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65981Y1 - 전기 전자용 버튼 판 - Google Patents

전기 전자용 버튼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981Y1
KR200465981Y1 KR2020120002818U KR20120002818U KR200465981Y1 KR 200465981 Y1 KR200465981 Y1 KR 200465981Y1 KR 2020120002818 U KR2020120002818 U KR 2020120002818U KR 20120002818 U KR20120002818 U KR 20120002818U KR 200465981 Y1 KR200465981 Y1 KR 200465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witch
plate
support
push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
Original Assignee
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진 filed Critical 조진
Priority to KR2020120002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9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9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08Video gam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전자용 버튼 판에 관한 것으로서, 빠징코, 슬롯머신, 오락기 및 각종 기계의 작동 버튼 스위치와 같은 곳에 다용도로 사용되며, 타격을 가해 스위치에 전기적 신호를 가할 수 있는 푸시(PUSH)버튼(100)과; 상기 푸시버튼(100) 하부에 결합 되어 탄성으로 받쳐주는 탄성 스프링(200)과; 상기 푸시버튼(100) 하부에 형성된 안착 홈(102)에 탄성 스프링(200)이 결합 되어 안착 고정할 수 있는 버튼 안착 홈(30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버튼 안착 홈(301) 하부에는 푸시버튼(100)의 지지대(103)와 탄성 스프링(200)을 안착할 수 있는 지지 관(302)이 일정한 길이로 하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버튼 판(300)과; 상부에는 전구(500)를 끼워 결합할 수 있는 소켓(40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소켓(401) 외부 둘레로는 버튼 판(30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 관(302) 내측에 형성된 십자 홈(303)에 삽입되어 결합고정되는 고정 돌기(402)가 형성되어 있고 소켓(401) 하부에는 스위치(60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는 스위치 고정부(403)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400)와; 푸시버튼(100) 타격시 동작신호를 빛으로 알려주는 전구(500)와; 푸시버튼(100) 타격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600)로 구성되어 빠른 조립과 제작, 비용 절감 및 부품 보수 교체가 용이한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전기 전자용 버튼 판{Button panel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
본 고안은 전기 전자용 버튼 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빠징코, 슬롯머신, 오락기 및 각종 기계의 작동 버튼 스위치와 같은 곳에 다용도로 사용되며, 부품의 간소화와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의 고장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부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기 전자용 버튼 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빠징코, 슬롯머신, 오락기 및 각종 기계에는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를 보고 조작할 수 있는 푸시버튼이 설치된 조작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과거 종래의 오락기용 버튼 판은 조작판(1)에 일정한 크기의 구멍을 다수 개 형성하여 푸쉬버튼(2)이 삽입된 지지 관(3)을 조작판(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고 하부에 고정캡(4)으로 결합고정 함으로써 지지 관(3)에 결합하여, 푸쉬버튼(2)이 결합된 지지 관(3) 하부에 램프와 스위치가 결합된 고정 베이스(5)가 결합 되는 구조로(도 1 참조) 이러한 조작판(1)에는 다수개의 푸시버튼(2) 스위치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푸시버튼(2)은 사용자가 수만 번의 타격으로 푸시버튼(2) 뿐만 아니라 조작판(1) 또한 그에 따른 충격 및 진동으로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되며, 각각의 푸시버튼(2)을 지지 관(3)에 삽입하고 고정 캡(4)을 하나하나 결합해야하는 번거로운 제작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버튼의 고장으로 인해 버튼교체시에도 나무합판으로 이루어진 조작판(1)이 크고 무겁기 때문에 버튼교체에도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등록번호 제20-0423008호 등록실용신안 공보를 보면 오락기의 조작판에 고정되며 일측에는 컵홀더(12)와 수납홈(13)을 형성하고 전방에는 스위치 판(20) 홀(11)을 형성한 수납 판(10)과, 상기 수납판(10)의 스위치판홀(11)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중앙에는 다수의 스위치 홀(21)을 형성한 스위치 판(20)과, 상기 스위치판(20)의 양측 하단에 외측으로는 단턱진 경사면(31)을 갖는 결합 편(32)으로 형성된 결합부(30)로 구성으로(도 2참조) 이 또한 스위치 판(20)이 수납 판(10)에 결합 되고 지지 관이 푸시버튼에 결합 되어 스위치 판(20)에 장착 고정되어 조립과정이 번거롭고 제작 비용 또한 많이 들며, 지지 관이 푸시버튼과 결합시 안정적인 결합고정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타격을 많이 가하는 푸시버튼 스위치라는 점을 고려할 시 장시간 사용시 지지 관과 푸시버튼에 잔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크다. 또한 컵홀더(12)와 수납홈(13)을 형성하여 다양한 물건들을 수납할 경우 타격공간이 협소해질 뿐만 아니라, 수납되어 있는 물건들로 인해 타격시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그러므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비용 절감과 간소화된 제작공정 및 잔고장이 적으며, 타격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전기 전자용 버튼 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빠징코, 슬롯머신, 오락기 및 각종 기계의 작동 버튼 스위치와 같은 다양한 곳에 사용할 수 있으며 푸시버튼과 스프링을 안착하여 스위치 판에 결합되는 단독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지 관을 스위치 판에 형성된 버튼안착 홈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빠른 조립과 제작, 비용 절감 및 부품 보수 교체시 용이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전자용 버튼 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전기 전자용 버튼 판은 타격을 가해 스위치에 전기적 신호를 가할 수 있는 푸시(PUSH)버튼(100)과; 상기 푸시버튼(100) 하부에 결합 되어 탄성으로 받쳐주는 탄성 스프링(200)과; 상기 푸시버튼(100) 하부에 형성된 안착 홈(102)에 탄성 스프링(200)이 결합 되어 안착 고정할 수 있는 버튼 안착 홈(30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버튼 안착 홈(301) 하부에는 푸시버튼(100)의 지지대(103)와 탄성 스프링(200)을 안착할 수 있는 지지 관(302)이 일정한 길이로 하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버튼 판(300)과; 상부에는 전구(500)를 끼워 결합할 수 있는 소켓(40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소켓(401) 외부 둘레로는 버튼 판(30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 관(302) 내측에 형성된 십자 홈(303)에 삽입되어 결합고정되는 고정 돌기(402)가 형성되어 있고 소켓(401) 하부에는 스위치(60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는 스위치 고정부(403)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400)와; 푸시버튼(100) 타격시 동작신호를 빛으로 알려주는 전구(500)와; 푸시버튼(100) 타격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6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빠징코, 슬롯머신, 오락기 및 각종 기계의 작동 버튼 스위치와 같은 다양한 곳에 사용할 수 있으며 푸시버튼과 스프링을 안착하여 스위치 판에 결합되는 단독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지 관을 버튼 판에 형성된 버튼안착 홈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서, 빠른 조립과 제작, 비용 절감 및 부품 보수 교체시 용이함이 향상되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락기용 버튼 판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오락기용 버튼 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사용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저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부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전기 전자용 버튼 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전자용 버튼 판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전기 전자용 버튼 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저면의 모습을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부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본 고안 전기 전자용 버튼 판은 타격을 가해 스위치에 전기적 신호를 가할 수 있는 푸시(PUSH)버튼(100)과; 상기 푸시버튼(100) 하부에 결합 되어 탄성으로 받쳐주는 탄성 스프링(200)과; 상기 푸시버튼(100) 하부에 형성된 안착 홈(102)에 탄성 스프링(200)이 결합 되어 안착 고정할 수 있는 버튼 안착 홈(30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버튼 안착 홈(301) 하부에는 푸시버튼(100)의 지지대(103)와 탄성 스프링(200)을 안착할 수 있는 지지 관(302)이 일정한 길이로 하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버튼 판(300)과; 상부에는 전구(500)를 끼워 결합할 수 있는 소켓(40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소켓(401) 외부 둘레로는 버튼 판(30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 관(302) 내측에 형성된 십자 홈(303)에 삽입되어 결합고정되는 고정 돌기(402)가 형성되어 있고 소켓(401) 하부에는 스위치(60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는 스위치 고정부(403)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400)와; 푸시버튼(100) 타격시 동작신호를 빛으로 알려주는 전구(500)와; 푸시버튼(100) 타격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6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푸쉬버튼(100)은 사각형상의 타격 판(101)이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 중심에는 일정한 길이로 하향으로 원통이 이루어져 있으며 탄성 스프링(104)이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 홈(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의 양측으로는 일정한 길이로 지지대(103)가 형성되며 지지대(102) 하부 외측으로 걸림 돌기(104)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스프링(200)은 푸시버튼(100) 하부에 형성된 안착 홈(102)에 결합 안착되어 버튼 판(300) 하부에 형성된 지지 관(302)에 안착 되어 푸시버튼(100) 타격시 푸시버튼(100)이 제자리로 복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 판(300)은 일정한 크기의 직사각형의 판에, 판 중심에 사각 형상의 버튼 안착 홈(30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버튼 안착 홈(301) 하부에는 일정한 길이의 원통 형상의 지지 관(3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관(302) 내측 하부에는 전구(500)와 스위치(600)가 각각 결합 된 베이스(400)가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십자 홈(30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 판(300)에 형성된 버튼 안착 홈(301)과 지지 관(303)은 푸시버튼(100) 형상에 따라 원형 및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400)는 전구(500)를 고정 결합하는 소켓(4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401) 하부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60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스위치 고정부(4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의 하부 외측 으로는 버튼 판(300)에 형성된 지지 관(302) 내측에 형성된 십자 홈(303)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각각 고정 돌기(402)가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기 전자용 버튼 판의 사용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 전기 전자용 버튼 판은 지지 관(302)이 버튼 판(30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버튼 판(300)에 형성된 다수개의 버튼 안착 홈(301)과, 버튼 안착 홈(301) 하부에 형성된 지지 관(302)에 탄성 스프링(200)과 푸시버튼(100)을 삽입 안착하게 되며, 푸시버튼(100)에 형성된 지지 대(103)와 지지대 하부 일측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지지 관(302) 하부에 걸리면서 지지 관(302) 내부에 삽입된 탄성 스프링(200)에 의해 타격시 푸시버튼(100)이 제자리로 복구된다.
또한, 소켓(400)에 전구(500)가 결합 되고 스위치(600)가 스위치 고정부(403)에 결합 된 베이스(400)를 지지 관(203) 하부 내측에 형성된 십자 홈(204)에 결합고정 하여 오락기 등과 같은 기기의 조작 판(1)에 장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와 같이 지지 관(302)을 버튼 판(300)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시켜 간편한 제조 방법과 비용절감 및 잔고장 등을 해소시켜 다양한 활용도가 향상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조작 판 100 : 푸시버튼
101 : 타격 판 102 : 안착 홈
103 : 지지대 104 : 걸림 돌기
200 : 탄성 스프링 300 : 버튼 판
301 : 버튼안착 홈 302 : 지지 관
302 : 십자 홈 400 : 베이스
401 : 소켓 402 : 고정 돌기
403 : 스위치 고정부 500 : 전구
600 : 스위치

Claims (3)

  1. 타격을 가해 스위치에 전기적 신호를 가할 수 있는 푸시(PUSH)버튼(100)과; 상기 푸시버튼(100) 하부에 결합 되어 탄성으로 받쳐주는 탄성 스프링(200)과; 상기 푸시버튼(100) 하부에 형성된 안착 홈(102)에 탄성 스프링(200)이 결합 되어 안착 고정할 수 있는 버튼 안착 홈(301)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버튼 안착 홈(301) 하부에는 푸시버튼(100)의 지지대(103)와 탄성 스프링(200)을 안착할 수 있는 지지 관(302)이 일정한 길이로 하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버튼 판(300)과; 상부에는 전구(500)를 끼워 결합할 수 있는 소켓(40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소켓(401) 외부 둘레로는 버튼 판(30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 관(302) 내측에 형성된 십자 홈(303)에 삽입되어 결합고정되는 고정 돌기(402)가 형성되어 있고 소켓(401) 하부에는 스위치(60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는 스위치 고정부(403)가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400)와; 푸시버튼(100) 타격시 동작신호를 빛으로 알려주는 전구(500)와; 푸시버튼(100) 타격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6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용 버튼 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판(300)은 푸시버튼(100)이 안착할 수 있는 버튼 안착 홈(301)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버튼 안착 홈(301) 하부에는 일정한 길이의 지지 관(302)이 하향으로 형성되어 버튼 판(300)이 지지 관(302)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용 버튼 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판(300)에 형성된 버튼 안착 홈(301)과 지지 관(302)은 푸시버튼(100) 형상에 따라 원형 및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자용 버튼 판.
KR2020120002818U 2012-04-06 2012-04-06 전기 전자용 버튼 판 KR200465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818U KR200465981Y1 (ko) 2012-04-06 2012-04-06 전기 전자용 버튼 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818U KR200465981Y1 (ko) 2012-04-06 2012-04-06 전기 전자용 버튼 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981Y1 true KR200465981Y1 (ko) 2013-03-20

Family

ID=5136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818U KR200465981Y1 (ko) 2012-04-06 2012-04-06 전기 전자용 버튼 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98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967U (ko) * 2015-02-16 2016-08-25 주식회사 파세코 푸쉬 스위치 박스
KR20160148918A (ko) * 2015-06-17 2016-12-27 장희성 버튼장치
WO2023075194A1 (ko) * 2021-10-28 2023-05-04 (주)코텍 카지노머신용 버튼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436A (ko) * 1992-12-28 1994-07-26 오오가 노리오 통신방법
KR20020011150A (ko) * 2000-08-01 2002-02-08 문한영 오락기에 사용하는 푸시버튼
JP2004172083A (ja) 2002-11-20 2004-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プッシュボタ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7436A (ko) * 1992-12-28 1994-07-26 오오가 노리오 통신방법
KR20020011150A (ko) * 2000-08-01 2002-02-08 문한영 오락기에 사용하는 푸시버튼
JP2004172083A (ja) 2002-11-20 2004-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プッシュボタン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967U (ko) * 2015-02-16 2016-08-25 주식회사 파세코 푸쉬 스위치 박스
KR200484062Y1 (ko) * 2015-02-16 2017-07-27 주식회사 파세코 푸쉬 스위치 박스
KR20160148918A (ko) * 2015-06-17 2016-12-27 장희성 버튼장치
KR102210572B1 (ko) * 2015-06-17 2021-02-01 장희승 버튼장치
WO2023075194A1 (ko) * 2021-10-28 2023-05-04 (주)코텍 카지노머신용 버튼장치
KR20230061666A (ko) * 2021-10-28 2023-05-09 (주)코텍 카지노머신용 버튼장치
KR102615952B1 (ko) 2021-10-28 2023-12-22 (주)코텍 카지노머신용 버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8942B2 (en) Cupped end cap for an LED support
US10679809B2 (en) Battery box for electronic cigarette
US9646786B1 (en) Hall principle-based LED lit mechanical keyboard switch
KR200465981Y1 (ko) 전기 전자용 버튼 판
WO2016107546A1 (zh) 一种薄型开关
US8967567B2 (en) Bracket pin assembly
WO2018188485A1 (zh) 一种具有高平衡性的超薄按键开关
JP3202122U (ja) スイッチ構造及び電子機器
BR112015024168B1 (pt) Mecanismo de levantamento de tecla para um módulo de tecla, módulo de tecla 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 módulo de tecla
JP2006269367A (ja) 遊技機用の照光式押釦スイッチ
WO2019153998A1 (zh) 一种按压发声的按键开关
US20090166655A1 (en) Light-emitting diode structure
KR101919603B1 (ko) 면 발광 구조를 갖는 버튼 데크
CN110504127A (zh) 一种具有按压发声功能的按键开关
JP5741739B1 (ja) 照光スイッチ及びキーボード
CN205388947U (zh) 接插式免焊接键盘开关
JP498879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内蔵型押ボタンスイッチ
US8267570B2 (en) Fixed base and lighting device utilizing the same
JP3218636U (ja) イベント等の際に使用する演出装置
KR200423008Y1 (ko) 오락기용 스위치판
CN105070561A (zh) 复位按钮式平面开关
CN210091950U (zh) 一种具有指示功能的开关
CN220495479U (zh) 摸高器及摸高器组件
CN205376360U (zh) 键盘
KR20120017794A (ko) 다트핀의 분리가 용이한 다트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4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3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2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