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60095524A -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 Google Patents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524A
KR20060095524A KR1020060019456A KR20060019456A KR20060095524A KR 20060095524 A KR20060095524 A KR 20060095524A KR 1020060019456 A KR1020060019456 A KR 1020060019456A KR 20060019456 A KR20060019456 A KR 20060019456A KR 20060095524 A KR20060095524 A KR 20060095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ate
mobile station
serving cell
maximum allowabl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후미 우스다
아닐 우메시
다케히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60095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5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변경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이동 목적지의 서빙셀에서의 처리 리소스 부족에 의한 통신 품질의 현저한 열화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이동국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송 속도 제어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이동국에 대해서 서빙셀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공정과, 이동국이 지시를 취득한 후부터 이동국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까지의 동안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증가 지시에 따르지 않고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 무선 기지국, 이동국, 최대 허용 전송 속도,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Description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의 MAC-e 처리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에서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에서의 MAC-e 및 계층-1 처리부(업링크를 위한 구성)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에서의 MAC-e 및 계층-1 처리부(업링크를 위한 구성)의 MAC-e 기 능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차도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에서의 전송 속도를 제어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업링크 인핸스먼트가 적용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접속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환국 Node B : 무선 기지국 11 : HWY 인터페이스
12, 33 :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 123 : MAC-e 및 계층-1 처리부
123a : DPCCH RAKE부 123b : DPDCH RAKE부
123c : E-DPCCH RAKE부 123d : E-DPDCH RAKE부
123e : HS-DPCCH RAKE부 123g : TFCI 디코더부
123h, 123m : 버퍼 123i, 123n : 재-역확산부
123j, 123p : FEC 디코더부 123k : E-DPCCH 디코더부
123l : MAC-e 기능부 123l1 : 수신 처리 명령부
123l2 : HARQ 관리부 123l3 : 스케줄링부
123o : HARQ 버퍼 123q : MAC-hs 기능부
123r : 간섭전력 측정부 13, 56 : 호 제어부
14 : 송수신부 15 : 증폭부
16, 35 : 송수신 안테나 UE : 이동국
31 : 버스 인터페이스 32 : 호 처리부
33a : RLC 처리부 33b : MAC-d 처리부
33c ; MAC-e 처리부 33c1 : E-TFCI 선택부
33c2 : HARQ 처리부 33d : 계층-1 처리부
34 : RF부 RNC :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51 : 교환국 인터페이스 52 : RLC 계층 처리부
53 : MAC 계층 처리부 54 : 미디어 신호 처리부
55 : 무선 기지국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이동국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따라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이, 이동국(UE)으로부터 무선 기지국(Node B)으로 향하는 업링크에서, 무선 기지국(Node B)의 무선 리소스, 업링크에서의 간섭량, 이동국(UE)의 송신 전력, 이동국(UE)의 송신 처리 성능, 상위의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전송 속도 등을 고려하여, 개별 채널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이 결정한 개별 채널의 전송 속도를, 계층-3(Radio Resource Control Layer)의 메시지에 의해, 이동국(UE) 및 무선 기지국(Node B)의 각각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무선 기지국(Node B)의 상위에 위치하고, 무선 기지국(Node B)이나 이동국(UE)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은 음성 통신이나 TV 통신과 비교해서, 트래픽이 버스트적(burst)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채널의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많은 수의 무선 기지국(Node B)을 중앙에서 총괄하여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처리 부하나 처리 지연 등의 이유에 의해, 고속(예를 들면, 1~10Oms 정도) 채널의 전송 속도에 대한 변경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 채널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고 해도, 장치의 실장 비용이나 네트워크의 운용 비용이 크게 높아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수백 밀리초 내지 수 초(seconds) 정도의 채널 전송 속도로 변경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트적으로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속, 높은 지연, 및 낮은 전송 효율을 허용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신하든가, 또는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 가능한 상태의 무선 대역 리소스 및 무선 기지국(Node B)에서의 하드웨어 리소스가 낭비되는 것을 허용하여, 고속 통신용의 무선 리소스를 확보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신된다.
도 11에서, 세로축의 무선 리소스에는 상술한 무선 대역 리소스 및 하드웨어 리소스의 양쪽을 적용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국제 표준화 단체인 "3GPP" 및 "3GPP2"에서, 무선 리소스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무선 기지국(Node B)과 이동국(UE) 사이의 계층-1 및 MAC 하위 계층(계층-2)에서의 고속의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이 검토되어 왔다. 이하, 이러한 검토 및 검토된 기능을 총칭하여 "업링크 인핸스먼트(EUL: Enhanced Uplink)라고 한다.
종래부터, "업링크 인핸스먼트" 중에서 검토되어 왔던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첫 번째로, "Time & Rate Control"(시간 및 속도 제어)이라고 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에서는, 무선 기지국(Node B)이, 소정의 타이밍마다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을 허가하는 이동국(UE) 및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이동국 ID와 함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또는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그리고, 무선 기지국(Node B)에 의해 지정된 이동국(UE)은 지정된 타이밍 및 전송 속도(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범위 내)로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한다.
두 번째로, "Rate Control per UE"(이동국에 대한 속도 제어)라고 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에서는, 각 이동국(UE)이 무선 기지국(Node B)에 송신해야 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이러한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해당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대해서는, 송신 프레임마다 또는 복수 개의 송신 프레임마다, 무선 기지국(Node B)에 의해 결정되어 각 이동국(UE)에 통지된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무선 기지국(Node B)은, 해당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지할 때에, 그 타이밍에서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 그 자체 또는 해당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상대값[예를 들면, 업(Up) 커맨드(증가 지시)/다운(Down) 커맨드(감소 지시)의 2개 값]을 통지한다.
세 번째로, "Rate Control per Cell"(셀에 대한 속도 제어)이라고 하는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에서는, 무선 기지국(Node B)이 통신 중인 이동국(UE)에 공통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 또는 해당 전송 속도를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보고하고, 각 이동국이 이 수신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결정한다.
"Time & Rate Control" 및 "Rate Control per UE"는, 이상적으로는 업링크에서의 무선 용량을 개선시키기 위한 가장 양호한 제어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이동국(UE)의 버퍼에 체류하고 있는 데이터량이나 이동국(UE)에서의 송신 전력 등을 파악한 후에,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할당할 필요가 있으므로, 무선 기지국(Node B)에 의한 제어 부하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들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에서는, 제어 신호의 교환에 의한 오버헤드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Rate Control per Cell"은, 무선 기지국(Node B)이 셀에 공통인 정보를 통지하고, 각 이동국(UE)이 수신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자율적으로 구하기 때문에, 무선 기지국(Node B)에 의한 제어 부하가 작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무선 기지국(Node B)은, 어느 이동국(UE)에서 업링크에서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해도 그것을 수신할 수 있어야 하므로, 업링크에서의 무선 용량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기지국(Node B)의 장치 규모가 커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3GPP TSG-RAN R1-040773)에 나타낸 바와 같 이, 이동국(UE)이 미리 통지된 초기 전송 속도로부터 소정의 규칙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무선 기지국(Node B)에 의한 과도한 무선 용량의 할당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무선 기지국(Node B)의 장치 규모의 증대를 방지하는 방식(자동 램핑법: Autonomous ramping)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무선 기지국(Node B)이 각 셀에서의 하드웨어 리소스 또는 무선 리소스(예컨대,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에 기초하여, 최대 허용 전송 속도(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관한 파라미터, 이하 마찬가지임)를 결정하고, 통신 중인 이동국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한다. 이하, 하드웨어 리소스에 기초한 제어 방식 및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에 기초한 제어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드웨어 리소스에 기초한 제어 방식에서는, 무선 기지국(Node B)이, 관할하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Node B)은, 관할하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높아지고, 하드웨어 리소스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낮게 설정하여, 하드웨어 리소스가 부족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무선 기지국(Node B)은, 관할하는 셀에 접속하고 있는 이동국(UE)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종료한 경우 등과 같이 하드웨어 리소스에 여유가 생긴 경우에, 다시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높게 설정한다.
또,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에 기초한 제어 방식에서는, 무선 기지국(Node B)이, 관할하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Node B)은 관할하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높아지고, 업링크에서의 측정 간섭량[예를 들면, 노이즈 라이즈(noise rise)]이 허용값(예를 들면, 최대 허용 노이즈 라이즈)을 초과한 경우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낮게 설정하고,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이 허용값 내에 포함되도록 하고 있다(도 12 참조).
한편, 무선 기지국(Node B)은, 관할하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종료한 경우 등과 같이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예를 들면, 노이즈 라이즈)이 허용값(예를 들면, 최대 허용 노이즈 라이즈) 내에 포함되어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높게 설정한다(도 12 참조).
업링크 인핸스먼트에서는, 서빙셀(또는 서빙셀 세트)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도 13에, 업링크 인핸스먼트가 적용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의 접속 형태의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업링크 인핸스먼트에서는, HARQ 처리나 스케줄링 처리를 적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을 "인핸스드 개별 물리 채널(E-DP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Channel)"로 하고,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을 "인핸스드 개별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이라고 하며, 업링크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을 "인핸스드 개별 물 리 제어 채널(E-DPC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이라고 한다.
또,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인핸스드 개별 물리 채널(E-DPCH)뿐만 아니라, 종래의 개별 물리 채널(DPCH: Dedicated Physical Channel)도 송신된다. 개별 물리 채널(DPCH)에는, 코어 네트워크와 이동국(UE) 사이의 계층-3 제어 정보(계층-3 메시지)가 전송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또,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기지국 NodeB #2에서의 셀 #1이,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이것의 절대값)를 전송하기 위한 절대 속도 제어 채널(E-AGCH: E-DCH Absolute rate Grant Channel)을, 이동국(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국(UE)은 항상 1개의 셀로부터 송신되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E-AGCH)만을 수신하고 있다. 여기서, 이동국(UE)이 수신해야 하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E-ACCH)을 송신하는 셀을 이동국(UE)의 "서빙셀"(serving cell)이라고 하고, 서빙셀과 같은 무선 기지국 Node B #2에 속하는 셀(예를 들면, 셀 #2)을 해당 이동국(UE)의 "서빙셀 세트"라고 한다.
서빙셀에 의해, 이동국(UE)에서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제어되므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통상적으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에서의 전계 강도가 제일 강한 셀이 서빙셀이 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이동국(UE)의 서빙셀이 변경되는 것을 "서빙셀 변경"이라고 한다.
또,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서빙셀(셀 #1) 및 해당 서빙셀과 다른 무선 기지국 Node B #1에 속하는 비-서빙셀(예를 들면, 셀 #6)이,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상대값을 전송하기 위한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 E-DCH Relative rate Grant Channel)을 이동국(UE)에 대해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서빙셀로부터 송신되는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에 의해 전송 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상대값은 업(Up) 커맨드(증가 지시)/다운(Down) 커맨드(감소 지시)/"홀드(Hold) 커맨드"(유지 지시)의 3개의 값이며, 비-서빙셀로부터 송신되는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에 의해 전송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상대값은 "홀드(Hold) 커맨드" 또는 "다운(Down) 커맨드"의 2개의 값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서빙셀 변경(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에, 서빙셀로부터의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에 포함되는 "업(Up) 커맨드"(증가 지시)에 의해,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가 증가한 경우, 서빙셀 변경 목적지의 셀에 대한 처리 리소스가 부족하게 되어,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셀 변경을 하는 경우에도, 이동 목적지의 서빙셀에서의 처리 리소스 부족에 의한 통신 품질의 현저한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이동국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이동국에 대해서, 이동국의 서빙셀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공정; 및 이동국이, 서빙셀 변경 지시를 취득한 후부터 이동국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까지의 동안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증가 지시에 따르지 않고,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계층-3 메시지를 사용하여, 이동국에 대해서,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지하는 공정; 이동국이, 서빙셀 변경 지시를 취득하여, 서빙셀의 변경 처리를 완료할 때까지,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공정; 이동국이, 이 이동국의 서빙셀 변경 처리가 완료된 경우, 변경 후에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따른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제어를 재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이동국에 대해서, 이동국의 서빙셀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동시에, 이동국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을 통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이동국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의해, 이동국 의 서빙셀을 변경하도록 지시받은 후부터 이동국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까지의 동안에, 이동국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증가 지시에 따르지 않고,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에서, 서빙셀 변경 지시를 취득한 후부터 서빙셀의 변경 처리를 완료할 때까지의 동안에, 계층-3 메시지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동국의 서빙셀의 변경 처리가 완료된 경우, 이동국이 변경 후에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증가 지시에 따른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제어를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에서, 최대 허용 전송 속도 제어부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부터, 이동국의 서빙셀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동시에, 이동국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을 수신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은, 이동국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에서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서, 이동국에 대해서, 계층-3 메시지를 사용하여,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무선 기지국(Node B #1~#5)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국(UE)에 의해 업링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최대 허용 전송 속도까지 자동으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에서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가 사용되고, 업링크에서는 "EUL"(Enhanced Uplink: 업링크 인핸스먼트)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HSDPA" 및 "EUL"에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하이브리드 재전송)에 의한 재-송신 제어[N 프로세스 스톱 앤드 웨이트(N process stop and wait)]가 수행된다.
따라서, 업링크에서는, "인핸스드 개별 물리 데이터 채널"(E-DP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및 "인핸스드 개별 물리 제어 채널"(E-DP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로 구성되는 인핸스드 개별 물리 채널(E-DPCH: Enhance Dedicatd Physical Channel)과, 개별 물리 데이터 채널(DPDCH: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및 개별 물리 제어 채널(DPCCH: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로 구성되는 개별 물리 채널(DPCH: Dedicated Physical Channel)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인핸스드 개별 물리 제어 채널(E-DPCCH)은 E-DPDCH의 송신 포맷(송신 블록 사이즈 등)을 규정하기 위한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재송신 횟수 등), 또는 스케줄링에 관한 정보[이동국(UE)에서의 송신 전력이나 버퍼 체류량 등] 등의 EUL용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 인핸스드 개별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은 인핸스드 개별 물리 제어 채널(E-DPCCH)에 매핑되고, 해당 인핸스드 개별 물리 제어 채널(E-DPCCH)로 송신 되는 EUL용 제어 데이터에 따라, 이동국(UE)용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다.
개별 물리 제어 채널(DPCCH)은 레이크(RAKE) 합성이나 SIR 측정 등에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 업링크 개별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의 송신 포맷을 식별하기 위한 TFCI(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또는 다운링크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등의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 개별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은 개별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매핑되고, 해당 개별 물리 제어 채널(DPCCH)로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국(UE)용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만, 이동국(UE)에서 송신해야 할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별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은 송신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업링크에서는, HSPDA가 적용되는 경우에 필요한 고속 개별 물리 제어 채널(HS-DPCCH: High 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도 이용되고 있다.
고속 개별 물리 제어 채널(HS-DPCCH)은, 다운링크에서 측정된 채널 품질 식 별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나, HSDPA용 송달 확인 신호(Ack 또는 Nack)를 송신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UE)은 버스 인터페이스(31), 호 처리부(32), 기저대역 처리부(33), RF부(34), 및 송수신 안테나(35)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를 일체로 해도 되며, 소프트웨어의 프로세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버스 인터페이스(31)는 호 처리부(32)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데이터를 다른 기능부(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관련 기능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스 인터페이스(31)는 다른 기능부(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관련 기능부)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를 호 처리부(32)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호 처리부(32)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호 제어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는 RF부(34)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또는 FEC 복호 처리를 포함하는 계층-1 처리 및 MAC-e 처리나 MAC-d 처리를 포함하는 MAC 처리와, RLC 처리를 수행하여 취득한 사용자 데이터를 호 처리부(3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는 호 처리부(3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서 RLC 처리, MAC 처리, 또는 계층-1 처리를 실시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생 성하고, 이를 RF부(3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F부(34)는 송수신 안테나(35)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하여, 검파 처리, 필터링 처리, 또는 양자화 처리 등을 실시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RF부(34)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는 RLC 처리부(33a), MAC-d 처리부(33b), MAC-e 처리부(33c), 및 계층-1 처리부(33d)를 구비하고 있다.
RLC 처리부(33a)는 호 처리부(3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서, 계층-2의 상위 계층에서의 처리(RLC 처리)를 실시하여, MAC-d 처리부(33b)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d 처리부(33b)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가 송신된 논리 채널에 따라 채널 식별자 헤더를 부여함으로써, 업링크에서의 송신 포맷을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e 처리부(33c)는 E-TFC 선택부(33c1)와 HARQ 처리부(33c2)를 구비하고 있다.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송신된 스케줄링 신호에 따라, 인핸스드 개별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의 송신 포맷(E-TFC)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E-TFC 선택부(33c1)는 결정한 송신 포맷에 대한 송신 포맷 정보[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나, 인핸스드 개별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과 개별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송신 전력비 등]를 계층-1 처리부(33d)에 송신하는 동시에, 결정한 송신 포맷 정보를 HARQ 처리부(33c2)에 송신한다.
여기서, 스케줄링 신호는 해당 이동국(UE)에서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예를 들면, 최대 허용 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나 인핸스드 개별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과 개별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송신 전력비의 최대값(최대 허용 송신 전력비) 등] 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관한 파라미터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스케줄링 신호는 해당 이동국(UE)이 재권(在圈)하는(통신 가능 범위 내에 있는) 셀에서 통지되는 정보이며, 해당 셀에 재권하고 있는 모든 이동국 또는 해당 셀에 재권하고 있는 특정 그룹의 이동국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스케줄링 신호에 의해 통지된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스케줄링 신호에 의해 통지된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스케줄 신호에 의해 통지된 최대 허용 전송 속도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E-TFC 선택부(33c1)는 서빙셀로부터 송신된 절대 속도 제어 채널(E-AGCH)에 포함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절대값이나, 서빙셀 및 비-서빙셀로부터 송신된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에 포함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상대값에 기초하여, 전술한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의해, 이동국의 서빙셀을 변경하도록(즉, 서빙셀 변경을 수행하도록) 지시된 경우, 이동국(UE)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까지의 동안에, 이동국(UE)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에 포함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상대값인 "업(Up) 커맨드"(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증가 지시)에 따르지 않고, 전술한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의 지시와 함께, 전술한 이동국(UE)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E-TFC 선택부(33c1)는 서빙셀의 변경 중에[즉,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의 지시를 취득하여 서빙셀의 변경 처리를 완료할 때까지], 계층-3 메시지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통지된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E-TFC 선택부(33c1)는 서빙셀 변경 중, 계층-3 메시지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통지된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까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E-TFC 선택부(33c1)는 서빙셀 변경 중, 계층-3 메시지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통지된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후, E-TFC 선택부(33c1)는 이동국(UE)의 서빙셀의 변경 처리(서빙셀 변경)가 완료한 경우, 이동국(UE)이 변경 후에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E-AGCH)에 포함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절대값에 따른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제어를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E-TFC 선택부(33c1)는 서빙셀 변경 중에 이동국(UE)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에 포함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상대값인 "다운(Down) 커맨드"(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감소 지시), 해당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E-AGCH)에 포함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절대값, 이동국(UE)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비-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에 포함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상대값인 "홀드(Hold) 커맨드"/"다운(Down) 커맨드"(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유지 또는 감소 지시)에는 따라서, 전술한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HARQ 처리부(33c2)는 "N 프로세스의 스톱 앤드 웨이트"의 프로세스 관리를 수행하고,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수신되는 송달 확인 신호(업링크 데이터용의 Ack/Nack)에 따라, 업링크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HARQ 처리부(33c2)는 무선 기지국(Node B)에 의해 송신되어야 하는 송달 확인 신호(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용의 Ack/Nack)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 처리가 성공한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그래서, HARQ 처리부(33c2)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송신되고 HARQ 프로세스로 수신된 송달 확인 신호가 Ack인 경우(즉,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한 경우), HARQ 프로세스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송신하고,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송신되고, HARQ 프로세스로 수신된 송달 확인 신호가 Nack인 경우(즉,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 HARQ 프로세스에서의 데이터를 재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기지국(Node B)은 HWY 인터페이스(11),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 호 제어부(13), 1개 또는 복수 개의 송수신부(14), 1개 또는 복수 개의 증폭부(15), 및 1개 또는 복수 개의 송수신 안테나(16)를 구비한다.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과의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다운링크를 통하여 이동국(UE)에 송신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 국(RNC)으로부터 무선 기지국(Node B)에 제공되는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호 제어부(13)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HWY 인터페이스(11)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업링크를 통하여 이동국(UE)으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취득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호 제어부(13)로부터 취득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는 HWY 인터페이스(11)로부터 취득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서, MAC-e 처리나 계층-1 처리를 실시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송수신부(14)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다운링크에서의 MAC-e 처리에는 HARQ 처리, 스케줄링 처리, 또는 전송 속도 제어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 다운링크에서의 계층-1 처리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채널 부호화 처리, 확산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는 송수신부(14)로부터 취득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계층-1 처리나 MAC-e 처리를 실시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HWY 인터페이스(11)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업링크에서의 MAC-e처리에는 HARQ 처리, 스케줄링 처리, 전송 속도 제어 처리, 헤더 폐기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한, 업링크에서의 계층-1 처리에는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에러 정정 복호 처리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호 제어부(13)는 HWY 인터페이스(11)로부터 취득한 제어 데이터에 따라 호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송수신부(14)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취득한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다운링크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시하여 증폭부(15)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송수신부(14)는 증폭부(15)로부터 취득한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업링크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시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폭부(15)는 송수신부(14)로부터 취득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16)를 통하여 이동국(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증폭부(15)는 송수신 안테나(16)에 의해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송수신부(1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는 MAC-e 및 계층-1 처리부(123)을 구비하고 있다.
MAC-e 및 계층-1 처리부(123)는 송수신부(14)로부터 취득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에러 정정 복호 처리, HARQ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이들 기능은 하드웨어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e 및 계층-1 처리부(업링크용 구성)(123)는 DPCCH RAKE부(123a), DPDCH RAKE부(123b), E-DPCCH RAKE부(123c), E-DPDCH RAKE부 (123d), HS-DPCCH RAKE부(123e), TFCI 디코더부(123g), 버퍼(123h, 123m), 재-역확산부(123i, 123n), FEC 디코더부(123j, 123p), E-DPCCH 디코더부(123k), MAC-e 기능부(123l), HARQ 버퍼(123o), MAC-hs 기능부(123q), 및 간섭전력 측정부(123r)를 구비하고 있다.
E-DPCCH RAKE부(123c)는 송수신부(14)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 내의 인핸스드 개별 물리 제어 채널(E-DPCCH)에 대해서, 역확산 처리와, 개별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되는 파일롯 심볼을 사용한 레이크(RAKE) 합성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DPCCH 디코더부(123k)는 E-DPCCH RAKE부(123c)의 레이크(RAKE) 합성 출력에 대해서 복호 처리를 실시하여,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 스케줄링 관련 정보 등을 취득하여 MAC-e 기능부(123l)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DPDCH RAKE부(123d)는 송수신부(14)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 내의 인핸스드 개별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에 대하여,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코드 수)를 사용한 역확산 처리와, 개별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럿 심볼을 사용한 레이크(RAKE) 합성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퍼(123m)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심볼 수)에 따라, E-DPDCH RAKE부(123d)의 레이크(RAKE) 합성 출력을 축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재-역확산부(123n)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확산 율)에 따라, 버퍼(123m)에 축적되어 있는 E-DPDCH RAKE부(123d)의 레이크(RAKE) 합성 출력에 대해서, 역확산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HARQ 버퍼(123o)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에 따라, 재-역확산부(123n)의 역확산 처리 출력을 축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FEC 디코더부(123p)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에 따라, HARQ 버퍼(123o)에 축적되어 있는 재-역확산부(123n)의 역확산 처리 출력에 대해서, 에러 정정 복호 처리(FEC 복호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간섭 전력 측정부(123r)는, 업링크에서의 간섭량(노이즈 라이즈), 예를 들면 자기 셀을 서빙 셀(serving cell)로 하는 이동국에 의한 간섭 전력이나, 전체의 간섭 전력 등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노이즈 라이즈(noise rise)는 소정 주파수 내의 소정 채널에서의 간섭 전력과 해당 소정 주파수 내의 잡음 전력(열잡음 전력이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외부로부터의 잡음 전력)의 비[노이즈 플로어(noise floor)로부터의 수신 신호 레벨]이다. 즉, 노이즈 라이즈는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의 수신 레벨이 통신을 행하지 않는 상태의 수신 레벨(노이즈 플로어)에 대해서 가지는 수신 간섭 전력의 오프셋이다.
MAC-e 기능부(123l)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취득한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 스케줄링 관련 정보 등에 기초하여, 송신 포맷 정보(코드 수, 심볼 수, 확산율, 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 등)를 산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MAC-e 기능부(123l)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처리 명령부(123l1), HARQ 관리부(123l2), 및 스케줄링부(123l3)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입력된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 또는 스케줄링 관련 정보를, HARQ 관리부(123l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입력된 스케줄링 관련 정보를, 스케줄링부(123l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입력된 송신 포맷 번호에 대응하는 송신 포맷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HARQ 관리부(123l2)는 FEC 디코더부(123p)로부터 입력된 CRC 결과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 처리가 성공하였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그리고, HARQ 관리부(123l2)는 이러한 판정 결과에 따라 송달 확인 신호(Ack 또는 Nack)를 생성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의 다운링크용 구성에 송신한다. 또, HARQ 관리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가 OK(수신 처리가 성공적)인 경우, FEC 디코더부(123p)로부터 입력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한다.
또, HARQ 관리부(123l2)는 상기 판정 결과가 OK(수신 처리가 성공적)인 경우에는, HARQ 버퍼(123o)에 축적되어 있는 판정 정보를 클리어한다. 한편, HARQ 관리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가 NG(수신 처리가 성공적이 아닌)인 경우에는, HARQ 버퍼(123o)에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축적한다.
또, HARQ 관리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를 수신 처리 명령부(123l1)에 전송하고, 수신한 판정 결과에 따라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다음 TTI에 구비되어야 하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E-DPDCH RAKE부(123d) 및 버퍼(123m)에 통지하고, HARQ 버퍼(123o)에서의 리소스 확보를 위한 통지를 행한다.
또,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버퍼(123m) 및 FEC 디코더부(123p)에 대하여, TTI마다, 버퍼(123m)에 축적되어 있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HARQ 버퍼(123o)에 축적되어 있는 해당 TTI에, 해당하는 프로세스에서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와 새롭게 수신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가산한 후에, FEC 복호 처리를 행하도록 HARQ 버퍼(123o) 및 FEC 디코더부(123p)에 지시한다.
또한, 스케줄링부(123l3)는 무선 기지국(Node B)의 업링크에서의 무선 리소스, 업링크에서의 간섭량(노이즈 라이즈) 등에 기초하여, 최대 허용 전송 속도(최대 허용 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나 최대 허용 송신 전력비 등)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신호를 통지하도록,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의 다운링크용 구성에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스케줄링부(123l3)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송신된 스케줄링 관련 정보(업링크에서의 무선 리소스)에 따라,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통신 중인 이동국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하드웨어 리소스에 기초한 제어 방식 및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에 기초한 제어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드웨어 리소스에 기초한 제어 방식에서, 스케줄링부(123l3)는 관할하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 대해서, 절대 속도 할당 채널(E-AGCH)에 의해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케줄링부(123l3)는 관할하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높아지고, 하드웨어 리소스가 부족하게 된 경우에,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낮게 설정하여, 하드웨어 리소스가 부족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스케줄링부(123l3)는 관할하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종료한 경우 등과 같이 하드웨어 리소스에 여유가 생긴 경우에는, 다시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높게 설정한다.
또,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에 기초한 제어 방식에서, 스케줄링부(123l3)는 관할하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 대해서, 절대 속도 할당 채널(E-AGCH)에 의해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케줄링부(123l3)는 관할하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높게 되고,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예를 들면, 노이즈 라이즈)이 허용값(예를 들면, 최대 허용 노이즈 라이즈)을 초과한 경우에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낮게 설정하고,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이 허용값 내에 포함되도록 하고 있다(도 12 참조).
한편, 스케줄링부(123l3)는 관할하는 셀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국(UE)에서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이 종료한 경우 등과 같이 업링크에서의 간섭량(예를 들면, 노이즈 라이즈)이 허용값(예를 들면, 최대 허용 노이즈 라이즈) 내에 포함되어 여유 가 있는 경우에는, 다시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높게 설정한다(도 12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무선 기지국(Node B)의 상위에 위치하는 장치이며, 무선 기지국(Node B)과 이동국(UE)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교환국 인터페이스(51), RLC 계층 처리부(52), MAC 계층 처리부(53), 미디어 신호 처리부(54), 무선 기지국 인터페이스(55), 및 호 제어부(56)를 구비하고 있다.
교환국 인터페이스(51)는 교환국(1)과의 인터페이스이다. 교환국 인터페이스(51)는 교환국(1)으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RLC 계층 처리부(52)에 전송하고, RLC 계층 처리부(52)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를 교환국(1)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RLC 계층 처리부(52)는 순차 번호 등의 헤더 또는 트레일러의 합성 처리 등의 RLC(Radio Link Control: 무선 링크 제어) 하위 계층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RLC 계층 처리부(52)는 RLC 하위 계층 처리를 실시한 후, 업링크 신호에 대하여는 교환국 인터페이스(5l)에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서는 MAC 계층 처리부(5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 계층 처리부(53)는 우선 제어 처리나 헤더 부여 처리 등의 MAC 계층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 계층 처리부(53)는 MAC 계층 처리를 실시한 후, 업링크 신호에 대하여는 RLC 계층 처리부(52)에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에 대하여는 기지국 인터페이스(55)[또는 미디어 신호 처리부(5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 어 있다.
미디어 신호 처리부(54)는 음성 신호나 실시간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미디어 신호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디어 신호 처리부(54)는 미디어 신호 처리를 실시한 후, 업링크 신호에 대하여는 MAC 계층 처리부(53)에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서는 기지국 인터페이스(55)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 인터페이스(55)는 무선 기지국(Node B)과의 인터페이스이다. 기지국 인터페이스(55)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를 MAC 계층 처리부(53)[또는 미디어 신호 처리부(54)]에 전송하고, MAC 계층 처리부(53)[또는 미디어 신호 처리부(54)]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무선 기지국(Node B)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호 제어부(56)는, 호 수락 제어 처리나 핸드오버 처리 등의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무선 자원 제어 처리나, 계층-3 시그널링에 의한 채널의 설정 및 개방 처리 등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호 제어부(56)는 이동국(UE)으로부터의 측정 보고나 무선 기지국(NodeB)으로부터의 측정 보고 등에 따라서, 셀 변경을 행할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판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호 제어부(56)는 셀 변경을 행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해당하는 이동국(UE)에 대해서, 해당 이동국의 서빙셀을 변경하도록 지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호 제어부(56)는 이동국(UE)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을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호 제어부(56)는 해당 셀 변경에서의 이동국에서의 셀의 리소스 할당 상 태나, 업링크에서의 스루풋(throughput) 등에 기초하여, 셀 변경을 행하는 이동국(UE)에 대해서, 계층-3 메시지를 사용하여,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UE)에서 셀 변경을 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이동국(UE)의 서빙셀이, 무선 기지국(Node B) #1의 제어하에 있는 셀로부터 무선 기지국(Node B) #2의 제어하에 있는 셀로 변경되는 경우의 셀 변경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S1001에서, 이동국(UE)은, 무선 기지국(Node B) #1에 접속되어, 사용자 데이터 채널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여기서, 이동국(UE)은, 이 이동국(UE)의 서빙셀로부터 송신된 절대 속도 제어 채널(E-AGCH)에 의해 통지되는 최대 전송 속도의 절대값과 이동국(UE)의 서빙셀로부터 송신된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에 의해 통지되는 최대 전송 속도의 상대값과, 이동국(UE)의 비-서빙셀로부터 송신된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에 의해 통지되는 최대 전송 속도의 상대값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동국(UE)의 서빙셀은, 해당 서빙셀에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UE)에 대해서, 공통의 절대 속도 제어 채널(E-AGCH)을 송신하고 있어도 되고, 해당 서빙셀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UE)에 대해서 별개의 절대 속도 제어 채널(E-AGCH)을 송신하고 있어도 된다.
또, 이동국(UE)의 서빙셀 및 비-서빙셀은, 해당 서빙셀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UE)에 대해서, 별개의 상대 속도 제어 채널(E-RGCH)을 송신하고 있어도 된다.
스텝 S1002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이, 셀 변경을 개시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이동국(UE)의 서빙셀을 변경하기 위한 준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접속 변경 준비 요구를 무선 기지국(Node B ) #1에 송신하고, 스텝 S1003에서, 무선 기지국(Node B) #1이 해당 접속 변경 준비 요구에 대응하는 준비를 수행하고, 이러한 준비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취지를 통지하는 접속 변경 준비 응답을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한다.
스텝 Sl004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이, 이동국(UE)의 서빙셀을 변경하기 위한 준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접속 변경 준비 요구를 무선 기지국(Node B) #2에 송신하고, 스텝 S1005에서, 무선 기지국(Node B) #2가 해당 접속 변경 준비 요구에 대응하는 준비를 수행하고, 이러한 준비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취지를 통지하는 접속 변경 준비 응답을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스텝 S1006에서, 무선 기지국(Node B) #1에 대해서, 이동국(UE)과 해당 무선 기지국(Node B) #1 사이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접속 해제 요구를 송신하고, 스텝 S1007 및 S1008에서, 무선 기지국(Node B) #2 및 이동국(UE)에 대해서, 각각 이동국(UE)와 해당 무선 기지국(Node B) #2 사이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접속 설정 요구를 송신한다.
여기서, 이동국(UE)은 전술한 접속 설정 요구를 수신한 후부터 이동국(UE)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까지의 동안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의 상대 속 도 제어 채널(RGCH)에 포함되는 "업(Up) 커맨드"에 따르지 않고,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제어한다.
그 사이, 이동국(UE)은 계층-3 메시지를 사용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통지된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전술한 접속 설정 요구에 의해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이동국에 통지해도 되고, 전술한 접속 설정 요구와 별개로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이동국에 통지해도 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스텝 S1009에서, 해당 셀 변경에서의 이동 목적지의 서빙셀을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Node B) #2로부터, 업링크 동기 확립 응답을 수신하고, 스텝 S1010에서, 해당 셀 변경을 행하는 이동국(UE)으로부터, 다운링크 동기 확립 응답을 수신한다.
스텝 S1011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이동국(UE)에 대해서, 해당 셀 변경의 완료를 통지하기 위한 셀 완료 통지(계층-3 메시지)를 송신한다.
스텝 Sl012에서, 이동국(UE)과 무선 기지국(Node B) #2 사이에 설정된 사용자 데이터 채널에 의한 통신이 개시된다. 이 후, 이동국(UE)은 이동 목적지의 서빙셀로부터 송신되는 절대 속도 제어 채널(E-AGCH)에 포함되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증가 지시(업(Up) 커맨드)에 따른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제어를 재개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셀 변경을 하는 경우라도, 이동 목적지의 서빙셀에서의 처리 리소스 부족에 의한 통신 품질의 현저한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이동국(UE)이 접속 설정 요구를 수신하고 나서 셀 변경 완료 통지를 수신하기까지의 동안에도,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계층-3 메시지를 사용하여 통지된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범위 내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셀 변경 전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감소를 완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셀 변경이 행해지는 경우라도, 이동 목적지의 서빙 셀에서의 처리 리소스 부족에 의한 통신 품질의 현저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이동국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상기 이동국에 대해서, 상기 이동국의 서빙셀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공정; 및
    상기 이동국이, 상기 서빙셀 변경 지시를 취득한 후부터 상기 이동국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까지의 동안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증가 지시에 따르지 않고, 상기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계층-3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대해서,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지하는 공정;
    상기 이동국이, 상기 서빙셀 변경 지시를 취득한 후부터 상기 서빙셀의 변경 처리를 완료할 때까지, 상기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상기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공정;
    상기 이동국이, 상기 이동국의 서빙셀 변경 처리가 완료된 경우, 변경 후에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따른 상기 업링 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제어를 재개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상기 이동국에 대해서, 상기 이동국의 서빙셀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국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
  4.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이동국으로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의해, 상기 이동국의 서빙셀을 변경하도록 지시받은 후부터 상기 이동국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까지의 동안에, 상기 이동국이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증가 지시에 따르지 않고, 상기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셀 변경 지시를 취득한 후부터 상기 서빙셀의 변경 처리를 완료할 때까지의 동안에, 계층-3 메시지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된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사 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국의 서빙셀의 변경 처리가 완료된 경우, 변경 후에 접속되어 있는 서빙셀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최대 허용 전송 속도의 증가 지시에 따른 상기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의 제어를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속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허용 전송 속도 제어부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의 서빙셀을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국의 서빙셀의 변경 타이밍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 이동국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최대 허용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제어하는 전송 속도 제어 방법에서 사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서,
    상기 이동국에 대해서, 계층-3 메시지를 사용하여, 서빙셀의 변경 처리 중의 최대 허용 전송 속도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최대 허용 전송 속도 통지부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20060019456A 2005-02-28 2006-02-28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200600955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54956 2005-02-28
JP2005054956 2005-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524A true KR20060095524A (ko) 2006-08-31

Family

ID=3635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456A KR20060095524A (ko) 2005-02-28 2006-02-28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07814A1 (ko)
EP (1) EP1696615A1 (ko)
KR (1) KR20060095524A (ko)
CN (1) CN18293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25684B (en) * 2005-04-28 2008-04-02 Siemens Ag A method of controlling noise rise in a cell
US8351453B2 (en) * 2007-12-21 2013-01-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to allocate shared resources of a high speed packet access channel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724611B2 (en) * 2008-03-07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Authorizing transmission of resource utilization messages
US8781508B1 (en) * 2008-11-25 2014-07-15 Brytelight Enterprises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a remote computing device and a central business unit
US8594657B2 (en) 2010-06-15 2013-11-26 Htc Corporation Method for reporting MDT log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20676A1 (en) * 2002-04-05 2003-10-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Node b and rnc actions during a serving hsdpa cell change
CN1672453A (zh) * 2002-07-31 2005-09-21 北方电讯网络有限公司 用于无线电信网络的自适应双模反向链路调度方法
US20050220052A1 (en) * 2002-12-27 2005-10-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7551584B2 (en) * 2003-03-06 2009-06-2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verse-link data transmission rate
US7126928B2 (en) * 2003-08-05 2006-10-24 Qualcomm Incorporated Grant, acknowledgement, and rate control active s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29387A (zh) 2006-09-06
US20070207814A1 (en) 2007-09-06
EP1696615A1 (en)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514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네트워크 제어국
KR100913515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네트워크 제어국
KR100937370B1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20060095523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884322B1 (ko)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제어국
KR100913516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788856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20070117668A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953581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788028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913517B1 (ko) 무선 리소스 관리 방법,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제어국
KR100953582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100739521B1 (ko) 무선 리소스 관리 방법,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및 무선기지국
KR100951603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1044031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1085412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20060095524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945823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20070110913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982767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100895059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JP4105196B2 (ja)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JP2006270941A (ja) 伝送速度制御方法、移動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6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