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84246A - 음료수 홀더 - Google Patents

음료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246A
KR20020084246A KR1020027012604A KR20027012604A KR20020084246A KR 20020084246 A KR20020084246 A KR 20020084246A KR 1020027012604 A KR1020027012604 A KR 1020027012604A KR 20027012604 A KR20027012604 A KR 20027012604A KR 20020084246 A KR20020084246 A KR 20020084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pull
beverage holder
out portion
bever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르겐 디링어
Original Assignee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filed Critical 피셔베케 아더 피셔 게엠베하 운트 체오.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8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24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6Vehicle attached carrier for beverage container or bott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계기판에 장착하는 음료수 홀더(10)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 홀더(10)는 예를 들어 음료수 캔, 비이커 또는 컵과 같은 음료수 용기를 위치시키기 위한 조절 가능 개구부(32)를 포함하고, 인도되는 움직임을 갖는 서랍식 뻗음부(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는 선회 단편(22)이 뻗음부(14)의 후방측에 제공되는데, 이 선회 단편은 뻗음부(14)가 후퇴될 때, 이동 방향에 있어서 뻗음부(14)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도록 하우징(12) 내로 밀려 들어간다. 본 발명은 음료수 홀더(10)가 이동 방향에 있어서 위치 고정 개구부(32)의 직경보다 짧아질 수 있는, 음료수 홀더(10)에 대한 밀집된 하우징(12)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음료수 홀더{DRINKS HOLDER}
이러한 음료수 홀더(drinks holder)는 그 자체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음료수 홀더는 자동차의 계기판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설치되며, 서랍식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인도되고 하나 또는 2개의 음료수 용기를 삽입하는 하나 또는 2개의 삽입 개구부가 제공되는 풀 아웃부(pull-out part)를 갖는다. 음료수 용기는 예를 들어, 비이커, 음료수 캔 또는 컵이다. 풀 아웃부는 밀려 들어간 비 사용 위치와 당겨져 나온 사용 위치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밀려 들어간 비 사용 위치일 때, 풀 아웃부는 계기판 안쪽으로 후퇴되고 특히, 패널에 의해 닫혀져서 계기판의 표면과 같은 높이가 된다. 당겨져 나온 사용 위치일 때, 풀 아웃부는 계기판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음료수 용기가 풀 아웃부의 삽입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계기판에서 이용가능한 설치 공간의 깊이가 음료수 홀더의 풀 아웃부에 비해 너무 얕다면, 알려진 음료수 홀더를 설치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설치 공간의 깊이는 음료수 홀더의 풀 아웃부의 이동 방향에서 설치 공간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음료수 홀더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홀더는 자동차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사용 위치로 당겨져 나온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 홀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료수 홀더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음료수 홀더에 대한 길이 방향 단면도.
도 4는 비 사용 위치로 밀려 들어간 도 1의 음료수 홀더에 대한, 도 3에 상응하는 길이 방향 단면도.
따라서,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문제는 음료수 홀더의 풀 아웃부의 이동 방향에서 봤을 때 얕은 깊이의 설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서두에서 언급한 종류의 음료수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는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서 해결된다.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 홀더의 풀 아웃부는 풀 아웃부의 당겨져 나오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풀 아웃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선회부(pivotal part)를 갖는다. 선회부는 풀 아웃부의 후방 영역에서 풀 아웃부의 삽입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선회부는 선회 장착부에 의해, 풀 아웃부 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아래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사용하지 않을 때, 선회부는 아래 방향으로 선회되고 그 결과, 풀 아웃부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선회부를 포함하는 풀 아웃부의 길이는 줄여질 수 있다. 선회부를 아래 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이동 방향에 있어서, 풀 아웃부가 삽입 개구부의 직경보다 짧게될 수 있는 길이로 줄여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밀려 들어간 비 사용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 홀더의 풀 아웃부는 풀 아웃부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작은 설치 공간만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수 홀더가 음료수 홀더 풀 아웃부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얕은 깊이의 설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치 공간의 깊이는 음료수 홀더 또는 음료수 홀더의 풀 아웃부의 음료수 용기를 위한 삽입 개구부의 직경보다 작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료수 홀더는 선회부를 위한 구동부를 갖는데, 이는 풀 아웃부가 비 사용 위치로 밀려 들어갈 때 선회부를 아래 방향으로 선회시키고/선회시키거나 풀 아웃부가 사용 위치로 당겨져 나올 때 선회부를 위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구동부는 바람직하게 기계 구동부 형태인데, 이 기계 구동부는 풀 아웃부의 이동 움직임으로부터 선회부의 선회 움직임을 유도해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고정식으로 위치된 후크 요소(hook element)와 선회부 상에 배치된 대응 요소(counterpart element)를 갖는다. 풀 아웃부가 사용 위치에서 비 사용 위치로 밀려 들어가면, 대응 요소는 고정식으로 위치된 후크 요소와 접촉하게 된다. 후크 요소는 조절 트랙(control track)을 형성하는데, 풀 아웃부가 밀려 들어갈 때 선회부의 대응 요소는 상기 조절 트랙을 따라 활주하고, 그 결과 상기 조절 트랙은 선회부를 아래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회부의 위 방향 선회 움직임은 스프링 요소에 의해 스프링식으로 작동된다.
선회 장착부는 특히, 풀 아웃부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평하게 또는 대체로 수평하게 그리고 횡으로 또는 대체로 횡으로 뻗는 선회축을 갖는 선회 조인트(joint) 형태이다. 선회 조인트는 선회 장착부를 제공하는 수단인데, 단순하고, 합리적인 가격이며, 게다가 안정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 홀더(10)는 상자 모양의 하우징(12)을 갖는데, 이것은 전방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풀 아웃부(14)는 하우징(12) 내에서 서랍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음료수 홀더(10)는 풀 아웃부(14)에 대한 활주 안내면(slide guideway)으로서 가이드 레일(16)을 구비하는데, 이 가이드 레일은 하우징(12)의 측면에 배치되고, 이 가이드 레일 내부에는 풀 아웃부(14)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가이드 레일(16)은 하우징(12)의 후방을 지나서 돌출한다. 하우징(12)은 풀 아웃부(14)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16)보다 짧다. 풀 아웃부(14)는 하우징(12)으로부터 당겨져 나온 사용 위치(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됨)와 하우징(12) 내로 밀려 들어간 비 사용 위치(도 4에 도시됨) 사이에서 활주 안내면에 의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당겨져 나온 사용 위치에서, 풀 아웃부(14)는 하우징(12)의 개방된 전방으로부터 돌출한다.
풀 아웃부(14)를 하우징(12)으로부터 사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음료수 홀더(10)는 스크롤 스프링을 구비한다(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 스크롤 스프링은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데, 스크롤 스프링의 스프링 탄성으로 인하여 저절로 둥글게 말리는 금속 스트립(metal strip)이다. 따라서, 스크롤 스프링은 인장 스프링 요소이다. 스크롤 스프링의 코일은 풀 아웃부(14)의 후방에 회전식으로 배치된다. 롤 스프링의 자유 단부는 전방의 개구부에 근접하게 하우징(12)의 베이스에 고정된다. 스크롤 스프링의 인장 스프링력으로 인하여, 스크롤 스프링은 풀 아웃부(14)를 이동시켜 하우징(12)에서 돌출된 사용 위치인 당겨져 나온 상태로 만든다.
풀 아웃부(14)의 이동 움직임은 2개의 회전식 제동기(damper)(18)에 의해 제동되는데, 이들은 풀 아웃부(14) 측벽의 틈새에 위치되고, 이들의 치형 휠은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가이드 레일(16)의 상부면에 제공되는 치형 랙(rack)(20)과 맞물린다.
풀 아웃부(14)는 해제 가능한 잠금 장치(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하우징(12) 내로 밀려 들어간 비 사용 위치로 유지된다. 이러한 잠금 장치는 예를 들어, 이른바 푸시-푸시 잠금 메커니즘 또는 카디오이드 잠금 장치와 같이 당업자에게 알려졌을 것인데, 이는 하우징(12) 내로 밀려 들어간 풀 아웃부(14)의 전방을 약간 밀어줌으로써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잠금 해제한 후, 앞서 설명한 스크롤 스프링은 풀 아웃부(14)를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되는 사용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 홀더(10)의 풀 아웃부(14)는 그 후방에서 선회부(22)를 구비한다. 후방이란 당겨져 나오는 방향의 뒷부분이고 당겨져 나온 사용 위치에서 하우징(12)과 접하는 풀 아웃부(14)의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선회부(22)는 선회 조인트(24)에 의해 풀 아웃부(14)에 장착되기 때문에 아래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선회 조인트(24)는 풀 아웃부(14)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뻗는 수평 선회축을 갖는다. 선회 조인트(24)에 배치되는 레그 스프링(leg spring)(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수평 위치로 선회부(22)를 가압한다.
풀 아웃부(14)는 양 측부에 홀딩 아암(holding arm)(26)을 갖는데, 이 홀딩 아암은 측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아치형으로 만곡되며 수직 선회축을 갖는 힌지(28) 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홀딩 요소(26)는 스프링 편향력 하에서 바깥쪽으로 가압된다. 풀 아웃부(14)가 하우징(12)내로 밀려 들어가면, 하우징의 측벽(30)은 홀딩 아암(26)을 안쪽으로 가압한다. 음료수 홀더에 있는 이러한 스프링 편향 홀딩 아암(26)은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실제 주제에 대한 구성 요소가 되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풀 아웃부(14)는 예를 들어, 음료수 캔, 비이커 또는 컵과 같은 음료수 용기(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기 위한 용도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삽입 개구부(32)를 구비한다. 삽입 개구부(32)는 원호 형태로 풀 아웃부(14)에 있고, 선회부(22)에 의해 후방 영역에 있고, 홀딩 아암(26)에 의해 풀 아웃부(14)의 외부면에 있는 구멍에 의해 원주 부분에 걸쳐 에워싸여서 형성된다.
스프링 편향 보상 플랩(spring-biased compensating flap)(34)이 삽입 개구부(32)에 배치되는데, 이 플랩(34)은 수직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풀 아웃부에 장착된다. 보상 플랩(34)은 스프링 편향력 하에서 삽입 개구부(32)로 가압되어서 삽입 개구부(32)의 크기를 음료수 용기의 여러 직경으로 맞춘다. 음료수 홀더에 있는 이러한 보상 플랩(34)은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실제 주제에 대한 구성 요소가 되지 않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고정식으로 위치된 아치형 후크 요소(36)가 하우징(12) 내에 배치된다. 후크 요소(36)의 오목한 면은 원호 형태로 바닥부에서 상부로 뻗고, 동시에 하우징(12)의 개방된 전방을 향한다. 후크 요소(36)의 오목한 내부면은 선회부(22)에 대한 조절 트랙(38)을 형성한다.
2개의 텅(40)은 선회부(22)의 밑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아래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된다. 텅(40)은 선회부(22)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다. 2개의 텅(40)의 바닥 단부는 핀(42)에 연결되는데, 이 핀은 조절 트랙(38)과 상호 작용하는 대응 요소를 형성한다. 조절 트랙(38) 및 핀(42)은 조절부를 위한 구동부를 형성한다. 풀 아웃부(14)가 하우징(12)내로 밀려 들어가면, 핀(42)은 조절 트랙(38)과 접촉하게 되고 조절 트랙을 따라 활주된다. 풀 아웃부(14)가 더욱 안쪽으로 밀려들어감에 따라, 조절 트랙(38)은 핀(42)을 아래 방향으로 인도하고 그 결과 선회부의 스프링 요소의 힘에 대항하면서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선회부(22)를 아래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풀 아웃부(14)가 하우징(12) 내로 밀려 들어가서 도 4에 도시된 비 사용 위치로 되면, 선회부(22)가 아래로 선회된다는 사실 때문에, 풀 아웃부의 선회부(22)를 포함하는 풀 아웃부(14)의 전체 길이는 하우징(12)이 풀 아웃부(14)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짧은 구조물이 될 수 있도록 줄어든다. 풀 아웃부(14)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12)의 길이는 도시되고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삽입 개구부(32)의 직경보다 짧다. 하우징(12)의 짧은 크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음료수 홀더(10)가 설치된 자동차의 공기 채널은 하우징(12)의 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 레일(16)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짧은 하우징(12)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 홀더(10)는 풀 아웃부(14)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얕은 깊이의 설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료수 홀더의 풀 아웃부의 이동 방향에서 봤을 때 얕은 깊이의 설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 음료수 홀더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음료수 용기 삽입용 삽입 개구부가 제공된 풀 아웃부(pull-out part)를 구비하고, 상기 풀 아웃부가 밀려 들어간 비 사용 위치와 당겨져 나온 사용 위치 사이에서 서랍식으로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활주 안내면(slide guideway)을 구비하는 음료수 홀더로서,
    상기 풀 아웃부(14)는 당겨져 나오는 방향의 상기 풀 아웃부(14)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 위치에서 삽입 개구부(32)의 일부를 형성하는 선회부(22)를 구비하며, 상기 선회부(22)가 사용되지 않을 때, 아래 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선회부를 상기 풀 아웃부(14)에 장착되도록 하는 선회 장착부(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홀더(10)는 상기 풀 아웃부(14)가 상기 비 사용 위치로 밀려 들어갈 때, 상기 선회부(22)를 아래 방향으로 선회시키고, 상기 풀 아웃부(14)가 상기 사용 위치로 당겨져 나올 때, 상기 선회부(22)를 위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상기 선회부를 위한 구동부(drive)(38,4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홀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8,42)는 상기 풀 아웃부(14)가 이동될 때 대응 요소(counterpart element)(42)가 활주하는 조절 트랙(38)을 구비하며, 상기 조절 트랙(38)은 상기 풀 아웃부(14)가 상기 비 사용 위치로 밀려 들어갈 때, 상기 선회부(22)가 아래 방향으로 선회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홀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트랙(38)은 고정식으로 위치되는 후크 요소(hook element)(36)에 배치되고, 상기 대응 요소(42)는 상기 선회부(22)에 배치되며, 상기 풀 아웃부(14)가 상기 비 사용 위치로 밀려 들어갈 때, 상기 대응 요소(42)는 상기 조절 트랙(38)과 접촉하고, 상기 조절 트랙을 따라 활주하여서 상기 선회부(22)를 아래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수 홀더(10)는 상기 선회부(22)를 위 방향으로 선회시키는 스프링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홀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장착부는 상기 풀 아웃부(14)의 이동 방향에 대해 대체로 수평으로 그리고 대체로 횡으로 뻗는 선회축을 구비하는 선회 조인트(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홀더.
KR1020027012604A 2001-02-24 2002-01-31 음료수 홀더 Ceased KR200200842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9119A DE10109119A1 (de) 2001-02-24 2001-02-24 Getränkehalter
DE10109119.2 2001-02-24
PCT/EP2002/000984 WO2002068239A1 (de) 2001-02-24 2002-01-31 Getränkeha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246A true KR20020084246A (ko) 2002-11-04

Family

ID=767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604A Ceased KR20020084246A (ko) 2001-02-24 2002-01-31 음료수 홀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37408B2 (ko)
EP (1) EP1276635A1 (ko)
JP (1) JP3676782B2 (ko)
KR (1) KR20020084246A (ko)
CN (1) CN1457307A (ko)
CZ (1) CZ20023784A3 (ko)
DE (1) DE10109119A1 (ko)
WO (1) WO2002068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9866B2 (ja) * 2004-04-21 2008-03-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装置
JP4471096B2 (ja) * 2004-06-03 2010-06-02 株式会社ニフコ 引出装置
JP2006096182A (ja) * 2004-09-29 2006-04-13 Nifco Inc カップホルダー
JP4488946B2 (ja) * 2005-04-04 2010-06-23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ー
DE102007058769A1 (de) 2007-12-06 2009-06-10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 Co. Kg Stellvorrichtung und Trinkgefäßhalterung mit einer derartigen Stellvorrichtung
DE102008048809B3 (de) * 2008-09-24 2010-04-15 F.S. Fehrer Automotive Gmbh Trinkgefäßhalter
DE102009030576B4 (de) * 2009-06-26 2019-07-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Einrichtung zum seitlichen Positionieren eines Gegenstandes in einem Behältnis
WO2011109615A2 (en) * 2010-03-03 2011-09-09 Lear Corporation Armrest assembly having beverage holder
DE102011004507A1 (de) * 2011-02-22 2012-08-2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zum lösbaren Halten von Gegenständen
DE102011118576B4 (de) * 2011-11-15 2015-06-25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JP5721657B2 (ja) * 2012-03-30 2015-05-20 豊田合成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CN104290633B (zh) * 2013-07-19 2017-02-0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杯托组件及具有其的车辆
US9327650B2 (en) * 2014-07-30 2016-05-0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up holder assembly with cantilevered support
US9302629B1 (en) * 2014-10-29 2016-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tray table for a motor vehicle
US9643525B2 (en) 2015-04-20 2017-05-09 Inoac Usa, Inc. Device for holding a container
US10328833B2 (en) 2017-04-13 2019-06-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sole drawer with delayed articulating cup holders
DE102018200186A1 (de) * 2018-01-08 2019-07-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blage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2018207510A1 (de) * 2018-05-15 2019-11-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blage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1277A (en) * 1990-03-12 1991-01-01 Chrysler Corporation Cup holder
US5284314A (en) * 1992-10-13 1994-02-08 Davidson Textron Inc. Modular dual mug and cup holder
US5259580A (en) * 1993-03-03 1993-11-09 Prince Corporation Container holder
US5527008A (en) * 1994-01-11 1996-06-18 Lescoa, Inc. Container holder
DE4404078A1 (de) * 1994-02-09 1995-08-10 Fischer Artur Werke Gmbh Vorrichtung zum Halten von Getränkebehältern, Trinkgefäßen oder dergleichen
DE4444955A1 (de) * 1994-12-16 1996-06-20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r für Getränkebehälter
DE19507614A1 (de) * 1995-03-04 1996-09-05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r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DE19543608C2 (de) * 1995-11-23 2000-12-21 Johnson Contr Interiors Gmbh Vorrichtung zum Halten von Getränkebehältern, Trinkgefäßen oder dgl.
DE19704225B4 (de) * 1996-02-16 2008-12-04 Volkswagen Ag Ausziehbarer Halter für Getränkebehältnisse
DE29605953U1 (de) * 1996-03-30 1996-07-18 F.S. Fehrer GmbH & Co. KG, 97318 Kitzingen Becher- oder Dosenhalter
KR100212422B1 (ko) * 1996-12-30 1999-08-02 허봉 컵 홀더장치
JP3665173B2 (ja) * 1997-02-26 2005-06-29 マツダ株式会社 容器保持装置
JPH10236210A (ja) * 1997-02-27 1998-09-08 Nifco Inc カップホルダ
US5876007A (en) * 1998-05-08 1999-03-02 The Leslie Metal Arts Co., Inc. Container holder
JP3979613B2 (ja) * 1998-09-14 2007-09-19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DE19926003A1 (de) * 1999-06-08 2000-12-14 Fischer Artur Werke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09119A1 (de) 2002-09-05
WO2002068239A1 (de) 2002-09-06
US20030075660A1 (en) 2003-04-24
US6837408B2 (en) 2005-01-04
JP2004518576A (ja) 2004-06-24
EP1276635A1 (de) 2003-01-22
JP3676782B2 (ja) 2005-07-27
CZ20023784A3 (cs) 2003-05-14
CN1457307A (zh)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4246A (ko) 음료수 홀더
US5692658A (en) Holder for drink containers
EP0747260B1 (en) Cupholder for confined space
US5297709A (en) Container holder
KR0161567B1 (ko) 자동차내의 설치물에 적합한 장치
US5899426A (en) Built-in, movable, object support device
JP5529397B2 (ja) 引出しアセンブリ
KR20010020958A (ko) 음료 용기 고정 장치
US6409061B1 (en) Holding device for a beverage container
JPH06211079A (ja) 引き出しユニット
JP2006520620A (ja) 抽斗
CN115335583A (zh) 用于滑动门的装置
KR100407235B1 (ko) 음료 용기용 홀더
KR100243627B1 (ko) 차량용 재떨이
KR20010050687A (ko) 음료 용기용 고정 장치
JP3195280B2 (ja) 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装置
US20030025058A1 (en) Beverage holder
US6427961B1 (en)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in a motor vehicle
JP3594045B2 (ja) 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JP3353170B2 (ja) 自動車用引出装置
KR101113134B1 (ko) 도어 개폐구조
US20240365977A1 (en) Device for laterally guiding the upper end of a pull-out furniture part
JP3340365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KR19980085743A (ko) 차량용 서랍식 컵 홀더의 컵 지지 장치
JPH06115390A (ja) 容器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3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10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