가 높고, 성형정밀도의 높고 표면의 평활성에 뛰어난 주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기섬유가 용융금속의 열에 의해 연소해 그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며, 무기분체, 무기섬유, 열경화성수지 및 열팽창성입자에 의해서 그 강도가 유지되며, 주형을 해체한 후에, 블러스트(blast) 처리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주물사로부터의 분리나 제거가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성형체는 무기분체, 무기섬유, 유기섬유, 열경화성수지 및 열팽창성입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주형의 조형시나 주탕시에는 그 강도를 유지하고, 주형의 해체 후에는 그 강도가 저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성형체를 사용하여 주물을 제조했을 경우, 종래의 방법보다도 폐기물의 처리를 간편하게 하여 처리비용을 삭감하고, 폐기물의 발생량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경량이며, 간편한 장치로 용이하게 절단가공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취급성에도 뛰어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는 주조에 사용되는 주형(주형, 중자) 외에, 탕도(runner), 탕지(wall), 수구(pouring cup), 탕구(sprue), 탕구저(choke), 색(塞/gate), 가스배출(vent), 플로우오프(flow-off), 압탕(feeder) 등의 구조체 및 그 외의 부대구조체의 용도에 호적하다. 또한 내열성을 요하는 주조분야 이외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고, 그 용도에 따른 형상의 세부에 걸쳐서 성형정밀도가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하등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하기 조성의 원료슬러리로부터 성형체를 제작하고, 상기 성형체를 주형(주형(主型))에 사용하여 주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주물에 대해서 주형의 성형면의 형상전사성, 플래싱의 발생, 침투의 발생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플래싱이라 함은 <57>에 기술한 바와 같이, 성형체를 2개 접합시켜서 주물제조용 주형으로 하고, 그 캐비티 내에 용탕을 공급해 주물을 제조할 경우, 모서리부끼리의 접합부분의 틈새에 용탕이 칩입해 그대로 고화한 것을 말한다.
<원료슬러리의 조제>
하기 배합성분을 물에 분산시켜서 약 1%(물에 대해, 무기분체, 무기섬유, 유기섬유 및 열팽창성입자의 합계질량이 1질량%)의 슬러리를 조제한 후, 상기 슬러리에 하기 열경화성수지와 응집제를 첨가해, 무기분체, 무기섬유, 유기섬유, 열경화 성수지 및 열팽창성입자의 배합율(질량비율)이 하기의 값의 원료슬러리를 조정하였다.
[원료슬러리의 배합]
무기분체: 판상흑연(비늘상흑연)
무기섬유: PAN 탄소섬유(Toray Industries(주) 제품, 상품명 "Torayca Chopped", 섬유장: 3mm, 수축율: 0.1%)
유기섬유: 지섬유(신문고지, 평균섬유장 1mm, freeness(CSF) 150cc)
열팽창성입자: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Matsumoto Yushi-Seiyaku(주) 제품, 상품명 "Matsumoto Microsphere F-793D")
열경화성수지: 페놀수지(Air Water Bellpearl(주) 제품 "S890")
성분질량배합율(%): 무기분체/무기섬유/유기섬유/열경화성수지/열팽창성입자=78/4/4/12/2
분산매: 물
[초조체의 초조]
상기 원료슬러리, 및 초조몰드(상기 초조몰드의 형상은 도 2에 나타낸 형상과 대략 동일)를 사용해, 전술의 실시형태와 같이 해서 초조체를 초조하였다. 그리고 육후는 1mm~3mm의 초조체를 얻었다.
[성형체의 건조성형]
얻어진 초조체를, 성형면에 불소수지 코트를 처리한 성형몰드 내에 배치하고, 하기 조건에서 건조성형해, 성형체를 제작하였다.
프레스성형 압력: 3.8MPa
건조몰드 온도: 180℃
[형상전사성의 평가]
얻어진 주물을 목시 관찰함으로써 주물의 표면의 형상전사성을 하기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 주형의 형상을 충실하게 재현하고 있음.
△: 일부형상이 전사되어 있지 않고 요철(凹凸)이 생기고 있는 부분이 있지만, 후처리가공으로 수정 가능.
×: 주형의 형상을 전사할 수 없고, 또한 후처리가공에서의 수정도 불가.
[플래싱 발생의 평가]
얻어진 주물을 목시 관찰해 플래싱 길이를 슬라이드캘리퍼(slide caliper) 등으로 측정함으로써 주물의 플래싱의 발생을 하기의 2단계로 평가하였다.
○: 주물의 일부에 다소의 플래싱이 발생하고 있지만, 그 길이가 1mm이하임.
×: 주물에 발생한 플래싱의 길이가 1mm를 초과하고 있음.
[침투발생의 평가]
얻어진 주물을 목시 관찰함으로써 얻어진 주물의 침투의 발생을 하기의 2단계로 평가하였다.
○: 주물의 전체의 부위에서 주형의 형상을 충실하게 재현하고 있음.
×: 주물의 일부에 주탕시에 주형에서 탕이 새어 생긴 침투부분이 있음.
<결과>
성형체의 모서리부 정점의 R(곡률반경)를 측정하면 얻어진 성형체에서는 R는 0.1~0.2mm정도이며, 그 모서리부의 정점이 보다 첨예하였다. 또한 성형체를 2개 조합시켜서 캐비티를 형성하고, 조합된 성형체를 모래에 매몰시켜 상기 캐비티에 용탕을 주입해 주조를 행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성형체의 조합에서는, 얻어진 주물의 형상전사성, 플래싱의 발생, 침투의 발생에 관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특히 전체 접합면에서의 플래싱이 1mm이하의 양품이 제작되었다.
[실시예 2]
원료슬러리의 배합 및 성형체의 건조성형 조건을 이하와 같이 변경하고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를 작성하고, 상기 성형체를 주형(주형)에 사용하여 주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얻어진 주물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원료슬러리의 배합]
무기분체: 판상흑연(비늘상흑연)
무기섬유: PAN 탄소섬유(Mitsubishi Rayon(주) 제품, 상품명 "Pyrofil", 섬유장: 3mm, 수축율: 0.1%)
유기섬유: 지섬유(신문고지, 평균섬유장 1mm, freeness(CSF) 150cc)
열팽창성입자: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Matsumoto Yushi-Seiyaku(주) 제품, 상품명 "Matsumoto Microsphere F-105D")
열경화성수지: 페놀수지(Air Water Bellpearl(주) 제품 "S890")
성분질량배합율(%): 무기분체/무기섬유/유기섬유/열경화성수지/열팽창성입자=76/4/4/12/4
분산매: 물
[성형체의 건조성형]
얻어진 초조체를 성형면에 불소수지 코트를 처리한 성형몰드 내에 배치하고, 하기 조건에서 건조성형해 성형체를 제작하였다.
프레스성형 압력: 3.8MPa
건조몰드 온도: 200℃
<결과>
성형체의 모서리부 정점 R(곡률반경)를 측정하면 얻어진 성형체에서는 R는 0.1~0.2mm정도이며, 그 모서리부의 정점은 첨예하였다. 또한 성형체(11)에 있어서의 벽면부(114, 115)에 있어서도 표면의 평활성이 뛰어나며, 금이나 구멍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성형체를 2개 조합시켜서 캐비티를 형성해, 조합된 성형체를 모래에 매몰시켜 상기 캐비티에 주탕을 주입해 주조를 행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성형체의 조합에서도, 얻어진 주물의 형상전사성, 플래싱의 발생, 침투의 발생에 관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전체 접합면에서의 플래싱이 1mm이하의 양품이 제작되었다.
[실시예 3]
원료슬러리의 배합을 이하와 같이 변경하고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를 작성하고, 상기 성형체를 주형(주형)에 사용하여 주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얻어진 주물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원료슬러리의 배합]
무기분체 1: 판상흑연(비늘상흑연)
무기분체 2: 흑요석
무기분체 배합비: 판상흑연(비늘상흑연)/흑요석=50/50
무기섬유: PAN 탄소섬유(Mitsubishi Rayon(주) 제품, 상품명 "Pyrofil", 섬유장: 3mm, 수축율: 0.1%)
유기섬유: 지섬유(신문고지, 평균섬유장 1mm, freeness(CSF) 150cc)
열팽창성입자: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Matsumoto Yushi-Seiyaku(주) 제품, 상품명 "Matsumoto Microsphere F-105D")
열경화성수지: 페놀수지(Air Water Bellpearl(주) 제품 "S890")
성분질량배합율(%): 무기분체/무기섬유/유기섬유/열경화성수지/열팽창성입자=76/4/4/12/4
분산매: 물
<결과>
성형체의 모서리부 정점의 R(곡률반경)를 측정하면 얻어진 성형체에서는 R는 0.1~0.2mm정도이며, 그 모서리부의 정점은 첨예하였다. 또한 성형체(11)에 있어서의 벽면부(114, 115)에 있어서도 표면의 평활성이 뛰어나며, 금이나 구멍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성형체를 2개 조합시켜서 캐비티를 형성하고, 조합된 성형체를 모 래에 매몰시켜 상기 캐비티에 용탕을 주입해 주조를 행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성형체의 조합에서도 얻어진 주물의 형상전사성, 플래싱의 발생, 침투의 발생에 관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전체 접합면에서의 플래싱이 1mm이하의 양품이 제작되었다.
[실시예 4]
원료슬러리의 배합을 이하와 같이 변경하고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를 작성하고, 상기 성형체를 주형(주형)에 사용하여 주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얻어진 주물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원료슬러리의 배합]
무기분체 1: 판상흑연(비늘상흑연)
무기분체 2: 운모분
무기분체 배합비: 판상흑연(비늘상흑연)/운모분=50/50
무기섬유: PAN 탄소섬유(Mitsubishi Rayon(주) 제품, 상품명 "Pyrofil", 섬유장: 3mm, 수축율: 0.1%)
유기섬유: 지섬유(신문고지, 평균섬유장 1mm, freeness(CSF) 150cc)
열팽창성입자: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Matsumoto Yushi-Seiyaku(주) 제품, 상품명 "Matsumoto Microsphere F-105D")
열경화성수지: 페놀수지(Air Water Bellpearl(주) 제품 "S890")
성분질량배합율(%): 무기분체/무기섬유/유기섬유/열경화성수지/열팽창성입자 =76/4/4/12/4
분산매: 물
<결과>
성형체의 모서리부 정점의 R(곡률반경)를 측정하면 얻어진 성형체에서는 R는 0.1~0.2mm정도이며, 그 모서리부의 정점이 보다 첨예하였다. 또한 성형체(11)에 있어서의 벽면부(114, 115)에 있어서도 표면의 평활성이 뛰어나며, 금이나 구멍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성형체를 2개 조합시켜서 캐비티를 형성해, 조합된 성형체를 모래에 매몰시켜 상기 캐비티에 용탕을 주입해 주조를 행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4의 성형체의 조합에서도, 얻어진 주물의 형상전사성, 플래싱의 발생, 침투의 발생에 관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전체 접합면에서의 플래싱이 1mm이하의 양품이 제작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2의 열팽창성입자 배합량을 6%로 하고, 무기분체를 74%로 한 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를 작성하고, 상기 성형체를 주형(주형)에 사용하여 주물을 제조하고, 나아가 얻어진 주물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2의 열팽창성입자 배합량을 8%로 하고, 무기분체를 72%로 한 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를 작성하고, 상기 성형체를 주형(주형)에 사용하여 주물을 제조하고, 나아가 얻어진 주물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비교예 1]
비교예 1로서 열팽창성이바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의 원료슬러리 배합으로 하고,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를 제작하고, 상기 성형체를 주형(주형)에 사용하여 주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얻어진 주물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원료슬러리의 배합]
무기분체 : 판상흑연(비늘상흑연)
무기섬유: PAN 탄소섬유(Mitsubishi Rayon(주) 제품, 상품명 "Pyrofil", 섬유장: 3mm, 수축율: 0.1%)
유기섬유: 지섬유(신문고지, 평균섬유장 1mm, freeness(CSF) 150cc)
열경화성수지: 페놀수지(Air Water Bellpearl(주) 제품 "S890")
성분질량배합율(%): 무기분체/무기섬유/유기섬유/열경화성수지=80/4/4/12
분산매: 물
<결과>
성형체의 모서리부 정점의 R(곡률반경)를 측정하면 얻어진 성형체에서는 R는 0.1~0.2mm정도의 부위도 있지만, 대부분의 부위에서는 R는 1mm를 초과하며, 그 모서리부의 정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해 첨예하지 않았다. 또한 성형체(11)에 있어서의 벽면부(114, 115)는 그 표면에 프레스 부족에 의한 요철이나, 일부 금이나 구멍이 보여진다. 나아가 성형체를 2개 조합시켜서 캐비티를 형성하고, 조합된 성 형체를 모래에 매몰시켜, 상기 캐비티에 용탕을 주입해 주조를 행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성형체의 조합에서도, 얻어진 주물의 형상전사성, 플래싱의 발생, 침투의 발생에 관해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즉 접합면에서의 플래싱이 1mm를 초과하는 부위가 다수 발생하고, 또한 주물의 벽면부에서는 성형체에 보여진 요철부가 주물에 전사되며, 나아가 금이나 구멍이 있었던 부분에서는 용탕의 침투가 보이며 양품을 제작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비교예 2로서 열팽창성입자를 무기분체, 무기섬유, 유기섬유, 열경화성수지및 열팽창성입자의 총질량에 대해, 10질량% 이상 함유하는 조성의 원료슬러리 배합으로 하고,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성형체를 제작해, 상기 성형체를 주형(주형)에 사용하여 주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얻어진 주물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원료슬러리의 배합]
무기분체: 판상흑연(비늘상흑연)
무기섬유: PAN 탄소섬유(Mitsubishi Rayon(주) 제품, 상품명 "Pyrofil"), 섬유장: 3mm, 수축율: 0.1%)
유기섬유: 지섬유(신문고지, 평균섬유장 1mm, freeness(CSF) 150cc)
열경화성수지: 페놀수지(Air Water Bellpearl(주) 제품 "S890")
열팽창성입자: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Matsumoto Yushi-Seiyaku(주) 제품, 상품명 "Matsumoto Microsphere F-793D")
성분질량배합율(%): 무기분체/무기섬유/유기섬유/열경화성수지/열팽창성입자=70/4/4/10/12
분산매: 물
<결과>
성형체의 모서리부 정점의 R(곡률반경)를 측정하면 얻어진 성형체에서는 R는 0.1~0.2mm정도이며, 그 모서리부의 정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첨예하였지만, 성형체의 곳곳에서는 성형체가 금형에서 떼어진 후에도 열팽창성입자가 계속해서 팽창한 때문에 발생한 요철이 보인다. 또한 성형체를 2개 조합시켜 캐비티를 형성하고, 조합된 성형체를 모래에 매몰시켜 상기 캐비티에 용탕을 주입해 주조를 행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2의 성형체의 조합은 얻어진 주물의 형상전사성에 관해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즉 전체 접합면에서의 플래싱이 1mm이하의 양품을 제작할 수 있었지만, 성형체에 보여진 요철부가 주물에 전사되어 양품을 제작할 수 없었다.
열팽창성입자배합비율(%) *1)?BR/> 무기분체 형상전사성 주물의 플래싱의 발생 침투의 발생
종류 비율 (%)
실 시 예 1 2 판상흑연 (비닐상흑연) 100
2 4 판상흑연 (비닐상흑연) 100
3 4 판상흑연 (비닐상흑연) 50
흑요석 50
4 4 판상흑연 (비닐상흑연) 50
운모분 50
5 6 판상흑연 (비닐상흑연) 100
6 8 판상흑연 (비닐상흑연) 100
비 교 예 1 0 판상흑연 (비닐상흑연) 100 × × ×
2 12 판상흑연 (비닐상흑연) 100 ×
*1)열팽창성입자 배합비율(%)=열팽창성입자질량/(무기분체질량+무기섬유질량+유기섬유질량+열경화성수지질량+열팽창성입자질량)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형상이라도 세부에 걸쳐서 정밀도 좋게 부형이 이루어진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성형체를 주형으로서 사용할 경우의 상기 성형체의 제조에 특히 호적하며, 그것 이외에도 모서리부의 정점이 첨예한 용기, 도구, 부품 등의 각종의 성형체의 제조에 적용할 수도 있다.

Claims (6)

  1. 무기분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무기섬유, 유기섬유, 열경화성수지 및 열팽창성입자를 함유하는 성형체로서, 상기 열팽창성입자를, 상기 무기분체, 상기 무기섬유, 상기 유기섬유, 상기 열경화성수지 및 상기 열팽창성입자의 총질량에 대해, 0.5~10질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체, 상기 무기섬유, 상기 유기섬유 및 상기 열경화성수지가, 각각 흑연, 탄소섬유, 펄프섬유 및 페놀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가 주물제조용의 주형 또는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4. 제1항에 있어서, 두께가 0.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5. 제1항에 있어서, 1이상의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의 주연부에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6. 제1항 기재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무기분체, 상기 무기섬유, 상 기 유기섬유, 상기 열경화성수지 및 상기 열팽창성입자를 분산매에 분산시켜서 원료슬러리를 조제한 후, 상기 원료슬러리에서 습윤상태의 초조체를 초조하고, 상기 초조체를 성형몰드 내에서 가열해 상기 열팽창성입자를 팽창시키면서 건조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의 제조방법.
KR1020067023512A 2005-05-20 2006-05-17 성형체 KR101270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48746 2005-05-20
JPJP-P-2005-00148746 2005-05-20
JP2006135719A JP4675276B2 (ja) 2005-05-20 2006-05-15 成形体
JPJP-P-2006-00135719 2006-05-15
PCT/JP2006/309822 WO2006123695A1 (ja) 2005-05-20 2006-05-17 成形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258A true KR20080010258A (ko) 2008-01-30
KR101270523B1 KR101270523B1 (ko) 2013-06-04

Family

ID=3743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512A KR101270523B1 (ko) 2005-05-20 2006-05-17 성형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651592B2 (ko)
EP (1) EP1757383B1 (ko)
JP (1) JP4675276B2 (ko)
KR (1) KR101270523B1 (ko)
ES (1) ES2404702T3 (ko)
WO (1) WO20061236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786A (ko) * 2014-11-03 2017-07-03 쿠일리츠 홀딩 게엠베하 성형 절연부의 제조 방법, 이 방법에 의해 생성된 성형 절연부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성형 절연부를 제조하기 위한 주형 몰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5276B2 (ja) * 2005-05-20 2011-04-20 花王株式会社 成形体
JP5007214B2 (ja) 2006-12-12 2012-08-22 花王株式会社 溶湯異物除去用部品
JP5037112B2 (ja) * 2006-12-25 2012-09-26 花王株式会社 鋳物製造用構造体
JP4980811B2 (ja) * 2007-07-13 2012-07-18 花王株式会社 鋳型及び複合鋳型
JP5441402B2 (ja) * 2008-01-22 2014-03-12 花王株式会社 鋳物製造用構造体、鋳物製造用構造体用組成物、鋳物製造用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鋳物の製造方法
JP5441387B2 (ja) * 2008-10-14 2014-03-12 花王株式会社 鋳物製造用構造体の製造方法、鋳物製造用構造体、及び鋳物の製造方法
JP5419429B2 (ja) * 2008-11-20 2014-02-19 花王株式会社 鋳型用成形体、鋳型用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鋳物の製造方法
JP5368077B2 (ja) * 2008-12-22 2013-12-18 花王株式会社 鋳物製造用構造体の製造方法
JP5905288B2 (ja) * 2012-02-13 2016-04-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金型、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80092931A (ko) 2015-12-10 2018-08-20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 초조체, 난연성 초조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난연성 초조체의 제조 방법
JP2017181375A (ja) * 2016-03-31 2017-10-0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発泡体および発泡体の製造方法
US10378661B2 (en) 2016-11-08 2019-08-13 Mueller International, Llc Valve body with integral bypass
US10987724B2 (en) 2017-03-31 2021-04-27 Honda Motor Co., Ltd. Sand mold shaping material, and method for shaping sand mold using same
US10661332B2 (en) 2017-04-10 2020-05-26 Mueller International, Llc Monolithic bypass
JP6509416B1 (ja) 2017-11-20 2019-05-08 花王株式会社 鋳物製造用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8026A (en) * 1976-05-25 1978-05-01 Nisshin Stee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manupacture core for casting mould
JPS5868446A (ja) * 1981-10-20 1983-04-23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易崩壊性鋳型組成物
JPS60191630A (ja) * 1984-03-09 1985-09-30 Sintokogio Ltd 通気性耐久型の製造方法
JPH0696819B2 (ja) 1986-11-06 1994-11-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繊維質軽量成形体の製造方法
JPH04147742A (ja) * 1990-10-12 1992-05-21 Lignyte Co Ltd 鋳造用鋳型
JPH05353A (ja) * 1991-06-26 1993-01-08 Toho Rika Kogyo Kk 軽合金鋳造用鋳型の崩壊剤、コーテツドサンド組成物及び鋳型
JP3166763B2 (ja) 1991-10-31 2001-05-14 王子製紙株式会社 発泡体粒子混抄紙
JPH08192244A (ja) * 1995-01-18 1996-07-30 Naigai Ceramics Kk 鋳造用湯口・押湯系製品
JPH09253792A (ja) * 1996-03-25 1997-09-30 Nissan Motor Co Ltd 鋳造用紙中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05931A (ja) * 1996-06-24 1998-01-13 Nissan Motor Co Ltd 鋳造用中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201736A (ja) 2000-12-28 2002-07-19 Saitama Rubber Kogyo Kk 発泡耐火シート構造体
JP4039879B2 (ja) * 2001-04-06 2008-01-30 花王株式会社 フランジ付き抄造成形体の製造方法
US6994772B2 (en) 2001-07-31 2006-02-07 Ka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fiber formed body, fiber formed hollow body,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hollow fiber formed body
JP4002200B2 (ja) * 2002-03-13 2007-10-31 花王株式会社 鋳物製造用抄造部品
JP4219157B2 (ja) 2002-11-29 2009-02-04 花王株式会社 鋳物製造用の鋳型及び構造体
EP1679323A4 (en) * 2003-10-24 2009-12-02 Jsr Corp IONOMER, MANUFACTURING METHOD AND FORM BODY
JP4672289B2 (ja) * 2004-06-09 2011-04-20 花王株式会社 鋳物製造用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鋳物
JP4601531B2 (ja) * 2004-10-12 2010-12-22 花王株式会社 繊維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繊維成形中間体並びに繊維成形体
JP4675276B2 (ja) * 2005-05-20 2011-04-20 花王株式会社 成形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786A (ko) * 2014-11-03 2017-07-03 쿠일리츠 홀딩 게엠베하 성형 절연부의 제조 방법, 이 방법에 의해 생성된 성형 절연부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성형 절연부를 제조하기 위한 주형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51592B2 (en) 2010-01-26
ES2404702T3 (es) 2013-05-28
EP1757383A1 (en) 2007-02-28
KR101270523B1 (ko) 2013-06-04
EP1757383B1 (en) 2013-02-27
US20090308557A1 (en) 2009-12-17
US20080026093A1 (en) 2008-01-31
EP1757383A4 (en) 2008-10-15
JP2006346747A (ja) 2006-12-28
JP4675276B2 (ja) 2011-04-20
WO2006123695A1 (ja)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523B1 (ko) 성형체
KR100584637B1 (ko) 주물제조용 초조 부품
CN100551581C (zh) 成形体及其制造方法
EP2586545B1 (en) Structure for production of cast material
JP6682159B2 (ja) 鋳物製造用構造体の製造方法
KR20100102671A (ko) 주물 제조용 구조체
KR100888315B1 (ko) 섬유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장치, 섬유성형중간체 및섬유성형체
JP4869786B2 (ja) 鋳物製造用構造体
KR20090051144A (ko) 초조몰드 및 초조성형체
JP3995649B2 (ja) 鋳物製造用の鋳型又は構造体
JP4219157B2 (ja) 鋳物製造用の鋳型及び構造体
JP4980811B2 (ja) 鋳型及び複合鋳型
JP4907326B2 (ja) 鋳物製造用構造体及び鋳物の製造方法
JP4672289B2 (ja) 鋳物製造用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鋳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2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