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95633A - 통신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633A
KR20050095633A KR1020057013949A KR20057013949A KR20050095633A KR 20050095633 A KR20050095633 A KR 20050095633A KR 1020057013949 A KR1020057013949 A KR 1020057013949A KR 20057013949 A KR20057013949 A KR 20057013949A KR 20050095633 A KR20050095633 A KR 20050095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communication
detected
devices
sear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2215B1 (ko
Inventor
다꾸로 노다
요리꼬 고마쯔자끼
마꼬또 사또
히로시 가꾸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5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상대로 하는 기기를, 보다 신속하면서, 확실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탐색 기기(21)에 의해, 1대의 기기를 검출하도록 검색이 행하여진다. 피탐색 기기(32)로부터의 응답 메시지가 취득되었을 때, 탐색 기기(21)의 표시부에는, 피탐색 기기(32)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시키는 화면이 표시된다. 피탐색 기기(32)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2대의 기기를 검출하도록, 탐색 기기(21)에 의해 재차 탐색이 행하여진다. 이 탐색에 의해, 피탐색 기기(31)와 피탐색 기기(32)가 검출된 경우, 이미 통신 상대로 하지 않은 것이 선택되어 있는 피탐색 기기(32)는, 유저에 제시하는 기기로부터 배제되고, 피탐색 기기(31)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PDA, 휴대 전화기 등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각종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통신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상대로 할 기기를, 유저가, 보다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근거리 사이의 무선 통신 수단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등록상표)) 통신이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대응 기기가 개발, 판매되고 있다.
블루투스 통신에서는, 통신을 개시할 때, 통신을 제어하는 마스터라고 불리는 기기(블루투스 디바이스)로부터, 주위에 존재하는 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탐색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트 되고, 그 메시지에 응답해 온 기기가, 마스터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슬레이브로서 검출된다.
도 1은, 기기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각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탐색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탐색 기기(1)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기기이고, 피탐색 기기(11 내지 13)는, 탐색 기기(1)의 근방(전파의 도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기기이다.
도 1에서, 유저가, 통신 가능한 기기의 탐색을 탐색 기기(1)에 지시한 경우, 탐색 기기(1)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기기의 탐색이 행해진다.
즉, 도 2의 단계 S1에서, 탐색 기기(1)에 의해, 탐색 메시지인 Inquiry(문의) 패킷이 브로드캐스트 되고, 그것이, 단계 S11 및 S21에서, 피탐색 기기(11 및 12)에 의해, 각각 수신된다. 또한, 도 1에서는, 탐색 기기(1)의 탐색 범위(Inquiry 패킷의 송신에 이용되는 전파의 도달 범위)가, 탐색 기기(1)를 중심으로 하는 파선의 원으로 표시되어 있고, 피탐색 기기(13)는, 그 밖에 존재한다. 따라서, 탐색 기기(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된 Inquiry 패킷은, 피탐색 기기(13)에는 수신되지 않는다.
Inquiry 패킷을 수신한 피탐색 기기(11 및 12)는, 단계 S12 및 S22에서, 각각, Inquiry 패킷에 대한 응답 메시지(FHS 패킷)를 탐색 기기(11)에 송신한다. 이 FHS 패킷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고유의 것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어드레스, 주파수 호핑에서의 타임 슬롯의 동기를 도모하기 위한 블루투스 클럭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단계 S2 및 S3에서, 탐색 기기(1)는, 피탐색 기기(11 및 12)로부터 송신되어 온 FHS 패킷을 수신하고, 그것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등을 유저에게 제시하여, 통신을 확립하는 기기를 선택시킨다.
즉, 통상적으로, 유저는, 근방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제시된 기기의 일람 중에서, 통신을 확립시키는 기기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그와 같은 선택을 유저에게 시키지 않고, 통신 상대를 기기 자신이 특정하여, 자동적으로 통신을 확립하는 기술로서, 하기, 특개2001-156704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1이라고 한다)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것이 있다.
특허 문헌1에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강도를 각각 검출하고, 가장 강도가 높은 전파를 송신해 오는 기기를,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특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통신 상대로서 특정된 기기 사이와의 사이에서는, 자동적으로, 그 후의 통신 확립 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에, 유저는, 통신 상대로 하는 기기에 자신의 기기를 가까이 하는 것만으로, 그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 의해서는, 가장 강도가 높은 전파를 송신해 오는 기기가,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선택되기 때문에, 주위에 있는 전파의 반사물, 혹은, 검출된 기기의 통신 특성 등에 따라서는, 유저가 통신을 개시하려고 하는 기기와 서로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자동적으로 개시되는 경우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즉, 각각의 기기의 전파의 도달 범위와, 그 강도에는, 다소나마 변동이 있고, 반드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기기로부터, 가장 강도가 높은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도 1은, 기기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각 기기 사이에서 행해지는, 종래의 탐색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3은, 각 기기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탐색 기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탐색 기기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도 3의 각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A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B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탐색 기기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각 기기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각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각 기기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각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3A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B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탐색 기기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도 11의 각 기기 사이에 의해 행해지는 다른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각 기기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각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도 16의 각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도 17에 이어지는 플로우차트.
도 19A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B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c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A는, 리보케이션 리스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B는, 리보케이션 리스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탐색 기기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2는, 탐색 기기의 다른 탐색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3은, 탐색 기기의 또 다른 탐색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탐색 기기의 또 다른 탐색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도 23에 이어지는 플로우차트.
도 25는, 탐색 기기의 탐색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6은, 탐색 기기의 탐색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도 25에 이어지는 플로우차트.
도 27은, 탐색 범위의 전환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탐색에 의해 검출된 복수의 기기 중에서, 통신 상대로 할 기기를, 유저가, 보다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전파 도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기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탐색하는 탐색 수단과, 탐색 수단에 의해 탐색된 제1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된 제1 선택 화면에서, 제1 기기가 자기 자신의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1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탐색 수단은, 제1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재차, 탐색을 행하고, 표시 제어 수단은,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기를 배제하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제2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제1 선택 화면에서 제1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된 경우, 또는, 제2 선택 화면에서 제2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된 경우, 제1 기기 또는 제2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하여, 그 이후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더욱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탐색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탐색에 의해, 복수의 기기가 동시에 검출된 경우, 표시 제어 수단은, 복수의 기기 중 하나를, 제1 또는 제2 기기로 하여 제1 또는 제2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탐색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탐색에 의해, 복수의 기기가 동시에 검출된 경우, 표시 제어 수단은, 복수의 기기 중 가장 먼저 검출된 기기를, 제1 또는 제2 기기로 하여 제1 또는 제2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통신 장치에서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욱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제어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를, 제1 또는 제2 기기로 하여 제1 또는 제2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탐색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탐색에 의해, 복수의 기기가 동시에 검출된 경우, 표시 제어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기 중 가장 강도가 높은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를, 제1 또는 제2 기기로 하여 제1 또는 제2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도록 할 수 있다.
기억 수단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모든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도록 할 수 있다.
탐색 수단은, 제1회째의 탐색일 때의 탐색 범위보다도, 제2회째 이후의 탐색일 때의 탐색 범위 쪽이 넓어지도록, 탐색 범위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은, 전파 도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기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탐색하는 탐색 단계와, 탐색 단계의 처리에 의해 탐색된 제1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단계와, 표시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표시된 제1 선택 화면에서, 제1 기기가 자기 자신의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1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단계를 포함하고, 제1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탐색 단계의 처리에 의해, 재차, 탐색이 행해지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기억 단계의 처리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제1 기기가 배제되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제2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전파 도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기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탐색하는 탐색 단계와, 탐색 단계의 처리에 의해 탐색된 제1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단계와, 표시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표시된 제1 선택 화면에서, 제1 기기가 자기 자신의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1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단계를 포함하고, 제1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탐색 단계의 처리에 의해, 재차, 탐색이 행해지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기억 단계의 처리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제1 기기가 배제되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제2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전파 도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기기가 무선 통신에 의해 탐색되고, 탐색된 제1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제1 선택 화면에서, 제1 기기가 자기 자신의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1 기기의 식별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제1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재차, 탐색이 행해지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기가 배제되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제2 기기가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탐색 기기(통신 장치)(21)를 포함하는, 각 기기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탐색 기기(21)는,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기기이다. 탐색 기기(21)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에서의 마스터로서 동작하고,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통신 상대로서 선택된 기기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행한다.
피탐색 기기(31 및 32)는, 탐색 기기(21)와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기기이다. 또한, 도 3에서는, 탐색 기기(21)의 탐색 범위(탐색에 이용되는 전파의 도달 범위)가, 탐색 기기(21)를 중심으로 하여 파선의 원으로 표시되고 있고, 피탐색 기기(31 및 32)는, 그 안에 존재한다.
이들 탐색 기기(21), 피탐색 기기(31), 피탐색 기기(32)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각종의 기기로 할 수 있다.
유저가, 통신 가능한 기기의 탐색을 탐색 기기(21)에 지시한 경우, 탐색 기기(21)에 의해, 블루투스 통신 규격으로 규정되는 Inquiry(문의) 패킷이 탐색 메시지로서 브로드캐스트 되고, 그것이, 피탐색 기기(31 및 32)에 의해 각각 수신된다.
Inquiry 패킷을 수신한 피탐색 기기(31 및 32)는, 각각, Inquiry 패킷에 대한 응답 메시지(FHS 패킷)를 탐색 기기(21)에 송신한다. 이 FHS 패킷에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고유의 것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어드레스, 주파수 호핑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클럭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탐색 기기(21)는, 피탐색 기기(31 및 32)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에 기초하여, 피탐색 기기(31 또는 32)를,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선택할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선택시키는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탐색 기기(21)는, 선택 화면에서, 피탐색 기기(31 또는 32)와 통신을 행하는 것이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인증 처리 등을 행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확립한다.
예를 들면, 탐색 기기(21)에 대하여, 보다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피탐색 기기(32)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가, 피탐색 기기(3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보다도 먼저 탐색 기기(21)에 의해 수신된다. 이 경우, 탐색 기기(21)의 표시부에는, 피탐색 기기(32)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선택 화면에는, 예를 들면, 피탐색 기기(32)에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과 함께, 피탐색 기기(32)와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 등이 표시된다. 또한, 블루투스 어드레스, 기기의 속성(종별), 제공 가능한 서비스(프로파일) 등의 정보가 선택 화면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한편, 탐색 기기(21)는, 선택 화면에서 제시한 피탐색 기기(32)가,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유저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즉, 유저가, 피탐색 기기(31)와의 통신을 희망하고 있는 경우, 재차, 탐색을 행한다. 여기서 행해지는 탐색에서는,각각의 기기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은 경우, 직전의 탐색일 때와 마찬가지로, 탐색 범위 내에 있는 피탐색 기기(31)와 피탐색 기기(32)가 검출된다. 이 때, 탐색 기기(21)는, 피탐색 기기(31)와 피탐색 기기(32) 중에서, 직전의 탐색에서,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선택되지 않은 피탐색 기기(32)와는 서로 다른 피탐색 기기(31)의 선택 화면(피탐색 기기(31)와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선택시키는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통신 상대의 후보(기기)가, 1대씩, 순차적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제시되는 기기와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그 기기와 통신을 개시시킬 수 있다. 즉, 유저는, 보다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원하는 기기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개시시킬 수 있다.
만약, 가장 강한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 혹은, 가장 먼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해 온 기기를, 자동적으로,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특정한다고 한 경우, 반드시, 유저의 기기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특정된다고는 할 수 없고, 통신 환경이나 기기의 통신 특성에 의해서는, 서로 다른 기기가 통신 상대로 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그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검출된 복수의 기기의 일람이 표시되고, 그 중에서, 통신 상대로 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유저는,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 상대의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람에 표시되는 기기의 수가, 2, 3대이면, 통신 상대의 기기를 선택하는 것은, 그다지 곤란한 것은 아니지만, 10, 20대의 기기가 탐색에 의해 검출된 경우, 그 중에서, 통신 상대의 기기를 선택하는 것은, 상당히 곤란한 것으로 된다.
도 4는, 탐색 기기(2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41)는, ROM(Read Only Memory)(4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48)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4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43)에는 또한, CPU(41)가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적절하게 기억된다.
CPU(41), ROM(42), 및 RAM(43)은, 버스(4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4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46),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47)가 접속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하드디스크나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48),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행하는 블루투스 모듈(49)이 접속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5)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50)가 접속되고, 거기에, 자기 디스크(51), 광 디스크(52), 광 자기 디스크(53), 혹은 반도체 메모리(54) 등이 적절하게 장착된다. 자기 디스크(51) 내지 반도체 메모리(54)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콘텐츠가, 필요에 따라 기억부(48)에 인스톨된다.
또한, 도 3의 피탐색 기기(31 및 32)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되는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4는, 필요에 따라, 피탐색 기기(31 및 32), 및, 후술하는 탐색 기기(21) 이외의 기기의 구성으로서도 인용된다.
도 5는, 탐색 기기(21)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의 각 구성은, 예를 들면, CPU(41)에 의해, ROM(42)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실현된다.
통신 제어부(61)는, 블루투스 모듈(49)을 제어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49)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된 기기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서 말하는 피코넷내 동기를 확립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블루투스 통신에 관하여 설명한다.
블루투스 통신의 네트워크의 형태에는, 피코넷(piconet)과, 복수의 피코넷이 상호 접속된 스캐터넷(scatternet)이 있으며, 각각의 피코넷에는, 마스터와 슬레이브라는 역할을 갖는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존재한다.
그리고, 피코넷 내의 동기를 확립하여, 각종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피코넷을 형성하는 마스터와 슬레이브와의 사이에서(예를 들면, 탐색 기기(21)와, 피탐색 기기(31 및 32) 사이에서), 주파수 축과 시간 축의 동기가 확립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블루투스 통신에서는, 79MHz의 주파수 폭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마스터로부터 슬레이브에 대하여 신호가 송신되지만, 이 때, 마스터는, 79MHz의 주파수 폭을 동시에 점유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의 송신 주파수를, 1MHz의 주파수 폭으로 랜덤하게 변화(호핑)시켜 송신한다.
한편, 수신측의 슬레이브는, 랜덤하게 변화되는 마스터의 송신 주파수와 동기를 취하고, 적절하게, 수신 주파수를 변화시켜, 마스터로부터 송신되어 온 정보를 수신한다.
이 마스터와 슬레이브에 의해 변화되는 주파수의 패턴이 주파수 호핑 패턴이라고 불리며, 주파수 호핑 패턴이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 공유되어 있는 상태가, 주파수 축의 동기가 확립한 상태로 된다.
또한, 블루투스 통신에서는, 마스터와 복수의 슬레이브가 통신하기 위해, 마스터와 각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로(채널)가 625μ초 단위로 시분할 다중되어 있다. 그리고, 이 625μ초 단위의 시간 간격이 시간 슬롯이라고 불리며, 시간 슬롯이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 공유되어 있는 상태가, 시간 축의 동기가 확립된 상태로 된다.
또한, 모든 슬레이브는, 마스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주파수 호핑 패턴을 산출하고, 마스터의 블루투스 클럭에 기초하여, 자기 자신이 관리하는 블루투스 클럭에 오프셋을 가하여, 시간 슬롯의 타이밍을 취한다.
이 블루투스 어드레스는,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대하여 고유한 48 비트로 표현되는 것이며, 블루투스 클럭은, 모든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각각 관리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어드레스는, 그 하위 24 비트가 LAP(Low Address Part)와, 다음의 8 비트가 UAP(Upper Address Part)와, 그리고 나머지의 16 비트가 NAP(Non-significant Address Part)로 각각 구분되어 있고, 주파수 호핑 패턴의 산출에는, LAP 전체의 24 비트와 UAP의 하위 4 비트로 이루어지는 28 비트가 이용된다.
따라서, 피코넷을 형성하기 전에는, 상기한 "Inquiry(문의)", 및, "Page(호출)"에 의해,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블루투스 클럭을 포함하는 각종의 정보가,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에서 송수신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5의 통신 제어부(61)에 의해 동기가 확립되고, 그 후, 동기가 확립된 기기와의 사이에서, 2.4GHz의 대역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행해진다. 또한, Inquiry나 Page 등에 의한 기기의 탐색 처리는, 통신 제어부(61)에 포함되는 탐색부(61A)에 의해 행해진다.
탐색부(61A)에 의해 검출된 기기에 관한 기기 정보(상기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블루투스 어드레스, 블루투스 클럭, 기기의 속성, 제공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정보)는, 필요에 따라, 리스트 관리부(62), 검출 기기 관리부(63), 및, 기기 선택부(65)에 출력된다.
리스트 관리부(62)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 유저에 의해,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기기에 관한 정보의 리스트를 관리한다. 예를 들면, 제1회째의 탐색 시에, 이 리스트에 등록된 기기(제1회째의 탐색에 의해 검출되고, 유저에게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기기)는, 제2회째의 탐색에서 재차 검출된 경우라 하더라도, 선택 화면에 제시되는 기기로부터 배제된다. 따라서, 제2회째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로서는, 제2회째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와는 서로 다른 기기가, 유저에게 제시되는 것으로 된다. 이하, 리스트 관리부(62)에 의해 관리되는 리스트를, 적절하게, 리보케이션 리스트라 한다.
리스트 관리부(62)는, 탐색 개시로부터 통신 상대로 하는 기기가 선택될 때까지의 일련의 탐색 처리 동안, 혹은, 탐색 개시로부터 소정의 요인에 의해 탐색이 종료될 때까지의 일련의 탐색 처리 동안, 리보케이션 리스트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따라서, 복수회 탐색이 행해지고, 순차적으로, 유저에게 제시되는 기기가, 반복해서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이들의 기기에 관한 복수의 기기 정보가,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된다.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일련의 탐색 처리를 개시할 때 등의, 소정의 타이밍에서 초기화된다. 이것에 의해,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한번 등록된 기기를, 통신 상대로서 선택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검출 기기 관리부(63)는, 직전의 탐색에 의해 검출되고,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기기의 정보를 관리한다. 즉, 리스트 관리부(62)에서는, 일련의 탐색 처리에 의해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복수의 기기의 정보가 모두 관리되는 데 반해, 검출 기기 관리부(63)에서는, 직전의 탐색에 의해 검출되고,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1대의 기기의 정보만이 관리된다.
리스트 관리부(62) 및 검출 기기 관리부(63)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정보는, 적절하게, 기기 선택부(65)에 의해 참조된다.
수신 강도 검출부(64)는, 블루투스 모듈(49)에서 수신되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전파의 강도를 검출한다. 나중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탐색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송신에 이용되는 전파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의 강도보다 낮은 경우, 그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는, 선택 화면에 제시되는 기기로부터 배제된다. 바꾸어 말하면, 임계치보다도 높은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 중에서, 선택 화면에 제시되는 기기가 선택된다. 수신 강도 검출부(64)에 의해 검출된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기기 선택부(65)에 출력된다.
기기 선택부(65)는, 리스트 관리부(62) 및 검출 기기 관리부(63)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정보, 혹은, 수신 강도 검출부(64)로부터 공급되는 수신 강도의 정보를 참조하여, 검출된 기기 중에서, 유저에게 제시하는 1대의 기기를 선택한다. 또한, 기기 선택부(65)는, 선택한 기기를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표시 제어부(66)에 지시한다. 입력 검출부(67)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통신 상대로 하는 기기가 선택되었다고 판단했을 때, 기기 선택부(65)는, 그것을 통신 제어부(61)에 통지하고, 선택된 기기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행하게 한다.
표시 제어부(66)는, 기기 선택부(6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기와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선택시키는 선택 화면을 표시부(47)에 표시한다. 입력 검출부(67)는, 입력부(46)에 대한 유저의 입력을 검출하고, 대응하는 신호를 기기 선택부(65)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탐색 기기(21)를 포함하는, 각 기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에,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3의 탐색 기기(21), 피탐색 기기(31), 및, 피탐색 기기(32)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서, 탐색 기기(21)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차트와, 피탐색 기기(32)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차트의 간격은, 탐색 기기(21)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차트와, 피탐색 기기(31)의 처리에 관한 플로우차트의 간격보다 좁게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탐색 기기(32) 쪽이, 피탐색 기기(31)보다도 탐색 기기(21)에 가까운 위치에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후술하는, 각 기기의 처리의 플로우차트에서도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는 간격이, 탐색 기기(21)에 대한, 각각의 기기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에 의해, 탐색의 실행이 지시되었을 때, 단계 S41에서, 탐색 기기(21)는, 블루투스 모듈(49)을 제어하고, Inquiry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한다. 여기서 행해지는 Inquiry 패킷의 브로드캐스트(기기의 탐색)는, 1대의 기기만을 검출하도록 행해진다.
탐색 기기(2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된 Inquiry 패킷은, 탐색 기기(21)에 대하여, 보다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피탐색 기기(32)에 의해, 먼저, 단계 S31에서 수신되고, 그 후, 단계 S61에서, 피탐색 기기(31)에 의해 수신된다.
단계 S32에서, 피탐색 기기(32)는, Inquiry 패킷에 대한 응답 메시지(FHS 패킷)를 탐색 기기(21)에 송신한다.
단계 S42에서, 탐색 기기(21)는, 피탐색 기기(3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43으로 진행하여, 기기 1대 검출 시의 처리를 행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기기 1대 검출 시의 처리로서, 통신 상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에, 탐색에 의해 검출된 피탐색 기기(32)가 제시된다. 그리고, 유저에 의해, 피탐색 기기(32)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았을 때, 피탐색 기기(32)의 기기 정보가, 검출 기기 관리부(63)에 의해 관리된다.
도 7A는, 기기 1대 검출 시의 처리에서, 표시부(47)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피탐색 기기(32)로부터 송신되는 FHS 패킷이 참조되고,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기(32)(블루투스 디바이스명)"와 접속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피탐색 기기(31)와의 통신을 희망하고 있는 경우, 유저는, 도 7A의 화면이 표시되는 것에 따라 "No"를 선택한다.
또한, 피탐색 기기(31)로부터도, 단계 S62에서, 탐색에 대한 응답이 행해지고 있지만, 단계 S41에서 행해진 탐색은, 1대의 기기만이 검출되도록 행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피탐색 기기(31)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처리는, 여기서는 행해지지 않는다.
표시한 선택 화면에서, 피탐색 기기(32)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았을 때, 단계 S44로 진행하고, 탐색 기기(21)는, 재차, 탐색을 행한다. 여기서 행해지는 탐색은, 전회의 탐색 대상의 수를 1만큼 인크리먼트한, 2대의 기기가 검출되도록 행해진다.
탐색 기기(2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된 Inquiry 패킷은, 단계 S33에서 피탐색 기기(32)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63에서 피탐색 기기(31)에 의해 수신된다.
피탐색 기기(32)는, 단계 S34에서, Inquiry 패킷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탐색 기기(21)에 송신한다. 또한, 피탐색 기기(31)는, 단계 S64에서, Inquiry 패킷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탐색 기기(21)에 송신한다.
피탐색 기기(32)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및, 피탐색 기기(31)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는, 단계 S45 및 S46에서, 각각 탐색 기기(21)에 의해 수신된다.
이와 같이, 단계 S44에서의 탐색에서는, 2대의 기기를 검출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단계 S41에서의 탐색의 경우와는 달리, 탐색 기기(21)는, 피탐색 기기(32)로부터의 응답 메시지가 수신된 직후에, 그 응답에 대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피탐색 기기(31)로부터의 응답 메시지(2대째의 기기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
단계 S47에서, 탐색 기기(21)는, 기기 2대 검출 시의 처리를 행한다. 나중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탐색 기기(21)는, 예를 들면, 검출 기기 관리부(63)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2회째의 탐색에서 검출된 피탐색 기기(31)와 피탐색 기기(32) 중, 전회의 탐색일 때에,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피탐색 기기(32)를 배제하고, 피탐색 기기(31)와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도 7B는, 기기 2대 검출 시의 처리에서, 표시부(47)에 표시되는 선택 화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회째의 탐색에서 검출된 피탐색 기기(31)와 피탐색 기기(32) 중, 전회의 탐색일 때에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피탐색 기기(32)와는 서로 다른, 피탐색 기기(31)와 접속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피탐색 기기(31)와의 통신을 희망하고 있는 경우, 유저는, 여기서 표시되는 화면에 대하여 "Yes"를 선택하고, 피탐색 기기(31)를 통신 상대로서 선택한다.
그 후, 인증 처리 등의 각종의 처리가 탐색 기기(21)와 피탐색 기기(31) 사이에서 행해지고, 블루투스 통신이 확립된다.
이상과 같이,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이미, 통신 상대로 하지 않는 것이 선택된 기기가 배제되고, 남아 있는 1대의 기기가 제시되도록 했기 때문에, 유저는, 검출된 모든 기기의 일람이 표시되고, 거기로부터 통신 상대를 선택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보다 신속하게 통신 상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표시된 메시지(선택 화면)에 대하여, 접속할지의 여부("Yes" 또는 "No")를 선택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잘못된 기기를 선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유저는, 확실하게, 통신 상대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탐색 기기(21)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81에서, 통신 제어부(61)는, 1대의 기기만이 검출되도록, 탐색을 행한다. 즉, 통신 제어부(61)에 의해, 블루투스 모듈(49)이 제어되고, Inquiry 패킷이 브로드캐스트 된다.
통신 제어부(61)는, 블루투스 모듈(49)에서의 수신 상황을 감시하고, 단계 S82에서, 기기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통신 제어부(61)는, 단계 S82에서, 예를 들면, 소정 시간 경과했음에도 불구하고, 기기로부터의 응답이 없고, 기기를 검출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83으로 진행하고, 탐색 실패로 한 후,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 때, 탐색 실패 시의 에러 처리로서, 예를 들면, 기기가 근방에 존재하지 않음을 통지하는 화면이 표시부(47)에 표시된다.
통신 제어부(61)는, 단계 S82에서, 기기를 검출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84로 진행하고, 검출된 기기와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부(47)에 표시시킨다. 즉, 기기 선택부(65)는, 통신 제어부(61)에 의해 취득된 FHS 패킷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등에 기초하여, 검출한 기기를 유저에게 제시할 것을 표시 제어부(66)에 지시한다. 예를 들면, 피탐색 기기(32)가 검출된 경우, 표시 제어부(66)에 의해, 상기한 도 7A의 화면이 표시부(47)에 표시된다.
단계 S85에서, 기기 선택부(65)는, 입력 검출부(67)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단계 S84에서 제시한 기기가, 통신을 희망하는 기기로서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기 선택부(65)는, 예를 들면, 도 7A의 선택 화면에서"Yes"가 선택되었기 때문에, 검출된 기기가 통신을 희망하는 기기로서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86으로 진행하고, 탐색 성공으로 한 후, 처리를 종료시킨다. 그 후, 소정의 인증 처리 등의, 블루투스 통신을 확립시키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단계 S85에서,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84에서 제시한 기기가, 통신을 희망하는 기기로서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도 7A의 화면에서 "No"가 선택된 경우), 단계 S87로 진행한다.
단계 S87에서, 검출 기기 관리부(63)는, 직전에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되고,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기기의 기기 정보(블루투스 어드레스 등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보존한다. 기기 정보는, 통신 제어부(61)로부터 검출 기기 관리부(63)에 대하여 공급되고 있다.
단계 S88에서, 통신 제어부(61)는, 다음으로, 2대의 기기가 검출되도록 탐색을 행하고, 단계 S89로 진행하여, 기기를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기로부터의 응답이 없기 때문에, 기기를 검출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통신 제어부(61)는, 단계 S83으로 진행하여, 탐색 실패로 한 후,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단계 S89에서, 통신 제어부(61)는, 기기를 검출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90으로 진행한다. 검출된 기기에 관한 정보는, 기기 선택부(65)에 출력된다.
단계 S90에서, 기기 선택부(65)는, 통신 제어부(61)로부터 공급되는 정보와, 검출 기기 관리부(63)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정보(전회의 탐색(단계 S81에서 행해지는 탐색)에서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기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금회의 탐색에 의해 먼저 검출된 기기가, 전회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와 서로 다른 기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90에서, 기기 선택부(65)는, 금회의 탐색으로 먼저 검출된 기기가, 전회의 탐색으로 검출된 기기라고 판정한 경우, 단계 S91로 진행하고, 금회의 탐색으로 2번째로 검출한 기기, 즉, 전회의 탐색으로 검출된 기기와는 서로 다른 기기를 선택한다.
또한,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92로 진행하고, 단계 S91에서 선택한 기기(전회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와 서로 다른 기기)를 유저에게 제시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단계 S88에서 행해진 탐색에 의해, 피탐색 기기(31)와 피탐색 기기(32)가 검출되고, 그 중의 피탐색 기기(32)가, 이미, 통신 상대가 아닌 것으로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경우, 표시부(47)에는, 피탐색 기기(31)를 제시하는 도 7B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90에서, 전회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와 서로 다른 기기가, 금회의 탐색에서 먼저 검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92로 진행하고, 전회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와 서로 다른 기기를 유저에게 제시한다.
그 후, 단계 S85 이후의 처리가 실행되고, 도 7B의 화면에서, 피탐색 기기(31)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었을 때, 단계 S86에서, 탐색 성공으로 된 후,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2회째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2대의 기기가, 모두, 1회째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와 서로 다른 경우, 예를 들면, 먼저 검출된 기기가, 우선적으로 유저에게 제시된다. 이것에 의해, 통신 환경에 의해서도 서로 다르지만, 탐색 기기(21)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있는 기기가 제시되는 것으로 되어, 통신 상대로서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기기를, 보다 빠른 시점에서,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즉, 일련의 탐색 처리를, 보다 신속하게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탐색 처리를 신속하게 종료시킴으로써, 탐색에 이용되는 탐색 기기(21)의 배터리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3에 도시되는 배치 상태로, 탐색 기기(21)에 의해, 복수회의 탐색이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다음에, 제1회째의 탐색이 행해지고 나서, 그 이후의 탐색이 행해질 때까지의 사이에, 각각의 기기의 위치 관계가 변경한 경우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탐색 기기(21)가 이동한 후의, 각 기기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3의 경우와 비교하여, 탐색 기기(21)와 피탐색 기기(32)의 간격이 넓어지고, 탐색 기기(21)와 피탐색 기기(31)의 간격이 좁아진다.
여기서, 도 10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제1회째의 탐색과 제2회째의 탐색 사이에, 각 기기의 배치가, 도 3에 도시되는 배치로부터 도 9에 도시되는 배치로 절환된 경우의 각 기기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의 단계 S101 및 S102의 처리(피탐색 기기(32)의 처리), 단계 S111 및 S113의 처리(탐색 기기(21)의 처리), 및, 단계 S131 및 S132의 처리(피탐색 기기(31)의 처리)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즉, 1회째의 탐색에서, 응답 메시지를 먼저 송신해 온 피탐색 기기(32)가 제시되고, 유저에 의해, 피탐색 기기(32)를 통신 상대로 하지 않는 것이 선택된다.
단계 S114에서, 탐색 기기(21)의 위치가 이동하고, 각 기기는, 도 9에 도시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단계 S115에서, 탐색 기기(21)는, 다음에, 2대의 기기가 검출되도록 탐색을 행한다. 여기서 송신된 Inquiry 패킷은, 탐색 기기(21)를 기준으로 하여, 보다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피탐색 기기(31)에 의해, 단계 S133에서, 먼저 수신된다. 피탐색 기기(31)는, 탐색 기기(21)로부터의 탐색에 대하여, 단계 S134에서, 응답한다.
피탐색 기기(31)로부터의 응답은, 단계 S116에서, 탐색 기기(21)에 의해 수신된다. 탐색 기기(21)는, 단계 S117에서, 기기 2대 검출 시에, 먼저, 전회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와 서로 다른 기기가 검출된 경우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의 단계 S89 이후의 처리가 실행되고, 피탐색 기기(31)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했을 때, 통신 제어부(61)는, 기기를 검출했다고 판정하고, 단계 S90으로 진행한다. 단계 S90에서, 기기 선택부(65)는, 전회 검출된 피탐색 기기(32)와 서로 다른 피탐색 기기(31)를 검출했다고 판정하고, 단계 S91로 진행하여, 피탐색 기기(32)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하지 않고, 피탐색 기기(32)를 유저에게 제시한다.
또한, 단계 S115에서 송신된 Inquiry 패킷은, 단계 S103에서, 피탐색 기기(32)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104에서, 그것에 대한 응답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전회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와 서로 다른 기기가, 먼저 검출된 경우, 다른 기기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하지 않고, 검출된 기기가 제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통신 상대의 후보인 기기를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탐색 기기(21)에서 수신되는 전파의 강도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행하고,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출사)하는 기기 중에서, 선택 화면에 제시되는 기기가 선택되도록 해도 된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유저는, 대상으로 하는 기기에, 자기 자신의 기기를 근접시키고 나서 통신의 개시를 지시하기 때문에,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해 오지 않는 기기를 배제함으로써, 통신 상대로서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기기를, 보다 빠른 시점에서,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도 11은, 각 기기의 다른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탐색 기기(21)를 중심으로 하여, 외측에 도시되는 파선의 원에 의해, 탐색 기기(21)의 탐색 범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 내측에 도시되는 파선의 원에 의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전파가, 탐색 기기(21)에서 수신되는 범위가 나타나 있다. 즉, 도 11의 상태에서는, 피탐색 기기(31)와 피탐색 기기(33)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강도는,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것으로서 탐색 기기(21)에 의해 수신되고, 피탐색 기기(32)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강도는, 소정의 임계치 이하의 것으로서 탐색 기기(21)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피탐색 기기(31 내지 33)로부터 피탐색 기기(31)를 향한 실선 화살표의 숫자가, 각각의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탐색 기기(31), 피탐색 기기(32), 피탐색 기기(33)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는, 각각, "레벨3", "레벨2", "레벨4"로서 탐색 기기(21)에 의해 수신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탐색 기기(21)는, 탐색에 의해, 피탐색 기기(31 내지 33)를 검출했을 때, 소정의 임계치로서 설정된 "레벨3"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해 오지 않는 피탐색 기기(32)를, 유저에게 제시하는 기기로부터 배제하고, 피탐색 기기(31) 또는 피탐색 기기(33) 중 어느 하나를 제시한다.
다음에, 도 1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11의 각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의 처리는, 송신되는 전파의 강도를 검출하는 처리와, 검출된 강도에 기초하여, 제시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처리가 부가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즉, 기기를 탐색하는 것이 지시되었을 때, 단계 S151에서, 탐색 기기(21)는, Inquiry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한다. 여기서 행해지는 기기의 탐색은, 1대의 기기만이 검출되도록 행해진다.
탐색 기기(2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된 Inquiry 패킷은, 탐색 기기(21)에 대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피탐색 기기(33)에 의해, 단계 S141에서 수신된다. 피탐색 기기(33)는, Inquiry 패킷을 수신했을 때, 단계 S142로 진행하고, Inquiry 패킷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탐색 기기(21)에 송신한다.
탐색 기기(21)는, 단계 S152에서, 피탐색 기기(33)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계 S153으로 진행하여, 응답 메시지의 송신에 이용된 전파의 강도를 검출하고, 그것이, 소정의 임계치(예를 들면, "레벨3") 이상인 "레벨4"라고 인식한다.
탐색 기기(21)는,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검출된 경우, 단계 S154로 진행하고, 기기 1대 검출 시의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도 6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로, 검출된 피탐색 기기(33)와,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선택시키는, 도 13A의 선택 화면이 표시부(47)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피탐색 기기(31)와의 통신을 희망하고 있는 경우, 유저는, 도 13A의 화면에 대하여 "No"를 선택한다.
또한, 단계 S172에서, 피탐색 기기(31)로부터도, 탐색에 대한 응답이 행해지고 있지만, 먼저, 피탐색 기기(33)로부터의 응답이 취득되어 있고, 그것에 대한 처리가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피탐색 기기(31)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처리(피탐색 기기(31)를 제시하는 처리)는, 여기서는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단계 S182에서, 피탐색 기기(32)로부터도, 탐색에 대한 응답이 행해지고 있지만, 피탐색 기기(32)로부터의 응답에 이용되고 있는 전파는, 임계치보다도 낮은 강도의 것으로서 탐색 기기(21)에 의해 수신되기 때문에, 피탐색 기기(32)와 접속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은 표시되지 않는다.
선택 화면에서, 피탐색 기기(33)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단계 S155로 진행하고, 탐색 기기(21)는, 재차, 탐색을 행한다. 여기서는, 2대의 기기가 검출되도록 탐색이 행해진다.
단계 S155에서 브로드캐스트 된 Inquiry 패킷은, 단계 S143에서 피탐색 기기(33)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173에서 피탐색 기기(31)에 의해 수신되며, 단계 S183에서 피탐색 기기(32)에 의해 수신된다.
피탐색 기기(32)는, 단계 S144에서, 탐색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탐색 기기(21)에 송신한다. 또한, 피탐색 기기(31)는, 단계 S174에서, 탐색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탐색 기기(21)에 송신한다. 또한, 피탐색 기기(32)는, 단계 S184에서, 탐색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탐색 기기(21)에 송신한다.
피탐색 기기(33)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는, 단계 S156에서 수신되고, 단계 S157로 진행하여, 그 전파의 강도가 "레벨3" 이상인 것이 인식된다. 또한, 피탐색 기기(31)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는, 단계 S158에서 수신되고, 단계 S159로 진행하여, 그 전파의 강도가 "레벨3" 이상의, "레벨3"인 것이 인식된다.
단계 S155에서 행해진 탐색은, 2대의 기기를 검출하도록 행해져 있기 때문에, 피탐색 기기(32)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메시지에 대한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만약, 피탐색 기기(32)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쪽이, 피탐색 기기(31) 등으로부터의 것보다 먼저 수신된 경우라 하더라도, 피탐색 기기(32)로부터 송신되는 전파는, 그 강도가 임계치보다 낮은 것이기 때문에, 피탐색 기기(32)와 접속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1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계 S160에서, 탐색 기기(21)는, 기기 2대 검출 시의 처리를 행한다. 즉, 탐색 기기(21)는, 검출 기기 관리부(63)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고, 제2회째의 탐색에서 검출된 피탐색 기기(31)와 피탐색 기기(33) 중, 전회의 탐색일 때에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선택되지 않은 피탐색 기기(33)를 배제하고, 피탐색 기기(31)와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도 13B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피탐색 기기(31)와 통신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는 경우, 유저는, 도 13B의 선택 화면에서 "Yes"를 선택하고, 피탐색 기기(31)를 통신 상대로 할 것을 지시한다.
그 후, 인증 처리 등의 각종의 처리가 탐색 기기(21)와 피탐색 기기(31) 사이에서 행해지고, 블루투스 통신이 확립된다.
이상과 같이,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이미, 통신 상대의 기기로 하지 않는 것이 선택되어 있는 기기를 배제함과 함께, 전파의 강도가 낮기 때문에,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있음이 예상되는 기기도 배제하도록 했기 때문에, 통신 상대로서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기기를, 신속하게,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12의 탐색 기기(21)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의 처리는, 전파의 수신 강도가 기기의 선택에서 이용되는 점을 제외하고,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즉, 단계 S201에서, 통신 제어부(61)는, 1대의 기기만이 검출되도록 탐색을 행한다. 단계 S202에서, 수신 강도 검출부(64)는, 탐색에 대하여 응답해 온 기기로부터의, 블루투스 모듈(49)에서의 전파의 수신 강도를 검출한다. 또한, 수신 강도 검출부(64)는, 단계 S203에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와 같은 기기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04로 진행하고, 탐색 실패로 한 후, 처리를 종료시킨다.
또한, 단계 S203에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 바로, 탐색 실패로 천이된다고 하면, 복수대의 기기가 검출되고, 우연히, 검출된 기기의 송신 전파 강도가 약한 것만으로, 처리가 종료되어 버린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탐색 대상의 기기의 수가 1만큼 인크리먼트 되고, 재차 탐색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탐색에 의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고, 또한, 전회 검출된 기기 이외의 기기가 검출될 때까지, 혹은, 새로운 기기가 발견되지 않게 될 때까지, 탐색이 반복해서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수신 강도 검출부(64)는, 단계 S203에서,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05로 진행한다. 단계 S205 내지 S208의 처리는, 도 8의 단계 S84 내지 S87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즉, 단계 S205에서, 기기 선택부(65)는, 검출한 기기를 통신 상대로서 선택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부(47)에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피탐색 기기(33)가 검출된 경우, 상기한 도 13A의 화면이 표시부(47)에 표시된다.
단계 S206에서, 선택 화면에 대하여, 거기에 제시되는 기기가, 통신을 희망하는 기기라고 하여 선택된 경우,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207로 진행하고, 탐색 성공으로 한 후,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단계 S206에서, 선택 화면에 제시되는 기기가, 통신을 희망하는 기기가 아닌 것으로 선택된 경우, 기기 선택부(65)는, 재차, 탐색을 행하는 것을 통신 제어부(61)에 지시한다.
또한, 통신 상대의 기기가 아닌 것으로 선택된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정보는, 단계 S208에서, 검출 기기 관리부(63)에 의해 보존된다.
단계 S209에서, 통신 제어부(61)는, 2대의 기기가 검출되도록 탐색을 행한다. 수신 강도 검출부(64)는, 단계 S209에서 행해진 탐색에 대한 응답에 이용되는 전파의 강도를 검출하고, 단계 S210에서, 검출된 기기 중에,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수신 강도 검출부(64)는, 단계 S210에서,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04로 진행하고, 탐색 실패로 한 후, 처리를 종료시키고, 한편,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11로 진행한다. 또한, 이 경우에서도, 탐색 실패로 천이되고, 그 후, 처리가 종료되는 것은 아니며, 탐색 대상의 기기의 수가 1만큼 인크리먼트 되어, 재차 탐색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탐색에 의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고, 또한, 전회 검출된 기기 이외의 기기가 검출될 때까지, 혹은, 새로운 기기가 발견되지 않게 될 때까지, 탐색이 반복해서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211에서, 기기 선택부(65)는, 검출 기기 관리부(63)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고, 금회의 탐색(단계 S208에서 행해지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가, 전회의 탐색(단계 S201에서 행해지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와 서로 다른 기기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동일한 기기라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08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한편,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211에서, 금회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가, 전회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와 서로 다른 기기라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12로 진행하고, 그 기기와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통신 상대가 아닌 것으로 선택된 피탐색 기기(33)와 서로 다른 기기이고, 또한,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인 피탐색 기기(31)가, 2회째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경우, 표시부(47)에는, 도 13B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그 후, 단계 S206 이후의 처리가 실행되고, 도 13B의 선택 화면에서, 피탐색 기기(31)를 통신 상대로 하는 것이 선택된 경우, 단계 S207로 진행하고, 탐색 성공으로 된 후, 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도 1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11의 각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다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의 처리는, 도 12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고, 제2회째의 탐색에 대하여, 피탐색 기기(31)보다도, 피탐색 기기(33)로부터 먼저 응답이 행해지고 있는 점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기기의 근방에 있는 반사물이나, 기기의 블루투스 모듈의 특성에 따라서는, 이와 같이, 탐색 기기(2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피탐색 기기(33)에 의해, 탐색에 대한 응답이 먼저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도 15의 단계 S221 내지 S224의 처리(피탐색 기기(33)의 처리), 단계 S231 내지 S237의 처리(탐색 기기(21)의 처리), 단계 S251 내지 S253의 처리(피탐색 기기(31)의 처리), 및, 단계 S261 내지 S263의 처리(피탐색 기기(32)의 처리)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즉, 1회째의 탐색에서, 탐색 기기(21)에 대하여 응답 메시지를 가장 먼저 송신해 오는 피탐색 기기(33)가 유저에게 제시되고, 그 선택 화면에서, 피탐색 기기(33)와 통신을 행하지 않는 것이 선택된다.
단계 S264에서, 피탐색 기기(32)는, 2회째의 탐색에 대하여 응답한다. 이 응답은, 단계 S238에서, 탐색 기기(21)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239로 진행하여, 그 수신 강도가, 임계치의 강도("레벨3") 이상이 아니("레벨3" 미만이다)라고 판정된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탐색 기기(32)는, 임계치 이상의 수신 강도가 얻어지는 범위 밖에 존재한다.
따라서, 피탐색 기기(32)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은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피탐색 기기(31)는, 단계 S254에서, 2회째의 탐색에 대하여 응답한다. 이 응답은, 단계 S240에서, 탐색 기기(21)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241로 진행하여, 그 수신 강도가, 임계치의 강도 이상이라고 판정된다.
탐색 기기(21)는, 단계 S242에서, 기기 2대 검출 시의 처리를 행한다. 즉, 탐색 기기(21)는, 검출 기기 관리부(63)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정보를 참조하고, 2회째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피탐색 기기(31 내지 33) 중, 전회의 탐색일 때에,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피탐색 기기(33)와,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해 오지 않는 피탐색 기기(32)를 배제하고, 피탐색 기기(31)와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도 13B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상에서는, 복수의 기기가 탐색에 의해 검출된 경우, 가장 먼저, 탐색에 응답해 온 기기(이미, 통신 상대로 하지 않는 것이 선택된 기기, 및, 임계치 이상의 전파를 송신해 오지 않는 기기를 제외한다)가 유저에게 제시된다고 했지만, 가장 강도가 높은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우선적으로, 유저에게 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기기의 종별(퍼스널 컴퓨터, PDA 등의 카테고리)에 따라, 각각의 기기에 할당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제시되는 기기가 선택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시하는 기기의 선택은, 각종의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그 전의 탐색에 의해 검출되고,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선택되지 않은 기기와,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해 오지 않는 기기가, 선택 화면에 제시되는 기기로부터 배제된다고 했지만, 그와 같이 배제된 기기를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해 놓고, 그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가, 모두, 선택 화면에 제시하는 기기로부터 배제되도록 해도 된다.
도 16은, 각 기기의 배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의 예에서는, 피탐색 기기(31 내지 33) 중, 탐색 기기(21)에 대하여, 피탐색 기기(31)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고, 다음으로, 피탐색 기기(32)가 가까운 위치에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탐색 기기(21)에 대하여, 피탐색 기기(33)가, 가장 먼 위치에 있다고 되어 있다.
도 16에서는, 탐색 기기(21)에 의해, 리보케이션 리스트가 관리되어 있다. 따라서, 일련의 탐색 처리에서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된 기기는, 반복해서 행해지는 탐색에 의해 재차 검출된 경우라 하더라도, 선택 화면에 제시되는 기기로부터는 배제된다.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16의 각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291에서, 탐색 기기(21)는, Inquiry 패킷을 브로드캐스트 하고, 탐색을 행한다. 여기서 행해지는 탐색은, 1대의 기기만이 검출되도록 행해진다.
탐색 기기(2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된 Inquiry 패킷은, 탐색 기기(21)를 기준으로 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피탐색 기기(31)에 의해, 단계 S311에서 수신되고, 그것에 대한 응답이 단계 S312에서 행해진다.
피탐색 기기(31)에 의해 행해진 응답은, 단계 S292에서, 탐색 기기(21)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293으로 진행하여, 기기 1대 검출 시의 처리가 행해진다. 즉, 피탐색 기기(31)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도 19A의 선택 화면이 표시부(47)에 표시된다.
또한, 탐색 기기(21)는, 표시한 선택 화면에서, 피탐색 기기(31)를 통신 상대로 하는 것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피탐색 기기(31)의 기기 정보를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한다. 예를 들면, 리보케이션 리스트에는,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기기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및, 블루투스 어드레스 등의 정보가 등록된다.
도 20A는, 리보케이션 리스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피탐색 기기(31)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도 20A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탐색 기기(31)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기기31"과, 블루투스 어드레스 "XXXXXX"가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된다.
또한, 단계 S291에서 송신된 Inquiry 패킷은, 단계 S271에서 피탐색 기기(32)에 의해 수신되고, 그것에 대한 응답이 단계 S272에서 행해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단계 S291에서 송신된 Inquiry 패킷은, 단계 S331에서 피탐색 기기(33)에 의해 수신되고, 그것에 대한 응답이 단계 S332에서 행해지고 있다. 어느 응답에 대한 처리도, 여기서는 행해지지 않는다.
탐색 기기(21)는, 단계 S294에서, 2대의 기기가 검출되도록 탐색을 행한다.
탐색 기기(21)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된 Inquiry 패킷은, 단계 S313에서 피탐색 기기(31)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273에서 피탐색 기기(32)에 의해 수신되며, 단계 S333에서, 피탐색 기기(33)에 의해 수신된다.
피탐색 기기(31)는, 단계 S314에서, 응답 메시지를 탐색 기기(21)에 송신한다. 또한, 피탐색 기기(32)는, 단계 S274에서, 응답 메시지를 탐색 기기(21)에 송신한다.
피탐색 기기(31)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및, 피탐색 기기(32)로부터의 응답 메시지는, 단계 S295 및 S296에서, 각각 탐색 기기(21)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단계 S334에서 행해지는, 피탐색 기기(33)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처리는, 여기서는 행해지지 않는다.
단계 S297에서, 탐색 기기(21)는, 기기 2대 검출 시의 처리를 행한다. 탐색 기기(21)는, 리스트 관리부(62)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리보케이션 리스트의 정보를 참조하고, 제2회째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피탐색 기기(31)와 피탐색 기기(32) 중, 전회의 탐색일 때에,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피탐색 기기(31)를 배제하고, 피탐색 기기(32)와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도 19B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피탐색 기기(33)와 통신을 행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는 경우, 유저는, 도 19B의 화면에서, 피탐색 기기(32)를 통신 상대로 하지 않을 것을 지시한다. 이것에 따라, 탐색 기기(21)는, 피탐색 기기(32)의 기기 정보를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한다.
도 20B는, 도 20A의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대하여, 피탐색 기기(32)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과,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추가된 경우의 리보케이션 리스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B의 예에서는, 피탐색 기기(32)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기기32"와, 블루투스 어드레스 "YYYYYY"가, 도 20A의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추가 등록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그 이후의 탐색에서, 재차, 피탐색 기기(31)와 피탐색 기기(32)가 검출된 경우라 하더라도, 이들의 기기는, 유저에게 제시하는 기기의 선택에 서 배제된다.
탐색 기기(21)는, 단계 S298에서, 또한, 탐색을 행한다. 여기서 행해지는 탐색은, 전회의 탐색 대상의 대 수(2대)에 1만큼 인크리먼트 한, 3대의 기기가 검출되도록 행해진다.
지금까지의 탐색일 때와 마찬가지로, 피탐색 기기(31)는, 탐색 기기(21)로부터의 탐색을 단계 S315에서 수신하고, 단계 S316으로 진행하여, 그것에 대하여 응답한다. 또한, 피탐색 기기(32)는, 탐색 기기(21)로부터의 탐색을 단계 S275에서 수신하고, 단계 S276으로 진행하여, 그것에 대하여 응답한다. 또한, 피탐색 기기(33)는, 탐색 기기(21)로부터의 탐색을 단계 S335에서 수신하고, 단계 S336으로 진행하여, 그것에 대하여 응답한다.
탐색 기기(21)는, 피탐색 기기(31)로부터의 응답, 피탐색 기기(32)로부터의 응답, 및, 피탐색 기기(33)로부터의 응답을, 단계 S299 내지 S301에서 각각 수신하고, 단계 S302로 진행하여, 기기 3대 검출 시의 처리를 행한다. 즉, 탐색 기기(21)는, 리보케이션 리스트의 정보를 참조하고, 제3회째의 탐색(단계 S298에서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피탐색 기기(31 내지 33) 중, 전회의 탐색(단계 S294에서 행해진 탐색)일 때에,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피탐색 기기(32), 및, 그 전의 탐색(단계 S291에서 행해진 탐색)일 때에,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피탐색 기기(31)를 배제하고, 피탐색 기기(33)와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도 19c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피탐색 기기(33)와 통신을 행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는 경우, 유저는, 도 19c의 화면에서, 피탐색 기기(33)를 통신 상대로 할 것을 지시한다. 그 후, 탐색 기기(21)와 피탐색 기기(33)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이 확립된다.
이와 같이,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상대로 하지 않는 것이 이미 선택되어 있는 기기가, 모두,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로부터 배제되도록 했기 때문에,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기기를,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된 기기 정보는, 예를 들면, 일련의 탐색 처리(탐색의 개시가 지시되고 나서, 기기가 선택될 때까지, 혹은, 탐색의 종료가 지시되기까지의 일련의 처리)의 개시 시, 혹은, 종료 시에 초기화된다.
이것에 의해,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한번 등록된 기기라 하더라도, 등록되어 있는 정보를 유저가 삭제하는 등의 조작을 하지 않고, 다음의 일련의 탐색 처리에서, 그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도 17 및 도 18의 탐색 기기(21)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의 처리는, 리보케이션 리스트가 관리되는 점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단계 S351에서, 기기 선택부(65)는, 탐색의 검출 대상으로 하는 기기의 대 수를 나타내는 변수 n의 값으로 1을 설정함과 함께, 리스트 관리부(62)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리보케이션 리스트를 초기화한다. 기기 선택부(65)에 의해 설정된 변수 n의 값은, 통신 제어부(61)에 통지된다.
또한, 변수 n의 값은, 탐색이 행해질 때마다 1씩 인크리먼트 된다.
통신 제어부(61)는, 단계 S352에서, 기기 선택부(65)로부터 통지되는 값에 기초하여, n대의 기기가 검출되도록 탐색을 행한다. 예를 들면, 일련의 처리가 개시된 직후에 행해지는 탐색에서는, 1대의 기기만이 검출되도록 탐색이 행해진다.
통신 제어부(61)는, 단계 S353에서, 기기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기기로부터의 응답이 없기 때문에, 기기를 검출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54로 진행하고, 탐색 실패로 한 후,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통신 제어부(61)는, 단계 S353에서, 기기를 검출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55로 진행한다.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355에서, 리스트 관리부(62)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리보케이션 리스트의 정보를 참조하고, 검출된 기기 중에서,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를 배제한다.
단계 S355에서, 기기 선택부(65)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는 후보의 기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검출된 기기 모두가,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인 경우, 단계 S355에서, 후보로 되는 기기가 없다고 판정되고, 단계 S354로 진행하여, 등록 실패로 된 후,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356에서, 검출된 기기 중에,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기기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357로 진행하고, 남아 있는 기기, 즉,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와는 다른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도 16의 피탐색 기기(31)가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한 도 19A의 화면이 표시부(47)에 표시된다.
단계 S358에서, 기기 선택부(65)는, 입력 검출부(67)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단계 S357에서 제시한 기기가, 통신을 희망하는 기기로서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358에서, 예를 들면, 도 19A의 화면에 대하여, 피탐색 기기(31)를 통신 상대로 하는 것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59로 진행하고, 탐색 성공으로 한 후,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단계 S358에서, 선택 화면에 제시한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하지 않는 것이 선택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360으로 진행하고, 리스트 관리부(62)를 제어하여, 통신 상대로 하지 않는 것이 선택된 기기의 기기 정보를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시킨다.
예를 들면, 도 19A의 화면에서, 피탐색 기기(31)를, 통신 상대로 하지 않는 것이 선택된 경우, 도 20A의 리보케이션 리스트가 작성된다.
단계 S361에서, 기기 선택부(65)는, 변수 n을 1만큼 인크리먼트 한다. 이것에 의해, 다음으로 행해지는 탐색은, 직전에 행해진 탐색과 비교하여, 1대만큼 많은 수의 기기를 대상으로 하여 행해진다.
단계 S362에서, 기기 선택부(65)는, 통신 상대로서 선택될 가능성이 있는, 통신 상대의 후보로 되는 기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362에서, 통신 상대의 후보로 되는 기기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57으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탐색에 의해, 예를 들면,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기기가 동시에 검출된 경우, 단계 S362에서, 후보로 되는 기기가 있다고 판정된다.
한편,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362에서, 후보로 되는 기기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52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선택되지 않은 기기를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해 놓고,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기기를, 제시하는 기기로부터 배제함으로써,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기기를, 신속하게,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탐색 기기(21)의 탐색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의 처리는,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에,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전파를 송신해 오지 않는 기기를, 제시하는 기기로부터 배제하는 처리(도 1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가 부가된 것이다.
즉, 단계 S371 및 S372의 처리는, 도 21의 단계 S351 및 S352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고, 단계 S373에서, 수신 강도 검출부(64)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를 검출한다. 또한, 수신 강도 검출부(64)는, 단계 S374에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와 같은 기기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75로 진행하여, 탐색 실패로 한 후, 처리를 종료시킨다. 또한, 이 경우에서도, 탐색 실패로 천이되고, 그 후, 처리가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탐색 대상의 기기의 수가 1만큼 인크리먼트 되어, 재차 탐색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탐색에 의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고, 또한, 전회 검출된 기기 이외의 기기가 검출될 때까지, 혹은, 새로운 기기가 발견되지 않게 될 때까지, 탐색이 반복해서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수신 강도 검출부(64)는, 단계 S374에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76으로 진행한다.
단계 S376에서, 기기 선택부(65)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 및,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해 오지 않는 기기를 배제한다. 이것에 의해, 이미, 통신 상대의 기기가 아닌 것으로 선택된 기기, 및, 비교적, 탐색 기기(2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기기를, 유저에게 제시하는 기기로부터 배제하고, 남아 있는 기기, 즉,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기기를,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 이후의 단계 S377 내지 S383의 처리는, 도 21의 단계 S356 내지 S362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23 및 도 2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탐색 기기(21)의 다른 탐색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의 처리에서는, 탐색에 의해 1대의 기기가 검출될 때마다, 그 기기가,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등록되어 있지 않은 기기에 관해서는, 그 때마다, 통신 상대로서 선택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 화면이 유저에게 제시된다.
도 21이나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에서는, 만약, 유저가 통신 상대로 하는 것을 희망하는 기기가, 가장 먼저 검출된 경우라 하더라도, n대의 기기가 검출될 때까지, 그 후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대기되는 것으로 되지만, 이 경우에 비교하여, 검출된 기기마다 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탐색 처리를 종료시킬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의 처리는, 도 21의 처리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단계 S391에서, 기기 선택부(65)는, 변수 n의 값으로 1을 설정함과 함께, 리보케이션 리스트를 초기화한다. 기기 선택부(65)에 의해 설정된 값에 기초하여, n 대의 기기가 검출되도록, 단계 S392에서 탐색이 개시된다.
통신 제어부(61)는, 단계 S393에서, 기기로부터의 레스펀스(탐색에 대한 응답)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94로 진행하고, 타임아웃인지의 여부, 즉, 탐색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통신 제어부(61)는, 단계 S394에서, 타임아웃한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97로 진행하여, 탐색 실패로 한 후, 처리를 종료시키고, 한편, 타임아웃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93으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단계 S393에서, 통신 제어부(61)는, 레스펀스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95로 진행한다.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395에서, 리스트 관리부(62)에 의해 관리되어 있는 리보케이션 리스트의 정보를 참조하고, 검출된 기기가,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395에서, 검출된 기기가,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라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96으로 진행하고, n대의 기기를 모두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396에서, n대의 기기를 모두 검출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93으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하고, 한편, n대의 기기를 모두 검출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97로 진행하고, 탐색 실패로 한 후, 처리를 종료시킨다.
기기 선택부(65)는, 단계 S395에서, 검출된 기기가,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기기라고 판정한 경우, 단계 S398로 진행하고, 그 기기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도 16의 피탐색 기기(31)가 검출되고, 피탐색 기기(31)가,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기기로서 판정된 직후에, 상기한 도 19A의 화면이 표시부(47)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피탐색 기기(31)와 통신을 행하는 것을 희망한 경우, 유저는, 도 19A의 화면에서, 통신 상대로서 피탐색 기기(31)를 선택한다. 따라서, n대의 기기를 탐색할 때까지 대기하고, 검출된 기기 중에서, 제시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보다 신속하게, 탐색 처리를 종료시킬 수 있다.
단계 S399 내지 S402의 처리는, 도 21의 단계 S357 내지 S360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즉, 단계 S399에서, 제시한 기기가, 통신을 희망하는 기기로서 선택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통신을 희망하는 기기로서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00으로 진행하고, 탐색 성공으로 된 후,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399에서, 선택 화면에 제시한 기기가, 통신을 희망하는 기기로서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01에서,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그 기기의 정보가 추가된다. 그 후, 단계 S402에서, 변수 n의 값이 1만큼 인크리먼트되고, 단계 S392 이후의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다음으로, 도 25 및 도 2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탐색 기기(21)의 또 다른 탐색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 및 도 26의 처리는,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에, 도 1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임계치 이상의 전파를 송신해 오지 않는 기기를, 제시하는 기기로부터 배제하는 처리가 부가된 것이다.
즉, 단계 S411 내지 S417의 처리는, 도 23의 단계 S391 내지 S397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고, 단계 S418에서, 수신 강도 검출부(64)는,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수신 강도를 검출한다. 또한, 수신 강도 검출부(64)는, 단계 S419에서,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그와 같은 기기가 없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13으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또한,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없는 경우, 단계 S413 이후의 처리가 행해지는 것이 아니며, 탐색 대상의 기기의 수가 1만큼 인크리먼트 되고, 재차 탐색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탐색에 의해,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고, 또한, 전회 검출된 기기 이외의 기기가 검출될 때까지, 혹은, 새로운 기기가 발견되지 않게 될 때까지, 탐색이 반복해서 실행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수신 강도 검출부(64)는, 단계 S419에서,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20으로 진행한다.
단계 S420 내지 S424의 처리는, 도 24의 단계 S398 내지 S402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즉, 단계 S420에서,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지 않고, 또한,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의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단계 S421에서, 선택 화면에 의해 제시된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22로 진행하고, 탐색 성공으로 된 후,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421에서, 선택 화면에 제시된 기기가, 통신을 희망하는 기기로서 선택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23에서, 리보케이션 리스트에 기기 정보가 추가되고, 단계 S424에서, 변수 n의 값이 1만큼 인크리먼트 된 후, 단계 S412 이후의 처리가 반복해서 실행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이미, 통신 상대의 기기가 아닌 것으로 선택되어 있는 모든 기기, 및, 비교적, 탐색 기기(2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기기를, 유저에게 제시하는 기기로부터 배제하고, 남아 있는 기기, 즉, 통신 상대의 기기로서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기기를,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일련의 탐색 처리에서 탐색이 복수회 행해지는 경우, 각각의 탐색 범위는, 항상 동일이다고 했지만,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회째의 탐색 범위는, 탐색 기기(21)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반경 수십센티의 범위 내에서 행해지고, 제2회째 이후의 탐색은, 그것보다 넓은 범위에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탐색부(61A)는, 블루투스 모듈(49)의 출력을 제어하고, 탐색의 횟수에 따라 탐색 범위를 절환한다.
이것에 의해, 제1회째의 탐색에서는, 탐색 범위를 제한하고, 후보로서 검출되는 기기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는, 유저는, 통신을 개시시킬 때, 접속 대상으로 하는 기기의 근방에, 자기 자신의 기기를 재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와 같이, 탐색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통신 상대로서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기기만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째의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를 유저에게 제시하고, 그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시키고 있을 때, 제2회째의 탐색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탐색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에서의 탐색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블루투스 통신 이외의 각종의 무선 통신에,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a, 802.11b, 등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혹은, 적외선 통신 등에,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5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 디스크(52)(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한다), 광 자기 디스크(53)(MD(등록상표)(Mini-Disk)를 포함한다), 혹은 반도체 메모리(5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유저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42)나, 기억부(48)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그 탐색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효율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유저는, 통신 상대로 할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Claims (11)

  1. 전파 도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기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탐색하는 탐색 수단과,
    상기 탐색 수단에 의해 탐색된 제1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1 선택 화면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자기 자신의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탐색 수단은, 상기 제1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재차, 탐색을 행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기를 배제하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제2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 화면에서 상기 제1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된 경우, 또는, 상기 제2 선택 화면에서 상기 제2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기기 또는 상기 제2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하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탐색에 의해, 복수의 기기가 동시에 검출된 경우,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기기 중 하나를, 상기 제1 또는 제2 기기로 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탐색에 의해, 복수의 기기가 동시에 검출된 경우,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복수의 기기 중 가장 먼저 검출된 기기를, 상기 제1 또는 제2 기기로 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상기 통신 장치에서의 수신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강도의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를, 상기 제1 또는 제2 기기로서 상기 제1 또는 제2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수단에 의해 행해지는 탐색에 의해, 복수의 기기가 동시에 검출된 경우,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상기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 중 가장 강도가 높은 전파를 송신하는 기기를, 상기 제1 또는 제2 기기로 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모든 기기의 상기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수단은, 제1회째의 탐색일 때의 탐색 범위보다도, 제2회째 이후의 탐색일 때의 탐색 범위 쪽이 넓어지도록, 탐색 범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전파 도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기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탐색하는 탐색 단계와,
    상기 탐색 단계의 처리에 의해 탐색된 제1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표시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1 선택 화면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자기 자신의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탐색 단계의 처리에 의해, 재차, 탐색이 행해지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상기 기억 단계의 처리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제1 기기가 배제되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제2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 전파 도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기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탐색하는 탐색 단계와,
    상기 탐색 단계의 처리에 의해 탐색된 제1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표시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1 선택 화면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자기 자신의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탐색 단계의 처리에 의해, 재차, 탐색이 행해지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상기 기억 단계의 처리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제1 기기가 배제되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제2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11. 전파 도달 범위 내에 존재하는 기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탐색하는 탐색 단계와,
    상기 탐색 단계의 처리에 의해 탐색된 제1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1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단계와,
    상기 표시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제1 선택 화면에서, 상기 제1 기기가 자기 자신의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기기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기가 통신 상대로서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탐색 단계의 처리에 의해, 재차, 탐색이 행해지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상기 기억 단계의 처리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제1 기기가 배제되고, 재차 행해진 탐색에 의해 검출된 제2 기기를 통신 상대로 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제2 선택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KR20057013949A 2003-01-30 2003-12-19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032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1974 2003-01-30
JP2003021974A JP3829986B2 (ja) 2003-01-30 2003-01-30 通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633A true KR20050095633A (ko) 2005-09-29
KR101032215B1 KR101032215B1 (ko) 2011-05-02

Family

ID=3282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13949A KR101032215B1 (ko) 2003-01-30 2003-12-19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711388B2 (ko)
EP (1) EP1589694B1 (ko)
JP (1) JP3829986B2 (ko)
KR (1) KR101032215B1 (ko)
CN (1) CN100370769C (ko)
AU (1) AU2003292577A1 (ko)
DE (1) DE60331365D1 (ko)
WO (1) WO20040687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008A (ko) * 2014-02-19 2015-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정보 수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7449B2 (ja) * 2002-06-10 2005-10-1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機器
JP2007074265A (ja) * 2005-09-06 2007-03-22 Toshiya Makino 表示システム、これを用いた商品販売システム及び商品販売方法、テレビ電話システム及び機器遠隔操作システム。
US8149797B2 (en) * 2006-06-30 2012-04-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sualization of RF neighbor correlation in a single view
JP2008060977A (ja) * 2006-08-31 2008-03-13 Brother Ind Ltd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US9319741B2 (en) * 2006-09-07 2016-04-19 Rateze Remote Mgmt Llc Finding devices in an entertainment system
US8966545B2 (en) 2006-09-07 2015-02-24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Connecting a legacy device into a home entertainment system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20080061578A1 (en) * 2006-09-07 2008-03-13 Technology, Patents & Licensing, Inc. Data presentation in multiple zones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8935733B2 (en) 2006-09-07 2015-01-13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Data presentation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8005236B2 (en) 2006-09-07 2011-08-23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Control of data presentation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9386269B2 (en) 2006-09-07 2016-07-05 Rateze Remote Mgmt Llc Presentation of data on multiple display devices using a wireless hub
US8607281B2 (en) 2006-09-07 2013-12-10 Porto Vinci Ltd. Limited Liability Company Control of data presentation in multiple zones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US9233301B2 (en) 2006-09-07 2016-01-12 Rateze Remote Mgmt Llc Control of data presentation from multiple sources using a wireless home entertainment hub
JP5123549B2 (ja) * 2007-03-30 2013-01-23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無線端末
US7664894B2 (en) * 2007-09-14 2010-02-16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human interface device (HID) coordination
KR101442544B1 (ko) 2007-12-18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기기 표시 방법
US20090167486A1 (en) * 2007-12-29 2009-07-02 Shah Rahul C Secure association between devices
DK2085934T3 (da) * 2008-01-31 2013-10-21 Bekey As Fremgangsmåde og system til at registrere en mobilenhed anvendt som en elektronisk adgangsnøgle
JP5225033B2 (ja) * 2008-11-12 2013-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199770A (ja) * 2010-03-23 2011-10-06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通信装置
JP5683872B2 (ja) * 2010-08-24 2015-03-1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情報機器の通信方法、情報機器、及び情報機器の通信プログラム
WO2013014744A1 (ja) * 2011-07-26 2013-01-3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KR20130025749A (ko) * 2011-09-02 2013-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P2p 연결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신호 세기에 기초한 보안 관리 방법
JP5810899B2 (ja) * 2011-12-26 2015-11-1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2624430A (zh) * 2012-04-13 2012-08-01 华为终端有限公司 蓝牙终端的搜索处理方法及蓝牙终端
KR101911252B1 (ko) * 2012-08-13 2018-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483997B2 (en) 2014-03-10 2016-11-01 Sony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infrared signaling
US9696414B2 (en) 2014-05-15 2017-07-04 Sony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sonic signaling
US10070291B2 (en) * 2014-05-19 2018-09-04 Sony Corporatio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low energy bluetooth
JP2016066996A (ja) * 2014-09-16 2016-04-28 株式会社リコー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6538365B2 (ja) * 2015-02-12 2019-07-03 株式会社Soken 測定装置
JP2017175283A (ja) * 2016-03-22 2017-09-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会議システム、テレビ会議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2815B1 (ko) * 1995-08-16 1998-10-15 구자홍 텔레비젼의 채널 선국장치 및 방법
JP2000305885A (ja) * 1999-04-23 2000-11-02 Toshiba Corp 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
JP4167367B2 (ja) * 1999-11-18 2008-10-15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3670541B2 (ja) * 1999-11-26 2005-07-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2001175397A (ja) 1999-12-20 2001-06-29 Clarion Co Ltd 車載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7356347B1 (en) * 2000-09-28 2008-04-08 Palmsource, Inc. Efficient discovery of devices in a bluetooth environment
EP1278312A4 (en) 2001-03-16 2006-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PERSONAL AUXILIARY COMPUTER (PD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KR100377928B1 (ko) * 2001-05-11 200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단말기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 통신장치에서의신호간섭 제거방법 및 장치
JP4722328B2 (ja) 2001-05-31 2011-07-13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電子機器、通信接続先装置の選択方法及び通信接続先装置選択プログラム
JP2002368761A (ja) 2001-06-12 2002-12-20 Tokyo Denshi Sekkei Kk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JP4215968B2 (ja) 2001-07-10 2009-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その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端末、その端末における通信方法およびその端末において通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3761505B2 (ja) * 2002-03-04 2006-03-29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装置
DE10317962A1 (de) * 2003-04-17 2004-11-25 Siemens Ag Verfahren zur Anmeldung eines neuen Teilnehmers in einem Funksystem einer Gefahrenmeldeanlage
US7317914B2 (en) * 2004-09-24 2008-01-08 Microsoft Corporation Collaboratively locating disconnected clients and rogue access points in a wireless network
US8369866B2 (en) * 2004-11-05 2013-02-05 Wirelesswerx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rea specific messaging
US20060166683A1 (en) * 2005-01-26 2006-07-27 Sharma Sanjeev K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the same time slot of the same channel by multiple pairs of devices via a direct link protocol
EP2503832B1 (en) * 2005-02-22 2019-08-21 Skyhook Wireless, Inc. Method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of WiFi-enabled devices
US9060267B2 (en) * 2006-12-29 2015-06-16 Belkin International, Inc. Secure pairing of networked devices
JP2009267666A (ja) * 2008-04-24 2009-11-12 Aisin Aw Co Ltd 車載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008A (ko) * 2014-02-19 2015-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정보 수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68794A1 (ja) 2004-08-12
AU2003292577A1 (en) 2004-08-23
CN1745543A (zh) 2006-03-08
KR101032215B1 (ko) 2011-05-02
CN100370769C (zh) 2008-02-20
EP1589694B1 (en) 2010-02-17
EP1589694A1 (en) 2005-10-26
JP2004235963A (ja) 2004-08-19
JP3829986B2 (ja) 2006-10-04
US7953434B2 (en) 2011-05-31
US7711388B2 (en) 2010-05-04
US20100093286A1 (en) 2010-04-15
US20060152477A1 (en) 2006-07-13
DE60331365D1 (de) 2010-04-01
EP1589694A4 (en)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215B1 (ko) 무선 통신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용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871424B1 (ko) 블루투스 연결 방법 및 장치
JP418288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09489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235778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9497788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83895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ES2626531T3 (es) Activación de evento de conectividad basado en aplicación
JP200517602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688846B2 (en) Method of finding a communications parameter provider in a wireless network
JP5002669B2 (ja) 通信機器
JP5526069B2 (ja) 無線通信端末
EP3451719B1 (en) Device discovery using neighbour awareness network (nan) functions
JP2008288727A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JP6095277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759242B2 (ja) 通信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32147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58731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端末、通信制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WO2023181840A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137737A (zh) 无线通信方法、装置、终端、通信系统及存储介质
KR20200122859A (ko) 블루투스 기기와의 접속에 기초한 위험한 블루투스 기기를 선별하는 방법
JP2013168976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