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106514A - 복실용기 - Google Patents

복실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6514A
KR20050106514A KR1020057016824A KR20057016824A KR20050106514A KR 20050106514 A KR20050106514 A KR 20050106514A KR 1020057016824 A KR1020057016824 A KR 1020057016824A KR 20057016824 A KR20057016824 A KR 20057016824A KR 20050106514 A KR20050106514 A KR 20050106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yclic polyolefin
resin
sealing
glass tran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9600B1 (ko
Inventor
도요아키 스즈키
고이치 미우라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60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0Interconnection of layers at least one layer having inter-reactiv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55Elemental metal containing [e.g., substrate, foil, film, coating, etc.]
    • Y10T428/1359Three or more layers [continuous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Wrapper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일면에 가지는 하나의 시트와,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일면에 가지는 다른 시트를, 히트실링층을 대향시켜서 겹치고 둘레 가장자리부를 실링하는 동시에, 대향하는 히트실링층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 내벽면의 일부를 용기 외부로부터 열압착해서 설치한 약 실링부에 의해 용기 내부를 복실로 구획하는 복실용기로서, 상기 내벽면을 형성하는 2개의 히트실링층의 모두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을 수지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Description

복실용기{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
본 발명은, 약(弱) 실링부(격리부)에 의해 서로 격리해서 수용된 복수의 내용물을 사용시에는 격리부를 파괴함으로써 내용물을 밀봉 상태에서 혼합하는 것이 가능한 복실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용물의 성분이 용기 내벽에 흡착하는 것 같은 내용물과 용기 내벽과의 상호작용이 가급적 저감되고, 또한 용기에 사용되고 있는 올레핀 수지, 인쇄잉크, 접착제 등으로부터의 저분자량 성분의 내용물에의 용출이 가급적 저감되고, 더군다나 양호한 내열성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특히 의료용으로서 적합한 복실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료분야에서는 복수의 약제성분을 분리 수납한 용기를 이용하여 보존·유통시키고 투여하기 직전에 혼합하여 투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IVH 용의 수액제제로서는 영양원인 당질 및 아미노산과 전해질을 포함한 것이 이용되지만, 포도당과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액은 메일라드 반응에 의한 변질이 일어나 쉽기 때문에, 투여하기 직전까지는 각각의 용기에 수용해 두고, 투여 직전에 혼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혼합을 밀봉 용기 내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한 내부가 복수 영역으로 구획된 복실용기가 다수 출원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267 507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 제267504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실개평5-5138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 제3016348호 공보 참조). 이들은 용기의 일부에 약 실링부를 설치해서 용기 내부를 복실화하고, 사용시에는 약 실링부를 손이나 지그를 이용하여 파괴함으로써(도통시킴으로써), 밀봉 상태 하에서 복수의 내용물을 혼합하는 것이 가능한 복실용기에 관한 것이다. 실링층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 주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재질을 이용하여 용기의 일부에 약 실링부를 설치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내용액을 보존할 경우,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실링층으로서 이용한 용기를 이용하면 내용액 중의 성분조성이 변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즉, 수액, 약액, X선 조영제, 호르몬제, 방사성 의약품, 순환기관용제, 소화기계 제제, 단백아미노 제제, 순환기계 제제, 효소제제, 대사성 의약품, 항생물질, 항염증약, 종양약, 생물학적 제제 등의 의약품, 또는 비타민제 등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투여 약제가 내용액이 될 경우, 이들 의약품 또는 투여 약제에 포함되는 미량의 원소(예를 들면 망간 등)나 비타민류 등이 용기 내벽에 흡착되거나 실링층(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수지)과 상호작용을 일으키거나, 반대로 실링층으로부터 용출하는 첨가제나 모노머, 인쇄잉크나 접착제의 저분자량 성분과 내용물이 상호작용하거나 하는 결과 사용시에 유효성분을 완전히 투여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내용물의 유효성분과 용기 내벽과의 상호작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로는 환상 폴리올레핀을 용기 내벽에 사용한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개2003-24415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특개평11-158 061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특개2002-193816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들 용기는 복실화를 상정한 것이 아니다. 환상 폴리올레핀은 매우 실링성이 모자란 재료이며, 이들 용기를 그대로 복실화하는(실링 강도가 컨트롤된 약 실링부를 설치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환상 폴리올레핀에 적절한 실링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8: 일본국 특개2000-70331호 공보에는 환상 폴리올레핀에 선상 폴리올레핀을 배합함으로써 히트실링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선상 폴리올레핀을 혼합했을 경우에는 해당 선상 폴리올레핀이 유효성분을 흡착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더군다나, 환상 폴리올레핀에 선상 폴리올레핀을 혼합하면 투명성이 저하하는 경우나, 선상 폴리올레핀에 함유되는 첨가제나 모노머 등의 저분자량 성분이 내용물에 용출할 우려도 있어, 특히 의료용도에 이용하는 용기로서는, 더욱 개선의 여지를 남기는 것이었다.
환상 폴리올레핀의 특징, 즉, 내용물의 유효성분을 흡착하지 않고, 더군다나 용기 내벽면을 형성하는 히트실링층 이외의 층에 올레핀 수지, 인쇄잉크, 접착제 등을 이용했다고 해도, 그들 층으로부터 저분자량 성분이 내용물에 용출하는 것을 방지한다고 하는 환상 폴리올레핀의 특징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환상 폴리올레핀에 복실용기의 내벽면을 형성하는데에 필요한 적절한 실링성을 부여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 내벽이 내용물의 유효성분을 흡착 혹은 보유하지 않고, 용기 내벽면을 형성하는 히트실링층 이외의 층에 올레핀 수지, 인쇄잉크, 접착제 등을 이용하였다고 해도, 그들에 포함되는 저분자량 성분이 내용물에 용출하지 않고, 게다가, 적당한 히트실링성 및 내열성을 가지기 때문에, 특히 의료용으로서 적합한 복실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일면에 가지는 하나의 시트와,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일면에 가지는 다른 시트를, 각각의 히트실링층을 대향시켜서 겹치고 둘레 가장자리부를 실링하는 동시에, 대향하는 히트실링층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 내벽면의 일부를 용기 외부로부터 열압착하여 설치한 약 실링부에 의해 용기 내부를 복실로 구획하는 복실용기로서, 상기 내벽면을 형성하는 2개의 히트실링층 모두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을 수지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가, 내용물의 유효성분이 용기 내벽에 흡착 혹은 보유되지 않으며, 내용물과 용기의 상호작용이 가급적 저감되고, 용기의 내벽면을 형성하는 히트실링층 이외의 층에 올레핀 수지, 인쇄잉크, 접착제 등을 이용하였다고 해도 그들의 층으로부터 내용물에의 저분자량 성분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고, 복실용기로서 적합한 약 실링성과 의료용 용기로서 적합한 내열성을 가지는 용기가 될 수 있는 것을 지견하고,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복실용기를 제공한다.
[Ⅰ]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일면에 가지는 하나의 시트와,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일면에 가지는 다른 시트를, 각각의 히트실링층을 대향시켜서 겹치고 둘레 가장자리부를 실링하는 동시에, 대향하는 히트실링층에 의해서 형성되는 용기 내벽면의 일부를 용기 외부으로부터 열압착해서 설치한 약 실링부에 의해 용기 내부를 복실로 구획하는 복실용기로서, 상기 내벽면을 형성하는 2개의 히트실링층 모두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을 수지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Ⅱ] 상기 내벽면을 형성하는 2개의 히트실링층 중 적어도 일방이, (A) 유리전이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B) 유리전이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만을 수지성분으로서 포함하는 [Ⅰ] 기재의 복실용기.
[Ⅲ] 상기 (A) 유리전이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과 상기 (B) 유리전이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과의 배합비가 (A)/(B)=2/98∼70/30(질량비)인 [Ⅱ] 기재의 복실용기.
[Ⅳ] 상기 (A) 유리전이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과 (B) 유리전이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의 유리전이온도의 온도차가 20℃ 이상인 [Ⅱ] 또는 [Ⅲ] 기재의 복실용기.
[V]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하기 화학식 1 및/또는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가지는 [Ⅰ]∼[Ⅳ]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실용기.
(식 중, R1, R2, R3, R4는 서로 동일한 또는 이종의 탄소수 1∼2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1과 R2, 및/또는 R3과 R4는 서로 환을 형성해도 좋다. m, P는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l,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Ⅵ]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노르보르넨계 수지인 [Ⅰ]∼[V]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실용기.
[Ⅶ] 상기 약 실링부가, (A) 유리전이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B) 유리전이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어도 표면층으로서 구비하는 테이프를,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간에 삽입한 상태로 해당 위치를 용기 외부로부터 열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 [I]∼[Ⅵ]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실용기.
[Ⅷ] 제14개정 일본 약국방에 준거하여 시험한 고압증기 멸균 온도가 105℃ 이상인 [Ⅰ]∼[Ⅶ]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실용기.
본 발명의 복실용기는, 약 실링부(격리부)에 의해 서로 격리해서 수용된 복수의 내용물을, 사용시에는 격리부를 파괴함으로써 내용물을 밀봉 상태에서 혼합하는 것이 가능한 복실용기로서, 내용물의 성분이 용기 내벽에 흡착하는 것 같은 내용물과 용기 내벽과의 상호작용이 가급적 저감되고, 또한 용기 내벽면을 형성하는 히트실링층 이외의 층에 올레핀 수지, 인쇄잉크, 접착제 등을 이용하였다고 해도 그들의 층으로부터 저분자량 성분이 내용물에 용출하는 것이 가급적 저감되고, 더군다나 복실용기로서 적당한 히트실링성과 의료용 용기로서 적합한 내열성을 가지는 복실용기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는,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일면에 가지는 하나의 시트와,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일면에 가지는 다른 시트를, 각각의 히트실링층을 대향시켜서 겹치고 둘레 가장자리부를 실링하는 동시에, 대향하는 히트실링층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 내벽면의 일부를 용기 외부로부터 열압착하여 설치한 약 실링부에 의해 용기 내부를 복실로 구획하는 복실용기로서, 상기 내벽면을 형성하는 2개의 히트실링층 모두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을 수지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이다.
이러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을 수지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히트실링층을 내벽면에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실용기는 내용물의 성분이 용기 내벽면에 흡착하지 않고, 내용물과 용기와의 상호작용이 가급적 저감된 것이며, 용기 내벽면을 형성하는 히트실링층 이외의 층에 올레핀 수지, 인쇄잉크, 접착제 등을 이용하였다고 해도 그들의 층으로부터의 저분자량 성분의 내용물에의 용출도 방지할 수 있다. 더군다나, 설치된 상기 약 실링부에는 적당한 실링 강도를 부여할 수 있어서, 복수 내용물의 보존시에는 내용물끼리를 확실하게 격리하고, 혼합 사용시에는 용이하게 용기 내부를 복실화하는 분리벽만을 파괴 가능하기 때문에, 밀봉 상태에서 복수의 내용물을 혼합하는 것이 가능한 실용성이 풍부한 복실용기이다.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이하의 (A), (B) 성분,
(A) 유리전이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과,
(B) 유리전이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
으로 이루어지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인 것이, 복실용기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약 실링부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의해 상기 용기 내벽면을 형성하는 히트실링층 중, 적어도 일방을 형성하는 것이 복실용기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약 실링부를 형성하는 관점에서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유리전이온도」란 JIS K7121(DSC)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상기 (A) 성분과 상기 (B) 성분과의 배합비로서는 (A) 성분/(B) 성분의 배합비(질량비)로서 통상 2/98∼70/30, 바람직하게는 5/95∼65/35이다. (A) 성분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멸균 시에 충분한 내열성을 보유할 수 없어 용기가 변형하는 경우가 있고, 한편, 지나치게 적으면, 약 실링부를 형성가능한 온도범위가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A) 성분의 유리전이온도로서는 100℃ 미만, 바람직하게는 9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다. 또, 상기 (B) 성분의 유리전이온도로서는,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다.
또, 상기 (A) 성분의 유리전이온도와 (B) 성분의 유리전이온도의, 유리전이온도의 온도차는 보통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해당 온도차가 20℃ 미만이면, 충분한 약 실링 온도범위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는 동시에, 안정된 약 실링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A) 성분 및 (B) 성분은, 환상 올레핀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해서 얻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환상 올레핀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시클로부틸렌, 시클로펜텐, 시클로옥텐, 시클로도데센 등의 단환 시클로올레핀 및 치환기를 가지는 그들의 유도체나, 노르보르넨환을 가지는 치환 및 미치환의 2환 혹은 3환 이상의 다환 환상 올레핀 모노머(이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들 수 있다. 제조 적성 및 내용물 적성의 관점에서, 그 중에서도 노르보르넨계 모노머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상기 모노머 조성물로서는, 환상 올레핀 모노머만을 원료 모노머로서 사용해도 되고,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모노머를 병용해도 좋다. 또, 상기 환상 올레핀 모노머로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지만, 2종 이상의 병용이 적합하다. 2종 이상의 병용에 의해, 예를 들면, 열가소성수지가 되는 1개의 이중결합을 가지는 모노머와, 열경화성수지가 되는 복수의 이중결합을 가지는 모노머를 적당히 조합하고 이용함으로써, 여러가지 물성을 가지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종의 모노머의 병용에 의해 응고점 효과가 기대되고, 모노머를 액상으로 하여 취급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는 경우가 있는 점에서도 적합하다.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노르보르나 디엔, 메틸 노르보르넨, 디메틸 노르보르넨, 에틸 노르보르넨, 염소화 노르보르넨, 클로로메틸 노르보르넨, 트리메틸실릴노르보르넨, 페닐 노르보르넨, 시아노 노르보르넨, 디시아노 노르보르넨, 메톡시카르보닐 노르보르넨, 피리딜 노르보르넨, 나딕산무수물, 나딕산 이미드 등의 2환 시클로올레핀; 디시클로펜타디엔, 디히드로 디시클로펜타디엔이나 그 알킬, 알케닐, 알킬리덴, 아릴치환체 등의 3환 시클로올레핀; 디메타노헥사히드로나프탈렌,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이나 그 알킬, 알케닐, 알킬리덴, 아릴치환체 등의 4환 시클로올레핀; 트리시클로펜타디엔 등의 5환 시클로올레핀; 헥사시클로헵타데센 등의 6환 시클로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또, 디노르보르넨, 2개의 노르보르넨환을 탄화수소쇄 또는 에스테르기 등으로 결합한 화합물, 이들의 알킬, 아릴치환체 등의 노르보르넨환을 포함하는 화합물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타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틸렌, 1-펜텐, 1-헥센, 3-메틸-1-부틸렌,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및 1-에이코센 등과 같은 탄소수 2 이상의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기타 모노머로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 바람직하고, 특히 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올레핀 모노머와 상기 기타 모노머를 병용해서 이용할 경우, 배합비는 (환상 올레핀 모노머)/(기타 모노머)(질량비)로서 통상 98/2∼30/70, 바람직하게는 95/5∼40/60이다. 환상 올레핀 모노머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충분한 실링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고, 한편, 지나치게 적으면, 내용성분의 비흡착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복수종의 모노머를 병용할 경우의 중합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모노머를 배합해서 공중합을 행해도 좋고, 어느 정도 중합한 후에 모노머를 배합해서 블록공중합을 행해도 좋다. 또, 개환중합이라도, 부가중합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목적을 감안하면, 수분의 불투과성의 관점에서, 극성기를 포함하지 않는 모노머만을 이용하여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얻는 것이 적합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일부 극성 모노머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극성 모노머로는, 상기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에 염소나 브롬 등의 할로겐기나, 에스테르기를 도입한 치환체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이들 극성 모노머의 배합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얻어지는 폴리머의 흡수성이나, 수분의 투과성이 증대해 버리기 때문에, 상기 모노머 조성물 중에 차지하는 이들 극성 모노머의 비율로서는 보통 30질량% 이하이다.
또,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상기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한 후에 수소첨가를 행하고, 불포화결합을 가지지 않는 수지로서 이용하는 것이, 멸균 적성의 향상이나 부가반응이나 산화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관점에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상기 (A) 성분 및 (B) 성분으로서는, 수액 백 등의 의료용도에 사용되는 등의 관점에서, 디시클로펜타디엔, 노르보르넨, 및 테트라시클로도데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환상 올레핀 모노머 조성물을 중합한 후, 수소첨가해서 얻어지는 환상 폴리올레핀인 것이,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액 백 등의 의료용도에 사용되는 등의 관점에서, 하기 화학식 1 및/또는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가지는 것이 적합하다.
(화학식 1)
(화학식 2)
(식 중, R1, R2, R3, R4는 서로 동일한 또는 이종의 탄소수 1∼2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1과 R2, 및/또는 R3과 R4는 서로 환을 형성해도 좋다. m, p는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l,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탄소수 1∼20의 유기기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sec-부틸, t-부틸, i-펜틸, t-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t-옥틸(1,1-디메틸-3,3-디메틸부틸), 2-에틸 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노나데실, 이코실 등의 알킬기;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의 시클로알킬기; 1-메틸시클로펜틸, 1-메틸시클로헥실, 1-메틸-4-i-프로필 시클로헥실 등의 알킬 시클로알킬기; 아릴, 프로페닐, 부테닐, 2-부테닐, 헥세닐, 시클로헥세닐 등의 알케닐기; 페닐기, 나프틸기, 메틸페닐기, 메톡시페닐기, 비페닐기, 페녹시기페닐기, 클로로페닐기, 술포페닐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2-페닐에틸기(페네틸기), α-메틸벤질기, α,α-디메틸벤질기 등의 아랄킬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상기 화학식 1, 2 중의 l, m, n, p의 값, 또는 이들 화학식 1, 2로 나타낸 구조단위의 분자량, 환상 올레핀 모노머의 조합 등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낸 구조단위를 가지는 환상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니혼제온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제오넥스, 제오노아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나타낸 구조단위를 가지는 환상 폴리올레핀으로서도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미츠이가가쿠 가부시키사이샤제의 아펠, TICONA사제의 TOPAS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 복수종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병용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그 배합 방법으로서는 통상 공지의 단축 또는 2축의 용융 혼합 압출기나 정적 용융 혼합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첨가제, 예를 들면 안료, 분산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무기충전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는, 상기와 같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을 수지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히트실링층에 의해 내벽면이 형성된 것이지만, 내벽면 이외의 부분 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외벽면을 구비해도 좋고, 또한 외벽면과 내벽면과의 사이에, 1층 또는 복수층의 중간층이 개재해도 좋다.
이러한 외벽면 혹은 중간층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열가소성수지, 열경화성 수지, 금속, 세라믹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공성의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수지가 적합하게 이용되고, 특히 생산 코스트나 내용물의 시인성의 관점, 내용물의 열화를 막는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알코올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코올 등, 또 이들의 일단 혹은 다단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엘라스토머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는, 상기한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을 수지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일면에 가지는 하나의 시트 2장을, 각각의 히트실링층을 대향시켜서 겹치고 둘레 가장자리부를 실링하는 동시에, 대향하는 히트실링층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 내벽면의 일부를 용기 외부로부터 열압착해서 설치한 약 실링부에 의해 용기 내부를 복실로 구획해서 복실용기로 하는 것이다.
상기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일면에 가지는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단층용 혹은 다층용의 T다이 또는 서큘러 다이를 이용하여 단층 혹은 다층시트를 압출하고, 얻어진 플랫형상의 시트, 튜브형상의 시트, 패리슨 등에 대해서 써모 포밍, 블로잉, 연신, 재단, 융착 등의 수법을 적당하게 활용해서 소정의 형상·형태를 가지는 단층 혹은 다층 시트로 하면 된다. 또, 다층 시트를 구성할 경우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각 층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는 방법이나, 용융성 수지를 이용하여 용융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등을 적당하게 병용할 수 있다.
복실용기를 제조하는 것에 임하여, 복수의 수용실간의 격벽부(상기 약 실링부)를 형성할 때에는, 실링 강도로서, 제조 시 혹은 수송 시에는 파단이 일어나기 어렵고, 사용 시(혼합 시)에는 손, 지그 등으로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는 정도의 실링 강도(JIS Z 0238에 준거한 실링 강도(180°박리 강도)로서, 통상 0.5N/15㎜ 이상, 바람직하게는 0.8N/15㎜ 이상, 상한으로서 통상 10N/15㎜ 이하, 바람직하게는 5N/15㎜ 이하)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에 있어서 이 약 실링부는, 대향하는 내벽면의 일부를 용기 외부로부터 열압착함으로써 설치되는 것이지만, 상기와 같은 실링 강도가 달성되도록, 열압착 시의 온도, 압력, 시간조건이 적당하게 설정되게 된다.
상기 약 실링부를 형성할 때의, 구체적인 실링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열압착 온도로서 통상 120∼220℃, 바람직하게는 140℃∼200℃, 열 압착 시의 압력으로서 통상 0.1∼0.6MPa, 바람직하게는 0.1∼0.4MPa, 더 바람직하게는 0.2∼0.3MPa, 열 압착 시의 시간으로서 보통 1∼6초, 바람직하게는 2∼4초이다. 실링 조건이 상기 범위에서 일탈하면, 적절한 약 실링부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나, 실링부의 외관이 뒤떨어지는 경우나, 생산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약 실링부를 형성할 때의 실링 폭으로서는 보통 2∼10㎜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복실용기가 가지는 수용실의 수는, 상기 약 실링부가 몇 개 설치되는가에 따라 결정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통상 2∼5개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 실링부를 형성할 때에는, 상기 (A) 성분 및/또는 (B) 성분을 포함하는 층을 적어도 표면층으로서 구비하는 테이프를, 대향하는 용기 내벽면간에 삽입한 상태로 해당 위치를 용기 외부로부터 열압착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이렇게 약 실링부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안정된 실링 강도를 가지는 약 실링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약 실링부를 설치할 때의 실링 온도범위를 보다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용기 둘레 가장자리부에 강 실링부를 설치하는 히트실링 조건(온도, 압력, 시간)을 약 실링부를 설치할 때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고, 따라서, 강 실링부와 약 실링부를 동시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 지면, 복실용기의 제조 코스트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테이프의 표면층에는, 상기 (A) 성분 및/또는 (B) 성분에 더해, 기타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에 있어서, 상기 약 실링부 이외의 실링 부분, 예를 들면, 용기 둘레 가장자리부나 포트부의 실링 강도로서는, 용이하게는 파단할 수 없는 정도의 실링 강도(JIS Z 0238에 준거한 실링 강도(180°박리 강도)로서, 통상 15N/1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N/15㎜ 이상)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히트실링에 의해 용기 둘레 가장자리부나 포트부를 실링할 경우, 상기의 실링 강도를 실현하는 구체적인 실링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열압착 온도로서 통상 150∼260℃, 바람직하게는 180℃∼230℃, 열 압착 시의 압력으로서는 보통 0.1∼0.6MPa, 바람직하게는 0.2∼0.5MPa, 열 압착 시의 시간으로서는 보통 1∼6초, 바람직하게는 2∼4초이다. 실링 조건이 상기 범위에서 일탈하면, 적절한 주변 실링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나, 실링부의 외관이 뒤떨어지는 경우나, 생산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 주변 실링부를 형성할 때의 실링폭으로서는 통상 2∼30㎜이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를 제조하는 것에 임하여, 약 실링부 이외의 부분의 실링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접착제를 이용한 실링 방법도 채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압착」에는, 상기 히트실링 이외에도 고주파 실링, 초음파 실링이 포함된다. 이들 고주파 실링, 초음파 실링은, 폴리머쇄를 열운동시켜서 압착한다고 하는 의미에 있어서 히트실링과 동시할 수 있다. 고주파 실링은 1회의 실링 동작에 있어서 용착과 냉각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200℃ 이상의 고온으로 실링할 경우나, 포트부를 실링할 경우나, 약 실링부를 형성할 경우 등에,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는, 내용물을 꺼내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포트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며, 그러한 포트부재로서는 고압증기 멸균적성 및 액 누설을 발생시키지 않는 포트 용착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유리전이온도 100℃ 이상 140℃ 이하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포트부재인 것, 또는 상기한 히트실링층과 동일한 구성재료로 형성된 포트부재인 것이 적합하다.
여기에서, 포트부재를 형성하는 조성물에 주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로서는, 통상 100∼140℃이며, 바람직하게는 105∼120℃이다. 유리전이온도가 100℃ 미만이면, 실링하는 것 자체는 용이하게 되지만 110℃ 이상의 고압증기 멸균처리를 행함으로써 포트가 변형되거나 액 누설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140℃를 넘으면, 포트부재 자체가 단단해져 연화시키기 어렵고 용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포트부재의 용착을 확실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포장 봉투의 외부로부터 과도한 열을 가할 필요가 생기고, 필름이 변형하거나, 필름 자체가 실링에 의해 파단되거나, 포트부재의 실링부에서 액 누설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유리전이온도 100℃ 이상 140℃ 이하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포트부재를 형성하는 조성물 중에 차지하는 비율로서는, 통상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며, 100질량%라도 좋다.
상기 포트부재를 형성하는 조성물 중에는, 포트부재의 유연성을 향상시켜서 용착을 쉽게 하고, 혹은 액 누설 등을 일으키지 않는 관점에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20질량% 이하의 혼합비율로 혼합되어 있어도 좋다. 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상기 포트를 형성하는 조성물 중에 차지하는 비율로서는 통상 2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이 비율이 20질량%을 넘으면, 내용성분이 포트부재에 흡착되어 버릴 우려가 커지거나, 복실용기의 고압증기 멸균적성이 뒤떨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의 내용물로서 멸균이 필요한 것을 수용할 경우, 내용물을 수용한 상태로 안정되게 열에 의한 멸균, 특히, 고압증기 멸균처리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복실용기의 내열성으로서는, 제14개정 일본 약국방에 준거해서 시험한 용기내열성이, 1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을 본 발명의 복실용기가 발현하도록, 상기 열압착 조건이나, 외벽면 혹은 중간층의 소재 등이 적당하게 선정된다.
본 발명의 복실용기는, 그 내벽면이 환상 폴리올레핀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선상 폴리올레핀을 내벽면으로서 이용했을 경우에는 내벽면에 흡착되어 버리는 미량원소 등, 예를 들면 망간, 철, 아연, 동 및 요오드 등의 미량의 원소나 그 이온, 비타민류(비타민A, 비타민B류, 비타민C, 비타민D, 비타민E 등의 각종 비타민류), 또는 그들을 함유하는 수액, 약액, X선조영제, 호르몬제, 방사성의약품, 순환기관용제(질산 이소소르비트, 니트로글리세린), 소화기계 제제, 단백 아미노 제제, 순환기계 제제, 효소제제, 대사성 의약품, 항생 물질, 항염증약, 종양약, 생물학적 제제 등의 의약품 또는 비타민제 등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투여 약제가 내용액으로서 사용되었을 경우에도, 그들 각 성분이 내벽면에 흡착되거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수지와의 상호작용을 일으키거나 하지 않고, 또, 용기 외벽면이나 중간층 등으로부터 용출해 오는 첨가제나 모노머, 인쇄잉크, 접착제 등으로부터의 저분자량 성분 등이 내용물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성분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각종 유동식, 영양제나 의약품 등을 보존·사용할 때에 특히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6, 비교예 1〕
우선, 표1에 나타낸 조성으로 표면층, 중간층, 히트실링층, 및 포트부를 구성하는 재료를 얻었다.
제오노아 750R,1420R,1020R,1410R
니혼제온제 환상 폴리올레핀
아펠 APL8008T
미츠이가가쿠샤제 환상 폴리올레핀
모어텍 3500Z
이데미쓰세키유가가쿠샤제 LLDPE
제라스 7023
미쓰비시가가쿠샤제 폴리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다이나론 1320P
JSR사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모딕 F534A
미쓰비시가가쿠샤제 접착성 수지
다음에 하나의 시트 및 다른 시트를, 상기 소정의 재료를 이용하여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 작성하는 동시에, 포트부를, 상기 소정의 재료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해 작성하였다. 얻어진 하나의 시트 및 다른 시트의 히트실링층을 대향시켜서 겹치고, 상기 포트부를 시트 둘레 가장자리부의 소정 위치에 삽입하고, 시트 둘레 가장자리부 및 포트부를 히트실링하는 동시에, 용기 내부가 2등분 되도록 용기 내벽면의 일부를 용기 외부로부터 열압착해서 약 실링부를 설치하고, 전체의 크기가 80㎜×150㎜의 복실용기를 제작하였다. 복실용기 외주 실링부 및 포트 실링부의 실링 조건을 표2에 기재하였다.
얻어진 복실용기에 대하여, 외주 실링부 및 약 실링부의 히트실링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 표2에 나타낸 소정의 내용물을 소정의 내용량을 가지고 충전 밀봉 후, 똑같이 표2에 나타낸 소정의 멸균 조건으로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멸균처리를 행하고, 약 실링부가 유지되었는가 아닌가, 및, 그 후의 도통 테스트에 있어서, 손에 의한 가중에 의해 용이하게 도통하는 것이 가능하였나 아닌가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2에 병기하였다.
실링 조건 1
외주 실링부 및 포트 실링부의 실링 조건(실링 압력 0.4MPa)
실링 조건 2
약 실링부의 실링 조건(실링 압력 0.4MPa)
실링부 강도
JIS Z 0238에 준거한 실링 강도(180°박리 강도)
실링부 유지의 가부
오토클레이브 내에서 소정의 온도, 시간 조건 하에서의 멸균처리를 행한 후에 복실용기를 오토클레이브로부터 꺼내고, 약 실링부가 유지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약 실링부가 완전히 유지되어 있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약 실링부가 파괴되어 있는 것이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도통 테스트
상기 멸균처리 후, 오토클레이브로부터 꺼낸 복실용기에 대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손에 의한 가중에 의해 약 실링부의 파괴가 가능하여, 내부를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였다.
비교예 1의 복실용기 최내층에는 폴리에틸렌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유효성분이 용기 내벽에 흡착되기 쉽고, 또 사용한 LLDPE로부터, 모노머 성분이 용출해 나오는 것을 완전하게는 억제할 수 없었다.

Claims (8)

  1.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일면에 가지는 하나의 시트와, 히트실링층을 적어도 일면에 가지는 다른 시트를, 각각의 히트실링층을 대향시켜서 겹치고 둘레 가장자리부를 실링하는 동시에, 대향하는 히트실링층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 내벽면의 일부를 용기 외부로부터 열압착해서 설치한 약 실링부에 의해 용기 내부를 복실로 구획하는 복실용기로서, 상기 내벽면을 형성하는 2개의 히트실링층 모두가,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만을 수지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면을 형성하는 2개의 히트실링층 중 적어도 일방이, (A) 유리전이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B) 유리전이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만을 수지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유리전이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과 상기 (B) 유리전이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의 배합비가 (A)/(B)=2/ 98∼70/30(질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 유리전이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과 (B) 유리전이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의 유리전이온도의 온도차가 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하기 화학식 1 및/또는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화학식 1)
    (화학식 2)
    (식 중, R1, R2, R3, R4는 서로 동일한 또는 이종의 탄소수 1∼2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1과 R2, 및/또는 R3과 R4는 서로 환을 형성해도 좋다. m, p는 0 또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l,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폴리노르보르넨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 실링부가, (A) 유리전이온도가 100℃ 미만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B) 유리전이온도가 100℃ 이상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적어도 표면층으로서 구비하는 테이프를, 대향하는 상기 내벽면간에 삽입한 상태로 해당 위치를 용기 외부로부터 열압착함으로써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4개정 일본 약국방에 준거하여 시험한 고압증기 멸균온도가 1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실용기.
KR20057016824A 2003-03-12 2004-03-11 복실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009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7125 2003-03-12
JPJP-P-2003-00067125 2003-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514A true KR20050106514A (ko) 2005-11-09
KR101009600B1 KR101009600B1 (ko) 2011-01-20

Family

ID=3298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168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09600B1 (ko) 2003-03-12 2004-03-11 복실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68971B2 (ko)
EP (1) EP1602350B1 (ko)
JP (1) JP4987298B2 (ko)
KR (1) KR101009600B1 (ko)
CN (1) CN100457069C (ko)
ES (1) ES2691201T3 (ko)
WO (1) WO200408037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3210A (ja) * 2014-12-18 2016-06-23 Dic株式会社 ミネラルオイルバリア性包装材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KR20180089394A (ko) * 2015-11-30 2018-08-08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첩부제의 포장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552B1 (ko) * 2004-08-16 2012-12-12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다층 용기 및 의료용 다층 복실용기
JP4696773B2 (ja) * 2004-08-16 2011-06-08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多層容器および医療用多層複室容器
TWI409057B (zh) 2004-09-27 2013-09-21 Nipro Corp 醫療用容器
WO2006134645A1 (ja) * 2005-06-15 2006-12-21 Fujimori Kogyo Co., Ltd. 複室包装体
KR101310177B1 (ko) * 2005-09-12 2013-09-23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복실 용기
JP4905643B2 (ja) * 2005-12-06 2012-03-28 味の素株式会社 複室容器
US20100163446A1 (en) * 2006-06-28 2010-07-01 Fujimori Kogyo Co., Ltd. Liquid container
CN102038607B (zh) 2007-11-22 2015-07-01 田边三菱制药株式会社 含有环状聚烯烃层的塑料容器
KR101195707B1 (ko) * 2007-12-20 2012-10-29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의료 용기용 다층체 및 의료 용기
JP5619378B2 (ja) * 2008-06-27 2014-11-05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溶融押出用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KR101704763B1 (ko) * 2009-01-06 2017-02-08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주출구, 그 제조방법 및 이 주출구를 구비하는 액체 용기
KR101226739B1 (ko) * 2010-01-22 2013-02-27 씨앤텍 주식회사 가압 개방되는 비접합선을 가진 2중 파우치와 그 제조에 적합한 열봉합 금형
KR102050112B1 (ko) * 2011-06-30 2019-11-28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및 이를 사용한 성형 전사박
CN105213188A (zh) * 2011-07-28 2016-01-06 辽宁海思科制药有限公司 一种新的用于包装脂肪乳、氨基酸和葡萄糖注射液的三室输液袋
CN102772298A (zh) * 2011-07-28 2012-11-14 辽宁海思科制药有限公司 一种新的包装中长链脂肪乳、氨基酸和葡萄糖注射液的三室输液袋
JP6093716B2 (ja) * 2012-01-11 2017-03-08 藤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ラント用樹脂組成物、積層フィルムおよび包装袋
CN104837620A (zh) 2012-12-07 2015-08-12 比密斯公司 多层膜
JP6273687B2 (ja) * 2013-03-29 2018-02-0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医療用複室容器
US20150225151A1 (en) 2014-02-11 2015-08-13 Christopher L. Osborn Anti-Scalping Transdermal Patch Packaging Film
US9468584B2 (en) 2014-04-02 2016-10-18 Bemis Company, Inc. Child-resistant packaging
WO2016051962A1 (ja) 2014-10-02 2016-04-07 テルモ株式会社 タンパク質溶液製剤を収容するための医療用容器
JP6085639B2 (ja) * 2015-06-03 2017-02-2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低吸着性包装袋
CN108236592B (zh) * 2016-12-23 2022-06-07 安姆希比创新咨询有限公司 液体粉体用多室容器
JP7298477B2 (ja) * 2017-10-03 2023-06-27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包装体及び包装物品
JP2019077129A (ja) * 2017-10-26 2019-05-23 藤森工業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USD900311S1 (en) 2018-05-18 2020-10-27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CN112135596B (zh) 2018-05-18 2023-11-10 巴克斯特国际公司 双室柔性容器、制造容器的方法及使用容器的药物产品
US10899521B2 (en) * 2018-05-23 2021-01-2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ackage for an ophthalmic device having a multilayer lidstock containing a cyclic olefin seal layer
EP3572227A1 (en) * 2018-05-23 2019-11-27 Amcor Flexibles Kreuzlingen AG Multilayer film with cyclic olefin seal layer
US12285930B2 (en) 2018-12-07 2025-04-29 Zacros Corporation Ophthalmic solution container
JP2021075289A (ja) * 2019-11-06 2021-05-20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パウチ
US11291321B2 (en) * 2020-01-06 2022-04-05 Gary J. Pontecorvo Recyclable or reusable straw in container lid assembly
JP7504598B2 (ja) 2020-01-21 2024-06-24 藤森工業株式会社 ノズルを構成する中栓及び点眼剤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8043A (en) * 1984-06-22 1986-08-26 Abbott Laboratories I.V. fluid storage and mixing system
US5179171A (en) * 1985-05-24 1993-01-12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Random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H0780973B2 (ja) * 1986-04-26 1995-08-30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イン系ランダム共重合体
JP2675049B2 (ja) 1988-03-17 1997-11-12 株式会社新素材総合研究所 内容物入り容器
JP2675075B2 (ja) 1988-06-10 1997-11-12 株式会社新素材総合研究所 内容物入り容器
JP2662070B2 (ja) 1989-02-16 1997-10-08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ジェクションブロー成形品
JPH085708Y2 (ja) 1990-11-20 1996-02-21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輸液バッグ
JP3227709B2 (ja) * 1991-03-04 2001-11-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医療用または食品包装用容器
JP3079403B2 (ja) * 1992-05-03 2000-08-21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容器
JP3055353B2 (ja) * 1992-05-14 2000-06-26 三井化学株式会社 Ptpまたはブリスターパック包装用シートまたはフィルム、包装体、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3042334B2 (ja) * 1994-10-21 2000-05-15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積層体
JP3455789B2 (ja) 1995-02-28 2003-10-14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容器用フィルム及び複室容器
JP3016348B2 (ja) 1995-03-23 2000-03-06 株式会社ニッショー 複室容器
JP3485393B2 (ja) 1995-09-08 2004-01-13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輸液バッグ
US6083587A (en) * 1997-09-22 2000-07-04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layered polymer structure for medical products
JP4162306B2 (ja) 1997-09-25 2008-10-08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中心静脈投与用輸液
JPH11155930A (ja) * 1997-12-02 1999-06-15 Material Eng Tech Lab Inc 腹膜透析用バック
JP2000033111A (ja) 1998-07-17 2000-02-02 Nissho Corp 医療用成形品
JP3692517B2 (ja) 1998-08-28 2005-09-07 ニプロ株式会社 易剥離性フィルム及び可撓性容器
EP0980892A1 (en) 1998-08-19 2000-02-23 Nissho Corporation Molded product for medical use from 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olefin resin and a specific block terpolymer
JP4323590B2 (ja) 1998-09-02 2009-09-02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複室容器
JP2000086778A (ja) 1998-09-14 2000-03-28 Mitsui Chemicals Inc 熱収縮性シートまたはフィルム
JP2002193816A (ja) 2000-12-26 2002-07-10 Ajinomoto Faruma Kk 微量元素配合製剤
JP2003024415A (ja) 2001-05-10 2003-01-28 Eisai Co Ltd 注射剤容器
JP2003019773A (ja) * 2001-07-09 2003-01-21 Fujimori Kogyo Co Ltd 包装用フィルム
JP2003054574A (ja) 2001-08-13 2003-02-26 Fujimori Kogyo Co Ltd 包装袋
JP3847599B2 (ja) * 2001-10-22 2006-11-2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耐衝撃性環状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WO2003043895A1 (fr) 2001-11-22 2003-05-30 Fujimori Kogyo Co., Ltd. Sac d'emballage et procede de production associe
US6951898B2 (en) * 2001-12-10 2005-10-04 Ticona Llc Cycloolefin copolymer resins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ies
TWI252203B (en) * 2002-03-28 2006-04-01 Showa Denko Plastic Product Co Infusion container with multiple chamber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4298308B2 (ja) * 2002-03-28 2009-07-15 株式会社細川洋行 複室輸液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3210A (ja) * 2014-12-18 2016-06-23 Dic株式会社 ミネラルオイルバリア性包装材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KR20180089394A (ko) * 2015-11-30 2018-08-08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첩부제의 포장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65928A1 (en) 2006-07-27
JPWO2004080370A1 (ja) 2006-06-08
US8668971B2 (en) 2014-03-11
KR101009600B1 (ko) 2011-01-20
EP1602350B1 (en) 2018-08-29
EP1602350A4 (en) 2012-05-02
EP1602350A1 (en) 2005-12-07
CN1777407A (zh) 2006-05-24
CN100457069C (zh) 2009-02-04
JP4987298B2 (ja) 2012-07-25
ES2691201T3 (es) 2018-11-26
WO2004080370A1 (ja) 200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600B1 (ko) 복실용기
KR101137732B1 (ko) 복실 포장체
JP4596124B2 (ja) 医療用容器
KR101430772B1 (ko) 액체 수납용기
TR201815540T4 (tr) Enjektöre yerleştirilen bir sürgülü valf ve sürgülü valfe sahip enjektör.
JP2014057723A (ja) ポート付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027031B (zh) 医疗用容器以及医疗用复室容器
KR20190129109A (ko) 포장 백
JP4905643B2 (ja) 複室容器
JP5587597B2 (ja) 包装体
CN102423282B (zh) 医用多层多室容器
JP4488166B2 (ja) 複室包装体及び医療用複室容器
US7789852B2 (en) Medical liquid container and preparation-containing medical liquid container
JP5382986B2 (ja) ヘパリン注射液製剤
JP4420195B2 (ja) ヒートシール構造及び複室容器
CN108236592B (zh) 液体粉体用多室容器
JP2014196438A (ja) 医療用複室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