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8593Y1 - 철근이음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철근이음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593Y1
KR200408593Y1 KR2020050031703U KR20050031703U KR200408593Y1 KR 200408593 Y1 KR200408593 Y1 KR 200408593Y1 KR 2020050031703 U KR2020050031703 U KR 2020050031703U KR 20050031703 U KR20050031703 U KR 20050031703U KR 200408593 Y1 KR200408593 Y1 KR 200408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huck
support frame
upper fixing
chuck
scr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래진
Original Assignee
정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래진 filed Critical 정래진
Priority to KR2020050031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5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용접이음 할 철근을 고정시켜줌과 동시에 양 철근의 간격 및 중심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철근이음용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철근이음용 고정장치는 지지프레임과, 하부고정척과, 상부고정척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에는 하나의 철근을 잡아주는 하부고정척이 결합되고,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는 다른 하나의 철근을 잡아주는 상부고정척이 결합된다. 이때, 상부고정척은 선택적으로 상, 하, 좌, 우를 미세하게 이동하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상부고정척은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끼워지고 지지프레임의 상단부 측면에 형성된 절개홈에 의해 가이드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상에는 이중나사구조를 갖는 간격조절용 볼트가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간격조절용 볼트의 하단부가 상부고정척에 나사결합되어 간격조절용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부고정척이 상, 하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절개홈의 어느 일측에는 장공형태의 장착홈이 형성된 장착판이 형성되고 장착홈으로는 중심조절용 볼트가 끼워져 중심조절용 볼트의 하단부가 상부고정척에 나사결합되어 중심조절용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부고정척이 좌, 우로 이동된다. 이때, 장착판과 상부고정척의 사이 중심조절용 볼트에는 멈춤와셔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Description

철근이음용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 un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이음용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철근이음용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중심조절용 볼트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철근이음용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철근이음용 고정장치 110, 210 : 지지프레임
112, 212 : 절개홈 114, 214 : 장착판
120, 220 : 하부고정척 130, 230 : 상부고정척
132, 232 : 가이드봉 136, 236 : 마감판
140, 240 : 간격조절용 볼트 150, 260 : 중심조절용 볼트
160 : 멈춤와셔
본 고안은 철근이음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이음 할 철근을 고정시켜줌과 동시에 양 철근의 간격 및 중심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철근이음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의 이음은 별도의 고정용 클램프를 구비하여 물리적인 방법으로 강제 결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철근이음용 슬리브를 이용하여 용접기로 용접하는 방법이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접에 의한 철근이음방법에서 양 철근을 잡아주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즉,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던 고정장치(1)는 지지프레임(2)의 양단부에 서로 이음될 철근을 잡아주기 위한 고정척(3, 3')이 형성되고, 고정척(3, 3')의 사이에 슬리브(도시되지 않음)를 대고 용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장치(1)는 양 철근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척(3, 3')에 함께 구비된 볼트(4, 4')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의 수치제어를 할 수 있지만 토목 및 건축에서는 미세한 차이에 의해 하중의 변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작은 차이라고는 하지만 결과적으로 아주 위험한 결과를 초래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척(3, 3')을 형성할 때 미리 그 중심을 맞추었다고는 하지만 수차례의 사용으로 고정척(3, 3')이 뒤틀리게 되어 철근간의 중심이 틀어지는 경우가 발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척()이 상, 하, 좌, 우로 이동되면서 양 철근간의 간격과 중심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철근이음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철근이음용 슬리브를 이용하여 서로 떨어진 철근을 용접결합할 때 양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지지프레임과, 하부고정척과, 상부고정척으로 이루어진 철근이음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부고정척의 타단부에는 가이드봉이 형성되어 가이드봉이 지지프레임의 내부를 상, 하 이동되도록 끼워지고,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상에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동시에 형성된 간격조절용 볼트가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간격조절용 볼트의 하부가 가이드봉에 나사결합되며, 하부고정척과 동일방향의 지지프레임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부고정척이 가이드되고, 절개홈의 어느 일측면상에는 장착판이 형성되고, 장착판의 중앙부에는 장공형태의 장착홈이 형성되며, 장착홈에는 중심조절용 볼트가 관통되면서 중심조절용 볼트의 나사부가 상부고정척에 나사결합되고, 장착판과 상부고정척 사이의 중심조절용 볼트에는 멈춤와셔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중심조절용 볼트는 각진 머리부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로 이루어지고, 나사부의 나사산은 그 하단에서부터 중간까지 형성되며, 멈춤와셔는 나사산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것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머리부에 인접하게 끼 워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본 고안은,
철근이음용 슬리브를 이용하여 서로 떨어진 철근을 용접결합할 때 양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지지프레임과, 하부고정척과, 상부고정척으로 이루어진 철근이음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부고정척의 타단부에는 가이드봉이 형성되어 가이드봉이 지지프레임의 내부를 상, 하 이동되도록 끼워지고,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상에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동시에 형성된 간격조절용 볼트가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간격조절용 볼트의 하부가 가이드봉에 나사결합되며, 하부고정척과 동일방향의 지지프레임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부고정척이 가이드되고, 절개홈의 어느 일측면상에는 장착판이 형성되며, 장착판의 중앙으로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동시에 형성된 중심조절용 볼트가 나사결합되어 통과되고, 중심조절용 볼트에 대향되는 상부고정척에는 원형의 이송관이 형성되며, 이송관에는 이송관을 타고 이동되는 이송봉이 내장되고, 중심조절용 볼트가 이송관을 관통하여 이송봉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용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이송관에는 상부고정척이 상, 하 이동될 때, 중심조절용 볼트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 하 방향의 장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이음용 고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철근이음용 고정장치를 나타 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중심조절용 볼트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철근이음용 고정장치(100)는 전체적인 몸체가 되는 지지프레임(110)과, 하부고정척(120) 및 상부고정척(13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먼저, 지지프레임(110)은 대략 원통형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그 밖에 다각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10)은 내부가 중공된 관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10)의 상단부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개된 절개홈(112)이 형성되고, 절개홈(112)의 어느 일측면상에는 외부로 돌출된 장착판(114)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판(114)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장공형태의 장착홈(1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10)의 하단부에는 하부고정척(120)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부고정척(130)이 형성된다.
하부고정척(120)은 지지프레임(110)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되는데, 하부고정척(120)의 돌출방향은 그 상부의 절개홈(112)이 형성된 방향으로 동선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고정척(120)은 철근이 물릴 수 있도록 "Y"자 형태로 형성되며,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용 볼트(121)가 체결된다.
상부고정척(130)은 지지프레임(110)의 상단부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고정척(130)은 하부고정척(120)과 마찬가지로 "Y"자 형상을 가지면서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볼트(131)가 체결되는 것은 일치하고, 지지프레 임(110)의 중공된 내부에서 상, 하 이동되도록 고정용 볼트(131)의 반대편단부에 원형의 가이드봉(132)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봉(132)은 그 내부에 간격조절용 암나사부(134)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부고정척(130)은 지지프레임(110)의 상단부에 끼워지면서 절개홈(112)의 안내를 받아 상, 하로 이동되며, 절개홈(112)의 일측면에 형성된 장착판(114)의 장착홈(116)으로 중심조절용 볼트(150)가 체결되어 상부고정척(130)을 좌, 우로 이동시켜준다.
위와 같이 중심조절용 볼트(150)가 체결되기 위해서는 상부고정척(130)에는 중심조절용 볼트(150)가 관통되는 중심조절용 암나사부(135)가 형성되어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에서 중심조절용 볼트(15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진 머리부(151)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52)로 이루어지며, 나사산은 나사부(152)의 하단에서부터 대략 중간부분까지만 형성된다. 따라서 중심조절용 볼트(150)는 먼저, 장착판(114)을 관통한 후 멈춤와셔(160)가 끼워지고 다시 상부고정척(130)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멈춤와셔(160)의 내경은 나사산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중심조절용 볼트(150)에 의해서 상부고정척(130)이 좌, 우 이동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중심조절용 볼트(1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중심조절용 볼트(150)의 나사부(152)와 상부고정척(130)의 중심조절용 암나사부(135)가 맞물리면서 상부고정척(130)이 장착판(114)측으로 당겨져 소정의 각도만큼(절개홈의 범위내) 돌아가게 된다. 반대로 중심조절용 볼트(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처음에는 중심조절용 볼트(150)가 상부고정척(130)에서 풀어지면서 나오다가 멈춤와셔(160)와 나사부(152)의 나사산에 걸리면서 반발력이 생겨 중심조절용 볼트(150)는 더 이상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역으로 상부고정척(130)이 장착판(114)의 반대측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고정척(130)의 가이드봉(132)이 지지프레임(110)의 중공된 내부로 끼워진 후, 지지프레임(110)의 상단부에는 마감캡(136)이 용접결합된다. 그리고 마감캡(136)의 중앙부에는 가이드봉(132)에 형성된 간격조절용 암나사부(134)와 동일한 간격조절용 제 2 암나사부(138)가 형성되고, 간격조절용 제 2 암나사부(138)를 통해 간격조절용 볼트(140)가 체결되면서 동시에 그 하부의 가이드봉(132)에 형성된 간격조절용 암나사부(134)에도 체결된다. 이때, 간격조절용 볼트(140)는 머리부(141)와 나사부(142)로 이루어지며, 나사부(142)는 이중나사의 형태를 갖는다. 즉, 나사부(142)의 중간을 기점으로 그 하부측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되고, 그 상부측에는 왼나사가 형성된다. 또는 그 반대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은 간격조절용 볼트(140)에 의해 상부고정척(130)이 상, 하 이동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간격조절용 볼트(140)의 나사부(142)의 형상이 위에는 왼나사가 형성되고 아래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된다고 가정하에, 간격조절용 볼트(1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간격조절용 볼트(140)는 나사부(142)의 상부에 형성된 왼나사가 마감판(136)의 간격조절용 제 2 암나사(138)와 맞물려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나사부(142)의 하부에 형성된 오른나사가 가이드봉(132)의 간격조절용 암나사부(134)와 맞물려 상부고정척(130)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반대로 간격조절용 볼트(14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부(142)의 상부에 형성 된 왼나사가 마감판(136)의 간격조절용 제 2 암나사부(138)와 맞물려 중심조절용 볼트(140)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나사부(142)의 하부에 형성된 오른나사가 가이드봉(132)의 간격조절용 암나사부(134)와 맞물려 상부고정척(130)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고정척(120)과 상부고정척(130)에 서로 용접이음될 두개의 철근을 물린 후, 두 철근의 간격과 중심을 맞추기 위해 상부고정척(130)을 간격조절용 볼트(140) 및 중심조절용 볼트(150)를 이용하여 상, 하 및 좌, 우로 이동시켜 조절한 후, 슬리브를 이용하여 두 철근을 아크용접기(A) 등으로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것이다.
하기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철근이음용 고정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철근이음용 고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철근이음용 고정장치(200)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몸체역할을 수행하는 지지프레임(210)과, 하부고정척(220) 및 상부고정척(23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하부고정척(22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또한, 간격조절을 위한 수단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고정척(230)의 고정용 볼트(231)의 반대측에 지지프레임(210)의 중공된 내부에서 상, 하 이동되는 가이드봉(232)이 형성되고, 그 가이드봉(232)의 내부에 간격조절용 암나사부(234)가 형성되며, 지지프레임(210)의 상단부에는 간격조절용 제 2 암나사부(238)가 형성된 마감판(236)이 용접결합되고, 마감판(236)에는 이중나사의 형태를 갖는 간격조절용 볼트(240)가 간격조절용 암나사부(234) 및 간격조절용 제 2 암나사부(238)에 나사결합된다.
제 2 실시예의 철근이음용 고정장치(200)가 제 1 실시예의 철근이음용 고정장치(100)와 비교되는 부분은 중심조절수단으로 지지프레임(210)의 상단부 일측(하부고정척의 돌출방향)에 상, 하 방향으로 절개홈(212)이 형성되며, 그 절개홈(212)의 어느 일측면상에 장착판(214)이 형성되며, 장착판(214)의 중앙에 중심조절용 볼트(260)가 체결되는 중심조절용 암나사부(2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고정척(230)에는 원형의 이송관(250)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송관(250)의 내부에는 이송관(250)의 중공된 내부에 삽입되는 이송봉(252)이 구비되며, 이송봉(252)은 중심조절용 볼트(260)와 나사결합되는 중심조절용 제 2 암나사부(254)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관(250)의 측면상에는 중심조절용 볼트(260)가 이송봉(252)에 체결되도록 관통된 장공(256)이 형성된다. 장공(256)은 상부고정척(230)이 상, 하로 이동될 때, 중심조절용 볼트(260)에 간섭받지 않도록 상, 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중심조절용 볼트(260)는 간격조절용 볼트(240)와 마찬가지로 이중나사로 된 구조를 갖는다. 즉, 각진 머리부(261)와 나사부(262)로 이루어지며, 나사부(262)는 그 중간을 기점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상반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중심조절용 볼트(26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상부고정척(230)이 좌, 우로 이동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이음용 고정장치는 서로 결합될 철근 의 간격 및 중심을 정확하게 맞추어 줄 수 있어 미세한 차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건설현장의 부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철근이음용 슬리브를 이용하여 서로 떨어진 철근을 용접결합할 때 양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지지프레임(110)과, 하부고정척(120)과, 상부고정척(130)으로 이루어진 철근이음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척(13)의 타단부에는 가이드봉(132)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132)이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내부를 상, 하 이동되도록 끼워지고,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부면상에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동시에 형성된 간격조절용 볼트(140)가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간격조절용 볼트(140)의 하부가 상기 가이드봉(132)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하부고정척(120)과 동일방향의 상기 지지프레임(110)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112)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척(130)이 가이드되고, 상기 절개홈(112)의 어느 일측면상에는 장착판(114)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판(114)의 중앙부에는 장공형태의 장착홈(116)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116)에는 중심조절용 볼트(150)가 관통되면서 상기 중심조절용 볼트(150)의 나사부(152)가 상기 상부고정척(130)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장착판(114)과 상기 상부고정척(130) 사이의 상기 중심조절용 볼트(140)에는 멈춤와셔(16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용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조절용 볼트(150)는 각진 머리부(151)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52)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부(152)의 나사산은 그 하단에서부 터 중간까지 형성되며, 상기 멈춤와셔(160)는 상기 나사산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것으로 상기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머리부(151)에 인접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용 고정장치.
  3. 철근이음용 슬리브를 이용하여 서로 떨어진 철근을 용접결합할 때 양 철근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지지프레임(210)과, 하부고정척(220)과, 상부고정척(230)으로 이루어진 철근이음용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척(230)의 타단부에는 가이드봉(232)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봉(232)이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내부를 상, 하 이동되도록 끼워지고,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상부면상에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동시에 형성된 간격조절용 볼트(240)가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간격조절용 볼트(240)의 하부가 상기 가이드봉(232)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하부고정척(220)과 동일방향의 상기 지지프레임(210)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212)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고정척(230)이 가이드되고, 상기 절개홈(212)의 어느 일측면상에는 장착판(214)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판(214)의 중앙으로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동시에 형성된 중심조절용 볼트(26)가 나사결합되어 통과되고, 상기 중심조절용 볼트(260)에 대향되는 상기 상부고정척(230)에는 원형의 이송관(250)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관(250)에는 상기 이송관(250)을 타고 이동되는 이송봉(252)이 내장되고, 상기 중심조절용 볼트(260)가 상기 이송관(250)을 관통하여 상기 이송봉(252)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용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250)에는 상기 상부고정척(230)이 상, 하 이동될 때, 상기 중심조절용 볼트(26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 하 방향의 장공(25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용 고정장치.
KR2020050031703U 2005-11-09 2005-11-09 철근이음용 고정장치 KR200408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703U KR200408593Y1 (ko) 2005-11-09 2005-11-09 철근이음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703U KR200408593Y1 (ko) 2005-11-09 2005-11-09 철근이음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593Y1 true KR200408593Y1 (ko) 2006-02-13

Family

ID=4175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703U KR200408593Y1 (ko) 2005-11-09 2005-11-09 철근이음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593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979B1 (ko) * 2014-12-03 2015-11-30 김정화 건물의 개방부 차폐 장치
KR101731026B1 (ko) * 2015-10-07 2017-04-27 삼성물산 주식회사 부재의 위치오차에 대한 수정 장치
CN108316564A (zh) * 2018-04-08 2018-07-24 李藏柱 一种钢筋连接装置及其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CN108708549A (zh) * 2018-07-18 2018-10-26 中建中新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可伸缩的管材搭接固定装置
CN109443328A (zh) * 2018-11-30 2019-03-08 宁夏路桥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预应力管道坐标定位尺及其使用方法
CN109488027A (zh) * 2018-11-23 2019-03-19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管道精准定位结构
CN110424537A (zh) * 2019-08-21 2019-11-08 浙江大东吴杭萧绿建科技有限公司 钢管束安装调整定位装置
CN111691604A (zh) * 2020-06-19 2020-09-22 江苏扬建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混凝土结构水平构件钢筋套筒灌浆连接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809299A (zh) * 2021-02-22 2021-05-18 浙江中南建设集团钢结构有限公司 钢板组合墙焊接立拼组装装置及其钢板组合墙的焊接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979B1 (ko) * 2014-12-03 2015-11-30 김정화 건물의 개방부 차폐 장치
KR101731026B1 (ko) * 2015-10-07 2017-04-27 삼성물산 주식회사 부재의 위치오차에 대한 수정 장치
CN108316564A (zh) * 2018-04-08 2018-07-24 李藏柱 一种钢筋连接装置及其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CN108316564B (zh) * 2018-04-08 2024-04-09 李藏柱 一种钢筋连接装置及其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CN108708549A (zh) * 2018-07-18 2018-10-26 中建中新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可伸缩的管材搭接固定装置
CN108708549B (zh) * 2018-07-18 2024-03-08 中建中新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可伸缩的管材搭接固定装置
CN109488027B (zh) * 2018-11-23 2023-10-13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管道精准定位结构
CN109488027A (zh) * 2018-11-23 2019-03-19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管道精准定位结构
CN109443328B (zh) * 2018-11-30 2024-03-22 宁夏公路桥梁建设有限公司 一种预应力管道坐标定位尺及其使用方法
CN109443328A (zh) * 2018-11-30 2019-03-08 宁夏路桥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预应力管道坐标定位尺及其使用方法
CN110424537A (zh) * 2019-08-21 2019-11-08 浙江大东吴杭萧绿建科技有限公司 钢管束安装调整定位装置
CN111691604A (zh) * 2020-06-19 2020-09-22 江苏扬建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混凝土结构水平构件钢筋套筒灌浆连接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809299A (zh) * 2021-02-22 2021-05-18 浙江中南建设集团钢结构有限公司 钢板组合墙焊接立拼组装装置及其钢板组合墙的焊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8593Y1 (ko) 철근이음용 고정장치
KR101961432B1 (ko) 파이프에 플랜지를 장착하는 장치
KR20190067964A (ko) 구조용 커플러
KR20190026696A (ko) 파이프에 플랜지를 장착하는 장치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20110118397A (ko) 패스트 기둥폼
KR101997169B1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20160078046A (ko) 토크 쉐어 볼트 및 볼트 조립체
KR101505169B1 (ko) 수직대와 횡대를 포함하는 건축자재 연결구
JP2008069570A (ja) 鉄筋内蔵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及びその接合方法
KR20170040448A (ko) 철근 기계식 이음장치
KR101435656B1 (ko) 관통관 고정 장치
JP4746652B2 (ja) ガス圧接用鉄筋保持装置
KR101961433B1 (ko) 공용 사용이 가능한 파이프 플랜지 결합 장치
KR200437033Y1 (ko) 케미컬 관체 고정지지장치
KR20100010579U (ko) 벽체보거푸집 지지장치
JP2007225039A (ja) 接続具
CN201722824U (zh) 密配式柱帽连接机构
JP6607579B2 (ja) 旋回補助具
KR20140086097A (ko) 폐단면을 갖는 강구조 부재의 이음부 연결구조
KR200487458Y1 (ko) 동바리용 쐐기 타입 클램프
CN203257079U (zh) 一种脚手架拉结固定装置
JP2006077482A (ja) 鋼管杭構造
JP2001334364A (ja) 多関節型溶接ロボットによる鉄骨柱の溶接方法
JP7283996B2 (ja) 連結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110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2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11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7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