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9480A -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Google Patents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79480A KR20010079480A KR1020010045576A KR20010045576A KR20010079480A KR 20010079480 A KR20010079480 A KR 20010079480A KR 1020010045576 A KR1020010045576 A KR 1020010045576A KR 20010045576 A KR20010045576 A KR 20010045576A KR 20010079480 A KR20010079480 A KR 200100794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connector
- power supply
- kisscan
- data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북형 또는 데스크탑형 컴퓨터 본체의 데이터입력포트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을 분기하여 휴대통신단말이라든지 MP3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의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 인가하면서, 데이터입력장치로서의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로부터의 데이터중계기능을 갖는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급전장치는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마우스접속을 위한 데이터입력포트에 착탈적으로 접속되어 그 데이터입력포트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을 수취함과 더불어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제 1컨넥터와, 그 제 1컨넥터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이 분기접속되어 그 키스캔전원을 전원부하단말에 급전하는 제 2컨넥터, 일단에는 상기 제 1컨넥터가 연설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제 2컨넥터가 연설됨과 더불어 상기 키보드/마우스의 데이터전송컨넥터가 착탈되면서 상기 제 1컨넥터에 데이터중계구조를 갖는 데이터중계포트가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거치를 위한 거치대이고, 그 전원부하단말로서는 휴대통신단말이 포함된다.
또, 상기 본체에는 제 3컨넥터의 착탈을 위한 전원잭이 추가되고, 그 전원잭도 상기 키스캔전원에 분기접속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스크탑형 컴퓨터 본체 또는 노트북형 컴퓨터의 키보드/마우스접속포트로부터의 키스캔전원을 전원부하기기에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서 인가하기 위한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대량의 정보를 입력하여 편집/저장/출력하고 필요한 경우 데이터통신망을 매개하는 데이터통신기능을 실행하는 컴퓨터시스템이 널리 보급된 상태이다.
그러한 컴퓨터시스템은 대개 데스크탑형과 노트북형으로 대별되고, 예컨대 이미지의 스캔입력을 위한 스캐너라든지 해당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작업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 데이터의 하드카피출력을 위한 프린터, 음성/음향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주변장치가 접속된다.
특히, 데스크탑형태의 컴퓨터시스템에서 그 본체에는 해당하는 컴퓨터시스템의 작동상태(및 기능)를 설정하거나 데이터의 입력 등을 위한 데이터입력장치로서의 키보드가 접속됨과 더불어 특정한 기능으로의 전환 및 실행/선택을 지시하기 위한 데이터입력장치로서의 마우스가 접속되는 데이터입력포트가 개별적으로 설계되고, 그 데이터입력포트에는 그 본체에 갖추어진 전원장치로부터 소정의 DC전압레벨의 키스캔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컴퓨터시스템의 본체에 갖추어지는 중앙처리장치는 그 키스캔전원에 기초하여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의 키조작상태신호를 스캐닝하여 그 키조작에 대응하는 작업을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노트북형 컴퓨터는 대개 키보드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갖기는 하지만, 최소한 하나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로 대표되는 데이터입력장치의 직접적인 접속이 가능한 데이터입력포트(즉, 키보드/마우스 접속포트)가 갖추어지고, 그 데이터입력포트에는 소정레벨의 키스캔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노트북형 컴퓨터에서도 키보드/마우스 접속포트에 키보드 또는 마우스가 선택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키스캔전원에 의해 그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키조작상태를 인지하여 대응하는 작업을 행하게 된다.
또, 최근에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그다지 받지 않고 휴대하면서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휴대통신단말이 비약적으로 보급된 상황으로, 그 휴대통신단말(즉, 휴대폰)로서는 CDMA/GSM방식의 셀룰라 폰이라든지 PCS폰, PDA폰이 포함되고, 그러한 휴대폰은 휴대하면서 통화(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재충전형태의 배터리를 갖추게 된다.
또, 고음질의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오디오재생장치로서의 MP3플레이어에도 휴대하면서 음악파일의 재생을 위해 재충전 배터리의 채용도 이루어지는 상황이다.
그런데, 휴대폰이라든지 MP3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에 부속되는 재충전 배터리에 대해서는 통상적으로 전용의 배터리충전기(즉, 전원어댑터)가 필요하게 되지만, 그 배터리충전기는 대개 적용되는 전원부하단말(휴대폰, MP3플레이어)마다 다르게 설계됨으로 말미암아 상호 호환적인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더구나, 휴대폰의 경우에는 구입시 단지 하나의 배터리충전기만이 제공되기 때문에 그 배터리충전기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예컨대 사무실 등)에서 휴대폰의 배터리가 방전되면 통화(통신)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컴퓨터시스템의 USB포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된 상태이기는 하지만, 그 USB포트에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충전하는 동안에는 그 USB포트를 다른 외부접속장치에 대해서는 할당하지 못하게 된다는 불리함이 있게 된다.
상기한 상황은 MP3플레이어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초래될 가능성이 상존하는 실정이고, 그에 따라 MP3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의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에 대한 다양한 충전형태의 제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 목적은 데스크탑형 또는 노트북형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마우스 접속포트(데이터입력포트)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을 휴대폰이라든지 MP3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의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 본체의 데이터입력포트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을 휴대통신단말이라든지 MP3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의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 인가하면서, 키보드/마우스의 데이터입력장치의 접속이 가능한 추가적인 데이터입력포트도 병설되어 데이터의 중계기능이 부가된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마우스접속을 위한 데이터입력포트에 착탈적으로 접속되어 그 데이터입력포트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을 수취함과 더불어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제 1컨넥터와, 그 제 1컨넥터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에 분기접속되어 그 키스캔전원을 전원부하단말에 급전하는 제 2컨넥터를 갖추어 구성된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원부하단말에는 휴대통신단말과 MP3플레이어, 스피커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마우스접속을 위한 데이터입력포트에 착탈적으로 접속되어 그 데이터입력포트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을 수취함과 더불어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제 1컨넥터와, 그 제 1컨넥터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이 분기접속되어 그 키스캔전원을 전원부하단말에 급전하는 제 2컨넥터, 일단에는 상기 제 1컨넥터가 연설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제 2컨넥터가 연설됨과 더불어 상기 키보드/마우스의 데이터전송컨넥터가 착탈되면서 상기 제 1컨넥터에 데이터중계구조를 갖는 데이터중계포트가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진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거치를 위한 거치대이고, 그 전원부하단말로서는 휴대통신단말이 포함된다.
또, 상기 본체에는 제 3컨넥터의 착탈을 위한 전원잭이 추가되고, 그 전원잭도 상기 키스캔전원에 분기접속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에 의하면, 데스크탑형 또는 노트북형 컴퓨터 본체에 구비된 데이터입력포트(키보드/마우스 접속포트)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을 휴대폰이라든지 MP3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에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체에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추가적인 접속을 위한 제 3컨넥터도 갖추어짐에 따라, 전원부하단말로의 급전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도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추가적인 접속 및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의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원급전장치, 12: 제 1컨넥터,
14: 제 2컨넥터, 20: 컴퓨터 본체,
22: 데이터입력포트, 30: 전원부하단말,
40: 데이터중계형 전원급전장치, 42: 본체,
44: 제 1컨넥터, 46: 제 2컨넥터,
50: 데이터중계포트, 52: 전원잭.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키스캔전원에 의한 배터리충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10)는 그 일단에 노트북형 컴퓨터(또는 데스크탑형 컴퓨터 본체)(20)의 후면에 설계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접속을 위한 키보드/마우스접속포트(22; 데이터입력포트)에 접속되는 제 1컨넥터(12)가 형성되고, 그 타단에는 휴대폰이라든지 MP3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30)에 형성된 전원수전컨넥터(도시는 생략)에 접속되어 그 전원부하단말(30)의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제 2컨넥터(14)가 일체로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노트북형 컴퓨터(및 데스크탑형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데이터입력포트(22)에는 외부적으로 접속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키조작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키스캔전원(대략 4.8∼5.5V)이 인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급전장치(10)는 상기 제 1컨넥터 (12)를 상기 데이터입력포트(22)에 접속하게 되면 그 데이터입력포트(22)에서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을 상기 제 2컨넥터(14)에 접속되는 상기 전원부하단말(30)의 작동을 위한 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 2컨넥터(14)에 접속되는 전원부하단말(30)은 휴대폰(셀룰라폰, PDA, PCS)이나 MP3플레이로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키스캔전원을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 공급받기 위한 컴퓨터 본체로부터의 음악파일을 재생출력하는 스피커라든지 인터넷폰 등도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컨넥터(14)에는 전원의 급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소자(LED)라든지 전원의 급전을 ON/OFF하기 위한 스위치의 추가적인 설치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전원급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40으로 표시된 키스캔전원에 의한 배터리충전장치는 상기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로부터의 키데이터를 상기 컴퓨터 본체(도 1에서 20)의 데이터입력포트(22)에 중계하기 위한 데이터중계형으로 구성되면서, 그 본체(42)의 일단에는 상기 데스크탑형 또는 노트북형 컴퓨터의 후면에 설계된 키보드/마우스의 접속을 위한 데이터입력포트(도 1에서 22)에 착탈되는 제 1컨넥터(44)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 본체(42)의 타단에는 전원부하단말(30)에 형성되는 전원수전컨넥터(도시 생략)에 접속되는 제 2컨넥터(46)가 배선을 매개하여 일체로 연설된다.
또, 상기 본체(42)의 타단에는 상기 제 2컨넥터(46)를 통해 전원부하단말 (30)로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도 키보드(48)의 데이터전송컨넥터 (48a)가 접속되는 데이터중계포트(50)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2컨넥터(46)는 상기 제 1컨넥터(44)의 키스캔전원(+/-)단자에 병렬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데이터중계포트(50)는 상기 제 1컨넥터(44)와 동일한 구조(예컨대 PS/2방식의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상기 키보드(48)로부터의 데이터입력은 상기 본체(42)의 데이터중계포트(50)를 통해 상기 제 1컨넥터(44)를 통해 컴퓨터 본체에 전송되어 그 데이터입력에 대응하는 처리가 컴퓨터 본체에서 실행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42)의 일단에 형성되어 컴퓨터 본체(이경우는노트북형)의 데이터입력포트(22)에 결합되는 제 1컨넥터(44a)가 그 본체(42)에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갖게 되고, 상기 데이터중계포트(50)에는 마우스(48)가 접속된 예가 상정된다.
또, 상기 본체(42)에는 상기 전원부하단말(30)로서 휴대폰이 적용된 상태에서 예컨대 MP3플레이어 또는 스피커가 포함되는 별개의 전원부하단말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추가적인 전원잭(52)이 형성되며, 그 전원잭(52)에는 일단에 전원수전플러그(54a)가 구비됨과 더불어 타단에는 상기 별개의 전원부하단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급전플러그(54b)가 갖추어진 제 3컨넥터(54)가 착탈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및 제 3컨넥터(46,54)는 상기 제 1컨넥터(44a)의 키스캔전원에 대해 데이터의 스캐닝을 위한 +/-단자에 병렬접속되고, 상기 전원중계포트 (50)는 상기 제 1컨넥터(44a)에 대해 대응하는 핀접속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컴퓨터 본체의 데이터입력포트(22)에 상기 본체(42)의 제 1컨넥터(44a)를 결합하게 되면, 그 데이터입력포트(22)로부터의 키스캔전원이 상기 제 1컨넥터(44a)를 통해 상기 제 2 및 제 3컨넥터(46,54)측으로 인가되어 전원부하단말(30)로서의 휴대폰이라든지 MP3에 작동전원(또는 배터리충전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데이터중계포트(50)에 접속된 마우스(48)로부터의 키데이터가 상기 제 1컨넥터(44a)를 통해 상기 데이터입력포트(22)측으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컨넥터(44a)로부터 상기 제 2 및 제 3컨넥터(46,54)에 키스캔전원이 분기되는 경로에는 역전류방지소자(예컨대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상기 데이터중계포트(50)로부터 상기 제 1컨넥터(44a)로 중계되는 데이터에 대한 에러발생상황을 방지하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또, 상기 데이터중계포트(50)에 대해서는 데이터입력장치로서의 키보드와 마우스에 대해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42)가 전원부하단말(30)로서 휴대폰이 적용되는 경우에 그 거치가 가능한 거치대로서의 형상을 갖도록 설계된다.
그 거치대형상의 본체(42)에는 컴퓨터 본체의 데이터입력포트(도 2에서 '22' 참조)에 접속되는 상기 제 1컨넥터(44)가 연설되고, 그 전원부하단말(30)로서의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제 2컨넥터(46)가 연설된다.
또, 상기 본체(42)의 전면(또는 측면)에는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컴퓨터 본체에 접속하기 위해 마우스 또는 키보드로부터 연설되는 데이터전송컨넥터(48a)가 결합되는 데이터중계포트(50)가 제공된다.
따라서,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데이터전송컨넥터(48a)가 상기 본체(42)의 데이터중계포트(50)에 장착되면 그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키신호가 상기 제 1컨넥터 (44)를 통해 상기 컴퓨터 본체의 데이터입력포트(22)를 통해 전달되어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된다.
또, 상기 제 2컨넥터(46)측으로 분기되는 키스캔전원에 의해 전원부하단말 (30)로서의 휴대폰의 배터리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본체(42)의 전면에는 상기 제 2컨넥터(46)에 전원부하단말(이 경우는 휴대폰)의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배터리충전중'을 나타내는 예컨대 적색LED(60a)와, '충전완료'를 나타내는 예컨대 녹색LED(60b)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42)의 거치대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본체(42)에 설계된 제 2컨넥터(46)는 주지의 접촉핀구조로 변경하거나, 그 본체(46)에 배선을 개재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는 슬롯방식으로의 변경도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본체(42)에 대해서는 상기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스위치의 적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데이터중계포트(50)에 대해서는 상기 본체(42)로부터 데이터중계컨넥터의 형태로 연설되도록 하면서, 상기 키보드 또는 마우스에 데이터전송포트가 형성되도록 하여 그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데이터전송포트에 상기 본체(42)로부터 연설된 데이터중계컨넥터가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변경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상기 키보드 또는 마우스로부터의 배선길이에 관한 부담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에 의하면, 노트북형 또는 데스크탑형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마우스접속을 위한 데이터입력포트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을 휴대폰이라든지 MP3플레이어 또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원부하단말의 작동전원 또는 배터리충전전원으로서 인가함에 따라, 별도의 전용적인 충전기 또는 전원어댑터의 사용이 배제될 수 있게 된다.
또, 데이터입력장치로서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의 결합을 위한 데이터중계포트가 추가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도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로부터의 키데이터가 그 데이터중계포트를 통해 컴퓨터 본체에 전송될 수 있게 된다.
Claims (5)
-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마우스접속을 위한 데이터입력포트에 착탈적으로 접속되어 그 데이터입력포트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을 수취함과 더불어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제 1컨넥터와,그 제 1컨넥터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에 분기접속되어 그 키스캔전원을 전원부하단말에 급전하는 제 2컨넥터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하단말에는 휴대통신단말과 MP3플레이어, 스피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컴퓨터 본체의 키보드/마우스접속을 위한 데이터입력포트에 착탈적으로 접속되어 그 데이터입력포트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을 수취함과 더불어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제 1컨넥터와,그 제 1컨넥터에 인가되는 키스캔전원이 분기접속되어 그 키스캔전원을 전원부하단말에 급전하는 제 2컨넥터,일단에는 상기 제 1컨넥터가 연설되고 그 타단에는 상기 제 2컨넥터가 연설됨과 더불어 상기 키보드/마우스의 데이터전송컨넥터가 착탈되면서 상기 제 1컨넥터에 데이터중계구조를 갖는 데이터중계포트가 형성된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원부하단말의 거치를 위한 거치대이고, 그 전원부하단말로서는 휴대통신단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제 3컨넥터의 착탈을 위한 전원잭이 추가되고, 그 전원잭도 상기 키스캔전원에 분기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45576A KR20010079480A (ko) | 2001-07-27 | 2001-07-27 |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KR1020037012177A KR20040015710A (ko) | 2001-03-19 | 2002-03-19 |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와,휴대통신단말 접속 구조 및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 |
EP02705590A EP1393425A2 (en) | 2001-03-19 | 2002-03-19 | Power supply apparatus for power load appliances having rechargeable battery |
CNA028101731A CN1509510A (zh) | 2001-03-19 | 2002-03-19 | 用于具有可再充电电池的功率负荷设备的供电设备 |
AU2002239140A AU2002239140A1 (en) | 2001-03-19 | 2002-03-19 | Power supply apparatus for power load appliances having rechargeable battery |
PCT/KR2002/000459 WO2002077899A2 (en) | 2001-03-19 | 2002-03-19 | Power supply apparatus for power load appliances having rechargeable battery |
US10/472,179 US20040133716A1 (en) | 2001-03-19 | 2002-03-19 | Power supply apparatus for power load appliances having rechargeable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45576A KR20010079480A (ko) | 2001-07-27 | 2001-07-27 |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2547U Division KR200292740Y1 (ko) | 2002-07-27 | 2002-07-27 |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9480A true KR20010079480A (ko) | 2001-08-22 |
Family
ID=1971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45576A KR20010079480A (ko) | 2001-03-19 | 2001-07-27 |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7948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61149A1 (en) * | 2005-11-25 | 2007-05-31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e | Pc peripheral device power supply using pc98 mouse port |
-
2001
- 2001-07-27 KR KR1020010045576A patent/KR20010079480A/ko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61149A1 (en) * | 2005-11-25 | 2007-05-31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e | Pc peripheral device power supply using pc98 mouse por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91583B1 (ko) | 유에스비 커넥터 겸용 이어폰 젠더 | |
US5717430A (en) | Multimedia computer keyboard | |
US7130184B2 (en) | Portable terminal with multipurpose earjack | |
US7863856B2 (en) | Bi-directional battery charging for coupled electronic devices | |
US20060234771A1 (en) | Headset adapter for IP or digital phone | |
EP1315361A1 (en) | Multiconnector for mobile terminal | |
US7849238B2 (en) | Multiple-apparatus connec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0764869B1 (ko) | 네트워크 워크맨 | |
US20140016799A1 (en) | Host unit with docking headset | |
US20080013758A1 (en) | Externally connected microphone module | |
US20050070153A1 (en) | Cable assembly | |
US20070192519A1 (en) |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tending usb port and concealing power line supplying thereto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200292740Y1 (ko) |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
KR20010079480A (ko) | 키스캔전원에 의한 전원부하단말로의 전원급전장치 | |
US6782099B1 (en) | Speaker-phone base for a portable telephone | |
US20080181286A1 (en) | Hand-held wireless device with a PCIE interface | |
KR100651204B1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
KR101006160B1 (ko) | 유에스비 커넥터를 위한 멀티 젠더 | |
KR200421707Y1 (ko) | 무선통신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다기능 컴퓨터 키보드 | |
KR101139647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 |
US20070263750A1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655484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 |
JP2008027147A (ja) | 携帯端末 | |
KR100407329B1 (ko) | 허브의 lan전원을 이용한 ip시스템의 전원공급회로 | |
WO2008064514A1 (en) |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communicating method by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