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20850A -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850A
KR20050020850A KR1020030058150A KR20030058150A KR20050020850A KR 20050020850 A KR20050020850 A KR 20050020850A KR 1020030058150 A KR1020030058150 A KR 1020030058150A KR 20030058150 A KR20030058150 A KR 20030058150A KR 20050020850 A KR20050020850 A KR 20050020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olyethylene
sound absorbing
sound
insulating materi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3043B1 (ko
Inventor
심석범
Original Assignee
(주)뉴테크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테크 코리아 filed Critical (주)뉴테크 코리아
Priority to KR1020030058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0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주원료인 폴리에틸렌계 폐합성수지 87∼99중량%, 원료의 배합을 균일하게 하며 셀을 보호하기 위한 오일 0.05∼0.1중량%, 성형품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 6.0∼7.8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흡차음재 패드는 효과적인 흡음 및 차음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폐기된 합성수지를 재활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자원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SOUND-ABSORBING MATERIALS}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안락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의 조건에 대한 요구가 증폭되고 있는 반면, 건물 내ㆍ외부로부터의 소음원은 크게 증가하여 요구에 역행하게 된 실정이다.
특히, 공동으로 사용되는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층간 소음 및 진동에 대한 문제가 야기되었으며, 이에 따라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흡음 및 흡진이 가능한 흡차음재 패드를 건축물 슬래브에 깔고, 이 흡차음재 패드 위에 보일러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연구 및 시행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흡차음재 패드는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층간 소음이 50데시빌 이하로 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흡음 및 차음에 한계가 발생하여 주거자들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값비싼 원료를 이용하여 흡차음재 패드를 제조함으로써 제조비용 등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제조비용의 상승은 주거자들에게 부담을 안겨주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효과적인 흡음 및 차음이 이루어지도록 한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기된 합성수지를 재활용함으로써 산업자원의 낭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페합성수지를 이용한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원료인 폴리에틸렌계 폐합성수지 87∼99중량%, 원료의 배합을 균일하게 하며 셀을 보호하기 위한 오일 0.05∼0.1중량%, 성형품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 6.0∼7.8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흡차음재 패드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흡차음재 패드는 산업상 등으로 이용되었다가 폐기된 폴리에틸렌수지를 수거하여 제조된다.
상기 흡차음재 패드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1)과 두께가 큰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2)이 접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소음에 대한 감쇄원리는 크게 스프링요소와 질량요소로 구성되는데, 스프링요소에 의해서는 주로 흡음이, 질량요소에 의해서는 차음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1)에서는 주로 차음이 이루어지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2)에서는 흡음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2)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발포층은 한 종류 이상의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를 함유하는 층으로서, 그 발포 배율이 1.5배를 초과하는 층이다. 발포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 40배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 10배 이하이다. 발포 배율을 상기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단열성 및 강도에 있어서 우수한 폴리에틸렌계 흡차음재 패드를 수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포층의 발포 배율은 첨가하는 발포제의 양 및 성형과 같은 흡차음재 패드 제조 도중의 물리적 조건을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흡차음재 패드는, 액상의 폴리에틸렌수지를 고밀도로 발포 성형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1)을 형성한 후, 이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1) 위에 액상의 폴리에틸렌수지를 투입하여 저밀도로 발포 성형하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2)이 형성되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과 일체로 접합되는 것이다.
이 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1)과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2)은 동일 재료로 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열융착이 잘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흡차음재 패드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48∼52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19∼23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20∼24중량%, 오일 0.05∼0.15중량%, 첨가제 6∼7.8중량%의 조성물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50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21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 22.9중량%, 오일 0.1중량%, 첨가제 6.9중량%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첨가제는 키세롤 0.5∼1.5중량%, 탈크 1.0∼2.6중량%, 니트로 셀루로스 0.3∼0.7중량%, 그라스 울 2.0∼2.4중량%, 그라스 비드 0.3∼0.7중량%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첨가제는 발포체의 인장력을 유지해 주면서 발포체에 강성을 부여해 준다.
상기 오일은 원료의 발포시 원료들이 원활하게 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셀(Cell)이 허물어지지 않도록 보호해 주며, 이와 함께 발포를 적정 범위 내에서 진행되도록 억제해 준다.
이러한 흡차음재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원료통에 저장되어 있는 폐기 처분된 폴리에틸렌계 합성수지를 로더가 재생압출기(10)에 장착된 호퍼(11)로 투입하면, 재생압출기(10)는 원료를 가열 및 압축하여 일정한 크기로 압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출된 원료는 냉각조(20)에서 소정 시간 냉각작업을 거친 뒤, 절단기(30)에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다.
절단된 원료는 혼합기(40)에 의해 첨가제가 혼합된 후, 발포기(50)에서 가열, 압축 및 발포하여 발포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발포체는 그 표면에 강도를 높이기 위한 코팅작업 및 표면 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폴리싱작업을 진행한 뒤에, 정해진 규격에 따라 절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가진 흡차음재 패드는 건축물 뿐만 아니라 흡음 및 차음이 요구되는 모든 부분, 예컨대 자동차의 내외장재 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흡차음재 패드는 효과적인 흡음 및 차음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폐기된 합성수지를 재활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자원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흡차음재 패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흡차음재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설비를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
2 ; 저밀도 폴리에틸렌 발포층

Claims (3)

  1. 주원료인 폴리에틸렌계 폐합성수지 87∼99중량%, 원료의 배합을 균일하게 하며 셀을 보호하기 위한 오일 0.05∼0.1중량%, 성형품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제 6.0∼7.8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흡차음재 패드 전체 중량%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48∼52중량%,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9∼23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20∼24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흡차음재 패드 전체 중량%에 대하여 키세롤 0.5∼1.5중량%, 탈크 1.3∼2.3중량%, 니트로 셀루로스 0.2∼0.8중량%, 그라스 울 1.7∼2.7중량%, 그라스 비드 0.2∼0.8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
KR1020030058150A 2003-08-22 2003-08-22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 KR100603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150A KR100603043B1 (ko) 2003-08-22 2003-08-22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150A KR100603043B1 (ko) 2003-08-22 2003-08-22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850A true KR20050020850A (ko) 2005-03-04
KR100603043B1 KR100603043B1 (ko) 2006-07-24

Family

ID=3722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150A KR100603043B1 (ko) 2003-08-22 2003-08-22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305B1 (ko) * 2016-11-01 2018-07-04 원풍물산주식회사 차량용 플로워카페트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0036129A1 (ja) * 2018-08-14 2020-02-20 Nok株式会社 ポリエーテルエーテルケトン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およびシール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3043B1 (ko) 200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P0300270A2 (hu) Eljárás magasabb hőmérsékleten alkalmazható poliolefin hab előállítására, a kapott cellás szerkezetű hab és annak alkalmazása
KR20140131630A (ko) 자동차용 흡차음 강화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75872B1 (ko) 자동차용 방음재와 그 제조방법
HU210580B (en) Cellular gypsum with porous structure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CN1321150C (zh) 热塑性发泡nvh材料及其制造方法
KR100387653B1 (ko)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KR100603043B1 (ko) 흡차음재 패드의 조성물
KR0156348B1 (ko)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및 그에 의한 적층재
CN208006880U (zh) 一种复合吸音材料
EP1016511B1 (en) Molded body of thermoplastic resin having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KR101305391B1 (ko) 압출시트를 이용한 자동차용 복합기재의 제조방법
CN106554578A (zh) 利用固体废弃物制备的声音屏障板
KR101364437B1 (ko) 자동차용 복합기재의 제조방법
KR200284537Y1 (ko) 단열 방진용 단열재
KR100939035B1 (ko) 이형소재를 혼합성형하여 얻어지는 판재와 그 제조방법
CN115304844A (zh) 高密度聚乙烯防水片材、制备方法及高密度聚乙烯防水卷材
KR100533082B1 (ko) 흡차음재 패드의 제조설비
KR100407780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37501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를 포함하는 층간 차음재
JP5008061B2 (ja) 車両の防音構造
KR20220050480A (ko) 차음 성능이 향상된 차음재, 및 이를 포함하는 흡차음재
KR20050027603A (ko) 컨테이너 및 화물자동차 바닥재용 보드
KR102440836B1 (ko) 차량용 복합소재
KR102320372B1 (ko) 건축물 단열재용 접착 필름
KR100729234B1 (ko) 바닥충격음 차단용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41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