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84071A - 유체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유체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071A
KR20020084071A KR1020027007540A KR20027007540A KR20020084071A KR 20020084071 A KR20020084071 A KR 20020084071A KR 1020027007540 A KR1020027007540 A KR 1020027007540A KR 20027007540 A KR20027007540 A KR 20027007540A KR 20020084071 A KR20020084071 A KR 20020084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luid transport
threaded
transport member
coll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데이비드손
Original Assignee
오이스터텍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9929575.0A external-priority patent/GB9929575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022062A external-priority patent/GB0022062D0/en
Application filed by 오이스터텍 피엘씨 filed Critical 오이스터텍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02008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071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06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colla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31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with specially adapted means for positioning the threaded member behind the col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specially adapted for spigot-and-socket joint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Lubricants (AREA)
  • Paper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유체운반부재의 튜브단과, 제 2유체운반부재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112)에 맞물리는 나사산부(19,117)와 같은 제 2유체운반부재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이 커넥터는 상기 제 1유체운반부재의 튜브단에 위치된 원주방향으로 뻗는 외부홈(31,137)과 결합되는 수단(39,141)을 구비하며, 수단(23,133)은 상기 제 2유체운반부재의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단과 밀봉결합된다.

Description

유체용 커넥터{Hydraulic connectors}
알져진 유체용 커넥터에서, 하나의 유체운반부재의 단은 내부로 나사산이 형성된 칼라(collar) 혹은 너트(nut)가 뒤쪽에 위치된 연장되어 절두(截頭)된 원뿔형상(frusto-conical)의 헤드를 구비한다. 다른 유체운반부재는 언급된 제 1칼라와 나사결합되는 외부로 나사산이 형성된 칼라를 구비한다. 제 2칼라는 그 단에 제 1칼라의 절두된 원뿔형상의 헤드의 외부표면에 맞물리도록 내부로 면이 깎인 표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조립체는 2개의 유체운반부재 사이에 우수한 기계적인 연결을 제공하나, 면이 깎인 표면의 결합에 의한 밀봉은 충분하지 못하다. 결과적으로, O링과 같은 밀봉부재는 제 1유체운반부재의 헤드의 절두된 원뿔형상의 표면에 위치된 원주방향의 홈에 위치된다. 한편, 이러한 변형된 배열에 있어서도 밀봉은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물과 다른 유체의 운반시스템에서 가해지는 압력하에서 유체운반부재 사이에 확실한 밀봉부를 갖춘 견실한 연결을 제공할 유체용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추가로, 이러한 연결시스템은 필요에 따라서 쉽게 조립 및 해체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예컨대 암나사산이 형성된 단을 갖춘 파이프에 대한 호스파이프연결부는 매개부재 혹은 니플(nipple)의 하나의 나사산부와 결합되는 고정너트를 갖춘 삽입형(bayonet-type)의 호스결합부재로 성취된다. 이러한 매개부재 혹은 니플은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단과 결합되는 제 2나사산부를 구비한다. 손 혹은 적당한 도구로 결합될 수 있는 육각형상부를 갖춘 영역이 2개의 나사산부 사이에 위치되는 한편, 나사연결이 형성된다.
전술된 매개부재 혹은 니플은 호스커넥터내에서 비싼 부품이다. 추가로 파이프단과 호스파이프가 상이한 크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개별적인 커넥터가 양측의 연결과 크기의 변환을 성취하기 위해 필요하다.
국제 공개번호 제 WO 99/40354 A호에는 파이프 혹은 나사산이 형성된 단과 임의 길이의 호스를 갖춘 다른 부품 사이에서 연결을 형성하는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 커넥터는 연장된 호스결합부재와 그 위에 위치된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단과 결합되는 나사산부를 갖춘 칼라로 성취되며, 이 커넥터는 칼라와 호스결합부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커넥터는 칼라와 파이프 사이를 밀봉하는 추가의 밀봉수단을 구비한다.
제 WO 99/40354 A호의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호스결합부재는 분할체결링 혹은 써클립(circlip)으로 채워지는 홈을 구비한다. 이러한 조립체에서, 칼라가 호스결합부재가 끼워진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에 끼워지도록 호스결합부재 상에 칼라를 유지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는 다소 작동상에 불편함을 제공하고 조립공정이 단순화되면 유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유체운반부재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유연한 호스(hose)의 결합부재에 대한 입관(standpipe)의 연결이나 혹은 2개의 파이프단 사이의 연결에 관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은 2개의 유체운반부재의 튜브단 사이에 밀봉된 연결부를 제공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커넥터내에 호스결합부재를 끼우는 동안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커넥터내에 완전하게 끼워진 호스결합부재를 갖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2b는 도 2a의 실시예의 호스결합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커넥터와 호스결합부재를 함께 끼워진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결합에 의해 연결 전의 2개의 파이프단을 함께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3a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유체운반부재 사이가 결합된 실시예의 도면,
도 4a는 파이프단이 함께 연결되기 전에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결합으로 2개의 파이프단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파이프단 사이가 결합된 도 4a의 조립체의 도면,
도 5a는 호스결합부재에 끼워지는 동안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5b는 호스결합부재상에 완전하게 끼워진 위치에서 커넥터를 갖춘 도 5a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유체운반부재의 튜브단과 제 2유체운반부재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는 커넥터가 제공되는 바, 이 커넥터는 상기 제 2유체운반부재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과 결합되는 나사산부와, 상기 제 1유체운반부재의 튜브단에 위치된 원주방향으로 뻗은 외부홈과 결합되는 수단, 상기 제 1유체운반부재의 상기 튜브단과 밀봉결합되는 수단 및, 상기 제 2유체운반부재의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단과 밀봉결합되는 수단을 구비한다.
제 2유체운반부재는 일체형이거나 일체형이 아닌 나사산이 형성된 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커넥터의 나사산부와 결합되는 나사산부 상에 위치된 일체형이 아닌 커넥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 2유체운반부재의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단과 밀봉결합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커넥터의 방사상으로 접촉하는 표면과 상기 제 2유체운반부재의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단 사이의 밀봉을 이룬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홈결합수단은 결합되지 않은 위치와 결합위치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홈결합수단은 결합위치내로 편향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홈결합수단은 상기 제 1유체운반부재의 상기 튜브단과 밀봉결합되도록 상기 수단의 후방에 위치된다. 여기서 "후방"이라 함은 상기 제 1유체운반부재의 단으로부터 이격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될 때 상기 제 1유체결합부재의 튜브단과 밀봉결합되는 수단은 상기 홈결합수단과 상기 제 2유체결합부재의 단 사이에 놓인다.
커넥터내 홈결합수단의 지점과, 결합위치 및 비결합위치 사이의 홈결합수단의 이동 때문에, 이 커넥터는 장착된 제 2유체운반부재, 예컨대 호스결합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제 1유체운반부재, 예컨대 파이프단에 끼워질 수 있다. 그 후에, 호스결합부재는 홈결합수단이 비결합위치로부터 결합위치로 경사지게 방사상으로 이동하는 과정 동안에 커넥터내로 삽입될 수 있다. 호스결합부재는 이 과정 중에 호스를 장착시키고, 칼라내로 호스결합부재의 끼움은 간단한 눌러 끼워 맞춤(push-fit)작업을 통하여 행해진다.
바람직하기로, 커넥터는 홈결합수단과 밀봉수단 모두를 수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부재들은 필요에 따라서 견실하게 제조될 수 있는 구성부재, 다시 말하자면 커넥터내에 위치된다. 제 1 및 제 2유체운반부재가 추가적인 두께를 가질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홈이 형성된 유체운반부재의 튜브단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는 결합을 제공하는 바, 상기 결합은 2개의 홈이 형성된 유체운반부재 사이의 결합을 이루도록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커넥터로 성취된다.
본 발명은 예컨대, 2개의 파이프 또는, 입관과 같은 파이프와 유연한 호스에 연결될 수 있는 삽입형 커넥터 사이를 함께 연결하는 데에 이용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한 실례에 의해서 기술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a 및 1b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1)는 소정 길이의 호스(도시되지 않음)내에 삽입하기 위한 한쪽 단에 인접한 다수의 톱니모양부(7)를 갖춘 짧은 관의 형태인 연장된 호스결합부재(5)를 구비한다. 호스내로 삽입되었을 때, 압박칼라 혹은 쥬빌리클립(jubilee clip;도시되지 않음)은 톱니모양부(7)의 영역에서 호스에 조여져서, 이 톱니모양부(7)가 호스의 내부표면과 맞물려 호스로부터 부재(5)의 이탈을 방지한다.
고리형상의 플랜지(67,69)는 톱니모양부(7)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이 플랜지(67,69) 사이에 오목부를 제공하여서 압박칼라의 안쪽으로 말려진 끝단이 끼워 맞춰진다. 이러한 조립체는 압박하여 커넥터로부터 이탈을 방지한다.
호스결합부재(5)는 일정한 크기의 내부표면과, 전술된 바와 같이 부재의 절반 정도의 길이에 걸쳐 톱니모양부가 형성되는 외부표면을 구비한다.호스결합부재(5)의 나머지 외부표면은 플랜지(67,69)를 갖는 대략 일정한 외경의 중간부(9)를 구비한다. 부재(5)의 외부표면상에 개구된 고리형상의 오목부(15)를 갖춘 내부로 테이퍼진 부분(13)은 중간부(9)에서 부재(5)의 단(11)까지 뻗는다.
본 발명의 커넥터(1)는 칼라(17)를 구비하여, 이 커넥터가 함께 끼워질 때 부재의 플랜지(67)와 단(11) 사이에 위치되는 호스결합부재의 일부인 호스결합부재(5)의 테이퍼진 부분(13)과 중간부(9)의 일부를 둘러싼다.
칼라(17)는 칼라의 한쪽 단으로부터 다른쪽 단에 인접한 위치로 뻗는 외부로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19)을 구비한다. 2개의 방사상으로 뻗는 고리형상의 벽(23,25)과 이를 상호연결하는 원통형상의 벽(27)을 갖춘 오목부 구획구조인 O링수용부(21)는 상기 다른쪽 단에 위치된다. 칼라(17)의 부분(21)의 외경은 칼라의 나사산부(19)의 외경보다는 크다. O링(29)은 부분(21)으로 한정된 오목부내에 위치되고, O링의 자유표면은 커넥터의 2개의 부재가 함께 끼워질 때 호스결합부재(5)의 부분(9)의 외부표면을 지지한다.
내부 칼라(5)는 도 1b에 매우 잘 도해되었듯이, 호스결합부재(5)의 부분(9,13)에 맞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한편, 부분(21)에서 이격된 단에서, 칼라(17)는 내부로 뻗는 플랜지(33)와, 지지부(35)와 칼라(17)의 부분(21)을 향한 방향으로 기저부(35)로부터 내부로 테이퍼진 벽(37)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오목부에 의해 구획된 내부오목부(31)를 구비한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교적 작은 직경의 형상체와 비교적 큰 직경의 형상체 사이에서 확장할 수 있는 H/T철강으로의 형상체와 분할링(39)은 오목부(31)내에 위치되며, 도 1b에 도시된 위치를 향해서 내부로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파이프단과 호스 사이의 연결을 위해서, 칼라(17)는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단내로 나사결합된 다음, 호스결합부재(5)는 호스(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진다. 최종적으로, 결속된 호스를 갖춘 호스결합부재(5)는 칼라(17)내로 밀어넣어진다. 부재(5)가 도 1a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 칼라의 테이퍼진 돌출부(41)는 분할링(39)을 바깥으로 밀쳐서 완전하게 오목부(31)를 점유한다. 그리하여 도 1b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돌출부(41)는 분할링(39)을 지나서 이동할 수 있다. 내부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는 분할링(39)은 부재(5)의 오목부(31)내에 걸쳐지게 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링(39)은 오목부(31)로부터 바깥으로 뻗어서, 부재(5)가 칼라(17)의 외부로 밀쳐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호스(도시되지 않음)는 부재(5)에서 이탈될 수 있다.
조립되었을 때, 칼라(17)가 부재(5)에 대해서 원운동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칼라(51)는 대부분의 외부표면으로 뻗은 나사산부(53)를 갖춘다. 한쪽 단에서, 칼라(51)는 바깥으로 뻗은 플랜지(55)에서 종결한다. 내부에서, 이 플랜지(55)는 O링(59)을 수용하는 오목부(57)를 한정한다. 다른쪽 단에 인접한 칼라(51)는 플랜지(55)에 인접한 오목부의 측면에 부분적으로 테이퍼진 벽을 갖춘 다른 내부오목부를 구비한다. 분할링(65)은 오목부(63)내에 수용된다.
호스결합부재(67)는 실제적으로 일정한 내경을 갖는 튜브형상으로 되어 있고, 압박칼라(도시되지 않음)의 안쪽으로 말려진 단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제공하는 톱니모양부(71) 및 플랜지(73,75)와, 부재의 단(79)에 인접한 위치까지 일정한 외경을 갖는 다른 부분(77)을 구비한다. 이 위치에서, 부재(67)는 외부오목부(81)를 구비하고, 이 오목부에 인접한 부재(67)의 단은 테이퍼져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커넥터는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여 전술된 방식으로 함께 끼워질 수 있다. 더욱이, 도 2c는 칼라(51)와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단(85) 사이를 밀봉하는 O링의 형태인 밀봉수단(83)을 더 도시한다.
첨부도면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2개의 파이프단(101,103)의 연결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파이프단(101)은 파이프의 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내부로 경사진 절두된 원뿔형상의 외부표면(107)을 갖춘 연장된 헤드부(105)를 구비한다. 또한 파이프단(103)은 너트(109)의 내부로 뻗는 플랜지(111)에 의해서 접촉할 수 있는 연장된 헤드부(105)에 의해 파이프의 단을 향해 길이방향의 이동이 방지되는 칼라 혹은 너트(109)를 구비한다. 플랜지(111)의 앞쪽으로, 너트(109)의 내부표면은 너트(109)의 전방단으로부터 뻗는 길이의 일부를 따라서 전방단과 플랜지(111) 사이의 길이의 약 2/3를 차지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3a로부터 알 수 있듯이, 파이프단(103)의 헤드(105)가 접촉할 때 너트는 파이프단(103)의 전방표면을 지나 앞쪽으로 뻗는다.
다른 파이프단(101)은 이 파이프단(101)의 끝의 후방을 향하여 약간의 거리를 두고 위치된 원주방향의 외부홈(113)을 구비한다. 그렇지 않다면, 파이프단은 동일한 외경을 가진다.
파이프단(103)과 너트(111)의 조합과 파이프단(101)은 결합은 일반적으로 115로 표시된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 커넥터(115)는 전방단에 너트(109)의 대응나사산부(112)에 맞물려지도록 된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117)을 구비한 칼라 혹은 너트의 형태로 되어 있다. 너트(115)의 전방단은 파이프단(103)의 헤드부(105)의 절두된 원뿔형상의 표면(107)에 대응하게 내부에 절두된 원뿔형상 혹은 면이 깎인 표면(119)을 구비한다.
너트(115)의 면이 깎인 부분(119)의 후방에서, 너트의 내부프로파일은 너트(115)내의 이 위치를 지나 전방으로 파이프단(1)의 이동을 막는 숄더(121)를 구비하도록 바깥으로 단(段)을 이룬다.
너트(115)의 나사산부(117)의 후방에서, 너트는 외경이 실제로 너트(111)의 외경과 동일한 연장부(123)를 갖춘다. 너트(115)의 연장부(123)의 전방표면에서, 고리형상의 오목부(125)는 연장부(123)의 전방표면(129)의 약간 전방으로 뻗는 O링(127)을 수용한다.
다른 오목부(131)는 연장부(123)내의 너트(115)의 내부표면 위에 개구되고, 다른 O링(133)과 밀림방지링(135)을 수용한다. O링(133)은 오목부(131)의 약간 외부방향으로 뻗는다.
오목부(131)의 후방에서, 너트(115)의 연장부(123)는 너트(115)의 내부표면상에서 또 다시 개구된 다른 오목부(137)를 구비한다. 오목부(137)는 실제로 단면이 직사각형상이나, 후방으로 면이 깎인 부분(139)을 구비한다. 오목부(137)내로 예컨대 H/T철강으로 만들어진 분할링(141)이 위치된다. 이 분할링(139)은 도 3a와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형상체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형상체 사이에서 확장가능하며, 작은 직경의 형상체를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결합부를 조립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115)는 먼저 파이프단(101)으로 밀쳐져서, 분할링(141)을 오목부(137)내에 상대적으로 바깥으로 이동시킨다. 커넥터(115)의 연속된 이동은 분할링(141)이 파이프단(101)의 홈(113)을 채우도록 안쪽으로 수축되는 지점에서 커넥터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어서, 파이프단 둘레의 위치에 커넥터(115)를 체결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O링(133)은 커넥터(115)와 파이프단(101) 사이에 밀봉연결부를 형성하는 파이프단(101)의 외부표면을 지지한다.
그 후에, 파이프단(101)은 2개의 파이프단과 이와 결합된 너트(109,117)를 함께 취하고 너트(117)에 대해서 너트(109)를 회전시켜 파이프단(103)에 연결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12,117)에 맞물려진다. 이러한 상대적인 이동은 커넥터(117)의 면이 깎인 단(119)이 파이프단(103)의 헤드부(105)의 절두된 원뿔형상의 단(107)과 맞물릴 때까지, 다시 말하자면 도 3b에 도시된 위치까지 지속된다.
다른 유사한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커넥터(115)의 나사산부(117)의 길이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보다 작아진다. 그 결과, 결합은 커넥터(115)의 면이 깎인 표면(119)이 파이프단(103)의 절두된 원뿔형상의 표면(107)에 맞물리기 전에 완료된다. 더욱이, 결합은 너트(109)의 전방단이 너트(115)의 연장부(123)의 표면(119)과 맞물릴 때에 완료되어서, O링(127)을 압박하고 2개의 너트(109,115) 사이에서 밀봉결합을 이룬다.
첨부도면의 도 3a 및 도 3b를 참조로 하면, 2개의 파이프단(141,143)의 결합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칼라 혹은 너트(145)는 파이프단(141)과 결속되며, 이는 본질적으로 도 3a 및 도 3b의 너트(115)와 구조적으로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을 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서, 특히 너트(145)와 함께 사용되도록 되어 있고 너트(145)와 같이 혹은 너트(145)와는 별개로 본 발명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는 칼라 혹은 너트(147)는 파이프단(143)과 결속된다.
파이프단(143)은 파이프단(141)의 원주방향의 외부홈과 유사한 원주방향의 외부홈을 구비한다. 너트(147)는 "숫"너트(145)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되도록 형성되어, 전방단에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149)을 구비한다. 너트(147)의 후방단은 파이프단(143)을 수용하고 2개의 오목부(151,153)를 구비한다. 오목부(153)는 도 3a 및 도 3b의 부속품(141)을 참조로 하여 전술된 바와 유사한 체결링(154)을 구비한다. 전방오목부(151)는 O링(155)과 밀림방지링(157)을 수용한다. 안쪽으로 향하는 플랜지(159)는 나사산부(149)와 너트(147)의 후방 잔여부 사이에 위치된다.
도 4b에 도시된 위치까지 결합조립은 간단한다. 2개의 너트 혹은 커넥터(145,147)는 내부플랜지(159)와 접촉하는 파이프단(143)과 이 파이프단(143)의 홈을 채우는 체결링(154)을 갖춘 각각의 파이프단을 위에 밀어 넣어진다. 체결링(154)은 파이프단(143)의 홈내에 맞물려져서 너트(147)와 파이프단(143)을 같이 체결한다. O링(151)으로 너트(147)와 파이프단(143) 사이에 밀봉이 성취된다.
파이프단이 함께 결합되어 숫너트(145)와 암너트(147)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도 4b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성취된다. 이 위치에서, 암너트(147)의전방단은 너트(145)의 연장부의 전방단에 대해서 접촉하고 맞물림위치에서 O링을 압박하여서, 2개의 너트 사이에 밀봉이 성취된다.
(도 3a 및 도 3b와, 도 4a 및 도 4b에 대등하게) 면이 깎인 표면(139)의 형성에 의해 함께 연결된 조립체내에서 유압의 큰 증가는 체결링(141)이 파이프단의 홈내로 더욱 견고하게 밀쳐지게 하여서, 더욱 견고하게 파이프단에 커넥터(145)를 고정한다.
첨부도면의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호스결합부재(163)와 함께 도시되어 있는 커넥터(161)이다. 이 커넥터(161)는 파이프단의 대응되는 나사산부 혹은 다른 끼움부에 맞물려지는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165)에 인접한 한쪽 단을 구비한 칼라의 형태로 되어 있다. 커넥터(161)의 나사산부(165)는 상기 파이프단 혹은 다른 파이프 끼움부와의 밀봉결합을 제공하는 O링(167)을 구비한다.
커넥터(161)의 나사산부(165)에 인접하게, 커넥터는 바깥으로 단이 형성되어서 커넥터의 잔여부는 상대적으로 커다란 직경을 가진다. 이 구간에서,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개구된 2개의 고리형상의 오목부(169,171)를 구비한다. 오목부(161)는 커넥터(161)와 호스결합부재(163)의 외부표면 사이를 밀봉결합하는 O링(173)을 수용한다. 또한 오목부(169)내에는 밀림방지링(175)이 구비된다.
오목부(171)는 나사산부(165)로부터 이격된 커넥터(161)의 단을 향해 뻗는 직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 1부분(177)과, 이 오목부(171)의 부분(177)에서부터 안쪽으로 방사상의 방향으로 그리고 칼라의 인접한 단을 향해서 뻗는 곡면(181)을갖는 '노우즈'부(171)를 갖도록 형성된다. 오목부(171)의 곡률은 아래에 기술될 분할링(183)의 곡률과 일치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형상체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형성체 사이에서 확장가능한 H/T철강으로 된 분할링(183)이 오목부(171)내로 위치되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위치를 향해 내부로 탄성적으로 편향된다.
호스결합부재(163)는 일정한 크기의 내부표면과, 한쪽 단에서 길이의 약 1/3지점에서부터 1/2지점까지 뻗는 톱니모양부(185)를 구비한 외부표면을 갖춘다. 호스결합부재(163)의 잔여부는 분할링(183)을 수용하는 홈(187) 및, 이 홈과 톱니모양부(185) 사이의 고리형상의 플랜지(189,191)와 다른 일정한 외경을 갖는다.
도 5a는 2개의 주요부인 커넥터(161) 및 호스결합부재(163)를 함께 민 후의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5b는 도 5a와 유사하나, 조립하는 동안 커넥터(161)와 호스결합부재(163) 사이의 임의의 측면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삽입되는 소음방지링(193;anti-chattering ring)이 포함된 것이다. 적소에 상기 링(193)을 갖춘 후에, 분할링(183)이 오목부(171)의 부분(179)내에 많이 수용된다. 그 결과, 분할링(183)은 적소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사용중에 조립체내의 압력이 증가할 때 커넥터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는 조립체내로 유체의 이동으로 인한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분할링의 이동뿐만 아니라 "소음"까지 방지한다. 이러한 "소음"은 조립체의 구성부재들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부서져서 결국에는 파기되는 지점까지 분할링을 경화시킬 수 있다.
전술된 결합은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해체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은 사용기간 중에 반복되는 조립 및 해체에 영향을 받게 된다.

Claims (10)

  1. 제 1유체운반부재의 튜브단과 제 2유체운반부재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제 2유체운반부재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에 결합되는 나사산부와, 상기 제 1유체운반부재의 튜브단에 위치된 원주방향으로 뻗는 외부홈과 결합되는 수단, 상기 제 1유체운반부재의 상기 튜브단과 밀봉결합되는 수단 및, 상기 제 2유체운반부재의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단과 밀봉결합되는 수단을 갖춘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나사산부와 결합되는 일체형이 아닌 나사산이 형성된 단을 갖춘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유체운반부재의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단과 밀봉결합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커넥터의 방사상으로 접촉하는 표면과 상기 제 2유체운반부재의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단 사이의 밀봉을 성취하는 커넥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결합수단은 결합되지않은 위치와 결합위치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이동가능한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홈결합수단은 결합위치내로 편향되는 커넥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결합부재는 상기 제 1유체운반부재의 상기 튜브단과 밀봉결합되는 상기 수단의 후방에 위치되는 커넥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결합수단은 커넥터의 고리형상의 오목부에 위치된 분할링(split ring)의 형태로 되어 있는 커넥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상의 링은 실제로 확장된 상태의 전체 분할링을 수용하는 제 1부분과, 상기 제 1부분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고 수축된 상태의 분할링을 고정하는 제 2부분을 갖춘 커넥터.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커넥터와 연장된 호스결합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커넥터는 나사산이 형성된 파이프단과 결합되는 나사산부를 갖춘 칼라(collar)의 형태로 되어 있고, 칼라와 호스결합부재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수단을 구비하는 결합.
  10. 2개의 홈이 형성된 유체운반부재의 튜브단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고, 2개의 홈이 형성된 유체운반부재 사이의 결합을 성취하도록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의 커넥터로 이루어진 결합.
KR1020027007540A 1999-12-15 2000-12-15 유체용 커넥터 Withdrawn KR200200840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929575.0 1999-12-15
GBGB9929575.0A GB9929575D0 (en) 1999-12-15 1999-12-15 Hose connectors
GB0022062A GB0022062D0 (en) 2000-09-08 2000-09-08 Hydraulic connectors
GB0022062.4 2000-09-08
PCT/GB2000/004820 WO2001044707A1 (en) 1999-12-15 2000-12-15 Hydraulic connec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071A true KR20020084071A (ko) 2002-11-04

Family

ID=2624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540A Withdrawn KR20020084071A (ko) 1999-12-15 2000-12-15 유체용 커넥터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20030075921A1 (ko)
EP (1) EP1238223B1 (ko)
JP (1) JP2003517552A (ko)
KR (1) KR20020084071A (ko)
CN (1) CN1408058A (ko)
AT (1) ATE262138T1 (ko)
AU (1) AU2198601A (ko)
BR (1) BR0016175A (ko)
CA (1) CA2391093A1 (ko)
CZ (1) CZ20022034A3 (ko)
DE (1) DE60009139T2 (ko)
EA (1) EA003502B1 (ko)
HK (1) HK1045360A1 (ko)
HU (1) HUP0204103A2 (ko)
IL (1) IL150188A0 (ko)
MX (1) MXPA02004929A (ko)
NO (1) NO20022824D0 (ko)
SK (1) SK8422002A3 (ko)
WO (1) WO2001044707A1 (ko)
YU (1) YU435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1915B2 (en) 2006-08-02 2012-03-27 Norgren, Inc. Modular rotary connection system with a separate locking pie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3077A1 (en) 2001-03-09 2002-09-19 The Gate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DE10214997B4 (de) * 2002-04-05 2005-04-07 Voswinkel Kg Hydraulik-Verbindervorrichtung
AU2003230201A1 (en) * 2003-04-10 2004-11-01 Raffaele Bergamante Hydraulic joint articulated device and use thereof with a heat radiator
DE102004009736A1 (de) * 2004-02-25 2005-09-22 Khs Maschinen- Und Anlagenbau Ag Rohrkupplung zur Schraubverbindung zweier Rohre
CH703989A1 (de) 2010-10-21 2012-04-30 Max Roth Rohrkupplung.
CN102444658A (zh) * 2011-12-21 2012-05-09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哈弗式锁紧螺母
CN104033675A (zh) * 2013-03-05 2014-09-10 陈志波 U型卡口弹梢活接
JP6227454B2 (ja) * 2013-07-31 2017-11-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ベスト
CN103527583B (zh) * 2013-11-01 2015-10-28 中山市思锐摄影器材工业有限公司 一种快速连接防松装置
CN103672256A (zh) * 2013-12-17 2014-03-26 国家电网公司 滤油机油管连接快速接头
DE102014108699A1 (de) 2014-06-20 2015-12-24 Alfred Kärcher Gmbh & Co. Kg Kupplungsanordnung für schraubkupplung
JP6358885B2 (ja) * 2014-07-30 2018-07-18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シリンジ着脱機構および当該機構を備える装置
DE202015103406U1 (de) 2015-06-29 2015-07-15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Verbindungssystem
JP3199795U (ja) * 2015-06-29 2015-09-10 スペロ機械工業株式会社 配管用継手
FR3044735B1 (fr) * 2015-12-08 2017-12-08 Daher Valves Vanne pour cylindre de stockage uf6
CN105443922A (zh) * 2015-12-09 2016-03-30 无锡西源电力装备厂 一种使用寿命长的耐用型管件
US20170343148A1 (en) * 2016-05-24 2017-11-30 Construction Forms, Inc. Mechanical interface and method for fastening collars onto pipe ends
CN106439291A (zh) * 2016-10-19 2017-02-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净水机及其水管接头
CN106855483B (zh) * 2016-12-23 2020-02-14 中国矿业大学 氢气压力疲劳破断及氢致滞后断裂敏感性试验装置及方法
CN107906277A (zh) * 2017-12-15 2018-04-13 马鞍山市飞达波纹管制造有限公司 一种液压胶管用高密封连接头
CN108382065B (zh) * 2018-02-06 2020-12-15 江南大学 一种压辊施压渗透的经纱喷墨印花装置及方法
CN108980518A (zh) * 2018-07-06 2018-12-11 太仓市鼎祥五金制品厂 一种耐用型管件
US11118706B2 (en) 2018-10-16 2021-09-14 FSI North America, Inc. Tank retro-fitting collar with square O-rings
CN110185857A (zh) * 2019-05-20 2019-08-30 海盐县海管管件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带内卡槽的卡套式管接头
CN110469731B (zh) * 2019-08-27 2021-11-23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双重密封功能的快换接头
EP4478043A1 (en) * 2023-06-14 2024-12-18 G&T Septech AS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lumn hardwar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7681A (en) * 1965-10-11 1968-02-06 Screw Machine Products Co Swivel fitting
US4186946A (en) * 1977-05-13 1980-02-05 Eaton Corporation Rotatable hose or tube coupling
US4294473A (en) * 1979-03-16 1981-10-13 Ekman Engineering Ag Device at mutually lockable first and second parts
US4615547A (en) * 1982-11-24 1986-10-07 Husky Corporation Multi-plane swivel connector
DE3421604C2 (de) * 1984-06-09 1987-04-16 Mannesmann Kienzle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Anordnung einer Schlauchhülse an einem Kanalkörper eines Fluidaggregates
US4669763A (en) * 1984-12-19 1987-06-02 Phillips Edwin D Gripping saddle and O-ring apparatus
EP0522820A1 (en) * 1991-07-05 1993-01-13 David A Barker Swivel coupling
US5226682A (en) * 1992-07-21 1993-07-13 Aeroquip Corporation Coupling assembly
JP2500840B2 (ja) * 1993-01-13 1996-05-29 英三 安倍 パイプの連結構造
JPH09229258A (ja) * 1996-02-23 1997-09-05 Mitsubishi Kagaku Sanshi Kk プラスチック管の継手装置
GB2314392B (en) * 1996-06-18 2000-07-19 Artform Int Ltd Joint
US5992898A (en) * 1997-08-21 1999-11-30 Echlin, Inc. Quick-connec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BR9814663A (pt) * 1997-11-18 2000-12-19 Paul Davidson Junção
RU2221957C2 (ru) * 1998-02-09 2004-01-20 Ойстертек Плс Шланговый соединитель и резьбовая обойма для него
US6217082B1 (en) * 1999-09-09 2001-04-17 Dana Corporation Swivel fit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1915B2 (en) 2006-08-02 2012-03-27 Norgren, Inc. Modular rotary connection system with a separate locking pie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5360A1 (zh) 2002-11-22
NO20022824L (no) 2002-06-13
NO20022824D0 (no) 2002-06-13
MXPA02004929A (es) 2003-10-14
BR0016175A (pt) 2002-08-20
HUP0204103A2 (en) 2003-03-28
JP2003517552A (ja) 2003-05-27
US20050067835A1 (en) 2005-03-31
SK8422002A3 (en) 2002-12-03
CZ20022034A3 (cs) 2003-01-15
ATE262138T1 (de) 2004-04-15
IL150188A0 (en) 2002-12-01
EP1238223A1 (en) 2002-09-11
US20030075921A1 (en) 2003-04-24
DE60009139T2 (de) 2004-11-11
CA2391093A1 (en) 2001-06-21
DE60009139D1 (de) 2004-04-22
CN1408058A (zh) 2003-04-02
WO2001044707A1 (en) 2001-06-21
EA003502B1 (ru) 2003-06-26
EA200200672A1 (ru) 2002-12-26
AU2198601A (en) 2001-06-25
YU43502A (sh) 2003-07-07
EP1238223B1 (en) 200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4071A (ko) 유체용 커넥터
US4063760A (en) Quick connect coupling
US4193616A (en) Quick connect fitting
US4893848A (en) Hose coupling
CA2126276C (en) Plumbing hookup kit
AU756837B2 (en) Hose connector and threaded collar therefor
KR940006956Y1 (ko) 세경 배관 접속용 커넥터
JPH08501863A (ja) 樹脂管の外周面係合用継手
US6575500B1 (en) Device for connecting a pipe socket, a tubular mounting part or a fitting to a pipe
US20080100062A1 (en) Coupling Device
EP1368590B1 (en) Pipe coupling
US5476291A (en) Hose coupling
JP2002061785A (ja) ワンタッチ継手
KR102741314B1 (ko)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신속 연결부
KR102741513B1 (ko) 신속 연결부
JPH11173472A (ja) 管継手構造
CN114829822A (zh) 用于软管联接器的联接部件
JPH02240494A (ja) 継手付コルゲート管
KR102113691B1 (ko) 고압 호스용 연결구
KR200321876Y1 (ko) 압입 결합식 관이음장치
EP1279879B1 (en) Assembly for the coaxial attachment of a pipe to a fitting
JP2000130422A (ja) アンカーナット締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送水管
HK1033166B (en) Device for connecting a pipe socket, a tubular mounting part or a fitting to a pipe
AU2002238776A1 (en) Pipe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8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