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6348B1 -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및 그에 의한 적층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및 그에 의한 적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348B1
KR0156348B1 KR1019950026733A KR19950026733A KR0156348B1 KR 0156348 B1 KR0156348 B1 KR 0156348B1 KR 1019950026733 A KR1019950026733 A KR 1019950026733A KR 19950026733 A KR19950026733 A KR 19950026733A KR 0156348 B1 KR0156348 B1 KR 015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asphalt
particles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851A (ko
Inventor
전종윤
전용철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전종윤
남양특수고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윤, 남양특수고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종윤
Priority to KR101995002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348B1/ko
Publication of KR97001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08J9/1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developing nitrogen, the blowing agent being a compound containing a nitrogen-to-nitrogen bond
    • C08J9/104Hydrazines; Hydrazides; Semicarbazides; Semicarbazones; Hydrazones; Derivatives thereof
    • C08J9/105Hydrazines; Hydrazides; Semicarbazides; Semicarbazones; Hydrazones;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07Cor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점탄성을 갖는 천연고무 및 각종 합성고무에 콜크입자, 폐고무입자, 제진성 충전제, 제진 및 방진특성 부여제, 차음 및 방음특성 부여제등을 혼입하고 가교제와 발포제를 배합하여 쉬트화 한 후, 이 혼합물을 고온에서 상압가교발포시켜, 발포체 내부 및 외부에 기공과 요철면을 갖도록 하면서 일체 성형하여 방음, 차음, 제진, 방진 및 단열특성이 우수한 건축용 적층재를 제조하였다.

Description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및 그에 의한 적층재
제1도는 고층건물 바닥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차음, 방음, 제진, 방진 및 단열 역할을 하는 적층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마감재(장판 혹은 타일) 2 : 약액몰탈층(섬유보강재 혼합)
3 : 배관 4 : 경랑기포콘크리트
5 : 제진층 6 : 콘크리트 슬라브
7 : 기공을 가진 기능성 고무계 발포체 8 : 콜크입자
9 : 폐고무입자 10 : 내부발포기공
11 : 외부요철면(외부기공) 12 : 박막층
13 : 필림층
본 발명은 건축용 적층재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가지 방음, 차음, 제진, 방진 및 단열특성이 우수기능성재질을 복합구성시켜준 고무계 발포체 조성물과 그것을 이용한 적층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등의 고층건물의 바닥은 도면 제1과 같이 콘크리트슬라브(6)위에 장판 혹은 타일(1), 몰탈(2), 배관(3), 경량기포콘크리트(4), 및 제진층(5)을 차례로 적층 구성하고 있으나 제진층(5)에 해당되는 부분이 중요시되지 않아 기존의 건물에선 층간의 소음 및 각종 충격음이 상하층에 전달되어 소음공해와 사생활의 침해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와같은 각종 소음과 충격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진층(5)의 도입을 추구하여 우레탄스폰지, 스티로폴등의 단순한 발포체나 고무를 기초로한 제진판 혹은 글라스울등을 깔아왔으며, 최근에는 콜크입자 혹은 폐고무 입자를 단순한 수지계 바인더로 쉬트화하여 제진층으로 사용하거나 개질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진재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들 발포체나 제진판들은 단순한 구조물로 되어 있어 각각이 나름대로 기능을 수행하지만, 쾌적한 주거 및 사무환경에 필요한 차음, 방음, 제진 및 방진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여, 건물완성 후 바닥을 통하여 층간의 소음이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아스팔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내열성이 좋지 않아 온도상승시 흘러내리거나 온도변화, 진동등에 의한 콘크리트 조성물의 균열발생시 쉽게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실용공고 93-7801호에서 폴리우레탄발포층과 고무층등이 적층된 새로운 흡음 제진판을 제공하여 어느정도 흡음제진성을 확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점탄성을 갖는 고무흡음특성이 우수한 콜크입자, 폐고무입자, 제진성 충전제, 기타 제진 및 방진특성 부여제, 차음 및 방음특성 부여제등을 혼입하고 가교제와 발포제를 배합하여 이들 물질이 강한 결합을 이루면서 쉬트화시킨 후 이 혼합물을 고온에서 상압가교발포시켜 일체화한 방음, 차음, 제진 방진 및 단열특성이 우수한 건축용 적층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주재로 하여 다공성 경량재질, 충전제, 아스팔트 및 가교제를 혼련배합하여 고온에서 상압발포처리한 표면이 요철을 이루도록 성형한 것의 상하면의 박막층의 필림층을 적층구성시킨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르면, 제진, 방진, 차음, 방음 및 단열등의 기능을 갖는 각종 재료들을 고무용 가교제 및 발포제와 함께 천연고무 및 각종 합성고무에 배합하고 고온에서 상압가교발포시켜 얻은 적층재를 단독으로 건축용 바닥재나 벽간의 내장재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제2도의 필림층(13)과 박막층(12)을 삭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로는 상기 다기능성 적층재의 상부 혹은 하부에 박막층(12)과 필림층(13)을 부착하여 방음, 차음 및 제진, 방진의 기능을 보완해 줄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기능성 적층재 상부에 고분자 필림이나 아스팔트 함침 종이패드(13)를 깔아 차음의 효과를 높이게 할 뿐 아니라 본 적층판위에 놓이게 될 경량콘크리트의 혼합물이 적층판 아래로 새어나가 하부의 콘크리트층과 직접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역할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고무로는 천연고무 및 이소프렌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삼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2-폴리부타디엔 고무, 염소화고무, 클로로설폰화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고무, 브로모-부틸고무, 염소화-부틸 고무, 재생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액상 염화고무, 액상 폴리부타디엔 고무, 액상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이오너머등의 각종 합성고무를 단독으로 혹은 블렌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재료로는 다공성경량 재질을 사용되는데, 차음 및 방음의 목적으로 콜크입자, 종가루, 금속분말, 스티로폴입자 및 왕겨나 목편같은 식물성 섬유질을 사용할 수 있고, 제진 및 방진의 목적으로 침상 및 칩상의 폐고무입자, 제진성 충전제 및 아스팔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브와 프로세스오일 및 가소제들은 충격흡수성 및 제진성등의 특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콜크입자는 입자크기가 0.5mm∼20mm정도인 칩상의 콜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폐고무 입자는 입자크기가 0.1mm∼20mm정도인 칩상 혹은 침상의 폐고무 입자로, 폐타이어입자도 사용할 수 있다. 콜크입자와 폐고무 입자는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400중량부, 좋게는 50∼300중량부 사용이 가능하다. 조성성분이 10중량부일 이하일 경우에는 기능성 발포체에서 원하는 흡음, 제진 및 단열성을 나타낼 수 없으며, 400중량부 이상에서는 고무혼련 작업시 작업성이 나빠지며, 안정한 발포체를 제조하기가 곤란하고 탄성이 저하된다.
제진성 충전제로는 황산바륨, 황산칼슘, 마이카, 탈크, 클레이, 흑연,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카아본블랙, 실리카, 각종 위스커 및 각종 금속분말가루분을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3∼150중량부 사용할 수 있으며, 좋게는 5∼100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조성성분이 3중량부 이하일 경우에는 다기능성 발포체에 제진특성을 크게 부여할 수 없으며, 150 중량부 이상에서는 다기능성 발포체의 경도가 높아지고 발포체의 제조가 원활하게 되지 못한다.
제진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 아스팔트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부라운 아스팔트, 개질 아스팔트등을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100중량부 사용할 수 있으며, 좋게는 2∼80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아스팔트를 0.05중량부 이하로 사용할 경우에는 아스팔트 첨가에 의한 제진특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으며, 100중량부 이상에서는 고무배합물의 가공작업시 작업성이 나빠지며, 발포체의 안정성이 나빠진다.
이들 기능성 조성물들은 각기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함에 따라 본래 가지고 있는 각각의 기능에 상호 보완적인 기능이 배가되어 그 조성물은 아주 우수한 흡음, 차음, 제진, 방진 및 단열등이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들 기능성 조성물들이 혼합된 고무계 혼합물을 가교시키기 위해서 가교제로는 고무가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황, 불용성 황 및 유기과산화물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는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5중량부, 좋게는 0.2∼4중량부 사용이 가능하다. 가교제 성분이 0.05중량부 이하에서는 원활한 가교가 진행되지 못하여 발포제가 불안정하고 발포체의 탄성이 떨어지며, 5중량부 이상에서는 발포체가 높은 가교율로 인해 경도가 높고 취화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한편 고무 가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무배합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가교조제를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4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혼련된 고무화합물을 발포체로 제조하기 위하여 발포제로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계,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계, 파라-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계, 파라-톨루엔설포닐아세톤히드라존, 옥시비스(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계, 파라-톨루엔설포닐세미카바지드계등을 단독으로 혹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포제는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10중량부, 좋게는 0.2∼8중량부 사용이 가능하다. 발포제 성분이 0.05중량부 이하에서는 원활한 발포가 진행되지 못하여 발포체의 경도가 높고 탄성이 떨어지며, 10중량부 이상에서는 발포체가 과발포 인해 발포체 표면이 거칠고 발포체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나타낸다. 발포제의 발포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무배합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발포조제를 고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5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기능성 고무계스폰지제조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에 일반고무배합에 사용되는 연화제, 점착부여재, 소련제, 분산조제, 활제, 안정제, 가공조제등의 고무약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건축용 제진 및 차음재로서 다양한 기능성 재질을 복합화하여 가교제, 발포제와 함께 고무에 배합하여 고온에서 상압가교발포를 시켜 발포체를 제조함으로써, 종래의 쉬트접착 형태의 단순한 발포체, 고무계 제진층, 개질아스팔트조성물, 콜크쉬트 및 폐고무쉬트에 비하여 차음, 흡음, 제진, 방진 및 단열등의 특성에 아주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건축용적층재로서 요구되는 경량, 중량 충격음을 흡수하는 성능이 탁월하며,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에서 흘러내리거나 콘크리트 조성물의 피로에 의한 재질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게 되는 장점을 부여할 수 있다.
기능성 재료들을 혼련하는 배합은 기존의 고무배합에 사용되고 있는 반바리믹서, 니이더, 오픈롤밀, 카렌더등을 사용하여 혼합 및 쉬트화 할 수 있다. 쉬트성형된 다기능성 고무혼합물의 가교발포는 가교계 및 발포제의 분해온도에 따라 정해진 온도챔버내에서 상압가교발포를 시키며, 이때 생성된 다기능성 고무계 발포체 내부의 기포(셀)와 발포체 표면 및 바닥면의 울통불퉁한 요철면에 의해 생긴 외부기포는 건축용 적층제를 구성하였을 때, 기공에 의한 경량 및 중량 충격음의 흡수와 단열특성을 부여하며, 진동을 완충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다기능성 발포체의 상부 혹은 하부에는 댐핑 쉬트 혹은 금속박막을 부착하여 방음, 차음 및 제진, 방진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또는 상기 발포체에 고분자필림이나 아스팔트 함침종이패드를 덧붙여 차음의 효과를 높이게 할 뿐 아니라 본 적층판위에 놓이게 될 경량기포 콘크리트의 혼합물이 적층판 아래로 새어나가 하부의 콘크리트층과 직접 닿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격음 전달을 막아주는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되며, 추가로 구성된 이 기능성층에 의해 차음 및 제진의 기능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이때 필림층은 기존의 PE, PP EVA등의 각종 수지필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종이패드로는 목편이나 펄프를 주로하여 제조된 종이 석유아스팔트를 함침시켜 얻은 아스팔트함침 종이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기능성 고무계 발포체 및 이를 기초로 한 적층체는 건축용 이외에 항공기, 철도, 차량등의 운송수단, 우주항공분야, 산업용기계의 내장재로서 연속생산라인의 자동화공법에 도입되어 우수한 차음, 방음, 방진, 제진 및 단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연고무(NR)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를 고무성분으로 사용하고 탄산칼슘,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콜크입자, 폐고무입자, 프로세스오일들을 표1의 조성비의 의해 투입하여 니이더에서 혼련시킨 후, 여기에 가교제로 황과 가교조제 및 아조계 발포제를 투입하여 오픈롤민에서 약 10분간 더 훈련시켜 혼합물 쉬트를 얻었다. 이것을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내부온도가 약 180℃인 고온챔버에서 약 5분간 숙성시켜 상압가교발포시켜 기능성 발포체를 제조하였으며, 그 특성을 표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기능성 발포체는 기존의 제진제 보다 차음, 흡음 및 충격음의 흡수능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2]
천연고무(NR)와 부틸고무(IR)을 고무성분으로 사용하고 카아본블랙, 탄산칼슘,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콜크입자, 폐고무입자, 아스팔트, 프로세스오일들을 표1의 조성비에 의해 투입하여 니이더에서 혼련시킨 후, 여기에 가교제로 황과 가교조제 및 아조계 발포제를 투입하여 오픈롤밀에서 약 10분간 더 혼련시켜 혼합물 쉬트를 얻었다. 이것은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내부온도가 약 180℃인 고온챔버에서 약 5분간 숙성시켜 상압가교발포시켜 기능성 발포체를 제조하였으며, 그 특성을 표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기능성 발포체는 제진재보다 차음, 흡음, 특히 제진성능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3]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삼원 공중합체(EPDM),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를 고무성분으로 사용하고 탄산칼슘, 마이카,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콜크입자, 폐고무입자, 프로세스오일들을 표1에 조성비에 의해 투입하여 니이더에서 혼련시킨 후, 여기에 가교제로 디큐밀퍼옥사이드와 가교조제 및 발포제를 투입하여 오픈롤밀에서 약 10분간 더 혼련시켜 혼합물 쉬트를 얻었다. 이것을 이송장치를 사용하여 내부온도가 약180℃인 고온챔버에서 약 5분간 숙성시켜 상압가교발포시켜 기능성 발포체를 제조하였으며, 그 특성을 표2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기능성 발포체는 제진재 보다 차음, 흡음, 특히 제진성능이 우수하였다.
[비교예]
현재 통용되고 있는 단순한 폴리우레탄 스폰지와 콜크쉬트를 비교예로 제조하여 그 특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폴리우레탄 스폰지는 기존의 상용화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된 비중이 약 0.8g/㎤인 제진재용 스폰지를 사용하였다. 콜크쉬트는 기존의 사용화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수지바인더로 사용하여 콜크입자를 쉬트화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이들 쉬트들의 두께는 약 10mm로 규격화하여 시험하였다..
[시험방법]
KSF2810 (건축물의 현장에 있어서 바닥충격음의 측정방법) 에 준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경량충격원은 태핑머신(Tapping machine, BK사 Type 3204)을 사용하였고, 중량충격원은 타이어(Tire, 일본 YOKOHANA사)를 사용하였다. 측정위치는 대각선 중앙점과 벽체에서 1m떨어진 대각선 상의 4곳을 합쳐 5곳을 선정하였고 수음실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5곳을 선정하여 각각 3회씩 15회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취하였다. 마이크로폰의 측정위치는 바닥위 1.5m로 하였고, 측정 주파수는 50∼5000㎐까지를 ⅓옥타브 밴드로 측정한 뒤 1옥타브 밴드로 환산하였다.

Claims (8)

  1. 차음, 방음, 제진, 방진 및 단열기능을 갖도록 고무와 경량재질을 혼련 성형하는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 조성물에 있어서, 고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다공성 경량재질 10∼100중량부, 제진성 충전제 3∼150중량부, 아스팔트 0.05∼100중량부, 가교제 0.05∼5중량부 및 발포제 0.05∼4중량부를 혼련하여 180℃이상의 고온에서 상압가교 발포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고무가 천연고무 및 이소프렌고무, 스티렌부타디엔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삼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2-폴리부타디엔 고무, 염소화고무, 클로로설폰화 고무,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브로모-부틸 고무, 염소화-부틸 고무, 재생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액상염화 고무, 액상폴리부타디엔 고무, 액상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이오너머등의 합성고무의 단독 혹은 2이상 혼합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경량재질은 콜크입자, 종이가루, 금속분말, 스티로폴입자 및 왕겨나 목편 같은 식물성섬유질, 칩상의 폐고무입자 아스팔트등이 혼합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콜크입자는 입경이 0.5∼20mm이고 폐고무입자는 입경이 0.1∼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제진성 충전제가 황산바륨, 황산칼슘, 마이카, 탈크, 클레이, 흑연,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카본블랙, 실리카, 각종 위스커 및 금속분말의 단독 도는 그이상 혼합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아스팔트가 스트레이트아스팔트, 브라운아스팔트, 개질아스팔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발포제가 아조디카본아마이드계,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민계, 파라톨루엔설포닐히드라지드계, 파라톨루엔설포닐아세톤히드라존, 옥시비스(벤젠설포닐히드라지드)계, 파라-툴루엔설포닐세미카바지드계등의 단독 혹은 그이상 혼합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8. 상면에 합성수지계 필름 혹은 아스팔트 함침종이패드로 되는 필름층(가)을 부착하고, 하면에는 펠트, 댐핑시트 또는 콜크시트 또는 금속박막으로 되는 박막층(나)을 부착하며, 중앙에는 다공성고무층(7)에 다공성 경량재질(6)과 폐고무입자(9)를 무작위배역하여 준상하면에 불규칙한 요철면(20)이 형성된 중앙층(다)으로 구성되는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
KR1019950026733A 1995-08-26 1995-08-26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및 그에 의한 적층재 KR0156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733A KR0156348B1 (ko) 1995-08-26 1995-08-26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및 그에 의한 적층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733A KR0156348B1 (ko) 1995-08-26 1995-08-26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및 그에 의한 적층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851A KR970010851A (ko) 1997-03-27
KR0156348B1 true KR0156348B1 (ko) 1998-12-01

Family

ID=1942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733A KR0156348B1 (ko) 1995-08-26 1995-08-26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및 그에 의한 적층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34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153A (ko) * 2001-12-14 2002-02-15 유송학 방음 시공 방법
KR100315461B1 (ko) * 1998-09-05 2002-02-19 김창수, 박승, 현승훈 건축용내장재의패널
KR100485954B1 (ko) * 2001-11-19 2005-04-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올레핀-고무 복합 고분자 발포체
KR100734945B1 (ko) * 2006-12-27 2007-07-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량 및 중량 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는 제진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0792129B1 (ko) * 2006-10-20 2008-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숯을 포함하는 발포성 스티렌계 수지 입자의 제조방법
KR100877198B1 (ko) * 2007-02-26 2009-01-09 덕양산업 주식회사 콜크를 이용한 경량성 흡차음 댐핑 발포 시트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144B1 (ko) * 1997-10-24 2000-03-15 정몽규 폐고무를 이용한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KR100504148B1 (ko) * 2001-08-22 2005-07-27 주식회사 세라그린 방진용 고무발포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진용 고무발포체
KR100829345B1 (ko) * 2006-10-18 2008-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숯을 포함하는 발포성 스티렌계 수지 입자, 그 제조방법및 그 수지 입자로 제조된 발포 성형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5461B1 (ko) * 1998-09-05 2002-02-19 김창수, 박승, 현승훈 건축용내장재의패널
KR100485954B1 (ko) * 2001-11-19 2005-04-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올레핀-고무 복합 고분자 발포체
KR20020012153A (ko) * 2001-12-14 2002-02-15 유송학 방음 시공 방법
KR100792129B1 (ko) * 2006-10-20 2008-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숯을 포함하는 발포성 스티렌계 수지 입자의 제조방법
KR100734945B1 (ko) * 2006-12-27 2007-07-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량 및 중량 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는 제진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100877198B1 (ko) * 2007-02-26 2009-01-09 덕양산업 주식회사 콜크를 이용한 경량성 흡차음 댐핑 발포 시트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851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641B1 (ko) 층간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US4734323A (en) Vibration damping soundproof sheets for use in vehicles
KR0156348B1 (ko) 건축용 다기능 적층재조성물 및 그에 의한 적층재
KR100308254B1 (ko)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복합재
KR101361749B1 (ko)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복합 발포층 및 폴리우레탄 발포층을 포함하는 층간 차음재
KR100504148B1 (ko) 방진용 고무발포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진용 고무발포체
JPH02209936A (ja) 制振、遮音材用組成物
KR100750628B1 (ko) 차음성이 우수한 건축용 소음차단재
KR20090076747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방진구
JPH0443505B2 (ko)
KR100729234B1 (ko) 바닥충격음 차단용 수지 조성물
JPH09314753A (ja) 制振防音材
JPH1135720A (ja) 振動吸収発泡体及び木質防音床材
JPH09123326A (ja) 制振・遮音シート
JPH0524142A (ja) 車両用制振防音シート
JPH0375370B2 (ko)
KR0176006B1 (ko) 건축용 방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70453Y1 (ko) 고기능성 제진 완충재
JPH04269263A (ja) 防音床材
JPH10264324A (ja) 床用断熱・緩衝・制振材および断熱・防音・制振床体
KR20090010378U (ko) 차음재
JPH02112929A (ja) 発泡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995791B2 (ja) 複合防音床材
KR19990018296A (ko) 차음재 조성물
KR20060072957A (ko) 열가소성탄성체 및 왕겨 등이 포함된 건축물의 층간소음저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2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9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8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