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95594A - Tdd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기 및그를 위한 방법과 송신 전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Tdd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기 및그를 위한 방법과 송신 전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594A
KR20050095594A KR1020057011820A KR20057011820A KR20050095594A KR 20050095594 A KR20050095594 A KR 20050095594A KR 1020057011820 A KR1020057011820 A KR 1020057011820A KR 20057011820 A KR20057011820 A KR 20057011820A KR 20050095594 A KR20050095594 A KR 20050095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unit
sampling
baseband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강 리우
큉신 수
수에쳉 퀴안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95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5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52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DD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모바일 단말기 및 방법은,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안테나(1)와, 제어 신호에 따라 수신기 모드 혹은 송신기 모드를 선택하고 모바일 단말기가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실제의 송신 전력을 계산하기 위해 베이스밴드 유닛(16)에 피드백되는 샘플링 신호를 생성하도록 송신될 신호를 샘플링하는 프런트 엔드 유닛(16)과, 상기 프런트 엔드 유닛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기가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프런트 엔드 유닛에 송신될 신호를 제공하고, 계산된 실제의 송신 전력 및 예상 송신 전력의 비교 결과에 따라 프런트 엔드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송신될 신호의 전력을 조정하는 전력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TDD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기 및 그를 위한 방법과 송신 전력 제어 장치{A CONTROL SOLUTION FOR TRANSMISSION POWER OF MOBILE HANDSET}
본 발명은 TDD(Time Division Duplex) 모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TDD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의 송신기 전력 및 사용자 장비의 송신기 전력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 간섭(self-interference)은 시스템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실제의 시스템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는, 송신기 전력이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끼치는 해악을 제한하도록, 소정의 신호대 간섭비(SIR)에 도달하는 경우에 최소한의 레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시스템의 통신 품질을 보장하고 송신될 신호의 전력을 원하는 레벨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송신 체인의 다양한 컴포넌트에서 관측되는 의도하지 않은 이득 변동을 보상할 필요가 있다.
이득 캘리브레이션은 의도하지 않은 이득 변동을 보상하기 위한 일반적인 수단이다. 그러나, 이득 변동은 신호가 송신될 때 컴포넌트의 노화, 주위 온도의 변화, 공기압의 변화, 습도 레벨의 변화, 증폭기의 포화의 변화, 트래픽 부하의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데, 그러한 이유는 예상치못한 이득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통해 송신기의 출력 레벨을 소정의 레벨로 항상 정밀하게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단 이득 변동이 발생하면, 텔레커뮤니케이션 설비의 동작 포인트는 표류할 것이며 결과적으로 통신 품질은 저하될 것이다.
따라서, 이득 보상을 행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에 기반한 방법이 필요하다. 예상된 출력 전력과 실제의 출력 전력을 비교함으로써, 송신 체인의 다양한 컴포넌트 이후의 전체 이득을 조정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이득 변동을 보상할 수가 있다.
송신기 전력 트랙킹 루프(TPTL)의 방법이 2001년 9월 11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 공개 제 US6,286,994호에 개시된다. 이 방법에서는, 실제의 출력 전력 레벨이 실제의 출력 전력을 검출하고, 샘플링하고 필터링함으로써 획득되고, 다음에 의도하지 않은 이득 변동은, 실제의 출력 전력과 예상되고 계산된 송신 전력을 정합하도록, 일련의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한 이후에, TPTL에 의해 보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특히 베이스 스테이션용으로 사용되며 그리고 실제로 매우 복잡하다. 기존의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사용과 그에 대한 보다 많은 변화가 없이도 모바일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당해 분야에서 해결하기란 여전히 어려운 문제가된다.
도 1은 현재의 멀티밴드 멀티모드 송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멀티밴드 멀티모드 송수신기의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송신 체인에서의 의도하지 않은 이득 변동을 효율적으로 보상하고 따라서 시스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TDD 모드의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신 체인에서의 다양한 예상 이득 변동을 효율적으로 보상하여 시스템의 통신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TDD 모드의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존의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송수신기 하드웨어를 사용하며 그러한 특징을 매우 낮은 비용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TDD 모드의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TDD 모드의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대한 모바일 단말기는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기와, 제어 신호에 따라 수신기 모드 혹은 송신기 모드를 선택하고, 모바일 단말기가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송신될 신호를 샘플링하여 샘플링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프런트 엔드 유닛(a front end unit)과, 상기 프런트 엔드 유닛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프런트 엔드 유닛에 송신될 상기 신호를 제공하며, 그리고 전력 보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프런트 엔드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샘플링 신호에 따라 상기 프런트 엔드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될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는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TDD 모드의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기의 방법은 수신기 모드 혹은 송신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메인 신호 및 샘플링 신호 내로 송신될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메인 신호르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샘플링 신호를 피드백 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와, 전력 보상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의 전력이 상기 샘플링 신호에 따라 송신되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설명이 첨부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기술될 것이다.
TD-SCDMA는 TDD 모드에 기반한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며,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는 TD-SCDMA의 모바일 단말기를 일예로 하여, 첨부 도면을 연계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멀티밴드 멀티모드 송수신기와 도 1에 도시된 기존의 송수신기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송수신기가 커플링 유닛(3)으로서 샘플링 유닛과, 커플링 스위치(21)로서 샘플링 스위치와, TPTCL(송신기 전력 트랙킹 및 제어 루프) 신호 생성 모듈(22)로서 전력 보상 신호 생성 모듈을 추가로 갖는다. 기존의 송수신기의 컴포넌트들과 동작하고 접속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기술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밴드 멀티모드 송수신기는 안테나(1)로서 송수신기와, 프런트 엔드 유닛(6)과,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16)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런트 엔드 유닛(6)은 스위치 유닛(2), 커플링 유닛(3), 송신기 모듈(4) 및 수신기 모듈(5)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16)은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7)과, 수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8)과, 제어 유닛(15)과, TPTCL 신호 생성 모듈(22)로 구성된다.
스위치 유닛(2)이 송신기/수신기 모드 선택 스위치(20) 및 커플링 스위치(21)로 구성되며, TPTCL 신호 생성 모듈(22)은 예상된 전력 계산 유닛(9), 실제의 전력 계산 유닛(10), 비교 유닛(11), 가산 유닛(13) 및 DAC 유닛(14)으로 구성된다.
TDD 모드에서, 제어 유닛(15)으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수신기 모드 혹은 송신기 모드를 나타낼 때, 송수신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1. 무선 신호 수신
송수신기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에 있을 때, 스위치 유닛(2) 내의 송신기/수신기 모드 선택 스위치(20)는 수신 모듈(5)과 접속되는 안테나(1)로 스위칭하고, 안테나(1)로부터 수신되는 RF 신호는 송신기/수신기 모드 선택 스위치(20)에 의해 수신 모듈(5)로 송신되며 수신 모듈(5)에서 복조되며, 다음에 복조된 신호는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16) 내의 수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8)에 송신되며, 이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16)에서 범용 베이스밴드 수신 및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수신기가 수신 모드에 있을 때, 그 송수신기는 기존의 송수신기와 동일하게 동작하며, 송신 모듈(4) 및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7)으로 구성된 송신기는 전혀 동작하지 않는다.
2. 무선 신호 송신
송수신기가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모드에 있을 때, 스위치 유닛(2) 내의 송신기/수신기 모드 선택 스위치(20)는 커플링 유닛(3)에 접속되도록 안테나(1)를 스위칭하고, 동시에 스위치 유닛(2) 내의 커플링 유닛(21)은 커프링 유닛(3) 및 수신 모듈(5)에 접속될 것이다. 송신 모듈(4)에 의해 변조되고, 증폭되고, 필터링된 이후에,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16) 내의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7)으로부터의 송신기 신호의 메인 신호는 송신기/수신기 모드 선택 스위치(20)에 의해 안테나(1)로부터 선택되며, 송신기 신호의 적은 부분은 커플링 스위치(21)에 의해 커플링 신호로서 수신 모듈(5)에 입력된다.
수신 모듈(5)에서, 복조된 이후에, 커플링 신호 입력은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16) 내의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 내의 수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8)에 송신된다.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16)에서, 수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8)에 의해 처리된 신호는 디지털 도메인의 신호로 변환되며 다음에 실제의 전력 계산 유닛(10)으로 송신된다.
실제의 전력 계산 유닛(10)에서, 실제의 출력 전력은 디지털 신호 입력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한편, 예상된 전력 계산 유닛(9)에서, 예상 출력 전력은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7)에 의해 제공된 디지털 도메인의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신호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예상된 출력 전력 계산 및 실제 출력 전력 계산은 비교 유닛(11)으로 입력되며, 이 비교 유닛(11)에서, 예상된 출력 전력과 실제의 출력 전력이 주기적으로 비교되며, 에러 신호가 생성된다. 에러 신호는 TPTL 신호와 같은 캘리브레이션된 이후 디지털 도메인의 전력 비교 신호를 획득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TPTL 신호는 가산 유닛(13)으로 입력될 것이다.
가산 유닛(13)에서,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7) 내의 송신기 전력 제어 유닛(12)으로부터의 TPC 신호는 상기 TPTL 신호와 결합될 것이며, 그리고 상기 결합된 신호는 DAC 유닛(14)으로 입력된다. DAC 유닛(14)에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이후, 아날로그 형태의 가령 TPTCL 신호와 같은 전력 보상 신호가 획득될 것이며, 상기 TPTCL 신호는 프런트 엔드 유닛(6)의 송신 모듈 내의 AGC(자동 이득 제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TPTCL 신호로 인해, 프런트 엔드 유닛(6)의 송신 모듈(4) 내의 AGC는 송신 체인 내의 다양한 의도하지 않은 이득 변동을 보상하도록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16) 내의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7)으로부터 송신될 신호의 전력을 조정할 것이다.
의도하지 않은 이득 변동이 보상됨에 따라, 송신 모듈(4)에 의해 변조되고, 증폭되고 그리고 필터링된 RF 신호는 커플링 유닛(3), 송신기/수신기 모드 선택 스위치(20) 및 안테나(1)를 통해 송신될 것이다.
도면과 연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수 사항은, 실제의 송신기 전력의 샘플링 값이 주로 커플링 유닛(3)과 스위치 유닛(2)으로 구성되는 샘플링 모듈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는 것과, 실제의 출력 전력과 예상 출력 전력 간의 차이가 주로 실제 전력 계산 유닛(10)과 비교 유닛(11)으로 구성되는 전력 판정 모듈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며, 전력 보상 신호는 주로 가산 유닛(13) 및 송신기 전력 제어 유닛(12)으로 구성되는 전력 보상 모듈에 의해 실제의 출력 전력의 레벨을 조정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TDD 모드 무선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의 송신기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호가 송신될 때, 출력 신호의 적은 부분은 커플링 신호로서 간주되며, 커플링 스위치(21)를 통해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16)으로 피드백된다. 상기 커플링 신호에 의하면,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16) 내의 TPTCL 신호 생성 모듈(22)은 송신될 신호의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TPTCL 신호를 생성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장치 및 방법은 송신 체인의 다양한 컴포넌트에서 관측되는 다양한 의도하지 않은 이득 변동을 효율적으로 보상할 수 있으며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TPTCL 신호가 생성될 경우,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7)에 의해 제공되는 TPC 신호가 또한 이용되고,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장치 및 방법은 송신 체인의 다양한 컴포넌트에서 관측되는 다양한 예상 이득 변동을 효율적으로 보상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통신 품질을 개선할 수가 있다.
또한, TPTCL 신호가 생성될 경우, 수신 모듈(5) 및 수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8)은 커플링 신호를 처리하도록 이용되며,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설계를 간단하게 하여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물론,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TDD 모드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TDD 모드 시스템의 베이스 스테이션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당업라자면 청구범위에 규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과 영역 내에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8)

  1. TDD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송수신기와,
    제어 신호에 따라 수신기 모드 혹은 송신기 모드를 선택하고, 모바일 단말기가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송신될 신호를 샘플링하여 샘플링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프런트 엔드 유닛(a front end unit)과,
    상기 프런트 엔드 유닛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프런트 엔드 유닛에 송신될 상기 신호를 제공하며, 그리고 전력 보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프런트 엔드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샘플링 신호에 따라 상기 프런트 엔드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될 신호의 출력을 조정하는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엔드 유닛은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기 모드 혹은 상기 송신기 모드로 스위칭하며, 그리고 스위치 유닛이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송신될 상기 수신된 신호 중의 메인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송신될 상기 신호의 상기 샘플링 신호를 피드백 신호로서 출력하는 스위치 유닛과,
    상기 스위치 유닛이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송신될 상기 신호를 샘플링하여 상기 샘플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샘플링 신호를 상기 스위치 유닛에 입력하는 샘플링 유닛과,
    상기 스위치 유닛이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으로부터 송신될 상기 신호를 처리하여, 처리된 신호를 상기 샘플링 유닛으로 제공하고, 송신될 상기 신호의 전력을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전력 보상 신호에 따라 조정하는 송신 모듈과,
    상기 샘플링 신호를 상기 스위치 유닛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스위치 유닛이 상기 송신기 모드로 스위칭될 때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으로 상기 샘플링 신호를 제공하는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샘플링 유닛으로부터 상기 메인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수신기 모드 선택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유닛이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샘플링 유닛으로부터 상기 수신 모듈로 상기 샘플링 신호를 피드백하는 샘플링 스위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은
    송신 전력에 관한 신호 및 송신 전력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기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과,
    상기 샘플링 신호 및 상기 송신 전력에 관한 상기 신호에 따라 전력 비교 신호를 계산하고 상기 전력 계산 신호를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신호 및 상기 전력 비교 신호에 따라 생성하는 전력 보상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보상 신호 생성 모듈은
    상기 샘플링 신호에 따라 실제의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실제 전력 계산 유닛과,
    상기 실제 전력 계산 유닛에 의해 계산된 상기 실제의 출력 전력과 상기 송신 전력에 관한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비교 신호를 획득하는 비교 유닛과,
    상기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에 의해 제공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신호와 상기 비교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력 비교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전력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보상 신호 생성 모듈은
    실제 출력 전력을 상기 샘플링 신호에 따라 계산하는 실제 전력 계산 유닛과,
    상기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송신 전력에 관한 상기 신호에 따라 예상된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예상 전력 계산 유닛과,
    상기 실제 전력 계산 유닛에 의해 계산된 상기 실제 출력 전력과 상기 예상 전력 계산 유닛에 의해 계산된 상기 예상 출력 전력에 따라 상기 전력 비교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비교 유닛과,
    상기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에 의해 제공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신호와 상기 비교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전력 비교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전력 보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유닛은 상기 실제 출력 전력과 상기 송신 전력에 관한 상기 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전력 비교 신호를 획득하는 모바일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TDD 모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모바일 단말기.
  9. TDD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송신 모드에 있을 때 수신기 모드 혹은 송신기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송신될 신호를 메인 신호와 샘플링 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메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샘플링 신호를 피드백 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와,
    전력 보상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샘플링 신호에 따라 송신될 상기 신호의 전력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스위치 유닛은 수신기/송신기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수신기 모드 혹은 송신기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수신 모듈은 상기 샘플링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송신기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샘플링 신호를 상기 피드백 신호로서 출력하는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될 상기 신호를 조정하는 단계는 수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 및 전력 보상 신호 생성 모듈에 의해 완성되며,
    상기 수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은 상기 수신된 샘플링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샘플링 신호를 상기 전력 보상 신호 생성 모듈에 제공하며,
    상기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은 송신 전력에 관한 신호와 송신 전력 제어 신호를 상기 전력 보상 신호 생성 모듈에 제공하며,
    상기 전력 보상 신호 생성 모듈은 상기 처리된 샘플링 신호 및 상기 송신 전력에 관한 신호에 따라 전력 비교 신호를 계산하며, 상기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보상 신호 생성 모듈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상기 처리된 샘플링 신호에 따라 실제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실제 출력 전력 및 상기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으로부터의 송신 전력에 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비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신호와 상기 전력 비교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전력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보상 신호 생성 모듈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은
    상기 처리된 샘플링 신호에 따라 실제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송신 전력에 관한 상기 신호에 따라 예상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실제 출력 전력 및 상기 예상 출력 전력에 따라 상기 전력 비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 베이스밴드 처리 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신호 및 상기 전력 비교 신호를 결합하고, 결합된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전력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의 출력 전력 및 상기 송신 전력에 관한 신호에 따라 상기 전력 비교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TDD 모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방법.
  17.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실제의 송신 전력을 샘플링하는 전력 샘플링 모듈과,
    수신된 전력 샘플링 신호에 따라 상기 실제 출력 전력과 예상된 출력 전력을 비교하는 전력 판단 모듈과,
    상기 전력 판정 모듈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전력 보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실제의 출력 전력을 보상하기 위한 전력 보상 모듈을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장치.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장치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될 신호 전력을 샘플링하여 실제의 송신 전력의 샘플링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샘플링 신호에 따라 예상된 송신 전력과 상기 실제 송신 전력을 비교하며, 상기 샘플링 수단에 의해 송신될 신호의 전력을 비교 결과에 따라 조정하는 송신 전력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
    송신기 장치.
KR1020057011820A 2002-12-27 2003-12-23 Tdd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기 및그를 위한 방법과 송신 전력 제어 장치 KR20050095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2158992.5 2002-12-27
CNA021589925A CN1512801A (zh) 2002-12-27 2002-12-27 具有控制发射功率的移动终端及其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594A true KR20050095594A (ko) 2005-09-29

Family

ID=3266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820A KR20050095594A (ko) 2002-12-27 2003-12-23 Tdd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기 및그를 위한 방법과 송신 전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579594A1 (ko)
JP (1) JP2006512828A (ko)
KR (1) KR20050095594A (ko)
CN (1) CN1512801A (ko)
AU (1) AU2003288631A1 (ko)
TW (1) TW200520425A (ko)
WO (1) WO2004059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4648B2 (ja) * 2004-10-06 2011-03-23 株式会社ケンウッド 無線通信機の送信出力調整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02202022B (zh) * 2011-03-31 2014-02-05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dpd系统中保护功放的方法及装置
CN103490790B (zh) * 2013-09-04 2015-05-20 乐鑫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支持IEEE802.11ac和IEEE802.11n标准的低功耗优化接收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056A (ja) * 1993-09-24 1995-06-02 Hitachi Ltd 移動体通信装置
JPH10173547A (ja) * 1996-12-11 199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出力検出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0425A (en) 2005-06-16
WO2004059873A1 (en) 2004-07-15
CN1512801A (zh) 2004-07-14
JP2006512828A (ja) 2006-04-13
EP1579594A1 (en) 2005-09-28
AU2003288631A1 (en)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8428A (en) Power control circuit for transmission apparatus
EP2983298B1 (en) Compensator module for a transceiver unit, radio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346204B1 (ko) 수신기 이득의 계측 및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의 측정을위한 통합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RU2004118500A (ru) Ретранслятор, осуществляющий управление мощностью обратной линии связи
JPH09321681A (ja) 送信電力制御装置
WO2021023155A1 (zh) 增益补偿方法
US20070142007A1 (en) Control method for producing a ramp of output power and transmitter utilizing the same
US7590082B2 (en) Radio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method
KR100890634B1 (ko)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rf 중계 장치 및 그 방법
US7787841B2 (en) Receiving module and receiving device using the same
JP5036109B2 (ja) 無線送信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JP3958275B2 (ja) 携帯端末機の出力電力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2290263A (ja) 無線通信装置
WO2017183224A1 (ja) アクティブアンテナシステム
KR20050095594A (ko) Tdd 모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기 및그를 위한 방법과 송신 전력 제어 장치
EP1670156A1 (en) Array antenna receiver apparatus and received signal correcting method
KR20020041516A (ko) 중계기 및 무선 주파수 시스템의 자동 이득 설정 방법
JP3197467B2 (ja) 送信出力制御装置
JP4337085B2 (ja) Agcの温度補正方法、その温度補正装置、これを用いた通信端末、及び携帯電話機
KR1002233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추적장치 및 방법
KR2006003228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알에프 송신 전력 보상 장치 및 방법
KR20010011515A (ko) 무선가입자접속장치의 송수신 신호 전력레벨 제어 방법
KR100439221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장치
KR2001010405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pdm 신호를 이용한 송신전력제어장치
KR100252784B1 (ko) 이동통신기기의송신출력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