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60002967U - 푸쉬 스위치 박스 - Google Patents

푸쉬 스위치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967U
KR20160002967U KR2020150001086U KR20150001086U KR20160002967U KR 20160002967 U KR20160002967 U KR 20160002967U KR 2020150001086 U KR2020150001086 U KR 2020150001086U KR 20150001086 U KR20150001086 U KR 20150001086U KR 20160002967 U KR20160002967 U KR 201600029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witch
spring
led element
push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062Y1 (ko
Inventor
심윤섭
장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2020150001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6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9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9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6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01H2009/183Provisions for enhancing the contrast between the illuminated symbol and the background or between juxtaposed symb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노브가 스위치 박스 전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노브와 스위치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노브스프링를 통해 온 또는 오프시 노브가 원 돌출길이를 유지하되 온 상태인 노브에는 노브의 배면에 구비되는 LED소자를 통해 조명이 투광되어, 각 노브의 온/오프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푸쉬 스위치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박스형의 케이스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전면 패널에는 노브설치단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노브설치단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노브와 상기 노브의 배면에 구비되는 노브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버튼부; 상면이 상기 노브스프링에 고정되는 스위치작동판, 상기 스위치작동판의 배면에 구비되는 스위치스프링, 상기 스위치스프링에 내삽된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스위치작동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유동바와 상기 유동바의 타단이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스위치본체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본체가 온 상태가 되면, 노브에 빛을 조사하는 LED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 스위치 박스{Push Switch Box}
본 고안은 푸쉬 스위치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노브가 스위치 박스 전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노브와 스위치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노브스프링를 통해 온 또는 오프시 노브가 원 돌출길이를 유지하되, 온 상태인 노브에는 노브의 배면에 구비되는 LED소자를 통해 조명이 투광되어, 각 노브의 온/오프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푸쉬 스위치 박스에 관한 것이다.
푸쉬 스위치란 일측에 구비되는 노브를 누르면 온/오프가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스위치로서, 기존에는 노브의 돌출길이를 통해 온/오프 상태를 식별할 수 있게 하였으나, 어두운 상태에서는 돌출길이를 통한 식별이 곤란하다는 점과 기기의 심미감을 중시하는 추세, 그리고 소모전력과 고온발열이 작은 LED의 개발로 인해 노브의 온/오프를 LED 조명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LED가 구비되는 푸쉬 스위치의 종래기술이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95564호(등록일자: 2002.11.05.)에 개시되어 있고,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푸쉬 스위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푸쉬 스위치는 노브(1)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프링(2), 캠스틱(3) 및 가동부재(4) 등을 통해, 온/오프에 따른 노브(1)의 유동과 전기적 점멸이 이루어지고, 일측에 구비되는 LED소자(5)를 통해 푸쉬 스위치의 온 상태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다수의 노브(1)가 일렬로 배열되거나 밀집구조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박스에 채용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부적합하고, 특히 상기 LED소자(5)는 푸쉬 스위치가 온 상태를 알리는 단순 정보전달의 기능만 가질 뿐, 조명 효과를 통해 심미감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KR 20-0295564 Y1 2002.11.05.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수의 노브가 스위치 박스 전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온 또는 오프시 원 돌출길이를 유지하도록 하되, 온 상태인 노브에는 박스 내부로부터 조명이 투광되어, 각 노브의 온/오프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푸쉬 스위치 박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푸쉬 스위치 박스는, 박스형의 케이스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전면 패널에는 노브설치단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노브설치단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노브와 상기 노브의 배면에 구비되는 노브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버튼부; 상면이 상기 노브스프링에 고정되는 스위치작동판, 상기 스위치작동판의 배면에 구비되는 스위치스프링, 상기 스위치스프링에 내삽된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스위치작동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유동바와 상기 유동바의 타단이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스위치본체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본체가 온 상태가 되면, 노브에 빛을 조사하는 LED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푸쉬 스위치 박스는, 상기 노브가 광 확산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푸쉬 스위치 박스는, 상기 노브스프링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일단이 노브의 배면에 형성되는 홈에 유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치작동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노브지지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푸쉬 스위치 박스는, 상기 LED소자가 상기 스위치본체 또는 케이스부의 내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의 배면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푸쉬 스위치 박스는, 상기 노브지지바가 중공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고, 그 내부에 상기 LED소자가 안치되어 노브의 배면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푸쉬 스위치 박스는, 상기 LED소자의 단자가 스위치작동판을 관통하여 스위치본체에 구비되는 슬릿형의 접속단자에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푸쉬 스위치 박스는, 상기 노브설치단의 내벽과 상기 노브의 측벽에 유동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암수 결합하는 레일 및 대차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푸쉬 스위치 박스에 의하면, 노브와 스위치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노브스프링을 통해 온 또는 오프시 노브가 원 돌출길이를 유지하게 되고, 노브의 배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위치본체와 연동하여 점등되는 LED소자를 통해 온 상태인 노브에 조명이 투광되므로, 본 고안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푸쉬 스위치 박스에 의하면, 노브설치단의 내벽과 노브의 측벽에 구비되는 레일과 대차를 통해, 노브의 유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고안의 작동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푸쉬 스위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푸쉬 스위치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푸쉬 스위치 박스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푸쉬 스위치 박스의 다른 실시 예로서 LED소자가 안치되는 노브지지바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푸쉬 스위치 박스의 다른 실시 예로서 노브설치단과 노브 사이에 레일과 대차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노브의 배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푸쉬 스위치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푸쉬 스위치 박스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케이스부(10), 버튼부(20), 스위치부(30) 및 LED소자(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부(20)는 복수 개의 노브(21)가 케이스부(10)의 전면 패널에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되, 상기 노브(21)는 온 또는 오프 양 상태에서도 원 돌출길이를 유지하고, 온 상태인 노브(21)에는 LED소자(40)에 의해 빛이 투광되어 각 노브(21)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부(10)는 본 고안의 제반 구성이 내장되는 구성으로서, 통상 케이스본체(11)는 박스형의 함체로 제공되어 각종 기기에 모듈형태로 설치되고, 케이스본체(11)의 전면 패널에는 노브설치단(13)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복수의 노브(21)가 노출되게 되며, 케이스본체(11)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스위치부(30)와 LED소자(40) 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15)이 구비되게 된다.
버튼부(20)는 사용자의 누름 행위시 유동하여 후방에 구비되는 스위치부(30)를 온/오프시키는 구성으로서, 노브설치단(13)에 구비되는 노브(21), 상기 노브(21)의 배면에 구비되는 노브스프링(23) 및 상기 노브스프링(23)의 내부에 배치되어 누름 작용시 가압력을 스위치부(30)에 전달하는 노브지지바(25)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브(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 또는 오프 양 상태에서도 모든 노브(21)가 동일한 돌출길이로 케이스본체(11)의 전면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온 상태인 노브(21)에만 빛을 발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기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위해 상기 노브(21)는 확산PC(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광 확산재질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가 일렬로 배열되거나 또는 바둑판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노브설치단(13)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게 된다.
상기 노브스프링(23)은 일단이 노브(21)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위치부(30)의 스위치작동판(35)에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노브스프링(23)의 탄성력을 통해 온 또는 오프 양 상태에서도 노브(21)가 원 돌출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노브지지바(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누름 작용시 가압력을 스위치부(30)에 전달하는 동시에 노브(21)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서, 노브스프링(23)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일단이 노브(21) 또는 스위치스프링(33)에 고정되고 타단은 그 반대측 구성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노브(21)의 보다 안정적인 유동을 위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단이 스위치스프링(33)에 고정되고 타단은 노브(21)의 배면에 형성된 홈(21a)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부(30)는 전술할 바와 같이 제어기판(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노브(21)에 누름 작용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온과 오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푸쉬 스위치가 채용되게 된다.
다만, 본 고안에서 채용되는 푸쉬 스위치에는 스위치본체(31)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위치스프링(33), 상기 스위치스프링(33)에 내삽된 상태에서 일단은 스위치본체(31)에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동바(37) 및 상기 유동바(37)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스프링(33)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스위치작동판(35)이 더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작동판(35)의 상면에는 노브지지바(25)가 고정되게 되는데, 사용자의 누름 행위시 노브지지바(25)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스위치본체(31)의 온 또는 오프가 이루어지면, 유동바(37)는 길이가 반복적으로 증감하게 되나, 노브(21)는 노브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동일한 돌출길이를 유지하며 노브설치단(13)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푸쉬 스위치 박스의 다른 실시 예로서 LED소자가 안치되는 노브지지바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푸쉬 스위치 박스의 다른 실시 예로서 노브설치단과 노브 사이에 레일과 대차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노브의 배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LED소자(40)는 상기 스위치부(30)와 제어기판(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본체(31)가 온 상태가 되면, 제어기판(15)의 콘트롤에 의해 전기를 인가받아 발광하여 그 빛을 노브(21)의 배면에 조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LED소자(40)는 통상 스위치본체(31)나 케이스부(10)의 내벽에 고정되는데, 이는 버튼부(20)나 스위치작동판(35) 등은 유동이 수시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LED소자(40)가 상기 버튼부(20)나 스위치작동판(35) 등에 설치되면 전기 배선의 안정성 또는 내구성이 문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LED소자(40)가 스위치본체(31)나 케이스부(10)의 내벽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노브(21)의 배면에 조사하기가 곤란해져 노브(21)의 광 확산효과가 불 균일하게 이루어져 심미감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다른 실시 예로서, LED소자(40)가 노브(21)의 직하에 배치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브지지바(25')는 내부에 LED소자(40)를 안치할 수 있는 중공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어 스위치작동판(35)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LED소자(40)의 단자(41)는 스위치작동판(35)을 관통하여 스위치본체(31)에 연결되는데, 상기 스위치본체(31)에는 슬릿형의 접속단자(31a)를 구비하여 LED소자(40)의 유동과정에서도 단자 접속이 안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밖에도 본 고안에서는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브설치단(13)의 내벽과 노브(21)의 측벽에는 유동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암수 결합하는 레일(R) 및 대차(L)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노브(21)와 스위치본체(31) 사이에 노브스프링(23)과 스위치스프링(33)이 동일선상으로 배치되고, 특히 복수 개의 노브(21)가 일렬로 배열되는 경우 이웃하는 노브(21) 사이에는 유동을 가이드 하는 부재구성이 없어 노브(21)의 유동이 다소 불규칙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불규칙한 유동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상기와 같은 레일(R) 및 대차(L)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케이스부
11: 케이스본체 13: 노브설치단
15: 제어기판
20: 버튼부
21: 노브 23: 노브스프링
25: 노브지지바
30: 스위치부
31: 스위치본체 33: 스위치스프링
35: 스위치작동판 37: 유동바
40: LED소자

Claims (7)

  1. 박스형의 케이스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본체의 전면 패널에는 노브설치단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노브설치단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노브와 상기 노브의 배면에 구비되는 노브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버튼부;
    상면이 상기 노브스프링에 고정되는 스위치작동판, 상기 스위치작동판의 배면에 구비되는 스위치스프링, 상기 스위치스프링에 내삽된 상태에서 일단은 상기 스위치작동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유동바와 상기 유동바의 타단이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스위치본체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본체가 온 상태가 되면, 노브에 빛을 조사하는 LED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광 확산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스프링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일단이 노브의 배면에 형성되는 홈에 유동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치작동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노브지지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소자는 상기 스위치본체 또는 케이스부의 내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의 배면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박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지지바는 중공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고, 그 내부에 상기 LED소자가 안치되어 노브의 배면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박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LED소자의 단자는 스위치작동판을 관통하여 스위치본체에 구비되는 슬릿형의 접속단자에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박스.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설치단의 내벽과 상기 노브의 측벽에는 유동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호 암수 결합하는 레일 및 대차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박스.
KR2020150001086U 2015-02-16 2015-02-16 푸쉬 스위치 박스 Expired - Fee Related KR200484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086U KR200484062Y1 (ko) 2015-02-16 2015-02-16 푸쉬 스위치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086U KR200484062Y1 (ko) 2015-02-16 2015-02-16 푸쉬 스위치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967U true KR20160002967U (ko) 2016-08-25
KR200484062Y1 KR200484062Y1 (ko) 2017-07-27

Family

ID=56854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08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4062Y1 (ko) 2015-02-16 2015-02-16 푸쉬 스위치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62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564Y1 (ko) 2002-08-13 2002-11-18 주식회사 에코 앤 테크 푸쉬버튼 스위치
JP2004172083A (ja) * 2002-11-20 2004-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プッシュボタン
KR101069148B1 (ko) * 2010-03-26 2011-09-30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안전성이 우수한 접점스위치
KR200465981Y1 (ko) * 2012-04-06 2013-03-20 조진 전기 전자용 버튼 판
JP2013137972A (ja) * 2011-12-28 2013-07-11 Pioneer Electronic Corp 押しボタン構造、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564Y1 (ko) 2002-08-13 2002-11-18 주식회사 에코 앤 테크 푸쉬버튼 스위치
JP2004172083A (ja) * 2002-11-20 2004-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プッシュボタン
KR101069148B1 (ko) * 2010-03-26 2011-09-30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안전성이 우수한 접점스위치
JP2013137972A (ja) * 2011-12-28 2013-07-11 Pioneer Electronic Corp 押しボタン構造、電子機器
KR200465981Y1 (ko) * 2012-04-06 2013-03-20 조진 전기 전자용 버튼 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062Y1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9812B2 (en) Electrical device with actuator support and viewing window
US7414210B2 (en) Button assembly with status indicator and programmable backlighting
EP2664979A1 (en) Illumination module and illuminated keyboard having the same
JP2009123183A (ja) バックライト付きキーボード
KR101303172B1 (ko) 조광스위치 어셈블리
ATE448557T1 (de) Elektrisches schaltgerät inklusive abdeckplatte mit lichtfunktion
JP2015022799A (ja) スイッチ装置
JP6066080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484062Y1 (ko) 푸쉬 스위치 박스
JP2007520853A (ja) 電子装置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のキーパッドの背面照明の光導体
JP5677429B2 (ja) 自動車における均一な操作パネルとしての押しボタンスイッチアレイ
JP5866320B2 (ja) 電子装置
JP4904829B2 (ja) 発光表示構造
JP6195060B2 (ja) スイッチ装置
JP644749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押しボタンスイッチユニット
JP4161972B2 (ja) 照明器具
CN110299621A (zh) 具有导光柱的端子台
CN203690177U (zh) 电子机器
KR2008006915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도광판 구조
JP3213871U (ja) 建物玩具
JP641385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CN104576128B (zh) 按键照明装置及其应用方法
KR20170078997A (ko) 스위치 장치
KR20040107122A (ko) 조작부의 버튼 지지구조
JPWO2006123421A1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2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1207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702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7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1043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