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06052A -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052A
KR20050006052A KR1020040052349A KR20040052349A KR20050006052A KR 20050006052 A KR20050006052 A KR 20050006052A KR 1020040052349 A KR1020040052349 A KR 1020040052349A KR 20040052349 A KR20040052349 A KR 20040052349A KR 20050006052 A KR20050006052 A KR 20050006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ircuit
charge pump
pump circuit
sense resis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509B1 (ko
Inventor
이시이도시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50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3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special filtering or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5Converters combining the concepts of switch-mode regulation and linear regulation, e.g. linear pre-regulator to switching converter, linear and switching converter in parallel, same converter or same transistor operating either in linear or switch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Dram (AREA)

Abstract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오동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차지 펌프 회로의 출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가 감지 저항기로 감지되어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하여 검출됨으로써, 입력 전류가 출력 전류보다 대략 2배 더 큰 양으로 차지 펌프 회로의 입력 단자에 일정하게 흐르도록 하여,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피크 전류를 억제하고,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는 전류 제한 회로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차지 펌프 회로와 공유된 입력 전원에 접속된 다른 회로들이 오동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에서 차지 펌프 회로의 노이즈 발생을 제한하는, 차지 펌프 회로의 노이즈 감소용 전류 제한 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차지 펌프 회로를 도시한다. 이 차지 펌프 회로에서, 펌프 커패시터는 입력 전원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차지된 후, 펌프 커패시터의 전압이 출력 커패시터를 차지하기 위하여 더 상승(step-up)된다. 차지 펌프 회로는 전류가 펌프 커패시터로 그리고 출력 커패시터로 직접 흐르게 하므로, 큰 피크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르게 된다(예컨대, US 제5550728호 참조).
그러나, 종래의 차지 펌프 회로에서 전류는 입력 전원에서 펌프 커패시터로 그리고 출력 커패시터로 직접 흐른다. 이는, 커패시터의 차지시 큰 피크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르게 한다. 그 결과, 입력 전원의 전압이 가변하여 노이즈를 발생시켜, 차지 펌프 회로와 공유된 입력 전원에 접속된 다른 회로들이 오동작하는 가능성에 직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지 펌프 회로에서 입력 전원으로부터 펌프 커패시터로 그리로 출력 커패시터로 흐르는 피크 전류를 억제하여,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지 펌프 회로에서의 노이즈 감소를 위한 전류 제한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차지 펌프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지 펌프 회로에서의 노이즈 감소를 위한 전류 제한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2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 102 : 출력 전류 감지 저항기
103 : 전류 검출 회로 104 : 전류 제한 회로
301, 306 : 비교기 302, 304 : 저항기 소자
303, 307 : PMOS 트랜지스터 305 : 감지 저항기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지 펌프 회로의 출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가 감지 저항기로 감지되어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하여 검출되어, 입력 전류가 차지 펌프 회로의 입력 단자에서 출력 전류보다 대략 2배 더 큰 양으로 일정하게 흐르도록 함으로써,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피크 전류를 억제하고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는 전류 제한 회로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차지 펌프 회로와 공유된 입력 전원에 접속된 다른 회로들이 오동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는, n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의 출력 단자에서 부하 전류를 검출하는 감지 저항기; 상기 감지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회로; 및 전류가 상기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하여 검출된 전류의 전류값에 따라 상기 감지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보다 n배 더 큰 양으로 n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의 입력 단자에 흐르도록 전류값을 조정하는 전류 제한 회로를 포함하여, n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의 입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가 출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보다 n배 더 큰 전류값에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입력 전원으로부터 흐르는 전류가, 전류값이 출력 부하 전류보다 약 n배 더 크도록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입력 전원의 전압을 안정화하여, 입력 전원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억제하여 차지 펌프 회로와 공유된 입력 전원에 접속된 다른 회로들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할 것이나, 3배 또는 4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실시예)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지 펌프 회로에서의 노이즈 감소를 위한 전류 제한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차지 펌프 회로에서의 노이즈 감소를 위한 전류 제한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메카니즘은, 2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101), 출력 전류 감지 저항기(102), 상기 감지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회로(103), 및 입력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 제한 회로(104)로 구성된다.
차지 펌프 회로의 입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는 이에 따라 구성된 차지 펌프 회로에서의 노이즈 감소를 위한 전류 제한 메카니즘을 사용함으로써 출력 전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원리상, 2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는 출력 전류의 2배인 입력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입력 전압 레벨의 2배인 레벨로 출력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가정 하에, 출력 전류의 2배인 전류가, 출력 전류가 가변하여도 입력 전류로서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으면, 전압을 2배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목적으로, 다음의 조정이 달성된다. 즉, 출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는 출력 전류 감지 저항기(102)로 감지된다. 전류 검출 회로(103)는 저항기의 양 단에서의 전위들을 비교하여 전위차를 검출한다. 전위차에 대응하는 전류를 입력 단자에 공급하는 전류 제한 회로(104)는 출력 전류의 2배인 전류가 입력 전류로서 흐르게 한다. 따라서, 2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에는 출력 전류값에 상관없이 출력 전류의 2배인 입력 전류가 일정하게 공급되어, 전압을 상승시킨다. 그러므로, 입력 전류는 일정한 값에 유지되어 노이즈 발생을 억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지 펌프 회로에서의 노이즈 감소를 위한 전류 제한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제 차지 펌프 회로에서의 노이즈 감소를 위한 전류 제한 메카니즘을 논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메카니즘에서, 전류 검출 회로(103)는 감지 저항기(102)의 양 단의 전위들을 비교하는 비교기(301), PMOS 트랜지스터(303), 및 저항기 소자(302)를 포함하여, 증폭기 회로를 구성한다. 또한, 전류 제한 회로(104)는, 감지 저항기(305)의 양 단의 전위들을 비교하는 비교기(306), PMOS 트랜지스터(307), 및 저항기 소자(304)를 포함하여, 증폭기 회로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차지 펌프 회로에서의 노이즈 감소를 위한 전류 제한 메카니즘을 이용함으로써 출력 전류에 따라 차지 펌프 회로의 입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 전류 검출 회로(103)는 비교기(301), PMOS 트랜지스터(303), 및 저항기 소자(302)를 포함하여, 증폭기 회로를 구성한다. 따라서, 감지 저항기(102)에 걸친 전압과 동일한 전압은 저항기 소자(302)에 걸친 전압에 대응한다. 전류 제한 회로(104)는 비교기(306), PMOS 트랜지스터(307), 및 저항기 소자(304)를 포함하여, 증폭기 회로를 구성한다. 감지 저항기(305)에 걸친 전압과 동일한 전압은 저항기 소자(304)에 걸친 전압에 대응한다. 이 때, 감지 저항기(305)는 감지 저항기(305)의 저항값의 절반으로 설정되어, 저항기 소자들(302, 304)이 동일한 저항값을 가진다면, 감지 저항기(102)에서보다 2배 더 큰 양의 전류가 감지 저항기(305)에 흐르게 된다. 이 회로 구성으로, 2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에는 출력 전류값에 따라 출력 전류보다 약 2배 더 큰 양의 입력 전류가 공급되어, 전압을 상승시킨다. 그 결과, 입력 전류가 일정값에 유지되어, 노이즈 발생을 억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지 펌프 회로의 출력 단자에 흐르는전류가 감지 저항기로 감지되어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하여 검출됨으로써, 입력 전류가 출력 전류보다 대략 2배 더 큰 양으로 차지 펌프 회로의 입력 단자에 일정하게 흐르도록 하여,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피크 전류를 억제하고,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는 전류 제한 회로가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차지 펌프 회로와 공유된 입력 전원에 접속된 다른 회로들이 오동작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2)

  1.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에 있어서,
    n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의 출력 단자에서 부하 전류를 검출하는 감지 저항기;
    상기 감지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회로; 및
    상기 n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의 입력 단자에, 상기 전류 검출 회로에 의하여 검출된 전류의 전류값에 따라 상기 감지 저항기에 흐르는 전류보다 n배 더 큰 양의 전류가 흐르도록 전류값을 조정하는 전류 제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n배 스텝-업 차지 펌프 회로의 입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가 출력 단자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값보다 n배 더 큰 전류값에 유지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 회로는, 비교기 회로, PMOS 트랜지스터, 및 저항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 제한 회로는, 비교기 회로, PMOS 트랜지스터, 저항기 소자, 및 입력 전류 감지 저항기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KR1020040052349A 2003-07-08 2004-07-06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17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93514 2003-07-08
JP2003193514A JP4031399B2 (ja) 2003-07-08 2003-07-08 半導体集積回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052A true KR20050006052A (ko) 2005-01-15
KR100917509B1 KR100917509B1 (ko) 2009-09-16

Family

ID=34204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3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7509B1 (ko) 2003-07-08 2004-07-06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09445B2 (ko)
JP (1) JP4031399B2 (ko)
KR (1) KR100917509B1 (ko)
CN (1) CN100431248C (ko)
TW (1) TWI3323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8172B2 (ja) * 2005-04-28 2011-02-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昇圧型dc−dc、および、昇圧型dc−dcを有する半導体装置
JP4773147B2 (ja) * 2005-07-05 2011-09-1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昇圧回路
JP2007074797A (ja) * 2005-09-06 2007-03-22 Rohm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750530B2 (ja) * 2005-10-27 2011-08-1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非接触電子装置
US8384306B2 (en) * 2006-01-17 2013-02-26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Regulated charge pump and method therefor
JP2007304698A (ja) * 2006-05-09 2007-11-22 Nec Electronics Corp 電源回路及び液晶表示装置
JP4912067B2 (ja) * 2006-07-27 2012-04-04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8172969A (ja) 2007-01-15 2008-07-24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2009070951A (ja) * 2007-09-12 2009-04-02 ▲しい▼創電子股▲ふん▼有限公司 定電流式電荷ポンプ
US8040175B2 (en) * 2007-10-24 2011-10-18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Supply regulated charge pump system
US20090140794A1 (en) * 2007-11-29 2009-06-04 Chi-Hao Wu Constant-current charge pump
KR20090080258A (ko) * 2008-01-21 200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하량에 따라 부스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부스팅 전압발생기 및 상기 부스팅 전압 발생기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US8035440B2 (en) * 2008-04-15 2011-10-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stage charge pumps with diode loss compensation
WO2010032589A1 (ja) * 2008-09-17 2010-03-25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チャージ・ポンプ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
CN102761235A (zh) * 2011-04-28 2012-10-31 李姣姣 一种半导体电路装置
CN102684163B (zh) * 2012-06-07 2014-10-08 无锡市晶源微电子有限公司 一种全负载自检测电荷泵保护模块
US9219427B2 (en) * 2012-10-11 2015-12-22 Semtech Corporation Reduction of electrostatic discharge effects in charge-pump elevator ladder
US10177646B2 (en) * 2014-06-13 2019-01-08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for a power electronic system
US9698672B2 (en) * 2014-06-16 2017-07-04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Input filter for a power electronic system
JP6372333B2 (ja) * 2014-12-11 2018-08-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ヘッドユニット、容量性負荷駆動用集積回路装置および容量性負荷駆動回路
CN107037930B (zh) * 2017-05-09 2019-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触控屏驱动电路及电子设备
JP7534599B2 (ja) * 2020-05-28 2024-08-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直流電源装置および電源ラインのノイズ抑制方法
CN113162401B (zh) * 2021-04-19 2024-01-30 矽力杰半导体技术(杭州)有限公司 电源转换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2857A (en) * 1987-07-01 1989-01-17 Seiko Instr & Electronics Semiconductor high voltage pump circuit device
KR920006991A (ko) * 1990-09-25 1992-04-28 김광호 반도체메모리 장치의 고전압발생회로
US6107862A (en) * 1997-02-28 2000-08-22 Seiko Instruments Inc. Charge pump circuit
JP3098471B2 (ja) * 1997-09-22 2000-10-16 山形日本電気株式会社 低電源用半導体装置
JP3928837B2 (ja) * 1999-09-13 2007-06-13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03018822A (ja) * 2001-04-24 2003-01-17 Seiko Instruments Inc チャージポンプ用ラッシュカレント制限回路
JP2003033010A (ja) * 2001-07-17 2003-01-31 Sumitomo Metal Micro Devices Inc 電源回路及びその保護回路と保護方法
KR100474196B1 (ko) * 2002-07-18 2005-03-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램프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부스팅 회로
JP2004063019A (ja) * 2002-07-30 2004-02-26 Renesas Technology Corp 内部電圧発生回路
JP4628176B2 (ja) * 2004-06-14 2011-02-09 ローム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4356A (en) 2005-04-16
CN1578080A (zh) 2005-02-09
TWI332316B (en) 2010-10-21
US20050057300A1 (en) 2005-03-17
KR100917509B1 (ko) 2009-09-16
CN100431248C (zh) 2008-11-05
JP2005033865A (ja) 2005-02-03
US7009445B2 (en) 2006-03-07
JP4031399B2 (ja) 200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509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JP5987206B2 (ja) 電圧調整回路機構および関連する動作方法
US8575906B2 (en) Constant voltage regulator
TWI498702B (zh) 電壓調節器
US8242760B2 (en) Constant-voltage circuit device
US7893671B2 (en) Regulator with improved load regulation
KR100815388B1 (ko) 저전압 검출 회로
TWI354195B (en) Voltage regulator
US20080012613A1 (en) Low-voltage detection reset circuit
US20080272753A1 (en) Regulator circuit
US20190050011A1 (en) Regulator circuit
JP4732617B2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2004312231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TW201908905A (zh) 針對負載的切換控制器和方法
JP5793979B2 (ja) レギュレータ用半導体集積回路
JP4181695B2 (ja) レギュレータ回路
US8305135B2 (en) Semiconductor device
JP2005293067A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4062405B2 (ja) 電源電圧レベル検出器
JP5640441B2 (ja) 直流電源装置およびレギュレータ用半導体集積回路
US1069115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 overvoltage protection in regulators
JP2006039812A (ja) 直流安定化電源回路
JP2008171070A (ja) 電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7190195B2 (en) Input circuit and output circuit
KR100834592B1 (ko) 과전압 및 역전압 보호 기능을 갖춘 저감압 레귤레이터회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7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