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94259B1 - 방화문 - Google Patents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259B1
KR102094259B1 KR1020190098589A KR20190098589A KR102094259B1 KR 102094259 B1 KR102094259 B1 KR 102094259B1 KR 1020190098589 A KR1020190098589 A KR 1020190098589A KR 20190098589 A KR20190098589 A KR 20190098589A KR 102094259 B1 KR102094259 B1 KR 10209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door
plate
bending plate
ben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혁
김성태
강석배
박영종
문기덕
이주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광방화문
주식회사 바이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광방화문, 주식회사 바이솔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광방화문
Priority to KR1020190098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2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2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with a fire retardant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건축물의 개구부에 구비되는 문틀 및 상기 문틀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문짝을 구비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문짝은 실외측에 위치하는 외부강판과, 상기 외부강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부강판과, 상기 외부강판의 양단과 상기 내부강판의 양단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측부강판과, 상기 외부강판, 상기 내부강판 및 상기 측부강판과 맞대어져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1단열재와, 상기 외부강판, 상기 내부강판, 상기 측부강판 및 상기 제1단열재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2단열재와, 상기 외부강판 및 상기 측부강판과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문짝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골구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문{Fire doors}
본 발명은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부위의 열교를 차단하고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일반의 단독주택이나 아파트를 비롯하여 공장과 사무실 및 각종 조립식 가건물과 같은 각종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외부인 무단으로 출입하는 방범기능과 실외의 외기로부터 실내를 보호하는 보온 및 냉방기능과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 화재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방화기능이 요구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방화문은 전면패널과 후면패널과의 사이가 공간부로 되어 있으므로, 일측의 전면패널(또는 후면패널)에 부딪히는 소리가 내부의 공간을 통하여 다른 후면패널(또는 전면패널)로 쉽게 전달되어 실내(또는 실외)의 소리가 실외(또는 실내)로 전달되어 방음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일측의 패널로 공급되는 열기가 타측 패널로 쉽게 전열 되어 단열효과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에 심재나 보강골구를 넣은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특히, 보강골구를 넣은 기술들은 보강골구가 전면패널 또는 후면패널과 결합하는 결합부위에 대한 내화성능은 좋으나 결합부위에 집중되는 열교에 의해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8017호(2004.11.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열교를 차단할 수 있는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의 개구부에 구비되는 문틀 및 상기 문틀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문짝을 구비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문짝은 실외측에 위치하는 외부강판과, 상기 외부강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부강판과, 상기 외부강판의 양단과 상기 내부강판의 양단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측부강판과, 상기 외부강판, 상기 내부강판 및 상기 측부강판과 맞대어져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1단열재와, 상기 외부강판, 상기 내부강판, 상기 측부강판 및 상기 제1단열재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2단열재와, 상기 외부강판 및 상기 측부강판과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문짝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골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강판은 외부본체와, 상기 외부본체의 양단에서 실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문짝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절곡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부강판은 내부본체와, 상기 내부본체의 양단에서 실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문짝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2절곡판과, 상기 제2절곡판에서 상기 내부공간측으로 절곡되는 제3절곡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부강판은 상기 제1절곡판 및 상기 제2절곡판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문짝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부본체와, 상기 측부본체의 실내측 일단에서 상기 내부공간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3절곡판과 대응되는 제4절곡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판과 상기 측부본체 사이에는 제1이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절곡판과 상기 제4절곡판 사이에는 제2이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골구는 상기 외부본체와 대응되는 실외부와, 상기 실외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절곡판 및 상기 측부본체와 대응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4절곡판과 대응되는 실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재는 상기 외부본체와 상기 실외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단열부와, 상기 제1절곡판 및 상기 측부본체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단열부와, 상기 제4절곡판과 상기 실내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3단열부와, 상기 제2이격부에 구비되는 제4단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방화문에 의하면,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열교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화문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화문과 일반 방화문의 열교 시뮬레이션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화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방화문과 일반 방화문의 열교 시뮬레이션의 비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10)은 건축물의 개구부에 구비되는 문틀(100) 및 문틀(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문짝(200)을 구비할 수 있다. 문짝(200)이 문틀(100)을 축으로 회전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실외로부터 폐쇄하거나 실외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문짝(200)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면, 문짝(200)은 외부강판(210), 내부강판(220), 측부강판(230), 제1단열재(240), 내부공간(250), 제2단열재(260), 보강골구(270), 제1이격부(280) 및 제2이격부(290)를 구비할 수 있다.
외부강판(210)은 개구부의 실외측에 위치하게 되고 내부강판(220)은 외부강판(2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개구부의 실내측에 위치하며, 측부강판(230)은 외부강판(210)의 양단과 내부강판(220)의 양단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열재(240)는 외부강판(210), 내부강판(220) 및 측부강판(230)과 맞대어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단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1단열재(240)로는 단열성이 우수한 실리카 에어로젤(Silica Aerogel) 또는 페놀릭 폼(Phenolic foar)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단열재(260)는 외부강판(210), 내부강판(220), 측부강판(230) 및 제1단열재(240)에 의해 밀폐된 문짝(200)의 내부공간(250)에 구비되어 단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2단열재(260)로는 제1단열재(240)와 마찬가지로 단열성이 우수한 실리카 에어로젤(Silica Aerogel) 또는 페놀릭 폼(Phenolic foar)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보강골구(270)는 외부강판(210) 및 측부강판(230)과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문짝(200)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외부강판(210)은 개구부의 실외측에 위치하여 외부본체(211)와 제1절곡판(212)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본체(211)는 외부강판(21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게 되고, 제1절곡판(212)은 외부본체(211)의 양단에서 실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외부본체(211)로부터 실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판(212)은 문짝(200)의 측면 즉, 테두리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강판(220)은 외부강판(2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개구부의 실내측에 위치하여 내부본체(221), 제2절곡판(222) 및 제3절곡판(223)을 구비할 수 있다.
내부본체(221)는 내부강판(22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게 되고, 제2절곡판(222)은 내부본체(221)의 양단에서 실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내부본체(221)로부터 실외측으로 절곡된 제2절곡판(222)은 제1절곡판(212)과 함께 문짝(200)의 측면 즉, 테두리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제3절곡판(223)은 제2절곡판(222)에서 문짝(200)의 내부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어 내부강판(220)의 양단이 'ㄷ'자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측부강판(230)은 외부강판(210)의 양단과 내부강판(220)의 양단 사이에 각각 위치하여 측부본체(231)와 제4절곡판(232)을 구비할 수 있다.
측부본체(231)는 제1절곡판(212) 및 제2절곡판(222)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제1절곡판(212) 및 제2절곡판(222)과 함께 문짝(200)의 측면 즉, 테두리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측부본체(231)의 실외측 일단과 제1절곡판(212)의 실내측 일단 사이에는 제1이격부(280)가 형성될 수 있다. 제4절곡판(232)은 측부본체(231)의 실내측 일단에서 문짝(200)의 내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제3절곡판(223)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절곡판(223)과 제3절곡판(223) 사이에는 제2이격부(29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짝(200)에 외부강판(210)과 측부강판(230) 사이의 제1이격부(280) 및 측부강판(230)과 내부강판(220) 사이의 제2이격부(290)를 형성하여 외부강판(210)에서 측부강판(230), 측부강판(230)에서 내부강판(220) 또는 내부강판(220)에서 측부강판(230), 측부강판(230)에서 외부강판(210)으로의 열교 현상을 차단함으로써 도 4(a)에 도시된 일반 방화문과 도 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10)과 비교했을 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10)이 상대적으로 결합부위에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부강판(210) 및 측부강판(230)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보강골구(27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본체(211)와 대응되는 실외부(271), 실외부(271)에서 연장되는 측면부(272), 측면부(272)에서 연장되는 실내부(273)를 구비할 수 있다. 실외부(271)에서 연장되는 측면부(272)는 제1절곡판(212) 및 측부본체(231)와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측면부(272)에서 연장되는 실내부(273)는 제4절곡판(232)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외부강판(210), 내부강판(220) 및 측부강판(230)과 맞대어지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1단열재(240)는 외부본체(211)와 실외부(271) 사이에 위치하는 제1단열부(241), 제1절곡판(212) 및 측부본체(231)와 측면부(272) 사이에 위치하는 제2단열부(242), 제4절곡판(232)과 실내부(273) 사이에 위치하는 제3단열부(243) 및 제2이격부(290)에 구비되는 제4단열부(24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본체(211)와 실외부(271) 사이의 제1단열부(241), 제1절곡판(212) 및 측부본체(231)와 측면부(272) 사이의 제2단열부(242), 제4절곡판(232)과 실내부(273) 사이의 제3단열부(243), 제2이격부(290)에 제4단열부(244)를 구비함으로써 결합부위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문틀(100)에는 가스켓(300)이 구비될 수 있다.
가스켓(300)은 문틀(10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홈(110)에 삽입된 가스켓(300)은 문짝(200)이 문틀(100)의 일측을 축으로 회전하여 닫힐 시 문틀(100)과 직접적인 충돌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사용에도 방화문(10)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켓(300)은 문틀(100)에 구비되어 문짝(200)이 문틀(100)의 일측을 축으로 회전하여 닫힐 시 문틀(100)과 문짝(200) 사이의 틈새를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문틀(100)과 문짝(2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화기가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켓(3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200)의 일측에 별도의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되어 문짝(200)이 문틀(100)의 일측을 축으로 회전하여 닫힐 시 문틀(100)과 직접적인 충돌을 하는 것을 방지하고 문틀(100)과 문짝(200) 사이의 틈새를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방화문 100: 문틀
110: 삽입홈 200: 문짝
210: 외부강판 211: 외부본체
212: 제1절곡판 220: 내부강판
221: 내부본체 222: 제2절곡판
223: 제3절곡판 230: 측부강판
231: 측부본체 232: 제4절곡판
240: 제1단열재 241: 제1단열부
242: 제2단열부 243: 제3단열부
244: 제4단열부 250: 내부공간
260: 제2단열재 270: 보강골구
271: 실외부 272: 측면부
273: 실내부 280: 제1이격부
290: 제2이격부 300: 가스켓

Claims (7)

  1. 건축물의 개구부에 구비되는 문틀 및 상기 문틀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문짝을 구비하는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문짝은 실외측에 위치하는 외부강판과, 상기 외부강판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부강판과, 상기 외부강판의 양단과 상기 내부강판의 양단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측부강판과, 상기 외부강판, 상기 내부강판 및 상기 측부강판과 맞대어져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1단열재와, 상기 외부강판, 상기 내부강판, 상기 측부강판 및 상기 제1단열재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2단열재와, 상기 외부강판 및 상기 측부강판과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문짝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골구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강판은 외부본체와, 상기 외부본체의 양단에서 실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문짝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절곡판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강판은 내부본체와, 상기 내부본체의 양단에서 실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문짝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2절곡판과, 상기 제2절곡판에서 상기 내부공간측으로 절곡되는 제3절곡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부강판은 상기 제1절곡판 및 상기 제2절곡판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문짝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부본체와, 상기 측부본체의 실내측 일단에서 상기 내부공간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3절곡판과 대응되는 제4절곡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절곡판과 상기 측부본체 사이에는 제1이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절곡판과 상기 제4절곡판 사이에는 제2이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골구는 상기 외부본체와 대응되는 실외부와, 상기 실외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절곡판 및 상기 측부본체와 대응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4절곡판과 대응되는 실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단열재는 상기 외부본체와 상기 실외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단열부와, 상기 제1절곡판 및 상기 측부본체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단열부와, 상기 제4절곡판과 상기 실내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3단열부와, 상기 제2이격부에 구비되는 제4단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98589A 2019-08-13 2019-08-13 방화문 Active KR102094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89A KR102094259B1 (ko) 2019-08-13 2019-08-13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89A KR102094259B1 (ko) 2019-08-13 2019-08-13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259B1 true KR102094259B1 (ko) 2020-03-30

Family

ID=7000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589A Active KR102094259B1 (ko) 2019-08-13 2019-08-13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8565A (zh) * 2022-08-29 2022-11-04 上海璞玉门业有限公司 被动式门框及被动门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017Y1 (ko) 2004-09-03 2004-11-16 김선호 현관방화문
KR101788657B1 (ko) * 2017-02-28 2017-10-20 이승용 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
KR101839310B1 (ko) * 2017-12-07 2018-04-27 김영동 전도차단재 및 방화문
KR20190027395A (ko) * 2017-09-06 2019-03-15 (주)엘지하우시스 방화문
KR101998675B1 (ko) * 2018-07-11 2019-07-10 대림산업 주식회사 방화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017Y1 (ko) 2004-09-03 2004-11-16 김선호 현관방화문
KR101788657B1 (ko) * 2017-02-28 2017-10-20 이승용 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
KR20190027395A (ko) * 2017-09-06 2019-03-15 (주)엘지하우시스 방화문
KR101839310B1 (ko) * 2017-12-07 2018-04-27 김영동 전도차단재 및 방화문
KR101998675B1 (ko) * 2018-07-11 2019-07-10 대림산업 주식회사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8565A (zh) * 2022-08-29 2022-11-04 上海璞玉门业有限公司 被动式门框及被动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626B1 (ko) 단열 방화문
KR100766199B1 (ko) 방화문의 결로방지 장치
KR101892561B1 (ko) 방화문
KR20200001031U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KR20190027395A (ko) 방화문
KR102094259B1 (ko) 방화문
KR102115829B1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 구조
KR20190054322A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장치
EP2339105B1 (en) Security door comprising an observation window
KR101863614B1 (ko) 방화문의 단열구조
KR100667586B1 (ko) 도어의 방음장치
KR20200095629A (ko) 건식 공법을 외단열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1021751B1 (ko) 힌지측에서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KR102699778B1 (ko) 단열 슬라이딩 창호 구조
KR20100025043A (ko) 도어 시스템
KR102294015B1 (ko) 결로방지 구조의 방화문
CN209195233U (zh) 一种钢质防火门
KR102381470B1 (ko)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 이중 내진 창호
KR20200045060A (ko) 차열 및 차연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과 그 제조방법
KR102575594B1 (ko) 3피스 구조의 방화문
DE102019123662B4 (de) Brandschutztür und Zarge für die Brandschutztür
KR102120544B1 (ko) 방화문
KR10117146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KR101022962B1 (ko) 보강철물에 의해 날개부를 형성하여 결로와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조의 현관문
KR102200309B1 (ko) 고성능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