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74367A - 정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367A
KR20030074367A KR10-2003-0015163A KR20030015163A KR20030074367A KR 20030074367 A KR20030074367 A KR 20030074367A KR 20030015163 A KR20030015163 A KR 20030015163A KR 20030074367 A KR20030074367 A KR 20030074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data
unit
road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1561B1 (ko
Inventor
나카무라시게오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4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정보처리장치는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실상(real image)에 대해 선택범위를 지정하는 제 1부분, 지정된 선택범위내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2부분, 이용자가 명칭이나 위치 등의 특정 항목을 입력하여 시설 등의 스폿(spot)이 정해지면 입력항목에 기초하여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을 구하는 제 3부분, 및 구해진 스폿의 실상의 표시 위치를 구하는 제 4부분을 가진다. 구해진 위치에 기초하여,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의 실상을 포함하는 영역이 선택범위로서 지정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2002년 3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2-070643호에 포함된 내용이고, 그 전체 내용은 본문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차량에 설치된 항법(navigation)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데 적합한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항법 시스템은 DVD-ROM 등에 기록된 도로지도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화면에 지도를 표시할 수 있었고, 지도상의 항법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항법 시스템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따라 운전자를 안내할 수 있다.
은행, 편의점, 주유소 등의 표지물(landmark)이 특별한 표지로서 표시되어, 알기 쉬운 표시가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의 항법 시스템에서는, 특별하게 표시된 표지가 단순한 표시이고 특별한 표지가 표시되는 위치가 미리 결정되어, 충분한 표시가 반드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이용자의 기호에 맞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그런데, 최근, 지구의 표면을 나타내는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실상(real image)을 표시화면에 표시하고 그 위에 항법 시스템의 위치를 표시하는 항법 시스템이 제안되어 왔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표시된 위성사진 등으로부터 이용자의 기호에 따라 실상이 입력되고, 입력된 화상이 종래의 도로 지도상에 표시되면 이용자의 만족도를높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항법 시스템은 통상 차량에 설치되고 퍼스널 컴퓨터와 다른 제한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화상 입력 조작 등이 간단하게 될 필요가 있어서 이루기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이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상을 입력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 등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따르면, 정보처리장치는,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저장부, 표시화면을 가지는 표시유닛,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화면상에 실상을 표시하는 제 1표시제어부,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실상에 대해 선택범위를 지정하는 선택범위지정부, 선택범위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선택범위내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 스폿(spot)을 지정할 수 있는, 특정 항목에 대응하는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특정데이터저장부, 특정 항목을 입력하는 입력부,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특정 항목에 대응하는 스폿을 구하는 제 1스폿산출부, 스폿의 실상인 위치를 표시하는 화상표시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표시위치 데이터저장부, 및 화상표시위치 데이터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화상표시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스폿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스폿의 실상이 표시되는 위치를 구하는 화상표시위치 산출부를 포함한다. 선택범위지정부는 스폿의 실상을 포함하기 위해 화상표시위치 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범위를 지정한다.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따르면, 선택범위가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실상에 대해 지정되면, 지정된 선택범위내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된다. 선택범위가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항목에 기초하여 지정되기 때문에,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실상(즉, 이용자가 원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가 항법 시스템에 사용되면, 이용자의 기호에 대한 실상이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도로 지도상의 유도경로의 목표 위치(즉, 목적지), 이용자의 집, 등에 놓일 수 있어서,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항법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선택범위의 지정에 관한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
a) 먼저, 이용자가 시설 등의 스폿이 결정될 수 있는 특정 항목(예를 들면, 시설의 명칭이나 위치)을 입력하면, 이용자가 지정한 스폿이 입력된 특정 항목에 기초하여 구해진다.
b) 이용자가 지정한 스폿이 구해지면, 스폿의 실상의 표시 위치(예를 들면, 표시화면상의 좌표위치)가 구해진다.
c) 그리고 나서, 이용자가 지정한 스폿의 실상의 표시 위치에 기초하여 스폿의 실상을 포함하도록 선택범위가 지정된다.
상기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범위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특정 항목을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원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음성 입력 유닛은 제 1관점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입력 유닛으로서 채용되어, 어떠한 키조작없이 음성만을 발하면 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따르면, 정보처리장치는,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저장부, 표시화면을 가지는 표시유닛,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상에 실상을 표시하는 제 1표시제어부,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실상에 대한 선택범위를 지정하는 선택범위지정부, 선택범위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선택범위에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 및 좌표위치데이터를 입력하는 위치지정도구(pointing device)를 포함한다.
선택범위지정부는 좌표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범위를 지정한다.
제 2관점에 따르면,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실상에 대해 선택범위가 지정되면, 지정된 선택범위내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선택범위가 위치지정도구를 이용하는 이용자에 의해 지정되기 때문에,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실상(즉, 이용자가 원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가 항법 시스템에 채용되면, 이용자의 기호에 대한 실상이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도로 지도상의 유도경로의 목표 위치(즉, 목적지), 이용자의 집 등에 놓일 수 있어서,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항법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선택범위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는 위치지정도구(예를 들면,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라이트펜(light pen),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을 통해 좌표 위치를 지정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이용자의 기호에 대한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선택범위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 선택범위 a)∼c)를 들 수 있다.
a) 선택범위가 위치지정도구를 이용하여 둘러싸인 영역인 경우(도 16 참조). 이용자가 위치지정도구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실상의 화상을 둘러싸면, 둘러싸인 화상(즉, 이용자의 기호에 대한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b) 선택범위가, 위치지정도구를 이용하여 지정된 한 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소정 조건에 기초하여 형성된 프레임의 영역인 경우(도 17 참조).
예를 들면, 프레임이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미리 설정된 직사각형 프레임이고, 이용자가 위치지정도구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실상에서 원하는 화상의 중심 부근을 지정하면, 원하는 화상(즉, 이용자의 기호에 대한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c) 선택범위가, 위치지정도구를 이용하여 지정된 두 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소정 조건에 기초하여 형성된 프레임의 영역인 경우(도 18 참조).
예를 들면, 프레임의 상부, 하부, 좌측, 우측을 기준점으로 하여 두 점에 의해 결정되고, 이용자가 위치지정도구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실상에서 원하는 화상의 좌측 상부 모서리와 우측 하부 모서리를 지정하면, 원하는 화상(즉, 이용자의 기호에 대한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제 2관점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선택범위지정부는 표시 화면상에표시된 실상의 소정 영역을 표시하는 프레임을 표시할 수도 있고, 프레임의 표시위치가 위치지정도구를 이용하여 이동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동된 후의 프레임에 의해 표시된 영역이 선택범위로서 지정된다(도 19 참조).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따르면, 제 2관점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선택범위지정부가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실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눈다. 선택범위는 복수의 영역으로부터 위치지정도구에 의해 지정된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이다.
제 3관점에 따르면,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실상이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고 선택범위가 복수의 영역으로부터 위치지정도구를 사용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영역이어서, 이용자가 위치지정도구를 사용하여 복수의 영역으로부터 원하는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선택하면, 원하는 화상(즉, 이용자의 기호에 대한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 기호에 대한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간단에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관점에 따르면, 정보처리장치는,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저장부, 표시 화면을 가지는 표시유닛,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상에 실상을 표시하는 제 1표시제어부, 스폿의 실상이 표시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화상표시위치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표시위치 데이터저장부, 표시 화면상의 좌표위치데이터를 입력하는 위치지정도구, 화상표시위치 데이터와 좌표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지정도구에 의해 지정된 스폿을 구하는 제 2스폿산출부, 및 제 2스폿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위치에 기초하여 스폿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를 포함한다.
제 4관점에 따르면, 이용자가 위치지정도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스폿을 지정하면, 지정된 스폿의 실상(즉, 이용자가 원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가 항법 시스템에 채용되면, 이용자의 기호에 대한 실상이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도로 지도상의 유도경로의 목표 위치(즉, 목적지), 이용자의 집 등에 놓일 수 있기 때문에,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항법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스폿을 지정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는 위치지정도구를 이용하여 표시 화면상의 좌표 위치를 특정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원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관점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는, 터치 스크린이 위치지정도구로서 채용될 수도 있어, 정보처리장치의 조작성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다. 차량에서는, 스위치 키(switch key) 등을 조작하기에 매우 번잡하고 어렵다. 따라서, 정보처리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항법 시스템에 채용되면, 정보처리장치의 이점을 더욱 완벽하게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관점에 따르면, 제 1, 제 2, 및 제 4관점 중 어느 하나의 정보처리장치는, 도로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화상데이터저장부는 링크(link)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화상데이터가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도로지도 데이터에 링크된다. 제 1 또는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가 화상데이터를 수집할 때 제 1 또는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가 링크 데이터를 수집한다.
제 5관점에 따르면,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되면, 링크 데이터가 도로지도 데이터와 함께 수집된다. 그러므로, 도로 지도와 함께 스폿의 실상을 쉽게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6관점에 따르면, 제 5관점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표시 유닛이 도로지도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상에 도로 지도를 표시한다. 제 6관점의 정보처리장치는, 링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을 도로 지도상에 표시하는 제 2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 6관점에 따르면, 실상(즉,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의 실상)이 도로 지도상의 스폿 대신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스폿 위치를 찾아 그 위에 실상을 놓는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서, 조작성이 매우 우수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관점에 따르면, 제 5관점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표시 유닛이 도로지도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상에 도로 지도를 표시한다. 제 7관점의 정보처리장치는,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을 도로 지도상의 소정 위치에 표시하는 제 3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 7관점에 따르면, 실상(즉,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의 실상)이 도로 지도상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목적지 또는 이용자의 집)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 기호에 대한 실상이 도로 지도상의 유도경로의 목표 위치, 이용자의 집등을 표시하는 지역에 놓일 수 있다.
제 7관점에 따르면, 제 1, 제 2, 및 제 4관점 중 어느 하나의 정보처리장치는, 이용자가 등록하기 원하는 스폿의 정보를 등록하는 스폿 정보등록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 1 또는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는 스폿의 정보로서 등록된 데이터에 포함된다.
제 8관점에 따르면, 실상(즉,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는 스폿의 정보로서 등록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스폿의 정보가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관점에 따르면, 제 8관점의 정보처리장치는, 등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용자에게 스폿의 정보를 소개하는 제 1스폿 정보 소개부를 더 포함한다. 제 1스폿 정보 소개부는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을 표시한다.
제 9관점에 따르면, 스폿의 정보로서, 스폿의 실상이 표시될 수 있어서, 확장된 스폿 정보가 이용자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관점에 따르면, 제 8관점의 정보처리장치는, 스폿 정보로서 등록된 스폿으로부터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폿을 선택하는 스폿선택부와, 스폿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스폿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소개하는 제 2스폿 정보 소개부를 더 포함한다.
제 10관점에 따르면, 예를 들면, 스폿 정보로서 등록된 스폿들로부터 소정 조건에 기초하여 목적지에 대한 후보로서 복수의 스폿이 선택되고, 선택된 스폿의 정보는 이용자에게 소개된다. 스폿의 정보로서, 스폿의 실상이 표시되어, 이용자가목적지를 결정하기 전에 표시된 실상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보다 즐겁게 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관점에 따르면, 제 1, 제 2, 및 제 4관점 중 어느 하나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터저장부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각 스폿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와, 화상데이터에 관련되어 있는 다양한 조건을 표시하는 조건데이터를 저장한다.
제 1 또는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는 다양한 조건에 따른 각 스폿의 실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상데이터와 조건데이터를 수집한다. 제 11관점의 정보처리장치는, 제 1 또는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을 소정 시점의 조건과 조건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4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 11관점에 따르면,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두 개 이상의 스폿의 실상이 각종 조건(예를 들면, 계절)에 따라 입력되고 조건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이 소정 위치에서의 조건과 조건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상에 적시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계절 등에 따른 실상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산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현재 계절이 봄이면, 벚꽃이 피는 산이 표시될 수 있고; 계절이 겨울이면, 눈이 내린 산이 표시될 수 있어서, 정감있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관점에 따르면, 제 1, 제 2, 및 제 4관점 중 어느 하나의 정보처리장치는, 도로지도데이터용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 제 5표시제어부, 및 제 6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표시유닛은 도로지도데이터에 기초하여 도로 지도와 정보처리장치의 위치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한다. 제 5표시제어부는 제 1 또는 제 2 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을 도로 지도상의 소정 위치에 표시한다. 제 6표시제어부는 도로 지도상의 정보처리장치의 위치와 소정 위치 사이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실상의 표시 모드(mode)를 변경한다.
제 12관점에 따르면, 실상(즉,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의 실상)이 도로 지도상의 소정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로 지도상의 정보처리장치의 위치와 소정 위치 사이의 관계에 기초하여 실상의 표시 모드에 대한 변경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가 소정 위치에 근접하면, 실상이 확대 비율로 표시되거나 점멸표시되어, 시각적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13관점에 따르면, 정보처리장치는, 실상과 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 저장부, 도로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 및 목적지가 설정되면 위치 데이터와 링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목적지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3화상데이터수집부를 포함한다. 링크 데이터는 화상데이터와 도로지도데이터를 링크한다.
제 13관점에 따르면, 목적지가 설정되면, 목적지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적지의 실상이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도로 지도상의, 예를 들면, 유도경로상의 목표 위치(즉, 목적지)상에 놓일 수 있고, 목적지의 히스토리 정보(history information)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관점에 따르면, 제 13관점의 정보처리장치는, 제 3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을 도로 지도상의 목적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는 제 7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 14관점에 따르면, 목적지의 실상은 도로 지도상의 목적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목적지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보다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5관점에 따르면, 제 13관점의 정보처리장치는, 제 3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제 3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게 하는 저장제어부, 및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을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8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 15관점에 따르면, 제 3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즉,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적지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소정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어서, 목적지의 실상이 목적지의 히스토리 정보로서 남을 수 있다.
소정 저장부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즉, 목적지의 실상)이 표시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과거에 방문한 장소가 실상으로서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관점에 따르면, 제 13관점의 정보처리장치는, 목적지까지의 유도경로를 산출하는 유도경로 산출부, 및 유도경로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유도경로에 포함된 중계점(relay point)의 위치 데이터와 링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계점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4화상데이터수집부를 더 포함한다.
제 16관점에 따르면, 목적지까지의 유도경로가 산출되면, 유도경로에 포함된 중계위치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목적지까지의 중간점에서 중계위치의 실상이, 예를 들면,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도로 지도상의 유도경로상의 중계점상에 놓일 수 있고, 주행 경로의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7관점에 따르면, 제 16관점의 정보처리장치는, 제 3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과 제 4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을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9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제 17관점에 따르면, 제 3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즉, 목적지의 실상)과 제 4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즉, 중계 위치의 실상)이 표시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목적지의 실상뿐만 아니라, 목적지까지의 중계위치(경유점)의 실상도 참조할 수 있어서, 이용자가 목적지까지의 유도 경로를 잘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 설치된 DVD-ROM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real image)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 설치된 DVD-ROM의 저장 형식(storage format)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 설치된 DVD-ROM의 저장형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표시 패널상에 표시된 조작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 1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주행거리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속도센서(speed sensor)(2)와 주행방향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3)가 마이크로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는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항법 시스템의 위치를 결정한다(자율 항법(autonomous navigation)).
GPS 수신기(4)는 안테나(5)를 통해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로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으며, 마이크로컴퓨터(1)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항법 시스템의 위치를 결정한다(GPS 항법(GPS navigation)).
DVD-ROM은 도로지도데이터, 화상데이터, 특정 데이터, 화상표시위치 데이터, 링크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화상데이터는 지구의 표면을 나타내는 위성사진 등의 실상에 대응한다. 특정 데이터는, 시설 등의 스폿을 지정할 수 있는, 명칭 및 위치 등의 특정 항목에 대응한다. 화상표시위치 데이터는 스폿의 실상이 표시되는 위치를 표시한다. 링크 데이터는 스폿의 위치와 도로지도데이터를 링크한다. DVD 드라이브(DVD drive)(6)는 DVD-ROM(7)(예를 들면, CD-ROM 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와 같은 다른 저장장치일 수도 있다)으로부터 도로지도데이터 등을 수집할 수 있다. DVD 드라이브(6)는 마이크로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는 항법 시스템의 결정된 위치와 도로지도데이터를 맞추어(소위, 지도 매칭 처리(map matching processing)), 항법 시스템의 위치를 정밀하게 표시하는 지도를 표시 패널(9b)상에 표시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는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상을 표시 패널(9b)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DVD-ROM(7)에 저장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OX 타워"의 화상(11)은 실상(10)에 표시된다. 실상에는 화상번호가 일대일(one-to-one)로 주어지고; 예를 들면, "OX 타워"의 화상(11)을 포함하는 실상(10)에는 화상번호(NP1)가 주어진다.
도 3은 DVD-ROM(7)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 화상표시위치 데이터, 및 링크 데이터의 저장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VD-ROM(7)은 스폿을 결정하기 위한 각 스폿에 대한 명칭 데이터나 위치 데이터 등의 특정 데이터, 스폿의 실상이 표시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화상표시위치 데이터(예를 들면, 스폿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좌측상부 좌표 데이터와 우측하부 데이터), 및 스폿과 도로지도 데이터를 링크시키기 위한 링크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스폿 번호 NS1의 특정데이터로서, 명칭이 "OX 타워"임을 표시하는 데이터와 위치가 "△-△-△ XX-초, OO-쿠, 코베시"임을 표시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화상표시위치 데이터로서, 실상(10)의 화상번호(NP1)를 표시하는 데이터, 화상(11)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프레임(12)(도 2참조)의 좌측상부 모서리 좌표 데이터(x1, y1)와 우측하부 모서리 좌표 데이터(x2, y2), 및 스폿과 도로지도 데이터를 링크시키는 링크 데이터(X1, Y1)가 저장된다.
각 스폿과 도로지도 데이터를 링크시키기 위한 링크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상에 의해 표시된 장소와 도로지도데이터를 링크시키기 위한 링크 데이터(예를 들면, 실상의 좌측 상부의 위도와 경도를 표시하는 좌표 데이터)가 각각의 실상에 대해 저장될 수도 있다.
원격제어기(remote control)상에 배치된 조이스틱(8a)과 버튼 스위치(8b)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신호와 표시기(9)상에 배치된 버튼 스위치(9a)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신호는 마이크로컴퓨터(1)에 입력되고, 스위치 신호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1)가 스위치로부터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하면, 마이크로컴퓨터(1)가 항법 시스템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경로를 탐색하고 표시 패널(9b)상에 유도경로로서 최적경로를 도로 지도와 함께 표시한다. 필요하다면, DVD-ROM(7)에 저장된 도로지도데이터, 화상데이터, 특정 데이터, 화상표시위치 데이터, 및 링크 데이터는 마이크로컴퓨터(1)의 메모리(도시 안됨)에 저장된다.
이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마이크로컴퓨터(1)에 의해 수행된 처리조작(①)을 도 4의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처리조작(①)은,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상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될 때 수행되는 처리조작이다. 항법 시스템은 이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통해 아이콘생성(ICON CREATION)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우선, 실상으로부터 잘려나온것 같은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자가 아이콘생성 화면으로의 전환명령을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용자가 아이콘생성 화면으로의 전환명령을 입력했다고 판단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아이콘생성 화면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다(단계 S2). 한편, 이용자가 아이콘생성 화면으로의 전환명령을 입력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조작(①)이 종료된다.
단계 S3에서는, 이용자가 명칭입력을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용자가 명칭입력을 선택했다고 판단되면, 명칭입력 화면(도시 안됨)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후, 처리조작(①)이 단계 S7로 진행된다. 한편, 이용자가 명칭입력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이용자가 위치입력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 이용자가 위치입력을 선택했다고 판단되면, 위치입력 화면(도시 안됨)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후(단계 S6), 처리조작(①)이 단계 S7로 진행된다. 한편, 이용자가 위치입력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조작(①)은 단계 S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7에서는, 이용자가 명칭입력 화면(또는 위치입력 화면)을 통해 스폿의 명칭(또는 위치)입력을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조작(①)은 단계 S7로 되돌아가고; 한편, 입력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이 입력내용과 특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해진다(단계 S8). 예를 들면, 이용자가 명칭입력 화면을 통해 "OX 타워"를 입력하면, 스폿 번호 NS1의 스폿이 지정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각 스폿의 명칭과 위치는 원격제어기(8)와 표시기(9)상에 배치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가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성입력유닛, 음성분석유닛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어서,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예를 들면, 스폿 번호 NS1의 스폿)의 실상과 링크 데이터에서의 화상표시위치 데이터가 마이크로컴퓨터(1)의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단계 S9). 그리고 나서,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판독 화상표시위치 데이터와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집된다(단계 S10).
예를 들면, 이용자가 스폿 번호 NS1의 스폿을 지정하면(즉, 이용자가 "OX 타워" 또는 "△-△-△ XX-초, OO-쿠, 코베시"를 입력하면), 좌측상부 모서리 좌표데이터(x1, y1)와 우측하부 모서리 좌표데이터(x2, y2)에 기초하여 형성된 직사각형 프레임(12)에 의해 둘러싸인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화상번호(NP1)의 화상데이터로부터 수집된다.
이어서, 수집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이이콘)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후(단계 S11), 이용자가 아이콘의 등록명령을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 이용자가 등록명령을 입력했다고 판단되면, 단계 S10에서 수집된 화상데이터와 단계 S9에서 판독한 링크 데이터가 서로 연관되고 마이크로컴퓨터(1)의 비휘발성 메모리(도시 안됨)에 등록된다(단계 S13). 따라서,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의 아이콘에 관련된 데이터가 등록될 수 있다.
한편, 이용자가 등록명령을 입력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이용자가 아이콘의 취소명령을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 이용자가 취소명령을 입력했다고 판단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다(단계 S15). 한편, 이용자가 취소명령을 입력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조작(①)이 단계 S12로 되돌아 간다.
이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마이크로컴퓨터(1)에 의해 수행된 처리조작(②)을 도 8의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처리조작(②)은, 도로 지도가 도로지도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될 때 수행되는 처리조작이다.
우선, 비휘발성 메모리에 등록된 아이콘에 관련된 데이터(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와 링크 데이터)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진다(단계 S21). 도로 지도에 링크되어 표시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도로 지도상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2).
도로 지도에 링크되어 표시될 수 있는 아이콘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아이콘에 관련된 데이터(화상데이터 및 링크 데이터)가 판독된다(단계 S23).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즉, 아이콘)이, 판독된 링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로 지도상에, 도로 지도에 링크되어 표시된다(단계 S24). 한편, 도로 지도에 링크되어 표시될 수 있는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처리조작(②)이 종료된다.
예를 들면, 정보처리장치가 아이콘이 표시된 위치(즉,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에 근접하면, 도로 지도에 링크되어 도로 지도상에 표시된 아이콘이 확대비율또는 점멸표시로 표시될 수도 있어서, 시각적 효과가 증대된다.
이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마이크로컴퓨터(1)에 의해 수행된 처리조작(③)을 도 9의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용자가 목적지를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 이용자가 명령을 입력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조작(③)이 종료된다. 한편, 이용자가 명령을 입력했다고 판단되면, 두 개 이상(예를 들면, 여섯 개)의 목적지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등록된 아이콘에 관련된 데이터로부터 선택된다(단계 S32). 선택된 여섯 스폿의 아이콘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다(단계 S33).
이어서, 이용자가 룰렛(roulette)을 시작하기 위한 시작명령을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4). 이용자가 시작명령을 입력했다고 판단되면, 룰렛이 시작된다(단계 S35). 여기서 룰렛은, 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으로 아이콘을 빛나게 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어서, 이용자가 룰렛을 종료하기 위해 중지명령을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6). 이용자가 중지명령을 입력했다고 판단되면, 룰렛이 종료된다(단계 S37). 예를 들면, 중지명령이 입력되면, 회전속도가 점차 느려져 룰렛이 종료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룰렛이 종료되었을 때 빛나고 있는 아이콘만이 남겨지고 나머지 5개의 아이콘이 화면에서 소거된다(단계 S38). 그리고 나서, 남은 스폿에 의해 표시된 스폿까지의 유도경로가 산출된다(단계 S39).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 따르면, 선택범위(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프레임(12))이 표시패널(9b)사에 표시된 실상에 대해 지정되면, 지정된 선택범위내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선택범위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 항목에 기초하여 지정되기 때문에,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실상(즉, 이용자가 원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수집된 실상(아이콘)은 링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도로 지도에 링크될 수 있고 표시될 수 있다. 즉, 수집된 실상(아이콘)은 도로 지도상의 스폿의 장소에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그 스폿 위치를 찾아 그 위에 아이콘을 놓는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서, 조작성이 매우 우수한 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다. 등록된 아이콘은 게임을 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목적지를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이 보다 즐거워질 수 있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의 실상(아이콘)은 도로 지도 상의 스폿의 장소에 표시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서는, 아이콘(즉, 이용자의 기호에 대한 화상)이 유도 경로의 목표나 이용자의 집과 같은 원하는 장소 어디에나 놓일 수도 있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서는, 동일 장소에 대해 하나의 실상만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서는, 동일 장소에 대한 실상이 다양한 조건(예를 들면, 계절)에 따라 준비될 수도 있다.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등록되면, 다양한 조건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와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조건데이터가 조합되어 등록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계절 등에 따라 실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특정 산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현재 계절이 봄이면, 벚꽃이 핀 산이 표시될 수 있고, 겨울철이면, 눈이 내린 산이 표시될 수 있어서, 정감있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서는, 이용자가 각 스폿의 명칭이나 위치를 아이콘생성 처리로서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되었다. 제 2 또는 제 3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으로서 다른 아이콘생성 처리를 수행하는 항법 시스템을 설명한다.
(제 2실시예)
우선,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 항법 시스템의 구성은, 마이크로컴퓨터(1) 또는 DVD-ROM(7)을 제외하고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항법 시스템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마이크로컴퓨터와 DVD-ROM은 도 1과 다른 참조번호로 표시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DVD-ROM(7A)는 도로지도데이터, 화상데이터, 링크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화상데이터는 지구의 표면을 나타내는 위성사진 등의 실상에 대응한다. 링크 데이터는 실상을 표시하는 장소와 도로지도데이터(예를 들면, 실상의 좌측 상부 모서리의 위도와 경도를 표시하는 좌표 데이터)를 링크시킨다.
이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마이크로컴퓨터(1)에 의해 수행된 조작 처리(④)를 도 12의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조작 처리(④)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상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될 때 수행되는 조작 처리이다.
우선, 이용자가 실상으로부터 잘라낸 것과 같은 아이콘을 생성하는 아이콘생성 모드로의 모드전환 명령을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1). 이용자가 아이콘생성 모드로의 모드전환 명령을 입력했다고 판단되면, 모드전환이 수행된다(단계 S42). 한편, 이용자가 모드전환 명령을 입력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조작 처리(④)가 종료된다.
이어서, 이용자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실상에 대해 선택범위(점선으로 형성된 직사각형 프레임(13)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를 지정하기 위해 원격제어기(8)의 조이스틱(8a)을 조작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3). 선택범위가 지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선택범위내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된다(단계 S44). 한편, 선택범위가 지정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조작 처리(④)가 단계 S43으로 되돌아 간다.
이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된 화상데이터(아이콘)에 대응하는 실상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 이용자가 아이콘의 등록명령을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6). 이용자가 등록명령을 입력했다고 판단되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실상의 링크 데이터가 판독된다(단계 S47). 단계 S44에서 수집된 화상데이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표시 위치(즉, 프레임(13))를 표시하는 좌표 데이터(프레임(13)의 좌측 상부 좌표 데이터와 우측 하부 좌표 데이터), 및 단계 S47에서 판독된 링크 데이터는 서로 연관되어 마이크로컴퓨터(1A)의 비휘발성 메모리(도시 안됨)에 등록된다(단계 S48). 따라서,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의 아이콘에 관련된 데이터가 등록될 수 있다.
한편, 이용자가 등록명령을 입력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이용자가 아이콘의 취소명령을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9). 이용자가 취소명령을 입력했다고 판단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다(단계 S50). 한편, 이용자가 취소명령을 입력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조작 처리(④)는 단계 S46으로 되돌아 간다.
원격 제어기(8)의 조이스틱(8a) 등을 이용하는 선택범위 지정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 방법 a)∼e)를 들 수 있다:
a)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이스틱(8a)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b)상에 표시된 포인터(pointer)를 사용하여 둘러싸인 영역이 선택범위(13)로서 지정된다.
b) 한 점을 기준점으로 소정 조건에 기초하여 형성된 프레임의 영역이 선택범위(13)로 지정된다. 프레임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직사각형(원형, 타원형 등) 프레임을 기준점(14)을 중심 등으로 한 것을 들 수 있다.
c) 두 점을 기준점으로 소정 조건에 기초하여 형성된 프레임의 영역이 선택범위(13)로 지정된다. 프레임은,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점의 두 점을 결정함으로써 형성된다.
d)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한 소정의 영역을 표시하는 프레임(17)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되고 이동된 후 프레임(17)에 의해 표시된 영역이 선택범위(13)로 지정된다.
e)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실상이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고 그 영역들 중에서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역이 선택범위(13)로 지정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 따르면, 선택범위가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실상에 대해 지정되면, 지정된 선택범위내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제 3실시예)
이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항법 시스템의 구성은 마이크로컴퓨터(1)와 DVD-ROM(7)을 제외하고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항법 시스템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마이크로컴퓨터와 DVD-ROM은 도 1과 다른 참조번호로 표시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DVD-ROM(7B)은 도로지도데이터, 화상데이터, 화상표시위치 데이터, 링크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화상데이터는 지구 표면의 위성사진 등의 실상에 대응한다. 화상표시위치 데이터는 각 스폿의 실상이 표시되는 위치를 표시한다.
도 21은 DVD-ROM(7B)에 저장된 화상표시위치 데이터와 링크 데이터의 저장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VD-ROM(7B)은, 각 스폿에 대해, 스폿의 실상이 표시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화상표시위치 데이터와 스폿과 도로지도데이터를 링크시키기 위한 링크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스폿 범호 NS1의 화상표시위치 데이터로서, 실상(10)의 화상 번호(NP1)를 표시하는 데이터(도 2참조), 화상(11)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프레임(12)의 좌측 상부 모서리 좌표 데이터(x1, y1) 및 우측 하부 모서리 좌표 데이터(x2, y2)(도 2 참조), 및 스폿과 도로지도데이터를 링크시키기 위한 링크 데이터(X1,Y1)가 저장된다.
여기서, 각 스폿을 도로지도데이터에 링크시키기 위한 링크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실상에 대해, 실상과 도로지도데이터(예를 들면, 실상의 좌측 상부의 위도와 경도를 표시하는 좌표 데이터)에 의해 표시된 장소를 링크시키는 링크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마이크로컴퓨터(1B)에 의해 수행된 처리 조작(⑤)을 도 22의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처리 조작(⑤)은,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상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되었을 때 수행되는 처리 조작이다.
우선, 이용자가 실상으로부터 잘려나온것 같은 아이콘을 생성하기 위해 아이콘생성 모드로의 모드전환 명령을 입력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S51). 이용자가 아이콘생성 모드로의 모드전환 명령을 입력했다고 판단되면, 모드 전환이 수행된다(단계 S52). 한편, 이용자가 모드전환 명령을 입력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조작 처리(⑤)가 종료된다.
이어서, 이용자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실상에 대한 특정 지점(18)으로 원격제어기(8)의 조이스틱(8a) 등을 조작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3). 그 지점(18)이 지정되었다고 판단되면,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이 지시된 좌표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해진다(단계 S54). 한편, 그 지점(18)이 지정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조작 처리(⑤)는 단계 S53으로 되돌아 간다. 예를 들면,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위치가 좌측 상부 모서리 좌표(x1, y1)와 우측 하부 모서리 좌표(x2, y2)를 가진 직사각형 프레임(19)의 영역에 존재하면, 이용자가 스폿 번호(NS1)의 스폿을 지정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구해진 스폿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된다(단계 S55). 입력된 화상데이터(아이콘)에 대응하는 실상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다(단계 S56). 그리고 나서, 이용자가 아이콘의 등록명령을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7). 이용자가 등록명령을 입력했다고 판단되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실상의 링크 데이터가 판독된다(단계 S58). 단계 S55에서 입력된 화상데이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의 표시 위치(즉, 프레임(19))를 표시하는 좌표 데이터(프레임(19)의 좌측 상부 좌표 데이터 및 우측 하부 좌표 데이터), 및 단계 S58에서 판독된 링크 데이터가 서로 연관되고, 마이크로컴퓨터(1B)의 비휘발성 메모리(도시 안됨)에 등록된다(단계 S59). 따라서, 이용자에 의해 지정된 스폿의 아이콘에 관련된 데이터가 등록될 수 있다.
한편, 이용자가 등록명령을 입력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이용자가 아이콘의 취소명령을 입력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0). 이용자가 취소명령을 입력했다고 판단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다(단계 S61). 한편, 이용자가 취소명령을 입력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조작 처리(⑤)는 단계 S57로 되돌아 간다.
제 3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 따르면, 이용자가 지점(18)을 지정하면(즉, 이용자가 원하는 스폿을 지정하면), 지정된 스폿의 실상(즉, 이용자가 원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제 2 및 제 3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서는, 조이스틱(8a)이 스폿의 선택범위를 지정하는 데 이용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서는, 마우스, 트랙볼, 라이트펜, 조이스틱, 및 터치스크린 등 조이스틱 외에 어떤 위치지정도구라도 선택범위를 지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제 4실시예)
제 4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항법 시스템의 구성은 마이크로컴퓨터(1) 또는 DVD-ROM(7)을 제외하고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항법 시스템과 유사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와 DVD-ROM은 도 1과 다른 참조 부호로 표시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DVD-ROM(7)은 도로지도데이터, 화상데이터, 링크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화상데이터는 지구표면을 나타내는 위성사진 등의 실상에 대응한다. 링크 데이터는 실상을 표시하는 장소와 도로지도데이터(예를 들면, 실상의 좌측 상부 모서리의 위도 및 경도를 표시하는 좌표 데이터)를 링크시킨다. 화상데이터는 도로지도데이터에 링크된다.
이어서, 제 4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의 마이크로컴퓨터(1C)에 의해 수행된 조작처리(⑥)를 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1). 이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했다고 판단되면, 목적지에 대해 설정된 스폿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된다(단계 S72). 한편, 이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조작처리(⑥)가 종료된다. 화상데이터는 목적지의 위치 데이터와 링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합하게 수집될 수 있다.
이어서, 실상의 링크 데이터가 판독된다(단계 S73). 단계 S72에서 수집된 화상데이터와 단계 S73에서 판독된 링크 데이터는 서로 연관되어 마이크로컴퓨터(1C)의 비휘발성 메모리(도시 안됨)에 등록된다(단계 S74).
이어서, 목적지까지의 유도경로가 산출된다(단계 S75). 유도경로에 포함된 중계위치에 대해 설정된 스폿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된다(단계 S76). 실상의 링크 데이터가 판독된다(단계 S77). 단계 S76에서 수집된 화상데이터와 단계 S77에서 판독된 링크 데이터가 서로 연관되어 마이크로컴퓨터(1C)의 비휘발성 메모리(도시 안됨)에 등록된다(단계 S78). 또한, 화상데이터는 중계 위치의 위치 데이터와 링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적합하게 수집될 수 있다.
제 4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를 채용한 항법 시스템에 따르면, 목적지가 설정되면, 목적지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목적지의 실상은, 예를 들면,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도로 지도상의 유도경로의 목표 지점(예를 들면, 목적지)에 놓일 수 있고, 목적지의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목적지까지의 유도 경로가 산출되면, 유도 경로에 포함된 중계 위치의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목적지까지의 중간지점에서 중계 위치의 실상이, 예를 들면,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도로 지도의 유도 경로의 중계점에 놓일 수 있고, 주행 경로의 히스토리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 의하면, 이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이용자의 기호에 따라 화상을 입력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 등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Claims (25)

  1.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저장부;
    표시화면을 가지는 표시유닛;
    상기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화면상에 상기 실상을 표시하는 제 1표시제어부;
    상기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실상에 대해 선택범위를 지정하는 선택범위지정부;
    상기 선택범위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상기 선택범위내의 상기 실상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
    스폿을 지정할 수 있는, 특정 항목에 대응하는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특정데이터저장부;
    상기 특정 항목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특정 항목에 대응하는 스폿을 구하는 제 1스폿산출부;
    상기 스폿의 상기 실상인 위치를 표시하는 화상표시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표시위치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화상표시위치데이터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상기 화상표시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스폿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상기 스폿의 상기 실상이 표시되는 위치를 구하는 화상표시위치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범위지정부는 상기 화상표시위치 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의 상기 실상을 포함하기 위해 상기 선택범위를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저장부;
    표시화면을 가지는 표시유닛;
    상기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화면상에 상기 실상을 표시하는 제 1표시제어부;
    상기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실상에 대해 선택범위를 지정하는 선택범위지정부;
    상기 선택범위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상기 선택범위내의 상기 실상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 및
    좌표위치데이터를 입력하는 위치지정도구(pointing 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범위지정부는 상기 좌표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범위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범위지정부는 상기 표시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실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선택범위는 복수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위치지정도구에 의해 지정된 복수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저장부;
    표시화면을 가지는 표시유닛;
    상기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화면상에 상기 실상을 표시하는 제 1표시제어부;
    스폿의 상기 실상이 표시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화상표시위치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표시위치데이터 저장부;
    상기 표시 화면상의 좌표위치데이터를 입력하는 위치지정도구;
    상기 화상표시위치데이터와 상기 좌표위치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지정도구에 의해 지정된 스폿을 구하는 제 2스폿산출부; 및
    상기 제 2스폿산출부에 의해 구해진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폿의 상기 실상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도로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데이터저장부는 상기 화상데이터가 상기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상기 도로지도데이터에 링크되도록 링크 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가 상기 화상데이터를 수집할 때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가 링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도로지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화면상에 도로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링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을 도로 지도상에 표시하는 제 2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유닛은 상기 도로지도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화면상에 도로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을 상기 도로 지도상의 소정 위치에 표시하는 제 3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등록하기 원하는 스폿의 정보를 등록하는 스폿 정보등록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는 상기 스폿의 정보로서 등록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상기 스폿의 정보를 소개하는 제 1스폿 정보 소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스폿 정보 소개부는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폿 정보로서 등록된 스폿으로부터 소정 조건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폿을 선택하는 스폿선택부; 및
    상기 스폿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복수의 스폿의 정보를 상기 이용자에게 소개하는 제 2스폿 정보 소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스폿 정보 소개부는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데이터저장부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각 스폿의 상기 실상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데이터; 및
    상기 화상데이터에 관련된 다양한 조건을 표시하는 조건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는,
    상기 다양한 조건에 따른 각 스폿의 상기 실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상데이터; 및
    조건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을 소정 시점의 조건과 상기 조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4표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도로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
    제 5표시제어부; 및
    제 6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도로지도데이터에 기초하여 도로지도와 정보처리장치의 위치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 5표시제어부는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을 상기 도로 지도상의 소정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제 6표시제어부는 상기 도로 지도상의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위치와 상기 소정 위치 사이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실상의 표시 모드(display mode)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3. 링크 데이터와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 저장부;
    도로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 및
    목적지가 설정되면 상기 목적지의 위치 데이터와 링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의 상기 실상에 대응하는 화상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3화상데이터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데이터는 상기 화상데이터와 상기 도로지도데이터를 링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을 도로 지도상의 상기 목적지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는 제 7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 3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게 하는 저장제어부; 및
    상기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을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8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유도경로를 산출하는 유도경로 산출부; 및
    상기 유도경로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상기 유도경로에 포함된 중계점의 위치 데이터와 상기 링크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계점의 상기 실상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4화상데이터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과 제 4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상을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9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8. 제 2항에 있어서, 도로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데이터저장부는 상기 화상데이터가 상기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상기 도로지도데이터에 링크되도록 링크 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가 상기 화상데이터를 수집할 때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가 링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9. 제 2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등록하기 원하는 스폿의 정보를 등록하는 스폿 정보등록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는 상기 스폿의 정보로서 등록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데이터저장부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각 스폿의 상기 실상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데이터; 및
    상기 화상데이터에 관련된 다양한 조건을 표시하는 조건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는,
    상기 다양한 조건에 따른 각 스폿의 상기 실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상데이터; 및
    조건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을 소정 시점의 조건과 상기 조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4표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1. 제 2항에 있어서, 도로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
    제 5표시제어부; 및
    제 6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도로지도데이터에 기초하여 도로지도와 정보처리장치의 위치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 5표시제어부는 상기 제 1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을 상기 도로 지도상의 소정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제 6표시제어부는 상기 도로 지도상의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위치와 상기 소정 위치 사이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실상의 표시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2. 제 4항에 있어서, 도로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데이터저장부는 상기 화상데이터가 상기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상기 도로지도데이터에 링크되도록 링크 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가 상기 화상데이터를 수집할 때 상기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가 링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3. 제 4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등록하기 원하는 스폿의 정보를 등록하는 스폿 정보등록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는 상기 스폿의 정보로서 등록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데이터저장부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각 스폿의 상기 실상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데이터; 및
    상기 화상데이터에 관련된 다양한 조건을 표시하는 조건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는,
    상기 다양한 조건에 따른 각 스폿의 상기 실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상데이터; 및
    조건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을 소정 시점의 조건과 상기 조건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4표시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5. 제 4항에 있어서, 도로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도로지도데이터 저장부;
    제 5표시제어부; 및
    제 6표시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유닛은 상기 도로지도데이터에 기초하여 도로지도와 정보처리장치의 위치를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 5표시제어부는 상기 제 2화상데이터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실상을 상기 도로 지도상의 소정 위치에 표시하며;
    상기 제 6표시제어부는 상기 도로 지도상의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위치와 상기 소정 위치 사이의 상관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실상의 표시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KR10-2003-0015163A 2002-03-14 2003-03-11 정보처리장치 KR100521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70643 2002-03-14
JP2002070643A JP4043259B2 (ja) 2002-03-14 2002-03-14 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367A true KR20030074367A (ko) 2003-09-19
KR100521561B1 KR100521561B1 (ko) 2005-10-17

Family

ID=2803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163A KR100521561B1 (ko) 2002-03-14 2003-03-11 정보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65040B2 (ko)
JP (1) JP4043259B2 (ko)
KR (1) KR100521561B1 (ko)
CN (1) CN127380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4081496A1 (ja) * 2003-03-14 2006-06-15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598638A2 (en) 2004-05-20 2005-11-23 Noritsu Koki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navigaton system for correlating position data with image data
JP2007034710A (ja) * 2005-07-27 2007-02-08 Sony Corp 画像処理装置
JP2008139169A (ja) * 2006-12-01 2008-06-19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837166B1 (ko) * 2007-01-20 2008-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전자기기
DE102007018562A1 (de) * 2007-04-18 2008-10-23 Dialeg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und Bereitstellung von Information zu einem Bild
US9064196B1 (en) 2008-03-13 2015-06-23 Impinj, Inc. RFID tag dynamically adjusting clock frequency
US8193912B1 (en) * 2008-03-13 2012-06-05 Impinj, Inc. RFID tag dynamically adjusting clock frequency
KR101493748B1 (ko) * 2008-06-16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물품 제공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gui제공방법
JP4677485B2 (ja) 2008-12-25 2011-04-27 株式会社ユピテル 交通監視ポイント検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1900560B (zh) * 2009-05-27 2012-08-29 宏碁股份有限公司 具有引导功能的电子装置及其对象引导方法
JP5593655B2 (ja) * 2009-08-31 2014-09-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142825A (ja) * 2011-01-05 2012-07-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503290A1 (en) 2011-03-22 2012-09-2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Curved labeling in digital maps
EP2503289B1 (en) * 2011-03-22 2016-06-2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anagement of icons for digital maps
EP2503292B1 (en) 2011-03-22 2016-01-0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Landmark icons in digital maps
JP5082107B2 (ja) 2011-09-29 2012-11-28 株式会社ユピテル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CN103123263A (zh) * 2011-11-21 2013-05-29 北京四维图新科技股份有限公司 导航电子地图的显示方法及装置
US10076414B2 (en) 2012-02-13 2018-09-18 Mitrasp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mitral valve
WO2013123059A1 (en) 2012-02-13 2013-08-22 Mitrasp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mitral valve
JP2015052895A (ja) * 2013-09-06 2015-03-19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6779597B2 (ja) * 2015-06-09 2020-11-04 株式会社 ミックウェア 走行履歴情報処理装置、走行履歴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71579B2 (ja) * 2020-07-03 2023-10-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658A (ja) 1994-10-24 1996-05-17 Omron Corp アイコンパターンまたはアイコンの登録方法及び登録装置並びにアイコンの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JPH0933275A (ja) 1995-07-14 1997-02-07 Nissan Motor Co Ltd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H1039748A (ja) 1996-07-18 1998-02-13 Koonet:Kk 電子式地図システム、それを用いた情報提供装置及び記憶媒体
JPH10307532A (ja) 1997-05-09 1998-11-17 Hitachi Ltd 地図表示装置
JPH11282864A (ja) 1998-03-30 1999-10-15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11353582A (ja) 1998-06-04 1999-12-24 Toyota Motor Corp 画像情報伝達方法、その方法を利用した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交通情報受信端末装置および移動体分布情報提供方法
DE19852660C2 (de) 1998-11-16 2001-03-0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Eingabe von Fahrzielen in eine Navigationsvorrichtung
JP4088386B2 (ja) 1999-04-28 2008-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地図情報更新方法
JP4366801B2 (ja) 1999-12-28 2009-11-1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6377210B1 (en) * 2000-02-25 2002-04-23 Grey Island Systems, Inc. Automatic mobile object locator apparatus and method
JP2001249024A (ja) 2000-03-06 2001-09-14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DE10017245B4 (de) 2000-04-06 2011-10-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JP4403336B2 (ja) 2000-05-02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地図表示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記憶媒体、および電子地図表示方法
JP2001324336A (ja) 2000-05-12 2001-11-22 Nec Corp 地図情報表示装置
JP3514704B2 (ja) * 2000-06-28 2004-03-31 株式会社昭文社 地図情報配信システム、地図情報の配信方法、地図情報を配信するサーバ及び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バ
US6882350B2 (en) * 2000-08-07 2005-04-1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and program
KR100485059B1 (ko) * 2001-10-19 2005-04-22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화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14532A1 (en) 2003-11-20
JP4043259B2 (ja) 2008-02-06
CN1445510A (zh) 2003-10-01
CN1273800C (zh) 2006-09-06
KR100521561B1 (ko) 2005-10-17
JP2003269981A (ja) 2003-09-25
US7665040B2 (en)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1561B1 (ko) 정보처리장치
US6434482B1 (en) On-vehicle navigation system for searching facilities along a guide route
US7042370B2 (en) Navigation device
US7490004B2 (en)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searching for and displaying neighborhood facilities
KR100509450B1 (ko) 화상표시장치
KR100571867B1 (ko) 항법장치
WO2002055962A1 (fr) Dispositif de navigation et dispositif de recuperation d'itineraire
US6845319B2 (en) Naviga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updating facility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JP478982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フリーウェイ検索方法
JP2003294464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028177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アイコン表示方法
JP4822986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行き先検索方法
JP200211604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402836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処理方法
JP3883719B2 (ja) 経路探索システムの目的地候補表示方法
JPH08278150A (ja) 走行軌跡表示方法
JP424896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施設リスト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64878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891770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85061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1330448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211604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274913B2 (ja) 目的地検索装置
JP200518095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ランドマーク表示方法
JP4008746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