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101386A -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386A
KR20050101386A KR1020040026589A KR20040026589A KR20050101386A KR 20050101386 A KR20050101386 A KR 20050101386A KR 1020040026589 A KR1020040026589 A KR 1020040026589A KR 20040026589 A KR20040026589 A KR 20040026589A KR 20050101386 A KR20050101386 A KR 20050101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econdary battery
circuit unit
player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신
심우주
천기철
송진수
Original Assignee
(주)포스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앤테크 filed Critical (주)포스앤테크
Priority to KR102004002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1386A/ko
Publication of KR2005010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38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MP3 플레이어 내에 2차 전지를 장착하되, 이 내장된 2차 전지를 이용하여 한편으로는 MP3 플레이어의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를 MP3 플레이어의 충전출력단자에 연결함으로써 2차 전지의 충전전원을 상기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에 또한 공급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MP3 PLAYER WITH SECONDARY BATTERY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MP3 플레이어 내에 2차 전지를 장착하되, 이 내장된 2차 전지를 이용하여 한편으로는 MP3 플레이어의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를 MP3 플레이어의 충전출력단자에 연결함으로써 2차 전지의 충전전원을 상기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에 또한 공급할 수 있는 MP3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 플레이어의 구동 전원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직렬버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과, AA 타이프 건전지, AAA 타이프 건전지, 버튼형 건전지를 내장한 것 등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 MP3 플레이어에 내장된 1차 전지는 수명이 다하면 반드시 교체를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오늘날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의 보편화 및 그 기능의 고성능, 고기능, 다기능화에 따라 배터리의 소모가 날로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휴대폰 배터리의 용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며, 기존의 상용전압 220V를 이용하는 충전기 이외에, 2차 전지를 활용하는 방안도 강구되었다.
시간과 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는 양질의 음성, 화상, 문자정보의 교환을 위한 노력으로 디지털 휴대폰과 휴대용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음성과 문자정보의 교환분야에 커다란 진보를 이룩하였으며, 휴대폰을 이용하여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접속하고 각종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이를 실행하는 기술이 상용화되어 있다. 또한 휴대폰과 휴대용 컴퓨터의 기능을 통합하고 화상 정보까지 결합된 휴대용 정보기기의 양산을 위해서는 전자회로의 집적화 및 통신속도 증대가 필수적인데, 이들 휴대용 정보기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도 증가될 것이 틀림없으므로 더욱 증대된 전지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리튬이온 등의 2차 전지가 경제성, 고속충전, 안정성, 고밀도 에너지 등의 측면에서 휴대폰 등에 적극적으로 채택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MP3 플레이어는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늘 소지하는 휴대용기기라는 점, 2차 전지를 장착하여 전지용량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와 상호 공통점을 갖는다고 볼 때,
MP3 플레이어에 2차 전지를 내장하고, 이 2차 전지를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지용량을 보충해줄 수 있는 충전기로 다시 활용해 보는 방안을 기술적으로 간단명료하게 구현할 수 있다면, MP3 플레이어 및 휴대폰이 휴대용 소지품으로서 모두 일상용품으로 이용되고 있는 현실에 가장 부합하는 기술환경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아직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2차 전지를 반영구적으로 재충전하여 사용함으로써 MP3 플레이어 뿐만 아니라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의 충전식 구동전원을 통일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함에 있다.
즉, MP3 플레이어에 2차 전지를 내장하여 반영구적으로 재충전하여 구동전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 2차 전지를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에 내장된 전지용량의 부족을 보충해 줄 수 있는 보조전원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전자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2차 전지가 내장된 MP3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MP3 플레이어의 구동전원이 됨과 동시에 휴대폰 등의 충전전원 공급원이 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MP3 플레이어의 소비전력이 약 150mW로서 매우 낮기 때문에 더욱 실효성이 확인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MP3 플레이어내 2차 전지의 전류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전지잔량 상태, 충전상태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2차 전지 및 2차 전지를 이용한 충전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 MP3 플레이어와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와의 연결에 있어서 하나의 연결케이블로 전원의 수수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전송도 동시에 할 수 있는 기술 등 세부항목을 제시하며, 아울러 CDMA 이동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GSM 통신 방식의 휴대폰 단말기 특성에도 부합하도록 설계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내용 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이며, 본 발명의 특유한 효과에 대응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로서:
본체부; 본체부내 통상의 MP3 기능을 수행하는 MP3 플레이어부; MP3 플레이어부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USB 트래블 어댑터가 접속하는 USB 입출력단자; 이 USB 입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상기 USB 트래블 어댑터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는 2차 전지를 포함하는 충전회로부; 및 충전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휴대용 전자 기기로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이 접속되는 충전출력단자, 를 포함하는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회로부는, USB 입출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된 전원을 정전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2차 전지의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 이 입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와 2차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2차 전지의 전기적인 성능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부; 보호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미리 설계된 크기를 가지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전압변환 회로부; 및 직류/직류 전압변환 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정전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이를 충전출력단자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회로부는, USB 입출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된 전원을 정전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2차 전지의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와 2차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2차 전지의 전기적인 성능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부; 및 보호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미리 설계된 크기를 가지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이 변환값을 충전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직류/직류 전압변환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GSM 통신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보호회로부를 통해 출력된 2차 전지의 전원은, MP3 정전압 변환 회로부를 통해 MP3 플레이어부 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MP3 플레이어부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출력단자에 접속된 연결 케이블을 통해 휴대용 전자 기기로 출력되는 충전전류를 감지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는, 충전출력단자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한편, GSM 방식 단말기에 보다 유용한 설계에 있어서는, 상기 출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가 구성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충전출력단자로부터 휴대용 전자 기기로 출력되는 충전전류를 검출하는 충전전류 검출회로부; 및 휴대용 전자 기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충전전류 검출회로부가 충전 상태 표시부로 전압값을 출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충전회로부는, 충전출력단자 및 보호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연결검출 및 충전회로 동작 조절부를 구비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가 충전출력단자에 접속,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접속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충전회로부를 동작시키고, 접속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충전회로부를 오프시킴으로써 내장된 2차 전지의 전류소비를 최소화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MP3 플레이어 사용자가 현재 전지잔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MP3 플레이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2차 전지의 전지 잔량 상태를 검출하여 본체부상에 디스플레이하는 2차전지 잔량 표시부를 더 포함하도록 함이 좋다.
본 발명의 구성의 특징을 다시 요약하자면, 예컨대 본 발명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에 USB 트래블 어댑터의 외부입력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충전회로부내에 구성되어 있는 보호회로부를 거쳐 입력된 2차 전지의 전원을, 미리 설계된 크기의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MP3 플레이어부내 MP3 정전압 변환 회로부에 의하여 정전압 제어가 수행되도록 한 다음에, MP3 플레이어부의 동작 스위치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가 충전출력단자에 연결되는 때에는, 상기 충전회로부를 통하여 2차 전지의 충전전원을 충전출력단자에 접속된 연결 케이블을 통하여 휴대용 전자 기기로 공급함으로써 휴대용 전자 기기의 내부 전지팩을 충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충전출력단자와 휴대용 전자 기기를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은, USB 커넥커와 휴대용 전자 기기 커넥터를 일체형 케이블로 사용하여 충전전원의 수수 및 데이터 송수신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는 휴대폰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 예컨대, MP3 플레이어 자체의 동작구성 등 이미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본 발명의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는 본체부(1)와 MP3 플레이어부(2), 2차 전지(10)를 포함하는 충전회로부(3)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전회로부(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USB 트래블 어댑터(4)와 휴대폰/휴대용 전자 기기(5)의 외부 기기가 각각 접속되는 USB 입출력단자(20) 및 충전출력단자(70)가 포함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USB 트래블 어댑터(4)는 상기 USB 입출력단자(20)를 통하여 전원공급 및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며, 그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상기 2차 전지(10)를 충전시키거나 또는 직접 상기 MP3 플레이어부(2)의 구동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송신인 경우에는 도 1의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USB 입출력단자(20)를 통하여 상기 MP3 플레이어부(2)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01)로 데이터를 송신하며, 직접 구동전원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USB 입출력단자(20)를 통해 상기 MP3 플레이어부(2)내 MP3 정전압 변환 회로부(100)의 정전압 제어에 의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USB 트래블 어댑터(4)의 외부전원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충전된 2차 전지(10)를 통하여 상기 MP3 플레이어부(2)의 구동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MP3 플레이어부(2)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으나, 그 상세한 구성 및 동작원리는 통상의 MP3 플레이어와 동일하고, 그 구성 및 동작원리에 대하여 본 발명만의 특유한 구성을 청구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충전회로부(3)는 상기 2차 전지(10)와 관련하여 세 가지 목적으로 구성된다. 제 1 목적은 상기 본체부(1) 내부에 장착된 2차 전지(10)를 충전하는 것이고, 제 2 목적은 이 충전된 2차 전지(10)를 구동전원으로 하여 MP3 플레이어부(2)를 동작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제 3 목적은 충전된 2차 전지(10)를 이용하여 휴대폰/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을 충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USB 입출력단자(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입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30)로 입력되며, 이 입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30)는 상기 2차 전지(10)를 충전시킬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크기의 정전압/정전류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상기 USB 입출력단자(20)로 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약 5V 450mA의 충전전류가 통상 1200mAh 리튬 이온 배터리인 상기 2차 전지(10)에 입력되어 이를 충전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2차 전지의 종류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충전회로부(3)는 상기 2차 전지(10)를 보호해주는 보호회로부(40)를 구비하며, 이 보호회로부(40)는 상기 2차 전지(10)의 전압과 전류를 감시하여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단락 등이 발생할 경우 2차 전지(10)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2차 전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자들은 모두 상기 보호회로부(40)를 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2차 전지(20)의 충전전원은 상기 보호회로부(40)를 통하여 상기 MP3 플레이어부(2)의 상기 MP3 정전압 변환 회로부(100)로 전달되고, 이 MP3 정전압 변환 회로부(100)의 정전압 제어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1)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MP3 플레이어부(2)를 반영구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2차 전지(10)를 이용하여 다른 외부기기, 즉 휴대폰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메커니즘을 살펴 본다.
휴대폰 단말기의 이동 통신 방식은 크게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과 GSM(Global System for Mobile)로 구분되고, 양 통신 방식에 따라 휴대폰으로 입력되는 전원의 크기가 각각 약 4.2V, 5V 정도로 상이하기 때문에, 휴대폰의 배터리를 본 발명의 MP3 플레이어내에 장착된 2차 전지를 이용하여 충전시키기 위한 최적의 구성을 함에 있어서 상기 CDMA 방식과 GSM 방식의 단말기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동일하다.
먼저, CDMA 방식의 휴대폰의 배터리를 MP3 플레이어에 내장된 상기 2차 전지(10)를 통하여 충전시키는 상기 충전회로부(3)에 있어서(도 1 참조), 상기 보호회로부(40)를 통하여 입력된 2차 전지(10)의 전압(3.0V-4.2V)을 미리 설계된 크기의 일정한 전압(대략 4.40V-4.85V)으로 승압시키는 직류/직류 전압 변환회로부(Step-up DC/DC Converter)(50)와, 이 직류/직류 전압 변환회로부(50)으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5)의 배터리(통상 리튬 이온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충전용 정전류, 정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60)를 포함하고, 이 출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60)를 통해서 약 600mA의 충전전류가 상기 충전출력단자(70)를 통해 휴대폰/휴대용 전자 기기(5)에 출력되게 된다.
또한, 충전 상태 표시부(90)는 상기 충전출력단자(70)를 통하여 휴대폰/휴대용 전자 기기(5)에 출력되는 충전전류를 감지하여 휴대폰/휴대용 전자 기기(5)의 충전상태를 표시해 준다.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90)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여, 예컨대 급속충전의 경우 "RED", 충전완료의 경우에는 "GREEN"으로 표시한다.
CDMA 방식의 휴대폰 입력 전원이 약 4.2V이고, 상기 직류/직류 전압 변환회로부에서 승압된 출력전압이 약 4.40V-4.85V이기 때문에, CDMA 방식의 휴대폰 을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출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4.2V 출력)를 거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반면에, GSM 휴대폰의 경우에는 입력 전원이 약 5V이기 때문에, 상기 충전회로부(3)의 구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이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중, 상기 실시예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기본적으로 GSM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직류/직류 전압 변환회로부(50)의 출력전압(4.85V-5V)을 상기 출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충전출력단자(70)로 출력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충전출력단자(70)로부터 상기 휴대폰/휴대용 전자 기기(5)로 출력되는 충전전류를 감지하여 충전상태 표시 동작에 맞도록 충전 상태 표시부(90)로 그 출력전압값을 전송하는 충전 전류 검출 회로부(110)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MP3 플레이어가 CDMA 방식이나 GSM 방식을 고려하여 상기 충전회로부(3)의 제 3 목적(MP3 플레이어의 2차 전지를 이용하여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달성함에 있어서 그 구성을 약간 변형한 것은, 본 발명의 MP3 플레이어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인 까닭에 상기 통신방식의 차이를 불문하고 동일하게 구성하였다고 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제한될 수 없음을 첨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충전회로부(3)는 충전 대기시 내장된 2차 전지(10)의 전류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휴대폰/휴대용 전자 기기(5)가 상기 충전출력단자(7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2차 전지(10)의 전류 출력 및 내부 충전회로부(3)가 동작하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연결검출 및 충전회로 동작조절부(80)를 구비하여 이를 상기 충전출력단자(70) 및 상기 보호회로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 예시제품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MP3 플레이어부(2)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1)에서 상기 2차 전지(10)의 전지 잔량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본체부(1)상에 디스플레이하는 2차 전지 잔량 표시부(6)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MP3 플레이어 사용자가 2차 전지의 재충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5)는 예시품 오른쪽 충전출력단자(70)에 접속하여 내장된 2차 전지(10)를 통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밖에는 통상의 MP3 플레이어와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예를 도시하고 있다.
MP3 플레이어의 충전출력단자(70)와 휴대폰(5)을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120)은 충전전원의 수수와 함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고안된다. 즉, 상기 충전출력단자(70)와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5)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 케이블은(120), USB 커넥커와 휴대용 전자 기기 커넥터를 일체형 케이블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그 내부에는 통신전송로와 충전전송로가 병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출력단자(70)로부터의 충전전원 수수시에는 충전전송로를 통하여 충전전원이 휴대폰내 배터리로 전송되고, MP3 플레이어내의 데이터를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전송로를 통하도록 하여 구성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구성을 통하여, MP3 플레이어에 2차 전지를 내장하여 반영구적으로 재충전하여 구동전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 2차 전지를 휴대폰 등 휴대용 전자 기기에 내장된 전지용량의 부족을 보충해 줄 수 있는 보조전원으로 삼을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때 휴대폰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가 충전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내부 충전회로부가 동작하게 되어 MP3 플레이어부내에 내장된 2차 전지의 전류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특유한 구성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특유한 효과는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한 범위에서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 예시제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부
2 : MP3 플레이어부
3 : 충전회로부
4 : USB 트래블 어댑터
5 : 휴대폰/휴대용 전자 기기
6 : 2차 전지 잔량 표시부
10 : 2차 전지
20 : USB 입출력단자
30 : 입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
40 : 보호회로부
50 : 직류/직류 전압 변환회로부
60 : 출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
70 : 충전출력단자
80 : 휴대용 전자 기기의 연결검출 및 충전회로 동작 조절부
90 : 충전 상태 표시부
100 : MP3 정전압 변환 회로부
101 : MP3 마이크로 프로세서
102 : 동작 스위치
110 : 충전전류 검출회로부
120 : 연결 케이블

Claims (13)

  1. 휴대용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내 통상의 MP3 기능을 수행하는 MP3 플레이어부;
    상기 MP3 플레이어부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USB 트래블 어댑터가 접속하는 USB 입출력단자;
    상기 USB 입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상기 USB 트래블 어댑터로부터 충전전원을 공급받는 2차 전지를 포함하는 충전회로부; 및
    상기 충전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로 충전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이 접속되는 충전출력단자, 를 포함하는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부는,
    상기 USB 입출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된 전원을 정전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
    상기 입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와 상기 2차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2차 전지의 전기적인 성능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부;
    상기 보호회로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2차 전지의 전압을 미리 설계된 크기를 가지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전압변환 회로부; 및
    상기 직류/직류 전압변환 회로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정전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이를 상기 충전출력단자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부는,
    상기 USB 입출력단자를 통하여 입력된 전원을 정전류,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
    상기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와 상기 2차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2차 전지의 전기적인 성능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부; 및
    상기 보호회로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2차 전지의 전압을 미리 설계된 크기를 가지는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이 변환값을 상기 충전출력단자로 출력하는 직류/직류 전압변환 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부를 통해 출력된 2차 전지의 전원은, MP3 정전압 변환 회로부를 통해 MP3 플레이어부 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MP3 플레이어부가 구동하는 것인,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출력단자에 접속된 상기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로 출력되는 충전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는,
    상기 충전출력단자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충전전원을 공급하는 출력 충전전류/충전전압 변환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출력단자로부터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로 출력되는 충전전류를 검출하는 충전전류 검출회로부; 및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전류 검출회로부는 상기 충전 상태 표시부로 전압값을 출력하는 것인,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부는,
    상기 충전출력단자 및 상기 보호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연결검출 및 충전회로 동작 조절부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상기 충전출력단자에 접속,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접속되었을 경우에만 상기 충전회로부를 동작시키고, 접속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충전회로부를 오프시킴으로써 내장된 상기 2차 전지의 전류소비를 최소화하는 것인,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2차 전지의 전지 잔량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본체부상에 디스플레이하는 2차전지 잔량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SB 트래블 어댑터의 외부입력전원이 없을 때에는,
    상기 충전회로부내에 구성되어 있는 보호회로부를 거쳐 입력된 상기 2차 전지의 전원이, 미리 설계된 크기의 직류전압을 변환하는 상기 MP3 플레이어부내 MP3 정전압 변환 회로부에 의해 정전압 제어를 받으면서, 상기 MP3 플레이어부의 동작 스위치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공급되는 것인,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가 상기 충전출력단자에 연결되는 때에는,
    상기 충전회로부를 통하여 상기 2차 전지의 충전전원을 상기 충전출력단자에 접속된 상기 연결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의 내부 전지팩을 충전하는 것인,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12.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출력단자와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 케이블은, USB 커넥커와 휴대용 전자 기기 커넥터를 일체형 케이블로 사용하여 충전전원의 수수 및 데이터 송수신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13.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는 휴대폰인,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KR1020040026589A 2004-04-19 2004-04-19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KR20050101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589A KR20050101386A (ko) 2004-04-19 2004-04-19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589A KR20050101386A (ko) 2004-04-19 2004-04-19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386A true KR20050101386A (ko) 2005-10-24

Family

ID=3727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589A KR20050101386A (ko) 2004-04-19 2004-04-19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13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315A (ko) * 2017-12-05 2019-06-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기능을 갖는 usb 디바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881A (ko) * 1999-05-26 2000-05-06 엄상섭 휴대폰배터리일체형엠피3플레이어및보이스레코더
KR20010091560A (ko) * 2000-03-16 2001-10-23 윤종용 오디오 데이터 재생기능을 갖는 충전기
KR20020033281A (ko) * 2000-10-30 2002-05-06 노명기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충전장치
KR20040015710A (ko) * 2001-03-19 2004-02-19 이상열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와,휴대통신단말 접속 구조 및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
KR20040052572A (ko) * 2004-04-06 2004-06-23 홍종운 충전, 데이터 통신, 외부 저장장치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밧데리를 이용한 외장형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881A (ko) * 1999-05-26 2000-05-06 엄상섭 휴대폰배터리일체형엠피3플레이어및보이스레코더
KR20010091560A (ko) * 2000-03-16 2001-10-23 윤종용 오디오 데이터 재생기능을 갖는 충전기
KR20020033281A (ko) * 2000-10-30 2002-05-06 노명기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충전장치
KR20040015710A (ko) * 2001-03-19 2004-02-19 이상열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기기 접속포트를 이용한휴대통신단말의 전원공급 및 데이터중계 장치와,휴대통신단말 접속 구조 및 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
KR20040052572A (ko) * 2004-04-06 2004-06-23 홍종운 충전, 데이터 통신, 외부 저장장치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밧데리를 이용한 외장형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315A (ko) * 2017-12-05 2019-06-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기능을 갖는 usb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8103B2 (en) Multi-functional high capacity portable power charger
US10250056B2 (en) Multi-function external attachment and safety circuit for a portable power charger
US8461805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connecting ports for internal and external charging/output operations
US8575887B1 (en) Universal charging holster for charging and transpor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050280398A1 (en) Mobile charger
US9190639B2 (en) Protecting case
US20130193911A1 (en) Motion-actuated portable charger
US20080272733A1 (en) Dual Mode Portable Charger
US20080180874A1 (en) Headphone battery charging
US20150130400A1 (en) Portable Automotive Battery Jumper Pack with Detachable Backup Battery
US20050077869A1 (en) Combinational charger
US20150236538A1 (en) Mobile Device Case with Fast Charging Battery Pack
US20090265570A1 (en) Battery structur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00052606A1 (en) Charging device,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JP2010110195A (ja) 携帯端末用ケース
US20110047393A1 (en) External Device Charging While Notebook Is Off
CN101106282A (zh) 便携式大容量电源装置
KR200277986Y1 (ko) 유에스비포트와 멀티잭을 내장한 멀티퍼포스 시가라이트인터페이스
KR20050101386A (ko) 2차 전지를 내장한 mp3 플레이어
CN100377467C (zh) 太阳能移动电源
KR20120009890A (ko) 휴대단말기용 젠더
CN202696222U (zh) 多功能太阳能充电器
WO2008007965A1 (en) Battery recharging and supporting device
KR20070000812U (ko)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충전식 에프엠 라디오 및휴대전화보조배터리
KR200379930Y1 (ko) 휴대용 다중 직류전압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1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