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35656B1 - 관통관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관통관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656B1
KR101435656B1 KR1020120128107A KR20120128107A KR101435656B1 KR 101435656 B1 KR101435656 B1 KR 101435656B1 KR 1020120128107 A KR1020120128107 A KR 1020120128107A KR 20120128107 A KR20120128107 A KR 20120128107A KR 101435656 B1 KR101435656 B1 KR 101435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portion
tube
frame
bo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1022A (ko
Inventor
배희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6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65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1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spherical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6Turn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관통관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는, 중공형 관의 일 측면이 삽입되는 만입홈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제1 지지부는 중공형 관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2 지지부는 중공형 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부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중공형 관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고정볼트와,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며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통관 고정 장치{Pip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관통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갑판 등의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관통관의 설치 작업 시 관통관의 고정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을 갖는 관통관의 고정이 가능한 관통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상부 갑판인 데크(deck)에는 수많은 파이프가 데크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데크를 관통하는 파이프는 슬리브(sleeve) 형태로 형성되며, 데크의 상하부에서 다른 파이프들과 연결된다.
이러한 파이프를 데크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용접부위에 취부부재를 부착하여 파이프를 일시적으로 데크에 고정시킨 후, 용접작업을 통해 파이프를 데크에 결합시킨다. 파이프가 데크에 결합되면 취부부재를 제거하고, 취부부재가 부착되었던 곳에 그라인딩(grinding), 도장 등의 마무리 작업을 한다.
한편, 취부부재를 부착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경우, 데크를 관통하는 파이프의 수직 정도를 조정하여 고정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파이프를 데크에 결합시킨 후에는 수직 정도를 조정하기가 더욱 어려우므로, 수직 정도를 맞추어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취부부재가 부착되었던 곳에 그라인딩, 도장 등의 별도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작업으로 인한 비용과 시간이 낭비되며, 파이프를 고정하는 취부부재가 분리되는 경우 작업자는 사고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갑판 등의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관통관의 설치 작업 시 관통관의 고정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을 갖는 관통관의 고정이 가능한 관통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는 중공형 관의 일 측면이 삽입되는 만입홈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중공형 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중공형 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형 관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부보다 더 돌출된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연장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만입홈을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만입홈은 개구측이 확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형 관과 상기 고정볼트의 밀착력을 높이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중공형 관과 접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과 나사 결합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볼트의 조절에 따라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절볼트와 나사 결합을 하며, 상기 조절볼트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절볼트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볼트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갑판 등의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관의 용접 작업 시 관통관의 고정이 용이하다. 특히, 관통관을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해 용접 부위에 별도의 취부부재를 부착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고, 그로 인한 그라인딩, 도장 등의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관통관의 직경에 따라 간격조절부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갖는 관통관의 고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통관 고정 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관통관 고정 장치가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관통관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관통관 고정 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관통관 고정 장치가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1)는 중공형 관(p)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플레이트(d)에 관(p)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선박의 데크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관통관 고정 장치(1)는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설치되는 관(p)의 직경에 관계없이 관(p)의 고정이 가능하고, 또한, 다양한 두께를 갖는 관(p)의 고정이 가능하며, 고정 시에 플레이트(d)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p)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관 고정 장치(1)는 중공형의 관(p)이 삽입되는 지지부(10)를 포함한다.
이 때, 지지부(10)는 일단부가 만입되어 있어 관(p)의 일 측면이 삽입될 수 있으며, 관(p)이 삽입되는 정도가 플레이트(d)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p)의 길이에 대응한다. 즉, 예를 들어, 플레이트(d)의 외측으로 관(p)의 일부가 돌출되어야 하는 경우, 지지부(10)는 만입된 부분에 돌출되어야 하는 길이만큼 관(p)을 삽입함으로써 플레이트(d)의 외측으로 적절한 길이만큼 관(p)을 돌출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부(10)에 삽입된 관(p)은 고정볼트(20)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된 것으로서, 관(p)이 용접 등의 작업을 통해 플레이트(d)에 설치된 후에는, 고정볼트(20)를 회전시켜 관통관 고정 장치(1)를 관(p)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관통관 고정 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1)는 관(p)이 삽입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부(10)와, 삽입된 관(p)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0)와,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30)를 포함한다.
지지부(10)는 내부에 관(p)을 삽입하여 관(p)이 플레이트(d)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플레이트(d)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H)의 외측에 위치하여 플레이트(d)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10)는 적어도 한 쌍이 형성되어 관(p)의 서로 다른 부분을 파지 가능하다. 지지부(10)의 일 측에는 만입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만입홈(14)은 중공형 관(p)의 일 측면이 삽입되는 홈으로, 지지부(10) 일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만입홈(14)은 지지부(10)의 하단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부(10) 외측으로 개방된다.
한편, 지지부(10)는 만입홈(14)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1 지지부(11)와 제2 지지부(12)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11)는 만입홈(14)에 삽입된 중공형 관(p)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관(p) 고정 시에는 플레이트(d)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홀(H)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지지부(11)가 관통홀(H)의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지지부(10)는 플레이트(d)에 걸려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1)가 플레이트(d)에 걸려 지지될 때, 제1 지지부(11)와 플레이트(d)의 단부는 관(p)을 따라 일직선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제1 지지부(11)와 플레이트(d)의 단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됨으로써, 만입홈(14)에 삽입된 관(p)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11)는 하부가 상부로부터 경사져 그 폭이 관(p) 외측을 향해 점차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1)가 확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부(10)는 플레이트(d)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2)는 만입홈(14)에 삽입된 관(p)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관통홀(H)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12)는 관통홀(H)의 내측에서 제1 지지부(11)와 함께 관(p)을 고정하는 구조이다. 제2 지지부(12)는 제1 지지부(11)와 달리 상하부의 폭이 일정하게 연장되는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지지부(12)는 상하부 폭이 일정하게 연장되는 바 형태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12)는 제1 지지부(11)와 같이 경사지게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지지부(11)와 제2 지지부(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입홈(14)을 향하는 경사면(15)이 형성된다. 제1 지지부(11)와 제2 지지부(12) 중 적어도 하나에 경사면(15)이 형성됨으로써 만입홈(14)은 개구측이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경사면(15)에 의해 확장된 개구측은 만입홈(14)에 관(p)이 삽입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하여 관(p)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관(p) 삽입시 관(p)과 지지부(1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지지부(12)는 연장부(13)를 포함한다. 연장부(13)는 제2 지지부(12)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지지부(11)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제1 지지부(11)보다 하부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3)는 제2 지지부(12)의 하부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제2 지지부(12)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져 관(p)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고정볼트(20)는 연장부(13)에 결합되어, 이와 같이 이격된 공간을 유동하면서 만입홈(14)에 삽입된 관(p)을 용이하게 고정하게 된다. 고정볼트(20)는 중공형의 관(p)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제1 지지부(11) 및 제2 지지부(12)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볼트(20)는 제1 지지부(11)를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제2 지지부(12)에 형성된 연장부(1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볼트(20)는 플레이트(d)와 평행한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며, 제1 지지부(11)나 연장부(13)를 관통하여 관(p)과 수직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고정볼트(20)가 제2 지지부(12)의 연장부(13)에 결합되는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고정볼트(20)는 길이 방향으로,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태로, 회전하여 연장부(13)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고정볼트(20)는 헤드부분이 연장부(13)의 일 측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만입홈(14)에 삽입되는 관(p)의 두께에 따라 헤드부분을 회전시켜 관(p)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볼트(20)의 단부는 관(p)의 내측면을 압착하여 관(p)을 지지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볼트(20)가 연장부(13)에 결합됨으로써, 만입홈(14) 내측으로의 관(p) 삽입 정도에 관계없이 관(p) 고정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플레이트(d)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관(p)뿐만 아니라 플레이트(d)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관(p)도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지지부(10)는 간격조절부(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간격조절부(30)는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지지부(1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간격조절부(30)는 만입홈(14)에 삽입되는 관(p)의 직경에 따라 지지부(10)를 이동시킴으로써 두 개의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p)의 직경이 큰 경우, 간격조절부(30)는 지지부(10)를 이동하여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넓게 배치할 수 있다. 반대로, 관(p)의 직경이 작은 경우, 지지부(10)를 이동하여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좁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조절부(30)는 프레임(31)과 프레임(31)의 양단에 위치하는 조절볼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판 부재, 또는 내부가 빈 앵글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장공이 형성되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31)은 이와 같이 개방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조절볼트(32)가 결합 가능한 또 다른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조절볼트(32)는 이러한 프레임(31)의 양 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볼트(32)는 관(p)의 직경에 따라 회전하여 지지부(1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지지부(1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조절볼트(32)는 길이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태로 형성되며, 지지부(10)의 상단부와 나사결합을 한다. 조절볼트(32)와 지지부(10)가 나사결합을 함으로써, 지지부(10)는 조절볼트(32)를 따라 조절볼트(3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조절볼트(32)는 지지부(10)의 상단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프레임(31)과 결합하며, 조절볼트(32)의 조절에 따라 프레임(31)과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조절볼트(32)와 프레임(31)은 서로 헛돌도록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볼트(32)를 회전시켜도 헛돌게 결합된 프레임(31)은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조절볼트(32)와 나사결합된 지지부(10)만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프레임(31)에 결합되는 조절볼트(32)의 외측면에는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어 조절볼트(32)는 프레임(3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조절볼트(32)와 프레임(31)은 이와 같이 헛돌게 결합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프레임(31)과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반대로 지지부(10)와 조절볼트(32)가 서로 헛돌게 결합되는 대신, 프레임(31)과 조절볼트(32)가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0)는 조절볼트(32)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조절볼트(32)의 회전에 의해 조절볼트(32)의 일단부가 프레임(31)의 내부로 수용되거나 프레임(31)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프레임(31)과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두 개의 조절볼트(32)는 나사산이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볼트(32)를 동시에 회전시켜 두 개의 지지부(10)가 같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조절볼트(32)의 나사산이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나사산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두 개의 조절볼트(32)를 동시에 회전시키지 않고, 하나의 조절볼트(32)는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조절볼트(32)만 회전시켜 지지부(1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관통관 고정 장치(1)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관통관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1)는 플레이트(d)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p)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관(p)의 직경에 따라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을 갖는 관(p)의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플레이트(d)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p)의 길이도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직경이 작은 관(p)을 플레이트(d) 상부로 돌출되게 고정해야 하는 경우, 지지부(10)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을 좁게 배치해야 한다.
먼저, 지지부(10)와 나사결합된 조절볼트(32)를 나사산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조절볼트(32)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10)는 조절볼트(32)의 외측면을 따라 프레임(31) 쪽으로 이동한다. 조절볼트(32)와 프레임(31)은 서로 헛돌게 결합되어 프레임(31)은 고정되고 지지부(10)만 이동된다. 지지부(10)가 프레임(31)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지부(10)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관(p)의 직경에 맞추어 지지부(10)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을 좁힌 후, 제1 지지부(11)와 제2 지지부(12) 사이에 형성된 만입홈(14)에 중공형의 관(p)을 삽입한다. 이 때, 만입홈(도 2의 14 참조)에 삽입된 관(p)은 제1 지지부(11)에 접하게 된다. 플레이트(d)의 상부로 돌출되어야 하는 만큼 만입홈(14)에 관(p)을 삽입한 후, 연장부(13)에 형성된 고정볼트(20)를 회전시킨다. 고정볼트(20)의 단부가 관(p)의 내측면에 접할 때까지 고정볼트(20)를 회전시켜 관(p)을 압착하여 고정시킨다.
관(p)을 고정시킨 후, 플레이트(d)에 형성된 관통홀(H)의 외측에 제1 지지부(11)를 위치시킨다. 이 때, 제1 지지부(11)와 플레이트(d)의 단부는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제1 지지부(11)는 플레이트(d)에 걸려 지지되고, 관(p)은 플레이트(d) 상에 고정된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직경이 큰 관(p)을 플레이트(d)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고정해야 하는 경우, 지지부(10)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은 넓게 배치해야 한다.
먼저, 지지부(10)에 결합된 조절볼트(32)를 나사산이 형성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조절볼트(32)의 회전에 의해 지지부(10)는 조절볼트(32)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여 프레임(31)으로부터 멀어진다. 조절볼트(32)와 프레임(31)은 헛돌게 결합되어 지지부(10)만 이동하며, 지지부(10)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은 넓게 배치된다.
관(p)의 직경에 맞추어 지지부(10)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을 넓힌 후, 제1 지지부(11)의 하단부와 관(p)의 상단부가 일직선 상에 놓이게 배치한다. 제1 지지부(11)의 하단부와 관(p)의 상단부를 일직선 상에 배치한 후, 고정볼트(20)를 회전시켜 고정볼트(20)의 단부가 관(p)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한다. 관(p)은 고정볼트(20)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된다.
관(p)을 고정시킨 후, 관통홀(H)의 외측에 제1 지지부(11)를 위치시킨다. 제1 지지부(11)는 플레이트(d)에 지지되고, 관(p)은 플레이트(d)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양한 직경의 관(p)을 고정한 후, 용접 작업 등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1)는 조절볼트(32)가 회전하는 대신 프레임(31)이 회전하며, 고정볼트(20)에 밀착부재(21)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장치(1)는 프레임(31)이 회전하고, 고정볼트(20)에 밀착부재(21)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장부(13)에 형성된 고정볼트(20)는 일단부에 밀착부재(21)가 결합될 수 있다. 밀착부재(21)는 중공형의 관(p)과 고정볼트(20)의 밀착력을 높이는 것으로, 고정볼트(20)의 단부에 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밀착부재(21)는 고정볼트(20)에 부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밀착부재(21)는 고정볼트(20)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밀착부재(21)는 탄력적으로 복원이 가능한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착부재(21)는 중공형 관(p)의 내측과 접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볼트(20)는 돌기(22)에 의해 관(p)의 내측에 더욱 밀착되며, 마찰이 증가하여 관(p)은 더욱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지지부(10)는 간격조절부(3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간격조절부(30)는 프레임(31)과 프레임(31)의 양단에 위치하는 조절볼트(32)를 포함한다.
프레임(31)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판 부재 또는 내부가 빈 앵글 등의 형태로, 내부에 장공이 형성되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31)은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프레임(31)의 양단에는 조절볼트(32)가 결합된다.
조절볼트(32)는 일단부가 지지부(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프레임(3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조절볼트(32)와 프레임(31)이 나사결합 함으로써, 프레임(31)의 회전에 의해 조절볼트(32)가 프레임(31)의 내부로 수용되거나 프레임(3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프레임(31)이 회전하면, 지지부(10)는 조절볼트(32)와 함께 이동하여 프레임(31)과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조절볼트(32)는 단부에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어, 조절볼트(32)가 프레임(3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조절볼트(32)는 나사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31)을 회전시켰을 때, 두 개의 조절볼트(32)는 동시에 이동하여 프레임(31)의 내부로 수용되거나, 프레임(31)의 외부로 돌출되어 프레임(31)과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1)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통관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직경이 작은 관(p)을 플레이트(d) 상에 고정해야 하는 경우, 지지부(10)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은 좁게 배치되어야 한다.
지지부(10)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을 좁게 배치하기 위해서, 프레임(31)을 회전시킨다. 프레임(31)의 회전에 의해 두 개의 조절볼트(32)는 동시에 프레임(31)의 내부로 수용된다. 조절볼트(32)가 프레임(31)의 내부로 수용됨으로써 조절볼트(32)의 단부에 결합된 지지부(10)는 프레임(31)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지지부(10)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관(p)의 직경에 맞추어 지지부(10)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 제1 지지부(11)와 제2 지지부(12) 사이에 형성된 만입홈(14)에 관(p)을 삽입한다. 관(p)을 플레이트(d)의 상부로 돌출되어야 하는 높이만큼 만입홈(14)에 삽입한 후, 연장부(13)에 형성된 고정볼트(20)를 회전시킨다. 고정볼트(20)의 단부에 결합된 밀착부재(21)가 관(p)의 내측면에 접할 때까지 고정볼트(20)를 회전시켜 관(p)은 압착되어 고정된다.
관(p)을 고정시킨 후, 플레이트(d)에 제1 지지부(11)를 위치시킨다. 이때, 제1 지지부(11)와 플레이트(d)의 단부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제1 지지부(11)는 플레이트(d)에 걸려 지지되고, 관(p)은 플레이트(d)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직경이 큰 관(p)을 플레이트(d) 상에 고정해야 하는 경우, 프레임(31)을 회전시켜 지지부(10)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을 넓게 배치한다. 프레임(31)의 회전에 의해 두 개의 조절볼트(32)는 동시에 프레임(31)의 외부로 돌출된다. 조절볼트(32)가 프레임(31)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조절볼트(32)의 단부에 결합된 지지부(10)는 프레임(31)가 멀어지게 된다.
관(p)의 직경에 맞추어 지지부(10)와 프레임(31) 사이의 간격을 넓힌 후, 플레이트(d)의 상부로 돌출되어야 하는 높이만큼 만입홈(14)에 관(p)을 삽입한다. 관(p)을 삽입한 후, 고정볼트(20)를 회전시켜 밀착부재(21)가 관(p)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하며, 밀착부재(21)에 의해 관(p)은 플레이트(d)에 더욱 압착되어 고정된다.
관(p)을 고정시킨 후, 플레이트(d)에 제1 지지부(11)를 위치시킨다. 제1 지지부(11)는 플레이트(d)에 지지되고, 관(p)은 플레이트(d)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역시 다양한 직경의 관(p)을 고정하고, 용접작업 등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관통관 고정 장치 10. 지지부
11. 제1 지지부 12. 제2 지지부
13. 연장부 14. 만입홈
15. 경사면 20. 고정볼트
21. 밀착부재 22. 돌기
30. 간격조절부 31. 프레임
32. 조절볼트 33. 돌출부
p. 관 d. 플레이트
H. 관통홀

Claims (7)

  1. 중공형 관의 일 측면이 삽입되는 만입홈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중공형 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중공형 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형 관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고정볼트; 및
    상기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지지부보다 더 돌출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관통관 고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는 관통관 고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만입홈을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만입홈은 개구측이 확장되는 관통관 고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형 관과 상기 고정볼트의 밀착력을 높이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중공형 관과 접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관통관 고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과 나사 결합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볼트의 조절에 따라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관통관 고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절볼트와 나사 결합을 하며, 상기 조절볼트를 따라 이동하는 관통관 고정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절볼트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절볼트와 함께 이동하는 관통관 고정 장치.
KR1020120128107A 2012-11-13 2012-11-13 관통관 고정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35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07A KR101435656B1 (ko) 2012-11-13 2012-11-13 관통관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107A KR101435656B1 (ko) 2012-11-13 2012-11-13 관통관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022A KR20140061022A (ko) 2014-05-21
KR101435656B1 true KR101435656B1 (ko) 2014-08-29

Family

ID=5089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10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35656B1 (ko) 2012-11-13 2012-11-13 관통관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735B1 (ko) 2017-09-01 2018-12-04 (주) 지티지로지스틱스 플랫트 랙 컨테이너용 확장 지지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8068B (zh) * 2016-06-13 2017-11-24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对准治具
KR101999217B1 (ko) * 2019-03-14 2019-07-11 고대성 프레스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184A (ja) * 1994-10-19 1996-05-14 Mitsubishi Heavy Ind Ltd キヤスク固縛装置
KR200179089Y1 (ko) * 1999-11-30 2000-04-15 주식회사일산금속 맨홀뚜껑 개방장치
KR20110002796U (ko) * 2009-09-14 2011-03-22 구점준 선박작업용 족장 설치대
KR20120007384U (ko) * 2011-04-18 2012-10-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벌크헤드 취부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184A (ja) * 1994-10-19 1996-05-14 Mitsubishi Heavy Ind Ltd キヤスク固縛装置
KR200179089Y1 (ko) * 1999-11-30 2000-04-15 주식회사일산금속 맨홀뚜껑 개방장치
KR20110002796U (ko) * 2009-09-14 2011-03-22 구점준 선박작업용 족장 설치대
KR20120007384U (ko) * 2011-04-18 2012-10-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벌크헤드 취부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735B1 (ko) 2017-09-01 2018-12-04 (주) 지티지로지스틱스 플랫트 랙 컨테이너용 확장 지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022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459B1 (ko) 스프링클러용 엔드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1435656B1 (ko) 관통관 고정 장치
KR101603863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KR101604191B1 (ko) 스프링쿨러 조인트 고정용 사이드 브라켓
KR20190026079A (ko) 파이프에 플랜지를 장착하는 장치
JP2016528444A (ja) テンショニング又はパイプクランプ
US20150183374A1 (en) Auxiliary Mirror Device for Vehicles
EP1606548B1 (en) A projector holder
KR102000284B1 (ko) 용접 지그
JP4796680B2 (ja) 折版構造屋根用の設置物取付金具
KR20140003925U (ko) 주름판재 코너연결부 자동용접장치
CN108306609A (zh) 夹具及具有夹具的板状元件组装系统
EP2336474B1 (en) A clip
JP2011196391A (ja) 配設体支持具
KR101661999B1 (ko) 파이프 플렌지 용접 변형 방지 장치
CN103486419A (zh) 一种塑料摄像头支架
KR101749139B1 (ko) 조명등 장착장치
KR20140004002U (ko) 캐리지 레일 설치용 지그
JP7177997B2 (ja) スプリンクラー用継手ユニット
KR20140002573U (ko) 래더형 케이블 트레이의 클램프
JP2012041676A (ja) ボルト取付具
JP2006322227A (ja) 折板用取付金具
JP5027847B2 (ja) 鉄骨材の連結機構
JP7321430B2 (ja) スプリンクラー用継手ユニット
JP5149668B2 (ja) 照明器具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