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78668Y1 -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668Y1
KR200278668Y1 KR2019980009192U KR19980009192U KR200278668Y1 KR 200278668 Y1 KR200278668 Y1 KR 200278668Y1 KR 2019980009192 U KR2019980009192 U KR 2019980009192U KR 19980009192 U KR19980009192 U KR 19980009192U KR 200278668 Y1 KR200278668 Y1 KR 200278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ctuator block
brake system
insertion hol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2079U (ko
Inventor
경 일 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2019980009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668Y1/ko
Publication of KR199900420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0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66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유압밸브와 펌프가 설치되는 액츄에이터 블럭,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액츄에이터 블럭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를 구비하고, 모터는 액츄에이터 블럭에 형성된 삽입구에 일부 삽입되되, 삽입구 주변부의 모터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은 삽입구의 내측으로 찍혀 눌려서 모터와 액츄에이터 블럭이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밀착턱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와 액츄에이터 블럭의 결합은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 스테이킹 작업으로 모터와 액츄에이터 블럭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부품수와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본 고안은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츄에이터 블럭에 결합되는 모터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와 액츄에이터 블럭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은 자동차의 구동륜의 과도한 슬립을 억제하여 자동차의 방향 안정성과 구동력을 확보하는 장치이다.
이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자동차의 제동시 각 차륜의 휠 실린더로 가해지는 제동유압을 감압, 또는 증압하여 압력을 조절하므로 적당한 코너링 포스를 확보하여 조향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제동 정지 거리를 가장 짧게 되도록 마찰계수의 가장 큰 값을 얻을 수 있는 슬립률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브레이크 페달, 마스터 실린더, 휠속도 센서, 액츄에이터 블럭 그리고 제어부 등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액츄에이터 블럭에는 각각의 브레이크 휠실린더로 유압을 감압, 또는 증압을 실시하여 제동력을 제어하도록 한다.
도 6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서의 종래의 액츄에이터 블럭(10)에는 오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유압밸브(15)가 설치된다. 이 유압밸브(15)는 노멀 오픈밸브(Nomal open valve)와 노멀 크로즈밸브(Nomal close valve)로 마련되며, 이 각각의 유압밸브(15)로의 오일의 유출입을 위한 유로가 내부에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블럭(10)에는 고압 어큐뮤레이터와 저압 어큐뮤레이터가 각각 설치되고, 또한 저압 어큐뮤레이터의 오일을 고압 어큐뮤레이터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와 이 펌프의 작동을 위한 모터(20)가 설치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 블럭(10)은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되며, 모터(20)는 외주면에 브라켓(23)이 형성되어 액츄에이터 블럭(10)의 삽입구(10b)에 모터(20)의 구동부가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브라켓(23)과 블럭(10)의 결합구(10a)를 통하여 나사(21)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모터(20)와 액츄에이터 블럭(10) 사이에는 펌프의 펌핑시 오일이 새지 않도록 실링재(22)가 설치되며, 삽입구(10b)의 내측에는 모터(20) 구동부의 원활한 구동을 위한 베어링(11)이 설치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20)와 액츄에이터 블럭(10)의 결합은 액츄에이터 블럭(10)에 형성된 결합구(10a)를 통하여 다수의 나사(21)로 결합되기 때문에 그 결합시간이 길어지고 결합공정이 복잡하여 진다.
또한 모터(20)와 액츄에이터 블럭(10)사이의 실링을 위하여 별도의 실링재(22)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부품수 또한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펌프의 펌핑구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모터와 이 모터가 결합되는 액츄에이터 블럭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간단한 공정과 적은 부품수로써 짧은 시간에 모터와 액츄에이터 블럭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안티륵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회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블럭에 모터를 결합한 것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블럭에 모터를 결합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블럭에 모터를 결합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블럭에 모터를 결합한 것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액츄에이터 블럭 110...제어부
120...휠속도 감지센서 130...마스터 실린더
140...브레이크 페달 150...노멀 오픈밸브
160...노멀 크로즈밸브 170...고압 어큐뮤레이터
180...저압 어큐뮤레이터 190...펌프
200...모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유압밸브와 펌프가 설치되는 액츄에이터 블럭,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 블럭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를 구비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액츄에이터 블럭에 형성된 삽입구에 일부 삽입되되, 상기 삽입구 주변부의 상기 모터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은 상기 삽입구의 내측으로 찍혀 눌려서 상기 모터와 상기 액츄에이터 블럭이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밀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회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블럭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블럭에 모터를 결합한 것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블럭에 모터를 결합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블럭에 모터를 결합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140), 마스터 실린더(130), 휠속도 센서(120), 액츄에이터 블럭(100) 그리고 제어부(110) 등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액츄에이터 블럭(100)에는 각각의 브레이크 휠실린더로 유압을 감압, 또는 증압을 실시하여 제동력을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액츄에이터 블럭(100)에는 오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유압밸브(150)(160)가 설치된다. 이 유압밸브(150)(160)는 노멀 오픈밸브(150)(Nomal open valve)와 노멀 크로즈밸브(160)(Nomal close valve)로 마련되며, 이 각각의 유압밸브(150)(160)로의 오일의 유출입을 위한 유로가 내부에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블럭(100)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어큐뮤레이터(170)와 저압 어큐뮤레이터(180)가 각각 설치되고, 또한 저압 어큐뮤레이터(180)의 오일을 고압 어큐뮤레이터(170)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190)와 이 펌프(190)의 작동을 위한 모터(2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 블럭(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마련되는데, 액츄에이터 블럭(100)의 일측에는 펌프(190)의 구동을 위한 모터(200)가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200)의 설치를 위하여 액츄에이터 블럭(100)에는 모터(2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구(100a)가 형성된다.
이 삽입구(100a)는 내측으로 갈수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모터(200)의 구동부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입구단의 직경은 모터(200)의 외주면이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200)의 결합은 스테이킹(Staking) 즉, 원형 지그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삽입구(100a)의 입구단 중의 모터(200)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을 찍어누르면 이 블럭(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해서 삽입구(100a)의 내측으로 수축하면서 모터(200)의 외주면을 강하게 밀착하는 밀착턱(100b)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모터(200)를 결합하면 모터(200)와 액츄에이터 블럭(100)의 결합과 실링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스테이킹 결합을 원형 지그가 아니라 4개의 스폿을 가진 지그를 사용하여 삽입구(100b)의 입구단 4곳을 찍어누르면 4개의 밀착턱(300)이 형성되면서 액츄에이터 블럭(100)과 모터(20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삽입구(100b) 내측에 별도의 실링재(미도시)를 설치하여야 하지만 전술한 첫 번째 실시예보다는 적은 압착력으로 모터(200)와 액츄에이터 블럭(1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은 차량의 주행중 증압모드, 유지모드, 그리고 감압모드의 수행단계를 거치면서 제동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증압모드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40)을 밟으므로써 마스터 실린더(130)의 오일이 노멀 오픈형 밸브(150)를 통해서 휠실린더(미부호)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 압력은 증가하게 되고, 브레이크장치의 실린더 피스톤이 밀리면서 자동차의 휠(미부호)이 제동되어 각 바퀴의 속도는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휠 속도센서(120)로부터 받은 휠의 속도와 차랑의 속도와의 차이, 즉 슬립율이 일정 범위를 넘으면 제어부(110)는 휠(52)의 압력을 줄이기 위해서 노멀 오픈형 밸브(150)를 온시켜서 휠과 마스터 실린더(130) 사이의 유로를 차단시킨다.
이로인해 더 이상의 오일의 압력은 휠로 전달되지 않게 되고, 동시에 노멀 크로즈형 밸브(160)를 작동시켜서 휠에 있는 액압을 저압 어큐뮤레이터(180)에 받아두게 되며, 이와 동시에 펌프(190)는 모터(200)에 의하여 구동하여 저압 어큐뮤레이터(180)의 오일을 고압 어큐뮤레이터(170)로 펌핑하게 되고, 고압 어큐뮤레이터(170)는 오일의 맥동을 줄여 오일을 다시 마스터 실린더(130)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상태를 감압모드라 한다.
한편, 감압모드로 인해 휠의 속도는 다시 증속되게 된다. 이때 제어부(110)는 휠의 구동을 시간을 두고 지켜 보게되는데, 이를 유지모드라고 한다.
이 유지모드에서는 노멀 오픈형 밸브(150)는 온되고, 노멀 크로즈형 밸브(160)는 오프의 상태로 휠실린더로 마스터 실린더(130)로부터 전달된 오일이 들어오지도 못하고, 노멀 크로즈형 밸브(160)를 통해서 나가지도 못하게 한다.
그리고 휠의 속도가 다시 살아나면 다시 휠의 속도를 줄이게 된다. 이를 위하여 휠실린더로 압력이 전달되도록 전류를 차단하여 노멀 크로즈형 밸브(160)가 차단되도록 하고, 이에따라 휠의 압력이 저압 어큐뮤레이터(180)으로 빠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재차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모터(200)의 액츄에이터 블럭(100)의 결합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터(200)를 액츄에이터 블럭(100)에 안착한다. 그리고 안착된 모터(200)의 주변부 즉 삽입구(100a)의 입구단을 지그 등을 통하여 강하게 밀착하여 누르게 되면 도 5의 (b)와 같이 액츄에이터 블럭(100)은 알루니늄 재질이기 때문에 모터(200)의 외주면과 삽입구의 입구단을 강하게 밀착지지하는 밀착턱(100b)을 형성하여 모터(200)와 액츄에이터 블럭(100)이 밀착 결합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와 액츄에이터 블럭의 결합은 별도의 체결공구 없이 스테이킹 작업으로 모터와 액츄에이터 블럭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부품수와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유압밸브와 펌프가 설치되는 액츄에이터 블럭,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 블럭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를 구비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액츄에이터 블럭에 형성된 삽입구에 일부 삽입되되, 상기 삽입구 주변부의 상기 모터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은 상기 삽입구의 내측으로 찍혀 눌려서 상기 모터와 상기 액츄에이터 블럭이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밀착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2019980009192U 1998-05-30 1998-05-30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200278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192U KR200278668Y1 (ko) 1998-05-30 1998-05-30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192U KR200278668Y1 (ko) 1998-05-30 1998-05-30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079U KR19990042079U (ko) 1999-12-27
KR200278668Y1 true KR200278668Y1 (ko) 2002-09-19

Family

ID=6951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192U Expired - Fee Related KR200278668Y1 (ko) 1998-05-30 1998-05-30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6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079U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5792B2 (ja) スリップ制御付きブレーキシステム
JPH10258724A (ja) 液圧ブレーキ装置
KR200278668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278669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JP7318458B2 (ja) 車両用制動装置
KR940701346A (ko) 차량용 안티-록크 및 드라이브 슬립 제어기를 갖춘 유압식 브레이크 시스템
US6925801B2 (en) Brake hydraulic pressure controller for a vehicle
KR200278672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JP2020083167A (ja)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200278667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방진부재
KR100353252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JPH06183323A (ja) 流体ブレーキ回路
KR200278670Y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28228B1 (ko) 차량용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279008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281992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솔레노이드 지지부재
KR100331653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어큐뮤레이터
JP3379445B2 (ja) 液圧ブレーキ制御装置
KR19990086827A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KR200270849Y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부 유니트
KR100243603B1 (ko) 브레이크 부스팅 시스템
JPH11152024A (ja) 液圧ブレーキ装置
KR100353253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듈레이터
WO2020027068A1 (ja) 制動制御装置
KR100331655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액츄에이터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53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1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30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912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6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206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4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