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2482Y1 -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 Google Patents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482Y1
KR200212482Y1 KR2019980021167U KR19980021167U KR200212482Y1 KR 200212482 Y1 KR200212482 Y1 KR 200212482Y1 KR 2019980021167 U KR2019980021167 U KR 2019980021167U KR 19980021167 U KR19980021167 U KR 19980021167U KR 200212482 Y1 KR200212482 Y1 KR 200212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see
iron plate
glas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857U (ko
Inventor
변규병
Original Assignee
임재용
이호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용, 이호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재용
Priority to KR2019980021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48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482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현관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방화문의 일측에 외부확인이 가능한 투시창을 형성시킨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방화문의 앞뒤를 구성하는 철판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투시구멍을 형성시킨 후 투시구멍을 이루는 철판의 내측에 지지부재를 용접 고정시키며 지지부재에 고무패킹을 대고 강화유리를 끼운 후 상기 강화유리의 외측면은 고정부재로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현관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방화문의 일측에 외부확인이 가능한 투시창을 형성시킨 것이다.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기존 방화문은 두장의 철판을 절곡하여 붙이되 하니컴 또는 유리섬유를 그 사이에 내장시켜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안에서는 외부 상황을 전혀 알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외부확인을 위해서는 방문객 모니터용 CCTV를 작동시키거나 방화문에 설치된 어안렌즈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CCTV 또는 어안렌즈는 확인범위가 좁아 전체적인 외부상황 확인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그러나 내부에 있는 사람은 방문자에 대한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여야만 방화문 개방시 불안감을 덜어줄 수 있는 것으로 현재에는 외부상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방화문에 외부투시가 가능한 투시창을 형성시켜 내부에서 투시창을 통하여 외부상황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방화문의 앞뒤를 구성하는 철판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투시구멍을 형성시킨 후 투시구멍을 이루는 철판의 내측에 지지부재를 용접 고정시키며 지지부재에 고무패킹을 대고 강화유리를 끼운 후 상기 강화유리의 외측면은 고정부재로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본고안은 방화문의 철판에 관통되는 투시구멍을 뚫고 투시구멍의 외주연을 이루는 철판의 내측에 ㄴ자형 지지부재를 용접 고정시키며 지지부재에는 고무패킹을 댄 후 강화유리를 끼우고 상기 강화유리의 외측은 철판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 방화문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 방화문의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화문 4,5 : 철판 6,7 : 지지부재
8,9 : 고무패킹 10,11 : 경화유리 12,13 : 받침부재
14,15 : 고정부재
본 고안은 두장의 철판(4)(5)사이에 하니컴 또는 유리섬유를 내장시켜 이루어지는 방화문(1)에 있어서,
방화문(1)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철판(4)(5)을 뚫어 사각형태의 투시구멍을 형성시키고,
투시구멍을 이루는 철판(4)(5)의 외주연 내측으로는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6)(7)를 용접 고정시키며,
상기 지지부재(6)(7)에는 고무패킹(8)(9)을 댄 후 경화유리(10)(11)를 끼우고,
상기 경화유리(10)(11)의 외측면에는 철판(4)(5)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4)(15)로 눌러주어 경화유리(10)(11)의 이탈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경화유리(10)(11)는 투명 또는 불투명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투명할 수록 내,외부에서 쌍방 확인이 가능하고 불투명할수록 외부에서 내부 확인은 어렵고 내부에서 외부만 확인 가능하다.
고정부재(14)(15)는 철판(4)(5) 외측에 나사등으로 고정되는 받침부재(12)(13)에 돌기형태로 끼워지는 것으로 외측에서 압을 가하여 밀게되면 돌기에 끼워져 고정되고 반대쪽으로는 힘을 가하여도 돌기에 의해 빠지지 않게된다.
방화문(1)은 통상 프레임(2)에 힌지고정되는 것으로 손잡이(3)와 우유투입구등이 형성되며 통상 2장의 철판(4)(5)을 절곡하여 서로 맞붙이되 철판(4)(5)사이에는 하니컴 또는 유리섬유를 내장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된 방화문(1)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철판(4)(5)을 뚫어 투사구멍을 만들고 상기 투사구멍에는 경화유리(10)(11)를 끼운 것으로, 여기서 투사구멍은 중앙뿐아니라 좌,우측으로 치우쳐도 무방하고 또한 그 길이도 적정길이를 갖추면 된다.
상기 투사구멍을 이루는 철판(4)(5)의 외주연에는 경화유리(10)(11)를 끼울 수 있는 ㄴ자 구조의 지지부재(6)(7)를 내측으로 용접 고정시킨 후 그 위에 고무패킹(8)(9)을 끼우고 경화유리(10)(11)를 끼우게 된다.
여기서 고무패킹(8)(9)은 경화유리(10)(11)의 깨어짐을 방지하는 한편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고무재질 대신에 연성의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경화유리(10)(11)는 외부충격에 깨지지 않는 10mm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투명도를 선택 사용한다.
즉 경화유리(10)(11)가 투명할 수록 내,외부에서 양측 확인이 가능해지고 불투명할수록 내부에서만 외부확인이 가능해지므로 사용목적에 맞추어 적정투명도의 경화유리(10)(11)를 사용한다.
경화유리(10)(11)는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재(14)(15)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아니면 경화유리(10)(11)는 받침부재(12)(13)의 측면을 신장시켜 받침부재(12)(13)의 측면으로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여기서 고정부재(14)(15)는 철판(4)(5)에 고정된 받침부재(12)(13)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부재(14)(15)는 받침부재(12)(13)에 돌기로 끼워지게 되어 한번 끼워진 상태에서는 외압에 의하여 받침부재(12)(13)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고정부재(14)(15)를 해체시킬 수 없어 경화유리(10)(11)의 분해가 불가능해진다.
경화유리(10)(11)상하부에는 조각철판(16)을 대고 고정부재(14)(15)로 조각철판(16)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은 방화문에 경화유리가 설치 고정되어 있어, 문을 개방시키기 전에 내부에서 외부상황을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문을 개방시킬 때 불안감을 없애게 하고, 또한 방화문에 경화유리가 끼워져 있어 외관상 아름다움을 주게 된다.

Claims (1)

  1. 두장의 절곡된 철판(4)(5)을 맞대고 내부에 하니컴이 내장된 방화문(1)에 있어서,
    방화문(1)의 양쪽에 길이방향으로 철판(4)(5)을 관통시켜 투시구멍을 형성시키고,
    투시구멍의 외측을 이루는 철판(4)(5)의 내측에 지지부재(6)(7)를 용접 고정시키며,
    지지부재(6)(7)의 안쪽으로 고무패킹(8)(9)을 대고 경화유리(10)(11)를 끼운 후,
    경화유리(10)(11)의 외측을 철판(4)(5)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4)(15)로 고정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KR2019980021167U 1998-11-02 1998-11-02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KR200212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167U KR200212482Y1 (ko) 1998-11-02 1998-11-02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167U KR200212482Y1 (ko) 1998-11-02 1998-11-02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857U KR19990007857U (ko) 1999-02-25
KR200212482Y1 true KR200212482Y1 (ko) 2001-02-15

Family

ID=6951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167U KR200212482Y1 (ko) 1998-11-02 1998-11-02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4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171B1 (ko) 2022-06-07 2023-08-25 (주)동광명품도어 끼움식 투시창이 구비된 방화문
KR102595315B1 (ko) 2022-10-31 2023-10-26 (주)동광명품도어 간편 조립 끼움식 구조의 투시창 방화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398B1 (ko) 2014-07-16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 방법
EP2975345B1 (en) 2014-07-16 2019-01-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081050B1 (ko) * 2020-01-16 2020-02-25 (주)광림마린테크 선박용 방화도어 및 그것이 설치된 선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171B1 (ko) 2022-06-07 2023-08-25 (주)동광명품도어 끼움식 투시창이 구비된 방화문
KR102595315B1 (ko) 2022-10-31 2023-10-26 (주)동광명품도어 간편 조립 끼움식 구조의 투시창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857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23045B2 (ja) 火災遮断パネル
DE59505426D1 (de) Brandschutz-Glaseinheit
KR940006824A (ko) 침입방지용 차량 유리판
KR200212482Y1 (ko) 투시창이 형성된 방화문
KR20190107132A (ko) 증가된 침입저항(Breakthrough-Resistance) 및 어댑터를 구비하는 절연 글레이징
KR101370516B1 (ko) 유리문용 도어락 설치 브라켓 및 이의 설치방법
JP5001169B2 (ja) 安全具を備えた窓ガラス
JP3365609B2 (ja) 窓框の窓体取付構造
NO952413D0 (no) Fasadekonstruksjon ved toskalls byggemåte
KR200440446Y1 (ko) 화장실 칸막이
JPS6114384A (ja) 火災時にガラス板の縁領域に働く圧力システムを有する防火ガラス嵌込構造
CN214395751U (zh) 一种防爆钢化玻璃
ES2208998T3 (es) Ventanilla de vehiculo de motor con cristal estratificado escamoteable.
JP2005155243A (ja) 二重ガラス戸構造
KR102094259B1 (ko) 방화문
DE50307116D1 (de) Fenster oder Tür
SK145694A3 (en) Fire resistance glass-covered
KR102643018B1 (ko) 창호용 프레임
KR200172196Y1 (ko) 창문틀의 댐핑구조
KR200367889Y1 (ko) 도어 프레임의 결로방지장치
US983794A (en) Door and window.
DK0569298T3 (da) Ventil til brandsikret, isolerende glaspanel
KR20110001471A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록 고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09897A (ko) 슬라이딩 부재와 이것을 포함한 강화유리 안전문의 손가락보호대 조립체
JP7068968B2 (ja) 引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11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0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1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01122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11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10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