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0069986A -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 Google Patents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986A
KR20040069986A KR1020040001944A KR20040001944A KR20040069986A KR 20040069986 A KR20040069986 A KR 20040069986A KR 1020040001944 A KR1020040001944 A KR 1020040001944A KR 20040001944 A KR20040001944 A KR 20040001944A KR 20040069986 A KR20040069986 A KR 20040069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ower side
hammock
child care
connection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사이켄조우
오오니시이치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9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3Hand wheels with a device allowing single-hand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4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with adjustable or reclining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8Lining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3Materials or fluids with speci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04Carriages supporting a hammock-styl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1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with detachable or rotatably-mounted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개수를 늘리지 않고, 항상 육아 기구 본체의 좌부 측면 형성 부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인 좌석 해먹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좌석 해먹(30)은 좌면부(31)와, 등받이면부(32)와, 사용 상태에서 좌면부(31)의 양 측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나 있는 1쌍의 하방 측면부(33)를 구비한다. 각 하방 측면부(33)는 좌면부(31)의 측연에 접속된 바닥부 접속단(33a)과, 배부 접속단(33b)과, 상부 접속단(33c)을 갖는다. 배부 접속단(33b)은 등받이면부(32)의 배면에 겹쳐지도록 돌아들어가서 상기 등받이면부의 양 측연으로부터 안쪽에 떨어진 위치에서 등받이면부의 배면에 접속된다. 상부 접속단(33c)은 육아 기구의 좌부를 형성하는 부재의 후방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 있는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에 접속된다.

Description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SEAT HAMMOCK OF CHILD-CARE INSTRUMENT}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모차, 차일드 시트, 베이비 래크 등의 육아 기구의 본체에 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하는 좌석 해먹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부와 등받이부 사이의 각도가 가변인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은 보통, 헝겁제의 봉제 옷감에 의해 만들어지고, 아기의 엉덩이의 아래에 위치하는 좌면부와 아기의 등의 배후에 위치하는 등받이면부를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육아 기구의 등받이부를 리클라이닝 동작시키는 때, 좌석 해먹의 등받이면부는 좌면부와의 경계선을 굴곡 중심으로 하여 경사 동작을 행한다. 또한, 육아 기구의 좌부와 등받이부를 접근하도록 접어개는 동작을 행하는 때에도, 좌석 해먹의 등받이면부는 좌면부와의 경계선을 굴곡 중심으로 하여 경사 동작을 행한다.
도 1은 특개평8-175395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유모차(1)는 의자 형상의 형태와 베드 형상의 형태로 전환 가능한 것으로, 차체(2)와, 상기 차체(2)에 부착된 좌석 해먹(3)을 구비하고 있다. 유모차(1)의 등받이부는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유모차의 차체(2)는 좌부를 형성하는 부재의 하나인 1쌍의 난간 부재(4)와,상기 난간 부재(4)의 후방단에 접속되어 상방으로 늘어나 있는 압봉(5)을 갖는다. 좌석 해먹(2)은 차체(2)의 좌면 형성 부재상에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좌면부(6)와, 좌면부(6)의 후방 단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나 있는 등받이면부(7)를 갖는다.
도 2는 특개평9-86417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유모차(10)는 차체(11)와, 좌석 해먹(12)을 구비한다. 좌석 해먹(12)은 차체(11)의 좌석 형성 부재상에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좌면부(14)와, 상기 좌면부(14)의 후방 단연으로부터 세워져 늘어나 있는 등받이면부(13)를 갖는다. 유모차 차체(11)는 1쌍의 난간 부재(15)와, 상기 난간 부재(15)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난간 부재의 하방에 형성된 간극을 덮는 측판(16)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평8-175395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평9-86417호 공보
도 1에 도시한 유모차(1)의 경우, 좌석 해먹의 좌면부(6)의 양 측부 상방, 즉 난간 부재(4)의 하방에 간극이 있기 때문에, 좌석에 착좌한 아기가 손을 간극 내에 집어 넣을 우려가 있다.
도 2에 도시한 유모차(10)는 난간 부재(15)의 내측면에 측판(16)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는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유모차의 차체(11) 및 좌석 해먹(12)에 더하여, 특별하게 측판(16)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증가한다.
도 3은 개량된 좌석 해먹(20)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좌석 해먹(20)은 전술한 좌석 해먹과 마찬가지로, 좌면부(21)와, 등받이면부(22)를 구비한다. 등받이면부(22)는 그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나 있는 1쌍의 상방 측면부(22a)를 갖는다.
도 3의 좌석 해먹(20)이 전술한 좌석 해먹(3, 12)과 다른 것은 좌면부(21)의 양 측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나 있는 1쌍의 하방 측면부(23)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각 하방 측면부(23)의 하단연과 좌면부(21)의 측연은 접속선(24)에서 봉합되어 있다. 또한, 각 하방 측면부(23)의 후단연와 각 상방 측면부(22a)의 전단연은 접속선(25)에서 봉합되어 있다.
도 3의 좌석 해먹(20)에 의하면, 좌석 해먹 자체가 좌면 양 측부의 간극을 덮는 하방 측면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는 증가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좌석 해먹(20)은 부드러운 헝겁제의 봉제 옷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당연하지만, 하방 측면부(23)도 부드러운 봉제 옷감에 의해 만들어진다. 의자 형상의 형태와 베드 형상의 형태로 전환 가능한 유모차의 경우, 하방 측면부(23)는 등받이면부(22)가 가장 뒤로 쓰러져서 베드 형상의 형태로 되었을 때에, 주름이 없는 상태로 평평하게 연장되게 된다. 그 때문에, 유모차의 등받이부를 일으켜서 의자 형상의 형태로 한 때, 부드러운 하방 측면부(23)가 안쪽을 향하여 V자 형상으로 굴곡하고, 아기에 대해 성가심을 줄 우려가 있다. 또는 부드러운 하방 측면부(23)가 바깥쪽을 향하여 팽출하거나 주름을 만들거나 하여, 유모차 차체의 프레임에 서로 간섭할 우려가 있다.
하방 측면부(23)에 딱딱함을 주기 위해, 하방 측면부(23)에 심재를 부착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 경우, 등받이부를 일으킨 때에 하방 측면부(23)의 바깥쪽으로의 팽출은 유모차 차체의 프레임에 의해 어느 정도 저지되지만, 안쪽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의자 형상의 형태에서는 하방 측면부(23)와 유모차 차체의 측면 형성 부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버리고, 안전성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개수를 늘리지 않고서도 항상 육아 기구 본체의 좌부 측면 형성 부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인 좌석 해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석 해먹은 좌부와 등받이부 사이의 각도가 가변인 육아 기구에 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좌부와 등받이부 사이의 각도가 가변이라는 것은 등받이부가 리클라이닝 동작을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는 등받이부가 리클라이닝 동작을 하지 않는 육아 기구라도, 접어개는 동작시에 좌부와 등받이부가 서로 근접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좌석 해먹은 좌면부와, 등받이면부와, 하방 측면부를 구비한다. 등받이면부는 사용 상태에서 좌면부의 후단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난다. 하방 측면부는 사용 상태에서 좌면부의 양 측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난다. 각 하방측면부는 좌면부의 측연에 접속된 바닥부 접속단과, 육아 기구의 좌부를 형성하는 부재의 후방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 있는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에 접속된 상부 접속단을 갖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하방 측면부의 바닥부 접속단 및 상부 접속단의 위치는 육아 기구의 사용 상태에서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고 움직이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가령 육아 기구의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이 행하여져도, 하방 측면부의 바닥부 접속단의 전방 위치(제 1의 고정점)와, 하방 측면부의 바닥부 접속단의 후방 위치(제 2의 고정점)와, 하방 측면부의 상부 접속단의 위치(제 3의 고정점)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하방 측면부의 평면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고, 육아 기구 본체의 좌부 측면 형성 부재 사이에 간극을 만들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하방 측면부는 등받이면부의 배면에 겹쳐지도록 돌아들어가서 상기 등받이면부의 양 측연으로부터 안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등받이면부의 배면에 접속된 배부 접속단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하면, 하방 측면부의 배부 접속단을 등받이면부의 배면에 겹쳐지도록 돌아들어가게 하고 있기 때문에, 등받이면부의 전방으로의 움직임이, 전술한 3고정점에 의해 유지된 하방 측면부의 평면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예로는 등받이면부는 사용 상태에서 그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나 있는 1쌍의 상방 측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경우, 하방 측면부의 배부 접속단은 상방 측면부의 배면에 겹쳐지도록 돌아들어간다.
하방 측면부는 예를 들면, 강성이 있는 심재를 포함한다. 심재를 포함함에 의해, 하방 측면부의 평면 상태를 보다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육아 기구의 접어개는 동작시, 심재가 있음에 의해 하방 측면부의 움직임을 일정하며 또한 안정하게 할 수 있다. 보통, 좌석 해먹의 하방 측면부의 외측에는 육아 기구의 본체 부분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육아 기구의 접어개는 동작에 수반하여 본체의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와 좌부 형성 부재가 서로 근접하면, 심재 부착의 하방 측면부는 내측을 향하여 개여지게 된다.
육아 기구가 난간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하방 측면부의 상부 접속단은 예를 들면, 난간 부재의 후방단에 접속되어 상방으로 늘어나 있는 부재에 접속된다.
하방 측면부의 상부 접속단은 육아 기구 본체의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에 직접 접속되어도 좋고, 간접적으로 접속되어도 좋다. 간접 접속의 예로서, 예를 들면, 좌석 해먹의 하방 측면부의 상부 접속단을 상방 측면부에 접속하고, 상기 상방 측면부를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육아 기구의 등받이부는 예를 들면, 그 리클라이닝 각도가 가변이다. 또는 육아 기구는 예를 들면, 등받이부와 좌부를 서로 접근하도록 접어개여진다. 육아 기구로서, 유모차, 차일드 시트, 베이비 래크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특개평8-175395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특개평9-86417호 공보에 개시된 유모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하방 측면부를 갖는 좌석 해먹의 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좌석 해먹의 배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좌석 해먹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부분을 후부 측방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선 8-8에 따라서 본 모식적 단면도.
<부호의 간단한 설명>
30 : 좌석 해먹 31 : 좌면부
32 : 등받이면부 32a : 상방 측면부
32b : 헤드 가드면부 33 : 하방 측면부
33a : 바닥부 접속단 33b : 배부 접속단
33c : 상부 접속단 34 : 고정 버튼
35 : 고정 버튼 36 : 심재
40 : 난간 부재 41 :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한 좌석 해먹(30)은 헝겁제의 봉제 옷감에 의해 만들어지고, 유모차에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에 유모차의 차체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유모차는 리클라이닝 조절 가능한 등받이부를 구비하고 있고, 등받이부를 가장 뒤로 쓰러뜨리면 베드 형상의 형태로 된다. 또한, 유모차는 그 등받이부와 좌부를 서로 접근하도록 접어개는 동작을 행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 해먹(30)은 아기의 엉덩이의 아래에 위치하는 좌면부(31)와, 아기의 등의 배후에 위치하는 등받이면부(32)와, 1쌍의 하방 측면부(33)를 구비한다. 등받이면부(32)는 유모차를 의자 형상의 형태로 사용하는 때, 좌면부(31)의 후단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난다. 1쌍의 하방 측면부(33)는 유모차의 사용 상태에서, 좌면부(31)의 양 측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좌석 해먹(30)의 전개 상태에서는 좌면부(31), 등받이면부(32) 및 1쌍의 하방 측면부(33)는 평면적으로 연장된다.
등받이면부(32)는 특히 유모차를 베드 형상의 형태로 사용하는 때, 그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나는 1쌍의 상방 측면부(32a)와, 그 상단연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나는 헤드 가드면부(32b)를 포함한다. 각 상방 측면부(32a)의 측단 부분에는 고정 버튼(34)이 부착되어 있다.
좌석 해먹(30)의 각 하방 측면부(33)는 좌면부(31)의 측연에 접속된 바닥부 접속단(33a)과, 등받이면부(32)의 배면에 겹쳐지도록 돌아들어가서 상기 등받이면부(32)의 양 측연으로부터 안쪽에 떨어진 위치에서 등받이면부(32)의 배면에 접속된 배부 접속단(33b)과, 상부 접속단(33c)을 갖는다. 상부 접속단(33c)의 선단 부분에는 고정 버튼(35)이 부착되어 있다. 도 8은 도 5의 선 8-8에 따라서 본 모식적단면도로서, 1쌍의 하방 측면부(33)의 배부 접속단(33b)의 위치를 명료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 하방 측면부(33)의 배면에는 강성이 있는 심재(36)가 부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모차의 차체는 좌부를 형성하는 부재의 하나로서 1쌍의 난간 부재(40)를 갖는다. 각 난간 부재(40)의 후방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있는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가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는 유모차의 압봉을 형성한다. 압봉을 배면(背面)을 미는 위치와 대면(對面)을 미는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유모차의 경우,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와 압봉은 별개로 마련된다.
도 6 및 도 7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좌석 해먹(30)의 상방 측면부(32a)는 유모차의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에 감겨서 고정된다. 상방 측면부(32a)의 고정 버튼(34)은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에 고정되어 있는 수금구(受金具)에 걸어맞춘다.
또한, 좌석 해먹(30)의 하방 측면부(33)의 상부 접속단(33c)은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에 감겨서 고정된다. 하방 측면부(33c)의 고정 버튼(35)은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에 고정되어 있는 수금구에 걸어맞춘다.
유모차 차체의 등받이부를 리클라이닝 동작시키더라도, 난간 부재(40),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 및 좌면 지지 부재의 차체 구조 요소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방 측면부(33)의 바닥부 접속단(33a)의 위치 및 상부 접속단(33c)의 위치는 유모차의 사용 상태에서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고 움직이지 않는다. 즉, 하방 측면부(33)의 바닥부 접속단(33a)의 전방 위치(제 1 고정점)와, 하방 측면부(33)의 바닥부 접속단(33a)의 후방 위치(제 2 고정점)와, 하방 측면부(33)의 상부 접속단(33c)의 위치(제 3 고정점)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유모차를 의자 형상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베드 형상의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하는 경우의 어느것에서도, 하방 측면부(33)의 평면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각 하방 측면부(33)는 심재(36)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하방 측면부(33)의 평면 상태를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유모차 차체의 좌부 측면 형성 부재와 좌석 해먹(30)의 하방 측면부(33)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에서 우수한 것으로 된다. 하방 측면부(33)의 배부 접속단(33b)은 등받이면부(32)의 배면에 겹쳐지도록 돌아들어가게 하고 있기 때문에, 리클라이닝 동작에 수반하여 등받이면부(32)가 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한 3개 정점에 의해 유지된 하방 측면부(33)의 평면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유모차의 차체의 경우, 유모차가 접어개는 동작에 수반하여, 좌면의 전방부와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가 서로 근접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서, 좌면의 전방부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심재(36)를 갖는 하방 측면부(33)의 외측에는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나, 후륜을 갖는 뒷다리 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하방 측면부(33)는 유모차의 접어개는 동작에 수반하여, 내측을 향하여 개여진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上述)하며 또한 도시한 것은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 설명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그 몇가지를 예시적으로 열거하여 설명한다.
(1)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하방 측면부(33)의 상부 접속단(33c)을 직접 유모차 차체의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41)에 부착하고 있다. 변형예로서, 하방 측면부(33)의 상부 접속단을 간접적으로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에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하방 측면부의 상부 접속단을 상방 측면부에 접속하고, 상기 상방 측면부를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경우에도, 하방 측면부의 상부 접속단의 위치는 유모차의 사용중, 일정하고 움직이지 않는다.
(2)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좌석 해먹의 등받이면부는 상방 측면부를 갖고 있지만, 상방 측면부를 갖지 않는 등받이면부도 있을 수 있다.
(3) 하방 측면부의 심재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4) 육아 기구로서, 유모차 이외에, 차일드 시트, 베이비 래크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요컨대, 좌부와 등받이부 사이의 각도가 가변인 육아 기구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하방 측면부의 바닥부 접속단 및 상부 접속단의 위치는 육아 기구의 사용 상태에서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고 움직이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가령 육아 기구의 등받이부의 리클라이닝 동작이 행하여져도, 하방 측면부의 바닥부 접속단의 전방 위치(제 1의 고정점)와, 하방 측면부의 바닥부 접속단의 후방 위치(제 2의 고정점)와, 하방 측면부의 상부 접속단의 위치(제 3의 고정점)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하방 측면부의 평면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고, 육아 기구 본체의 좌부 측면 형성 부재 사이에 간극을 만들지 않아, 부품 개수를 늘리지 않고서도 항상 육아 기구 본체의 좌부 측면 형성 부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높인 좌석 해먹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좌부와 등받이부 사이의 각도가 가변인 육아 기구에 부착되어 좌석을 형성하는 좌석 해먹으로서,
    좌면부와,
    사용 상태에서 상기 좌면부의 후단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나 있는 등받이면부와,
    사용 상태에서 상기 좌면부의 양 측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나 있는 1쌍의 하방 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하방 측면부는 상기 좌면부의 측연에 접속된 바닥부 접속단과, 육아 기구의 좌부를 형성하는 부재의 후방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 있는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에 접속된 상부 접속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측면부는 상기 등받이면부의 배면에 겹쳐지도록 돌아들어가서 상기 등받이면부의 양 측연으로부터 안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등받이면부의 배면에 접속된 배부(背部) 접속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면부는 사용 상태에서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나 있는 1쌍의 상방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방 측면부의 배부 접속단은 상기 상방 측면부의 배면에 겹쳐지도록 돌아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측면부는 강성이 있는 심재(芯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측면부의 상부 접속단은 육아 기구의 난간 부재의 후방단에 접속되어 상방으로 늘어나 있는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면부는 사용 상태에서 양 측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져 늘어나 있는 1쌍의 상방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방 측면부의 상부 접속단은 상기 상방 측면부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상방 측면부가, 육아 기구의 좌부를 형성하는 부재의 후방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 있는 상방 연장 프레임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아 기구의 등받이부는 리클라이닝 각도가 가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아 기구는 상기 등받이부와 상기 좌부를 서로 접근하도록 접어개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아 기구는 유모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KR1020040001944A 2003-01-30 2004-01-12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KR200400699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2542 2003-01-30
JP2003022542A JP3981027B2 (ja) 2003-01-30 2003-01-30 育児器具の座席ハンモッ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986A true KR20040069986A (ko) 2004-08-06

Family

ID=3265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944A KR20040069986A (ko) 2003-01-30 2004-01-12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60555B2 (ko)
EP (1) EP1442680B1 (ko)
JP (1) JP3981027B2 (ko)
KR (1) KR20040069986A (ko)
CN (1) CN1519158A (ko)
TW (1) TWI2431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7391B2 (en) * 2004-09-04 2008-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p or bottom loading container
US7222917B2 (en) * 2004-10-07 2007-05-29 Cosco Management, Inc. Reversible seat pad
US7410213B1 (en) * 2005-08-05 2008-08-12 Brigitte Ferrari-Cicero Absorbent pad for child safety seat
US7677661B1 (en) * 2005-08-05 2010-03-16 Brigitte Ferrari-Cicero Pad for child safety seat
JP5019501B2 (ja) * 2006-02-10 2012-09-05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
NL1033610C2 (nl) * 2007-03-28 2008-09-30 Maurille Jael De Smalen Inlegkussen voor een wandelwagen.
US8042869B2 (en) 2007-07-13 2011-10-25 Kids Ii, Inc. Child seat liner
US20100109399A1 (en) * 2008-10-21 2010-05-06 Rockwell Elizabeth B Universal booster seat cover
GB2476743B (en) * 2009-01-23 2011-11-16 Nuna Int Bv A stroller
EP2210794B1 (en) * 2009-01-23 2013-09-18 Nuna International B.V. Buggy provided with a braking mechanism
US8382201B2 (en) * 2009-03-26 2013-02-26 Ginelle Mills Multi-use protective cover
JP6009221B2 (ja) * 2012-05-22 2016-10-19 コンビ株式会社 シートおよびベビーカー
JP6242614B2 (ja) * 2013-07-04 2017-12-06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HK1231677A2 (zh) * 2017-02-09 2017-12-22 李惠樑 種輪椅坐墊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0589Y2 (ko) * 1976-03-15 1979-11-29
JPS5493960U (ko) * 1977-12-15 1979-07-03
AU4413579A (en) 1978-02-17 1979-08-23 John Patrick Ettridge Child:s stroller
US4568125A (en) 1984-03-20 1986-02-04 Sckolnik Anne M Child safety cushion
JPH0534295Y2 (ko) * 1986-08-22 1993-08-31
JPH0527337Y2 (ko) * 1986-08-22 1993-07-12
JPH04154477A (ja) * 1990-10-16 1992-05-27 Konbi Kk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機構
CA2133336C (en) 1992-05-06 2003-12-30 Gary R. Williams Multi-position pediatric immobilizer and transport device
US5590896A (en) * 1994-09-09 1997-01-07 Fisher-Price, Inc. Stroller
JP3385120B2 (ja) 1994-12-27 2003-03-1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座席
TW280801B (ko) 1994-12-26 1996-07-11 Aprica Kassai Kk
US5918933A (en) 1995-09-21 1999-07-0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Body support
JP3272916B2 (ja) 1995-09-22 2002-04-08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育児器具の座席
US5662380A (en) * 1995-11-09 1997-09-02 Fisher-Price, Inc. Folding seat back for stroller
JPH1191587A (ja) * 1997-09-25 1999-04-06 Combi Corp 乳幼児用座席のずり落ち防止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43123B (en) 2005-11-11
JP3981027B2 (ja) 2007-09-26
EP1442680A1 (en) 2004-08-04
US6860555B2 (en) 2005-03-01
US20040227383A1 (en) 2004-11-18
JP2004231059A (ja) 2004-08-19
CN1519158A (zh) 2004-08-11
EP1442680B1 (en) 2006-05-31
TW200416164A (en)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07578B (zh) 多人座婴幼儿推车
KR20040069986A (ko) 육아 기구의 좌석 해먹
US7140634B2 (en) Foldable baby carriage
JP3981023B2 (ja) 乳母車の座席ハンモック
JP2004129966A (ja) 椅子の背もたれ構造
JP4855035B2 (ja) ベビーカー
JP2007098993A (ja) ベビーカー
EP0832811A1 (en) Bicycle baby-seat
JP6009221B2 (ja) シートおよびベビーカー
EP2587965B1 (en) Second row package
CN110775134B (zh) 婴儿车
WO1999060882A1 (en) Traveller&#39;s accessory comprising a travel case
JP5693916B2 (ja) ベビーカー
JP3822158B2 (ja) ベビー用バスチェアー
CN222149530U (zh) 一种多功能儿童餐椅
KR20100034425A (ko) 간이의자
JP4486465B2 (ja) 椅子の背凭れ取付け構造
JP2967042B2 (ja) 折り畳み式椅子
JP2004276874A (ja) 幌を備えた乳母車
JP2021123170A (ja) 子供用育児器具の幌
JPH09313291A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JP6109639B2 (ja) 乳母車
KR200384225Y1 (ko) 소파기능을 가지는 침대의 암레스트
JP3117337U (ja) 多機能座椅子
JP2004050958A (ja) ベビ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3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