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47648A -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648A
KR20030047648A KR1020020013019A KR20020013019A KR20030047648A KR 20030047648 A KR20030047648 A KR 20030047648A KR 1020020013019 A KR1020020013019 A KR 1020020013019A KR 20020013019 A KR20020013019 A KR 20020013019A KR 20030047648 A KR20030047648 A KR 20030047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cycle
headlamp
lens
emblem
motorcy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936B1 (ko
Inventor
니시무라세이지
요시무라마사하루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20Arrangement of reflectors, e.g. on the wheel spokes ; Lighting devices mounted on wheel spo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5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21S41/55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21W2107/1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for cycles
    • F21W2107/17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for cycles for motor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벌브(51), 리플렉터(62) 및 렌즈(53)로 이루어지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에 있어서, 리플렉터(62)의 에지(62a)에 팽출부(63)를 형성하고, 상기 팽출부(63)에 엠블렘(64)을 설치하고, 상기 팽출부(63) 및 엠블렘(64)을 렌즈(53)로 일체적으로 덮도록 하였다.
부품수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의장적인 효과의 고양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장착 구조{HEAD LIGHT FOR MOTORCYCLE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벌브(bulb), 리플렉터(reflector) 및 렌즈(lens)로 이루어지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장착 구조에 따른 것이다.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평 4-49536호 공보「차량용 조명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동일 공보의 도 2 및 도 3에 의하면, 벌브(17)를 베이스(13)에 장착하고, 이 베이스(13)에 렌즈(21)를 씌우고, 이 렌즈(21)의 일부에 표시부(23)를 설치하고, 이 표시부(23)를 향하는 절결부(3)(이하, 「구멍」으로 언급함)를 형성한 차체 바깥 표면(1)(이하, 「프론트 카울」로 언급함)을 렌즈(21)에 씌우고, 표시부(23)에 엠블렘(25, emblem)을 장착함으로써 절결부(3)로부터 엠블렘(25)을 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조명 장치이다.
상기의 차량용 조명 장치는 엠블렘(25)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프론트 카울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있고, 프론트 카울의 가공이 복잡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 별체의 엠블렘(25)을 렌즈(21)에 장착하는 것으로, 부품수의 절감차원에서 프론트 카울 등에 직접적으로 형성하고 싶은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고, 의장적인 효과도 높일 수 있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은 벌브, 리플렉터 및 렌즈로 이루어지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에 있어서, 리플렉터의 에지에 팽출부를 형성하고, 이 팽출부에 엠블렘을 설치하고, 이들 팽출부 및 엠블렘을 렌즈로 일체적으로 덮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플렉터의 에지에 팽출부를 형성하고, 이 팽출부에 엠블렘을 설치하고, 이들 팽출부 및 엠블렘을 렌즈로 일체적으로 덮도록 함으로써, 부품수의 절감을 도모하는 동시에,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의장적인 효과의 고양을 도모한다.
즉, 팽출부에 엠블렘을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엠블렘을 렌즈로 일체적으로 덮음으로써, 참신한 의장을 실현할 수 있고,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의장적인 효과의 고양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장착 구조는 청구항 1의 자동 이륜차용전조등을 프론트 카울에 직접적으로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을 프론트 카울에 직접적으로 장착함으로써,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장착 주변의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한다.
이 결과,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조립성 및 에이밍 조정(광축 조정)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장착 구조는 청구항 1의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을 프론트 카울에 직접적으로 장착하는 동시에,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아래쪽, 또한 프론트 카울의 양 옆쪽에 윙커 램프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을 프론트 카울에 직접적으로 장착하는 동시에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아래쪽, 또한 프론트 카울의 양 옆쪽에 윙커 램프를 배치함으로써,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주변의 구조의 집중화를 도모한다.
이 결과, 자동 이륜차의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을 구비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그 장착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그 장착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5-5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6-6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7-7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그 장착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 이륜차 40 :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장착 구조
41 : 프론트 카울 42 : 윙커 램프(윙커 렌즈)
50, 80 :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51 : 벌브
53 : 렌즈 62, 82 : 리플렉터
62a, 82a : 에지 64, 84 : 엠블렘
이하 첨부도면을 기초로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에서 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을 구비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로서, 자동 이륜차(10)는 차체의 뒤쪽 방향으로 연장된 차체 프레임(11), 상기 차체 프레임(11)의 전부 아래쪽에 장착한 엔진(12), 상기 엔진(12)에 공급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클리너(13), 차체 프레임(11)의 중간부에 장착한 수납 박스(14), 상기 수납 박스(14)의 뒤쪽에 배치한 연료 탱크(15), 및 상기 수납박스(14) 와 연료 탱크(15)의 아래쪽에서 차체 후부에 배치하는 동시에 후륜(16)의 상부를 덮는 리어 펜더(17)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11a는 수납 박스(14)의 전부(前部)를 장착하기 위해서 차체 프레임(11)에 고정한 앞측 브라켓, 11b는 수납 박스(14)의 후방 및 연료 탱크(15)의 전부를 장착하기 위해서 차체 프레임(11)에 고정한 후부 브라켓, 11c는 연료 탱크(15)의 후부를 장착하기 위해서 차체 프레임(11)에 설치한 후부 장착부, 12a, 12b, 12c는 각각 차체 프레임(11)에 엔진(12)을 장착하기 위한 엔진(12)측의 장착부, 13a, 13a(안쪽의 부호 13a는 도시하지 않음)는 차체 프레임(11)의 전부 옆쪽을 덮는 좌우 한쌍의 측부 차체 커버(27)(안쪽의 측부 차체 커버(27)는 도시하지 않음)에 에어클리너(13)를 장착하기 위한 에어클리너(13)측의 장착부, 14a, 14b, 14c는 차체 프레임(11)측에 수납 박스(14)를 장착하기 위해서 수납 박스(14)에 설치한 장착부, 21은 차체 프레임(11)의 전단에 장착한 헤드 파이프, 22는 핸들, 23은 프론트 포크, 24는 전륜, 25는 카뷰레터(기화기), 26은 차체 프레임(11)의 전부 위쪽을 덮는 상부 차체 커버, 28은 시트, 29는 프론트 펜더, 31은 리어 쿠션 유닛, 32는 차체 프레임(11)에 설치한 피봇부(33)에 스윙 가능하게 장착하는 동시에 후부에 후륜(16)을 장착한 리어 포크 ,및 34는 수납 박스(14)에 시트(28)를 개폐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힌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그 장착 구조의 측면도로,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은 렌즈(53)의 내부에 엠블렘(64)을 표시하도록 한 것이며, 여기에서 엠블렘(64)이라는 것은 문자,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의 결합 또는 이들과 색채와의 결합으로 나타낸 표장을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그 장착 구조의 정면도로서,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장착 구조(40)는 프론트 카울(41)에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을 직접적으로 장착하고, 프론트 카울(41)에 좌우의 윙커 램프로서의 윙커 렌즈(42, 42)를 배치한 것으로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프론트 카울(41)은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을 향하는 개구(44)를 형성하고,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을 장착하는 장착부(45) 및 장착부(46, 46)를 형성하고, 윙커 렌즈(42, 42)를 배치하고, 차체 프레임(11)(도 1 참조)측의 지지 스테이(47, 47)(도 2 참조)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축 구멍(48, 48)(도 4 참조)을 형성한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11)측의 지지 스테이(47, 47)에 각도 조정 가능하게 장착한 것이다. 49, 49는 광축 조정을 위한 에이밍축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4-4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로,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은 프론트 카울(41)을 차체 프레임(11)(도 2 참조)측에 대해서 각도 조정함으로써, 에이밍 조정(광축 조정)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프론트 카울(41)을 차체 프레임(11)(도 1 참조)측에 대해서 각도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과 프론트 카울(41)의 개구(44)의 극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5-5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로,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은 벌브(51)를 장착하는 케이스(52)와, 이 케이스(52)를 전면에서 덮는 렌즈(53)와, 벌브(51)를 배면에서 덮는 커버(54)로 이루어진다. 55는 케이스(52)와렌즈(53)의 사이에 끼움으로써 렌즈(53)를 케이스(52)에 시일하는 시일링 부재, 56은 벌브의 직접광의 차단을 하는 세이드(shade ; 차광판), 57은 세이드를 케이스(52)에 장착하는 장착 나사이다.
케이스(52)는 벌브(51)의 지지부(61)로부터 리플렉터(62)를 연장하고, 이 리플렉터(62)의 에지(62a)에 팽출부(63)를 형성하고, 이 팽출부(63)에 엠블렘(64)을 설치한 것이다. 65는 세이드(56)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보스이다.
71은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의 하부 장착 구조를 나타내고, 프론트 카울(41)에 형성한 장착부(67)를 형성하고, 이 장착부(67)에 케이스(52)의 플랜지(52a)를 장착 나사(58)로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도 3의 6-6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로, 72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의 상부 장착 구조를 나타내고, 프론트 카울(41)에 형성한 장착부(68)에 장착 나사(59)로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도 3의 7-7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로, 73은 케이스(52)와 렌즈(53)의 시일 구조를 나타낸다. 즉, 시일링 부재(55)는 コ자 형상의 탄성 부재로서, コ자 형상의 오목부(55a)에 렌즈(53)의 단부(53a)를 끼워 넣고, コ자 형상의 외주부(55b)를 케이스(52)의 플랜지(52c)로 덮도록 한 것이다. 또, 43은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한 방수용 리브이고, 프론트 카울(41)에 방수용 리브(43)를 형성함으로써,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에 대한 방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측면도이다.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은 벌브(51)(도 5 참조), 리플렉터(62) 및 렌즈(53)로 이루어지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에 있어서, 리플렉터(62)의 에지(62a)에 팽출부(63)를 형성하고, 이 팽출부(63)에 엠블렘(64)을 설치하고, 이들 팽출부(63) 및 엠블렘(64)을 렌즈(53)로 일체적으로 덮도록 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리플렉터(62)의 에지(62a)에 팽출부(63)를 형성하고, 이 팽출부(63)에 엠블렘(64)을 설치하고, 이들 팽출부(63) 및 엠블렘(64)을 렌즈(53)로 일체적으로 덮도록 함으로써, 부품수의 절감을 도모하는 동시에,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의 의장적인 효과의 고양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바꿔 말하면, 팽출부(63)에 엠블렘(64)을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수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엠블렘(64)을 렌즈(53)로 일체적으로 덮음으로써, 참신한 의장을 실현할 수 있고,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의 의장적인 효과의 고양을 도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그 장착 구조의 평면도이다.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장착 구조(40)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을 프론트 카울(41)에 직접적으로 장착한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즉,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을 프론트 카울(41)에 직접적으로 장착함으로서,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의 장착 주변의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결과,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의 조립성 및 에이밍 조정(광축 조정)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장착 구조(40)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을 프론트 카울(41)에 직접적으로 장착하는 동시에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의 아래쪽, 또한 프론트 카울(41)에 양 옆쪽에 윙커 렌즈(42, 42)(윙커 램프)를 배치한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을 프론트 카울(41)에 직접적으로 장착하는 동시에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의 아래쪽, 또한 프론트 카울(41)의 양 옆쪽에 윙커 렌즈(42, 42)를 배치함으로써,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 주변의 구조의 집중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결과, 자동 이륜차(10)(도 1 참조)의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 서술한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10(a), (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작용 설명도이다.
(a)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도 9 참조)의 케이스(52)의 정면도로, 리플렉터(62)의 에지(62a)에 팽출부(63)를 형성하고, 이 팽출부(63)에 엠블렘(64)을 설치한 것을 나타낸다.
(b)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의 렌즈(53)의 정면도로, 렌즈(53)는 전면이 투명한 것을 나타낸다. 즉, (a)에 도시하는 케이스(52)에 (b)에 도시하는 렌즈(53)를 화살표 ①, ①과 같이 씌우도록 함으로써, 참신한 의장을 실현할 수 있고,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도 8 참조)의 의장적인 효과의 고양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측면 단면도이고,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50)과 동일 부품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82는 리플렉터, 82a는 리플렉터(82)의 에지, 83은 팽출부, 83a는 팽출부(83)로 열린 개구, 86은 엠블렘(84)을 형성한 투과형 렌즈, 87은 투과형 렌즈(86)를 조명하기 위해서 팽출부(83)의 안쪽에 설치한 램프, 88은 램프(87)를 지지하는 램프 홀더이고,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80)은 투과형 렌즈(86)에 엠블렘(84)을 형성하고, 이 엠블렘(84)을 램프(87)로 조명하여 반짝이도록 한 것이다.
즉,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80)은 엠블렘(84)을 조명하므로,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의장의 향상을 도모한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엠블렘(64)을 오목 문자로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오목 문자에 색을 넣은 것, 평면에 핫스탬프나 인쇄로 표시하는 것, 볼록 문자로 표시하는 것, 이 볼록 문자에 핫스탬프나 도금을 실시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어도 좋다. 즉, 문자, 도형, 기호 또는 이들의 결합 또는 이들과 색채와의 결합으로 나타낸 표장을 렌즈를 투과시켜서 표시하는 것이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에서는 벌브, 리플렉터 및 렌즈로 이루어지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에 있어서, 리플렉터의 에지에 팽출부를 형성하고, 이 팽출부에 엠블렘을 설치하고, 이들의 팽출부 및 엠블렘을 렌즈로 일체적으로 덮도록 하였다.
즉, 팽출부에 엠블렘을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기 때문에, 부품수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엠블렘을 렌즈로 일체적으로 덮음으로써, 참신한 의장을 실현할 수 있으며,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의장적인 효과의 고양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서는 청구항 1의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을 프론트 카울에 직접적으로 장착하였기 때문에,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장착 주변의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결과,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조립성 및 에이밍 조정(광축 조정)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에서는 청구항 1의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을 프론트 카울에 직접적으로 장착하는 동시에,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아래쪽, 또한 프론트 카울의 양 옆쪽에 윙커 램프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주변의 구조의 집중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결과, 자동 이륜차의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벌브, 리플렉터 및 렌즈로 이루어지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의 에지에 팽출부를 형성하고, 이 팽출부에 엠블렘을 설치하고, 이들 팽출부 및 엠블렘을 상기 렌즈로 일체적으로 덮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2. 제1항기재의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을 프론트 카울에 직접적으로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장착 구조.
  3. 제1항기재의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을 프론트 카울에 직접적으로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아래쪽, 또한 상기 프론트 카울의 양 옆쪽에 윙커 램프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의 장착 구조.
KR10-2002-0013019A 2001-03-14 2002-03-11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장착 구조 KR100483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72674A JP3480724B2 (ja) 2001-03-14 2001-03-14 自動二輪車用前照灯
JPJP-P-2001-00072674 2001-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648A true KR20030047648A (ko) 2003-06-18
KR100483936B1 KR100483936B1 (ko) 2005-04-15

Family

ID=1893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019A KR100483936B1 (ko) 2001-03-14 2002-03-11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3480724B2 (ko)
KR (1) KR100483936B1 (ko)
CN (1) CN1248900C (ko)
AR (1) AR032973A1 (ko)
BR (1) BR0200813B1 (ko)
CO (1) CO5360646A1 (ko)
MY (1) MY128121A (ko)
TW (1) TW55385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037B1 (ko) * 2001-06-22 2005-07-1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용 헤드라이트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136A (ja) 2003-05-22 2004-12-09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ヘッドライト
JP2007186128A (ja) * 2006-01-13 2007-07-26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2007269143A (ja) * 2006-03-31 2007-10-18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テールランプ装置及び該テールランプ装置を備えた自動二輪車
JP4853913B2 (ja) * 2006-09-29 2012-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前照灯装置
JP2009023511A (ja) 2007-07-19 2009-02-05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JP5049923B2 (ja) * 2008-08-27 2012-10-17 株式会社クボタ ヘッドランプと燃料タンクの支持構造
JP5613022B2 (ja) * 2010-11-12 2014-10-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二輪車用前照灯
JP5659105B2 (ja) * 2011-08-29 2015-01-28 株式会社クボタ ヘッドランプカバーの支持構造
JP5470425B2 (ja) * 2012-07-20 2014-04-16 株式会社クボタ ヘッドランプと燃料タンクの支持構造
JP6189617B2 (ja) * 2013-03-29 2017-08-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ライトの支持構造
CN105351843A (zh) * 2015-11-19 2016-02-24 宁波市鄞州雅佳达车业有限公司 一种摩托车头灯
DE102017108393A1 (de) 2017-04-20 2018-10-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scheinwerfer
WO2019087142A1 (en) * 2017-11-06 2019-05-09 Piaggio & C. S.P.A. Headlight for a vehicle
DE202018002106U1 (de) * 2018-04-25 2019-07-29 Büchel GmbH & Co.Fahrzeugteilefabrik KG Scheinwerfer mit Zeichen, insbesondere Logo
US20230257051A1 (en) * 2022-02-15 2023-08-17 Arctic Cat Inc. Headligh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536U (ko) * 1990-09-03 1992-04-27
JP3472588B2 (ja) * 1993-01-08 2003-12-0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カウリング取付構造
JPH10214504A (ja) * 1997-01-31 1998-08-11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ポジションバルブの取付構造
JP3557857B2 (ja) * 1997-07-01 2004-08-25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ヘッドラン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037B1 (ko) * 2001-06-22 2005-07-1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용 헤드라이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200813A (pt) 2003-01-07
KR100483936B1 (ko) 2005-04-15
TW553859B (en) 2003-09-21
CO5360646A1 (es) 2004-01-30
CN1374226A (zh) 2002-10-16
CN1248900C (zh) 2006-04-05
AR032973A1 (es) 2003-12-03
MY128121A (en) 2007-01-31
JP2002274253A (ja) 2002-09-25
JP3480724B2 (ja) 2003-12-22
BR0200813B1 (pt) 201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936B1 (ko) 자동 이륜차용 전조등 및 장착 구조
US8118460B2 (en) Motorcycle headlamp
US7588356B2 (en) Structure of tail light for motorcycle
JP4796364B2 (ja) 車両のラン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動二輪車
US20060023462A1 (en) Lamp unit in motorcycle
JP2007030591A (ja) 自動二輪車
EP1897792B1 (en) Side rearview mirror with embedded turn indicator for a vehicle
WO2019187427A1 (ja) 鞍乗型車両のコーナリングライト
JP2016005942A (ja) 鞍乗型車両
EP3531009B1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JP3893773B2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JP4994059B2 (ja) 車両用灯火器
JP4353383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H01265401A (ja) ランプ一体型フロントグリル
EP2017167B1 (en) Vehicle
EP1780104B1 (en) Winker mounting structure
EP4342731A1 (en) Lamp unit
CN218583028U (zh) 一种汽车大灯
CN100462622C (zh) 车辆用灯
CN113799896B (zh) 速克达型机车
KR200244549Y1 (ko) 차량용 차폭등 장착구조
JP2626206B2 (ja) 車両用灯具
TWI516402B (zh) Straddle type vehicle
BR102021021598A2 (pt) Dispositivo de iluminação
JP2012101573A (ja) 自動二輪車のヘッド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