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5710A -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와,휴대통신단말 접속 구조 및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와,휴대통신단말 접속 구조 및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15710A KR20040015710A KR1020037012177A KR20037012177A KR20040015710A KR 20040015710 A KR20040015710 A KR 20040015710A KR 1020037012177 A KR1020037012177 A KR 1020037012177A KR 20037012177 A KR20037012177 A KR 20037012177A KR 20040015710 A KR20040015710 A KR 200400157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communication terminal
- data
- computer system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7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220473708 Ras-related protein Rab-5A_S84A_mutatio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의 전원을 휴대통신단말(CDMA 및 GSM방식의 셀룰라폰, PCS단말, PDA단말) 및/또는 다른 휴대 기기의 작동 전원 및/또는 충전전원으로서 공급하고, 또한 컴퓨터 시스템과 휴대통신단말 및/또는 컴퓨터 주변기기 사이의 데이터를 중계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키보드장치에 휴대통신단말의 접속구조를 갖추도록 해서 상기 키보드장치에 의해 휴대통신단말의 문자메시지의 입력과 상기 휴대통신단말에의 동작전원 및 충전전원이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스캔(key scan)전원에 의해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모드설정의 관리가 가능하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도래되는 발신자정보 및 문자메시지가 컴퓨터 시스템을 경유하여 디스플레이장치상에도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지된 바와 같이 대량의 정보를 입력하여 편집/저장/출력하고 필요한 경우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는 데이터통신기능을 실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이 널리 보급된 상태이다.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은 대개 데스크탑형과 노트북형으로 대별되고, 예컨대 이미지의 스캔입력을 위한 스캐너라든지 해당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작업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 데이터의 하드카피출력을 위한 프린터, 음성/음향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주변장치가 접속된다.
특히, 데스크탑형태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그 본체에는 해당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작동상태(및 기능)를 설정하거나 데이터의 입력 등을 위한 데이터 입력장치로서의 키보드가 접속됨과 더불어 특정한 기능으로의 전환 및 실행/선택을 지시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장치로서의 마우스가 접속되는 데이터 입력포트가 개별적으로 설계되고, 그 데이터 입력포트에는 그 본체에 갖추어진 전원장치로부터 소정의 직류전압레벨의 키 스캔(key scan)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에 갖추어지는 중앙처리장치(CPU)는 그 키 스캔 전원에 기초하여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의 키 조작 상태 신호를 스캐닝하여 그 키 조작에 대응하는 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노트북형 컴퓨터는 대개 키보드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갖기는 하지만, 최소한 하나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로 대표되는 데이터 입력장치의 직접적인 접속이 가능한 데이터 입력포트(즉, 키보드/마우스 접속포트)가 갖추어지고, 그 데이터 입력포트에는 소정레벨의 키 스캔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노트북형 컴퓨터에서도 키보드/마우스 접속포트에 키보드 또는 마우스가 선택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키 스캔 전원에 의해 그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키 조작 상태를 인지하여 대응하는 작업을 행하게 된다.
또, 최근에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그다지 받지 않고 휴대하면서 음성통화 및/또는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휴대통신단말이 비약적으로 보급된 상황으로, 그 휴대통신단말로서는 예를 들면 CDMA/GSM방식의 셀룰라폰이라든지 PCS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포함되고, 그러한 휴대폰 및 PDA는 휴대하면서 통화 및/또는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재충전 형태의 배터리를 갖추게 된다.
또, 음악을 재생하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로서 MP3(MPEG Layer Ⅲ) 플레이어,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및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플레어에도 휴대하면서 음악을 재생을 위해 재충전 배터리의 채용도 이루어지는 상황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런데, 휴대통신단말이라든지 휴대용 오디오재생장치를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에 부속되는 재충전 배터리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전용의 배터리충전기(즉, 전원 어댑터)가 필요하게 되지만, 그 배터리 충전기는 대개 적용되는 전원부하단말(휴대폰, PDA, MP3플레이어,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및 CD 플레이어)마다 다르게 설계됨으로 말미암아 상호 호환적인 사용이 불가능하다.
더구나, 휴대폰이나 PDA의 경우에는 구입시 단지 하나의 배터리 충전기만이 제공되기 때문에 그 배터리 충전기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예컨대 사무실 등)에서 휴대폰의 배터리가 방전되면 통화 또는 데이터통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컴퓨터 시스템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전원을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된 상태이기는 하지만, 그 USB포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충전하는 동안에는 그 USB포트를 다른 외부접속장치(예를 들면 스캐너, 웹 카메라 등)에 대해서는 할당하지 못하게 된다는 불리함이 있게 된다.
상기한 상황은 MP3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초래될 가능성이 상존하는 실정이고, 그에 따라 휴대통신단말 및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에 대한 다양한 충전형태의 제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장치에는 문자의 입력을 위한 다수의 문자키와, 수자의 입력을 위한 다수의 수자키와, 그 문자키 및 수자키의 입력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 및, 그 문자키와 수자키 및 기능키의 조작에 응답하여 키 스캔(key scan) 데이터로 처리하는 제어회로(Controller)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키보드장치는 대개 퍼스널 컴퓨터의 본체에 구비된 키보드 접속포트에 연결되어 그 본체로부터 키 스캔 전원(즉, 작동전원)이 인가되면 그 키 스캔 전원에 의해 문자키, 수자키 또는 기능키의 조작을 제어회로가 인지하여 키 스캔 데이터를 컴퓨터 본체 측으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려는 경우 '0'∼'9'의 수자가 할당된 키를 한글 또는 영문입력모드로 절환하여 문자의 입력이 행해져야만 되기 때문에 그 문자메시지의 입력을 위한 키조작이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불리함이 초래된다.
또한, 최근에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를 이용하여 통신망(즉, 인터넷)을 통하여 특정한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또는 문자메시지 전송을 위한 메신저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타인의 휴대통신단말(즉, 휴대폰)로 문자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문자메시지의 전송방식에서는 타인의 휴대통신단말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항시 컴퓨터 시스템과 모니터에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만 가능하고 또한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또는 특정 메신저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불편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의 전원을 휴대통신단말 및/또는 다른 휴대 기기의 작동 전원 및/또는 충전전원으로서 공급하고, 또한 컴퓨터 시스템과 휴대통신단말 및/또는 컴퓨터 주변기기 사이의 데이터를 중계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통신단말(CDMA 및 GSM방식의 셀룰라폰, PCS단말, PDA단말)을 접속하여 문자메시지의 입력 및 전송할 수 있는 기능과 상기 휴대통신단말에의 동작전원 및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이 설계된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스캔(key scan) 전원에 의해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휴대통신단말제어모드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모드설정의 관리가 가능하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도래되는 발신자정보및 문자메시지가 컴퓨터 시스템을 경유하여 디스플레이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의 전원공급장치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9실시예 내지 제 14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5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도 22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6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도 24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7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도 26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8 내지 도 3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8실시예 내지 제 25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6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7은 도 36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7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8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0은 도 39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9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2는 도 41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0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4는 도 43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의 회로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5 및 도 47은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도 22) 내지 제 30실시예(도 43)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8은 본 발명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49(a) 내지 도 49(c)는 도 48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50은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도 22) 내지 제 30실시예(도 43)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휴대통신단말에 발신자 정보 및 단문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1은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도 22) 내지 제 30실시예(도 43)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문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2(a) 및 도 52(b)는 도 51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53은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도 22) 내지 제 30실시예(도 43)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의 전화번호 정보를 갱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4는 도 53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55는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도 22) 내지 제 30실시예(도 43)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를 갱신하는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6(a) 및 도 56(b)는 도 55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
도 5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1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외관도,
도 58은 도 5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1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의 내부 회로 블록도,
도 59는 도 5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1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의 다른 내부 회로 블록도,
도 60은 본 발명의 제 32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외관도,
도 61은 도 6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2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의 내부 회로 블록도,
도 62는 본 발명의 제 33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외관도,
도 63은 도 6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3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의 내부 회로 블록도,
도 64는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에서의 문자 메시지 전송방식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65는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6은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와 컴퓨터 시스템의 호환성을 구현하기 위한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 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장치가 컴퓨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신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8은 본 발명의 제 34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외관도,
도 69는 도 8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의 내부 회로 블록도,
도 70은 본 발명의 제 35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외관도,
도 71은 도 70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의 내부 회로 블록도,
도 72는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3은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와 컴퓨터 시스템의 호환성을 구현하기 위한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4는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휴대통신단말에 발신자 정보 및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75는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문자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통신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6은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키보드장치의 전화번호 정보를 갱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7은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를 갱신하는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그리고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 및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 내지 도 5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내지 제 30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100)는 그 일단에 노트북형 컴퓨터 시스템(또는 데스크탑형 컴퓨터 시스템 본체)(20)에 설치된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접속을 위한 키보드/마우스접속 잭(포트)(22)에 접속되는 키보드/마우스접속 플러그(110)가 형성되어 있고, 그 타단에 충전부하단(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 잭(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에 접속되어 그 충전부하단(휴대통신단말(30))의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플러그(130)가 케이블(120)을 매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노트북형 컴퓨터 시스템 및 데스크탑형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가 접속되는 데이터입력포트(22)에는 외부적으로 접속되는 키보드 또는마우스의 키조작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키 스캔 전원(대략 5V)이 인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100)에서는 상기 키보드/마우스접속 플러그(110)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직(22)에 접속하게 되면 그 키보드/마우스 접속 잭(22)에서 인가되는 키 스캔 전원을 상기 전원 플러그(130)에 접속되는 충전부하단(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의 작동을 위한 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전원플러그(130)에 접속되는 전원부하단말은 휴대통신단말(셀룰라폰, PDA, PCS)이나 MP3플레이어, CD 플레이어,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키 스캔 전원을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스피커라든지 인터넷폰 등도 포함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은 클럭 핀(C), 접지 핀(G), 데이터 핀(D), 전원 핀(V1), 1~2개의 미사용 핀(B1,B2)을 가지고 있고, 휴대통신단(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은 접지 핀(G)과 전원 핀(V1) 및 복수의 데이터 핀(35D)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에 삽입· 접속되는 플러그(110)는 상기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의 각 핀(C, G, D, V1, B1~B2)에 접속되는 핀을 가지고 있지만 접지 핀과 전원 핀에 접속되는 접지핀(G)과 전원 핀(V2)만이 케이블(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나머지 핀들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또한, 충전부하단의 전원 잭(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에 삽입·접속되는 전원플러그(130)는 상기 키보드/마우스접속 플러그(110)의 접지 핀과 전원 핀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 핀(G)과 전원 핀(V1) 및,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의 데이터 핀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전기적으로 절연상태의 복수의 핀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110)가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과 충전부하단의 전원 잭(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에 접속되면, 상기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의 접지 핀(G)과 전원 핀(V1)만이 각각 충전부하단의 전원 잭(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의 접지 핀과 전원 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동일한 전위를 갖게 되며, 나머지 핀들은 전지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으로부터의 키 스캔 전원이 충전부하단의 전원 잭(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을 통하여 충전부하단(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의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 공급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은 6핀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은 그 이외의 핀 구성, 예를 들면 5핀(즉, 클럭 핀, 접지 핀, 데이터 핀, 전원 핀 및 미사용 핀이 각각 1개)으로 이루어져도 되며,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도 접지 핀(G)과 전원 핀(V1) 및 다수의 데이터 핀(35D)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핀의 구성은 도면과 다른 구성이어도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200)는 제 1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100)와 비교하여 볼 때 케이블의 중간에 전원제어블럭(230)이 더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전원제어블럭(230)은 전원제어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고 그 외부에 충전표시소자(232A,232B)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일단이 제 1케이블(220A)을 매개로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에 삽입·접속되는 플러그(210)에 접속되어 있고 그 타단이 제 2케이블(220B)을 매개로 충전부하단으로서 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에 삽입· 접속되는 전원 플러그(240)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표시소자(232A,232B)는 예를 들면 2개의 발광다이오드(LED) 소자로서,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예를 들면 적색 LED소자와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예를 들면 녹색 LED소자로 구성된다.
동도면에서는 충전부하단으로서 휴대통신단말인 휴대통신단말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휴대폰이 아니라 PDA, 휴대용 오디오장치(MP3 플레이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 및 스피커에도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200)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3의 전원제어블럭(230)의 회로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제어블럭(230)은 정전압회로(230A)와, 충전구동회로(230D), 충전전압검출회로(230E), 충전표시구동회로(230C), 충전표시소자(232A, 232B), 제어회로(230B)를 포함한다.
상기 정전압회로(230A)는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의 접지 핀(G) 및 전원 핀(V1)으로부터 플러그(210) 및 제 1케이블(220A)을 통해서 입력되는 키 스캔 전원을 정류하여 안정화한 다음에 필요한 레벨의 전원을 출력한다.
상기 충전구동회로(230D)는 상기 정전압회로(230A)의 전원이 제 2케이블(220B)과 전원 플러그(240)를 매개로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의 접지 핀(G)과 전원 핀(V2)으로 전달되어 휴대통신단말(30)에 동작전원을 제공하고 또한 미도시한 충전지가 충전되도록 한다.
상기 충전표시구동회로(230C)는 상기 제어회로(230B)의 제어에 따라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제 1충전표시소자(232A)와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제 2충전소자(232B)를 구동하고, 상기 충전전압검출회로(230E)는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지의 충전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제어회로(230B)는 상기 충전전압검출회로(230E)로부터의 검출전압에 근거하여 충전부하단으로서 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상태(과충전상태) 및 충전부하단의 접속상태를 판단하여, 충전부하단(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이 과충전상태가 아닌 경우 충전구동회로(230D)를 제어하여 지속적으로 전원이 제 2케이블(220B)과 전원플러그(240)를 매개로 충전부하단으로서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충전표시구동회로(230C)를제어하여 제 1충전표시소자(232A)만이 충전중임을 표시하도록 하고, 충전부하단(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이 과충전상태인 경우 충전구동회로(230D)를 제어하여 전원이 제 2케이블(220B)과 전원 플러그(240)를 매개로 충전부하단으로서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충전표시구동회로(230C)를 제어하여 제 2충전표시소자(232B)만이 충전완료상태임을 표시되도록 하며, 충전부하단으로서 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이 접속되지 않은 경우 충전표시구동회로(230C)를 제어하여 모든 충전표시소자(232A,232B)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도 3의 전원제어블럭의 회로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제어블럭(230_1)은 도 4의 전원제어블럭(230)과 비교하여 볼 때 정전압회로(230A)의 전단에 승압회로(230F)를 더 포함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승압회로(23OF)는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으로부터의 키 스캔 전원이 충전부하단(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에서 요구하는 충전전원 또는 동작전원보다 낮은 경우나 낮아질 경우를 대비하여 설치한 것으로, 이 경우 승압회로(230F)에서 컴퓨터 시스템(20)의 키 스캔 전원을 충전 또는 동작에 필요한 전원레벨보다 높은 레벨로 승압하고, 정전압회로(230A)에서 전원을 정류 및 안정화 한 다음에 충전에 필요한 전압레벨로 만들어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의 핀(G,V1)으로부터는 대략 5V 및550mA 정도의 키 스캔 전원이 출력되는 바, 예컨대 충전부하단으로서 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전원이 대략 4.2V(460mA) 정도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의 상기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으로부터 4.2V 보다 낮은 전압이 출력될 경우를 대비하여 승압회로(230F)에서 대략 7V 정도의 레벨로 승압한 다음에 정전압회로(230A)에서 충전부하단에서 필요한 전압레벨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충전부하단으로서의 휴대통신단말(30)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200A)는 제 2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200)와 비교하여 볼 때 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을 위한 구성과 함께 휴대용 오디오장치(70)(MP3 플레이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의 충전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전원제어블럭(230A)은 그 외부에 휴대통신단말(30)에 대한 충전표시소자(232A,232B) 이외에 휴대용 오디오장치(70)에 대한 충전표시소자(234A,234B)가 더 돌출·설치되어 있고, 상기 휴대용 오디오장치(70)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잭(250)이 더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표시소자(234A,234B)는 예를 들면 2개의 LED 소자로서,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예를 들면 적색 LED소자와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예를 들면 녹색 LED소자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 잭(250)에는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전원공급케이블(60)이 삽입·접속된다.
상기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전원공급케이블(60)은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200A)의 상기 전원 잭(250)에 삽입· 접속되는 플러그(62)와, 상기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전원 잭(72)에 삽입· 접속되는 플러그(66) 및, 이들 플러그(62)(66)를 연결하는 케이블(64)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도 6의 전원제어블럭(230A)의 회로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원제어블럭(230A)은 도 5와 비교하여 볼 때 제 2충전구동회로(230D-2), 제 2충전전압검출회로(230E-2), 전원 잭(250), 제 2충전표시구동회로(230C-2)및 충전표시소자(234A,234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1충전구동회로(230D-1)와 제 1충전전압검출회로(230E-1) 및 제 1충전표시구동회로(230C-1)는 각각 도 5의 충전구동회로(230D)와 충전전압검출회로(230_E) 및 충전표시구동회로(230C)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만을 위하여 도 5의 구성과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2충전구동회로(230D-2)는 상기 정전압회로(230A)의 전원이 전원 잭(250)을 매개로 전원공급케이블(60)의 전원 플러그(62)의 접지 핀(G)과 전원 핀(V3)으로 전달되어 휴대용 오디오장치(70)에 동작전원을 제공하고 또한 그 휴대용 오디오장치(70)에 구비되는 미도시한 충전지가 충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충전구동회로(230D_2)는 충전부하단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정전압회로(230A)의 출력전원을 감압 또는 승압하도록 설계하여도 된다.
상기 제 2충전표시구동회로(230C-2)는 상기 제어회로(230B-1)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오디오장치(70)가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제 1충전표시소자(234A)와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제2충전소자(234B)를 구동하고, 상기 제 2충전전압검출회로(230E-2)는 상기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충전지의 충전전압을 검출한다.
제어회로(230B-2)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제 2충전전압검출회로(230E-2)로부터의 검출전압에 근거하여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충전지의 충전상태(과충전상태) 및 충전부하단의 접속상태를 판단하여,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충전지가 과충전상태가 아닌 경우 제 2충전구동회로(230D_2)를 제어하여 지속적으로 전원이 전원 잭(250) 및 전원공급케이블(60)을 매개로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전원 잭(72)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제 2충전표시구동회로(230C-2)를 제어하여 제 1충전표시소자(234A)만이 표시되도록 하고,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충전지가 과충전상태인 경우 제 2충전구동회로(230D-2)를 제어하여 전원이 전원 잭(250) 및 전원공급케이블(60)을 매개로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전원 잭(72)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제 2충전표시구동회로(230C-2)를 제어하여 제 2충전표시소자(234B)만이 표시되도록 하며, 휴대용 오디오장치(70)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제 2충전표시구동회로(230C-2)를제어하여 모든 충전표시소자(234A,234B)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300)는 도 3의 제 2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200)와 비교하여 볼 때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잭(24)에 접속되도록 구성한 점이 다른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300)는 컴퓨터 시스템(20)의 USB 잭(24)에 접속되는 USB 플러그(310)와, 전원제어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고 그 외부에 충전표시소자(332A,332B)가 돌출·설치되어 있는 전원제어블럭(330)과, 충전부하단의 전원 잭(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에 접속되는 전원 플러그(340)와, 상기 USB 플러그(310)와 상기 전원제어블럭(330)을 연결하는 제 1케이블(320A)과, 상기 전원제어블럭(330)과 상기 전원 플러그(340)를 연결하는 제 2케이블(320B)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300)의 회로구성은 도 4 및 도 5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며, 다만 USB 잭(24)과 USB 플러그(310)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 15에 도시한 USB 잭(24)과 USB 플러그(5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300A)는 도 6의 전원공급장치(200A)와 비교하여볼 때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USB 잭(24)에 접속되도록 구성한 한 점이 다른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300A)는 컴퓨터 시스템(20)의 USB 잭(24)에 접속되는 USB 플러그(310A)가 설치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도 6의 구성과 동일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300A)의 회로 구성은 도 7과 마찬가지로 구성되며, 다만 USB 잭(24)과 USB 플러그(310)의 구성은 도 15에 도시한 USB 잭(24)과 USB 플러그(5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에 전원공급을 행하고 키 보드의 입력을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데이터 중계를 행하는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400)는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전원 및 데이터중계 블럭(430)에 키보드(40) 또는 마우스가 접속 가능한 키보드/마우스접속 잭(436)이 더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른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장치(400)는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에 접속되는 플러그(410)와, 전원제어 인쇄회로기판을 내장하고 그 외부에 충전표시소자(432A,432B)가 설치되어 있는 전원/테이터중계 제어블럭(430)과, 충전부하단의 전원 잭(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에 접속되는 전원 플러그(440)와, 상기 플러그(440)와 상기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430)을 연결하는 제 1케이블(420A)과, 상기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430)과 상기 전원 플러그(440)를 연결하는 제 2케이블(420B)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430)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면, 도 5의 회로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키보드/마우스접속 잭(436)이 더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플러그(410)와 키보드/마우스접속 잭(436)의 사이에서 제 1케이블(420A)을 통해서 클럭 핀(C), 접지 핀(G), 데이터 핀(D), 전원 핀(V1)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라인(430DL)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을 통하여 충전부하단(예를 들면 휴대통신단말)의 충전과 동시에 키보드(40)(또는 마우스)의 키 조작에 의한 입력데이터를 상기 라인(430DL)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400A)는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430A)에 키보드(40) 또는 마우스(80)가 접속되기 위한 키보드/마우스접속 잭(436)이 더 구비되어 있는 점이 다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430A)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면, 도 7의 회로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키보드/마우스접속 잭(436)이 더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플러그(410)와 키보드/마우스접속 잭(436) 사이에서 제 1케이블(420A)을 통해서 클럭 핀(C), 접지 핀(G), 데이터 핀(D), 전원 핀(V1)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라인(430DL)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을 통하여 휴대통신단말(30) 및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충전과 동시에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키 조작에 의한 입력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500)는 도 10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USB 잭(24)에 접속되도록 구성하고,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530)에 키보드 또는 마우스가 접속되기 위한 키보드/마우스접속 잭 대신에 웹 카메라(50) 등이 접속될 수 있는 USB 잭(536)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른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530)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면, 도 11의 회로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키보드/마우스접속 플러그(410)와 키보드/마우스접속 잭(436) 대신에 USB접속 플러그(510)와 USB접속 잭(536)을 설치하고, USB접속 플러그(510)와 USB접속 잭(536)의 사이에서 제 1케이블(520A)을 통해서 전원 핀(V1), 데이터 핀(D+,D-), 접지 핀(G)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라인(530DL)이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20)의 USB 포트를 통하여 휴대통신단말(30)과 같은 충전부하단의 충전과 동시에 웹 카메라 등으로부터의 데이터입력을 컴퓨터 시스템(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500A)는 도 1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휴대용 오디오장치(70)(MP3 플레이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의 충전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530A)은 그 외부에 휴대통신단말(30)에 대한 충전표시소자(532A,532B) 이외에 휴대용 오디오장치(70)에 대한 충전표시소자(534A,534B)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휴대용 오디오장치(70)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잭(538)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530A)의 회로구성은 도 7의 회로구성과 도 15의 회로구성을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20)의 USB 포트를 통하여 휴대통신단말(30)과 함께 또 다른 충전부하단(예를 들면 휴대용 오디오장치)에 전원공급을 수행함과 동시에 웹 카메라 등으로부터의 데이터입력을 컴퓨터시스템(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0 내지 제 13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600)는 도 10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제1케이블(420A)을 제거하고 키보드/마우스접속 플러그(610)를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630)에 직접 연결한 점이 다른 것이며, 그 회로 구성은 제 1케이블(420A)만 제거하면 도 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회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600A)는 도 12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제1케이블(420A)을 제거하고 키보드/마우스접속 플러그(610)를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630A)에 직접 연결한 점이 다른 것이며, 그 회로 구성은 제 1케이블(420A)만 제거하면 도 1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회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700)는 도 1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제1케이블(520A)을 제거하고 USB접속 플러그(710)를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730)에 직접 연결한 점이 다른 것이며, 그 회로 구성은 제 1케이블(520A)만 제거하면 도 1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회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700A)는 도 16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제1케이블(520A)을 제거하고 USB접속 플러그(710)를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730A)에 직접 연결한 점이 다른 것이며, 그 회로 구성은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회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830)는 전원부하단말로서 휴대통신단말(30)이 적용되는 경우에 휴대통신단말(30)이 장착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본체(830)의 후면에는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에 접속되는 플러그(810)가 케이블(820A)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그 전면의 하부에는 휴대통신단말(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840)가 연설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830)의 전면(또는 측면)에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접속 플러그(46 또는 86)가 접속되는 마우스/키보드접속 잭(83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42)의 전면에는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배터리가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제 1충전표시소자(832A)와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배터리가 충전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제2충전소자(832B)가 외부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내부 회로구성은 도 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하면 되므로 그에 대한 회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에 상기 플러그(810)를 삽입·연결한 후, 전원부하단말로서 휴대통신단말(30)의 데이터/전원공급 잭에 상기 플러그(840)를 삽입· 접속하면 휴대통신단말(30)에 전원공급 및 배터리 충전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접속 플러그(46 또는 86)를 마우스/키보드접속 잭(834)에 삽입·접속하면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입력신호를 컴퓨터 시스템(20)에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83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9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900)는 컴퓨터 시스템(20)의 마우스/키보드접속 잭(22)에 삽입· 연결되는 플러그(910)와, 제 1케이블(920A),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930), 제 2케이블(920B) 및,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에 삽입·연결되는 플러그(9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930)에는 전원/데이터중계 제어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있고 그 외부에 충전표시소자(932A,932B), 제어모드 설정키(950), 제어모드 표시소자(950A) 및 문자메시지 전송키(9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충전표시소자(932A,932B)는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충전표시소자들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모드 설정키(950)는 휴대통신단말(30)과 컴퓨터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이 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모드 표시소자(950A)가 발광·표시된다.
또한,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키(960)는 컴퓨터 시스템(20)의 미도시한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한 문자 메시지를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9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930)은 도 5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진 승합회로(230F)와, 정전압회로(230A), 충전구동회로(230D), 충전전압검출회로(230E), 충전표시구동회로(230C), 충전표시소자(932A, 932B) 및 제어회로(230B_2)를 포함하고 있다.
또,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930)은 모드 설정키(950)와 문자메시지 전송키(960)로 이루어진 키입력부(930B)와; 상기 모드 설정키(950)가 입력되면 제어회로(230-2)에 의하여 제어되어 모드설정 표시소자(950A)를 표시· 구동하는 모드설정 표시구동회로(970)와; 컴퓨터 시스템(20)의 마우스/키보드접속 잭(22)과 플러그(910) 및 케이블(920A)을 통해서 클럭 핀(C) 및 데이터 핀(D)에 접속되어 컴퓨터 시스템(20)과의 데이터통신을 행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와; 사용자에 의하여 키보드와 같은 키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되어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으로부터 전달되는 것으로서, 휴대통신단말(30)을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메시지 데이터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데이터(성명, 회사명, Fax번호 등) 등을 예컨대 컴퓨터시스템(20)(또는 키보드) 또는 상기 휴대통신단말(30)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230I)와;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입출력 잭(35)의 데이터라인(35D)에 플러그(940)를 통해서 접속되어 휴대통신단말(3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휴대통신단말(30)에서 컴퓨터 시스템(20)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는 컴퓨터 시스템에 적합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주는 반면에 컴퓨터 시스템(20)에서 휴대통신단말(30)로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는 휴대통신단말(30)에 적합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해 주는 데이터변환처리부(230H)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드 설정키(950A)를 휴대통신단말 제어모드로 설정해 놓으면, 제어회로(230B_2)의 제어에 의하여 모드설정 표시구동회로(970)가 작동하여 모드설정 표시소자(950A)가 발광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통신단말(30)측으로부터 발신자 정보(Caller ID)가 수신되면 그 발신자 정보는 데이터 라인(35)과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을 통하여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900)의 플러그(940) 및 케이블(920B)을 통하여 데이터변환처리회로(230H)에 전달되고, 이 데이터변환처리회로(230H)에서는 컴퓨터 시스템(20)에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된 발신자 정보 데이터가 제어회로(230B-2)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회로(230B-2)는 데이터 메모리(230I)를 탐색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의 발신자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전화번호가 있으면 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의 상세 정보데이터(예를 들면 성명, 회사명, Fax 번호 등)를 읽어와서 데이터 송수신부(230G)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20)으로부터 데이터송수신부(230G)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을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메시지 데이터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데이터(성명, 회사명, Fax번호 등)가 입력되면 제어회로(230B-2)는 그 입력 데이터를 데이터 메모리(230I)에 저장한다. 그후, 사용자에 의하여 문자메시지 전송키(960)가 조작되면 제어회로(230B-2)는 상기 데이터 메모리(230I)에 저장된 문자메시지 데이터를 읽어와서 데이터변화처리회로(230H)로 출력하고, 데이터변환처리회로(230H)는 상기 입력된 문자메시지 데이터를 휴대통신단말(30)에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230K) 및 플러그(940)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의 데이터 라인(35D)으로 출력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20)으로부터 데이터송수신부(230G)를 통하여 휴대통신단말(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신호가 입력되면 제어회로(230B_2)는 그 제어데이터신호를 데이터변화처리회로(230H)로 출력하고, 데이터변환처리회로(230H)는 상기 제어데이터신호를 휴대통신단말(30)에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230K) 및 플러그(940)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의 데이터 라인(35D)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에 플러그(910)를 삽입·연결함과 아울러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에 플러그(940)를 삽입·연결하면 휴대통신단말(30)에 동작전원 공급 및 배터리 충전을 행할 수 있고, 또한 휴대통신단말(30)에 발신자정보가 수신되면 그 발신자 정보의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상세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면 그 상세 정보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달하며, 컴퓨터 시스템(20)을 이용하여 작성된 문자 메시지 데이터를 휴대통신단말(30)로 전달할 수 있고, 더욱이 컴퓨터 시스템(20)을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30)의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45 내지 도 5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6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900A)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900A)는 도 22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에 예를 들면 휴대용 오디오장치(MP3 플레이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의 충전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900A)는 그 외부에 휴대통신단말(30)에 대한 충전표시소자(932A,932B) 이외에 예를 들면 휴대용 오디오장치(70)에 대한 충전표시소자(934A,934B)가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휴대용 오디오장치(70)에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잭(936)이 설치되어 있다.
도 25를 참조하여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930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930A)은 도 23과 비교하여 볼 때 제 2충전구동회로(230D-2), 제 2충전전압검출회로(230E-2), 전원 잭(936), 제 2충전표시구동회로(230C-2) 및 충전표시소자(934A,934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1충전구동회로(230D-1)와 제 1충전전압검출회로(230E-1) 및 제 1충전표시구동회로(230C-1)는 각각 도 23의 충전구동회로(230D)와 충전전압검출회로(230-E) 및 충전표시구동회로(230C)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들의 동작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실행된다.
다음으로,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7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는 도 2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에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접속하기 위한 구성이 더 포함되어 있다.
도 27의 회로 구성을 참조해보면,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는 도 25의 회로 구성에 키보드/마우스접속 잭(1038)과,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 잭(22)에 삽입 접속되는 플러그(1010)와 상기 키보드/마우스접속 잭(1038) 사이에서 제 1케이블(1020A)을 통해서 클럭 핀(C), 접지 핀(G), 데이터 핀(D), 전원 핀(V1)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라인(430DL)이 더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이 없을 때 컴퓨터 시스템(20)과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을 통하여 충전 부하단으로서의 휴대통신단말(30)과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전원공급 및 배터리 충전, 그리고 휴대통신단말(30)의 각종 제어 동작을 수행할수 있으며, 더욱이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조작 입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8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100)는 도 22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USB 잭(24)에 접속되도록 구성한 한 점이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한 것이며, 그 회로 구성도 도 23의 회로구성과 유사하게 구성됨에 따라 그 작용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실행된다.
다음으로,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200)는 도 2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컴퓨터 시스템(20)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22)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USB 잭(24)에 접속되도록 구성한 한 점이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한 것이며, 그 회로 구성도 도 25의 회로구성과 거의 동일함에 따라 그 작용도 유사하게 실행된다.
다음으로,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0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300)는 도 14 및 도 15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모드 설정키(1350)와 문자메시지 전송키(1360)로 이루어진 키입력부와; 상기 모드 설정키(1350)가 입력되면 제어회로(미도시함; 도 25의 230B_3에 대응하는 구성)에 의하여 제어되어 모드설정 표시소자(1350A)를 표시구동하는 모드설정 표시구동회로(미도시함; 도 25의 970에 대응하는 구성)와; 컴퓨터 시스템(20)의 USB접속 잭(24)과 USB플러그(1310) 및 케이블(1320A)을 통해서 데이터 핀(D+)(D-)에 접속되어 컴퓨터 시스템(20)과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회로(미도시함; 도 25의 230G에 대응하는 구성)와; 사용자에 의하여 키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되어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으로부터 전달되는 것으로서, 휴대통신단말(30)을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메시지 데이터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데이터(성명, 회사명, Fax번호 등)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미도시함; 도 25의 230I에 대응하는 구성)와;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입출력 잭(35)의 데이터라인(35D)에 플러그(1340)를 통해서 접속되어 휴대통신단말(3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처리부(미도시함; 도 25의 230H에 대응하는 구성)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구성은 도 25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대체로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3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1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400)는 도 16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모드 설정키(1450)와 문자메시지 전송키(1460)로 이루어진 키입력부와; 상기 모드 설정키(1450)가 입력되면 제어회로(미도시함; 도 27의 230B-3에 대응하는 구성)에 의하여 제어되어 모드설정 표시소자(1450A)를 표시구동하는 모드설정 표시구동회로(미도시함; 도 27의 970에 대응하는 구성)와; 컴퓨터 시스템(20)의 USB접속 잭(24)과 USB플러그(1410) 및 케이블(1420A)을 통해서 데이터 핀(D+)(D-)에 접속되어 컴퓨터 시스템(20)과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회로(미도시함; 도 27의 230G에 대응하는 구성)와; 사용자에 의하여 키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되어 상기 컴퓨터 시스템(20)으로부터 전달되는 것으로서, 휴대통신단말(30)을 통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문자메시지 데이터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데이터(성명, 회사명, Fax번호 등)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미도시함; 도 27의 230I에 대응하는 구성)와;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입출력 잭(35)의 데이터라인(35D)에 플러그(1440)를 통해서 접속되어 휴대통신단말(3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처리부(미도시함; 도 27의 230H에 대응하는 구성)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구성은 도 27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이 포함됨에 따라 그 작용도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2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500)는 도 26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휴대용 오디오장치(70)(MP3 플레이어,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CD플레이어 등)의 충전을 위한 구성을 제외하고, 제1케이블(1020A)을 제거하고 키보드/마우스접속 플러그(1510)를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1530)에 직접 연결한 점이 다른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500)의 회로구성은 휴대용 오디오장치(70)(MP3 플레이어,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의 충전을 위한 구성(도 27의 도면부호 230C-2, 230D-2, 230E-2, 1036, 1034A, 1034B)과 제 1케이블(1020A)을 제외하면 도 27의 회로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따라 그 작용도 유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3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600)는 도 26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제1케이블(1020A)을 제거하고 키보드/마우스접속 플러그(1610)를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1630)에 직접 연결한 점이 다른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600)의 회로구성은 제 1케이블(1020A)을 제외하면 도 27의 회로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에 따라 그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4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700)는 도 30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제1케이블(1320A)을 제거하고 USB 플러그(1710)를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1730)에 직접 연결한 점이 다른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700)의 회로구성은 도 30의 설명 부분을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3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5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800)는 도 3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제1케이블(1420A)을 제거하고 USB 플러그(1810)를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1830)에 직접 연결한 점이 다른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800)의 회로구성은 도 31의 설명 부분을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6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9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900)는 도 24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900A)와 비교하여 볼 때 무선 마우스(예를 들면 광마우스)(90) 또는 무선키보드(도 38의 100)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무선 데이터통신회로(1970)가 더 설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며, 또한 전원 잭(1936)에는 상기 무선 마우스(90) 또는 무선키보드(도 38의 100)의 충전을 위한 케이블(60)이 접속되면 된다.
상기 무선 마우스(90)는 IR(Infrared ray)방식 또는 RF(Radio Frequency)방식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으며, IR 방식의 무선마우스인 경우 무선 데이터통신회로(1970)를 IR 방식으로 설계하고, 그리고 RF 방식의 무선마우스인 경우 무선 데이터통신회로(1970)를 RF 방식으로 설계하면 된다.
도 37을 참조하면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900)는 도 25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900A)와 비교하여 볼 때 무선데이터통신회로(1970)와, 이 데이터통신회로(1970)와 플러그(1910)의 클럭핀(C) 및 데이터핀(D)사이에 신호선이 더 설치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무선마우스(90)의 무선데이터통신회로(92)로부터 IR 방식 또는 RF 방식의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어 무선데이터통신회로(1970)에 입력되면 그 입력데이터 신호가 상기 컴퓨터시스템(20)에 적합한 신호형태로 변환되어 상기 플러그(1910) 및 마우스/키보드접속 잭(22)을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20)으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무선데이터통신회로(1970)는 상기 무선 마우스(90)로부터의 상기 데이터신호의 입력과 동시에 제어회로(230B-4)로 데이터 입력을 통지하고, 제어회로(230B-4)는 그 통지를 받으면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에 의하여 데이터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상기한 도 2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고 그 작용도 동일하게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3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7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0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000)는 도 26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900)와 비교하여 볼 때 컴퓨터시스템(20)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가 USB 플러그(2010)인 점이 다르며, 또한 전원 잭(2036)에는 상기 무선 마우스 또는 무선키보드(100)의 충전을 위한 케이블(60)이 접속되면 된다.
상기 무선 키보드(100)는 IR(Infrared ray )방식 또는 RF(Radio Frequency)방식 중 어느 것이어도 상관없으며, IR 방식의 무선키보드인 경우 무선 데이터통신회로(2070)를 IR 방식으로 설계하고, 그리고 RF 방식의 무선키보드인 경우 무선 데이터통신회로(2070)를 RF 방식으로 설계하면 된다.
본 실시예의 회로구성은 도 37을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3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8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100)는 도 10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400)와 비교하여 볼 때 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을 위한 제2케이블(2150)과 플러그(2140)를 포함하는 케이블장치가 전원/데이터중계제어블록(2130)과 분리되도록 구성된 점이 상이하며,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2100)의 상기 케이블장치의 접속 플러그(2160)가 접속되는 잭은, 예를 들면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충전용 케이블의 플러그(62)도 접속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100)의 회로구성은 도 40과 같으며, 이는 도11의 회로에서 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을 위한 제2케이블(2150)과 플러그(2140)를 포함하는 케이블장치가 전원/데이터중계 제어 블록(2130)과 분리되도록 된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4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9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200)는 도 36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900)와 비교하여 볼 때 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을 위한 제2케이블(2250)과 플러그(2240)를 포함하는 케이블장치가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록(2230)과 분리되도록 구성된 점과, 예를 들면 휴대용 오디오장치(70)의 충전을 위한 구성이 없는 점이 상이하며,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200)의 상기 케이블장치의 접속 플러그(2260)가 접속되는 잭은, 상기 무선 마우스(90)의 충전용 케이블의 플러그(62)도 접속 가능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200)의 회로구성은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그 회로구성은 도 37의 회로와 유사하고 그 작용도 유사하게 실행된다.
다음으로, 도 4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0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3의 제 30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300)는 도 22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900)와 비교하여 볼 때 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을 위한 케이블장치(2350)가 전원/데이터중계 제어 블록(2300)과 분리되어 있는 점이 상이한 것이다.
상기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2300)은 도 22와 마찬가지로 케이블(2320)을 매개하여 컴퓨터 시스템(20)의 마우스/키보드접속 잭(22)에 삽입·연결되는 플러그(23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되어 있으며, 그 외부에 충전표시소자(2332A, 2332B), 제어모드 설정키(2334), 제어모드 표시소자(2334A), 문자메시지 전송키(2336) 및, 상기 케이블장치(2350)의 플러그(2350A)가 삽입 접속되는 잭(233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장치(2350)는 상기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2300)의 잭(2338)에 삽입되는 제 1플러그(2350A)와, 케이블(2350B) 및, 휴대통신단말기(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에 삽입 접속되는 제 2플러그(2350C)가 일체화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2300)의 잭(2338)과 상기 케이블장치(2350)의 플러그(2350A)는 사각형상이지만, 이는 도 39의 실시예와 같이 원형 등의 플러그와 잭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도 4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2300)는 회로적으로도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2330)과 케이블장치(2350)가 분리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도 22 및 도 23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9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300)가 컴퓨터 시스템(20)의 마우스/키보드 접속 잭(22)에 삽입·연결되는 구성이지만, 컴퓨터 시스템(20)의 USB 접속 잭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300)에 도 24 및 도 25와 같이 휴대용 오디오장치 등의 전원 공급을 위한 구성을 추가하여도 되고, 도 26 및 도 27과 같이 유선 마우스장치 또는 유선 키보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하여도 되며, 도 36 내지 도 38과 같이 무선 마우스장치 또는 무선 키보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하여도 되며,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2300)를 컴퓨터 시스템(20)의 USB 접속 잭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변형할 경우에는 도 30과 같이 웹카메라 등과 같은 USB 포트를 통한 입출력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을 추가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2300)가 컴퓨터 시스템(20)과의 접속을 위하여 플러그(2310)와 케이블(23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2310)가 컴퓨터 시스템(20)의 마우스/키보드 접속 잭(22)에 삽입·연결되는 구성이지만, 도 17 내지 도 20과 같이 케이블을 제거하고 플러그(2310)와 전원/데이터중계 제어블럭(2330)을 일체로 구성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22 내지 도 43에 도시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에 의한 휴대통신단말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5 내지 도 47은 본 발명의 도 22 내지 도 43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접속 잭, 마우스 접속 잭 또는 USB 잭에 접속하여,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동작과 제어동작 및, 키보드장치(40), 마우스장치(80) 또는 USB 입력장치(50)를 통한 데이터 입력동작 등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5는 상기한 도 26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1000)를 컴퓨터 시스템(3000)의 키보드 접속 잭에 접속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 46은 상기한 도 26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1000)를 컴퓨터 시스템(3000)의 마우스 접속 잭에 접속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47은 상기한 도 30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1300)를 컴퓨터 시스템(3000)의 USB 잭에 접속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공급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휴대통신단말(30)에서 수신한 단문문자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에 의한 문자메시지를 컴퓨터 시스템(30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에 표시하는 기능, 또 휴대통신단말(30)에서 수신한 발신자정보(Caller ID)를 컴퓨터 시스템(30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에 표시하는 기능, 컴퓨터 시스템(3000)의 입력장치인 키보드(40)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30)의 문자메시지서비스에 의한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기능, 각종 휴대통신단말(30)의 기능모드를 컴퓨터 시스템(3000)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시스템(3000)과, 본 발명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및, 휴대통신단말(30) 사이에서 상호간의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에 대한 인터페이스 호환을 위한 소프트웨어,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과 본 발명 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본 발명의 장치를 구매하면 휴대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면 플러피 디스크(FD)나 콤팩트 디스크(CD)에 기록하여 구매자에게 공급하며, 그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는 본 발명 장치를 공급하는 공급자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입수한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저장된 휴대가능한 기록매체(CD 또는 FD)를 컴퓨터 시스템(3000)의 플러피 디스크 드라이버(3700) 또는 CD-ROM 드라이버(3800)에 삽입한 후, 휴대통신단말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은 설치동작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 48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저장된 휴대용 기록매체(CD 또는 FD)를 컴퓨터 시스템(3000)의 플러피 디스크 드라이버(3700) 또는 CD-ROM 드라이버(3800)에 삽입하면, 컴퓨터 시스템(3000)에 탑재된 윈도우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도 49(a)와 같은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 설치 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 표시되도록 CPU(3100)가 그래픽 카드(3400)를 제어한다.
그후, 이용자가 키보드장치(40) 또는 마우스장치(80)를 이용하여 상기 도49(a)의 설치 초기화면의 설치 메뉴를 선택하면(단계 S10), CPU(3100)은 상기 키보드 장치 또는 마우스 장치의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기록매체(FD 또는 CD)가 삽입된 드라이버 장치(3700 또는 3800)를 구동 제어하여 해당 설치 소프트웨어를 구동함과 동시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버(3500)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기록매체(FD 또는 CD)에 저장된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3500A)의 빈 저장영역에 기록하도록 한다(단계 S11).
이어서, 해당 설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CPU(3100)는 도 4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을 윈도우 시작과 동시에 구동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 표시하도록 그래픽카드(3400)를 제어한다.
그후, 사용자가 키보드 장치 또는 마우스 장치에 의하여 도 49(b)의 화면에서 "예" 또는 "아니오"의 선택 입력하면 CPU(3100)는 그 입력을 확인한다(단계 S12~S13).
그후, 상기 CPU(3100)는 사용자가 "예"를 선택한 것으로 확인한 경우 해당 설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해당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프로그램 정보(예를 들면 autoexec.bat 파일과 config.sys 파일)를 갱신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이 구동될 수 있도록 설정하고(단계 S14), 그 반면에 상기 CPU(3100)는 사용자가 "아니오"를 선택한 경우 이를 인식하고 시작프로그램 정보를 변경하지 않고 다음의 단계로 진행한다(단계 S15).
다음에, 휴대 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의 설치가 완료되면, 해당 설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CPU(3100)는 설치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고 시스템을 재기동하라는 메시지 화면을 그래픽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100)에 표시하도록 한다(단계 S16).
그후,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의 새로시작을 요청하면 상기 CPU(3100)는 컴퓨터 시스템을 종료한 다음에 다시 컴퓨터 시스템을 기동하고 윈도우를 구동한다(단계 S17).
이어, 상기 단계 S14 또는 S15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로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구동한다(단계 S18).
즉, 상기 단계 S14에서 해당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프로그램 정보를 갱신하였으면 시작프로그램 정보(예를 들면 autoexec.bat 파일과 config.sys 파일)에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을 구동하여, 도 4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바탕화면 아이콘(ICON)과 작업표시줄(42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서 작업표시줄(4220)의 소정 부위에 아이콘(4220) 형태로 표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8의 동작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도 22 내지 도 44에 도시한 전원공급 및 데이터 중계 장치를 휴대통신단말(30)과 컴퓨터 시스템(20)에 연결 접속하고, 제어모드 설정 버튼(1050A)을 조작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도 26, 도 27, 도 45 및 도 5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의 제어모드 설정버튼(1050)을 조작하면, 제어회로(230B-3)는 이를 인식하여 모드설정 표시구동회로(870)를 구동하여 모드설정 표시소자(1050A)가 발광표시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20).
그후, 제어회로(230B-3)는 휴대통신단말과의 통신모드를 설정하고 통신모드설정요청을 데이터 변환처리회로(230H)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함과 동시에, 컴퓨터 시스템(20)(3000)과의 통신모드를 설정하고 통신모드 설정요청을 데이터송수신회로(230G)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단계 S21).
이어, 상기 통신모드 설정요청을 수신한 휴대통신단말(30)에서는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와의 통신모드를 설정한다(단계 S22).
그리고, 상기 통신모드 설정요청을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20)의 CPU(3100)는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와의 통신모드를 설정하고(단계 S23),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컴퓨터 시스템(20)의 기동과 함께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드라이브 프로그램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CPU(310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3500)를 구동하여 하드디스크(3500A)의 소정 영역에 기 설치 저장된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그래픽 카드(34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의 소정 부위에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 반면, 컴퓨터 시스템(20)의 기동과 함께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드라이브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도 4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이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서 작업표시줄(4220)의 소정 부위에 아이콘(4220)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CPU(3100)는 메모리(3600)에 상주되어 있는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 표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도 52a와 같이 그래픽 카드(34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의 소정 부위에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24~S25).
이와 같이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이 표시된 상태에서, 휴대통신단말(30)에 발신자 정보(Caller ID; 즉,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은 그 발신자 정보를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1000)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26).
즉, 상기 발신자 정보는 데이터 라인(35D)과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을 통하여 전원공급 및 데이터 중계 장치(1000)의 플러그(1040) 및 케이블(1020B)을 통하여 데이터변환처리회로(230H)에 전달되고, 이 데이터변환처리회로(230H)에서는 컴퓨터 시스템(20)(3000)에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된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제어회로(230B-3)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회로(230B-3)는 데이터 메모리(230I)를 탐색하여 그 데이터메모리(230I)에 예컨대 키보드에 의해 미리 저장된 상기 발신자정보의 발신자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전화번호가 있으면 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의 상세 정보데이터(예를 들면 성명, 회사명, Fax 번호 등)를 읽어와서 데이터 송수신부(230G)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20)(3000)으로 전송한다(단계 S27).
그후,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1000)로부터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발신자의 상세 정보 데이터에 대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CPU(3100)는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28).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 화면(4200)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에 상기 발신자 정보와 함께 그 상세정보가 표시된다(단계 S29).
여기서, 상기 단계 S27에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의 제어회로(230B-3)가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상세 정보를 찾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휴대통신단말(30)로부터 수신한 발신자 정보만을 컴퓨터 시스템으로 출력하고 컴퓨터 시스템은 그 수신한 발신자 정보만을 디스플레이장치의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발신자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휴대통신단말(30)에 단문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단문 문자 메시지를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30).
즉, 상기 단문 문자 메시지는 데이터 라인(35D)과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을 통하여 전원공급 및 데이터 중계 장치(1000)의 플러그(1040) 및 케이블(920B)을 통하여 데이터변환처리회로(230H)에 전달되고, 이 데이터변환처리회로(230H)에서는 컴퓨터 시스템(20)(3000)에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된 단문 문자 메시지가 제어회로(230B_3)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회로(230B-3)는 단문 문자 메시지를 데이터 송수신부(230G)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20)(300)으로 전송한다(단계 S31).
그후,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로부터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단문 문자 메시지에 대하여 컴퓨터 시스템(20)(3000)의 CPU(3100)는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2).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 화면(4200)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에 단문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단계 S33).
다음으로, 도 48의 동작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도 22 내지 도 44에 도시한 전원공급 및 데이터 중계 장치를 휴대통신단말(30)과 컴퓨터 시스템(20)(3000)에 연결 접속하고, 컴퓨터 시스템의 지원하에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도 26, 도 27, 도 45 및 도 5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도 52(a)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의 문자메시지 메뉴(M1)를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문자 메시지 입력모드를 설정하면(단계 S40),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이를 인식하고 문자 메시지 창이 표시 구동되도록 그래픽 카드(3400)를 제어한다(단계 S41).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 화면(4200)에는 도 5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 창(4450)이 표시된다(단계 S42).
그후, 이용자가 키보드와 같은 문자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전화번호를 도 52(b)의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창(4450A)에 입력하고 해당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메시지 입력 창(4450B)에 입력하면 CPU(3100)에 의하여 그래픽 카드(3400)가 구동 제어되어 그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 메시지가상기 문자 메시지 창(4450)에 표시된다(단계 S43~S44).
이때, 상기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는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의 제어회로(230B-3)의 제어하에 상기 그 데이터메모리(230I)에 저장됨과 더불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3600)에도 임시 저장된다.
그후, 이용자에 의하여 문자 메시지 전송 버튼(1060)이 조작되면 이를 제어회로(230B-3)가 인식하고 상기 저장된 상기 문자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처리회로(230H)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한다(단계 S47).
여기서, 상기 단계 S46 및 S47에서 문자 메시지 전송 버튼(1060)의 조작 없이 상기 입력된 문자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바로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에 대해, 바람직하게 노트북컴퓨터의 경우 상기 문자 메시지를 다 입력한 다음에 문자 메시지 전송 메뉴(4450C)를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문자메시지 전송모드를 설정하면, 이를 CPU(3100)가 인식하고 메모리(3600)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입력한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 메시지를 읽어내어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선두에는 본 데이터가 문자메시지전송 데이터임을 표시하기 위한 헤더가 포함된다.
이어,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를 통해서 상기 문자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수신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의 제어회로(230B-3)는 상기 문자 메시지 전송 데이터의 헤더를 분석하여 문자 메시지 전송 데이터임을 인식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메모리(230I)에 저장하고나서 그 데이터를 상기 휴대통신단말(30)에 전송한다(단계 S46).
상기 문자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30)은 그 헤더를 분석하여 문자 메시지임을 인식하고,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분리한 후,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48).
그후, 문자메시지가 전송완료 되었음을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에 통지한다(단계 S49).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완료 통지를 데이터변환처리회로(230H)를 통해서 수신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의 제어회로(230B-3)는 이를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20)(3000)으로 전송한다(단계 S50).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완료 통지를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의 CPU(3100)는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문자 메시지가 전송 완료되었음을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도 52(b)에 도시한 문자 메시지 창(4450)에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51∼S52).
다음으로, 도 48의 동작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도 22 내지 도 44에 도시한 전원공급 및 데이터 중계 장치를 휴대통신단말(30)과 컴퓨터 시스템(20)(3000)에 연결 접속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의 전화번호부를 갱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도 26, 도 27, 도 45 및 도 5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100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도 52(a)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의 전화번호부 정리 메뉴(M2)를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전화번호부 갱신모드를 설정하면(단계 S60),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이를 인식하고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전달해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출력한다(단계 S61).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를 통해서 상기 전화번호 정보 전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의 제어회로(230B-3)는 데이터메모리(230I)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읽어내어 상기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한다(단계 S62).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로부터의 전화번호 정보를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의 CPU(3100)는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전화번호 정보를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 정리 창(4460)에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63∼S64).
그후, 이용자가 키보드와 같은 문자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부 정리 창(4460)에 표시된 전화번호 목록을 수정 및 삭제하거나 또는 새로운 전화번호 목록을 입력하면 CPU(3100)에 의하여 그래픽 카드(3400)가 구동 제어되어 그 수정 및 삭제 또는 신규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 목록이 상기 전화번호부 정리 창(4460)에 표시된다(단계 S65∼S66).
이때, 상기 수정, 삭제 또는 신규 입력에 의하여 갱신된 전화번호 정보는 메모리(3600)에도 임시 저장된다.
그후, 상기 전화번호 정보를 다 갱신한 다음에 전화번호부 저장메뉴(4460A)를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갱신 전화번호 정보 저장 모드를 설정하면(단계 S67), 이를 CPU(3100)가 인식하고 메모리(3600)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갱신된 전화번호 정보를 읽어내어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로 전송한다(단계 S68).
이때,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선두에는 본 데이터가 전화번호 정보 갱신 데이터임을 표시하기 위한 헤더가 포함된다.
이러한 방식은 휴대통신단말(30)에 메모리된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를 휴대통신단말의 교체시 새로운 휴대통신단말에 이동시켜 저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적용해서 일일이 전화번호데이터베이스를 새로운 휴대통신단말에 저장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된다.
이어,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를 통해서 상기 전화번호 정보 갱신 데이터를 수신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의 제어회로(230B-3)는 상기 전화번호 정보 갱신 데이터의 헤더를 분석하여 전화번호 정보 갱신 데이터임을 인식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메모리(230I)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갱신한다(단계 S69).
그후,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의 제어회로(230B-3)는 상기 전화번호 정보가 갱신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한다(단계 S70).
상기 전화번호 정보 갱신완료 메시지를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의 CPU(3100)는 전화번호 정보 갱신완료 메시지를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전화번호부 정리 창(4460)에 표시하도록 한다(단계 S71∼S72).
다음으로, 도 48의 동작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도 22 내지 도 44에 도시한 전원공급 및 데이터 중계 장치를 휴대통신단말(30)과 컴퓨터 시스템(20)(3000)에 연결 접속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의 설정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도 26, 도 27, 도 45 및 도 5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휴대통신단말(30)에 설정된 제어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도 52(a)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메뉴(M3)를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갱신 모드를 설정하면(단계 S80),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이를 인식하고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요청메시지를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에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출력한다(단계 S81).
여기서 상기 메시지의 헤더에는 본 메시지가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요청 메시지임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의 제어회로(230B-3)는 이를 인식하고 데이터 변환처리회로(230H)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요청 메시지를 휴대통신단말(30) 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30)은 이 메시지를 인식하고 기 설정된 설정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읽어내어, 이 설정정보에 헤더를 붙인 휴대통신단말설정정보 메시지를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83).
여기서, 상기 헤더에는 본 메시지가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메시지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변환회로(230H)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의 제어회로(230B-3)는 이를 인식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84).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로부터의 휴대통신단말설정정보 메시지를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의 CPU(3100)는 메모리(3600)에 임시 저장하고,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 서브 메뉴(SM)를 도 5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하도록 한다.
그후, 사용자가 예를 들면 벨소리/진동/크기 메뉴를 선택하면 도 5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메뉴에 관련된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를 메모리(3600)에서 읽어와서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벨소리/진동/크기 설정 창(BW)을 구성하여 표시하도록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 제어한다(단계 S84A,S85).
여기서, 도 56(a)의 다른 서브 메뉴를 선택하여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해당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설정 창이 표시된다.
그후, 예를 들면 이용자가 상기 벨소리/진동/크기 설정 창(BW)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벨소리 설정 창(BW_1)의 벨소리 N을 다른 벨소리로 수정하려면 마우스와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벨소리 선택창(BW_2)의 우측에 있는 스크롤바를 이동하면서 벨소리를 탐색하고 소망하는 벨소리를 클릭하면 해당 벨소리가 벨소리 설정 창(BW1)에 설정되고, 그리고 벨/진동 선택에서 벨 선택 창(BW3)에 벨이 선택되어 있는 것으로 음영처리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진동으로 선택하려면 진동 선택창(BW4)을 클릭하면 벨선택 창(BW3)의 음영이 없어지고 진동 선택 창(BW4)에 음영이 표시되어 진동이 설정되며, 현재 설정되어 있는 벨 크기 설정 창(BW_5)의 Level N을 다른 레벨로 수정하려면 마우스와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레벨 선택창(BW_6)의 우측에 있는 스크롤바를 이동하면서 레벨를 탐색하고 소망하는 레벨을 클릭하면 해당 벨소리 크기가 벨 크기 설정 창(BW5)에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벨소리/진동/크기 설정 창(BW)에서 설정을 행한 다음에 확인 메뉴(BW7)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이것이 CPU(3100)에 의하여 인식되어 상기 설정된 내용이 메모리(3600)에 갱신 저장된다(단계 S86~S88).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 56(a)의 다른 서브 메뉴 선택하고 그 설정 내용을 변경하여 갱신하면 되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만을 위하여 그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통신단말의 설정 내용을 갱신한 다음에 사용자가 예를 들면 마우스를 이용하여 도 56(a)의 서브 메뉴의 마지막 메뉴인 저장 메뉴(SM_n)를 선택하면(단계 S89), 이를 CPU(3100)가 인식하고 상기 메모리(3600)에 갱신 저장된 휴대통신단말 설정 정보를 읽어내고 이 정보의 앞에 헤더를 붙여서 휴대통신단말 설정 갱신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로 전송한다(단계 S89).
이때, 상기 전송되는 메시지의 헤더에는 본 메시지가 휴대통신단말설정 갱신정보임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어,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 설정 갱신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의 제어회로(230B_3)는 상기 메시지의 헤더를 분석하여 휴대통신단말 설정 갱신정보임을 인식하고 이를 데이터변환처리회로(230H)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90).
상기 휴대통신단말 설정 갱신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30)은 그 헤더를 분석하여 설정 갱신 정보임을 인식하고, 상기 수신된 갱신정보를 새로운 설정정보로서 메모리에 갱신 저장한다(단계 S91).
이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은 설정정보의 갱신이 완료되었음을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에 통지한다(단계 S92). 상기 갱신완료 통지를 데이터변환처리회로(230H)를 통해서 수신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의 제어회로(230B_3)는 이를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한다(단계 S93).
상기 갱신확인 통지를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의 CPU(3100)는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의 갱신이 완료되었음을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도 56(a)에 도시한 창(4440)에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94~S95).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1 내지 제 33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에 대하여 도 57 내지 도 6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1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외관도이다.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40으로 표시된 키보드장치는 다수의 문자 및 수자의 입력을 위한 문자키 및 수자키와 특정한 기능의 설정을 위한 기능키가 갖추어진 조작패널(42)이 그 전면에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키보드장치(40)에는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어 키 스캔 전원을 인가받으면서 상기 조작패널(42)상에서 키조작이 발생되면 그 키조작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접속케이블(44)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키보드장치(40)에서 상기 조작패널(42)상에는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휴대통신단말(도 57에서 참조부호 30)을 통해 전송될 문자 메시지모드의 설정을 위한 문자 메시지 모드키(4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키보드장치(40)의 측면에는 휴대통신단말(30)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 잭(40C)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패널(42)상에는 상기 문자 메시지 모드키(48)에 의해 설정되는 문자 메시지 모드의 설정을 표시하기 위한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 소자(LED소자)로 이루어진 모드표시소자(48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패널(42)상에는 상기 문자 메시지 모드키(48)의 조작에 의해 키보드장치(40)가 문자메시지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그 조작패널(42)의 문자키 및 수자키에 의해 입력된 문자데이터를 상기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한 문자메시지 전송키(46)도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바, 그 문자메시지 전송키(46)는 휴대통신단말(30)에 의해 설정 가능한 메시지전송기능을 활용하게 되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게 된다.
또, 상기 조작패널(42)상에는 충전표시소자(40A,40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표시소자(40A,40B)는 상기 접속 잭(40C)에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매개로 휴대통신단말(30)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발광되는 예를 들면 2개의 발광다이오드(LED) 소자로서,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예를 들면 적색 LED소자와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예를 들면 녹색 LED소자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잭(40C)에는 휴대통신단말(30)과의 접속을 위한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가 접속되는데, 상기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는 상기 접속잭(40C)에 삽입· 접속되는 접속플러그(110A)와,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에 삽입·접속되는 접속플러그(130A) 및, 상기 접속플러그(110A,130A)를 연결하는 케이블(120A)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기종에 따라 상기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이 상이한 경우 상기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의 접속플러그(130A)의 전원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배선 구조를 변경하면 모든 휴대통신단말과의 호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휴대통신단말(30)의 기종에 따라 상기 접속잭(40C)과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다르게 설계해도 된다.
도 58은 도 5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1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의 내부 기능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장치(40)는 인터페이스(30)와, 정전압회로(31), 충전구동회로(34), 충전전압검출회로(34A), 충전표시구동회로(32), 충전표시소자(40A, 40B), 모드설정표시구동회로(33), 모드표시소자(48A), 상기 조작패널(42)의 다수의 키(문자키, 수자키 및 기능키)와 상기 문자메시지 모드키(48) 및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키(46)를 포함하는 조작패널(42),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 데이터변환처리회로(38), 메모리(38), 접속 잭(40C) 및, 제어회로(36)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30)는 상기 키보드장치(40)의 상기 컴퓨터 시스템 접속케이블(44)측에서 키 스캔 전원라인(V1), 접지라인(G), 클럭라인(C) 및 데이터라인(D)에 접속되고 조작패널(42)상에서의 문자키와 수자키 및 기능키의 조작에 대응하는 키 스캔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노트북형 컴퓨터 시스템 및 데스크탑형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장치가 접속되는 키보드접속 잭에는 외부적으로 접속되는 키보드장치의 키조작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키 스캔 전원(대략 5V)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정전압회로(31)는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접속 잭에 연결되는컴퓨터 시스템 접속케이블(44)의 접지라인(G) 및 키스캔 전원 라인(V1)을 통해서 입력되는 키 스캔 전원을 정류하여 안정화한 다음에 필요한 레벨의 전원을 출력한다.
상기 충전구동회로(34)는 상기 정전압회로(31)의 전원이 접속 잭(40A)에 접속되는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매개로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의 접지 핀(G)과 전원 핀(V2)으로 전달되어 휴대통신단말(30)에 동작전원 및 충전전원을 제공하여 미도시한 충전지가 충전되도록 한다.
상기 충전표시구동회로(32)는 상기 제어회로(36)의 제어에 따라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제 1충전표시소자(40A)와 충전완료를 표시하는 제 2충전표시소자(40B)를 구동하고, 상기 충전전압검출회로(35)는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지의 충전전압을 검출한다.
또, 상기 제어회로(36)는 상기 충전전압검출회로(34A)로부터의 검출전압에 근거하여 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상태(과충전상태) 및 충전부하단의 접속상태를 판단해서, 휴대통신단말(30)이 과충전상태가 아닌 경우 충전구동회로(34)를 제어하여 지속적으로 전원이 접속 잭(40C)에 접속되는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매개로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충전표시구동회로(40A,40B)를 제어하여 제 1충전표시소자(40A)만이 충전중임을 표시하도록 하고, 휴대통신단말(30)이 과충전상태인 경우 충전구동회로(34)를 제어하여 전원이 접속 잭(40C)을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으로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충전표시구동회로(32)를 제어하여 제2충전표시소자(40B)만이 충전완료상태임을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접속 잭(40C)에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매개로 휴대통신단말(30)이 접속되지 않은 경우 충전표시구동회로(32)를 제어하여 모든 표시소자(40A,40B)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회로(36)는 상기 조작패널(42)상에서의 문자키, 수자키 및 기능키의 조작에 대응하는 키스캔 데이터를 생성하여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와 인터페이스(30) 및 컴퓨터 시스템 접속케이블(44)을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키보드장치의 기본적인 제어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문자메시지 모드키(48)의 조작시에는 키보드장치(40)를 문자메시지 모드로 설정함과 더불어 모드설정표시구동회로(33)를 제어하여 상기 모드표시소자(48A)의 온(ON)구동을 행하는 제어와, 상기 문자메시지 모드에서 상기 조작패널(42)상에서의 키조작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37)에 일시 저장하는 제어와,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모드에서 메모리(37)에 저장 입력된 문자 메시지를 데이터변화처리회로(38)와 접속 잭(40A)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하기 위한 문자메시지 전송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상기 제어회로(36)에는 통상적인 키보드 모드에서 상기 조작패널(42)에서의 키조작에 대응하는 키스캔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30)와 컴퓨터 시스템 접속케이블(44)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키스캔데이터전달부(3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회로(36)에는 문자메시지모드의 설정시에 상기 조작패널(42)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7)가 접속됨과 더불어, 문자메시시 전송모드 설정시에 상기 제어회로(36)의 제어하에서 상기 메모리(37)에 저장된 문자데이터를 휴대통신단말(30)에서 인식 가능한 데이터형태로서 변환 처리하여 접속 잭(40C)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변환처리회로(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도 57 및 도 58에 도시한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이 전원온(ON)되는 경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 접속케이블(44)을 통해서는 키스캔 전원(V1)이 상기 인터페이스(30) 및 정전압회로(31)를 통해 상기 조작패널(42)측으로 인가되고, 그에 따라 그 조작패널(42)에서의 키조작이 상기 제어회로(36)에서 인지된다.
상기 제어회로(36)의 제어하에 인지된 키스캔 데이터가 상기 키스캔데이터전달부(39)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30)에 접속된 컴퓨터 시스템 접속케이블(44)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장치(모니터)상에 상기 키조작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키스캔 전원(V1)은 정전압회로(31)에 의하여 안정화 처리된 후에 충전구동회로(34)와 접속 잭(40C)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동작전원 및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의 충전전원으로 공급된다.
또, 상기 조작패널(42)상에서 상기 문자메시지 모드키(48)가 조작되면 상기 제어회로(36)는 키보드장치(40)를 문자메시지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조작패널(42)에서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모드표시소자(48A)를 점등시켜 문자메시지모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작패널(42)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를 메모리(37)에 저장하도록 하고, 그후 문자 메시지 전송키(46)가 조작되면 상기 메모리(37)에 저장된 문자데이터를 데이터변환처리회로(38)에서 휴대통신단말(30)에서 인식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접속 잭(40A)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30)측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LCD패널에는 상기 조작패널(42)을 통하여 입력된 문자데이터가 그대로 표시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30)에 부가된 메시지전송기능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키보드장치(40)에서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그 휴대통신단말(30)에 의해 지정된 문자메시지 수신처로 전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작패널(42)상에 문자메시지 전송키(46)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메시지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패널(42)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는 상기 제어회로(36)의 제어하에서 상기 데이터변환처리부(38)에서 휴대통신단말(30)에서 인식가능한 형태로 변환처리된 다음에 접속 잭(40C)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30)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LCD패널에는 상기 조작패널(42)을 통하여 입력된 문자데이터가 그대로 표시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30)에 부가된 메시지전송기능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키보드장치(40)에서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그 휴대통신단말(30)에 의해 지정된 문자메시지 수신처로 전송될 수 있게 된다.
도 59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 31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57과 도 58에 도시된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는 상기 키스캔 전원(V1)이 직접 휴대통신단말(30)의 충전에 적용되면서 상기 조작패널(42)의 키스캔 전원으로 인가되는 구성으로, 그 경우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전원온(ON)된 상태에 가능한 것이지만, 도 59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이 전원온(ON)된 상태에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수단으로서 충전배터리(50)(예를 들 대용량의 캐패시터 또는 재충전가능한 충전배터리)와, 상기 충전배터리(50)에 정전압회로(31)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구동회로(34B)와, 상기 정전압회로(31)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공급전압검출회로(35A)가 더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제어회로(36)는 공급전압검출회로(35A)의 전압검출결과에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오프(OFF) 상태를 검출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오프시에 상기 충전배터리(50)의 충전전원이 키보드장치(40)의 전체적인 동작전원으로 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휴대통신단말(30) 측으로의 동작전원 및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오프시에도 휴대통신단말에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회로(36)의 제어하에서 키보드장치(40)가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문자메시지처리를 위한 제어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0과 도 6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2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2실시예는 도 59의 키보드장치와 비교하여 볼때 충전배터리(50)에 대한 충전전원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조작패널(42)상에는 광전변환소자(바람직하게 태양전지)(또는 열전변환소자)(60A)가 설치되어 있고, 그 광전변환소자(60A)에서 얻어지는 전원신호를 안정된 전원신호로 변환하여 충전구동회로(34B)로 전달하는 광전변환부(65A)가 더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도 60과 도 61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온/오프(ON/OFF)에 무관하게 상기 광전변환소자(60A)에 의해 얻어진 전원이 상기 충전지(50)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해당하는 키보드장치(40)가 상기 휴대통신단말(20)에의 전원공급 및 문자메시지 입력을 위한 키보드장치로서 적용가능하게 된다.
도 62 및 도 6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3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광전변환소자(60)를 대신하여 AC전원을 소정의 전압(DC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어댑터장치(70A)의 접속을 위한 어댑터접속포트(4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장치(70A)는 통상적인 어댑터장치와 마찬가지로 교류전원에 접속하기 위한 전원플러그(72A), 제 1전원 케이블(74A), 상기 교류전원을 일정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블럭(76A), 제 2케이블(74B) 및 상기 어댑터접속포트(72)에 삽입· 접속되는 키보드 접속플러그(78A)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접속포트(47)에는 스위치회로(47A)가 설치되고, 정전압회로(31)에는 공급전압을 검출하는 공급전압검출회로(35A)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회로(36)는 상기 공급전압검출회로(35A)의 전압검출결과에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오프(OFF) 상태를 검출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오프시에 상기 어댑터장치(70A)로부터의 어댑터전원이 키보드장치(40)의 전체적인 동작전원으로 제공되도록 함과 동시에 휴대통신단말(30) 측으로의 동작전원 및 충전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의 전원 오프시에도 휴대통신단말에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회로(36)의 제어하에서 키보드장치(40)가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문자메시지처리를 위한 제어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1 내지 제 33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6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키보드장치(40)의 접속 잭(40A)과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데이터입출력 잭(35)에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삽입·접속한 상태에서, 제어회로(36)는 문자메시지 모드키(48)가 조작되어 문자메시지 모드가 설정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00).
이때, 문자메시지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회로(36)는 문자메시지 모드 표시소자(48A)를 오프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작동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101).
그후, 상기 제어회로(36)는 조작패널(42)로부터의 키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키입력에 대응하는 키스캔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키스캔 데이터전달회로(39)로 출력함으로써, 키스캔 데이터가 인터페이스(30)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으로 인가되도록 하는 통상의 키보드 동작상태를 유지한다(단계 S102~S103).
한편, 상기 단계 S100에서 문자메시지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회로(36)는 문자메시지 모드 표시소자(48A)를 온상태로 구동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비작동상태로 만들도록 제어한다(단계 S104).
그후, 상기 제어회로(36)는 조작패널(42)로부터의 키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키입력에 대응하는 키스캔 데이터를 생성하여 메모리(37)에 저장하도록 한다(단계 S105~S106).
이어, 상기 제어회로(36)는 문자메시지 전송키(46)가 조작되어 문자메시지 전송모드가 설정되는지를 확인하여(단계 S107), 문자메시지 전송모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회로(36)는 문자데이터 전송승인요청 메시지를 데이터변환처리회로(36), 접속잭(40C)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한다(단계 S108).
이어, 상기 제어회로(36)는 상기 휴대통신단말(30)로부터 상기 데이터변환처리회로(36)를 통해서 문자데이터 전송요청 승인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단계 S109), 수신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37)에 저장된 문자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데이터변환처리회로(36), 접속잭(40C)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한다(단계 S110). 그후, 상기 제어회로(36)는 문자데이터 전송완료 메시지를 데이터변환처리회로(36), 접속잭(40C)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하고(단계 S111), 상기 휴대통신단말(30)로부터 상기 데이터변환처리회로(36)를 통해서 문자데이터 수신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문자메시지 전송모드를 종료한다(단계 S112).
한편, 도 64의 흐름에서는 조작패널(42)상에 문자메시지 전송키(46)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경우의 제어흐름이고, 상기 조작패널(42)상에 문자메시지 전송키(46)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문자메시지처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패널(42)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는 상기 제어회로(36)의 제어하에서 상기 데이터변환처리부(38)에서 휴대통신단말(30)에서 인식가능한 형태로 변환처리된 다음에 접속 잭(40C)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30)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의 LCD패널에는 상기 조작패널(42)을 통하여 입력된 문자데이터가 그대로 표시되고, 이용자가 상기 휴대통신단말(30)에 부가된 메시지전송기능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키보드장치(40)에서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그 휴대통신단말(30)에 의해 지정된 문자메시지 수신처로 전송될 수 있게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1 내지 제 33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를 컴퓨터 시스템과 연계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5는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장치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공급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키보드장치를 문자메시지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조작패널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입력할 때 그 입력된 문자메시지를 컴퓨터 시스템(30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시스템(3000)과 본 발명의 키보드 장치(40) 사이에서 문자메시지 데이터신호에 대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본 발명의 장치를 구매하면 휴대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면 플러피 디스크(FD)나 콤팩트 디스크(CD)에 기록하여 구매자에게 공급하며, 그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는 본 발명 키보드장치를 공급하는 공급자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입수한 키보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휴대가능한 기록매체(CD 또는 FD)를 컴퓨터 시스템(3000)의 플러피 디스크 드라이버(3700) 또는 CD-ROM 드라이버(3800)에 삽입한 후,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은 설치동작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 66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저장된 휴대용 기록매체(CD 또는 FD)를 컴퓨터 시스템(3000)의 플러피 디스크 드라이버(3700) 또는 CD-ROM 드라이버(3800)에 삽입하면, 컴퓨터 시스템(3000)에 탑재된 윈도우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 설치 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 표시되도록 CPU(3100)가 그래픽 카드(3400)를 제어한다.
그후, 이용자가 키보드장치(40) 또는 마우스장치를 이용하여 설치 초기화면의 설치 메뉴를 선택하면(단계 S120), CPU(3100)은 상기 키보드 장치 또는 마우스장치의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기록매체(FD 또는 CD)가 삽입된 드라이버 장치(3700 또는 3800)를 구동 제어하여 해당 설치 소프트웨어를 구동함과 동시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버(3500)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기록매체(FD 또는 CD)에 저장된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3500A)의 빈 저장영역에 기록하도록 한다(단계 S121).
이어서, 해당 설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CPU(3100)는 메시지창을 윈도우 시작과 동시에 구동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 표시하도록 그래픽카드(3400)를 제어한다.
그후, CPU(3100)는 사용자가 키보드 장치 또는 마우스 장치에 의하여 선택되는 입력 내용을 확인한다(단계 S122∼S123).
그후, 상기 CPU(3100)는 사용자가 윈도우의 시작과 동시에 메시지창의 구동을 선택한 것으로 확인한 경우 해당 설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해당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프로그램 정보(예를 들면 autoexec.bat 파일과 config.sys 파일)를 갱신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과 동시에 메시지창이 구동될 수 있도록 설정하고(단계 S124), 그 반면에 상기 CPU(3100)는 사용자가 윈도우의 시작과 동시에 메시지창의 구동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이를 인식하고 시작프로그램 정보를 변경하지 않고 다음의 단계로 진행한다(단계 S125).
다음에,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의 설치가 완료되면, 해당 설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CPU(3100)는 설치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고 시스템을 재기동하라는 메시지 화면을 그래픽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의화면(4100)에 표시하도록 한다(단계 S126).
그후,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의 새로시작을 요청하면 상기 CPU(3100)는 컴퓨터 시스템을 종료한 다음에 다시 컴퓨터 시스템을 기동하고 윈도우를 구동한다(단계 S127).
이어, 상기 단계 S124 또는 S125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로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구동한다(단계 S128).
즉, 상기 단계 S124에서 해당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프로그램 정보를 갱신하였으면 시작프로그램 정보(예를 들면 autoexec.bat 파일과 config.sys 파일)에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과 동시에 메시지 창을 구동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서 작업표시줄의 소정 부위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6의 동작에 의하여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장치(40)를 휴대통신단말(30)과 컴퓨터 시스템(3000)에 연결 접속한 상태에서의 동작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도 57, 도 58, 도 65 및 도 6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키보드 장치(40)에서 문자 메시지 모드키(48)를 조작하지 않은 일반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조작패널(42)의 키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회로(36)는 해당 키입력에 대응하는 키 스캔 데이터를 키스캔 데이터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단계 S130~S131).
이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상기 입력되는 키스캔 데이터를 인식하고 해당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 표시하도록 그래픽카드(3400)를 제어한다(단계 S132,S133).
한편, 이용자가 키보드 장치(40)의 문자 메시지 모드키(48)를 조작하여 문자메시지 처리모드가 설정되면, 제어회로(36)는 문자메시지 처리모드의 설정상태를 키스캔 데이터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단계 S134).
이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이를 인식하고 문자 메시지 창이 표시 구동되도록 그래픽 카드(3400)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는 문자 메시지 창(4400)이 표시된다(단계 S134A, S135).
그후, 이용자가 키보드장치(40)의 조작패널(42)의 키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회로(36)는 해당 키입력에 대응하는 키 스캔 데이터를 키스캔 데이터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단계 S136).
이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상기 입력되는 키스캔 데이터를 인식하고 해당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 표시된 문자메시지 창(4400)에 표시하도록 그래픽카드(3400)를 제어한다(단계 S127,S138).
이와 동시에, 제어회로(36)는 상기 조작패널(42)의 키입력에 대응하는 키 스캔 데이터를 메모리(37)에도 저장하도록 한다(단계 S139).
이어서, 이용자가 키보드 장치(40)의 문자 메시지 전송키(46)를 조작하여 문자메시지 전송모드가 설정되면, 제어회로(36)는 문자메시지 전송모드의 설정상태를키스캔 데이터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단계 S140).
이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이를 인식하고 문자메시지 창에 문자메시지 전송모드 설정을 표시 구동되도록 그래픽 카드(3400)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의 문자 메시지 창(4400)에 문자메시지 전송모드 설정이 표시된다(단계 S141, S142).
이와 동시에, 제어회로(36)는 휴대통신단말(30)과 통신모드를 설정하기 위하여 문자데이터 전송승인요청 메시지를 데이터변환처리회로(36), 접속잭(40A)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한다(단계 S143).
이어, 상기 문자데이터 전송승인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30)은 키보드장치(40)와의 통신모드를 설정하고 문자데이터 전송요청 승인메시지를 키보드 장치(40)로 전송한다(단계 S144).
그후, 상기 키보드장치(40)의 제어회로(36)는 상기 휴대통신단말(30)로부터 상기 데이터변환처리회로(36)를 통해서 문자데이터 전송요청 승인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37)에 저장된 문자메시지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데이터변환처리회로(36), 접속잭(40A)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한다(단계 S145).
이어, 상기 문자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30)은 메시지 수신확인통지메시지를 키보드장치(40)로 전송한다(단계 S146, S147).
그후, 상기 메시지 수신확인통지메시지를 수신한 키보드 장치(40)의 제어회로(36)는 그 내용을 키스캔 데이터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단계 S148).
이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이를 인식하고 문자 메시지 창에 문자메시지 전송모드 설정을 표시 구동되도록 그래픽 카드(3400)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의 문자 메시지 창(4400)에 문자메시지 전송모드 설정이 표시된다(단계 S149, S150).
이어서, 이용자가 상기 휴대통신단말(30)에 부가된 메시지전송기능을 조작하여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전송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키보드장치(40)에서 입력된 문자메시지가 상기 지정된 문자메시지 수신처로 전송된다(단계 S151).
상기한 제 31 내지 제 33 실시예들에서는 키보드장치가 컴퓨터 시스템과 분리된 데스크탑 컴퓨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키보드장치와 컴퓨터 시스템이 일체로 설계된 노트북컴퓨터의 키보드구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 상기한 제 31 내지 제 33 실시예들에서는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가 키보드장치와 분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접속장치가 키보드장치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제 31 내지 제 33 실시예들에서는 휴대통신단말의 충전과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휴대통신단말 뿐만 아니라 휴대용 오디오재생장치(MP3플레이어, 휴대용 컴팩트 디스프 플레이어,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와 스피커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만을포함하는 키보드장치도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한 문자메시지 전송기능에 대해서는 상기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1000)에 키보드를 연결하여 그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를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을 통해 직접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도 본 발명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4 내지 제 35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에 대하여 도 68 내지 도 7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4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춘 키보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외관도이다.
본 제 34실시예는 도 57의 제 3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조작패널(42)상에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휴대통신단말 제어모드의 설정을 위한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키(4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패널(42)상에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키(48)에 의해 설정되는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의 설정을 표시하기 위한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 소자(LED소자)로 이루어진 모드표시소자(48A')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69는 도 6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4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의 내부 기능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장치(40)는 인터페이스(30)와, 정전압회로(31), 충전구동회로(34), 충전전압검출회로(34A), 충전표시구동회로(32), 충전표시소자(40A, 40B), 모드설정표시구동회로(33), 모드표시소자(48A), 상기조작패널(42)의 다수의 키(문자키, 수자키 및 기능키)와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키(48) 및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키(46)를 포함하는 조작패널(42),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 데이터변환처리회로(38), 메모리(37), 접속 잭(40C) 및, 제어회로(36)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8의 제 3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휴대통신단말 제어모드키(48')와 모드표시소자(48A'), 제어회로(36) 및 메모리(37)의 기능이 상이하고, 그 이외의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어회로(36)는 상기 조작패널(42)상에서의 문자키, 수자키 및 기능키의 조작에 대응하는 키스캔 데이터를 생성하여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와 인터페이스(30) 및 컴퓨터 시스템 접속케이블(44)을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키보드장치의 기본적인 제어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키(48)의 조작시에는 키보드장치(40)를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로 설정함과 더불어 모드설정표시구동회로(33)를 제어하여 상기 모드표시소자(48A)의 온(ON)구동을 행하는 제어와,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에서 도 72 내지 도 56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제어와,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모드에서 컴퓨터 시스템에서 처리된 문자메시지를 데이터변화처리회로(38)와 접속 잭(40C)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하기 위한 문자메시지 전송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상기 제어회로(36)에는 통상적인 키보드 모드에서 상기 조작패널(42)에서의 키조작에 대응하는 키스캔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30)와 컴퓨터 시스템 접속케이블(44)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키스캔데이터전달부(39)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회로(36)에는 문자메시시 전송모드 설정시에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문자 메시지를 휴대통신단말(30)에서 인식 가능한 데이터형태로서 변환 처리하여 접속 잭(40C) 및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변환처리회로(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키(48')의 조작시에는 휴대통신단말(30)에 대한 문자메시지전송이라든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설정 정보(예컨대 전화번호 등록/변경/소거/새로운 휴대통신단말로의 이동저장, 벨소리/진동/크기, 스케쥴관리, 알람설정 등)의 제어 및 그 휴대통신단말(30)에 도래되는 발신자정보의 시각적인 표시제어신호의 발생과 그 발신자정보의 상세 정보 제공기능을 제어하게 된다.
또, 상기 제어회로(32)는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의 설정시에 상기 조작패널(42)로부터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라든지 상기 휴대통신단말(30)에서 전달되는 문자메시지데이터 및 발신자정보, 상기 휴대통신단말(30)에 등록되는 전화번호 데이터가 임시 저장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상세 전화번호 정보(성명, 전화번호, 집전화번호, 사무실전화번호, 팩스번호, 휴대통신단말 번호 등)가 저장되는 메모리(37)가 접속되어 있다.
도 7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5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춘 키보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외관도이고, 도 71은 도 6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의 내부 회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 35실시예는 상기한 제 34실시예와 비교하여볼 때, 데이터변화처리회로(115)가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B)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고 그 이외는 제 34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휴대통신단말(30)의 기종에 따라 데이터변환회로의 프로그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데이터변환회로(115)를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B)를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B)에 설치하면 휴대통신단말(30)의 기종에 따라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B)를 생산해놓으면 동일한 키보드장치(40)에 대하여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B)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모든 휴대통신단말(30)을 호환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춘 키보드장치를 컴퓨터 시스템과 연계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2는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춘 키보드장치를 휴대통신단말과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한 상태에서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장치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30)의 전원공급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휴대통신단말(30)에서 부가적으로 휴대통신단말(30)에서 수신한 단문문자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에 의한 문자메시지를 컴퓨터 시스템(30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에 표시하는 기능, 또 휴대통신단말(30)에서 수신한 발신자 정보(Caller ID)를 컴퓨터 시스템(300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에 표시하는 기능, 컴퓨터 시스템(3000)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30)의 문자메시지서비스에 의한 문자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기능, 각종 휴대통신단말(30)의 기능모드를 컴퓨터 시스템(3000)을 이용하여 설정하는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시스템(3000)과,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40) 및, 휴대통신단말(30) 사이에서 상호간의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에 대한 인터페이스 호환을 위한 소프트웨어, 그리고 컴퓨터 시스템과 본 발명 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본 발명의 장치를 구매하면 휴대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면 플러피 디스크(FD)나 콤팩트 디스크(CD)에 기록하여 구매자에게 공급하며, 그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는 본 발명 장치를 공급하는 공급자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입수한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저장된 휴대가능한 기록매체(CD 또는 FD)를 컴퓨터 시스템(3000)의 플러피디스크 드라이버(3700) 또는 CD-ROM 드라이버(3800)에 삽입한 후,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은 설치동작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 73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저장된 휴대용 기록매체(CD 또는 FD)를 컴퓨터 시스템(3000)의 플러피 디스크 드라이버(3700) 또는 CD-ROM 드라이버(3800)에 삽입하면, 컴퓨터 시스템(3000)에 탑재된 윈도우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으로 도 49(a)와 같은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 설치 초기 화면이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 표시되도록 CPU(3100)가그래픽 카드(3400)를 제어한다.
그후, 이용자가 키보드장치(40) 또는 마우스장치(80)를 이용하여 상기 도 49(a)의 설치 초기화면의 설치 메뉴를 선택하면(단계 S200), CPU(3100)은 상기 키보드 장치 또는 마우스 장치의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기록매체(FD 또는 CD)가 삽입된 드라이버 장치(3700 또는 3800)를 구동 제어하여 해당 설치 소프트웨어를 구동함과 동시에 하드디스크 드라이버(3500)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기록매체(FD 또는 CD)에 저장된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3500A)의 빈 저장영역에 기록하도록 한다(단계 S201).
이어서, 해당 설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CPU(3100)는 도 4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을 윈도우 시작과 동시에 구동할 것인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 표시하도록 그래픽카드(3400)를 제어한다.
그후, 사용자가 키보드 장치 또는 마우스 장치에 의하여 도 49(b)의 화면에서 "예" 또는 "아니오"의 선택 입력하면 CPU(3100)는 그 입력을 확인한다(단계 S202~S203).
그후, 상기 CPU(3100)는 사용자가 "예"를 선택한 것으로 확인한 경우 해당 설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해당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프로그램 정보(예를 들면 autoexec.bat 파일과 config.sys 파일)를 갱신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이 구동될 수 있도록 설정하고(단계 S204),그 반면에 상기 CPU(3100)는 사용자가 "아니오"를 선택한 경우 이를 인식하고 시작프로그램 정보를 변경하지 않고 다음의 단계로 진행한다(단계 S205).
다음에, 휴대 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의 설치가 완료되면, 해당 설치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CPU(3100)는 설치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고 시스템을 재기동하라는 메시지 화면을 그래픽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100)에 표시하도록 한다(단계 S206).
그후,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의 새로시작을 요청하면 상기 CPU(3100)는 컴퓨터 시스템을 종료한 다음에 다시 컴퓨터 시스템을 기동하고 윈도우를 구동한다(단계 S207).
이어, 상기 단계 S204 또는 S205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로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구동한다(단계 S208).
즉, 상기 단계 S204에서 해당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프로그램 정보를 갱신하였으면 시작프로그램 정보(예를 들면 autoexec.bat 파일과 config.sys 파일)에 따라서 컴퓨터 시스템의 시작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을 구동하여, 도 4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바탕화면 아이콘(ICON)과 작업표시줄(42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서 작업표시줄(4220)의 소정 부위에 아이콘(4220) 형태로 표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73의 동작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40)를 휴대통신단말(30)과 컴퓨터 시스템(3000)에 연결 접속하고,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키(38')를 조작할때의 동작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도 68, 도 69, 도 72 및 도 7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키보드장치(40)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키(48')을 조작하면, 제어회로(36)는 이를 인식하여 모드설정 표시구동회로(33)를 구동하여 모드설정 표시소자(48A')가 발광 표시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220).
그후, 제어회로(36)는 휴대통신단말과의 통신모드를 설정하고 통신모드설정요청을 데이터 변환처리회로(38)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함과 동시에, 컴퓨터 시스템(3000)과의 통신모드를 설정하고 통신모드 설정요청을 키스캔 데이터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한다(단계 S221).
이어, 상기 통신모드 설정요청을 수신한 휴대통신단말(30)에서는 상기 키보드장치(40)와의 통신모드를 설정한다(단계 S222).
그리고, 상기 통신모드 설정요청을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상기 키보드장치(40)와의 통신모드를 설정하고(단계 S223),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을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컴퓨터 시스템(3000)의 기동과 함께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드라이브 프로그램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CPU(310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버(3500)를 구동하여 하드디스크(3500A)의 소정 영역에 기 설치 저장된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그래픽 카드(34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의 소정 부위에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 반면, 컴퓨터 시스템(3000)의 기동과 함께 휴대통신단말 제어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도 4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이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에서 작업표시줄(4220)의 소정 부위에 아이콘(4220)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CPU(3100)는 메모리(3600)에 상주되어 있는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 표시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그래픽 카드(340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화면(4200)의 소정 부위에 휴대통신단말 제어창(4400)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224~S225).
이와 같이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이 표시된 상태에서, 휴대통신단말(30)에 발신자 정보(Caller ID; 즉,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은 그 발신자 정보를 키보드장치(40)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226).
즉, 상기 발신자 정보는 데이터 라인(35D)과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을 통하여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 및 접속 잭(40A)을 통하여 데이터변환처리회로(38)에 전달되고, 이 데이터변환처리회로(38)에서는 컴퓨터 시스템(3000)에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된 발신자 정보 데이터를 제어회로(36)에 인가한다.
상기 제어회로(36)는 메모리(37)를 탐색하여 상기 발신자정보의 발신자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전화번호가 있으면 그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의 상세 정보데이터(예를 들면 성명, 회사명, Fax 번호 등)를 읽어와서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한다(단계 S227).
그후, 상기 키보드장치(40)로부터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발신자의 상세 정보 데이터에 대하여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228).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 화면(4200)의 휴대통신단말 제어창(4400)에 상기 발신자 정보와 함께 그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단계 S229).
여기서, 상기 단계 S227에서 키보드장치(40)의 제어회로(36)가 발신자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상세 정보를 찾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휴대통신단말(30)로부터 수신한 발신자 정보만을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출력하고 컴퓨터 시스템(3000)은 그 수신한 발신자 정보만을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발신자 정보만을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휴대통신단말(30)에 단문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단문 문자 메시지를 키보드장치(40)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230).
즉, 상기 단문 문자 메시지는 데이터 라인(35D)과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35)을 통하여 휴대통신단말 접속장치(100A) 및 접속 잭(40A)을 통하여 데이터변환처리회로(38)에 전달되고, 이 데이터변환처리회로(38)에서는 컴퓨터 시스템(3000)에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된 단문 문자 메시지가 제어회로(36)에 인가된다.
상기 제어회로(36)는 단문 문자 메시지를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단계 S231).
그후, 상기 키보드장치(40)로부터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단문 문자 메시지에 대하여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232).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 화면(4200)의 휴대통신단말 제어창(4400)에 단문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단계 S233).
다음으로, 도 73의 동작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키보드장치(40)를 휴대통신단말(30)과 컴퓨터 시스템(3000)에 연결 접속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도 68, 도 69, 도 72 및 도 7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도 52(a)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의 문자메시지 메뉴(M1)를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문자 메시지 입력모드를 설정하면(단계 S240),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이를 인식하고 문자 메시지 창이 표시 구동되도록 그래픽 카드(3400)를 제어한다(단계 S241).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 화면(4200)에는 도 5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메시지 창(4450)이 표시된다(단계 S242).
그후, 이용자가 키보드와 같은 문자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상대방 전화번호를 도 52(b)의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창(4450A)에 입력하고 해당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메시지 입력창(4450B)에 입력하면 CPU(3100)에 의하여 그래픽 카드(3400)가 구동 제어되어 그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 메시지가 상기 문자 메시지 창(4450)에 표시된다(단계 S243~S244).
이때, 상기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는 메모리(3600)에도 임시저장된다.
여기서, 문자메시지는 키보드장치(40)의 조작패널(42)에 의하여 입력될 수도 있고 또는 노트북 컴퓨터인 경우 자체 키보드에 의하여 입력된다.
그후, 문자 메시지를 다 입력한 다음에 문자 메시지 전송 메뉴(4450C)를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문자메시지 전송모드를 설정하면, 이를 CPU(3100)가 인식하고 메모리(3600)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입력한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 메시지를 읽어내어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키보드장치(40)로 전송한다(단계 S245).
이때,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선두에는 본 데이터가 문자메시지 전송 데이터임을 표시하기 위한 헤더가 포함된다.
이어, 데이터 송수신회로(230G)를 통해서 상기 문자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수신한 키보드장치(40)의 제어회로(36)는 상기 문자 메시지 전송 데이터의 헤더를 분석하여 문자 메시지 전송 데이터임을 인식하고 이를 메모리(37)에 임시 저장한다(단계 S246).
그후, 이용자에 의하여 문자 메시지 전송 키(46)이 조작되면 이를 제어회로(36)가 인식하고 상기 저장된 상기 문자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처리회로(38)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한다(단계 S247).
여기서, 상기 단계 S246 및 S247에서 문자 메시지 전송 키(46)의 조작 없이 상기 입력된 문자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바로 휴대통신단말(30)로 전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문자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30)은 그 헤더를 분석하여 문자 메시지임을 인식하고,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전송할 문자 메시지를 분리한 후, 상기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48).
그후, 문자메시지가 전송완료 되었음을 키보드장치(40)에 통지한다(단계 S249).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완료 통지를 데이터변환처리회로(38)를 통해서 수신한 키보드장치(40)의 제어회로(36)는 이를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한다(단계 S250).
상기 문자메시지 전송완료 통지를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의 CPU(3100)는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문자 메시지가 전송 완료되었음을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도 52(b)에 도시한 문자 메시지 창(4450)에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251~S252).
다음으로, 도 73의 동작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본 발명의 키보드 장치를 휴대통신단말(30)과 컴퓨터 시스템(3000)에 연결 접속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키보드 장치(40)의 전화번호부를 갱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도 68, 도 69, 도 76 및 도 5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키보드장치(4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도 52(a)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의 전화번호부정리 메뉴(M2)를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전화번호부 갱신모드를 설정하면(단계 S260),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이를 인식하고 상기 키보드장치(40)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전달해줄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출력한다(단계 S261).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통해서 상기 전화번호 정보 전달 요청메시지를 수신한 키보드장치(40)의 제어회로(36)는 메모리(37)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읽어내어 상기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한다(단계 S262).
상기 키보드장치(40)로부터의 전화번호 정보를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의 CPU(3100)는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상기 전화번호 정보를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부 정리 창(4460)에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263∼S264).
그후, 이용자가 키보드와 같은 문자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부 정리 창(4460)에 표시된 전화번호 목록을 수정 및 삭제하거나 또는 새로운 전화번호 목록을 입력하면 CPU(3100)에 의하여 그래픽 카드(3400)가 구동 제어되어 그 수정 및 삭제 또는 신규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 목록이 상기 전화번호부 정리 창(4460)에 표시된다(단계 S265~S266).
이때, 상기 수정, 삭제 또는 신규 입력에 의하여 갱신된 전화번호 정보는 메모리(3600)에도 임시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 목록의 수정, 삭제, 신규 입력은 키보드장치(40)의 조작패널(42)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노트북 컴퓨터인 경우 자체 키보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후, 상기 전화번호 정보를 다 갱신한 다음에 전화번호부 저장메뉴(4460A)를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갱신 전화번호 정보 저장 모드를 설정하면(단계 S267), 이를 CPU(3100)가 인식하고 메모리(3600)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갱신된 전화번호 정보를 읽어내어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키보드장치(40)로 전송한다(단계 S268).
이때,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의 선두에는 본 데이터가 전화번호 정보 갱신 데이터임을 표시하기 위한 헤더가 포함된다.
이어,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통해서 상기 전화번호 정보 갱신 데이터를 수신한 키보드장치(40)의 제어회로(36)는 상기 전화번호 정보 갱신 데이터의 헤더를 분석하여 전화번호 정보 갱신 데이터임을 인식하고 이를 이용하여 메모리(37)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갱신한다(단계 S269).
그후, 키보드장치(40)의 제어회로(36)는 상기 전화번호 정보가 갱신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한다(단계 S270).
상기 전화번호 정보 갱신완료 메시지를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의 CPU(3100)는 전화번호 정보 갱신완료 메시지를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전화번호부 정리 창(4460)에 표시하도록 한다(단계 S271∼S272).
다음으로, 도 73의 동작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 구동 드라이브 프로그램을 설치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본 발명의 키보드 장치(40)를 휴대통신단말(30)과컴퓨터 시스템(3000)에 연결 접속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의 설정 제어정보를 갱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도 68, 도 69, 도 72, 도 77 및 도 5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휴대통신단말(30)에 설정된 제어정보를 갱신하기 위하여 도 52(a)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4400)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메뉴(M3)를 입력장치로서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여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갱신 모드를 설정하면(단계 S280), 컴퓨터 시스템(3000)의 CPU(3100)는 이를 인식하고 휴대통신단말(30)에게 설정정보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는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요청 메시지를 키보드장치(40)에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출력한다(단계 S281).
여기서 상기 메시지의 헤더에는 본 메시지가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요청메시지임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키보드장치(40)의 제어회로(36)는 이를 인식하고 데이터 변환처리회로(38)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요청 메시지를 휴대통신단말(30) 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30)은 이 메시지를 인식하고 기 설정된 설정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읽어내어, 이 설정정보에 헤더를 붙인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메시지를 상기 키보드장치(40)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283).
여기서, 상기 헤더에는 본 메시지가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메시지임을 표시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데이터변환처리회로(38)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키보드장치(40)의 제어회로(36)는 이를 인식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메시지를 상기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284).
상기 키보드장치(40)로부터의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 메시지를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의 CPU(3100)는 메모리(3600)에 임시 저장하고,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 서브 메뉴(SM)를 도 5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하도록 한다.
그후, 사용자가 예를 들면 벨소리/진동/크기 메뉴를 선택하면 도 5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메뉴에 관련된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를 메모리(3600)에서 읽어와서 해당 메뉴에 대응하는 벨소리/진동/크기 설정창(BW)을 구성하여 표시하도록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 제어한다(단계 S284A, S285).
여기서, 도 56(a)의 다른 서브 메뉴를 선택하여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해당 서브 메뉴에 대응하는 설정 창이 표시된다.
그후, 예를 들면 이용자가 상기 벨소리/진동/크기 설정 창(BW)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벨소리 설정 창(BW_1)의 벨소리 N을 다른 벨소리로 수정하려면 마우스와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벨소리 선택창(BW_2)의 우측에 있는 스크롤바를 이동하면서 벨소리를 탐색하고 소망하는 벨소리를 클릭하면 해당 벨소리가 벨소리 설정창(BW1)에 설정되고, 그리고 벨/진동 선택에서 벨 선택 창(BW3)에 벨이 선택되어 있는 것으로 음영처리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진동으로 선택하려면 진동 선택창(BW4)을 클릭하면 벨선택 창(BW3)의 음영이 없어지고 진동 선택 창(BW4)에 음영이 표시되어 진동이 설정되며, 현재 설정되어 있는 벨 크기 설정 창(BW_5)의 Level N을 다른 레벨로 수정하려면 마우스와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레벨선택창(BW_6)의 우측에 있는 스크롤바를 이동하면서 레벨를 탐색하고 소망하는 레벨을 클릭하면 해당 벨소리 크기가 벨 크기 설정 창(BW5)에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벨소리/진동/크기 설정 창(BW)에서 설정을 행한 다음에 확인 메뉴(BW7)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이것이 CPU(3100)에 의하여 인식되어 상기 설정된 내용이 메모리(3600)에 갱신 저장된다(단계 S286~S288).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 56(a)의 다른 서브 메뉴 선택하고 그 설정 내용을 변경하여 갱신하면 되며, 여기서는 설명의 간략화만을 위하여 그에 대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통신단말의 설정 내용을 갱신한 다음에 사용자가 예를 들면 마우스를 이용하여 도 56(a)의 서브 메뉴의 마지막 메뉴인 저장메뉴(SM_n)를 선택하면(단계 S289), 이를 CPU(3100)가 인식하고 상기 메모리(3600)에 갱신 저장된 휴대통신단말 설정 정보를 읽어내고 이 정보의 앞에 헤더를 붙여서 휴대통신단말 설정 갱신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키보드장치(40)로 전송한다(단계 S289).
이때, 상기 전송되는 메시지의 헤더에는 본 메시지가 휴대통신단말 설정 갱신정보임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어,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 설정 갱신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키보드장치(40)의 제어회로(36)는 상기 메시지의 헤더를 분석하여 휴대통신단말 설정 갱신정보임을 인식하고 이를 데이터변환처리회로(38)를 통해서 휴대통신단말(30)측으로 전송한다(단계 S290).
상기 휴대통신단말 설정 갱신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휴대통신단말(30)은 그 헤더를 분석하여 설정 갱신 정보임을 인식하고, 상기 수신된 갱신정보를 새로운 설정정보로서 메모리에 갱신 저장한다(단계 S291).
이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30)은 설정정보의 갱신이 완료되었음을 키보드장치(40)에 통지한다(단계 S292).
상기 갱신완료 통지를 데이터변환처리회로(230H)를 통해서 수신한 키보드장치(40)의 제어회로(36)는 이를 키스캔 데이터 전달회로(39)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3000)으로 전송한다(단계 S293).
상기 갱신확인 통지를 예를 들면 키보드 드라이버(3200)를 통해서 수신한 컴퓨터 시스템의 CPU(3100)는 그래픽 카드(3400)를 구동 제어하여 휴대통신단말 설정정보의 갱신이 완료되었음을 디스플레이장치(4000)의 도 56(a)에 도시한 창(4440)에 표시되도록 한다(단계 S294~S295).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문자메시지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키보드장치(40)로부터 최소한 하나 또는 다수(즉, 동보전송)의 수신처에 대한 호출번호의 입력도 가능하도록 해서 전송모드가 설정되면 그 호출번호를 상기 휴대통신단말(30)측으로 인가하여 수신처와의 통화로가 접속되도록 해서 문자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해도 된다.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휴대통신단말측으로 도래되는 발신번호 정보를 상기 데이터메모리에 저장하고서 상기 컴퓨터 본체의 CPU가 활성화되면 그 발신번호 정보의 전체가 상기 모니터의 윈도우상에 표시되도록 해도 되고, 그 윈도우상에 표시된 특정의 발신번호 정보가 선택되면 그 발신번호에 대응하는 호출이 상기 휴대통신단말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 목적은 데스크탑형 또는 노트북형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마우스 접속포트(데이터입력포트)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을 휴대통신단말 및 MP3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의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 접속포트의 전원을 휴대통신단말을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의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 인가하면서,입력장치의 접속이 가능한 추가적인 데이터입력포트도 병설되어 데이터의 중계기능이 부가된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 접속포트의 전원을 휴대통신단말의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 인가하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제어를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하는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장치에 전원부하단말의 접속구조를 갖추고서 그 키보드장치에 인가되는 키스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동작전원 및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키보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장치에 휴대통신단말의 접속구조를 갖추도록 해서 그 키보드장치에 인가되는 키스캔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을 통해 전송될 문자메시지의 입력처리가 가능하면서 그 휴대통신단말에의 작동전원 및 충전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장치에 휴대통신단말의 접속구조를 갖추도록 해서 그 키보드장치에 인가되는 키스캔 전원을 충전지에 충전함과 더불어 휴대통신단말에의 동작전원 및 충전전원으로 공급하면서 상기 충전지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전원 오프(OFF)상태에서도 휴대통신단말에의 전원공급과 휴대통신단말에의 문자메시지 입력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장치에 휴대통신단말의 접속구조를 갖추도록 해서 그 키보드장치에 인가되는 키스캔 전원에 의해 휴대통신단말에의 문자메시지의 입력과 그 휴대통신단말에의 전원공급이 가능하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와 디스플레이 장치(즉, 모니터)가 전원 온(ON)된 상태에서 문자메시지모드가 설정되면 그 디스플레이 장치에 문자메시지의 입력창이 표시되도록 해서 문자메시지의 입력 확인이 가능하도록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의 키보드장치에 의해 휴대통신단말의 충전을 실행하면서, 그 키보드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휴대통신단말을 통해 전송하는 문자메시지전송기능이 실행되도록 하기 위한 휴대통신단말제어기능을 갖춘 키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의 키보드장치에 연결된 휴대통신단말로 도래되는 발신자정보를 컴퓨터의 모니터장치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한편, 그 발신자정보의 호출번호를 기초로 해당하는 휴대통신단말의 전화번호데이터베이스나 그 키보드장치에 등록된 전화번호데이터베이스 또는 컴퓨터 본체의 메모리장치에 등록된 전화번호데이터베이스로부터 탐색하여 해당하는 발신자의 상세 정보(예컨대 명함정보 등)를 표시해주기 위한 휴대통신단말제어기능을 갖춘 키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통신단말이 접속된 상태에서 그 휴대통신단말의 정보항목(예컨대, 전화번호 데이터베이스)의 등록/변경/소거가 가능하도록 된 휴대통신단말제어기능을 갖춘 키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양태에 따른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접속포트 및 마우스 접속포트에 접속하여 키스캔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 1커넥터수단과, 상기 제1커넥터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전원부하단말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커넥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커넥터수단 사이에서 상기 키스캔 전원을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공급전원으로 안정화 처리하는 전원 안정화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충전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에 대한 상기 전원부하단말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전원공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커넥터수단은, 제 1전원 접속플러그와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잭에 접속되는 제 2전원 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장치와, 상기 전원 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전원 케이블장치를 매개로 상기 전원부하단말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전원 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양태에 따른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제 1커넥터수단과, 상기 제 1커넥터수단을 통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주변기기의 동작전원을 받아 전원부하단말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커넥터수단과, 상기 제 1커넥터수단을 통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주변기기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데이터중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중계수단은 상기 제 1커넥터수단을 통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의 각 핀에 연결되는 배선과, 상기 배선에 접속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와 동일한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데이터중계수단은 상기 제 1커넥터수단을 통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의 각 핀에 연결되는 배선과, 상기 배선에 접속되어 무선통신방식의 컴퓨터 주변기기와의 무선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부하단말은 휴대통신단말, 휴대용 오디오재생장치, 스피커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CDMA 및 GSM방식의 셀룰라폰, PCS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휴대용 오디오재생장치는 MP3 플레이어와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및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플레어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주변기기 접속포트는 키보드 접속포트와 마우스 접속포트 및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커넥터수단 사이에서 상기 키스캔 전원을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공급전원으로 안정화 처리하는 전원 안정화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는,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충전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에 대한 상기 전원부하단말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전원공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커넥터수단은, 제 1전원 접속플러그와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잭에 접속되는 제 2전원 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장치와, 상기 제 1커넥터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전원부하단말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 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커넥터수단은, 제 1전원 접속플러그와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잭에 접속되는 제 2전원 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장치와, 상기 전원 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전원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전원부하단말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 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양태에 따른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제 1커넥터수단과;
상기 제 1커넥터수단을 통해서 전달받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로부터의 전원을 안정화하여 휴대통신단말로 공급하고, 상기 제1커넥터 수단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휴대통신수단과의 데이터통신을 중계하는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은, 상기 키스캔 전원을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공급전원으로 안정화 처리하는 전원 안정화수단과,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에 대한 상기 전원부하단말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전원공급조절수단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휴대통신단말사이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조절수단으로부터의 전원과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제 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휴대통신단말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통신설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상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전용의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이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은 상기 데이터통신설정수단에 의하여 통신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하여 구동되어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을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상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화번호 상세 정보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된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을 통하여 신규 입력, 수정,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Caller ID)가 수신되어 그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가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에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은 그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검색하여,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와 상기 검색된 상세 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수신된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와 상세 정보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어 그 문자메시지가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에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은 그 문자메시지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을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고 그 입력한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정보를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을 매개로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전달받은 문자 메시지 정보에서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를 분리하여 상기 전화번호로 상기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를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을 통해서 휴대통신단말로 요청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설정정보 요청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을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달하며, 상기 설정정보를 전달받은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을 통한 상기 설정정보의 수정입력에 대한 갱신요청을 받으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수정입력된 설정정보를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을 통해서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수정입력된 설정정보를 새로운 설정정보로 갱신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데이터중계수단은 상기 제 1커넥터수단을 통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의 각 핀에 연결되는 배선과, 상기 배선에 접속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와 동일한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중계수단은 상기 제 1커넥터수단을 통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의 각 핀에 연결되는 배선과, 상기 배선에 접속되어 무선통신방식의 컴퓨터 주변기기와의 무선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는, 상기 제 1커넥터수단을 통해서 전달받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로부터의 전원을 안정화하여 전원부하단말에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안정화된 전원에 대한 상기 전원부하단말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전원공급조절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조절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전원부하단말에 전원 케이블을 통해서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 접속 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 2커넥터수단은, 제 1전원 접속플러그와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잭에 접속되는 제 2전원 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장치와, 상기 제 1커넥터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전원부하단말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 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실시양태에 따른 키보드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접속포트에서 전달되는 키스캔 전원을 전원부하단말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하단말은 휴대통신단말, 휴대용 오디오재생장치, 스피커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CDMA 및 GSM방식의 셀룰라폰, PCS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휴대용 오디오재생장치는 MP3 플레이어와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및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플레어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는 상기 키스캔 전원을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공급전원으로 안정화 처리하는 전원안정화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는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충전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에 대한 상기 전원부하단말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전원공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수단은 상기 전원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제 1전원 접속플러그와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잭에 접속되는 제2전원 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장치를 매개로 상기 전원부하단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 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는 상기 키스캔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수단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키스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수단으로부터의 충전전원을 상기 커넥터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충전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는 광전변환소자와, 상기 광전변환소자의 전원을 안정화하여 상기 충전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광전변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는 상기 교류전원을 적합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어댑터수단으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잭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의 키스캔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 잭으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상기 커넥터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실시양태에 따른 키보드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접속포트에서 전달되는 키스캔 전원을 안정화하는 전원안정화수단과, 상기 휴대통신수단과의 데이터통신을 처리하는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전원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과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수단은 상기 전원 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제 1 접속플러그와 케이블 및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에 접속되는 제 2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케이블장치를 매개로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전원 및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접속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데이터 접속 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원안정화수단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을 상기 커넥터수단으로 전달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키보드 장치는, 상기 휴대통신단말에의 문자메시지입력을 위한 문자메시지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문자메시지모드설정수단과, 상기 문자메시지모드의 설정시 조작패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문자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을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문자메시지 전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조작패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을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문자메시지모드설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상기 휴대통신단말에의 문자메시지 입력을 모니터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전용의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문자메시지모드 설정수단은 상기 문자메시지모드의 설정시에 상기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문자메시지 창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장치에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실시양태의 키보드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접속포트에서 전달되는 키스캔 전원을 안정화하는 전원안정화수단과, 휴대통신단말과의 데이터통신을 처리하는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전원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휴대통신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커넥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수단은, 제 1 접속플러그와, 상기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휴대통신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수단 및,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에 접속되는 제 2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케이블장치를 매개로, 상기 전원 안정화수단과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을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접속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데이터 접속 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실시양태의 키보드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접속포트에서 전달되는 키스캔 전원을 안정화하는 전원안정화수단과, 휴대통신단말과의 데이터통신을 처리하는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휴대통신단말사이에서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수단과, 상기 전원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변환수단과 상기 휴대통신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커넥터수단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휴대통신단말제어모드설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상기 휴대통신단말에의 문자메시지 입력을 모니터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전용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모드설정수단은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모드 설정시에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장치에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안정화수단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을 상기 커넥터수단으로 전달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상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화번호 상세 정보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된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을 통하여 신규 입력, 수정, 삭제된다.
또,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에서는,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Caller ID)가 수신되어 그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가 상기 커넥터수단을 매개하여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에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은 그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검색하여,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와 상기 검색된 상세 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수신된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와 상세 정보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에서는,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어 그 문자메시지가 상기 커넥터수단을 매개하여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에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은 그 문자메시지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에서는,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을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고 그 입력한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정보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통신수단 및 상기 커넥터 수단을 매개로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전달받은 문자 메시지 정보에서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를 분리하여 상기 전화번호로 상기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에서는,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통신수단 및 상기 커넥터수단을 매개로 휴대통신단말로 요청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설정정보 요청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상기 커넥터 수단 및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을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달하며, 상기 설정정보를 전달받은 컴퓨터 시스템은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을 통한 상기 설정정보의 수정입력에 대한 갱신요청을 받으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수정입력된 설정정보를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통신수단 및 상기 커넥터수단을 통해서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수정입력된 설정정보를 새로운 설정정보로 갱신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노트북형 또는 데스크탑형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마우스접속 잭 또는 USB 잭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휴대통신단말과 MP3플레이어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의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서 인가함에 따라, 별도의 충전기 또는 전원 어댑터의 사용이 배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입출력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은 물론이고, 컴퓨터 시스템과 휴대통신단말의 인터페이스를 구축함으로써, 휴대통신단말로부터의 발신자 정보와 단문 문자 메시지의 수신시 그 내용을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로 확인할 수 있고, 또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입력하여 휴대통신단말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통신단말의 각종 모드 설정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에 의하면, 키보드장치에 휴대통신단말을 접속하여 그 휴대통신단말에 대한 문자메시지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휴대통신단말에 의한 문자메시지의 입력처리과정이 훨씬 편리해지면서, 그 휴대통신단말에 대한 충전기능도 가능하게 됨에 따라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 방전에 의한 통화불가상태가 예방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단말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에 의하면, 그 키보드장치에 공급되는 키스캔전원에 의해 휴대통신단말의 충전이 가능함과 더불어 그 휴대통신단말의 모드설정항목에 대한 관리와 데이터등록/변경/삭제처리가 가능하게 됨에 따라 휴대통신단말 자체에서 실행하는 데이터처리에 관한 번거로움이 해소된다.
또한, 그 휴대통신단말에 도래되는 발신번호 및 문자메시지를 컴퓨터 본체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모니터장치 상에 표시됨에 따라 그 휴대통신단말의 표시패널을 확인하지 않고서도 발신번호의 확인과 그 발신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의 상세 정보에 대한 확인 및 문자메시지에 대한 확인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60)
-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접속포트 및 마우스 접속포트에 접속하여 키스캔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 1컨넥터수단과, 상기 제1컨넥터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전원부하단말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컨넥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부하단말은 휴대통신단말, 휴대용 오디오재생장치, 스피커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통신단말은 CDMA 및 GSM방식의 셀룰라폰, PCS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휴대용 오디오재생장치는 MP3 플레이어와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및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플레어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컨넥터수단 사이에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컨넥터수단 사이에서 상기 키스캔 전원을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공급전원으로 안정화 처리하는 전원 안정화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충전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에 대한 상기 전원부하단말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전원공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제 2컨넥터수단은, 제 1전원 접속플러그와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잭에 접속되는 제 2전원 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장치와, 상기 전원 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전원 케이블장치를 매개로 상기 전원부하단말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 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장치.
-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제 1컨넥터수단과,상기 제 1컨넥터수단을 통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주변기기의 동작전원을 받아 전원부하단말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컨넥터수단과,상기 제 1컨넥터수단을 통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주변기기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데이터중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중계수단은 상기 제 1컨넥터수단을 통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의 각 핀에 연결되는 배선과, 상기 배선에 접속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와 동일한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중계수단은 상기 제 1컨넥터수단을 통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의 각 핀에 연결되는 배선과, 상기 배선에 접속되어 무선통신방식의 컴퓨터 주변기기와의 무선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전원부하단말은 휴대통신단말, 휴대용 오디오재생장치, 스피커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통신단말은 CDMA 및 GSM방식의 셀룰라폰, PCS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휴대용 오디오재생장치는 MP3 플레이어와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및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플레어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8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주변기기 접속포트는 키보드 접속포트와 마우스 접속포트 및USB(Universal Serial Bus)포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8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컨넥터수단 사이에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8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및 제 2컨넥터수단 사이에서 상기 키스캔 전원을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공급전원으로 안정화 처리하는 전원 안정화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8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충전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에 대한 상기 전원부하단말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전원공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8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2컨넥터수단은 제 1전원 접속플러그와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잭에 접속되는 제 2전원 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장치와, 상기 제 1컨넥터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전원부하단말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 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15에 있어서,상기 제 2컨넥터수단은 제 1전원 접속플러그와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잭에 접속되는 제 2전원 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장치와, 상기 전원 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전원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전원부하단말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 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에 접속되는 제 1컨넥터수단과;상기 제 1컨넥터수단을 통해서 전달받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로부터의 전원을 안정화하여 휴대통신단말로 공급하고, 상기 제1컨넥터 수단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휴대통신수단과의 데이터통신을 중계하는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은, 상기 키스캔 전원을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공급전원으로 안정화 처리하는 전원 안정화수단과,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에 대한 상기 전원부하단말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전원공급조절수단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휴대통신단말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조절수단으로부터의 전원과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제 2컨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20항에 있어서,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휴대통신단말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통신설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21항에 있어서,상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상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전용의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이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은 상기 데이터통신설정수단에 의하여 통신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하여 구동되어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을 컴퓨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22항에 있어서,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상세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화번호 상세정보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된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을 통하여 신규 입력, 수정,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23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통신단말에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Caller ID)가 수신되어 그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가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에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은 그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검색하여,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와 상기 검색된 상세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수신된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와 상세 정보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22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통신단말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어 그 문자메시지가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에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은 그 문자메시지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을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 메시지 입력 안내에 따라 입력되는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정보를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을 매개로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전달받은 문자 메시지 정보에서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를 분리하여 상기 전화번호로 상기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요청 안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을 통해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설정정보 요청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을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달하며, 상기 설정정보를 전달받은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하고,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의 안내에 따라 상기 설정정보의 수정입력에 대한 갱신요청을 받으면 상기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을 통해 수정입력된 설정정보를 그 전원공급/데이터중계수단을 통해서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수정입력된 설정정보를 새로운 설정정보로 갱신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
- 제 19항 내지 제 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통신단말은 CDMA 및 GSM방식의 셀룰라폰, PCS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19항 내지 제 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중계수단은 상기 제 1컨넥터수단을 통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의 각 핀에 연결되는 배선과, 상기 배선에 접속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와 동일한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19항 내지 제 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중계수단은 상기 제 1컨넥터수단을 통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의 각 핀에 연결되는 배선과, 상기 배선에 접속되어 무선통신방식의 컴퓨터 주변기기와의 무선통신을 행하는 무선통신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19항 내지 제 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주변기기 접속포트는 키보드 접속포트와 마우스 접속포트 및USB(Universal Serial Bus)포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장치.
- 제 19항 내지 제 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1커넥터수단을 통해서 전달받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로부터의 전원을 안정화하여 전원부하단말에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전원공급구단은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안정화된 전원에 대한 상기 전원부하단말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전원공급조절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조절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전원부하단말에 전원 케이블을 통해서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 접속 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33항에 있어서,상기 전원부하단말은, MP3 플레이어와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플레어 및 스피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제 20항 내지 제 2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 2컨넥터수단은, 제 1전원 접속플러그와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잭에 접속되는 제 2전원 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장치와, 상기 제 1컨넥터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전원부하단말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 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컴퓨터 입력포트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
-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접속포트에서 전달되는 키스캔 전원을 전원부하단말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컨넥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36항에 있어서,상기 전원부하단말은 휴대통신단말, 휴대용 오디오재생장치, 스피커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37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통신단말은 CDMA 및 GSM방식의 셀룰라폰, PCS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휴대용 오디오재생장치는 MP3 플레이어와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및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플레어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36항 내지 제 3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키스캔 전원을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공급전원으로 안정화 처리하는 전원 안정화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39항에 있어서,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충전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에 대한 상기 전원부하단말로의 공급을 조절하는 전원공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40항에 있어서,상기 컨넥터수단은, 상기 전원 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제 1전원 접속플러그와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전원공급 잭에 접속되는 제 2전원 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 케이블장치를 매개로 상기 전원부하단말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전원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 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36항 내지 제 3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키스캔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수단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키스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충전수단으로부터의 충전전원을 상기 커넥터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충전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42항에 있어서,광전변환소자와, 상기 광전변환소자의 전원을 안정화하여 상기 충전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광전변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36항 내지 제 3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교류전원을 적합한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어댑터수단으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잭과,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의 키스캔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전원 잭으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상기 커넥터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접속포트에서 전달되는 키스캔 전원을 안정화하는 전원안정화수단과, 휴대통신단말과의 데이터통신을 처리하는 데이터통신수단과, 휴대통신단말과 해당하는 키보드장치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를 상호 인식가능하게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수단과, 상기 전원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과 상기 데이터변환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컨넥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45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수단은, 상기 전원 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과 상기 데이터변환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제 1 접속플러그와 케이블 및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에 접속되는 제 2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케이블장치를 매개로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전원 및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접속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데이터 접속 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46항에 있어서,상기 전원안정화수단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감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을 상기 컨넥터수단으로 전달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46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통신단말에의 문자메시지입력을 위한 문자메시지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문자메시지모드설정수단과, 상기 문자메시지모드의 설정시 조작패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문자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통신수단 및 상기 데이터변환수단을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문자메시지전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46항에 있어서,조작패널을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을 통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기 위한 문자메시지모드설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48항 또는 제 49항에 있어서,상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상기 휴대통신단말에의 문자메시지 입력을 모니터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전용의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문자메시지모드 설정수단은 상기 문자메시지모드의 설정시에 상기 키보드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문자메시지 창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장치에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접속포트에서 전달되는 키스캔 전원을 안정화하는 전원안정화수단과, 휴대통신단말과의 데이터통신을 처리하는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전원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휴대통신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컨넥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컨넥터수단은 제 1 접속플러그와, 상기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휴대통신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수단 및,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전원/데이터 입출력 잭에 접속되는 제 2접속플러그를 포함하는 케이블장치를 매개로, 상기 전원 안정화수단과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을 상기 휴대통신단말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 1접속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데이터 접속 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51항에 있어서,상기 전원안정화수단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을 상기 컨넥터수단으로 전달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컴퓨터 시스템의 키보드 접속포트에서 전달되는 키스캔 전원을 안정화하는전원안정화수단과, 휴대통신단말과의 데이터통신을 처리하는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데이터통신수단과 상기 휴대통신단말 사이에서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수단과, 상기 전원안정화수단으로부터의 전원을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변환수단과 상기 휴대통신단말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커넥터수단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휴대통신단말 제어모드설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컴퓨터 시스템에는 상기 휴대통신단말에의 문자메시지 입력을 모니터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전용의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설치되고,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모드설정수단은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모드 설정시에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이 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장치에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53항에 있어서,상기 전원안정화수단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검출하는 충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그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표시수단과, 상기 충전상태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원 안전화수단에 의하여 안정화된 전원을 상기 커넥터수단으로 전달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53항에 있어서,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상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전화번호 상세 정보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된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창을 통하여 신규입력, 수정,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55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통신단말에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Caller ID)가 수신되어 그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가 상기 커넥터수단을 매개하여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에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은 그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에 대응하는 상세 정보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검색하여, 상기 발신자전화번호 정보와 상기 검색된 상세 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수신된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와 상세 정보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53항 내지 제 5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통신단말에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어 그 문자메시지가 상기 컨넥터수단을 매개하여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에 전달되면, 상기 데이터 통신수단은 그 문자메시지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53항 내지 제 5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을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고 그 입력한 상대방 전화번호와 문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정보를 상기 데이터통신수단 및 상기 컨넥터 수단을 매개로 상기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며,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전달받은 문자 메시지 정보에서 전화번호와 문자메시지를 분리하여 상기 전화번호로 상기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53항 내지 제 5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설정정보를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통신수단 및 상기 컨넥터수단을 매개로 휴대통신단말로 요청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설정정보 요청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설정정보를 상기 커넥터 수단 및 상기 데이터통신수단을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달하며, 상기 설정정보를 전달받은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에 표시하도록 하고,상기 컴퓨터 시스템의 휴대통신단말 제어창을 통한 상기 설정정보의 수정입력에 대한 갱신요청안내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수정입력된 설정정보를 상기 통신 드라이브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통신수단 및 상기 커넥터수단을 통해서 휴대통신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수정입력된 설정정보를 새로운 설정정보로 갱신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 제 51항 내지 제 5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휴대통신단말은 CDMA 및 GSM방식의 셀룰라폰, PCS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14088A KR20020074010A (ko) | 2001-03-19 | 2001-03-19 | 휴대통신단말 접속구조를 갖는 키보드장치 |
KR10-2001-0014088 | 2001-03-19 | ||
KR1020010019643A KR20020080205A (ko) | 2001-04-12 | 2001-04-12 | 휴대통신단말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 |
KR10-2001-0019643 | 2001-04-12 | ||
KR10-2001-0045576 | 2001-07-27 | ||
KR1020010045576A KR20010079480A (ko) | 2001-07-27 | 2001-07-27 |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15710A true KR20040015710A (ko) | 2004-02-19 |
Family
ID=2735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7012177A KR20040015710A (ko) | 2001-03-19 | 2002-03-19 |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와,휴대통신단말 접속 구조 및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040133716A1 (ko) |
EP (1) | EP1393425A2 (ko) |
KR (1) | KR20040015710A (ko) |
CN (1) | CN1509510A (ko) |
AU (1) | AU2002239140A1 (ko) |
WO (1) | WO2002077899A2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1386A (ko) * | 2004-04-19 | 2005-10-24 | (주)포스앤테크 |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
KR100675153B1 (ko) * | 2004-12-03 | 2007-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니코드 문자열 처리방법 |
WO2007061149A1 (en) * | 2005-11-25 | 2007-05-31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e | Pc peripheral device power supply using pc98 mouse port |
KR100766446B1 (ko) * | 2007-02-01 | 2007-10-15 | 비즈업정보라인주식회사 | 컴퓨터 전화 통합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91853B2 (en) | 2001-12-03 | 2004-09-14 | Mobility Electronics, Inc. | Dual input AC/DC power converter having a programmable peripheral power hub module |
CN100349451C (zh) * | 2002-11-29 | 2007-11-14 |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 利用外接电子装置在程序执行的操作系统环境上通过移动通讯装置操作短消息的方法 |
US8160557B2 (en) | 2003-09-15 | 2012-04-17 | AT&T Mobility I LLC | Integration of wireless and external computing devices |
TW200519881A (en) * | 2003-12-04 | 2005-06-16 | Asour Technology Inc | A/V multimedia multi-function optical drive device |
JPWO2006075416A1 (ja) * | 2005-01-14 | 2008-06-12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操作体、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端末装置 |
TWM280066U (en) * | 2005-07-08 | 2005-11-01 | Pchome Online Inc | Internet protocol phone having stereo female connector |
US20070143507A1 (en) * | 2005-12-16 | 2007-06-21 | Tennrich International Corp. | Storage device with mobile source module |
US7672584B2 (en) * | 2006-03-06 | 2010-03-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gital device |
US20080155159A1 (en) * | 2006-12-22 | 2008-06-26 | Rivas Mario A | Integrate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CN101971276B (zh) * | 2008-04-28 | 2014-03-19 | 日本电气株式会社 | 复合开关以及具有该复合开关的便携设备 |
KR101578728B1 (ko) * | 2009-05-22 | 2015-1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CN102460892B (zh) * | 2009-06-02 | 2015-03-25 | 阿兰·L·波克拉斯 | 具有集成的可充电电源的模块电缆 |
DE102010054087A1 (de) * | 2010-12-10 | 2012-06-14 | Audi Ag | Verfahren zur drahtlosen Kommunikation zwischen einem Kraftfahrzeug und wenigstens einem anderen Kommunikationsteilnehmer und Kraftfahrzeug |
CN102289307B (zh) * | 2011-09-02 | 2013-08-07 | 北京希格玛和芯微电子技术有限公司 | 鼠标按键识别电路、装置及鼠标 |
CN103457458B (zh) * | 2012-05-28 | 2016-03-30 | 华为终端有限公司 | 电流切换控制设备及电子设备 |
US20140210719A1 (en) * | 2013-01-28 | 2014-07-31 | Dexin Corporation | Wireless input device |
US9203252B2 (en) * | 2013-11-12 | 2015-12-01 | Google Inc. | Redirecting notifications to a wearable computing device |
US9171434B2 (en) | 2014-03-12 | 2015-10-27 | Google Inc. | Selectively redirecting notifications to a wearable computing device |
US10056722B1 (en) | 2015-04-26 | 2018-08-21 | Jamal A Ingram |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electrical power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70615A (en) * | 1995-01-09 | 1999-02-09 | Intel Corporation | Automatic cellular phone battery charging by mobile personal computer using configuration write data and storage element for charging in accordance to battery charging parameter |
JP2000013902A (ja) * | 1998-06-26 | 2000-01-14 | Nissan Motor Co Ltd | 電気自動車の交流側漏電検知装置 |
JP2000201204A (ja) * | 1999-01-08 | 2000-07-18 | Mitsumi Electric Co Ltd | 携帯電話用補助充電装置 |
US6211649B1 (en) * | 1999-03-25 | 2001-04-03 | Sourcenext Corporation | USB cable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of external apparatus by using USB cable |
US6633932B1 (en) * | 1999-09-14 | 2003-10-14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to provide power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DE20004691U1 (de) * | 2000-03-14 | 2000-06-29 | Yang, Wen-Chin, Hsin Tien, Taipeh | Ladeeinrichtung mit USB-Schnittstelle für einen GSM-Telefon-Akkumulator |
KR20000050191A (ko) * | 2000-05-23 | 2000-08-05 | 김상수 | 핸드폰용 접이식 키보드 및 그의 제어방법 |
GB2362769A (en) * | 2000-05-26 | 2001-11-28 | Nokia Mobile Phones Ltd | Battery charging circuit in which power is supplied via a communications port |
KR200211505Y1 (ko) * | 2000-08-19 | 2001-01-15 | 주식회사아이텍솔루션 | Usb를 이용한 이동전화 충전장치 |
TW479393B (en) * | 2000-09-27 | 2002-03-11 | Acer Peripherals Inc | Automatic USB charging apparatus and its operating method |
US20020195993A1 (en) * | 2001-06-22 | 2002-12-26 | Chiu Chiu Kai | Structure of an AC adaptor for mobile telephones |
JP3558059B2 (ja) * | 2001-08-10 | 2004-08-25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電源制御回路及び電子機器 |
US6362610B1 (en) * | 2001-08-14 | 2002-03-26 | Fu-I Yang | Universal USB power supply unit |
US20030148797A1 (en) * | 2002-02-01 | 2003-08-07 | Huang Yea Yen | USB charging cable for mobile telephone |
US6589069B1 (en) * | 2002-04-22 | 2003-07-08 | Sheng Hsin Liao | Wire reel having a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capable of doing emergency charging work |
US20040063464A1 (en) * | 2002-09-30 | 2004-04-01 | Tahir Akram | High-speed data and power source interface cable for mobile devices |
US20040095325A1 (en) * | 2002-11-15 | 2004-05-20 | Hui-Hu Liang | Computer keyboard |
-
2002
- 2002-03-19 WO PCT/KR2002/000459 patent/WO2002077899A2/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2-03-19 US US10/472,179 patent/US2004013371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2-03-19 AU AU2002239140A patent/AU200223914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2-03-19 CN CNA028101731A patent/CN1509510A/zh active Pending
- 2002-03-19 EP EP02705590A patent/EP1393425A2/en not_active Withdrawn
- 2002-03-19 KR KR1020037012177A patent/KR2004001571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1386A (ko) * | 2004-04-19 | 2005-10-24 | (주)포스앤테크 |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
KR100675153B1 (ko) * | 2004-12-03 | 2007-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니코드 문자열 처리방법 |
WO2007061149A1 (en) * | 2005-11-25 | 2007-05-31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e | Pc peripheral device power supply using pc98 mouse port |
KR100766446B1 (ko) * | 2007-02-01 | 2007-10-15 | 비즈업정보라인주식회사 | 컴퓨터 전화 통합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509510A (zh) | 2004-06-30 |
AU2002239140A1 (en) | 2002-10-08 |
WO2002077899A3 (en) | 2003-11-27 |
EP1393425A2 (en) | 2004-03-03 |
WO2002077899A2 (en) | 2002-10-03 |
US20040133716A1 (en) | 2004-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0015710A (ko) |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와,휴대통신단말 접속 구조 및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 | |
US815424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chargeable USB device | |
US7646107B2 (en) | Programmable power adaptor | |
US9516151B2 (en) |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 |
US7376846B2 (en) | Charging and communication cable system for a mobile computer apparatus | |
US8208958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 flexibl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ellular telephone system | |
JP3558059B2 (ja) | 電源制御回路及び電子機器 | |
US6980204B1 (en) | Charging and communication cable system for a mobile computer apparatus | |
KR100536544B1 (ko) | 인히어런트리 마스터 슬레이브 인터페이스를 통한피어-투-피어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7849238B2 (en) | Multiple-apparatus connec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 |
US20100093401A1 (en) |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 |
US20110122434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wireless network connection in the apparatus | |
US20060160569A1 (en) | Cellular phone and portable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 |
JP2005258526A (ja) | 卓上ホルダ及び携帯端末機器システム | |
CN104348631A (zh) | 受电装置、供电系统与操作模式的选择方法 | |
US20070259648A1 (en) | Mobile terminal combinable with various types of func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module | |
JP2000324237A (ja) | 携帯電話のデータバックアップ機能付充電器及び充電器接続用データバックアップ装置 | |
KR20030058745A (ko) | 유에스비 전원을 사용하는 데이터 케이블 장치 | |
KR200421707Y1 (ko) | 무선통신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다기능 컴퓨터 키보드 | |
TWI527402B (zh) | 受電裝置、供電系統與操作模式的選擇方法 | |
JP2001320479A (ja) | 携帯電話機の接続装置及び接続方法、コンピュータ、並びに接続ケーブル | |
KR20000008584A (ko) | 외부 전자 장치들과 통신 가능한 카드 타입의 개인 정보 관리시스템 및 그의 통신 방법 | |
KR200281002Y1 (ko) | 휴대통신단말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 | |
JP2004104533A (ja) | デジタルカメラ用クレードル装置 | |
KR200292740Y1 (ko) |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309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