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2153Y1 -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153Y1
KR200432153Y1 KR2020060025278U KR20060025278U KR200432153Y1 KR 200432153 Y1 KR200432153 Y1 KR 200432153Y1 KR 2020060025278 U KR2020060025278 U KR 2020060025278U KR 20060025278 U KR20060025278 U KR 20060025278U KR 200432153 Y1 KR200432153 Y1 KR 200432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able
wheelchair
rod bar
rod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세 엠.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세 엠.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세 엠.케어
Priority to KR2020060025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15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4Tables, working plates or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휠체어의 동체프레임(F)상에 설치되는 관절링크(100)를 통하여 ㅎ회동되고, 상면 가장자리에 이탈방지턱(202)과 저면에 다수의 힘살(204)이 형성되는 작업테이블(2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작업테이블이 휠체어상에서 전후, 좌우, 높낮이 조절은 물론 측면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위치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주변의 도움을 받지 않고 본인 스스로 간단한 조작으로 작업테이블을 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휠체어, 작업테이블, 로드바, 팔걸이, 고정레버

Description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Collapsible working table for wheelchai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처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관절링크 110: 제1로드바 112: 고정프레임
114: 고정레버 120: 제2로드바 122: 회동프레임
122a: 지지축 124: 고정레버 130: 제3로드바
132: 로드관 200: 작업테이블 202: 이탈방지턱
204: 힘살 210: 완충패드
본 고안은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테이블이 휠체어상에서 전후, 좌우, 높낮이 조절은 물론 측면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위치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주변의 도움을 받지 않고 본인 스스로 간단한 조작으로 작업테이블을 접을 수 있는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휠체어는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하도록 바퀴가 달린 의자형태로 형성되고,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식사 또는 독서와 같은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전방에 작업테이블이 설치된다.
종래에 작업테이블은 단순히 장폭의 판형태로써, 사용자가 필요시 휠체어의 팔걸이부분에 양단이 걸쳐지도록 올려놓은 상태로 여러 작업을 수행하고, 사용후에는 작업테이블을 내려 휠체어와 별도로 보관하게 된다. 이처럼 필요시에만 일시적으로 작업테이블을 사용하고, 평소에는 실내 또는 차량내부에 보관함에 따라 휠체어를 타고 야외 또는 외출을 할 경우 일일이 작업테이블을 챙겨야하는 번거로운 단점이 따랐다.
또한, 작업테이블을 휠체어의 팔걸이 부분에 올려놓은 상태로 고정하지 않고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실수로 작업테이블을 밀치는 경우 작업테이블이 휠체어의 팔걸이상에서 쉽게 이탈되어 안전사고는 물론 식사중에는 식판을 엎지르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게 발생되었다.
이에, 작업테이블이 휠체어의 팔걸이 상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작업테이블의 저면에 한 쌍의 고정프레임이 설치되어 휠체어의 팔걸이부분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되어 좌우유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지만, 설치 및 분리에 따른 어려움으로 인해 사용이 간편하지 못하고, 휴대에 따른 번거로움은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테이블이 휠체어상에서 전후, 좌우, 높낮이 조절은 물론 측면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위치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주변의 도움을 받지 않고 본인 스스로의 간단한 조작으로 작업테이블을 접을 수 있는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휠체어의 동체프레임(F)상에 설치되는 관절링크(100)를 통하여 회동되고, 상면 가장자리에 이탈방지턱(202)과 저면에 다수의 힘살(204)이 형성되는 작업테이블(2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절링크(100)는 휠체어의 동체프레임(F)상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2)에 수용되어 전후방향으로 직선이송되고, 고정레버(114)에 의해 이송이 단속되는 제1로드바(110)와, 제1로드바(110)의 단부에서 지지축(122a)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회동프레임(122)에 수용되어 제1로드바(1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이송되고, 고정레버(124)에 의해 이송이 단속되는 제2로드바(120)와, 제2로드바(120)의 단부에 설치되는 로드관(132)에 수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되고, 양끝단이 작업테이블(2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3로드바(1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테이블(200)은 휠체어의 측면으로 회동되어 동체프레임(F)과 면접되는 위치에 완충패드(2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처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에 관련되며, 이때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200)은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휠체어에 앉은 채로 식사 또는 독서와 같은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치되고, 사용후 휴대가 간편하도록 제1로드바(110), 제2로드바(120), 제3로드바(130)등으로 구성되는 관절링크(100)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작업테이블(200)은 휠체어의 동체프레임(F)상에 설치되는 관절링크(100)를 통하여 회동되고, 상면 가장자리에 이탈방지턱(202)과 저면에 다수의 힘살(204)이 형성된다. 작업테이블(20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판형태로 제작되어 저면에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힘살(204)이 격자구조로 형성되고, 상면 가장자리에 이탈방지턱(20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턱(202)은 휠체어에 앉은 사용자가 작업테이블(200) 위에 식판이나 여러가지 물품을 올려놓은 상태로 사용중에 미끄러져 쉽게 낙하되지 않도록 작업테이블(200)의 상면보다 높게 돌출된다.
또한, 상기 작업테이블(200)은 관절링크(100)를 통하여 휠체어의 측면으로 회동되어 동체프레임(F)과 면접되는 위치에 완충패드(210)가 구비된다. 완충패드(210)는 고무와 같은 완충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되고, 작업테이블(200)의 저면에 접착 또는 압입, 나사못 등으로 고정설치된다. 이에 작업테이블(200)을 회동시 완충패드(210)가 휠체어의 측면에 면접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므로 유동에 의한 소음이나 마찰에 의한 작업테이블(200)의 손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따른다.
한편, 사용자의 흉부에 대응하는 작업테이블(200)의 일단은 오목하게 함몰되어 사용자와 작업테이블(120)이 더욱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작업테이블(200)은 휠체어의 동체프레임(F)상에 설치되는 관절링크(110)에 의해 휠체어의 측면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는바, 이에 따른 관절링크(10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을 참조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관절링크(100)는 휠체어의 동체프레임(F)상에 설치되어 직선이송되는 제1로드바(110)와, 제1로드바(110)의 단부에서 지지축(122a)을 중심으로 선회하고, 제1로드바(1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이송되는 제2로드바(120)와, 제2로드바(120)의 단부에 설치되고, 양끝단이 작업테이블(200)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제3로드바(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로드바(110)는 휠체어의 팔걸이부분에 인접하는 동체프레임(F)상에 볼트 또는 용접 등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2)에 수용되어 전후방향으로 직선이송되고, 고정레버(114)에 의해 이송이 단속된다. 고정레버(114)는 고정프레임(112)의 측면상에 설치되고, 나사결합에 의해 회전시 고정레버(114)의 내부로 진입되어 제1로드바(110)를 가압하므로 이송이 단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로드바(110)의 단부에서 지지축(122a)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회동프레임(122)에 수용되어 제1로드바(1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이송되고, 고정레버(124)에 의해 이송이 단속되는 제2로드바(120)가 구비된다. 제2로드바(120)는 지지축(122a)을 중심으로 제1로드바(110)의 끝단에서 선회하도록 설치되는 회동프레임(122)상에 수용되어 슬라이드 이송되되, 이때 제2로드바(120)는 상기 전술하는 제1로드바(110)와 동일하게 회동프레임(122)의 측면상에 구비되는 고정레버(124)에 의해 이송 위치가 단속된다.
한편, 상기 제2로드바(120)을 수용하는 회동프레임(1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의 팔걸이부분에 안착되는 작업테이블(200)의 저면에 면접된 상태로 건실하게 지지하기 위해 "ㄱ"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로드바(130)는 제2로드바(120)의 단부에 설치되는 로드관(132)에 수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되고, 양끝단이 작업테이블(200)의 저면에 고정된다. 제3로드바(130)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작업테이블(200)이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안내함은 물론 로드관(132)을 축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상에 있어서, 우선 관절링크(100)의 고정레버(114)(124)를 풀고 제1, 2, 3로드바(110)(120)(130)가 자유로이 이송되도록 한 다음, 휠체어에 앉은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즉, 작업테이블(200)이 사용자의 흉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면서 팔걸이부분에 안착되도록 조절한 후, 고정레버(114)(124)를 잠그면 작업테이블(200)이 위치고정된다. 이때 작업테이블(200)은 고정레버(114)(124)에 의해 전체적인 좌우, 전후 조절은 고정되면서 제3로드바(130)에 의해 로드관(132)상에서 전후이송되어 사용자가 상체를 기울일시 위치가 가변되는 유연성이 제공된다.
그리고, 작업테이블(200)의 사용이 완료되면 먼저 고정레버(114)(124)를 풀고 작업테이블(200)을 살짝 들어 측면으로 밀면 제2로드바(120)와 함께 지지축(122a)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휠체어의 측면으로 회동된다. 이어서 고정레버(114)(124)를 잠그면 작업테이블(200)이 회동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되어 이동중에 작업테이블(200)의 유격이 방지된다.
이처럼, 상기 작업테이블(200)이 제1, 2, 3로드바(110)(120)(130)로 구성되는 관절링크(100)에 의해 사용후 휠체어의 측면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실내에서는 물론 외출시 작업테이블(200)을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운 단점이 해소되고, 필요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작업테이블(200)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작업테이블이 휠체어상에서 전후, 좌우, 높낮이 조절은 물론 측면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휴대가 용이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위치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특히 주변의 도움을 받지 않고 본인 스스로의 간단한 조작으로 작업테이블이 회동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휠체어의 동체프레임(F)상에 설치되는 관절링크(100)를 통하여 회동되고, 상면 가장자리에 이탈방지턱(202)과 저면에 다수의 힘살(204)이 형성되는 작업테이블(2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링크(100)는 휠체어의 동체프레임(F)상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2)에 수용되어 전후방향으로 직선이송되고, 고정레버(114)에 의해 이송이 단속되는 제1로드바(110)와,
    제1로드바(110)의 단부에서 지지축(122a)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회동프레임(122)에 수용되어 제1로드바(1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이송되고, 고정레버(124)에 의해 이송이 단속되는 제2로드바(120)와,
    제2로드바(120)의 단부에 설치되는 로드관(132)에 수용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송되고, 양끝단이 작업테이블(200)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3로드바(1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200)은 휠체어의 측면으로 회동되어 동체프레임(F)과 면접되는 위치에 완충패드(2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
KR2020060025278U 2006-09-20 2006-09-20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 Expired - Lifetime KR200432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278U KR200432153Y1 (ko) 2006-09-20 2006-09-20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278U KR200432153Y1 (ko) 2006-09-20 2006-09-20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153Y1 true KR200432153Y1 (ko) 2006-12-01

Family

ID=4178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278U Expired - Lifetime KR200432153Y1 (ko) 2006-09-20 2006-09-20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1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6704B1 (en) Adjustable wheelchair having a tilting and reclining seat
JPH0984832A (ja) 運搬装置
US7641210B2 (en) Hand-driven wheelchair
JP6393810B1 (ja) 起立補助装置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車椅子
CN107007416A (zh) 一种护理用老年人辅助搬运车
JP2006290346A (ja) チェアリフトの座席の乗客を保護するための安全装置
KR102080545B1 (ko) 이동장치가 장착된 휠체어
KR200432153Y1 (ko) 휠체어용 접이식 작업테이블
CN210540011U (zh) 一种坐躺装置的连动机构
JP3718628B2 (ja) 椅子
CN106859872A (zh) 一种适合家用的轮椅
JP3862211B2 (ja) 折り畳み椅子
JP3823223B2 (ja) キャスター付き介護用椅子
JP3729714B2 (ja) 椅子
JP2019058357A (ja) 車椅子
JP3994061B2 (ja) 車椅子
JP2011024689A (ja) 起立支援椅子
TWI331026B (en) Auxiliary descending structure for a toilet seat
KR200380543Y1 (ko) 좌식의자
CN220275841U (zh) 一种术后复检转运床
JP4140934B2 (ja) 車椅子
KR101244450B1 (ko) 휠체어 사용자의 하중을 이용한 휠체어 제동장치
JP4146663B2 (ja) 椅子
JP3166439U (ja) 搬送用座椅子
JP3094118U (ja) 座椅子、及び座椅子と台座との組合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92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9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