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14496A -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496A
KR20050014496A KR1020030053149A KR20030053149A KR20050014496A KR 20050014496 A KR20050014496 A KR 20050014496A KR 1020030053149 A KR1020030053149 A KR 1020030053149A KR 20030053149 A KR20030053149 A KR 20030053149A KR 20050014496 A KR20050014496 A KR 20050014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topper
cam
guide
cam foll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564B1 (ko
Inventor
양경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564B1/ko
Priority to CNB2004100317215A priority patent/CN100429908C/zh
Priority to US10/903,036 priority patent/US7528886B2/en
Priority to JP2004224308A priority patent/JP2005057765A/ja
Priority to CNB2004100556841A priority patent/CN100435537C/zh
Publication of KR2005001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56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힌지축상에 축합설치되는 원통형의 카메라하우징과;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에 카메라캠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외로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캠부와 결합되어 움직이는 캠종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의 축방향이동을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캠종동부와 결합되는 가이드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캠부에는 상기 캠종동부를 고정시키는 제 1 스토퍼걸림부와 제 2 스토퍼걸림부가 형성된 스토퍼가이드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카메라하우징 외부로 밀어내는 축방향힘을 가하고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A Camera Mounted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축상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카메라하우징에 놓이게 하거나 돌출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힌지축상에 카메라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는, 메인 PCB와 키입력장치(11) 등이 구비되는 제 본체(10)와, 메인표시화면(21)이 구비된 폴더(20)와, 본체(10)와 폴더(20)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30)와, 힌지축(a-a`)상에 축합설치되는 디지털카메라(40)를 포함한다.
본체(10) 및 폴더(20)는 FPCB에 의해 신호연결이 이루어지며, 본체(10)와 디지털 카메라(40)도 FPC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힌지부(30)는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 힌지통(31)과 그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제 1 힌지통(33)과, 그 사이에 놓여지는 폴더(20)와 일체로 형성된 제 2 힌지통(35)을 포함한다.
제 1 /제 2 힌지통(33,35)을 관통하여 힌지핀(미도시)이 축설되며, 이에 의해 본체/폴더(10,20)가 힌지축(a-a`)을 중심으로 상대적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힌지축(a-a`) 상에 축합설치되는 카메라(40)는, 카메라렌즈(41)를 포함하는 렌즈어셈블리(미도시)와 렌즈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카메라통(43)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통(43)의 일측에는 렌즈홀(4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렌즈홀(45)을 통하여 렌즈(41)가 노출되어 사진촬영을 가능하게 한다.
카메라(40)는 그 일측에는 연결부(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연결부는 중앙힌지통(3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의 힌지통(31)에는 FPCB가 연결부에 감겨진 상태에서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FPCB의 일측단은 메인 PCB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카메라모듈에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카메라(40)의 외측단에는 촬영시 카메라(40)의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조절노브(47)가 축합 설치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의 카메라(40)를 사용하여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도조절노브(47)를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카메라통(43)을 회동시키고, 적당한 피사체의 영상을 찾은 후 사진촬영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힌지축상(a-a`)에 카메라(40)가 장착된 단말기(1)에서 카메라렌즈(41)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오염이나 훼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회전각도가 제한 되고 디자인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축 상에 장착되는 카메라가 카메라하우징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하여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카메라를 하우징의 내외부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현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가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2b,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절개 부분 사시도.
도 3a는 카메라가 돌출된 상태를 예시한 절개 부분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A-A`단면을 예시한 단면도.
도 4a는 카메라를 카메라하우징에 삽입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절개 부분측면도.
도 4b는 카메라와 스토퍼를 예시한 부분측면도.
도 4c는 카메라가 카메라하우징에 안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부분 측면도.
도 4d는 카메라가 카메라하우징에 안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카메라 111........카메라캠부
120.........카메라하우징 130........스토퍼가이드
131.........가이드홈 132........제 2 스토퍼걸림홈
133.........제 1 스토퍼걸림홈 134........가이드캠
140.........스토퍼 141........캠종동부
150.........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설치구조는, 폴더와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부를 가진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
힌지축상에 축합설치되는 카메라하우징과;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에 카메라캠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외로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캠부와 결합되어 움직이는 캠종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의 축방향이동을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캠종동부와 결합되는 가이드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캠부에는 상기 캠종동부를 고정시키는 제 1 스토퍼걸림부와 제 2 스토퍼걸림부가 형성된 스토퍼가이드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카메라하우징 외부로 밀어내는 축방향힘을 가하고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를 축방향으로 누르는 상태에 따라 스토퍼가 연동되며, 캠종동부가 상기 제 1 과 제 2스토퍼걸림부 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려져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외부로 돌출되거나 숨겨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캠부는 캠종동부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단에 상기 캠종동부를 제 1 스토퍼걸림부와 상기 가이드홈으로 선택적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캠은 그 자체에 의해 제 1 스토퍼걸림부를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쇄기가 겹쳐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홈은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캠부는 카메라 내측단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삼각형상의 다수개의 톱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캠종동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캠종동부는 환상의 스토퍼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토퍼가이드와 상기 카메라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캠종동부는 그 종단이 상기 톱니부의 경사면에 걸쳐진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부로 일정깊이 들어가서, 상기 캠종동부가 가이드홈에서 벗어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캠종동부가 상기 톱니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회전이동되어 상기 제 1 스토퍼걸림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는 본 발명은, 카메라를 힌지축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카메라를 카메라하우징의 내/외부의 어느 일측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2b, 도 2c는 각각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절개 부분사시도이다. 도 3a는 카메라가 힌지축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예시한 절개 부분사시도이고, 도 3b 는 도 3a의 A-A`단면을 보여주는 예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b의 상태에서 카메라를 누른경우 카메라가 카메라하우징으로 들어가는 과정을 예시한 절개 부분 측면도이고, 도 4b는 카메라와 스토퍼를 예시한 절개부분측면도이다. 도 4c는 스토퍼가 스토퍼걸림부에 안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절개 부분 측면도이고, 도 4d는 도 4c의 세부구성을 예시한 부분사시도이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의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100)를 포함하며, 힌지축상(b-b`)의 일측에는 카메라(110)가 축합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110)는 렌즈(110a)가 노출된 경우에 오염이나 훼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110)를 보관시에는 통상 카메라하우징(120)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카메라(110)로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110)를 카메라하우징(120)으로부터 돌출시켜고 촬영이 끝나면 다시 카메라하우징(120)에 내부에 집어넣게 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하우징(120)은 힌지축(b-b`)상에 본체의 힌지통과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하우징(120)의 내측에는 카메라(110)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카메라(110)의 내측단부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삼각형상의 톱니로 형성된 카메라캠부(111)가 구비된다.
카메라캠부(111)의 축방향 내측에는 스토퍼(140)가 접촉되게 설치되어 카메라(110)의 축방향 이동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스토퍼(140)는 대략 환형상을 이루며, 카메라캠부(111)와 결합되어 움직이는 캠종동부(141)가 외주면상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토퍼(140)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환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캠종동부(141)는 별도로 제작되어 스토퍼(14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캠종동부(141)는 카메라캠부(111)의 경사면(111a)과 골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끝이 뾰족한 쇄기형상을 이루고 있다.
카메라하우징(120)의 내주면에는 스토퍼(14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원통형의 스토퍼가이드(130)가 설치되며, 스토퍼가이드(130)에는 상기 캠종동부(141)와 결합되며 이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캠부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캠부는 캠종동부(141)가 걸쳐져서 카메라(110)가 각각 카메라하우징(120)의 내/외측에 안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 1 스토퍼걸림부(133)와 제 2 스토퍼걸림부(132)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캠부는 캠종동부(141)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31)과, 캠종동부(141)를 가이드홈(131)과 제 1 스토퍼걸림부(133)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캠(13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홈(131)은 축방향과 평행하게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캠종동부(141)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 1 스토퍼걸림부(133)는 스토퍼가이드(130)의 내측단면에 형성되며, 한 쌍의 쇄기모양으로 형성된 가이드캠(134) 그 자체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스토퍼가이드(130)는 카메라하우징(120)과 별개의 피스로 형성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하우징(120)과 일체가 되게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하우징(120) 내측에는 스토퍼(140)를 상기 카메라하우징(120) 외부로 밀어내는 축방향힘을 가하고 있는 스프링(150)이 장착되는데, 스프링(150)은 카메라(110)와 대향되는 위치에 축합설치되어 그 외측단면은 스토퍼(140)의 내측단면과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도 4c,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캠종동부(141)가 설치되는 상세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캠종동부(141)가 가이드홈(131) 상에서 이동시는, 캠종동부(141)가 가이드홈(131)의 양측벽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원주방향의 상대이동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캠종동부(141)의 쇄기형상의 종단부는 카메라캠부(111) 경사면(111a) 상의 일정위치에 고정되어 이동을 한다.
그리고, 카메라캠부(111)의 톱니와 가이드캠(134)의 쇄기모양이 서로 엇갈린상태로 놓여지기 때문에, 캠종동부(141)가 가이드캠(134)의 축방향면(134a)을 타고 이동하다가 가이드홈(131)을 벗어난 경우에, 캠종동부(141)은 카메라캠부(111)의 톱니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캠(134)의 내측 경사면(134b)으로 가이드된다.
경사면(134b)로 가이드된 캠종동부(141)는 다시 가이드캠(134)의 경사면(134b) 따라 이동하게 되며, 제 1 스토퍼걸림부(133)에 안착되게 된다.
또한, 캠종동부(141)가 가이드캠(134)의 내측 축방향면(134c)를 타고 이동하여 제 1 스토퍼걸림부(133)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또다시 카메라캠부(111)의 경사면(111a)을 따라 가이드캠(134)의 외측경사면(134d)으로 가이드되고, 외측경사면(134d)에 의해 가이드홈(131)으로 안내되게 된다.
그리고, 캠종동부(141)는 스프링(1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이드홈(131)을 따라 축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제 2 스토퍼걸림부(132)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카메라(11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카메라하우징(120)의 내부에 카메라(110)를 안착시켜 보관하게 된다. 카메라(110)로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110)를 축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이 경우, 제 1 스토퍼걸림부(133)에 놓여진 캠종동부(141)는 카메라캠(111)의 경사면(111a)에 고정된 상태에서 캠가이드(134)의 내측 축방향면(134c)을 따라이동하며 캠가이드(134)의 외측 경사면(134d)으로 안내되어진다. 캠종동부(141)는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그 경사면(134d)을 통하여 가이드홈(131)으로 안내되며, 다시 가이드홈(131)을 따라 이동하여 제 2 스토퍼걸림부(132)에 걸쳐지게 된다.
이과정에서 카메라(110)는 캠종동부(141)와 일체가 되어 힌지축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며, 카메라하우징(120)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카메라 렌즈(110a)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카메라(1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카메라 렌즈(110a)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하우징(120)의 내부에 안착시키게 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카메라하우징(120)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된 카메라(110)를 축방향의 내측으로 누르면, 이에 캠종동부(141)가 연접된 스토퍼(140)가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대항해서 축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캠종동부(141)는 카메라캠부(111)의 경사면(111a)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홈(131)에 지지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홈(131)을 벗어나게 되면, 카메라캠부(111)의 경사면(111a)에 의해 가이드캠(134)의 내측 경사면(134b)으로 안내된다.
사용자가 누른던 상태에서 손을 떼게 되면, 캠종동부(141)는 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캠(134)의 경사면(134b)을 따라 이동하여 제 1스토퍼걸림부(133)에 그 종단부가 안착되게 된다.
캠종동부(141)가 제 1 스토퍼걸림부(133)에 안착되면, 스토퍼(140)의 위치도 고정되어 스프링(150)의 탄성복원력을 차단하기 때문에 카메라(110)가 카메라하우징(120)의 내부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동일성 범위에서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는 본 발명에 의할 때,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카메라하우징의 내/외부에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카메라렌즈의 오염과 훼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를 축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간편하게 카메라를 돌출시키거나 카메라하우징의 내부에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사용만족감을 부여한다.

Claims (9)

  1. 폴더와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부를 가진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
    힌지축상에 축합설치되는 카메라하우징과;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부분에 카메라캠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외로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캠부와 결합되어 움직이는 캠종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의 축방향이동을 제어하는 스토퍼와;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캠종동부와 결합되는 가이드캠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캠부에는 상기 캠종동부를 고정시키는 제 1 스토퍼걸림부와 제 2 스토퍼걸림부가 형성된 스토퍼가이드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카메라하우징 외부로 밀어내는 축방향힘을 가하고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를 축방향으로 누르는 상태에 따라 스토퍼가 연동되며, 캠종동부가 상기 제 1 과 제 2스토퍼걸림부 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려져서 상기 카메라가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외부로 돌출되거나 숨겨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캠부는 캠종동부를 축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단에 상기 캠종동부를 제 1 스토퍼걸림부와 상기가이드홈으로 선택적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캠은 그 자체에 의해 제 1 스토퍼걸림부를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쇄기가 겹쳐진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축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캠부는 카메라 내측단면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삼각형상의 다수개의 톱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캠종동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7. 청구항 1 내지 5 증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캠종동부는 환상의 스토퍼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8.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이드와 상기 카메라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9.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캠종동부는 그 종단이 상기 톱니부의 경사면에 걸쳐진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부로 일정깊이 들어가서, 상기 가이드리브가 가이드홈에서 벗어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캠종동부가 상기 톱니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회전이동되어 상기 제 1 스토퍼걸림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30053149A 2003-07-31 2003-07-31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739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149A KR100739564B1 (ko) 2003-07-31 2003-07-31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CNB2004100317215A CN100429908C (zh) 2003-07-31 2004-03-24 安装有相机的移动通信终端
US10/903,036 US7528886B2 (en) 2003-07-31 2004-07-29 Mobile terminal having image pick-up apparatus
JP2004224308A JP2005057765A (ja) 2003-07-31 2004-07-30 撮像機構を備えた携帯端末機
CNB2004100556841A CN100435537C (zh) 2003-07-31 2004-08-02 具有图像拾取装置的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149A KR100739564B1 (ko) 2003-07-31 2003-07-31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496A true KR20050014496A (ko) 2005-02-07
KR100739564B1 KR100739564B1 (ko) 2007-07-16

Family

ID=3410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1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9564B1 (ko) 2003-07-31 2003-07-31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28886B2 (ko)
JP (1) JP2005057765A (ko)
KR (1) KR100739564B1 (ko)
CN (2) CN100429908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5162B2 (en) 2016-06-27 2018-1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magnetic camera device
US10317779B2 (en) 2016-08-16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KR102096465B1 (ko) * 2019-01-11 2020-04-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
US11523034B2 (en) 2016-02-10 2022-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3404B2 (en) * 2003-10-17 2008-10-28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TWM250024U (en) * 2003-11-07 2004-11-11 Fih Co Ltd Hinge assembly
KR100604323B1 (ko) * 2004-08-28 2006-07-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내장형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EP1867150A2 (en) * 2005-03-30 2007-12-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rotary camera unit
KR100728926B1 (ko) * 2006-03-20 200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3축 힌지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JP5006576B2 (ja) * 2006-05-26 2012-08-22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このレンズ鏡胴を用いた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携帯型情報端末装置、及び、画像入力装置
US8477505B2 (en) * 2009-09-29 2013-07-02 Netgear, Inc. Peripheral device with limited relative angular movement
US9042846B2 (en) 2013-02-27 2015-05-26 Motorola Solutions, Inc. Portable radio having accessory interface
JP6362477B2 (ja) * 2014-08-27 2018-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D816666S1 (en) 2015-10-30 2018-05-01 Lenovo (Beijing) Co., Ltd. Tablet computer
CN108012052A (zh) * 2017-11-07 2018-05-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N108093099B (zh) * 2017-11-07 2020-07-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跌落保护方法及系统,以及移动终端
CN110138894B (zh) * 2018-02-09 2024-12-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驱动装置及移动终端
CN108989493B (zh) * 2018-06-12 2020-05-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滑动机构的控制方法、控制组件、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5507264B (zh) * 2022-09-30 2025-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9051B1 (en) * 1986-05-12 1996-08-21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a zoom lens system
JPS63313435A (ja) * 1987-06-16 1988-12-21 Nakagawa Electric Ind Co Ltd 回転スイッチ装置
JPH072235Y2 (ja) * 1989-07-28 1995-01-25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JPH1075287A (ja) 1996-08-30 1998-03-17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テレビ電話
US7046287B2 (en) * 1999-12-24 2006-05-16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JP3530952B2 (ja) * 2000-12-19 2004-05-24 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02218292A (ja) 2001-01-15 2002-08-02 Sharp Corp カメラ機能付き移動体情報通信端末
JP2002262164A (ja) * 2001-02-27 2002-09-13 Minolta Co Ltd 撮影機能付電子機器
JP2002281142A (ja) 2001-03-19 2002-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JP3483144B2 (ja) 2001-05-31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2003018276A (ja) * 2001-07-04 2003-01-17 Toshiba Corp 携帯通信端末
CN2504860Y (zh) * 2001-09-30 2002-08-07 秦建忠 一种移动电话
JP2003163824A (ja) * 2001-11-28 2003-06-06 Minolta Co Ltd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JP2003188968A (ja) 2001-12-14 2003-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KR20030050046A (ko)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매직아이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30057080A (ko)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488425B1 (ko) 2002-05-03 2005-05-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KR100455776B1 (ko) * 2002-11-18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JP4188867B2 (ja) * 2003-04-14 2008-12-03 三星電子株式会社 回転型カメラレンズハウジングを備える携帯用端末機
US7210629B2 (en) * 2003-06-05 2007-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3034B2 (en) 2016-02-10 2022-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US10165162B2 (en) 2016-06-27 2018-1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lectromagnetic camera device
US10317779B2 (en) 2016-08-16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apparatus
KR102096465B1 (ko) * 2019-01-11 2020-04-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35537C (zh) 2008-11-19
CN1581890A (zh) 2005-02-16
JP2005057765A (ja) 2005-03-03
CN100429908C (zh) 2008-10-29
CN1581885A (zh) 2005-02-16
KR100739564B1 (ko) 2007-07-16
US20050026659A1 (en) 2005-02-03
US7528886B2 (en) 2009-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564B1 (ko)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EP1392038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with camera
KR100480434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EP1583353A1 (en) Automatic camera lens module retracting / extend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5483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64037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휴대용 단말기
KR10054772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회전 멈춤 장치
KR100617817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68953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KR1005318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JP4679082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05873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200342944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4983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562072B1 (ko) 휴대폰 카메라 조립체 제조 방법
KR20050034159A (ko) 슬라이드식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334322Y1 (ko) 휴대폰 카메라 조립체
KR2003063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KR1004983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JP2016133692A (ja) 電子機器
KR20050093602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장치
KR200306380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로터리 힌지 모듈
KR100576021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KR100608746B1 (ko)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6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6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6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425

Appeal identifier: 2006101006090

Request date: 20060714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81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22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81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220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714

Effective date: 2007042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704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60714

Decision date: 20070425

Appeal identifier: 2006101006090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7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7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