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71867B1 - 항법장치 - Google Patents

항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867B1
KR100571867B1 KR1020030048548A KR20030048548A KR100571867B1 KR 100571867 B1 KR100571867 B1 KR 100571867B1 KR 1020030048548 A KR1020030048548 A KR 1020030048548A KR 20030048548 A KR20030048548 A KR 20030048548A KR 100571867 B1 KR100571867 B1 KR 100571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l image
display
point
destin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210A (ko
Inventor
나카노마사히코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6Overview of the route on the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항법장치는 차량을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해 표시 화면상에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표시한다. 항법장치는 제 1 및 제 2표시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제 1표시제어유닛은 목적지까지의 경로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제 1표시제어 유닛은 경로상의 각 주요 지점들을 표시 화면에 마크로서 표시한다. 제 2표시제어유닛은 이용자가 주요 지점들 중 하나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 2표시제어유닛은, 이용자가 주요 지점들 중 하나를 선택했다고 판단하면, 선택된 주요 지점의 위치 정보와 위치 좌표에 따른 실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주요 지점 주변을 표시 화면상에 표시한다.

Description

항법장치{NAVIG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표시패널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표시패널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표시패널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표시패널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표시패널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표시패널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목적지까지의 경로정보의 일부를 나타내는 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1B : 마이크로컴퓨터
1a : RAM
7 : DVD-ROM
8 : 리모컨
9: : 표시장치
본 발명은, 전체 내용이 본원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는 일본특허출원 제2002-209618(출원일: 2002년 7월 18일)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항법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지구 표면의 위성사진이나 항공사진 등의 화상에 상응하는 실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는 항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항법장치는 DVD-ROM 등에 기록된 지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화면에 지도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항법장치의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도상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고 이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항법장치는,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도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지도 화면을 통해 현재 위치를 이해하고 현재 위치 주변(surrounding)의 실제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 문제는 지도 화면이 고가도로와 지하도로 등의 상하위치관계를 표현하기 어렵고, 실제로, 많은 수의 도로와 건물 등이 지도 화상에 표시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항공사진 데이터로부터 제공된 항공사진 화면 위에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기술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JP-A-5-113343(공보1)호에 기재되어 있다. 항공사진 화면을 이용하면 건물 등이 랜드마크(landmark)로서 매우 용이하게 이해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현재 위치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고, 또한, 현재 위치 주변의 실제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항공사진 화면이 상기 공보 1에 개시된 발명처럼 간단하게 표시되면, 이용자의 만족도를 충분히 충족시키는 항법장치를 실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사진 화면 등의 실제 화상의 표시 상태 등을 고려함으 로써 이용자의 만족 수준을 높이는 항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태양에 따르면, 항법장치는 차량을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해 목적지에 도달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항법장치는 제 1표시제어유닛 및 제 2표시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1표시제어유닛은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경로상의 각 주요 지점을 표시 화면에 마크(mark)로서 표시한다.
상기 제 2표시제어유닛은 이용자가 상기 주요 지점들 중 하나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용자가 주요 지점들 중 하나를 선택했다고 제 2표시제어 유닛이 판단하면, 선택된 상기 주요 지점의 위치 정보와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실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주요 지점의 주변을 나타내는 실제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표시 화면에 표시되면, 제 1태양의 항법장치가 경로상의 주요 지점(예를 들면, 목적지,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의 경유지, 출발지, 인터체인지 등)들을 마크로서 표시한다. 이용자가 마크 표시 지점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항법장치는 선택된 지점의 주변의 실제 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 항공사진 등)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위성사진처럼 넓은 범위를 커버하고 높은 곳으로부터 내려다 본 각 주요 지점의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이용자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와 같은 장소에 도달하기 전에 그 장소의 실제 상황(예를 들면, 주변 시설, 도로폭, 입지조건, 주차장의 유무 등)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지정한 지점(예를 들면, 이용자의 자택, 지인 (acquaintance's home)의 자택, 이용자의 근무지 등)이 주요 지점에 포함될 수도 있어서, 미리 설정한 지점의 주변뿐만 아니라, 임의로 지정된 지점의 주변의 위성사진 등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매우 우수한 항법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태양에 따르면, 항법장치는 차량을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해 목적지에 도달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항법장치는 제 3표시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3표시제어유닛은 이용자가 실제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라는 지시를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실제 화상에 대응하는 실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상의 주요 지점의 주변을 나타내는 실제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자가 실제 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 항공사진 등)을 표시하라는 지시를 입력하면, 제 2태양의 항법장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상의 주요 지점(예를 들면, 출발지,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의 경유지, 목적지, 인터체인지 등) 주변의 실제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즉, 이용자가 위성사진 등의 실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지점을 상세하게 지정하지 않고, 단순히 실제 화상을 표시하라는 지시를 입력함으로써, 경로상의 주요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된다. 이용자가 경로상의 주요 지점 주변의 상황(예를 들면, 경유지 주변의 시설, 도로폭, 입지조건, 주차장의 유무 등)을 파악하고자 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실제 화상을 표시하라는 지시를 입력하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이용자가 파악하고 싶은 장소의 실제 화상이 표시되어, 조작성이 매우 우수한 항법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이용자는 주행 중에 복잡한 조작을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항법장치가 매우 유용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태양에 따르면, 항법장치는 차량을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해 목적지에 도달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항법장치는 제 1선택유닛과 제 4표시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1선택유닛은 차량의 위치 정보, 주요 지점의 위치 정보, 및 차량의 위치와 각 주요 지점의 위치 사이의 위치 관계 등의 차량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 중에서 표시 화면에 실제 화상을 표시할 지점을 선택한다. 상기 제 4표시제어유닛은 실제 화상에 대응하는 실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선택유닛에 의해 선택된 지점의 주변을 나타내는 실제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제 3태양의 항법장치는 현재 위치와 주요 지점들 사이의 위치 관계로부터 경로상의 주요 지점(예를 들면, 목적지,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전의 경유지, 출발지, 인터체인지 등)들 중에서 실제 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 항공사진 등)을 표시할 지점을 선택하고, 선택된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위성사진 등의 실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지점을 선택하지 않아도, 현재 이용자 위치에 관한 지점이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선택된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되어, 항법장치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 중, 현재 이용자 위치에 관한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태양에 따르면, 제 3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선택유닛이 상기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주요 지점들 중에서 차량이 다음에 도달하는 지점을 표시 화면에 실제 화상을 표시할 지점으로서 선택한다.
제 4태양의 항법장치는, 이용자가 다음에 도달할 예정인 지점을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 중에서 실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지점으로서 선택하여, 예를 들면, 목적지 또는 경유지 등의 장소에 도달하기 전에 장소의 실제 상황(예를 들면, 주변 시설, 도로폭, 입지조건, 주차장의 유무 등)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태양에 따르면, 제 3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선택유닛은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주요 지점들 중에서 차량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표시 화면에 실제 화상을 표시할 지점으로서 선택한다. 제 5태양의 항법장치는,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 중에서 이용자와 가장 가까운 지점(이용자가 다음에 도달할 예정인 지점 또는 경유지 직전의 지점)을 실제 화상으로서 표시하고자 하는 지점으로서 선택하여, 예를 들면, 이용자가 장소에 도달하기 전에 곧 도달할 지점(예를 들면, 목적지, 경유지 등)의 실제 상황을 미리 파악하거나, 조금 전에 경유한 지점(예를 들면, 경유지 등)의 상황을 보며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6태양에 따르면, 항법장치는 차량을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해 목적지에 도달하는데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항법장치는 제 2선택유닛과 제 5표시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2선택유닛은 차량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 중에서, 표시 화면에 실제 화상을 표시할 지점을 선택한다. 상기 제 5표시제어유닛은 상기 실제 화상에 대 응하는 실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선택유닛에 의해 선택된 지점의 주변을 나타내는 실제 화상을 표시한다.
제 6태양에 따른 항법장치는, 이용자의 이동 상황에 기초하여, 경로상의 주요 지점(예를 들면, 목적지,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의 경유지, 출발지, 인터체인지 등)들 중에서 실제 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 항공사진 등)을 표시하고자 하는 지점을 선택하고, 선택된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위성사진 등의 실제 화상을 표시할 지점을 선택하지 않아도, 현재 이용자 위치에 관한 지점이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선택된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되어, 항법장치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 중에서, 이용자의 이동 상황에 기초하여 선택된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다음에 도달할 예정인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되어,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가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차량 속도로부터 연산하여 주행거리(마일리지(mileage))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속도 센서(2)와 주행방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3)가 마이크로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는 연산된 주행거리정보와 주행방향정보에 기초하여 항법장치(화상표시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자율항법).
GPS 수신기(4)는 안테나(5)를 통해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로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는 GPS 신호에 기초하여 항법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GPS 항법).
지도 데이터와, 지구 표면을 나타내는 위성사진의 광역 전경(wide-area bird's eye view)의 실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 DVD-ROM(7)(다른 저장유닛도 가능함)으로부터 지도 데이터나 실제 화상 데이터 등을 입력할 수 있는 DVD 드라이브(6)도 마이크로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컴퓨터(1)는 산출한 현재 차량위치정보나 후술하는 유도경로정보 등에 기초하여 DVD-ROM(7)으로부터 필요한 지도 데이터와 실제 화상 데이터를 마이크로컴퓨터(1)의 RAM(1a)에 저장한다.
실제 화상 데이터를 위치 좌표에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실제 화상 데이터에 의해 나타나는 직사각형 영역의 좌측 상부 모서리와 우측 하부 모서리의 위도 및 경도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는 산출한 현재 차량위치와 지도 데이터를 매칭(matching)할 수 있어서(지도 매칭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음), 현재 차량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는 지도 화면을 표시 패널(9b)상에 표시한다. 리모컨(remote control)(8)에 위치한 조이스틱(8a)과 버튼 스위치(8b)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신호(switch signal)와 표시장치(display)(9)에 위치한 버튼 스위치(9a)로부터 출력된 스위치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1)에 입력되고, 스위치 신호에 따라 처리가 수행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1)가 목적지 또는 차량이 목적지까지 가는 중에 경유하는 경유지 등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면, 마이크로컴퓨터(1)가 현재 차량위치(출발지)로부터 (경유지를 경유한) 목적지까지의 최적경로를 찾고, 최적 경로를 유도 경로로서 지도 화면과 함께 표시 패널(9b)상에 표시한다.
표시 패널(9b)의 상하좌우에는 복수의 적외선 LED와 복수의 포토트랜지스터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이용자가 표시 패널(9b)에 닿은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컴퓨터(1)는 검출된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1)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동작①을 도 2의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플래그 f1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플래그 f1는, 항법장치가 경로(이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목적지와 경유지에 기초하여 구해진 유도 경로)의 개요 또는 주요 지점의 실제 화상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또는 그보다 하위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플래그 f1가 1이 아니라고(즉, 경로의 개요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항법장치가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이용자가 경로의 개요를 표시하라는 지시를 내리기 위해 리모컨(8)의 버튼 스위치(8a)를 조작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이용자가 경로의 개요를 표시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판단되면, 유도경로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이 경우에는,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및 인터체인지)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진다(단계 S3). 이어서, 유도경로정보에 기초하여 경로가 표시 패널(9b) 상에 표시된다(단계 S4). 검색 결 과에 기초하여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을 각 형태에 대한 마크로서 표시한다(S5). 한편, 이용자가 경로의 개요를 표시하라는 지시를 내리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동작①을 종료한다. 도 3은 표시 패널(9b) 상에 경로의 개요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주요 지점들로서 출발지, 목적지, 경유지, 및 인터체인지를 예시하였지만, 주요 지점들은 그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에서는, 이용자가 지정한 지점(예를 들면, 이용자의 자택, 지인의 자택, 이용자의 근무지 등)이 주요 지점들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마크가 표시된 부분에 대응하는 각각에 터치 스위치(touch switch를 형성한다(S6). 이용자가 경로 개요의 표시를 종료하라는 지시를 내리기 위한 "종료" 버튼 스위치(터치 스위치)를 형성한다(단계 S7). 항법장치가 경로의 개요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플래그 f1를 1로 설정한다(단계 S8). 그리고 나서, 단계 S9로 진행한다. 도 4는, "종료" 버튼 스위치가 표시 패널(9b)상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 S9에서는, 마크가 표시된 부분에 형성된 터치 스위치가 이용자에 의해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용자가 어떤 터치 스위치를 터치했다고 판단되면, 유도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된 터치 스위치에 대응하는 주요 지점의 위치 정보를 수집(판독)한다(단계 S10).
다음으로, "종료" 버튼 스위치를 삭제한다(단계 S11). 그리고 나서, 단계 S10에서 판독한 지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RAM(1a)에 저장된 실제 화상 데이터로부터 실제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처리에 의해 지점의 주변을 나타내는 실제 화상을 생성하고, 표시 패널(9b)상에 표시한다(단계 S12). "복귀" 버튼 스위치(터치 스위치)를 형성한다(단계 S13). 그리고 나서, 실제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f2를 1로 설정한다(단계 S14). 도 5는, 표시 패널(9b)상에 실제 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계 S9에서, 마크가 표시된 부분에 형성된 어떠한 터치 스위치도 이용자에 의해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이용자에 의해 "종료"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 이용자가 "종료" 버튼 스위치를 터치했다고 판단되면, 경로 개요 표시 화면 이전의 화면(즉,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16). 그리고 나서 플래그 f1를 0으로 설정한다(단계 S17). 한편, 이용자가 "종료" 버튼 스위치를 터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동작①을 종료한다.
단계 S1에서, 플래그 f1가 1이라고(즉, 항법장치가 경로의 개요 표시 상태 또는 경로의 개요 상태보다 하위의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면, 실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f2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8). 플래그 f2가 1이 아니라고(즉, 실제 화상이 표시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계 S9로 진행한다.
한편, 플래그 f2가 1이라고(즉, 실제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이 용자가 "복귀" 버튼 스위치를 터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9).
이용자가 "복귀" 버튼 스위치를 터치했다고 판단되면, 이용자가 경로 개요 표시 화면으로의 복귀를 요청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플래그 f2를 0으로 설정하여(단계 S20), 단계 S4로 진행한다. 한편, 이용자가 "복귀" 버튼 스위치를 터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동작①을 종료한다.
제 1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에서는,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되면,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예를 들면, 목적지, 경유지, 출발지, 인터체인지 등)을 마크로서 표시한다. 이용자가 어떤 마크 표시 지점을 선택하면, 항법장치는 선택된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 항공사진 등)을 표시 패널(9b)상에 표시한다.
그러므로, 각 주요 지점 주변의 위성사진 등의 실제 화상이 표시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이용자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 등의 장소에 도달하기 전에 장소의 실제 상황(예를 들면, 주변 시설, 도로폭, 입지조건, 주차장의 유무 등)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를 설명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는 마이크로컴퓨터(1)를 제외하고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항법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마이크로컴퓨터는 다른 참조부호 1A로 표시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 2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에서 마이크로컴퓨터(1A)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 동작②을 도 6의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플래그 f3가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 플래그 f3는 표시패널(9b)상에 표시된 화면의 상태를 나타낸다.
플래그 f3가 0이라고(즉, 통상의 지도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GPS 신호로부터 현재 차량위치를 산출한다(단계 S22). 산출된 현재 차량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RAM(1a)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처리에 의해 현재 차량위치의 주변을 나타내는 지도 화면을 생성하고 표시 패널(9b)상에 표시한다(단계 S23). 도 7은 지도화면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플래그 f4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4). 플래그 f4는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터치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플래그 f4가 1이 아니라고(즉,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판단되면, "위성사진"버튼 스위치를 형성한다(단계 S25). 플래그 f4를 1로 설정하고(단계 S26), 단계 S27로 진행한다.
한편, 플래그 f4가 1이라고(즉,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다른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단계 S27로 진행한다. 도 8은,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가 표시 패널(9b)상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계 S27에서는, 이용자가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를 터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용자가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를 터치했다고 판단되면, 현재 차량위치 정보와 유도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이 경우에는, 목적지, 경유지, 및 인터체인지) 중에서 차량이 다음에 도달할 예정인 지점을 산출한다(단계 S28). 한편, 이용자가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를 터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동작②을 종료한다.
다음으로,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를 삭제하고(단계 S29), 플래그 f4를 0으로 설정한다(단계 S30). 그리고 나서, 단계 S28에서 구한 지점의 위치 정보와 RAM(1a)에 저장된 실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점의 주변을 나타내는 실제화상을 표시 패널(9b)상에 표시한다(단계 S31). "지도" 버튼 스위치를 형성한다(단계 S32). 그리고 나서, 플래그 f3를 1로 설정한다(단계 S33). 도 9는 실제 화상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계 S21에서,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화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 f3가 0이 아니라고(즉, 플래그 f3가 1이고, 주요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이용자가 "지도" 버튼 스위치를 터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4).
단계 S34에서, 이용자가 "지도" 버튼 스위치를 터치했다고 판단되면, 이용자가 통상의 지도 화면의 표시를 요청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지도" 버튼 스위치를 삭제하고(단계 S35), 플래그 f3를 0으로 설정하여(단계 S36), 단계 S22로 진행한다. 한편, 이용자가 "지도" 버튼 스위치를 터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동작②를 종료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에서는, 이용자가 실제 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 항공사진 등)을 표시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면, 목적지까지의 경로상의 주요 지점(예를 들면, 경유지, 목적지, 인터체인지 등) 주변의 실제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즉, 이용자가 위성사진 등의 실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지점을 상세하게 지정하지 않고, 단순히 실제 화상을 표시하라는 지시를 하면, 경로상의 주요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된다. 이용자가 경로상의 주요 지점 주변의 상황(예를 들면, 경유지 주변의 시설, 도로폭, 입지조건, 주차장의 유무 등)을 파악하고자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이용자가 실제 화상을 표시하라는 지시를 입력하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하면, 이용자가 파악하고 싶은 장소의 실제 화상이 표시된다. 그러므로, 조작성이 매우 우수한 항법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이용자는 주행 중에 복잡한 조작을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항법장치가 매우 유용해진다.
또한, 차량이 다음에 도달할 예정인 지점을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 중에서 실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지점으로서 선택하여, 예를 들면, 목적지 또는 경유지 등의 장소에 도달하기 전에 장소의 실제 상황(예를 들면, 주변 시설, 도로폭, 입지 조건, 주차장의 유무 등)을 이용자가 미리 파악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는 현재 차량위치 정보와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다음에 도달할 예정인 지점을 구하여, 차량이 다음에 도달할 예정인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을 표시한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는 주요지점들 중에서 차량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구하여, 차량에 가장 가까운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를 설명한다. 제 3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는 마이크로컴퓨터(1)를 제외하고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항법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는 다른 참조부호 1B로 표시하고 다른 구성요소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마이크로컴퓨터(1B)는, 이용자가 리모컨(8)의 버튼 스위치(8a) 등을 조작함으로써, 목적지나 경유지 등의 정보를 수집하면, 마이크로컴퓨터(1B)가 현재 차량위치(출발지)로부터 경유지를 경유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구할 수 있다.
도 10은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여기서는, 출발지, 경유지, 인터체인지, 및 목적지)을 순서대로 열거한 표이고, 표에 열거된 0∼5까지의 숫자는 차량이 경유하는 지점들을 순서대로 표시한다. 주요 지점들의 위치 정보와 순서에 관한 정보는 마이크로컴퓨터(1B)의 메모리(도시 안됨)에 경로 정보로서 저장된다.
제 3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1B)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동작③을 도 11의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GPS 신호로부터 현재 차량위치 를 산출한다(단계 S41). 산출된 현재 차량위치 정보와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요 지점들 중 어느 한 곳에 새롭게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2).
차량이 주요 지점들 중 어느 한 곳에 새롭게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계수 k(계수 k는 초기설정시 0으로 설정됨)를 1씩 증가시킨다(단계 S43). 한편, 차량이 주요 지점들 중 어느 한 곳에 새롭게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동작③을 종료한다. 여기서, 계수 k가 2이면, 차량이 제 2지점에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제 3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1B)에 의해 수행된 처리동작④을 도 12의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화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 f3가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1).
플래그 f3가 0이라고(즉, 통상의 지도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GPS 신호 등으로부터 현재 차량위치를 산출한다(단계 S52). 산출된 현재 차량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위치의 주변을 나타내는 지도 화면이, 예를 들면, RAM(1a)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처리에 의해 생성되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다(단계 S53). 도 7은 지도 화면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터치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f4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4). 플래그 f4가 1이 아니라고(즉,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를 형성하고(단계 S55), 플래그 f4를 1로 설정한다(단계 S56). 그리고 나서, 단 계 S57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54에서 플래그 f4가 1이라고(즉,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다른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그대로 단계 S57로 진행한다. 도 8은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가 표시패널(9b)상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 S57에서는, 이용자가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를 터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용자가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를 터치했다고 판단되면, 계수 k(도 11의 단계 S43 참조)에 기초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 중에서 차량이 다음에 도달할 예정인 지점을 구한다(단계 S58). 예를 들면, 계수 k가 3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IC(출구)를 경유하고 경유지 II로 갈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차량이 다음에 도달할 예정인 지점은 경유지 II로 된다.
한편, 단계 S57에서 이용자가 "위성사진" 버튼 스위치를 터치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처리동작④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위성사진" 터치 스위치를 삭제하고(단계 S59), 플래그 f4를 0으로 설정한다(단계 S60). 그리고 나서 단계 S58에서 구한 지점의 위치 정보와 RAM(1a)에 저장된 실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점 주변을 나타내는 실제 화상을 표시 패널(9b)상에 표시한다(단계 S61), "지도" 버튼 스위치를 형성하고(단계 S62), 그리고 나서, 플래그 f3을 1로 설정한다(단계 S63). 도 9는 실제 화상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단계 S51에서,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의 상태를 나타내는 플래그 f3가 0이 아니라고(즉, 플래그 f3가 1이고, 주요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이용자가 "지도" 버튼 스위치를 터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4).
이용자가 "지도" 버튼 스위치를 터치했다고 판단되면, 이용자가 통상의 지도 화면을 표시하기를 원하는 것이라고 간주하고, "지도" 버튼 스위치를 삭제하고(단계 S65), 플래그 f3을 0으로 설정(단계 S66)한 후, 단계 S52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64에서 "지도" 버튼 스위치가 터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④을 종료한다.
제 3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에서는 이용자가 실제 화상(예를 들면, 위성사진, 항공사진 등)을 표시하라는 지시를 입력하면, 목적지까지의 경로상의 주요 지점(예를 들면, 출발, 경유지, 목적지, 인터체인지 등)의 주변의 실제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즉, 이용자가 위성사진 등의 실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지점을 상세하게 지정하지 않고, 단순히 실제 화상을 표시하라는 지시를 입력함으로써, 경로상의 주요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된다. 이용자가 경로상의 주요 지점 주변의 상황(예를 들면, 경유지 주변의 시설, 도로폭, 입지조건, 주차장의 유무 등)을 파악하고자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이용자가 실제 화상을 표시하라는 지시를 입력하는 간단한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이용자가 파악하고 싶은 장소의 실제 화상이 표시되어, 조작성이 매우 우수한 항법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이용자는 주행 중에 복잡한 조작을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 항법장치가 매우 유용해진다.
또한, 차량이 다음에 도달할 예정인 지점을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 중에서 실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지점으로서 선택하여, 예를 들면, 목적지 또는 경유지 등의 장소에 도달하기 전에 장소의 실제 상황을 이용자가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 2 또는 제 3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에서는, 실제 화상을 표시 패널(9b)상에 표시하기 위해, 표시 패널(9b)의 전체 화면에 실제 화상을 표시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는 좌반부에 지도 화면을 표시하고 나머지 우반부에 실제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또는 제 3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에서는, 실제 화상이 표시 패널(9b)상에 표시되면, 차량이 다음에 도달할 예정인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법장치는 모든 주요 지점들의 실제 화상들을 경유하는 순서대로 표시할 수도 있고, 모든 주요 지점들의 실제 화상들을 현재 차량 위치에 가까운 순서대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모든 주요 지점들의 실제 화상들을 현재 차량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범위에서 경유하는 순서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법장치는 항공사진 화면 등의 실제 화상의 표시 상태 등을 고려함으로써 이용자의 만족 수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법장치는 차량이 다음에 도달할 예정인 지점을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 중에서 실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지점으로서 선택하여, 이용자가 목적지 또는 경유지 등의 장소에 도달하기 전에 장소의 실제 상황을 미리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법장치는 이용자가 실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지점을 상세하게 지정하지 않고, 단순히 실제 화상을 표시하라는 지시를 입력함으로써, 경로상의 주요 지점 주변의 실제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매우 우수한 항법장치가 실현될 수 있다.

Claims (6)

  1. 차량을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해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항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의 전부 또는 그 일부를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경로상의 각 주요 지점들을 상기 표시 화면에 마크로서 표시하는 제 1표시제어유닛; 및
    이용자가 상기 주요 지점들 중 하나를 선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용자가 상기 주요 지점들 중 하나를 선택했다고 판단되면, 선택된 상기 주요 지점의 위치 정보와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실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주요 지점의 주변을 나타내는 실제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제 2표시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장치.
  2. 차량을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해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항법장치에 있어서,
    이용자가 실제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라는 지시를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실제 화상에 대응하는 실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상의 주요 지점의 주변을 나타내는 실제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제 3표시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3표시제어유닛은, 사용자가 (a) 표시 화면상에 실제 화상을 표시하는 것과 (b) 표시 화면상에 지도 화상을 표시하는 것 상호간을 서로 전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장치.
  3. 차량을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해 목적지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항법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상의 주요 지점들 중에서, 상기 표시 화면에 실제 화상을 표시할 지점을 선택하는 제 1선택유닛; 및
    상기 실제 화상에 대응하는 실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선택유닛에 의해 선택된 지점의 주변을 나타내는 실제 화상을 표시하는 제 4표시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이동 상태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상기 주요 지점들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각 주요 지점의 위치 사이의 위치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선택유닛은, 상기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주요 지점들 중에서 상기 차량이 다음에 도달하는 지점을, 상기 표시 화면에 실제 화상을 표시할 지점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선택유닛은, 상기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주요 지점들 중에서 상기 차량에 가장 가까운 지점을, 상기 표시 화면에 실제 화상을 표시할 지점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장치.
KR1020030048548A 2002-07-18 2003-07-16 항법장치 KR100571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09618 2002-07-18
JP2002209618A JP2004053351A (ja) 2002-07-18 2002-07-18 ナビゲーショ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210A KR20040010210A (ko) 2004-01-31
KR100571867B1 true KR100571867B1 (ko) 2006-04-18

Family

ID=3193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548A KR100571867B1 (ko) 2002-07-18 2003-07-16 항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059500A1 (ko)
JP (1) JP2004053351A (ko)
KR (1) KR100571867B1 (ko)
CN (1) CN132131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36817A1 (de) * 2000-07-28 2002-02-1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Routenberechnung
JP4133570B2 (ja) * 2003-05-15 2008-08-1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1762822A4 (en) * 2004-06-29 2011-06-29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1057269B (zh) * 2004-12-06 2010-05-26 富士通天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0712966B1 (ko) * 2004-12-27 2007-05-02 주식회사 엔지스테크널러지 항법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따른 단말기
KR100617089B1 (ko) * 2005-02-25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위치에 따른 일정 및 주변정보 제공 방법
JP4850450B2 (ja) * 2005-08-04 2012-01-11 株式会社パスコ ルート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ルート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ルート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101115141B1 (ko) * 2005-12-06 2012-02-2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항공사진을 이용한 확대지도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JP4830541B2 (ja) * 2006-02-28 2011-12-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走行制御装置
JP4935145B2 (ja) * 2006-03-29 2012-05-23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753545B1 (ko) * 2006-12-27 2007-08-30 (주)씨랩시스 Gps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내비게이션 장치에서 gps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KR101322055B1 (ko) * 2007-03-06 201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성 영상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 및 단말
US20090171584A1 (en) * 2007-12-31 2009-07-02 Magellan Navig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Navigation System
WO2009155071A2 (en) 2008-05-28 2009-12-23 Google Inc. Motion-controlled view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US8571731B2 (en) * 2009-07-29 2013-10-29 Searete Llc Hybrid vehicle qualification for preferential result
US20110029189A1 (en) * 2009-07-29 2011-02-03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Promotional correlation with selective vehicle modes
US9073554B2 (en) 2009-07-29 2015-07-0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lective control of a vehicle operational mode
US8301320B2 (en) 2009-07-29 2012-10-3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Vehicle system for varied compliance benefits
US8571791B2 (en) * 2009-07-29 2013-10-29 Searete Llc Remote processing of selected vehicle operating parameters
US9123049B2 (en) * 2009-07-29 2015-09-01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romotional correlation with selective vehicle modes
US9008956B2 (en) * 2009-07-29 2015-04-1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romotional correlation with selective vehicle modes
US8751059B2 (en) * 2009-09-29 2014-06-1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elective implementation of an optional vehicle mode
US8751058B2 (en) 2009-09-29 2014-06-1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elective implementation of an optional vehicle mode
US20110077808A1 (en) * 2009-09-30 2011-03-31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Vehicle system for varied compliance benefits
CN102419681A (zh) * 2010-09-28 2012-04-18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WO2012041221A1 (zh) * 2010-09-27 2012-04-05 北京联想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显示方法和文件保存方法
CN102419680B (zh) * 2010-09-27 2014-06-0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JP5857224B2 (ja) * 2012-03-30 2016-0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CN102997930A (zh) * 2012-12-13 2013-03-27 上海梦擎信息科技有限公司 车辆位置和中心点相对位置信息的显示方法和系统
KR102222336B1 (ko) * 2013-08-19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맵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N104515529A (zh) * 2013-09-27 2015-04-15 高德软件有限公司 实景导航方法和导航设备
JP6522137B2 (ja) * 2015-09-04 2019-05-29 株式会社イッツ・エムエムシー 経路選択支援装置、経路選択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699571B2 (en) * 2017-12-04 2020-06-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definition 3D mapping
CN110345954A (zh) * 2018-04-03 2019-10-18 奥迪股份公司 导航系统和方法
JP7115214B2 (ja) * 2018-10-22 2022-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通知システム
CN110244738B (zh) * 2019-06-26 2022-05-13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的行驶控制方法、装置和车辆
CN111159680B (zh) * 2019-12-30 2022-03-04 云知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的设备绑定方法及装置
CN111735473B (zh) * 2020-07-06 2022-04-19 无锡广盈集团有限公司 一种能上传导航信息的北斗导航系统
CN114812577A (zh) * 2021-01-29 2022-07-29 陕西红星闪闪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全息影像技术的远程探路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212A (en) * 1895-07-02 Toy gun
JP2554112B2 (ja) * 1987-12-21 1996-11-13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
JPH05113343A (ja) * 1991-10-22 1993-05-07 Pioneer Electron Corp ナビゲーシヨンシステム
GB9210327D0 (en) * 1992-05-14 1992-07-01 Tsl Group Plc Heat treatment facility for synthetic vitreous silica bodies
DE69333933T2 (de) * 1992-08-19 2006-06-29 Aisin AW Co., Ltd., Anjo Fahrzeugnavigationssystem
DE69331485T2 (de) * 1992-08-19 2002-06-20 Aisin Aw Co., Ltd. Navigationssystem für Fahrzeuge
US5559707A (en) * 1994-06-24 1996-09-24 Delorme Publishing Company Computer aided routing system
US6321158B1 (en) * 1994-06-24 2001-11-20 Delorme Publishing Company Integrated routing/mapping information
JP3753753B2 (ja) * 1995-01-20 2006-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用地図情報表示装置
US6199014B1 (en) * 1997-12-23 2001-03-06 Walker Digital, Llc System for providing driving directions with visual cues
JP2000003497A (ja) * 1998-06-15 2000-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走行位置表示装置
US6182010B1 (en) * 1999-01-28 2001-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real-time visual information on an automobile pervasive computing client
JP2001324336A (ja) * 2000-05-12 2001-11-22 Nec Corp 地図情報表示装置
JP3758958B2 (ja) * 2000-09-08 2006-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6351710B1 (en) * 2000-09-28 2002-02-26 Michael F. Mays Method and system for visual addressing
JP5109212B2 (ja) * 2001-05-01 2012-12-26 ソニー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情報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生成方法、記憶媒体
JP3801049B2 (ja) * 2002-01-22 2006-07-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情報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210A (ko) 2004-01-31
US20040059500A1 (en) 2004-03-25
JP2004053351A (ja) 2004-02-19
CN1321317C (zh) 2007-06-13
CN1479080A (zh) 200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867B1 (ko) 항법장치
KR100509450B1 (ko) 화상표시장치
US6725154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6732049B2 (en) Vehicl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KR100474842B1 (ko) 항법장치
JP480997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経路探索プログラム
US7042370B2 (en) Navigation device
JP4043259B2 (ja) 情報処理装置
US6895331B2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JP4090957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309823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81799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誘導経路設定方法
JP200234058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8166762A (ja) 車両用地図表示装置
JP200510667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迂回区間提示方法
JP4180471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4746367B2 (ja) 経路入力装置および経路入力方法
JP2007052796A (ja) 画像表示装置
JP2005292030A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配信装置、要約地図表示方法
JPH07190791A (ja) 車両用経路誘導装置
JP2002250634A (ja) 地図表示方法および地図表示装置
JP200132433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11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