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제1의 테이프 인쇄장치는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는 길이방향 인쇄 및 상기 배열방향이 상기 테이프의 폭방향에 일치하는 폭방향 인쇄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인쇄화상의 배치영역 내에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하여 상기 테이프에 인쇄하고, 그 테이프를 상기 폭방향으로 컷하여 라벨을 작성 가능한 테이프 인쇄장치로서,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길이방향 라벨의 사이즈로서, 라벨폭을 설정하는 라벨폭 설정수단과,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폭방향 인쇄를 위한 문자열을 입력 가능한 폭방향 문자열 입력수단과,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배치영역 내에서의 상기 문자열의 화상의 상기 길이방향 사이즈를, 배치폭으로서 설정하는 배치폭 설정수단과, 상기 배치폭에 따라서 상기 배치영역내에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하여 상기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인쇄화상 작성수단과, 작성된 상기 인쇄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수단과, 상기 인쇄화상이 인쇄된 상기 테이프를 상기 라벨폭에 맞추어 컷하는 컷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의 라벨 작성방법은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테이프의 길이방향에 일치하는 길이방향 인쇄 및 상기 배열방향이 상기 테이프의 폭방향에 일치하는 폭방향 인쇄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인쇄 화상의 배치영역내에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하여 상기 테이프에 인쇄하고, 그 테이프를 상기 폭방향으로 컷하여 라벨을 작성하는 라벨 작성 방법으로서,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길이방향의 라벨 사이즈로서, 라벨폭을 설정하는 라벨폭 설정공정과,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폭방향 인쇄를 위한 문자열을 입력 가능한 폭방향 문자열 입력공정과,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배치영역 내에서의 상기 문자열의 화상의 상기 길이방향의 사이즈를, 배치폭으로서 설정하는 배치폭설정공정과, 상기 배치폭에 따라서 상기 배치영역 내에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하여 상기 인쇄화상을 작성하는 인쇄화상 작성공정과, 작성된 상기 인쇄화상을 인쇄하는 인쇄공정과, 상기 인쇄화상이 인쇄된 상기 테이프를 상기 라벨폭에 맞추어 컷하는 컷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테이프 인쇄장치 및 라벨 작성 방법에서는 길이 방향 인쇄와 폭방향 인쇄가 선택적으로 가능한데, 폭방향 인쇄일 때에는, 라벨로 할 때의 테이프 길이방향의 사이즈를 라벨폭으로서 설정하고, 폭방향 인쇄를 위한 문자열을 입력하여, 인쇄화상의 배치영역 내의 문자열의 화상의 테이프 길이방향의 사이즈를 배치폭으로서 설정하고, 그 배치폭에 따라서 인쇄화상을 작성하므로, 종래와 같이 길이방향 인쇄를 위한 기능을 이용하고 또한 그 인쇄화상을 유용(90° 회전 등)하여 작성하는데 비해,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인쇄화상을 작성할 수 있고, 또한, 그대로(일단, 길이방향 인쇄용으로 되돌리지 않고) 편집할 수 있고, 편집한 채로의 이미지 그대로 인쇄할 수 있고, 설정된 라벨폭에 맞추어 컷함으로써 라벨을 작성할 수 있으므로,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화상의 작성·편집·인쇄 및 라벨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배치영역 내에 상기 문자열의 화상이 다수행 있는 경우에, 상기 배치폭 설정수단은 상기 배치폭을 상기 문자열 화상의 각 행마다 설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화상의 배치영역 내에 문자열의 화상이 다수행 있는 경우, 배치폭을 각 행마다 설정가능하므로, 폭방향 인쇄에 더욱 알맞은 인쇄화상의작성·편집·인쇄나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배치폭 설정수단은 상기 문자열의 화상의 각 행마다의 배치폭을, 사이즈를 표시하는 추상적인 호칭을 이용하여 지정가능한 추상 사이즈 지정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문자열의 화상의 각 행마다의 폭을, 사이즈를 표시하는 추상적인 호칭(상대적이고 추상적으로 표시하는 추상 사이즈)을 이용하여 지정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도트수나 실제 사이즈 등의 상세한 지정을 요하지 않고, 머리에 그리는 이미지 등에 따라서 간편하게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배치폭 설정수단은 정형의 메뉴로부터 상기 배치폭을 선택하는 배치폭 메뉴 선택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메뉴로부터 선택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배치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화일로서 등록하는 화일 등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일 등록 수단은 설정된 상기 라벨폭을, 상기 화일의 부수 정보로서 등록하는 부수정보 등록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화일로서 등록할 수 있고, 설정된 라벨폭을, 화일의 부수 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라벨폭의 지정이 다른 화일을 작성하는 등의 다른 작업을 한 직후라도, 등록된 화일을 읽어 내는 것만으로, 라벨폭의 재설정 등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인쇄화상의 작성∼인쇄 및 원하는 라벨폭의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인쇄화상의 상기 배치 영역의 상기 길이방향의 사이즈를, 상기 라벨폭에 대응하는 인쇄폭으로서 설정하는 인쇄폭 설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쇄수단은 단일의 상기 인쇄화상을 상기 라벨폭을 넘어 인쇄가능하고, 상기 인쇄폭 설정수단은 상기 라벨폭 이상의 사이즈를 상기 인쇄폭으로서 설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화상의 배치영역의 길이방향 사이즈를, 라벨폭에 대응하는 인쇄폭으로서 설정하므로, 인쇄폭을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하면, 폭방향 인쇄에 의해서 라벨 작성을 행할 때의 라벨폭과 인쇄폭의 각종 조합을 조정하여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인쇄 화상은 라벨폭을 넘어 인쇄가능하고, 라벨폭 이상의 사이즈를 인쇄폭으로서 설정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인쇄화상 내의 문자열 화상의 도중까지 라벨폭으로서 컷하여 변칙적인 라벨을 작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하고·다채로운 라벨을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테이프 인쇄장치는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는 길이 방향 인쇄 및 상기 배열 방향이 상기 테이프의 폭방향에 일치하는 폭방향 인쇄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인쇄 화상의 배치영역 내에 배치하여 상기 테이프에 인쇄하고, 그 테이프를 상기 폭방향으로 컷하여 라벨을 작성가능한 테이프 인쇄장치로서,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길이 방향의 라벨 사이즈로서, 라벨 폭을 설정하는 라벨폭 설정 수단과,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인쇄 화상의 상기 배치 영역의 상기 길이방향의 사이즈를, 상기 라벨폭에 대응하는 인쇄폭으로서 설정하는 인쇄폭 설정 수단과,상기 인쇄폭 내의 상기 문자열 화상의 상기 길이방향의 사이즈를, 상기 인쇄폭에 대응하는 배치폭으로서 설정하는 배치폭 설정수단과, 상기 배치폭에 따라 상기 배치영역 내에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하여 상기 인쇄 화상을 작성하는 인쇄화상 작성수단과, 상기 인쇄폭에 맞추어 상기 인쇄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수단과, 상기 인쇄 화상이 인쇄된 상기 테이프를 상기 라벨폭에 맞추어 컷하는 컷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라벨 작성 방법은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는 길이 방향 인쇄 및 상기 배열 방향이 상기 테이프의 폭방향에 일치하는 폭방향 인쇄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인쇄 화상의 배치 영역 내에 배치하여 상기 인쇄 화상을 상기 테이프에 인쇄하고, 그 테이프를 상기 폭방향으로 컷하여 라벨을 작성하는 라벨 작성 방법으로서,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길이 방향의 라벨 사이즈로서, 라벨폭을 설정하는 라벨폭 설정 공정과,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인쇄 화상의 상기 배치 영역의 상기 길이 방향의 사이즈를, 상기 라벨폭에 대응하는 인쇄폭으로서 설정하는 인쇄폭 설정 공정과, 상기 인쇄폭 내의 상기 문자열의 화상의 상기 길이 방향의 사이즈를, 상기 인쇄폭에 대응하는 배치폭으로서 설정하는 배치폭 설정 공정과, 상기 배치폭에 따라서 상기 배치 영역 내에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하여 상기 인쇄 화상을 작성하는 인쇄화상 작성공정과, 상기 인쇄폭에 맞추어 상기 인쇄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공정과, 상기 인쇄 화상이 인쇄된 상기 테이프를 상기 라벨폭에 맞추어 컷하는 컷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테이프 인쇄 장치 및 라벨 작성 방법에서는 길이 방향 인쇄와 폭방향 인쇄가 선택적으로 가능하지만, 폭방향 인쇄일 때에는, 라벨로 할 때의 테이프 길이 방향의 사이즈로서 라벨폭을 설정함과 동시에, 인쇄 화상의 배치 영역의 테이프 길이 방향의 사이즈를, 라벨폭에 대응하는 인쇄폭으로서 설정하므로, 인쇄폭을 임의로 설정가능하게 하면, 폭방향 인쇄에 의해서 라벨 작성을 행할 때의 라벨폭과 인쇄폭의 각종 조합을, 자유롭게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인쇄폭 내에서의 문자열의 화상의 폭(테이프 길이 방향의 사이즈)를 배치폭으로서 설정하고, 그 배치폭에 따라서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하여 인쇄 화상을 작성하므로, 종래와 같이 길이 방향 인쇄를 위한 기능을 이용하고 또한 그 인쇄 화상을 유용(90° 회전 등)하여 작성하는데 비해, 인쇄 화상의 작성∼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인쇄폭 설정 수단은 상기 라벨폭과 동일한 사이즈를 상기 인쇄폭으로서 자동 설정하는 인쇄폭 자동 설정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라벨폭과 동일한 사이즈를 인쇄폭으로서 자동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인쇄폭을 결정하고, 또한 인쇄 화상의 작성∼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인쇄 수단은 단일한 상기 인쇄 화상을 상기 라벨폭을 넘어 인쇄가능하고, 상기 인쇄폭 설정 수단은 상기 라벨폭 이상의 사이즈를 상기 인쇄폭으로서 설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라벨폭 이상의 사이즈를 인쇄폭으로서 설정 가능하므로,보다 자유롭게 인쇄폭을 설정할 수 있고, 라벨폭과 인쇄폭의 더욱 유연한 조합의 설정이 가능해진다.
상기 길이 방향의 기준 위치로서, 상기 인쇄폭 내에 그 기준 위치를 정하고, 상기 라벨폭 내에 그 기준 위치를 정하는 기준 위치 설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인쇄폭의 기준 위치와 상기 라벨폭의 기준 위치가 일치하도록 상기 인쇄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테이프 길이 방향의 기준 위치로서 정한 인쇄폭의 기준 위치와 라벨폭의 기준 위치가 일치하도록 인쇄 화상을 인쇄하므로, 각각의 기준 위치를 딱 맞게 설정 해 둠으로써, 원하는 배치의 인쇄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쇄폭의 기준 위치와 라벨폭의 기준 위치는 동일한 기준(예를 들면 양방 모두 전단이 기준 위치 등)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한쪽은 전단을 기준 위치로 하고, 다른쪽은 후단을 기준 위치로 하는 등, 별도의 기준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기준 위치 설정수단은 상기 인쇄폭과 상기 라벨폭의 각각의 일단 또는 중앙을 상기 기준 위치로서 선택하는 기준 위치 선택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폭과 라벨폭의 각각의 일단 또는 중앙을 기준 위치로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선택하는 것만으로 기준 위치를 간편하고 또한 딱 맞게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원하는 배치의 인쇄를 간편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제2의 테이프 인쇄장치에 있어서, 단일의 상기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라벨을, 일련의 다수의 분할 라벨로 실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라벨폭 설정수단은 상기 분할 라벨로 실현할 때의 분할 라벨수 및 각 분할 라벨폭을 설정하는 분할 라벨 설정 수단을 갖고, 상기 컷 수단은 상기 각 분할 라벨폭에 맞춘 컷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라벨을 일련의 다수의 분할 라벨로 실현할 수 있고, 이 경우, 그 분할 라벨수를 지정하여, 각 분할 라벨의 각 라벨폭을 설정하고, 각 라벨폭에 맞추어 컷함으로써, 라벨로서 다수의 분할 라벨을 작성할 수 있으므로, 라벨폭과 인쇄폭을 더욱 유연하고 또한 다채롭게 조합하여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각종 라벨을 작성할 수 있다.
상기 라벨폭 설정 수단은 상기 라벨폭을 수치 입력하는 라벨폭 수치 입력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치 입력에 의해, 원하는 (임의의) 라벨폭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미묘한 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상술의 분할 라벨에 의해서 실현하는 경우 등에는 각 분할 라벨폭마다 원하는 미묘한 라벨폭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이점이 커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테이프 인쇄 장치는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는 길이 방향 인쇄 및 상기 배열 방향이 상기 테이프의 폭방향에 일치하는 폭방향 인쇄중 어느 것을 선택하고,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한 인쇄 화상을 상기 테이프에 인쇄하여, 그 테이프를 상기 폭방향으로 컷하여 라벨을 작성가능한 테이프 인쇄 장치로서,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길이 방향의 라벨 사이즈로서, 라벨폭을 설정하는 라벨폭 설정 수단과, 상기 폭방향 인쇄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의 부수 정보에, 설정된 상기 라벨폭의 정보를 포함시킴과 동시에, 상기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 및 상기 부수 정보를, 상기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화일로서 등록하는 화일 등록 수단과, 등록된 화일중의 인쇄 대상의 화일을 지정하는 화일 지정 수단과, 지정된 상기 인쇄 대상의 화일에 따라서, 대응하는 상기 인쇄 화상을 작성하여 인쇄하는 인쇄 수단과, 상기 인쇄 대상의 화일의 상기 라벨폭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인쇄 화상이 인쇄된 상기 테이프에 대해 상기 라벨을 작성하기 위한 컷 처리를 행하는 컷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라벨 작성 방법은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는 길이 방향 인쇄 및 상기 배열 방향이 상기 테이프의 폭방향에 일치하는 폭방향 인쇄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한 인쇄 화상을 상기 테이프에 인쇄하고, 그 테이프를 상기 폭방향으로 컷하여 라벨을 작성하는 라벨 작성 방법으로서,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길이 방향의 라벨 사이즈로서, 라벨폭을 설정하는 라벨폭 설정 공정과, 상기 폭방향 인쇄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의 부수 정보에, 설정된 상기 라벨폭의 정보를 포함시킴과 동시에, 상기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 및 상기 부수 정보를, 상기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화일로서 등록하는 화일 등록 공정과, 등록된 화일중 인쇄 대상의 화일을 지정하는 화일 지정 공정과, 지정된 상기 인쇄 대상의 화일에 따라서, 대응하는 상기 인쇄 화상을 작성하여 인쇄하는 인쇄 공정과, 상기 인쇄 대상 화일의 상기 라벨폭의 정보에 따라서, 상기 인쇄 화상이 인쇄된 상기테이프에 대해 상기 라벨을 작성하기 위한 컷 처리를 행하는 컷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테이프 인쇄장치 및 라벨 작성 방법에서는 길이 방향 인쇄와 폭방향 인쇄가 선택적으로 가능한데, 폭방향 인쇄에 있어서 인쇄 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 및 그 부수 정보를,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화일로서 등록해 두고,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등록된 화일중의 인쇄 대상의 화일을 지정하고, 그 화일에 의거해 대응하는 인쇄 화상을 작성하여 인쇄한다. 또한, 폭방향 인쇄시의 테이프의 폭방향 컷에 의해 라벨로 할 때의 길이 방향의 사이즈를,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라벨폭으로서 설정함과 동시에, 인쇄 화상이 인쇄된 테이프의 컷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우선, 길이 방향 인쇄를 위한 화일의 유용이 아니라 폭방향 인쇄를 위한 화일을 준비하므로,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내용(정보)의 등록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라벨폭은 그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화일의 등록전에 설정되고, 그 부수 정보에 포함되는 라벨폭의 정보로서 등록되고, 폭방향 인쇄에 있어서의 컷 처리는 인쇄 대상의 화일의 라벨폭의 정보에 의거해 행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라벨폭의 설정이 다른 화일의 작성 등의 다른 작업을 한 직후라도,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폭방향 인쇄(여기서는 적어도 라벨폭)에 관한 재설정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개별 설정에 의거하는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제3의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있어서, 단일의 상기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라벨을, 일련의 다수의 분할 라벨로 실현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라벨폭 설정 수단은 상기 분할 라벨로 실현할 때의 분할 라벨수 및 각 분할 라벨폭을 설정하는 분할 라벨 설정 수단을 갖고, 상기 부수 정보에는 상기 라벨폭의 정보로서 상기 분할 라벨수 및 상기 각 분할 라벨폭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컷 수단은 상기 컷 처리로서, 상기 각 분할 라벨폭에 맞춘 컷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라벨을 일련의 다수의 분할 라벨로 실현할 수 있고, 이 경우, 그 분할 라벨수를 지정하여, 각 분할 라벨의 각 라벨폭을 설정하면, 이들 정보는 화일의 부수 정보의 라벨폭의 정보로서 등록되어, 그 정보에 의거해 폭방향 인쇄에 있어서의 컷 처리가 행해지므로, 일단, 이들을 설정하여 등록해 둠으로써,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재설정을 요하지 않고, 폭방향 인쇄에 의한 더욱 유연하고 또한 다채로운 라벨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상기 길이 방향의 사이즈를, 상기 라벨폭에 대응하는 인쇄폭으로서 설정하는 인쇄폭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수 정보에는 설정된 상기 인쇄폭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인쇄 대상의 화일의 부수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인쇄폭의 정보에 의거해, 상기 인쇄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길이 방향의 사이즈를, 라벨폭에 대응하는 인쇄폭으로서 설정할 수 있고, 이 인쇄폭은 화일의 부수 정보의 인쇄폭의 정보로서 등록되고, 그 정보에 따라서 인쇄 화상을 인쇄하므로, 일단, 이들을 설정하여 등록해 둠으로써,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재설정을 요하지않고, 폭방향 인쇄에 의한 원하는 인쇄폭의 인쇄 화상을 인쇄할 수 있고, 원하는 개별 설정에 의거하는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인쇄폭 설정 수단은 상기 인쇄 화상 내에 상기 문자열의 화상이 다수행 있는 경우, 각 행의 인쇄폭인 행별 인쇄폭을 각 행마다 설정하는 행별 인쇄폭 설정 수단을 갖고, 상기 부수 정보에는 상기 인쇄폭의 정보로서 상기 각 행마다의 행별 인쇄폭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각 행마다 행별 인쇄폭의 정보에 의거해, 상기 인쇄 화상의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각 행마다 인쇄하는 각 행별 인쇄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 화상 내에 문자열의 화상이 다수행 있는 경우, 각 행의 인쇄폭인 행별 인쇄폭을 각 행마다 설정할 수 있고, 이 각 행마다의 행별 인쇄폭은 화일의 부수 정보의 인쇄폭의 정보로서 등록되므로, 이 정보에 따라서 행별 인쇄폭에 추가하여, 합계의 인쇄폭, 즉 라벨폭에 대응하는 인쇄폭을 얻을 수 있다. 물론, 합계의 인쇄폭도 동일한 인쇄폭의 정보의 일부에 추가하여 등록해도 된다. 그리고, 이들의 경우, 각 행마다의 행별 인쇄폭의 정보에 의거해, 인쇄 화상의 문자열의 화상을 각 행마다 인쇄하므로, 일단, 부수 정보로서 등록해 둠으로써,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재설정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행별 인쇄폭으로 문자열의 화상이 배치된 폭방향 인쇄에 의한 원하는 인쇄 화상을 인쇄할 수 있고, 원하는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인쇄폭과 상기 라벨폭의 각각의 일단 또는 중앙을 상기 기준 위치로서 선택하는 기준 위치 선택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부수 정보에는 선택된 상기 기준 위치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인쇄 대상 화일의 부수 정보에 의거해, 상기 인쇄폭과 상기 라벨폭이 다른 사이즈인 경우, 상기 인쇄폭의 기준 위치와 상기 라벨폭의 기준 위치가 일치하도록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폭과 라벨폭의 각각의 일단 또는 중앙을 기준 위치로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선택하는 것만으로 기준 위치를 간편하고 또한 맞게 설정할 수 있고, 이 기준 위치는 화일의 부수 정보의 기준 위치의 정보로서 등록되고, 그 부수 정보에 의거해, 인쇄폭과 라벨폭이 다른 사이즈인 경우, 인쇄폭의 기준 위치와 라벨폭의 기준 위치가 일치하도록 인쇄하므로, 각각의 기준 위치를 맞게 형성하고, 선택·설정하여, 일단, 부수 정보로서 등록해 둠으로써,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재설정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배치의 인쇄를 정확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쇄폭의 기준 위치와 라벨폭의 기준 위치는, 동일한 기준(예를 들면 양방 모두 전단이 기준 위치 등)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한쪽은 전단을 기준 위치로 하고, 다른쪽은 후단을 기준 위치로 하는 등, 별도의 기준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인쇄 대상의 화일에 대응하는 상기 인쇄 화상의 인쇄 반복 회수를 설정하는 다수회 인쇄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쇄 수단은 설정된 상기 반복 회수분만큼 상기 인쇄 화상의 인쇄를 반복하여 실행하고, 상기 컷 수단은 상기 인쇄 화상의 인쇄마다, 인쇄된 각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각 라벨의 상호간을 분리하기 위한 상기 컷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 대상의 화일에 대응하는 인쇄 화상의 인쇄 반복 회수(소위 인쇄 매수나 인쇄 부수)를 설정할 수 있고, 이 회수분만큼 동일한 인쇄 화상을 반복하여 인쇄하고, 인쇄 화상의 인쇄마다, 인쇄된 각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각 라벨의 상호간을 분리하기 위한 컷 처리를 행하므로, 동일한 라벨을 필요한 원하는 매수(부수)만큼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기 화일 지정 수단은 상기 등록된 화일이 다수 종류 존재하는 경우, 그 중 다수의 화일을 상기 인쇄 대상의 화일로서 일괄해서 지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인쇄 수단은 상기 인쇄 대상의 화일로서 다수의 화일이 일괄해서 지정되었을 때, 지정된 상기 다수의 화일에 대응하는 다수의 인쇄화상을 연속하여 인쇄하고, 상기 컷 수단은 인쇄된 상기 다수의 인쇄 화상의 각각에 대응하는 각 라벨의 상호간을 분리하기 위한 상기 컷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등록된 화일이 다수 종류 존재하는 경우, 그 중의 다수의 화일을 인쇄 대상의 화일로서 일괄해서 지정할 수 있고, 다수가 일괄 지정되었을 때, 대응하는 다수의 인쇄 화상을 연속하여 인쇄하고, 인쇄된 다수의 인쇄 화상의 각각에 대응하는 각 라벨의 상호간을 분리하기 위한 컷 처리를 행하므로, 대응하는 화일을 일괄해서 지정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다수 종류의 라벨을 연속(일괄)하여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는 표면을 인쇄 대상면으로 하고 이면을 점착면으로 하는 기재(基材) 테이프와 상기 점착면을 덮는 박리 테이프를 가지고, 상기 컷 수단은 상기 기재 테이프만을 상기 폭방향으로 컷하는 하프 컷을 행하는 하프 컷 수단과, 상기 기재 테이프 및 상기 박리 테이프 쌍방을 상기 폭방향으로 컷하는 풀 컷을 행하는 풀 컷 수단을 가지고, 연속하여 작성하는 라벨이 다수매 있는 경우, 상기 컷 처리로서, 최후의 라벨의 후단만 상기 풀 컷을 행하고, 그 밖의 위치에서는 상기 하프 컷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재 테이프만을 폭방향으로 컷하는 하프 컷과, 기재 테이프 및 박리 테이프의 쌍방을 컷 하는 풀 컷이 가능하고, 연속하여 작성하는 라벨이 다수매 있는 경우, 컷 처리로서, 최후의 라벨의 후단만 풀 컷을 행하고, 그 밖의 위치(각 라벨의 상호간 등)에서는 하프 컷을 행하므로, 모든 컷까지 종료 후, 작성된 라벨을 모아 일괄 관리하는 경우에는, 풀 컷까지의 1매의 테이프조각으로서 관리할 수 있고, 각 라벨의 상호간은 하프 컷되어 있으므로, 붙이고 싶을 때에 붙이고 싶은 라벨만을 벗겨 붙일 수 있어, 관리하기 쉬운 라벨(군)이 된다.
또한, 상기 길이 방향 인쇄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을 작성하기 위해서 길이 방향 인쇄용 데이터의 편집을 행하기 위한 길이 방향 인쇄용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등록된 파일중 어느 것을 지정하고, 지정된 화일의 상기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를 상기 길이 방향 인쇄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길이 방향 인쇄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을 작성하기 때문에 길이 방향 인쇄용 데이터의 편집이 가능한데, (폭방향 인쇄용으로) 등록된 파일중 어느 것을 지정하고, 지정된 화일의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를 길이 방향 인쇄용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폭방향 인쇄용으로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길이 방향 인쇄에 유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고, 전체로서의 조작성이나 작업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의 테이프 인쇄 장치는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는 길이 방향 인쇄 및 상기 배열 방향이 상기 테이프의 폭방향에 일치하는 폭방향 인쇄중 어느 것을 선택하고,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한 인쇄 화상을 상기 테이프에 인쇄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로서, 상기 길이 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길이 방향 인쇄용 데이터로서의 문자열의 편집을 행하기 위한 길이 방향 인쇄용 데이터 편집 수단과,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로서의 문자열의 편집을 행하기 위한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 편집 수단과, 편집후의 상기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를, 상기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화일로서 등록하는 화일 등록 수단과, 상기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를 상기 길이 방향 인쇄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을 지시하는 데이터 변환 지시 수단과, 상기 데이터 변환이 지시되었을 때에, 상기 등록된 파일중 어느 것을 지정하고, 지정된 화일의 상기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에 대해 상기 데이터 변환을 행하여, 상기 편집을 위한 길이 방향 인쇄용 데이터로 하는 데이터 변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는 길이 방향 인쇄 및 상기 배열 방향이 상기 테이프의 폭방향에 일치하는 폭방향 인쇄중 어느 것을 선택하고,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한 인쇄 화상을 상기 테이프에 인쇄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의 데이터 처리방법으로서,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로서 문자열을 편집후, 상기 폭방향 인쇄를 위한 상기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화일로서 등록하는 화일 등록 공정과, 상기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를상기 길이 방향 인쇄를 위해 편집 가능한 길이 방향 인쇄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을 지시하는 데이터 변환 지시 공정과, 상기 데이터 변환이 지시되었을 때, 상기 등록된 파일중 어느 것을 지정하고, 지정된 화일의 상기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에 대해 상기 데이터 변환을 행하여, 편집을 위한 길이 방향 인쇄용 데이터로 하는 데이터 변환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테이프 인쇄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서는 길이 방향 인쇄와 폭방향 인쇄가 선택적으로 가능한데, 폭방향 인쇄를 위한 문자열의 데이터를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로서 편집후, 폭방향 인쇄를 위한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화일로서 등록해 두면, 데이터 변환이 지시되었을 때, 등록된 파일중 어느 것을 지정함으로써, 지정된 화일의 폭방향 인쇄용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변환을 행하여, 편집을 위한 길이 방향 인쇄 데이터로 한다. 이 때문에, 폭방향 인쇄를 위해 준비하여 등록된 화일의 데이터를 길이 방향 인쇄에 유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고, 인쇄 화상 작성이나 그에 의한 라벨 작성 등에 있어서의 전체로서의 조작성이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은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테이프의 길이방향에 일치하는 길이 방향 인쇄 및 상기 배열 방향이 상기 테이프의 폭방향에 일치하는 폭방향 인쇄중 어느 것을 선택하고,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한 인쇄 화상을 표현하는 통신용 데이터를 준비하고, 이를 송신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상기 통신용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통신용 데이터에 의거해 상기 인쇄 화상을 테이프에 인쇄하고, 이를 상기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컷하여 라벨을 작성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시스템의 라벨 작성 방법은 공급 장치와 테이프 인쇄 장치를 구비한 인쇄 시스템의 상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는 길이 방향 인쇄 및 상기 배열 방향이 상기 테이프의 폭방향에 일치하는 폭방향 인쇄중 어느 것을 선택하여, 상기 문자열의 화상을 배치한 인쇄 화상을 표현하는 통신용 데이터를 준비하고, 이를 송신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테이프 인쇄 장치에 공급하고, 상기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통신용 데이터에 의거해 상기 인쇄 화상을 테이프에 인쇄하고, 이를 상기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컷하여 라벨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인쇄 시스템 및 그 라벨 작성 방법에서는 공급 장치에서 길이 방향 인쇄와 폭방향 인쇄중 어느 것을 선택하고, 공급 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테이프 인쇄 장치에 공급하는 통신용 데이터에 의거해, 테이프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 화상을 테이프에 인쇄하고, 이를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컷하여 라벨을 작성하므로, 분리형이면서도, 폭방향 인쇄에 의한 인쇄 화상의 인쇄 및 라벨 작성이 가능하다.
상기 공급장치는 상기 폭방향 인쇄에 있어서 상기 인쇄 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폭방향 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를, 상기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화일로서 등록하는 화일 등록 수단과,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등록된 화일 중의 인쇄 대상의 화일을 지정하는 화일 지정 수단을 가지고, 상기 인쇄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 인쇄 화상 데이터는 지정된 상기 인쇄 대상 화일의 상기 폭방향 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에 의거해 작성되고, 상기 테이프 인쇄 장치는 상기 인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 상기 인쇄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폭방향 인쇄용의 예를 들면 문자 화상 전개용의 텍스트 데이터나 기타 부수 정보(예를 들면 도트 맵 등으로 준비되는 요소 화상 데이터 등) 등의 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를,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화일로서 등록해 두면,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등록된 화일중 인쇄 대상의 화일을 지정함으로써, 그 화일에 의거해 대응하는 인쇄 화상을 작성하여 인쇄할 수 있다. 이 경우, 길이 방향 인쇄를 위한 화일의 유용이 아니라 폭방향 인쇄를 위한 화일을 준비하므로,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내용(정보)의 등록을 행할수 있어, 종래와 같이 길이 방향 인쇄를 위한 기능을 이용하고 또한 그 인쇄 화상을 유용(90°회전 등)하여 작성하는데 비해,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 화상의 작성·인쇄 및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인쇄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공급원 인쇄화상 작성수단을 가지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통신용 데이터에 상기 인쇄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여 송신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급 장치에서, 지정된 인쇄 대상 화일의 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에 의거해 인쇄 화상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고, 작성된 인쇄 화상 데이터를 통신용 데이터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에 따라, 테이프 인쇄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인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 인쇄 화상을 인쇄할 수 있고, 지정된 인쇄 대상의 화일에 의거해,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 화상의 작성·인쇄 및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화일 등록 수단을 구비한 각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지정된 상기 인쇄 대상 화일의 상기 폭방향 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를 상기 통신용 데이터에 포함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테이프 인쇄 장치는 수신한 상기 폭방향 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에 의거해 상기 인쇄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공급처 인쇄화상 작성수단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정된 인쇄 대상 화일의 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를 통신용 데이터에 포함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에 의거해 인쇄 화상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서 인쇄 화상을 인쇄할 수 있고, 지정된 인쇄 대상의 화일에 의거해,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 화상의 작성·인쇄 및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술의 화일 등록 수단을 구비한 각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라벨의 상기 길이 방향의 사이즈로서, 라벨폭을 설정하는 라벨폭 설정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화일 등록 수단은, 설정된 상기 라벨폭의 정보를, 상기 화일의 부수 정보에 포함시켜 등록하는 부수정보 등록수단을 갖고, 상기 인쇄 화상이 인쇄된 상기 테이프를 상기 라벨폭에 맞추어 컷 하는 컷 처리를 지시하기 위한 컷 지시 데이터는, 상기 화일의 부수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라벨폭의 정보에 의거해 생성되고, 상기 테이프 인쇄 장치는, 상기 컷 지시 데이터에 의거해 상기 컷 처리를 행하는 컷 수단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 라벨의 테이프 길이방향의 사이즈로서, 라벨폭을 설정할 수 있고, 이를 화일의 부수 정보에 포함시켜 등록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라벨폭의 지정이 다른 화일의 작성 등의 다른 작업을 한 직후라도,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라벨폭의 재설정등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인쇄 화상의 작성∼인쇄 및 원하는 라벨폭의 라벨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컷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급원 컷 지시 생성 수단을 갖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통신용 데이터에 상기 컷 지시 데이터를 포함하여 송신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급 장치에 있어서, 화일의 부수 정보에 포함되는 라벨폭의 정보에 따라서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컷 지시 데이터를 통신용 데이터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에 따라,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컷 지시 데이터에 의거해 테이프의 컷 처리가 가능하고, 지정된 인쇄 대상의 화일에 의거해, 폭방향 인쇄에 의한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라벨폭의 정보를, 부수 정보에 포함시켜 등록하는 각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지정된 상기 인쇄 대상 화일의 부수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라벨폭의 정보를 상기 통신용 데이터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테이프 인쇄 장치는 상기 컷 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급처 컷 지시 생성 수단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정된 인쇄 대상 화일의 부수 정보에 포함되는 라벨폭의 정보를 통신용 데이터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라벨폭의 정보에 의거해 컷 지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그에 의거해 테이프의 컷 처리가 가능하고, 지정된 인쇄 대상의 화일에 의거해, 폭방향 인쇄에 의한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술의 화일 등록 수단을 구비한 각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화일 등록 수단에 등록 가능한 화일을 기억한 기억 매체를 장착 가능한 장착 수단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급 장치는 화일 등록 수단에 등록 가능한 화일을 기억한 기억 매체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각종 기억 매체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각종 화일을 기억(등록하여 준비)할 수 있어, 분리형이면서도,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 화상의 작성·인쇄 및 라벨 작성을 더욱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장치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와 접속되고,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화일 등록 수단에 등록가능한 화일을 수신가능한 상위 통신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급 장치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와 접속되고, 다른 장치로부터 화일 등록 수단에 등록가능한 화일을 수신 가능하게 수신할 수 있으므로, 각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각종 화일을 기억(등록하여 준비)할 수 있어, 분리형이면서도,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 화상의 작성·인쇄 및 라벨 작성을 더욱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길이 방향 인쇄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을 작성하기 위해 길이방향 인쇄화상 작성용 데이터의 편집을 행하기 위한 길이방향 인쇄용 데이터 편집수단과, 상기 등록된 화일중 어느 것을 지정하고, 지정된 화일의 상기 폭방향 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를 상기 길이방향 인쇄화상 작성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급 장치에 있어서, 길이 방향 인쇄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을 작성하기 때문에 길이방향 인쇄용의(인쇄화상 작성용의) 데이터의 편집이 가능한데, (폭방향 인쇄용으로) 등록된 화일중 어느 것을 지정하고, 지정된 화일의 폭방향 인쇄용의(인쇄화상 작성용의) 데이터를 길이방향 인쇄용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폭방향 인쇄용으로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길이방향 인쇄에 유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고, 전체로서의 조작성이나 작업 효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상술한 각 인쇄 장치의 각 수단 및 인쇄 시스템의 각 수단을 기능시키고, 또한, 상술한 라벨 작성 방법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실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처리가능한 인쇄 시스템에 의해서 처리됨으로써, 분리형이면서도,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 화상의 작성·인쇄 및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억 매체는 상술한 각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처리가능한 인쇄 시스템에 의해 독출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이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 실행함으로써, 분리형이면서도,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 화상의 작성·인쇄 및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테이프 인쇄장치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테이프 인쇄장치(1)는 장치 케이스(장치 본체)(2)에 의해 외각이 형성되고, 그 후부 상면에는 좌측에 개폐 덮개(21)가 개폐자유롭게 장착되고, 개폐 덮개(21)의 우측 근방에는 이를 개폐 조작하기 위한 개폐 버튼(23)이 오목하게 들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부 중앙면에는 노출 램프군을 갖는 초승달 형상부(8)가 부풀어 솟아올라 형성되고, 초승달 형상부(8)의 후방에는 각종의 키로 이루어지는 키보드(3)가 넓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키보드(3)의 상측에는 이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대형 덮개체(9)가 전후 중간부에 장착되어 있고, 덮개체(9)의 내측면에는 디스플레이(4)가 넣어져 있다.
덮개체(9)는 폐색 상태에서는 키보드(3)를 덮어 숨겨 보호하고, 덮개를 연 상태에서는 우측 후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후측 상방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개방되어, 바로 앞에 키보드(3)를 개방하는 동시에, 정면에 디스플레이(4)를 배치하고, 키보드(3)에 의한 입력 작업을 가능한 상태로 한다. 디스플레이(4)는 사다리꼴 형상의 내측에 직사각형의 표시 화면(41)을 갖고 있고, 이 표시 화면(41)에 키보드(3)로부터의 입력 결과 등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키보드(3)나 디스플레이(4)를 가지고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조작부(11)와, 인쇄 헤드(서멀 헤드)(7)나 테이프 이송부(120)를 가지고 포켓(카트리지 장착부, 테이프 장착부)(6) 내에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C)의 인쇄 테이프(이하 간단히 「테이프」)(T)에 인쇄를 하는 인쇄부(12)와, 인쇄후의 테이프(T)의 각종 컷을 행하는 절단부(13)와, 각종 센서를 가지고 각종 검출을 행하는 검출부(14)와, 각종 드라이버를 가지고 각부 회로를 구동하는 구동부(15)와, 테이프 인쇄장치(1)내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장치 케이스(2)의 내부에는 인쇄부(12), 절단부(13), 검출부(14) 등 외, 도면 외의 회로 기판이 수납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에는 전원 유닛 이외, 구동부(15)나 제어부(20)의 각 회로 등이 탑재되고, AC 어댑터 접속구(24)나 외부에서 탈착 가능한 니켈카드뮴 배터리 등의 도면 외의 배터리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4a-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T)는 박리 테이프(Ta)와 기재 테이프(Tb)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재 테이프(Tb)는 인쇄면이 되는 표면(인쇄 대상면)측의 수상층(Tc)과, 그 이면(점착면)측에 형성된 점착층(Td)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쇄가 끝난 테이프(T)(라벨 요소(인쇄 화상)(Ga) 또는 라벨 영역(La))은 기재 테이프(Tb)로부터 박리 테이프(Ta)를 분리함으로써 점착층(Td)이 노출되고, 이 점착층(Td)을 통해 점착 대상물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도 1a, 1b∼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부(12)에는 개폐 덮개(21)의 내측에 포켓(6)이 형성되고, 테이프 카트리지(C)는 이 개폐 덮개(21)을 개방한 상태에서 포켓(6)에 대해 탈착된다. 또한, 장치 케이스(2)의 좌측부에는 포켓(6)과 장치 외부를 연통해 테이프(T)의 인쇄가 끝난 부분을 송출하기 위한 테이프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C)는 카트리지 케이스(51)에 의해 외각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일정한 폭(4.5㎜∼48㎜ 정도)의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이 수용되어 있고, 인쇄 헤드(7)가 향하는 관통 개구(55)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T)는 박리 테이프(Ta)를 내측으로 하여 테이프 릴(52)에 풀어내기 자유롭게 감기고, 잉크 리본(R)은 리본 공급 릴(53) 및 리본 감기 릴(54)에 감겨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트리지(C)에는 수용하는 테이프(T)의 테이프폭으로서, 다수 종류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이 겹치는 부분에는 인쇄 헤드(7)에 대응하여, 플래튼 롤러(56)가 수납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C)가 장착된 상태에서, 인쇄 헤드(7)가 관통 개구(55)에서 노출되어 있는 잉크 리본(R)의 이면에 닿아, 발열 구동되어 원하는 문자 등이 테이프(T)의 표면에 인쇄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C)의 이면에는 상이한 폭 등의 테이프(T)의 종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작은 다수의 검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포켓(6)에는 각 검출 구멍의 유무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테이프 식별 센서(141)가 형성되고, 테이프(T)의 유무(정확하게는 테이프 카트리지(C)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 및 테이프(T)의 종별(정확하게는 테이프 카트리지(C)의 종별)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다수의 검출 구멍 대신에 비트 패턴의 검출 라벨 등의 부착에 의해 종별을 나타내고, 이를 광 검출 등에 의해서 검출해도 된다.
또한, 포켓(6)에는, DC 모터로 이루어지는 이송 모터(121)를 구동원으로 하여, 플래튼(56)에 걸어 이를 회전시키는 플래튼 구동축(66)과, 마찬가지로 리본 감기 릴(54)에 걸어 이를 회전시키는 감기 구동축(64)과, 위치 결정 핀(62)이 각각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이송부(120)는 포켓(6)의 측방으로부터 하측방에 걸치는 공간에 설치되고, 포켓(6)의 측방에 설치된 이송 모터(121)를 동력(구동)원으로 하여, 상기의 플래튼 구동축(66) 및 감기 구동축(64)을 회전시키는 것이고, 이송 모터(121)와, 플래튼 구동축(66)과, 감기 구동축(64)과, 이송 모터(121)의 동력을 각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도면 외의 감속 기어열과, 이송 모터(121)의 회전수를 검출하기 위한 도면 외의 인코더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인코더는 이송 모터(121)의 주축에 고정된 웜의 동 축상의 선단에 고정 장착되고, 원반형상의 둘레 방향의 다수 개소에 검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검출부(14)의 이송 모터 회전 검출 센서(142)는 상기 인코더의 검출 개구로 향하도록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대향 배치된 도면 외의 포토 센서를 구비하고, 발광 소자의 광이 회전하는 검출 개구를 통과하여 수광 소자에 수광되고, 수광된 광의 명멸이 광전변환되어, 펄스 신호로서 제어부(20)에 출력되고, 그 펄스수로부터 회전수가 검출된다.
여기서, 테이프 인쇄장치(1)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선, 개폐 버튼(23)에 의해 개폐 덮개(21)를 개방한다. 포켓(6)에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하면, 플래튼(56) 및 리본 감기 릴(54)에, 플래튼 구동축(66) 및 감기 구동축(64)이 각각 걸리고, 또한 테이프(T) 및 잉크 리본(R)이 플래튼(56)과 인쇄 헤드(7)와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개폐 덮개(21)를 폐색하면, 테이프(T) 및 잉크 리본(R)을 끼우도록, 테이프 폭방향으로 발열 소자를 나란히 설치한 인쇄 헤드(7)가 회전하여 플래튼(56)을 압접하고, 인쇄 대기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체(9)를 열고, 키보드(3)를 개방하여, 정면에 위치시킨 디스플레이(4)를 참조하면서 키보드(3)를 조작하여, 원하는 문자 등의 문자 인쇄 정보를 입력·편집하여, 인쇄 실행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인쇄 처리가 기동되어, 이송 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풀어지는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이 인쇄 헤드(7)의 부분에서 겹쳐 함께 이동하고, 이에 동기하여 인쇄 헤드(7)가 발열 구동되어, 잉크 리본(R)의 잉크가 테이프(T)에 열 전사하여 인쇄가 행해진다.
인쇄후의 잉크 리본(R)은 리본 감기 릴(54)에 감기고, 인쇄후의 테이프(T)는 이송 경로에 따라 테이프 배출구(22)로 향해 보내지고, 인쇄가 종료하면, 인쇄 종료의 테이프(T)는 소정 길이만큼 보내져 정지하고, 후술의 각종 설정에 따라, 절단부(13)에 의해 각종 컷이 행해진다(도 4a-4d 참조).
다음에, 절단부(13)에는 포켓(6)과 테이프 배출구(22)와의 사이에, 이송 경로를 향해 풀 컷터부(풀 컷 수단)(13F)가 상류측에, 하프 컷터부(하프 컷 수단)(13H)가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풀 컷터부(13F)는 테이프(T)의 기재 테이프(Tb)와 박리 테이프(Ta)의 양방을 컷(풀 컷)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테이프(T)에서 그 인쇄 완료 부분인 라벨 영역(La)을 잘라내기 위한 것이다(도 4b의 풀 컷(풀컷 부)(fc) 참조). 한편, 하프 컷터부(13H)는 최종적으로 라벨로서 부착되는 기재 테이프(Tb)만을 컷(하프 컷)하고, 테이프(T)로는 박리 테이프(Ta)를 통해 연결한 상태 그대로 남기기 위한 것이다(도 4c의 하프 컷(하프 컷 부)(hc) 참조).
풀 컷터부(13F)는 예를 들면 가위 형식의 컷터나 슬라이드 컷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풀 컷터(132)와, DC 모터로 이루어지는 풀 컷터 모터(131)를 구동원으로 하여 풀 컷터(132)를 작동시키는 컷터 작동 기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프 컷터부(13H)는 경사날로 구성한 컷터날을 갖는 하프 컷터(134)와, 마찬가지로 DC 모터로 이루어지는 하프 컷터 모터(133)를 구동원으로 하여 하프 컷터(134)를 작동시키는 컷터 작동 기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하프 컷터(134)는 컷터 작동 기구에 의해 순환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순환 운동의 일과정인 하측으로부터 상측에의 이동이 하프 컷터(134)의 절단 동작으로 되어, 테이프(T)를 하프 컷한다.
또, 풀 컷터 모터(131)나 하프 컷터 모터(133)에는 전술의 이송 모터(121)와 동일한 도면 외의 인코더가 각각 설치되고, 검출부(14)의 풀 컷터 모터 회전 검출 센서(143)나 하프 컷터 모터 회전 검출 센서(145)는, 전술의 이송 모터 회전 검출 센서(142)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상기 인코더와, 그 검출 개구로 향하도록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대향 배치된 각각의 포토 센서를 갖고, 회전하는 검출 개구를 통과하여 수광 소자에 수광된 광의 명멸이 광전 변환되어, 펄스 신호로서 제어부(20)에 출력되고, 그 펄스수로부터 회전수가 검출된다. 또한, 검출부(14)의 풀 컷터 홈 위치 검출 센서(144)나 하프 컷터 홈 위치 검출 센서(146)는 풀 컷터부(13F)나하프 컷터부(13H)의 컷터 작동 기구의 각각이 홈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부(14)는 각각 상술의 테이프 식별 센서(141)와, 이송 모터 회전 검출 센서(142)와, 풀 컷터 모터 회전 검출 센서(143)와, 풀 컷터 홈 위치 검출 센서(144)와, 하프 컷터 모터 회전 검출 센서(145)와, 하프 컷터 홈 위치 검출 센서(14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상에 맞추어 이들을 생략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구동부(15)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와, 헤드 드라이버(152)와, 모터 드라이버(153)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는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그 지시에 따라, 조작부(11)의 디스플레이(4)를 구동한다. 마찬가지로, 헤드 드라이버(152)는 제어부(20)의 지시에 따라, 인쇄부(12)의 인쇄 헤드(7)를 구동한다. 또한, 모터 드라이버(153)는 인쇄부(12)의 이송 모터(121)를 구동하는 이송 모터 드라이버(153a)와, 절단부(13)의 풀 컷터 모터(131)를 구동하는 풀 컷터 모터 드라이버(153b)와, 마찬가지로 절단부(13)의 하프 컷터 모터(133)를 구동하는 하프 컷터 모터 드라이버(153c)를 갖고, 마찬가지로 제어부(20)의 지시에 따라, 각 모터를 구동한다.
다음에, 조작부(11)는 키보드(3)와 디스플레이(4)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4)는 표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표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화면(41)을 갖고, 사용자가 키보드(3)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여, 문자열 화상 데이터 등의 인쇄 화상 데이터를 작성·편집하거나, 그 결과 등을 눈으로 확인하거나, 키보드(3)로부터 각종 지령·선택 지시 등을 입력할 때 등에 이용된다.
키보드(3)에는 알파벳 키 군, 숫자 키 군, 히라가나 및 가타가나 등의 가나 키군 및 외래어를 호출하여 선택하기 위한 외래어 키군 등을 포함하는 문자 키군(31) 이외, 각종 동작 모드 등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 키 군(32) 등이 배열되고, 다양한 지시 및 데이터를 제어부(20)에 입력한다. 기능 키 군(32)에는 전원 키, 인쇄 처리에 관한 지시를 하기 위한 인쇄 키, 텍스트 입력시의 데이터 확정이나 행바꿈 및 선택 화면에 있어서의 선택 지시를 위한 선택 키 및 각각 상하 좌우의 방향에의 커서 이동이나 표시 화면(41)의 표시 범위를 이동시키기 위한 4개의 커서 키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들은 각 키 입력마다 개별로 키를 형성하여 입력해도 되고, 시프트 키 등과 조합하여 보다 적은 수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해도 된다.
다음에, 제어부(20)는 CPU(210), ROM(220), 문자 제너레이터 ROM(CG--ROM)(230), RAM(240), 주변 제어 회로(P-CON)(250)를 구비하고, 상호 내부 버스(26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ROM(220)은 CPU(210)로 처리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제어 프로그램 영역(221) 이외, 색 변환 테이블, 문자 수식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어 데이터 영역(222)을 갖고 있다. CG-ROM(230)은 테이프 인쇄장치(1)에 준비되어 있는 문자 등(숫자, 기호, 도형 등을 포함한다)의 폰트 데이터를 기억하고, 문자 등을 특정하는 코드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에, 대응하는 폰트 데이터를 출력한다.
RAM(240)은 전원 오프시의 백 업이 이루어지고, 각종플래그·레지스터군(241), 텍스트 데이터 영역(242), 표시 화상 데이터 영역(243), 인쇄 화상 데이터 영역(244), 묘화 등록 화상 데이터 영역(245), 외래어 등록 화상 데이터 영역(246), 문자 전개 버퍼, 인쇄 버퍼 등의 각종 버퍼 영역(247) 등의 영역을 갖고, 제어 처리를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키보드(3)에 의해 텍스트 데이터를 키 입력·편집하는 상태(텍스트 편집상태)에서,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를 RAM(240)의 텍스트 데이터 영역(242)에 격납하는 동시에, 이를 화상 전개하여 표시용 화상 데이터(표시 화상 데이터)로서 표시 화상 데이터 영역(243)에 격납하고, 수시로, 디스플레이(4)의 표시 화면(41)에 출력하여 표시한다(이 텍스트 데이터 입력·편집시의 표시 화면(41)의 상태를, 이하「텍스트 편집 화면」이라고 한다). 또한, 이 텍스트 편집 화면 그 밖의 화면 표시 상태에서, 각종 설정에 따라 편집한 결과를 인쇄용 화상 데이터(인쇄 화상 데이터)로서 인쇄 화상 데이터 영역(244)에 격납한다.
P-CON(250)에는 CPU(210)의 기능을 보충함과 동시에 주변 회로와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취급하기 위한 논리 회로가, 게이트 어레이나 커스텀 LSI 등에 의해 구성되어 짜여져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계시를 행하는 타이머(251) 등도 P-CON(250) 내의 기능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P-CON(250)은 검출부(14)의 각종 센서나 키보드(3)와 접속되고, 검출부(14)로부터의 전술한 각종 검출신호 및 키보드(3)로부터의 각종 지시나 입력 데이터 등을 그대로 혹은 가공하여 내부 버스(260)에 집어넣음과 동시에, CPU(210)와 연동하여, CPU(210) 등으로부터 내부 버스(260)에 출력된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그대로 혹은 가공하여 구동부(15)에 출력한다.
그리고, CPU(210)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ROM(220)내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P-CON(250)를 통해 각종 검출신호, 각종 지시신호, 각종 데이터 등을 입력하고, CG-ROM(230)으로부터의 폰트 데이터, RAM(240) 내의 각종 데이터 등을 처리하여, P-CON(250)를 통해 구동부(1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인쇄 헤드(7)를 제어하여 소정의 인쇄 조건으로 테이프(T)에 인쇄함과 동시에, 그 인쇄의 위치 제어나 테이프(T)의 각종 절단(컷) 제어 혹은 표시 화면(41)의 표시 제어 등, 테이프 인쇄장치(1) 전체를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테이프 인쇄장치(1)의 제어 전체의 처리 플로우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 키를 누르는 것(전원 온)에 의해 처리가 개시하면,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전회의 전원 오프시의 상태로 되돌리므로, 퇴피한 각 제어 플래그를 복구하는 등의 초기 설정을 행하고(S1), 다음에, 전회의 표시 화면을 초기 화면으로서 표시한다(S2).
동 도면의 그 후의 처리, 즉 키 입력 여부의 판단 분기(S3) 및 각종 인터럽트 처리(S4)는 개념적으로 도시한 처리이다. 실제로는,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초기 화면 표시(S2)가 종료하면, 키 입력 그외에 의한 인터럽트를 허가하고, 어떠한 인터럽트가 발생하기 까지는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고(S3 : No), 어떠한 인터럽트가 발생하면(S3 : Yes), 각각의 인터럽트 처리로 이행하고(S4), 그 인터럽트 처리가 종료하면, 다시, 그 상태를 유지한다(S3 : No).
상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주요 처리를 인터럽트 처리에 의해행하므로, 인쇄 화상 작성 등의 준비가 되면, 사용자가 임의의 시점에서 인쇄 지시를 행함으로써, 인쇄 지시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인쇄 처리가 기동되고, 인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 인쇄 화상의 인쇄가 가능하다. 즉, 인쇄에 이르기까지의 조작 순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서(K)까지의 1행째 문자(캐릭터)열 「ABCDE」입력후의 텍스트 편집 화면표시의 상태에서(화면 D10 : 이하, 표시 화면(41)의 상태를 화면 D11, D12, . . . 등으로 하여, 이들 부호만으로 설명 및 도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인쇄 키가 눌려지면, 「인쇄중」의 메시지 표시와 함께 (D11), 문자열「ABCDE」의 문자열 화상을 인쇄화상(G00)으로서 인쇄하고, 설정에 따라 컷하여 라벨(L00)을 작성하고(도 6b 참조), 인쇄가 종료하면, 원래의 텍스트 편집 화면으로 되돌아간다(D12 : D10과 동일). 또한,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 사용자는 키 입력에 의한 각종 지시를 취소 키에 의해 취소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상술의 상태(D11)로부터 취소 키를 눌러, 원래의 텍스트 편집 화면의 표시 상태(D10)로 되돌릴 수 있다.
그런데,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상술과 같이 인쇄화상 내의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테이프의 이송 방향(길이 방향)에 일치하도록 인쇄하는 「길이 방향 인쇄」(도 6b 참조) 뿐만 아니라, 문자열의 배열 방향이 테이프의 폭방향에 일치하도록 인쇄할 수 있고「폭방향 인쇄」, 나아가, 그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 화상의 작성·편집·인쇄 및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폭방향 인쇄의 일종으로서, 작성 대상의 라벨 폭(라벨 폭)을자유(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자유폭 인쇄」의 경우를 예로 들어, 제1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술의 텍스트 편집화면의 상태에서(D10), 기능 키군(32)에 포함되는 자유폭 인쇄 키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조작되면), 「자유폭 인쇄」의 제1 계층의 선택 화면의 선택지를 표시한다(D20). 또한, 자유폭 인쇄 키를 누르는 대신에, 「특수 인쇄」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고, 그 화면내에서「자유폭 인쇄」를 선택(지정)하여 이 선택 화면으로 이행(화면 전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선택 화면(D20)은 「자유폭 인쇄」에 대한 각종 기능의 메뉴 화면(이하「기능 선택 화면」)이고, 여기서의 선택지에는 「화일 호출」「화일 작성」「화일 삭제」「화일 인쇄」「화일 다수 인쇄」「화일 복사」「텍스트 변환」등이 포함되고, 커서(K)에 의해 지정되어 흑백 반전 표시(네거티브(negative) 표시)된 하나의 선택지를 선택 후보로 하는 상태로 표시(이하「선택 표시」)한다.
여기서는, 사양(spec)상, 화면 전이 직후에는 전회 선택된 선택지(바로 앞 액세스의 선택지이고, 해당하는 것이 없는 경우는 디폴트의 선택지)를 선택 표시한다(D20). 도시의 예에서는 「화일 작성」이 선택표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단, 사용자는 상술의 상태에서(D20), 커서 조작에 의해 다른 선택지를 선택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화일」이란, 인쇄 화상의 문자열 화상의 근원이 되는 텍스트 데이터의 종합이고, 「자유폭 인쇄」에 있어서의 인쇄 화상의 관리는 이「화일」을 단위로 하여 행해진다.
여기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커서 조작에 의해 임시로 「화일 호출」을 선택 표시시키고 나서, 선택 키를 누르면(이하, 이「선택 표시」+「선택 키의 누름」조작을 「선택 조작」이라고 한다), 등록되어 있는 「화일」중에서 원하는(임의) 하나를 선택하여 호출할 수 있고, 「화일 삭제」를 선택 조작하면, 등록된 「화일」 중에서 원하는(임의) 하나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고, 「화일 복사」를 선택 조작하면, 임의의 하나의 「화일」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새로운 별도의 「화일」로서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선택지 중의 「화일 인쇄」「화일 다수 인쇄」「텍스트 변환」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것으로 하고, 여기서는, 우선, 기본이 되는 「화일 작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술의 선택 화면을 표시한 상태(D20)에서, 각종 커서 조작과 선택 키의 조작(선택 조작)에 의해, 「화일 인쇄」가 선택되면, 다음에, 신규 등록하는 「화일」의 번호의 입력을 촉구하는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D21). 여기서는, 사양상, 화면 전이 직후에는 빈 번호의 최소치(도시의 예에서는「03」)를 디폴트 표시한다(D21). 이 상태에서(D21), 사용자는 문자 키군(31)에 포함되는 숫자 키의 조작에 의해 별도의 번호(예를 들면 「04」나「22」등)를 입력하고 나서 선택 키를 누름으로써, 다른 화일 번호(「04」나「22」등)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미 등록이 끝난 번호를 입력하였을 때는 무효로 된다(또한, 여기서 덮어쓰기하는 수단으로 해도 되고, 무효 혹은 덮어쓰기의 취지를 표시하는 경고 등을 표시시켜도 된다).
여기서는, 화일 번호 「03」 그대로 확정(선택 키의 누름)이 이루어진 것으로 하면, 다음에, 그 하위 계층의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D22 : 도 7, 도 8, 도 24에서 공통). 이 선택 화면(D22)은 작성하는 화일 번호 「03」의 화일(이하 간단히, 화일 「03」이라고 부른다), 즉 텍스트 데이터와, 이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라벨의 라벨폭을 어떻게 관련지을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이고, 여기서의 선택지에는 「전체 라벨폭 지정」「분할 라벨폭 지정」등이 포함되고, 「전체 라벨폭 지정」은 화일「03」에 의해 1매의 라벨을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그 1매의 라벨의 라벨폭을 지정하기 위한 선택지이고, 「분할 라벨폭 지정」은 다수매의 라벨로 분할하여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각 라벨폭을 각각 지정하기 위한 선택지이다.
여기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라벨폭 지정」이 선택 조작된 것으로 하면, 다음에,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전체 라벨폭」의 입력을 촉구하는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D30). 여기서는, 화면 전이 직후에는 전체 라벨폭 「00.0㎝」을 디폴트 표시하므로, 이 상태에서(D30), 사용자는 숫자 키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54」(54㎜)를 입력하고 나서 선택 키를 누름으로써, 전체 라벨폭= 5.4㎝(54㎜)을 지정할 수 있다.
전체 라벨폭이 지정(입력)되면,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D31 : 도 9와 공통). 이 선택 화면(D31)은 작성 대상의 라벨폭과는 별도로, 인쇄 화상을 인쇄할 때의 폭(라벨의 폭방향 또한 테이프의 길이 방향의 길이: 이하「인쇄폭」)을 어떻게 설정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인쇄폭 지정방법의 선택 화면)이고, 여기서의 선택지에는 「인쇄폭 자동」「전체 인쇄폭 지정」「행별인쇄폭 지정」등이 포함된다(D31∼D33). 이들 선택지 중, 「인쇄폭 자동」은 지정되어 있는 라벨폭에 일치시키는, 즉 「전체 라벨폭= 전체 인쇄폭」으로 하는 선택지이고, 「전체 인쇄폭 지정」은 전체 라벨폭의 지정에 관계없이 인쇄 화상 전체의 인쇄폭(전체 인쇄폭)을 지정하기 위한 선택지이고, 「행별 인쇄폭 지정」은 인쇄 화상에 다수행의 문자열이 포함되는 경우에, 전체 라벨폭의 지정에 관계없이 각 행의 인쇄폭(행별 인쇄폭)을 개별로 지정하기 위한 선택지이다.
또한, 이하에서「전체 인쇄폭」(PW)이란, 정확하게는 인쇄 화상 전체의 인쇄폭이 아니라, 「자유폭 인쇄」(폭방향 인쇄)용으로 작성되어 등록된 화일의 텍스트 데이터에 의거해 화상 전개되는 문자열 화상의, 인쇄 화상내에서의 전개(배치) 영역의 인쇄폭이고, 후술과 같이 인쇄 화상 전체의 인쇄폭에는 전체 인쇄폭(PW) 이외에, 전단측 인쇄 마진(전단측 여백)(PMs)이나 후단측 인쇄 마진(후단측 여백)(PMe)이 포함되는데(도 13a-13c 등 참조), 전단측 여백(PMs)= 후단측 여백(PMe)= 0㎜에서는 전체 라벨폭(LW)= 전체 인쇄폭(PW)이므로, 「행별 인쇄폭」등과의 구별을 위해, 편의상, 「전체 인쇄폭」이라고 칭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문자열 화상(등록된 화일의 텍스트 데이터에 의거해 화상 전개되는 문자열 화상) 이외의 부분(상하 좌우의 여백부나 배경부)은 편의상, 문자대로의 여백(공백 화상)으로 하는데, 상기의 문자열 화상과는 다른 바탕 모양 그 밖의 화상(상기와 다르면 문자 화상이나 문자열 화상이어도 된다)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를 위해, 이들 화상을 도트 맵 등에 의한 요소 화상 데이터 등의 형태로, 후술하는 화일 등록시의 텍스트 데이터와 동일한 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로서, 혹은 부수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등록해도 된다.
여기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의 선택 화면(D31 : 도 8과 도 9에서 공통)으로부터, 「인쇄폭 자동」이 선택 조작된 것으로 하면,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화일 「03」의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편집(폭방향의 문자열 입력)의 화면을 표시한다(D40).
이 입력 화면(D40)에서는 전체 라벨폭 5.4㎝에 대응하여 가능한 문자열의 행수인 「3행」의 문자열 입력을 촉구하도록, 화면 전이 직후에는, 1행째의 선두가 커서 지정되므로, 통상의 텍스트 편집(도 6a 등 참조)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1행째 「치요다 초등학교」, 2행째 「 2학년 2반」, 3행째 「 山本純一郞」라고 입력·편집하고(D41), 그 후, 시프트 키 + 선택 키로 확정하면, 다음에,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문자 사이즈의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D42).
이 설정 화면(D42)에서는 상기의 입력행수 「3행」가 명시됨과 동시에, 라벨폭에 대한 상대적 또한 추상적인 문자 사이즈(추상 사이즈) 지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화면 전이 직후에는 1행째의 디폴트의 추상 사이즈 「중」이 커서 지정되어 있다.
이 설정 화면의 각 행의 선택지에는 「특대」「대」「중」「소」「극소」 등이 있고, 문자 사이즈가 예를 들면 「2의 0.5승」(소위「루트 2」: √2)배씩, 즉 「극소」의 √2배가 「소」,「소」의 √2배가「중」,「중」의 √2배가 「대」,「대」의 √2배가 「특대」 등, 상대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예를 들면 각 행이 「대」「중」「특대」의 3행과, 각 행이 「소」「극소」「중」인 3행에서는 각 행 상호간의 상대적인 문자 사이즈의 관계는 동일하지만, 도트 수 단위 등의 절대 사이즈에 의한 실제 문자 사이즈 및 여백(여백 사이즈)은 예를 들면 「대」「중」「특대」의 3행에서는 여백을 작게하여 문자 사이즈를 전체적으로 크게 하고, 「소」「극소」「중」의 3행에서는 여백을 크게 하여 문자 사이즈를 전체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이들을 지정하는 사용자의 이미지(「조금 큼」이나 「조금 작음」 등의 이미지 : 각 추상 사이즈 단어의 뉘앙스)에 따르도록 결정하여 설정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각 행이 「중」「소」「대」의 3행(상술의 2열의 중간적인 이미지)이 되도록 선택하고, 그 후, 시프트 키 + 선택 키로 확정하면, 화일 「03」의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자유폭 인쇄」의 기능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간다(D43 : 도 7의 D20과 동일). 이 경우, 기능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간 시점에서, 화일「03」이 등록되고, 그 등록시에는 상술의 1∼3행째의 텍스트 데이터에 추가하여, 이에 부수하는 각종 정보, 예를 들면 문자 사이즈(추상 사이즈)나 전체 라벨폭(LW), 나아가 전체 인쇄폭(PW)(상술의 예에서는 전체 라벨폭(LW)= 전체 인쇄폭(PW)= 54㎜) 등이, 부수 정보로서 등록된다.
이 때문에, 이 후, 후술의「화일 인쇄」에 의해 테이프 폭 TW= 36㎜의 테이프(T)에 화일 「03」의 인쇄를 행하면,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 헤드(7)에 의해 인쇄 화상(G10)이 인쇄폭 PW= 54㎜로 인쇄되고, 라벨폭 LW= 54㎜의 전단의 하프 컷(hc) 및 후단의 풀 컷(fc)에 의해, 그대로, (가로) 길이 36㎜×(세로) 폭 54㎜의 라벨(L10)이 작성된다(도 10b).
상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길이 방향 인쇄와 폭방향 인쇄가 선택적으로 가능한데, 폭방향 인쇄에서는 라벨로 할 때의 테이프 길이 방향의 사이즈를 라벨폭(LW)으로서 설정하여, 폭방향 인쇄를 위한 문자열을 입력하고, 라벨폭(LW) 내에서의 문자열이나 여백의 폭을 배치폭으로서 설정하고, 그 배치폭에 따라서 인쇄 화상(G10) 등을 작성하므로, 종래와 같이 길이 방향 인쇄를 위한 기능을 이용하고 또한 그 인쇄 화상을 유용(90°회전 등)하여 작성하는데 비해,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인쇄 화상(G10) 등을 작성할 수 있고, 또한, 그대로(일단, 길이 방향 인쇄용으로 되돌리지 않고) 편집할 수 있고, 편집한 채로의 이미지 그대로 인쇄할 수 있고, 설정된 라벨폭(LW)에 맞추어 컷함으로써 라벨(L10) 등을 작성할 수 있으므로,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 화상의 작성·편집·인쇄 및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텍스트 데이터를 화일로서 등록할 수 있고, 설정된 라벨폭이나 인쇄폭을, 화일의 부수 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라벨폭이나 인쇄폭의 지정이 다른 화일의 작성 등의 다른 작업을 한 직후라도,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 만으로, 라벨폭이나 인쇄폭의 재설정 등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인쇄 화상의 작성∼인쇄 및 원하는 라벨폭이나 인쇄폭의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3행의 예와 같이, 인쇄 화상(G10) 등이 문자열 화상을 다수행 갖는 경우, 각 행별 폭이나 여백(행간을 포함한다)마다의 폭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배치폭으로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각 행별 폭을 「대」「중」 등의 상대적이고 추상적인 추상 사이즈를 이용하여 지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도트수나 실제 사이즈 등의 상세한 지정을 요하지 않고, 머리에 그리는 이미지 등에 따라서 간편하게 지정할 수 있고, 그 지정도 간단히 메뉴로부터 선택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더욱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배치폭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상술의 메뉴로부터의 선택 대신에, 배치폭(각 행의 폭이나 여백의 폭)을 수치 입력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수치 입력에 의해서, 원하는(임의) 설정폭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미묘한 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후술하는 분할 라벨을 지정하는 경우 등에는 각 분할 라벨의 폭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어, 유리해진다. 또한, 반대로 상기의 예에서 전체 라벨폭은 수치 입력으로 했지만, 마찬가지로 메뉴로부터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CD용, MD용, 이들 각 케이스 표면용, 각 케이스 사이드용 등등, 정형 사이즈의 메뉴로부터 선택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라벨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예에서는 문자(화상)을 포함하는 행만을 각 행으로 하였는데, 문자(열)를 포함하지 않는 공백행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서 전술의 입력 화면의 상태(D40 : 도 9와 도 11에서 공통)로부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행째에의 입력없이, 2행째 「 山本純一郞」가 입력·편집되고(D44), 시프트 + 선택 키로 확정되면, 문자가 존재하는 최종행의 2행째까지를 유효로 하고, 1행째를 공백행(스페이스만의 행)으로 한다. 이 때문에, 하위 계층의 문자 사이즈의 설정 화면(D45)에서는 행수 「2행」을 명시함과 동시에, 1행째 및 2행째의 각 행에 추상 사이즈 지정이 가능해지고, 예를 들면 각 행이 「중」「소」가 되도록 선택하고, 그 후, 시프트 키 + 선택 키로 확정하면, 화일 「03」의 화일 작성을 종료하여, 「자유폭 인쇄」의 기능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D46 : 도 7D, 20과 동일).
또한, 이 경우, 입력 문자에는 스페이스도 포함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3행째에 1문자분 이상의 스페이스 「 」가 입력되고 나서 시프트 키 + 선택 키로 확정되면, 문자(「 」를 포함한다)가 존재하는 최종행의 3행째까지를 유효로 하고, 1행째 및 3행째를 스페이스만의 공백행으로 하고, 문자 사이즈의 설정 화면에서는 행수 「3행」을 명시함과 동시에, 1∼3행째의 각 행에 추상 사이즈 지정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술의 예는 「인쇄폭 자동」이므로, 「전체 라벨폭= 전체 인쇄폭」으로 했는데,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인쇄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테이프(T)의 이송 방향(길이 방향)의 사이즈를, 전체 라벨폭(LW)에 대응하는 전체 인쇄폭(PW)으로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폭방향 인쇄에 의해서 라벨 작성을 행할 때의 전체 라벨폭(LW)과 전체 인쇄폭(PW)의 각종 조합을, 자유롭게(임의)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우선, 전체 라벨폭(LW)의 지정에 상관없이 전체 인쇄폭(PW)을 지정하기 위한 「전체 인쇄폭 지정」을 예로 들어, 제2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도 8에서 전술의 전체 라벨폭 지정후의 선택화면(D31∼D33)에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인쇄폭 지정」이 선택 조작된 것으로 하면(D32 : 도 8과 도 12에서 공통), 다음에,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전체 인쇄폭」의 입력을 촉구하는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D50). 여기서는 화면 전이 직후에 전체 인쇄폭 「00.0㎝」을 디폴트 표시하므로, 사용자는 숫자 키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36」(36㎜)를 입력하고 나서 선택 키로 확정함으로써, 전체 인쇄폭= 3.6㎝(36㎜)을 지정할 수 있다.
전체 인쇄폭이 지정되면,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D51). 이 선택 화면(D51)은 지정한 전체 라벨폭과 전체 인쇄폭이 다른 사이즈(본 예에서는 전체 라벨폭 LW= 54㎜, 전체 인쇄폭 PW= 36㎜)인 경우, 라벨로 되는 부분(라벨로서 컷하는 부분)과 테이프에 인쇄하는 인쇄 화상과의 각각의 기준 위치, 즉 전체 라벨폭(LW)과 전체 인쇄폭(PW)의 각각의 기준 위치를 어디에 설정할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기준 위치 선택화면)이다. 여기서의 선택지에는 「전단 맞춤」「중앙 맞춤」「후단 맞춤」등이 포함된다. 「전단 맞춤」은 전체 라벨폭과 전체 인쇄폭의 각각의(테이프 길이 방향의) 전단을 기준 위치로 하고, 「중앙 맞춤」은 각각의 중앙을 기준 위치로 하고, 「후단 맞춤」은 각각의 후단을 기준 위치로 하는 선택지이다.
이들 선택지 중, 사양상, 화면 전이 직후에는, 전회 선택된 선택지가 선택 표시되는데, 여기서는, 디폴트의 「전단 맞춤」이 선택 조작된 것으로 하면,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D52).
이 입력 화면(D52)은 화면 상측(타이틀부)에 라벨폭 5.4㎝ 뿐만 아니라 인쇄폭 3.6㎝이 표시되고, 그 이외는 도 9에서 전술의 입력 화면(D40)과 동일한 화면이고, 가능한 행수 「3행」의 문자열의 입력을 촉구하도록, 화면 전이 직후에는 1행째의 선두가 커서 지정되어 있으므로, 이 후(도 9의 D40∼D42와 마찬가지로), 1행째 「치요다 초등학교」, 2행째 「 2학년 2반」, 3행째 「 山本純一郞」라고 입력·편집하고, 더욱 하위 계층의 설정 화면에서 각 행의 추상 사이즈를 지정후, 화일「03」의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자유폭 인쇄」의 기능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간다(도 9의 D43, 도 7의 D20 참조).
또한, 이 경우의 화일 등록시의 부수 정보에는 상술의 기준 위치 선택화면(도 12의 D51)에서 선택된 기준 위치(상술의 예에서는「전단」)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후술의「화일 인쇄」에 의해 화일 「03」의 인쇄가 지시되면,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 맞춤」이므로 전체 인쇄폭 PW= 36㎜의 전단(기준 위치)을 전체 라벨폭 LW= 54㎜의 전단(기준 위치 : 하프 컷(hc)의 위치)에 맞추도록, 또한 후단측 여백 PMe= 18㎜을 갖도록, 인쇄 화상(G21)을 작성하고, 예를 들면 테이프폭 TW= 36㎜의 테이프(T)에 인쇄하고, 하프 컷(hc) 및 후단의 풀 컷(fc)에 의해, 그대로, (가로) 길이 36㎜×(세로) 폭 54㎜의 라벨(L21)을 작성한다.
또한, 상술의 기준 위치 선택화면(도 12의 D51)에서, 「중앙 맞춤」이 선택 조작되고, 그 후 마찬가지로 하여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화일 인쇄」에 의해 화일「03」의 인쇄가 지시되면,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인쇄폭 PW= 36㎜의 중앙(기준 위치: 전단과 후단의 중간 위치)을 전체 라벨폭 LW= 54㎜n의 중앙(기준 위치)에 맞추도록, 또한 전단측 여백 PMs= 9㎜ 및 후단측 여백 PMe= 9㎜을 갖도록, 인쇄 화상(G22)을 작성하고, 마찬가지로 인쇄·컷을 행함으로써, (가로) 길이 36㎜×(세로) 폭 54㎜의 라벨(L22)을 작성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후단 맞춤」이 선택 조작되어(도 12의 D51), 화일 작성을 종료하여, 인쇄가 지시되면, 도 1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인쇄폭 PW= 36㎜의 후단(기준 위치)을 전체 라벨폭 LW= 54㎜의 후단(기준 위치: 풀 컷(fc)의 위치)에 맞추도록, 또한 전단측 여백 PMs= 18㎜를 갖도록, 인쇄화상(G23)을 작성하고, 마찬가지로 인쇄·컷을 행함으로써, (가로) 길이 36㎜×(세로) 폭 54㎜의 라벨(L23)을 작성한다.
또,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지정된 전체 라벨폭(LW)보다 큰 값의 전체 인쇄폭(PW)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전술의 전체 라벨폭의 입력 화면(D30)에서 「36」(36㎜)을 지정하고, 도 12에서 상술의 전체 인쇄폭의 입력 화면(D50)에서 「54」(54㎜)를 지정한 경우, 즉 상술의 예와는 반대로 LW<PW의 관계로 되어, 전체 라벨폭 LW= 36㎜, 전체 인쇄폭 PW= 54㎜인 경우, 그 후, 마찬가지로, 기준 위치 선택화면(도 12의 D51)에서 기준 위치가 선택 조작되고, 화일 작성을 종료하여, 인쇄가 지시되면,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 위치에 상관없이 전체 인쇄폭 PW= 54㎜의 인쇄 화상(G31)(도 10b에서 전술의 인쇄 화상(G10)과 동일하게 된다: 또한, 도 14b, 14c 내의 인쇄 화상(G32, G33)도 동일)을 작성하고, 그 전단을 하프 컷(hc)의 위치에 맞추도록 인쇄한다.
단, 상술의 기준 위치 선택화면(도 12의 D51)에서, 「전단 맞춤」이 선택 조작된 경우,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 맞춤」이므로 전체 라벨폭 LW= 36㎜의 전단이 인쇄 화상(G31)의 전단과 일치하도록, 전체 라벨폭 LW= 36㎜의 라벨(L31a)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함과 동시에, 합계의 라벨폭이 전체 인쇄폭 PW= 54㎜와 맞도록, 라벨(L31a)의 후단에 연속하도록 후단 부가(附加)(후측 여분) 라벨폭 LMe= 18㎜의 라벨(L31b)을 하프 컷(hc) 및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또한, 「중앙 맞춤」이 선택 조작된 경우(도 12의 D51), 도 14b에 도시하는바와 같이, 전체 라벨폭 LW= 36㎜의 중앙이 전체 인쇄폭 PW= 54㎜의 중앙(전단과 후단의 중간위치)과 일치하도록, 최초에 전단 부가(전측 여분) 라벨폭 LMs= 9㎜의 라벨(L32a)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하고, 그 후단에 연속되도록 전체 라벨폭 LW= 36㎜의 라벨(L32b)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하고, 그 후단에 연속하도록 후측 여분 라벨폭 LMe= 9㎜의 라벨(L32c)을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후단 맞춤」이 선택 조작된 경우(도 12의 D51),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라벨폭 LW= 36㎜의 후단이 전체 인쇄폭 PW= 54㎜의 후단과 일치하도록 최초에 전단 부가(전측 여분) 라벨폭 LMs= 18㎜의 라벨(L33a)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한 후, 그 후단에 연속하도록 전체 라벨폭 LW= 36㎜의 라벨(L33b)을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상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라벨로 할 때의 테이프 길이 방향의 사이즈를 전체 라벨폭(LW)으로서 설정할 수 있고, 「인쇄폭 자동」을 선택하면, 전체 인쇄폭(PW)을 전체 라벨폭(LW)과 동일한 사이즈로 자동 설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체 인쇄폭을 결정하고, 인쇄화상의 작성∼라벨 작성을 보다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 인쇄폭 지정」을 선택하면, 전체 라벨폭(LW)에 대응하는 인쇄폭(PW)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폭방향 인쇄에 의해서 라벨 작성을 행할 때의 전체 라벨폭(LW)과 전체 인쇄폭(PW)의 각종 조합을, 자유롭게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전체 라벨폭(LW) 이상의 사이즈를 전체 인쇄폭(PW)으로서 설정 가능하므로(도 14a-14c 참조), 보다 자유롭게 인쇄폭을 설정할 수 있고, 라벨폭과 인쇄폭의 더욱 유연한 조합의 설정이가능해진다.
또한, 인쇄폭과 라벨폭이 다른 사이즈인 경우, 인쇄폭과 라벨폭의 각각의 일단(전단 또는 후단)이나 중앙(전단과 후단의 중간 위치)을 기준 위치로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선택하는 것만으로 기준 위치를 간편하고 또한 맞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설정된 인쇄폭의 기준 위치와 라벨폭의 기준 위치가 일치하도록 인쇄하므로, 원하는 배치의 인쇄를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인쇄폭의 기준 위치와 라벨폭의 기준 위치는, 상술의 예와 같이 동일한 기준(예를 들면 양방 모두 전단이 기준 위치 등)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한쪽은 전단을 기준 위치로 하고, 다른쪽은 후단을 기준 위치로 하는 등, 별도의 기준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예에서는 인쇄 화상내에 3행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예를 들었는데, 예를 들면 1행의 문자열 「2학년 2반」의 화일을 화일 인쇄하는 경우,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자열의 배치폭(문자 사이즈)을 작게할 뿐만 아니라, 전체 라벨폭 LW= 18㎜보다 작은 전체 인쇄폭(PW)(도시의 예에서는 PW= 9㎜ 또한「중앙 맞춤」)을 지정해 두면, 그 인쇄 화상(G41)을 작성하여 인쇄함으로써, 작은 문자열 「2학년 2반」의 주위에 여백을 많이 배치한 (가로) 길이 36㎜×(세로) 폭 18㎜의 라벨(L41)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치폭도 크게 하여, 전체 라벨폭 LW= 18㎜보다 큰 전체 인쇄폭(PW)(= 24㎜ 또한 「중앙 맞춤」)을 지정해 두면, 그 인쇄 화상(G42)의 작성·인쇄에 의해, 문자열 「2학년 2반」의 상하등의 일부를 의도적으로 생략(삭제)하여 일종의 장식을 실시한 것처럼 보이는 동일한 크기(36㎜× 18㎜)의 라벨(L42)(작성되는 라벨 L42a∼L42c의 중앙의L42b가 상당)을 작성할 수 있다.
그런데,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상술의「인쇄폭 자동」(「전체 라벨폭= 전체 인쇄폭」)이나 인쇄 화상 전체의 인쇄폭(PW)을 지정하는 「전체 인쇄폭 지정」 이외, 또한 자유롭게 다양한 라벨폭(LW)과 인쇄폭(PW)의 각종 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인쇄 화상이 다수행의 문자열을 포함하는 경우에, 각 행을 배치하는 폭(각 행의 배치폭: 각 행 인쇄폭: 행별 인쇄폭)을 각 행마다 개별로 지정할 수 있는 「행별 인쇄폭 지정」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로 들어, 제3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도 8에서 전술의 전체 라벨폭 지정후의 선택 화면(D31∼D33)에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별 인쇄폭 지정」이 선택 조작된 것으로 하면(D33 : 도 8과 도 16에서 공통),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도 12에서 전술한 화면(D51)과 동일한 기준 위치 선택화면을 표시한다(D60). 여기서는, 전술의 기준 위치의 선택지 「전단 맞춤」「중앙 맞춤」「후단 맞춤」중 어느 하나가 선택 조작된 것으로 하면, 다음에, 각 행의 인쇄폭(행별 인쇄폭) 및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편집의 화면을 표시한다(D61).
이 입력 화면(D61)에서는 전체 라벨폭 5.4㎝에 대응하여 가능한 문자열의 행수인 「3행」의 문자열을 배치하는 행별 인쇄폭 및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편집을 행한다. 화면 전이 직후에는 우선, 1행째의 행별 인쇄폭의 입력을 촉구하도록, 그 입력 위치가 커서 지정되어 있으므로(D61), 사용자는 숫자 키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숫자「12」(12㎜)를 입력함으로써, 1행째의 행별 인쇄폭= 1.2㎝(12㎜)을 지정할 수 있다(D62). 또한, 입력 미스 등을 알아차려 편집(수정)하고 싶을 때는, 예를 들면 1행째의 행별 인쇄폭= 1.5㎝(15㎜)로 변경하고 싶을 때는, 삭제 키의 누름에 의해 최후에 입력한 「2」를 삭제하고(D63 : 도 16과 도 17에서 공통),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숫자「5」를 입력하면, 1행째의 행별 인쇄폭= 1.5㎝(15㎜)로 지정을 변경할 수 있다(D64).
1행째의 행별 인쇄폭을 입력후(D64), 선택 키 누름에 의해 확정되면, 다음에, 1행째의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을 촉구하도록, 그 입력 위치가 커서 지정되므로(D65), 도 9에서 전술의 입력 화면(D40)으로부터의 입력·편집과 마찬가지로, 1행째 「치요다 초등학교」라고 입력·편집되어, 확정되면, 2행째의 행별 인쇄폭의 입력을 촉구하도록, 그 입력 위치가 커서 지정된다(D67 : 도 17과 도 18에서 공통).
연속해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행째와 마찬가지로, 2행째의 행별 인쇄폭을 예를 들면 숫자 「10」(10㎜)로 입력되어, 확정되면, 다음에, 마찬가지로 2행째의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 위치가 커서 지정되므로(D68), 여기서는, 예를 들면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고, 확정되면, 다음에, 3행째의 행별 인쇄폭의 입력 위치가 커서 지정된다(D69). 여기서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숫자「20」(20㎜)라고 입력되어, 확정되면, 다음에, 마찬가지로 3행째의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 위치가 커서 지정된다(D68).
여기서, 예를 들면 3행째 「 山本純一郞」라고 입력·편집되면, 1행째∼3행째의 행별 인쇄폭이 확정되고, 1행째 「치요다 초등학교」가 입력되고, 2행째를 공백행으로 하며, 3행째 「 山本純一郞」라고 입력된 상태로 된다(D71 : 도 18과 도 19에서 공통).
또한, 행별 인쇄폭 및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편집의 화면 표시 상태에서는 이미 행별 인쇄폭이 설정된 행의 범위 및 입력이 끝난 범위내에서는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서는 커서 조작에 의해 커서 지정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상태(D71)에서는 예를 들면 좌측 커서의 7회 누름에 의해, 3행째의 텍스트의 선두(D72), 나아가 1회로 3행째의 행별 인쇄폭의 최하 자리수(D73), 또한 2회로 최상 자리수, 또한 1회로 2행째의 말미(D75)로 화면 전이(이행)할 수 있고, 3행째의 각 화면(D73, D72 및 D71)에서는 상측 커서의 누름마다, 2행째의 각 화면(D74, D75 및 D75), 1행째의 각 화면(D76, D77 및 D77)으로 이행할 수 있다. 화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는 우측 커서, 1행째부터 3행째의 방향으로는 하측 커서에 의해, 상기 좌측 커서나 상측 커서와 마찬가지로 커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의 말미(예를 들면 D71 및 D78)로부터의 상하 이동에서는 점선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말미 상호간을 이동하는(D71→ D79→ D78 및 D78→ D79→ D71) 수단으로 해도 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커서 지정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킨 후에, 그 커서 지정위치에 대한 편집(추가, 삭제, 변경)을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행째의 텍스트 선두가 커서 지정된 상태(D75 : 도 19와 도 20에서 공통)에서, 예를 들면 2행째 「 2학년 2반」으로 입력·편집되면, 1행째∼3행째의 행별 인쇄폭이 확정되고, 1행째 「치요다 초등학교」, 2행째 「 2학년 2반」, 3행째 「 山本純一郞」라고 입력된 상태, 즉 텍스트에 대해서는 도 9 등에서 전술의 텍스트와 동 내용이 입력된 상태로 된다(D80 : 도 20과 도 21에서 공통). 단, 입력·편집 종료후, 시프트 키 + 선택 키로 확정되면, 도 9의 예와는 달리(각 행의 추상 사이즈를 지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직접, 화일 「03」의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자유폭 인쇄」의 기능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간다(D81 : 도 7의 D20과 동일).
또한, 상술의 입력·편집의 화면 표시 상태(D80)에서는 도 19에서 전술과 마찬가지로, 커서 조작에 의한 커서 이동이 가능하고,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하 커서에 의한 타행 상호간의 이동(행간 이동)이나 좌우 커서에 의한 동일행 내의 이동(일부는 행간 이동)이 가능하다(D83∼D86). 단, 이미 행별 인쇄폭이 설정된 행의 범위 및 입력이 끝난 범위내에서만 커서 이동이 가능하므로, 도 19에서는 설명을 생략했지만, 예를 들면 전체의 말미(3행째의 텍스트 말미)가 커서 지정된 상태(D82)에서, 우측(또는 하측) 커서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범위외라는 취지의 에러(경고) 통지 및 점멸 표시를 행하고(D87), 소정 시간(예를 들면 0.75초)후에,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D82). 다른 상태에서의 범위외(예를 들면 D84로부터 좌측 또는 상측, D83으로부터 상측, D86으로부터 하측)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커서 조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에러 통지 등(D87)을 행하고, 소정 시간후에,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도 20에서 상술의 화일 「03」의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자유폭인쇄」의 기능 선택 화면(D81)으로 되돌아간 경우, 이 시점에서 등록된 텍스트 내용은 1행째 「치요다 초등학교」, 2행째 「 2학년 2반」, 3행째 「 山本純一郞」이고, 또한, 각종 지정(설정)은 전체 라벨폭 LW= 54㎜, 1행째의 행별 인쇄폭 PW1= 15㎜, 2행째의 행별 인쇄폭 PW2= 10㎜, 3행째의 행별 인쇄폭 PW3= 20㎜로 되어 있고, 이 때문에, 전체 인쇄폭 PW= 15+10+20= 45㎜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종 설정 정보는 도 16에서 전술의 기준 위치 선택화면(D60)에서 선택된 기준 위치의 정보와 함께, 화일 독출시에 복원 가능하도록 압축 등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화일의 부수 정보로서 등록된다.
여기서, 기준 위치 선택(도 16의 D60)에서 「전단 맞춤」이 선택 조작된 경우, 후술의 「화일 인쇄」에 의해 화일 「03」의 인쇄가 지시되면, 도 22a-2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행의 행별 인쇄폭 PW1= 15㎜, PW2= 10㎜ 및 PW3= 20㎜로서, 각각 「치요다 초등학교」,「 2학년 2반」및「 山本純一郞」를, 각 행의 행별 인쇄폭에 알맞은 문자 사이즈(배치폭)로, 각 행별 인쇄폭의 중앙에 배치하고, 또한 「전단 맞춤」이므로 전체 인쇄폭 PW= 45㎜의 전단을 전체 라벨폭 LW= 54㎜의 전단에 맞추도록, 또한 후단측 여백 PMe= 18㎜을 갖도록, 인쇄 화상(G51)을 작성하고, 예를 들면 테이프폭 TW= 36㎜의 테이프(T)에 인쇄하고, 하프 컷(hc) 및 후단의 풀 컷(fc)에 의해, 그대로, (가로) 길이 36㎜×(세로) 폭 54㎜의 라벨(L51)을 작성한다. 또한, 기준 위치가 전단인 경우, 각 행의 문자열 화상의 기준 위치도 전단(도시 상측 : 문자열의 상단 라인)으로서, 각 행의 문자열 화상의 전단을 행별 인쇄폭의 전단에 맞추도록 배치하는 수단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준 위치로서 「중앙 맞춤」이 선택 조작되고, 그 후 동일하게 하여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인쇄가 지시되면, 도 2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과 마찬가지로 각 행의 행별 인쇄폭 PW1= 15㎜, PW2= 10㎜ 및 PW3= 20㎜에 알맞은 배치폭으로, 각 행의 문자열 화상을 각 행별 인쇄폭 PW1∼PW3의 중앙에 배치하고, 또한 「중앙 맞춤」이므로 전체 인쇄폭 PW= 45㎜의 중앙을 전체 라벨폭 LW= 54㎜의 중앙에 맞추도록, 또한 전단측 여백 PMs= 4.5㎜ 및 후단측 여백 PMe= 4.5㎜를 갖도록, 인쇄 화상(G52)을 작성하고, 마찬가지로 인쇄, 컷을 행함으로써, (가로) 길이 36㎜×(세로) 폭 54㎜의 라벨(L52)을 작성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후단 맞춤」이 선택 조작되어,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인쇄가 지시되면, 도 2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과 마찬가지로, 각 행의 행별 인쇄폭(PW1∼PW3)에 알맞은 배치폭으로, 각 행의 문자열 화상을 각 행별 인쇄폭(PW1∼PW3)의 중앙에 배치하고, 또한 「후단 맞춤」이므로 전체 인쇄폭 PW= 45㎜의 후단을 전체 라벨폭 LW= 54㎜의 후단에 맞추고, 또한 전단측 여백 PMs= 18㎜를 갖도록, 인쇄 화상(G53)을 작성하고, 마찬가지로 인쇄, 컷을 행함으로써, (가로) 길이 36㎜×(세로) 폭 54㎜의 라벨(L53)을 작성한다. 또한, 기준 위치가 후단인 경우, 각 행의 문자열 화상의 기준 위치도 후단(도시 하측 : 문자열의 하단 라인)으로서, 각 행의 문자열 화상의 후단을 행별 인쇄폭의 후단에 맞도록 배치하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행별 인쇄폭 지정」의 경우도, 합계의 전체 인쇄폭(PW)이 전체 라벨폭(LW)보다 커지도록, 각 행별 인쇄폭을 PW1∼PW3 등을 지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도 8에서 전술의 전체 라벨폭의 입력 화면(D30)에서 「36」(36㎜)을 지정하고, 도 16 이후에서 상술과 마찬가지로, 각 행의 행별 인쇄폭 PW1= 15㎜, PW2= 10㎜ 및 PW3= 20㎜을 지정하면, 전체 인쇄폭 PW= 45㎜로 되므로, LW < PW의 관계로 되고, 마찬가지로, 기준 위치 선택화면(도 16의 D60)에서 기준 위치가 선택 조작되어,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인쇄가 지시되면, 도 23a-2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행의 문자열 화상을 대응하는 각 행별 인쇄폭(PW1∼PW3)에 알맞은 배치폭으로 중앙에 배치하고, 기준 위치에 상관없이 전체 인쇄폭 PW= 45㎜인 인쇄 화상(G61)(동 도면 내의 인쇄화상(G62, G63)도 동일)을 작성하고, 그 전단을 하프 컷(hc)의 위치에 맞추도록 인쇄한다.
단, 상술의 기준 위치 선택이 「전단 맞춤」인 경우, 도 2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라벨폭(LW)의 전단이 인쇄 화상(G61)의 전단과 일치하도록, 전체 라벨폭 LW= 36㎜의 라벨(L61a)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하고, 합계의 라벨폭이 전체 인쇄폭 PW= 45㎜과 맞도록, 후측 여분 라벨폭 LMe= 9㎜인 라벨(L61b)을, 하프 컷(hc) 및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또한, 「중앙 맞춤」인 경우,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라벨폭(LW)의 중앙이 전체 인쇄폭(PW)의 중앙과 일치하도록, 전측 여분 라벨폭 LMs= 4.5㎜의 라벨(L62a)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하고, 연속하여 전체 라벨폭 LW= 36㎜인 라벨(L62b)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하고, 또한 후측 여분 라벨폭 LMe= 4.5㎜인 라벨(L62c)을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또한, 「후단 맞춤」인 경우, 도 2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라벨폭(LW)의 후단이 전체 인쇄폭(PW)의 후단과 일치하도록, 전측 여분 라벨폭 LMs= 9㎜인라벨(L63a)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한 후, 연속하여 전체 라벨폭 LW= 36㎜의 라벨(L63b)을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상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전술한 「인쇄폭 자동」이나「전체 인쇄폭 지정」 이외, 행별 인쇄폭(각 행을 배치하는 폭)을 개별로 지정할 수 있는 「행별 인쇄폭 지정」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라벨폭과 인쇄폭의 더욱 유연하고 다채로운 조합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원하는(임의) 인쇄폭(설정폭)을 정확히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미묘한 조정이 가능하므로, 특히 후술의 분할 라벨을 지정하는 경우 등에는 각 분할 라벨의 폭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어, 유리해진다. 또한, 화일 등록시에는 각 행별 인쇄폭도 부수 정보로서 등록하므로,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재설정 등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인쇄 화상의 작성∼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이점 등에 대해서는, 전술의「인쇄폭 자동」이나「전체 인쇄폭 지정」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상술의 각 예는 등록된 각 화일에 의거해 작성되어 인쇄되는 인쇄 화상과 작성 대상의 라벨과의 관계의 선택 화면, 즉 결과적으로는 주요 라벨의 매수를 지정하는 선택 화면(D22 : 도 7, 도 8, 도 24에서 공통 : 이하「라벨수 선택 화면」)에서, 인쇄 화상의 전체가 인쇄된 기본적으로는 1매의 라벨을 작성하기 위한 「전체 라벨폭 지정」을 선택한 예이다. 그러나,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전술과 같이, 다수매의 각 라벨(각 분할 라벨)의 각 라벨폭을 지정함으로써, 원하는 인쇄 화상을 각각 분할하여 인쇄한 다수매의 각 라벨을 작성하기 위한 「분할 라벨폭 지정」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이하에서는 「분할 라벨폭 지정」을 선택한예를 들어, 이를 제4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도 7 등에서 전술한 라벨수 선택 화면(상술의 D22)에서,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 라벨폭 지정」이 선택 조작된 것으로 하면, 다음에,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분할 라벨수」의 입력을 촉구하는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D90). 여기서, 화면 전이 직후에는 분할 라벨수 「00」를 디폴트 표시하므로, 이 상태에서(D90), 사용자는 숫자 키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2」를 입력하고 나서 선택 키를 누름으로써, 분할 라벨수= 2(매)를 지정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수치 「0」가 입력되어(또는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고) 선택 키가 눌려지면(확정되면), 에러 통지(∼소정 시간)후, 동일 화면으로 되돌아가고(D90), 수치 「1」이 입력되어 확정되면, 「전체 라벨폭 지정」으로 판별하여, 도 8에서 전술의 「전체 라벨폭」의 입력 화면(D30)으로 이행한다.
분할 라벨수로서 다수(여기서는 2매)가 지정(입력)되면,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각 분할 라벨의 라벨폭(분할 라벨폭)의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D91).
이 설정 화면(D91)에서는 분할 라벨수 「02」(2매)를 명시함과 동시에, 화면 전이 직후에는 우선, 1매째의 분할 라벨폭의 입력을 촉구하도록, 그 입력 위치가 커서 지정되므로(D91), 사용자는 숫자 키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숫자「25」(25㎜)를 입력함으로써, 1매째의 분할 라벨폭= 2.5㎝(25㎜)를 지정할 수 있다. 그 후, 선택 키 누름에 의해 확정되면, 다음에, 2매째의 분할 라벨폭의 입력을 촉구하도록, 그 입력 위치가 커서 지정되므로(D92), 마찬가지로, 숫자「20」을 입력하고,2매째의 분할 라벨폭= 2.0㎝(20㎜)을 지정할 수 있다(D93 : 도 24와 도 25에서 공통).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D93), 시프트 키 + 선택 키로 확정되면,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D94). 이 선택 화면(D94)은 화면 상측의 타이틀부에 02.5 + 02.0= 04.5㎝와 같이 분할 라벨폭의 합계로서 (전체)라벨폭 4.5㎝이 표시되는 이외는 도 8에서 전술의 인쇄폭 지정 방법의 선택 화면(D31)과 동일한 화면이고, 여기서의 선택지에는 전술과 동일한 「인쇄폭 자동」「전체 인쇄폭 지정」「행별 인쇄폭 지정」 등이 포함된다(D94∼D96).
여기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의 선택 화면(D94 : 도 25와 도 26에서 공통)으로부터, 「인쇄폭 자동」이 선택 조작된 것으로 하면,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D100). 이 입력 화면(D100)은 상측의 타이틀부(라벨폭의 표시)가 다를 뿐이고, 그 이외는 도 9에서 전술의 입력 화면(D40)과 동일한 화면이므로, 이 후(도 9의 D40∼D42와 마찬가지로), 1행째 「치요다 초등학교」, 2행째 「 2학년 2반」, 3행째 「 山本純一郞」라고 입력·편집하고(D101), 더욱 하위 계층의 설정 화면(D102)에서, 각 행의 추상 사이즈를 예를 들면 마찬가지로 각 행이 「중」「소」「대」가 되도록 지정후, 화일「03」의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자유폭 인쇄」의 기능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간다(D103 : 도 9의 D43, 도 7의 D20과 동일).
또한, 이 경우의 화일 등록시의 부수 정보에는 상술의 분할 라벨수나 각 분할 라벨폭이 포함된다. 이 때문에, 이 후, 후술의「화일 인쇄」에 의해 테이프폭TW= 36㎜의 테이프(T)에 화일 「03」의 인쇄를 행하면, 도 27a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인쇄 화상(G71)(도 23a의 G61과 동일)이 전체 인쇄폭 PW= 45㎜로 인쇄되고, 전단의 하프 컷(hc)에서 후단의 풀 컷(fc)까지의 전체 라벨폭 LW= 45㎜의 범위를, 분할 라벨수의 2매로 분할한 것중의, 1매째 분할 라벨폭 LW1= 25㎜의 분할 라벨(L71a)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하고, 계속해서 연속하도록 2매째의 분할 라벨폭 LW2= 20㎜인 분할 라벨(L71b)을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또한, 정확성에서는 조금 벗어나지만, 도 27a-27c에 도시의 2행째의 행별 인쇄폭 PW2= 10㎜을 「소」의 추상 사이즈에 대응하는 실제 사이즈(절대 사이즈)로 하면, 1행째의 행별 인쇄폭 PW1= 15㎜(정확하게는 14㎜ 강)는 「소」의 약 √2배이므로, 대략 「중」의 추상 사이즈에 대응하는 실제 사이즈, 3행째의 행별 인쇄폭 PW3= 20㎜는 「소」의 약 2배이므로, 「대」의 추상 사이즈에 대응하는 실제 사이즈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25에서 상술의 인쇄폭 지정 방법의 선택 화면에 있어서, 「행별 인쇄폭 지정」이 선택 조작되고(도 25의 D96), 1행째∼3행째에 대해 각각 행별 인쇄폭 PW1= 15㎜, PW2= 10, PW3= 20㎜를 지정하여 등록한 경우, 인쇄가 지시되면, 대략 마찬가지로, 도 27a의 인쇄 결과 및 라벨 작성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전체 인쇄폭 지정」이 선택 조작되고(도 25의 D95), 전체 인쇄폭 PW= 45㎜를 지정하여 등록한 경우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그래서, 이하, 도 27a-27c 전체의 결과에 이르기 까지의 설명에 대해서는 「행별 인쇄폭 지정」이나「전체 인쇄폭 지정」이 선택된 경우의 일례에 대한 설명을 겸용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분할 라벨수가 상술(2매)과는 다른예에 대해 설명을 보충한다. 예를 들면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분할 라벨수」의 입력 화면(D90 : 도 24와 공통)에서, 예를 들면 「3」을 입력하여 확정(선택 키를 누름)함으로써, 분할 라벨수로서 「3」(3매)이 지정되고, 더욱 하위 계층의 분할 라벨폭의 설정 화면(D110)에서, 1매째의 분할 라벨폭으로서 숫자「15」의 입력에 의해, 1매째의 분할 라벨폭= 1.5㎝(15㎜)을 지정하여 확정(선택 키를 누름)되고, 2매째의 분할 라벨폭으로서 숫자「10」의 입력에 의해, 2매째의 분할 라벨폭= 1.0㎝(10㎜)이 지정되고(D111), 확정(선택 키를 누름)되면, 마찬가지로, 3매째의 분할 라벨폭의 입력을 촉구하도록, 그 입력 위치가 커서 지정되므로(D112), 마찬가지로, 숫자「20」을 입력하여, 3매째의 분할 라벨폭= 2.0㎝(20㎜)을 지정할 수 있다(D113).
이하, 이 상태에서(D113), 도 25에서 전술의 선택 화면(D94∼D96)과 동일한 인쇄폭 지정방법의 선택 화면에서, 「인쇄폭 자동」「전체 인쇄폭 지정」「행별 인쇄폭 지정」중 어느 것이 선택 조작되고, 도 26에서 전술의 처리(도 26의 D100∼D102 참조)와 같이 텍스트 입력∼배치폭(추상 사이즈나 인쇄폭) 지정이 행해진 후(「행별 인쇄폭 지정」에서는 도 16∼도 20 등 참조), 화일「03」의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자유폭 인쇄」의 기능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간다(도 26의 D102, 도 9의 D43, 도 7의 D 20 등 참조).
이 경우, 후술의「화일 인쇄」에 의해 테이프폭 TW= 36㎜의 테이프(T)에 화일「03」의 인쇄를 행하면, 도 2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 화상(G72)(도 27a의 G71과 동일)이 전체 인쇄폭 PW= 45㎜로 인쇄되고, 전단의 하프 컷(hc)에서 후단의 풀 컷(fc)까지의 전체 라벨폭 LW= 45㎜인 범위를, 분할 라벨수 3매로 분할한중의, 분할 라벨폭 LW1= 15㎜의 1매째의 분할 라벨(L72a)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하고, 계속해서 연속하는 분할 라벨폭 LW2= 10㎜의 2매째의 분할 라벨(L72b)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하고, 계속해서 연속하는 분할 라벨폭 LW3= 20㎜의 3매째의 분할 라벨(L72c)을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이 경우, 각 분할 라벨폭과 각 행별 인쇄폭이 일치하므로, 각 행마다 분할한 3매의 분할 라벨(L72a∼L72c)을 작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 라벨수」의 입력 화면(D90 : 도 24와 공통)에서, 예를 들면 「4」의 입력·확정에 의해, 분할 라벨수「4」(4매)가 지정되고, 분할 라벨폭의 설정 화면(D114)에서, 숫자「15」입력에 의해 1매째의 분할 라벨폭= 1.5㎝(15㎜)이 지정·확정되고, 숫자「10」의 입력에 의해 2매째의 분할 라벨폭= 1.0㎝(10㎜)이 지정·확정되며, 숫자「10」의 입력에 의해 3매째의 분할 라벨폭= 1.0㎝(10㎜)이 지정되고(D115), 확정(선택 키를 누름)되면, 마찬가지로, 4매째의 분할 라벨폭의 입력을 촉구하도록, 그 입력 위치가 커서 지정되므로(D116), 마찬가지로, 숫자「10」을 입력하여, 4매째의 분할 라벨폭= 1.0㎝(10㎜)을 지정할 수 있다(D117).
이하, 이 상태에서(D117), 전술과 동일하게 하여 인쇄폭 지정방법의 선택지 중 어느 것이 선택 조작되고, 마찬가지로 텍스트 입력∼배치폭의 지정이 행해진 후, 화일「03」의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자유폭 인쇄」의 기능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간다(도 26의 D102, 도 9의 D43, 도 7의 D20 등 참조).
이 경우, 마찬가지로 화일「03」의 인쇄를 행하면, 도 2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 화상(G73)(도 27a의 G71과 동일)이 전체 인쇄폭 PW= 45㎜로 인쇄되고, 전체 라벨폭 LW= 45㎜의 범위를 4매로 분할한 중의, 분할 라벨폭 LW1= 15㎜의 1매째의 분할 라벨(L73a), 분할 라벨폭 LW2= 10㎜인 2매째의 분할 라벨(L73b), 분할 라벨폭 LW3= 10㎜인 3매째의 분할 라벨(L73c)의 각각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하고, 계속해서 연속하는 분할 라벨폭 LW4= 10㎜인 4매째의 분할 라벨(L73d)을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또, 상술의 예는, 전체 라벨폭 LW= 전체 인쇄폭 PW(= 45㎜)의 예인데, 「분할 라벨폭 지정」의 경우에 있어서도, 「전체 인쇄폭 지정」이나「행별 인쇄폭 지정」을 선택 조작(도 25의 D95, D96)함으로써, 전체 라벨폭 LW≠ 전체 인쇄폭 PW(즉 LW> PW 또는 LW<PW)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 라벨수「03」(3매)로 분할 라벨폭 입력후(D113 : 도 28과 공통), 시프트 키 + 선택 키로 확정되고, 「전체 인쇄폭 지정」이 선택 조작되면(D120), 도 12에서 전술의 예와 마찬가지로,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전체 인쇄폭」의 입력 화면을 표시하므로(D121), 숫자「36」(36㎜)의 입력·확정(선택 키 누름)에 의해, 전체 인쇄폭= 3.6㎝(36㎜)을 지정할 수 있고, 더욱 하위 계층의 기준 위치 선택화면에서, 디폴트의「전단 맞춤」이 선택 조작된 것으로 하면(D122),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D122). 이 입력 화면은 화면 상측의 타이틀부(라벨폭에 관한 기재) 이외는 도 9에서 전술의 입력 화면(D40)과 동일한 화면이므로, 이 후, 도 9의 D40∼D42와 마찬가지로, 1행째∼3행째를 입력·편집하고, 더욱 하위 계층의 설정 화면에서 각 행의 추상 사이즈를 지정후, 화일「03」의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자유폭 인쇄」의 기능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간다(도 9의 D43, 도 7의 D20 참조).
이 경우, 화일「03」의 인쇄가 지시되면, 도 3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 맞춤」이므로 전체 인쇄폭 PW= 36㎜의 전단을 전체 라벨폭 LW= 45㎜의 전단에 맞추도록, 또한 후단측 여백 PMe= 9㎜를 갖도록, 인쇄 화상(G81)을 작성하고, 예를 들면 테이프폭 TW= 36㎜인 테이프(T)에 인쇄하고, 도 27b 전술과 마찬가지로, 전단의 하프 컷(hc)에서 후단의 풀 컷(fc)까지의 전체 라벨폭 LW= 45㎜의 범위를, 분할 라벨수의 3매로 분할한 중의, 각각 분할 라벨폭 LW1= 15㎜, LW2= 10㎜, LW3= 20㎜의 분할 라벨(L81a∼L81c)을, 하프 컷(hc) 및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또한, 기준 위치 선택에서 「중앙 맞춤」이 선택 조작된 경우, 마찬가지로 하여 화일 작성을 종료하고, 화일「03」의 인쇄가 지시되면, 도 3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인쇄폭 PW= 36㎜의 중앙을 전체 라벨폭 LW= 45㎜의 중앙에 맞추도록, 또한 전단측 여백 PMs= 4.5㎜ 및 후단측 여백 PMe= 4.5㎜을 갖도록, 인쇄 화상(G82)을 작성하고, 마찬가지로 인쇄, 컷을 행함으로써, 각각 분할 라벨폭 LW1= 15㎜, LW2= 10㎜, LW3= 20㎜인 분할 라벨(L82a∼L82c)을 작성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후단 맞춤」이 선택 조작되고, 화일 작성후, 인쇄가 지시되면, 도 3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인쇄폭 PW= 36㎜의 후단을 전체 라벨폭 LW= 54㎜의 후단에 맞추도록, 또한 전단측 여백 PMs= 9㎜를 갖도록, 인쇄 화상(G83)을 작성하고, 마찬가지로 인쇄, 컷을 행함으로써, 각각 분할 라벨폭 LW1=15㎜, LW2= 10㎜, LW3= 20㎜인 분할 라벨(L83a∼L83c)을 작성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30의 인쇄폭 지정 방법의 선택 화면에서(D120), 「전체 인쇄폭 지정」대신에 「행별 인쇄폭 지정」이 선택 조작되고, 그 후, 도 16∼도 20등에서 전술의 예와 마찬가지로, 텍스트 입력∼행별 인쇄폭 지정이 행해지고, 화일 작성후, 인쇄가 지시된 경우도, 1∼3행째에 대해 각각 예를 들면 행별 인쇄폭 PW1= 12㎜, PW2= 8㎜, PW3= 16㎜(각 행 상호간의 비가 도 27a-27c의 PW= 45㎜일 때의 15, 10, 20의 비와 동일)의 지정이면, 도 31a -31c에서 상술의 결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술의 예는 전체 라벨폭(LW) > 전체 인쇄폭(PW)의 관계의 예인데, 「전체 인쇄폭 지정」이나「행별 인쇄폭 지정」을 선택 조작(도 25의 D95, D96)함으로써, 상술과는 반대로, 전체 라벨폭(LW) > 전체 인쇄폭(PW)의 관계로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할 라벨수나 각 분할 라벨폭의 설정은 상술과 같게 하고(즉 분할 라벨수 「03」,각 분할 라벨폭 LW1= 15㎜, LW2= 10㎜, LW3= 20㎜), 「전체 인쇄폭 지정」에서 전체 인쇄폭 PW= 54㎜을 설정한 경우, 혹은 「행별 인쇄폭 지정」에서 1∼3행째의 각 행별 인쇄폭 PW1= 18㎜, PW2= 12㎜, PW3= 24㎜을 설정한 경우, 도 32a-32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인쇄 결과 및 라벨 작성 결과가 얻어진다.
즉, 기준 위치에 상관없이 전체 인쇄폭 PW= 54㎜의 인쇄 화상(G91)(도 10b에서 전술의 인쇄 화상(G10)과 동일하게 된다)을 작성하고, 그 전단을 하프 컷(hc)의 위치에 맞추도록 인쇄한다.
단, 기준 위치 선택에서 「전단 맞춤」이 선택 조작된 경우, 도 3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 맞춤」이므로 전체 라벨폭 LW= 45㎜의 전단이 인쇄화상(G91)의 전단과 일치하도록, 전체 라벨폭 LW= 45㎜의 범위를 분할 라벨수의 3매로 분할한 중의, 각각 분할 라벨폭 LW1= 15㎜, LW2= 10㎜, LW3= 20㎜의 분할 라벨(L91a∼L91c)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함과 동시에, 합계의 라벨폭이 전체 인쇄폭 PW= 54㎜과 맞도록, 라벨(L91c)의 후단에 연속하는 후측 여분 라벨폭 LMe= 9㎜의 라벨(L91d)을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또한, 「중앙 맞춤」이 선택 조작된 경우, 도 3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라벨폭 LW= 45㎜의 중앙이 전체 인쇄폭 PW= 54㎜의 중앙과 일치하도록, 최초에 전측 여분 라벨폭 LMs= 4.5㎜의 라벨(L92a)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하고, 그 후단에 연속하도록 전체 라벨폭 LW= 45㎜의 범위를 분할 라벨수의 3매로 분할한 중의, 각각 분할 라벨폭 LW1= 15㎜, LW2= 10㎜, LW3= 20㎜의 분할 라벨(L92b∼L92d)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하고, 그렇게 함과 동시에, 그 후단에 연속하도록 후측 여분 라벨폭 LMe= 4.5㎜의 라벨(L92e)을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후단 맞춤」이 선택 조작된 경우, 도 3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라벨폭 LW= 36㎜의 후단이 전체 인쇄폭 PW= 54㎜의 후단과 일치하도록, 최초에 전측 여분 라벨폭 LMs= 9㎜의 라벨(L93a)을 하프 컷(hc)에 의해 작성한 후, 그 후단에 연속하도록 전체 라벨폭 LW= 45㎜의 범위를 분할 라벨수의 3매로 분할한 중의, 각각 분할 라벨폭 LW1= 15㎜, LW2= 10㎜, LW3= 20㎜의 분할 라벨(L92b∼L92d)을, 하프 컷(hc) 및 풀 컷(fc)에 의해 작성한다.
상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라벨을 일련의 다수의 분할 라벨로 실현할 수 있고, 이 경우, 그 분할 라벨수를 지정하여, 각분할 라벨의 각 라벨폭을 설정하고, 각 라벨폭에 맞추어 컷함으로써, 라벨로서 다수의 분할 라벨을 작성할 수 있으므로, 라벨폭과 인쇄폭을 더욱 유연하고 다채롭게 조합하여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다채로운 각종 라벨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화일 등록시에는, 분할 라벨수나 각 분할 라벨폭도 부수 정보로서 등록하므로, 인쇄 화상을 인쇄한 라벨을 다수매의 라벨로 분할하여 작성하는 경우라도,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재설정 등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인쇄 화상의 작성∼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이점 등에 대해서는 전술의「전체 라벨폭 지정」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상에 기술한 바와같이, 「자유폭 인쇄」의 각종 기능(도 7의 D20 등 참조)중, 「화일 작성」의 기능에 의해 각종 형태로 작성한 화일(예를 들면 화일「03」)은 RAM(240)내의 소정의 영역에 등록하는데, 각 화일의 화일 등록시에는 전체 라벨폭(LW)을 포함하는 혹은 전체 라벨폭(LW)을 도출 가능한 각종 라벨폭(분할 라벨폭(LW1) 등)이나, 전체 인쇄폭(PW)를 포함하는 혹은 전체 인쇄폭(PW)를 도출 가능한 각종 인쇄폭(행별 인쇄폭(PW1) 등)등, 인쇄 화상의 작성부터 인쇄 및 라벨 작성에 관한 각종 정보를, 각 화일의 부수 정보로서 등록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개별 설정(특히 인쇄폭이나 라벨폭 등 폭방향 인쇄에 관한 지정·설정)이 다른 화일의 작성 등의 다른 작업을 한 직후라도,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폭방향 인쇄에 관한 재설정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개별 설정에 의거하는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그래서, 다음에, 등록된 각 화일의 각종 이용 방법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최초에 「화일 인쇄」의 기능에 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유폭 인쇄」의 기능 선택 화면에서 상술의 「화일 작성」이 선택 표시된 상태에서(D20:도 7과 공통), 커서 조작에 의해「화일 인쇄」가 선택 표시되고(D130), 확정(선택 키 누름)되면(선택 조작되면), 다음에, 그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화일 인쇄의 대상 화일을 선택(지정)하기 위한 선택 화면(인쇄화일 선택화면)을 표시한다(D131).
이 선택 화면(D131)에서는 자유폭 인쇄에 있어서의 화일 인쇄의 취지를 화면 상부의 타이틀부에 명시함과 동시에, 등록된 화일의 화일 번호가 작은 쪽부터 순서대로, 각각 각 행에「화일 번호: 소요 사이즈[텍스트 데이터의 선두 부분]의 포맷으로 표시한다. 단, 소요 사이즈= 전체 라벨폭(LW) 및 전체 인쇄폭(PW)중의 큰 쪽의 사이즈(테이프(T)로서 그 길이 방향에 필요한 사이즈)로 한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a, 10b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화일「03」을 작성하여 등록한 것으로 하면, 화일「03」에 대해서는, 도시와 같이, 「03:05.4[치요다 초등학교]와 같이 표시된다(D131∼D132: 도 9∼도 10a, 10b 참조). 또한, 커서 위치는 화일 번호의 네거티브 표시로 표시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상기의 화일「03」이 선택 조작되면,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인쇄 매수의 입력을 촉구하는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D133 : 도 33과 도 34에서 공통). 여기서는, 화면 전이 직후에는 인쇄 매수 「00」를 디폴트 표시하므로,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D133), 사용자는 숫자 키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1」을 입력하고 나서 확정(선택 키 누름)함으로써, 인쇄매수= 1(매)를 지정할 수 있다. 또, 여기서, 수치「0」가 입력되어(또는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고)선택 키가 눌려지면(확정되면), 에러 통지(∼소정 시간)후, 동일 화면으로 되돌아간다(D133). 여기서는 「1」을 입력·확정한 것으로 하면,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D135).
이 확인 화면(D135)에서는, 상술과 동일한 타이틀부 이외,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한 화일의 화일 번호(여기서는 화일「03」), 소요 사이즈(여기서는 「05.4㎝」), 텍스트 내용(여기서는 1행째 「치요다 초등학교」, 2행째「 2학년 2반」, 3행째 「 山本純一郞」) 및 인쇄 매수(여기서는「01매」)를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확인후에 확정(선택 키 누름)되면, 도 6a에서 전술의 길이 방향 인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단지 타이틀부, 화일 번호 및 소요 사이즈와 함께, 「인쇄중」의 메시지를 표시하고(D11), 그 화일(여기서는 화일「03」)에 따라서 대응하는 인쇄 화상(여기서는 도 10b에서 전술의 인쇄 화상(G10))을 작성하여 인쇄하고, 등록된 부수 정보가 나타내는 설정(여기서는 전체 라벨폭 LW= 전체 인쇄폭 PW= 54㎜)에 따른 컷(전단을 하프 컷(hc) 및 후단을 풀 컷(fc))에 의해, 라벨(L10)을 작성하고(도 10b 참조), 인쇄가 종료하면, 원래의 텍스트 편집 화면으로 되돌아간다(D137:도 6a의 도 10과 동일).
상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길이 방향 인쇄와 폭방향 인쇄가 선택적으로 가능한데, 「자유폭 인쇄」(폭방향 인쇄)를 위한 인쇄 화상을 작성하기 위한 텍스트 데이터(데이터)나 부수 정보를, 대응하는 화일(여기서는 화일「03」)로서 등록해 두고, 「화일 인쇄」(폭방향 인쇄)가 선택되었을 때에, 등록된 화일중의 인쇄 대상의 화일(화일「03」)를 지정하여, 그 화일「03」에 의거해 대응하는 인쇄 화상(여기서는 인쇄 화상(G10))을 작성하여 인쇄한다. 이 경우, 길이 방향 인쇄를 위한 화일의 유용이 아니라 폭방향 인쇄를 위한 화일을 준비하므로,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내용(정보)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화상(G10)에 대응하는 라벨폭(여기서는 전체 라벨폭 LW= 54㎜)은 그 인쇄 화상(G10)에 대응하는 화일「03」의 등록전에 설정되고, 부수 정보에 라벨폭(전체 라벨폭 LW= 54㎜)의 정보를 포함하여 등록되고, 이 정보에 의거해 컷 처리가 행해진다.
따라서, 기능 선택 화면(예를 들면 도 7 또는 도 33의 D20)으로 이행하기 전의 상태(예를 들면 도 6a 등의 D10)가, 라벨폭의 설정이 다른 화일의 작성 등의 다른 작업을 한 직후라도, 등록된 화일(화일「03」)를 읽어내는 것만으로, 폭방향 인쇄(여기서는 적어도 라벨폭)에 관한 재설정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개별 설정에 의거하는 라벨 작성(라벨(L10)의 작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술과 같이, 「전체 라벨폭 지정」또한「전체 라벨폭 LW= 전체 인쇄폭 PW= 54㎜」의 경우(도 10a 참조)뿐만 아니라, 그 외의 설정의 경우(도 13a-13c, 14a-14c, 15a, 15b, 22a-22c, 23a-23c, 27a-27c, 32a-32c 참조)라도, 각 화일의 화일 등록시에는, 부수 정보로서, 전체 라벨폭(LW)을 포함하는 혹은 전체 라벨폭(LW)을 도출 가능한 각종 라벨폭의 정보(분할 라벨수나 분할 라벨폭(LW1) 등의 정보)나, 전체 인쇄폭(PW)을 포함하는 혹은 전체 인쇄폭(PW)을 도출 가능한 각종 인쇄폭의 정보(문자열 행수나 행별 인쇄폭(PW1) 등의 정보)나, 「전체 라벨폭 LW≠ 전체인쇄폭 PW」인 경우(도 13a-13c, 14a-14c, 15a, 15b, 22a-22c, 23a-23c, 27a-27c, 32a-32c 참조)의 기준 위치(전단, 중앙, 후단)의 정보 등, 인쇄 화상의 작성∼인쇄 및 라벨 작성에 관한 각종 정보를, 각 화일의 부수 정보로서 등록한다.
이 때문에,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개별 설정(특히 인쇄폭이나 라벨폭 등 폭방향 인쇄에 관한 지정·설정)이 다른 화일의 작성 등의 다른 작업을 한 직후라도,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폭방향 인쇄에 관한 재설정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개별 설정에 의거하는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도 34에서 상술의 예에서는 화일 「03」의 라벨이 1매의 라벨로서 작성되었는데, 다수의 라벨로서 작성되는 경우(도 14a-14c, 15b, 23a-23c, 27a-27c, 31a-31c, 32a-32c 참조), 「인쇄중」의 메시지는 「인쇄중-x/y」의 포맷(도 41 참조: 여기서, y는 작성하는 라벨수, x는 그 중 몇매째의 라벨 부분을 인쇄중인지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된다. 물론, 1매의 경우도 동일한 「인쇄중-1/1」과 같이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예에서는 원하는 라벨(상술에서는 화일「03」에 대응하는 라벨)을 1매(1회: 1부)만 작성했는데, 동일 라벨을 연속(일괄)하여 다수매(다수 부수)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화일 선택화면에서(D131: 도 33과 공통), 예를 들면 소요 사이즈「00.5㎝」(5㎜)의 화일 「19」가 선택 조작되면(D140), 하위 계층의 인쇄 매수의 입력 화면을 표시하므로(D141: 도 33등의 D133와 동일), 예를 들면 숫자「10」이 입력되고(D142), 확정(선택 키 누름)되면, 인쇄 매수= 10매를 설정하고,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D143: 도 35와 도 36에서 공통). 이 확인 화면(D143)에서는, 「자유폭 화일인쇄」의 타이틀부 이외, 인쇄 대상의 화일「19」, 소요 사이즈「00.5㎝」, 텍스트 내용「山下 090-1234-5678」및 인쇄 매수「10매」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D143),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확인되어 확정되면, 타이틀부, 화일 번호 및 소요 사이즈와 함께, 「인쇄중」의 메시지 및 현재 몇매째/전체 매수(여기서는 01/10매∼10/10매)의 인쇄중인지를 표시하고(D144∼D146), 그 화일「19」에 의거해,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인쇄 화상(G100)을 작성하고, 지정의 인쇄 매수= 10매분만큼 인쇄 화상(100)을 인쇄하고, 이와 병행하여, 1매 인쇄마다 등록된 부수 정보가 나타내는 설정(전체 라벨폭 LW= 전체 인쇄폭 PW= 5㎜)에 따른 컷(단 최종만 풀 컷(fc), 도중은 하프 컷(hc))에 의해, 10매의 라벨(L101∼L110)을 작성하고, 인쇄가 종료하면, 원래의 텍스트 편집화면으로 되돌아간다(D147 : 도 6a의 D10과 동일).
상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인쇄 대상의 화일(상술에서는 화일「19」)에 대응하는 인쇄 화상(인쇄 화상(G100))의 인쇄 반복 회수(소위 인쇄 매수나 인쇄 부수)를 설정할 수 있고, 이 회수분만큼 동일한 인쇄 화상(G100)을 반복하여 인쇄하고, 인쇄 화상의 인쇄마다, 인쇄된 각 인쇄 화상에 대응하는 각 라벨의 상호간을 분리하기 위한 컷 처리(상술에서는 하프 컷(hc))를 행하므로, 동일한 라벨을 필요한 원하는 매수(부수)만큼,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의 예는 동일 라벨의 다수매(다수 부수) 연속(일괄)작성인데, 내용이 다른 다수 종류의 화일이 화일 번호 등으로 구별되어 등록되는 경우에는, 그 중의 몇 개의 다수 종류를 종합해 지정하고, 지정된 다수 종류의 화일에 대응하는 다수 종류의 라벨을 연속(일괄)하여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이「화일 다수 인쇄」의 기능이고, 이하에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 선택 화면에서 「화일 작성」이 선택 표시된 상태에서(D20:도 7, 도 33등과 공통), 「화일 다수 인쇄」가 선택 표시되어(D150), 확정되면, 다음에, 그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도 33등에서 전술의 인쇄화일 선택화면(D131)등과 동일한 선택 화면(일괄 인쇄 화일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D151).
단, 이 선택 화면(D151)에서는 「화일 다수 인쇄」의 타이틀 표시와 함께, 등록된 화일을 전술과 동일한 포맷으로 표시하고, 전술과 마찬가지로, 화일 번호의 네거티브 표시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선택 표시)로 되는데, 이 경우의 화면 전이 직후의 커서 위치(도시의 예에서는 화일 「01」의 화일 번호)는 네거티브 표시가 아니라, 최초에 선택 키가 눌려진 시점에서 네거티브 표시로 되고, 그 후는 선택 키가 눌려질 때마다, 양의 화면(포지티브) 표시→네거티브 표시→포지티브 표시→네거티브 표시→……와 같이 반전되어 표시된다(D151∼D153: D153은 도 39와 공통). 즉, 선택 키 누름시에 선택 표시(네거티브 표시)와 그 해제(포지티브 표시)가 바뀌어진다.
다음에, 예를 들면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의 화일「01」의 선택이 해제된 상태에서(D153), 사용자는 커서 조작에 의해 화일 「03」(의 화일 번호)을 커서 지정하고(D154), 선택 키에 의해 선택한 후(D155), 화일「03」에 대해서는 선택 표시시킨 채로, 커서 조작에 의해 다른 화일(의 화일 번호)을 커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면 다음 화일「19」가 커서 지정되고(D156),(선택 키에 의해)선택되면, 화일「03」에 추가하여 화일「19」가 선택 표시(네거티브 표시)로 된다(D157 : 도 39와 도 40에서 공통).
다음에, 예를 들면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의 상태에서(D157), 또한 예를 들면 다음 화일「20」이 커서 지정되어(D158), 선택되면, 다시 화일「20」이 선택 표시로 된다(D159).
그리고, 이 상태에서(D159), 시프트 키 + 선택 키로 확정시키면, 3개의 화일 「03」「19」「20」을 일괄해서 인쇄 대상의 지정(일괄 인쇄) 화일로서 확정(설정)하고, 다음에, 더욱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D160: 도 40과 도 41에서 공통). 이 확인 화면(D160)에서는 「자유폭 화일 다수 인쇄」의 타이틀부 이외, 인쇄 대상의 화일「선택 화일[03, 19, 20」, 소요 사이즈「합계 07.4㎝」를 표시한다. 여기서의 소요 사이즈의 「07.4㎝」(74㎜)은 선택된 화일「03」「19」「20」의 각각의 소요 사이즈 「05.4㎝」(54㎜), 「00.5㎝」(5㎜), 「01.5㎝」(15㎜)의 합계이다.
다음에, 예를 들면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의 상태에서(D160), 확인되어 확정되면, 타이틀부 및 선택 화일 번호와 함께, 「인쇄중-x /y」(y: 각 화일 대응으로 작성하는 라벨수, x : 몇매째의 라벨인가)의 메시지를 표시하고(D161∼D163), 이와 병행하여,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일 「03」「19」「20」의 부수 정보가 표시하는 라벨폭이나 인쇄폭에 관한 설정 정보에 따라, 각각에 대응하는 인쇄 화상(G10, G100, G150)(혹은 이들을 합성한 인쇄 화상(G200))을 작성·인쇄하여 컷 처리(단 최종만 풀 컷(fc), 도중은 하프 컷(hc))에 의해, 원하는 라벨(L201∼L203)을 작성하고, 인쇄가 종료하면, 원래의 텍스트 편집 화면으로 되돌아간다(D164 : 도 6a의 D10과 동일).
상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등록된 화일이 다수 종류 존재하는 경우, 그 중 다수의 화일(상술에서는 3개의 화일「03」「19」「20」)을 인쇄 대상의 화일로서 일괄해서 지정할 수 있고, 일괄 지정되었을 때, 대응하는 다수의 인쇄 화상(상술의 인쇄 화상(G10, G100, G150))을 연속하여 (또는 합성 인쇄 화상(G200)을) 인쇄하고, 인쇄된 다수의 인쇄 화상의 각각에 대응하는 각 라벨의 상호간을 분리하기 위한 컷 처리(상술에서는 하프 컷(hc))를 행하므로, 대응하는 화일을 일괄해서 지정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다수 종류의 라벨을 연속(일괄)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작성할 수 있다.
그런데,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도 4 등에서 전술과 마찬가지로 하프 컷(hc)과 풀 컷(fc)이 가능하고, 상술의 예를 포함시켜 전술한 각 예 중, 연속하여 작성하는 라벨이 다수매 있는 경우(도 14a-14c, 15b, 23a-23c, 27a-27c, 31a-31c, 32a-32c, 37, 42 참조), 컷 처리로서, 최후의 라벨 후단만 풀 컷(fc)을 행하고, 그 밖의 위치(각 라벨의 상호간 등)에서는 하프 컷(hc)을 행하므로, 모든 컷까지 종료후, 작성된 라벨을 종합하여 일괄 관리하는 경우에는 풀 컷(fc)까지의 1매의 테이프조각으로서 관리할 수 있고, 각 라벨의 상호간은 하프 컷(hc)이므로, 붙이고 싶을 때에 붙이고 싶은 라벨만을 벗겨 붙일 수 있어, 관리하기 쉬운 라벨(군)이 된다.
또, 상술한 「자유폭 인쇄」는 폭방향 인쇄이고, 테이프폭(TW)이 넓은 쪽이 유리한 기능이므로, 사양상, 예를 들면 테이프폭 TW≥ 36㎜ 등으로 규정하거나, 혹은 더욱 한정하여, 테이프폭 TW= 36㎜만으로 규정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 선택 화면에서 「화일 인쇄」(D130: 도 33과 공통) 혹은 「화일 다수 인쇄」(도 38의 D150 참조)가 선택 조작된 시점에서, 소정의 테이프폭 TW= 36㎜의 테이프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그 취지의 에러(경고) 통지 및 점멸 표시를 행하고 (D170), 소정 시간(예를 들면 0.75초)후에,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도록(D171: D130 등과 동일)해도 된다.
그런데, 도 6a에서 전술의 텍스트 편집 화면(D10) 등은, 말하자면 길이 방향 인쇄(도 6b 참조)를 위한 텍스트 입력∼편집을 위한 화면이고, 「자유폭 인쇄」(폭방향 인쇄)를 위한 텍스트 입력∼편집을 위한 화면은 별도로 형성되어 있고(도 9의 D40∼D41, 도 11의 D40∼D44, 도 12의 D52, 도 16∼도 18의 D61∼D71, 도 20의 D75∼D80, 도 26의 D100∼D101, 도 30의 D123등 참조), 그 이용 방법(인쇄등의 방법)도 다르기 때문에(도 6a와 도 33등을 비교 참조), 기본적으로, 「자유폭 인쇄」를 위해 작성한 화일의 텍스트 데이터는 길이 방향 인쇄를 위한 텍스트 데이터와는 별도의 형태로 등록되어도 되는데,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이「자유폭 인쇄」를 위해 등록되어 있는 화일(의 텍스트 데이터)을 길이방향 인쇄용으로도 유용할 수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이 기능은 상술과 같이 데이터의 형태 등을 변환하는 기능이므로 「데이터 변환」 등으로 불러도 되고, 기억(또는 등록)시키는 경우의 화일의 형태 등을 변환하므로, 「화일 변환」등으로 부르는 것도 가능한데, 여기서는 변환후의 텍스트 데이터를 길이방향 인쇄용의 텍스트 편집 영역에 전개하여 텍스트 편집 화면에 표시하므로 「텍스트 변환」의 명칭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4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 선택 화면에서 「화일작성」이 선택 표시된 상태에서(D20 : 도 7, 도 33, 도 38 등과 공통), 「텍스트 변환」이 선택 표시되어(D180), 확정되면, 다음에, 그 하위 계층의 화면으로서, 도 33이나 도 38등에서 전술의 인쇄화일 선택화면(D131, D151) 등과 동일한 선택 화면(변환화일 선택화면)을 표시한다(D181).
이 선택 화면(D181)에서는 「텍스트 변환」의 타이틀 표시와 함께, 등록된 화일을 전술과 동일한 포맷으로 표시하여 선택한다. 예를 들면 여기서 전술의 화일 「03」을 선택 표시하여(D182), 확정하면, 선택된 화일 「03」의 텍스트 데이터, 즉 도 9등에서 전술의 1행째 「치요다 초등학교」, 2행째 「 2학년 2반」, 3행째 「 山本純一郞」의 텍스트 데이터를, 길이 방향 인쇄용의 텍스트 편집 영역에 전개하여, 그 표시를 위한 텍스트 편집 화면에 적합한 형태로 표시한다(D183).
상술과 같이, 테이프 인쇄장치(1)에서는 「자유폭 인쇄」(폭방향 인쇄)를 위해 작성하여 등록되어 있는 화일(의 텍스트 데이터)을 길이 방향 인쇄용으로도 유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고, 폭방향 인쇄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 인쇄에 있어서도, 인쇄 화상의 작성·편집·인쇄 및 라벨 작성을 간편하게 행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조작성이나 작업 효율이 높아진다.
그리고, 상술한 각종 처리방법(라벨 작성방법, 화일 작성·등록·인쇄 등의 화일 처리 방법, 텍스트 변환 방법 등)은 프로그램 처리가능한 각종 테이프 인쇄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예를 들면 CD, MD, DVD 등의 기억 매체에도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기억해 두고, 혹은 기억매체 등에서 읽어내, 실행함으로써, 「자유폭 인쇄」(폭방향 인쇄)를 위해 등록되어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지정된 파일에 의거해,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 화상의 작성·편집·인쇄 및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화일이나 그 부수 정보 등에 의해, 폭방향 인쇄에 의해서 라벨 작성을 행할 때의 라벨폭과 인쇄폭의 각종 편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폭방향 인쇄에 관한 재설정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개별 설정에 의거하는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폭방향 인쇄를 위해 준비하여 등록된 화일의 데이터를 길이 방향 인쇄에 유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물론, 그 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변경도 가능하다.
또, 상술의 실시형태(제1∼제4 실시형태)에서는 단체(單體)의 테이프 인쇄장치를 예시했는데, 인쇄 화상의 화상 데이터(인쇄 화상 데이터)를 준비하여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에 소정의 통신 수단을 통해 동일한 테이프 인쇄장치를 접속한구성(시스템)을, 1개의 테이프 인쇄장치로 보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이 형태의 테이프 인쇄장치(단체인 것과 구별하여 이하 「인쇄 시스템」이라고 한다.)를 제5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도 45 및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장치(1)(구별할 때는 제1∼제4 실시형태의 것을 1A, 제5 실시형태의 것을 1B로 한다)는 데이터 서버(공급 장치)(DS)와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접속되고, 전체로서 인쇄 시스템(SYS)을 구성하고 있다. 데이터 서버(DS)는 테이프 인쇄장치(1)(1B)에 대해, 인쇄 대상의 인쇄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 서버(DS)는 예를 들면 도 4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NW)를 중심으로, 단말이 되는 다수의 워크 스테이션(WS)(퍼스널 컴퓨터 PC 등)(1∼3)이나 터미널 어댑터(라우터, 리피터(repeater), 허브(hub) 등을 포함한다)(TA) 등을 접속하여 구성하고, 이들 단말중 어느 하나에서 인터페이스(IF)를 통해, 혹은 네트워크(NW)에서 직접 인터페이스(IF)로서, 테이프 인쇄장치(1)를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의 네트워크(NW)로는 IEEE 표준 LAN 준거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것, 예를 들면 소위 인터넷이나 각종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 이더넷(등록 상표), 10/100 베이스(Base) 등)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을 통하는 인터페이스(IF)로는 직렬 데이터 통신(RS-232C, USB, IEEE 1394 등)이거나, 병렬 데이터 통신(센트로닉스 등)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은 유선 통신의 규격이지만,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은,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서, 데이터 서버(DS)를, 스탠드-얼론(stand-alone) 타입의 장치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탠드-얼론의 퍼스널 컴퓨터(PC)와 테이프 인쇄장치1(1B)를, USB 등의 인터페이스(IF)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인쇄 시스템(SYS)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5의 구성(제1의 구성)에서는 데이터 서버(DS) 내의 각 장치(WS1∼3, TA 등)에 준비(기억)된 인쇄 화상 데이터를(다운 로드 등에 의해) 공급하여 인쇄하는 구성이 되고, 도 46의 구성(제2의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데이터 서버(DS))에 기억된 인쇄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여 인쇄하는 구성이 된다.
이하에서는 비교적 단순한 도 46의 제2 구성의 인쇄 시스템(SYS)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여기서, 테이프 인쇄장치1(1B)은 도 4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SB 수단(프로토콜)에 의거해(USB 케이블에 의한) 인터페이스(IF)로부터 USB 커넥터(25)를 통해 데이터 서버(DS)와의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공급 인터페이스(DS-IF)(16)를, 제1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장치1(1A)와 동일한 구성(도 3 참조)에, 부가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DS-IF(16)는 데이터 서버(DS)로부터의 각종 데이터(인쇄 화상 데이터 등)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버퍼(161)를 갖고 있다. 또한, P-CON(250)은 도 3에서 전술의 검출부(14)로부터의 각종 검출신호나 키보드(3)로부터의 각종 지령이나 입력 데이터 등 이외, DS-IF(16)와 접속되고, 데이터 서버(DS)로부터의 제어 신호나 각종 (다운로드)데이터 등을, 그대로 혹은 가공하여 내부 버스(260)에 집어넣음과 동시에, CPU(210)와 연동하여, CPU(210) 등으로부터 내부 버스(260)에 출력된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그대로 혹은 가공하여 전술의 구동부(15)나 DS-IF(16)에 출력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46의 제2 구성의 데이터 서버(DS)에서, 길이 방향 인쇄의 경우, 도 6a에서 전술의 문자열 「ABCDE」의 텍스트 편집화면(D10)과 동일한 텍스트 편집화면을 표시하거나, 혹은 인쇄 화상(G00)을 이미지 화면 표시 등으로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인쇄 지시(인쇄 키의 누름 등)가 행해지면, 데이터 서버(DS)에서는「인쇄중」의 메시지 표시 등과 함께, 문자열 「ABCDE」의 인쇄 화상(G00)의 인쇄 화상 데이터와, 소요 컷의 종류 및 타이밍(여기서는 도 6b의 테이프 이송 방향의 후단에 대해 풀 컷(fc))을 지시하는 컷 지시 데이터(컷 지시 신호)를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송신한다.
이에 대해, 테이프 인쇄장치(1)(1B)에서는 DS-IF(16)에 의해서 인쇄화상(G00)의 인쇄 화상 데이터 및 컷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서, 그 인쇄 화상(G00)을 인쇄하고, 후단의 풀 컷(hc)에 의해 라벨(L00)을 작성한다.
또한, 사양상, 인쇄 화상(G00)을 작성하기 위한 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텍스트 데이터나 요소 화상 데이터 등)를, 그대로, 데이터 서버(DS)로부터 인터페이스(IF)를 통해 테이프 인쇄장치(1)에 송신하고, 테이프 인쇄장치(1)측에서 인쇄 화상(G00)(의 인쇄 화상 데이터)의 작성부터 라벨 작성까지를 실행하도록, 규정해도 된다. 또한, 인쇄 화상 데이터의 형태로 송신할지, 상기의 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의 형태로 송신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폭방향 인쇄에 대해, 예를 들면 전술의 「자유폭 인쇄」의 기능(도 7의 D20 등 참조) 중, 인쇄 시스템(화일 인쇄, 화일 다수 인쇄) 이외의 기능은 데이터 서버(DS)측에서만 처리된다. 또한, 데이터 서버(DS)에서, 사용자에 의해 예를 들면 도 33∼도 36이나 도 38∼도 41등에서 전술의 「화일 인쇄」나 「화일 다수 인쇄」가 지시되면, 「인쇄중」등과 동일한 메시지 표시 등과 함께, 지정된 화일에 의거해 인쇄 화상(G10) 등(도 13a-13c, 14a-14c, 15a, 15b, 22a-22c, 23a-23c, 27a-27c, 32a-32c, 37, 42 등 참조)의 인쇄 화상 데이터 및 컷(하프 컷(hc)이나 풀 컷(fc))하기 위한 컷 지시 신호를 인터페이스(IF)를 통해 송신한다.
이에 대해, 테이프 인쇄장치1(1B)에서는 DS-IF(16)에 의해서 인쇄 화상(G10) 등의 인쇄 화상 데이터 및 컷 지시 신호를 수신하면서, 그 인쇄 화상(G10) 등을 인쇄하고, 컷 처리에 의해 라벨(L10) 등을 작성한다.
상술과 같이, 인쇄 시스템(SYS)에서도, 「자유폭 인쇄」(폭방향 인쇄)를 위해 등록되어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지정된 화일에 의거해,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 화상의 작성·편집·인쇄 및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화일이나 그 부수 정보 등에 의해, 폭방향 인쇄에 의해서 라벨 작성을 행할 때의 라벨폭과 인쇄폭의 각종 조합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폭방향 인쇄에 관한 재설정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개별 설정에 의거하는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자유폭 인쇄」(폭방향 인쇄)의 경우에 대해서도, 사양상, 「화일 인쇄」 등에 있어서 인쇄 대상으로서 선택(지정)된 화일의 데이터(인쇄 화상 작성용 데이터(텍스트 데이터나 요소 화상 데이터 등) 및 그 부수 정보(전술의 라벨폭이나 인쇄폭이나 기준 위치 등의 정보))를, 그대로, 인터페이스(IF)를 통해 통신하고, 테이프 인쇄장치(1)측에서 인쇄 화상(G10) 등(의 인쇄 화상 데이터)의 작성부터 라벨 작성까지를 실행하도록, 규정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도, 인쇄 화상 데이터의 형태로 송신할지, 상기 화일의 데이터 형태로 송신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예에서는 데이터 서버(DS)측에서 화일을 작성하여 내부에 준비(등록·기억)하는 것으로 설명했는데,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컴팩트 디스크(CD, CD-ROM)(501) 등에 의해 이미 작성 완료된 화일로서 공급할 수 있고, 이 경우, CD-ROM(501)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화일을 준비할 수 있고, 혹은 목적 등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처리 프로그램: 전용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데이터 서버(DS) 내에 원래부터 준비(기억)해 두어도 되고, 화일 등과 함께 혹은 단독으로 CD-ROM(501) 내에 기억해 두고, 이를 (다운 로드하고 나서) 기동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 일반적인 오퍼레이션 시스템(OS)으로 실행 가능한 응용으로 해 두면, 그 OS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 CD-ROM(501)을 장착하는 것만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예에서는 CD-ROM을 예로 들었는데, FD, MO, DVD 등, 그 밖의 기억 매체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도 46의 구성이 아니라, 도 45와 같이 네트워크(NW)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네트워크(NW)를 통해 혹은 테이프 인쇄장치(1)의 직접 접속의 장치(공급 장치: 도시의 예에서는 PC1 또는 TA)를 통해, 그 네트워크(NW)에 접속된 각종 다른 장치(도시의 예에서는 WS2이나 WS3 등)로부터 각종 화일이나 각종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으므로, 각종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만으로, 새로운 각종 화일이나 프로그램을 기억(준비)하거나,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경우, 데이터 서버(DS)측의 프로그램에는 그 일부를 테이프 인쇄장치(1)측에 다운로드하여 이용 가능한 테이프 인쇄장치(1)측의 프로그램을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제5) 실시형태에서는 키보드(3)나 디스플레이(4) 등을 갖는 조작부(11)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장치1(1B)를 인쇄장치로서 예시했는데, 전체 또는 대부분의 동작을 데이터 서버(DS)에서의 지시에 따라 행하는 경우, 인쇄 장치측에 조작부(11) 등을 요하지 않으므로, 이들 기능을 생략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테이프 인쇄장치(1B)(도 46 및 도 47 참조)와 동일한 테이프 인쇄장치라도, 도 48 및 도 49에 도시하는 테이프 인쇄장치(1C)와 같이, 조작부(11) 등을 생략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의 인쇄 시스템(SYS)의 각종 처리 방법(각종 라벨 작성 방법이나 화일 처리 방법 등)은 프로그램 처리가능한 각종 인쇄 시스템에 의해서 처리되는 프로그램으로도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상술의 각종 기억 매체 등에도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기억해 두고, 혹은 기억 매체 등에서 읽어내거나, 혹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분리형 인쇄 시스템이라도, 폭방향 인쇄를 위해 등록되어 지정된 화일에 의거해, 폭방향 인쇄에 알맞은 인쇄 화상의 작성·편집·인쇄 및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화일이나 그 부수 정보 등에 의해, 폭방향 인쇄의 라벨 작성을 행할 때의 라벨폭과 인쇄폭의 각종 조합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있고, 또한, 등록된 화일을 읽어내는 것만으로, 폭방향 인쇄에 관한 재설정을 요하지 않고, 원하는 개별 설정에 의거하는 라벨 작성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폭방향 인쇄를 위해 준비하여 등록된 화일의 데이터를 길이 방향 인쇄에 유용할 수 있어, 편리성이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물론, 그 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변경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