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113691B1 - 고압 호스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고압 호스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691B1
KR102113691B1 KR1020190142430A KR20190142430A KR102113691B1 KR 102113691 B1 KR102113691 B1 KR 102113691B1 KR 1020190142430 A KR1020190142430 A KR 1020190142430A KR 20190142430 A KR20190142430 A KR 20190142430A KR 102113691 B1 KR102113691 B1 KR 102113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nut
pressure
conical coi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현
Original Assignee
신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현 filed Critical 신영현
Priority to KR1020190142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6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호스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호스용 연결구에 따르면, 호스와 호스 결합구 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호스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추형 코일을 설치하되, 상기 원추형 코일의 외경을 상기 호스 결합구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시켜 가압너트에 의한 압착시 상기 원추형 코일의 변형을 통한 압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호스와, 상기 호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호스 결합구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에서 견고한 결착력을 유지하여 상기 호스의 이탈과 유체의 누스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압 호스용 연결구{CONNECTING DEVICE FOR PRESSURISED HOSE}
본 발명은 고압 호스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 호스에 결착되는 연결구를 구성하는 구성품의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고압에서 견고한 결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고압 호스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호스는 호스 내에 흐르는 유체(액체/기체)의 높은 압력을 견디면서 유체를 원하는 장소까지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한 통로로 사용되는 호스의 일종으로서, 자동차, 건설 기계류, 액압 기계류 및 페인트 분사기 등의 산업분야에서 고압의 유체를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기 위해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제조된다.
이러한 고압 호스는 호스와 호스의 연결, 혹은 호스와 관로의 연결, 혹은 호스와 노즐의 연결을 위해 고압 호스용 연결구가 사용된다. 고압 호스용 연결구는 호스와 연결되는 대상체를 보다 편리하게 상호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들 간의 연결부위가 빠지거나, 혹은 연결부위에서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높은 결착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고압 호스용 연결구는 통상적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호스가 게재되는 호스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호스 삽입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된 니플본체와, 상기 니플본체의 호스 삽입부에 상기 호스가 게재된 상태에서 호스를 호스 삽입부에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슬리브 부재로 구성되어 고압 호스와 결착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고압 호스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호스를 대상체에 연결하는 경우에 니플본체의 호스 삽입부에 호스가 게재된 상태에서 슬리브 부재가 호스를 호스 삽입부에 강하게 압착시키지 못하면 결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외력 발생시 호스가 니플본체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니플본체가 호스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착장치 등을 사용하여 슬리브 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별도의 슬리브 부재의 압착공정을 통해 호스가 호스 삽입부를 보다 강하게 압착하여 니플본체가 호스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압착장치는 통상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관계로 운반 및 보관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리브 부재를 압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슬리브 부재를 갖고 압착장치가 보관된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34256 Y1, 2006. 12. 12. KR 20-0351663 Y1, 2004. 05. 18. KR 20-2012-0008422 U, 2012. 12. 10. KR 20-0336038 Y1, 2003. 12. 03.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 호스에 결착되는 연결구를 구성하는 구성품의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고압에서 견고한 결착력을 유지하여 호스의 이탈과 유체의 누수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고압 호스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호스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호스와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호스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가 이송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진 호스 결합구; 상기 호스의 일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호스의 일단부를 상기 호스의 중심부로 압박하여 상기 호스의 일단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호스 결합구를 가압하여 상기 호스와 상기 호스 결합구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는 원추형 코일; 및 상기 호스가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 결합구가 상기 호스의 일단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원추형 코일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원추형 코일을 매개로 상기 호스를 상기 호스의 중심부로 가압하는 가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호스용 연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추형 코일은 내경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외경은 상기 호스 결합구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가압너트의 결합시 상기 가압너트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에 의해 상기 호스 결합구로 갈수록 가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호스와 상기 호스 결합구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추형 코일은 복수 개의 코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너트의 결합시 가해지는 압박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호스의 일단부를 상기 호스의 중심부로 가압하도록 각 코일 사이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너트는 일단부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내주면에는 상기 원추형 코일의 각 코일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이 각 코일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너트의 삽입홈은 외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상기 원추형 코일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너트에 결합되는 방향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증가하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원추형 코일을 점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호스와 상기 호스 결합구 간의 결속력과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스 결합구는 일단부가 상기 호스의 일단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호스와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타단부와 단턱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스 결합구를 감싸도록 상기 호스 결합구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 결합되고, 일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너트의 일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홈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호스 결합구를 상기 가압너트와 연결하는 연결너트; 상기 호스 결합구가 관통 삽입되도록 관체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상기 호스 결합구에 형성된 단턱이 상기 호스 방향으로 걸림되도록 빠짐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호스가 연결될 대상체에 상기 호스 결합구를 결합하는 호스 연결캡; 및 상기 가압너트의 일단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너트를 상기 연결너트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스 연결캡과 상기 연결너트는 상기 호스 결합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유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호스용 연결구에 따르면, 호스와 호스 결합구 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호스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추형 코일을 설치하되, 상기 원추형 코일의 외경을 상기 호스 결합구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시켜 가압너트에 의한 압박시 상기 원추형 코일의 변형을 통한 가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호스와, 상기 호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호스 결합구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에서 견고한 결착력을 유지하여 상기 호스의 이탈과 유체의 누스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호스용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압 호스용 연결구를 구성별로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압 호스용 연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압 호스용 연결구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코일을 설명하기 위해 가압너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호스용 연결구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과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호스용 연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압 호스용 연결구를 구성별로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압 호스용 연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압 호스용 연결구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호스용 연결구(10)는 고압의 유체(액체 상태의 기름이나 오일, 혹은 기체 상태의 가스 등)를 이송하는 호스(1)를 다른 호스, 관로 혹은 노즐에 간련하게 연결하는 연결장치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호스용 연결구(10)는 호스(1)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호스(1)와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호스(1)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가 이송되도록 중공(11a)이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진 호스 결합구(11)를 포함한다.
호스 결합구(1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일단부가 호스(1)의 일단부 내측으로 삽입되고, 호스(1)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111)를 포함하고, 삽입부(111)의 외주면에는 호스(1)의 내주면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걸림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11)의 종단부에는 상하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납작한 형태의 도구 압착면(111b)이 형성되어 있다. 도구 압착면(111b)은 호스 결합구(11)를 연결캡(15)과 연결너트(14)를 관통시켜 결합시킨 상태에서 조임도구(미도시)를 이용하여 호스 결합구(11)를 연결너트(14)에 나사결합할 때 호스 결합구(11)를 잡고 회전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그리고, 호스 결합구(11)는 삽입부(111)의 타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삽입부(11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나사홈(112a)이 형성되어 연결너트(14)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나사홈(14b)이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112)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호스(1)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호스(1)의 일단부를 호스(1)의 중심부로 가압하여 호스(1)의 일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호스 결합구(11)의 삽입부(111)를 밀착시켜 기밀성과 수밀성을 배가시키는 원추형 코일(12)이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코일을 설명하기 위해 가압너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코일(12)은 호스(1)의 일단부 외주면을 감싸는 내경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외경은 호스 결합구(11) 방향으로 갈수록 크기를 일정 비율로 증가시켜 가압너트(13)의 결합시 호스 결합구(11) 방향으로 가압력을 증대시켜 호스(1)와 호스 결합구(11) 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원추형 코일(12)의 각 코일(12a) 간의 간격은 가압너트(13)에 의한 압박시 변형되어 호스(1)의 일단부를 가압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호스 결합구(11)의 삽입부(111)가 호스(1)의 일단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호스(1)의 일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가압너트(13)가 설치된다.
가압너트(13)는 도 3과 같이, 관체로 이루어지고, 호스(1)의 일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원추형 코일(12)을 압박하여 호스(1)의 중심부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너트(13)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일단부 내주면에 연결너트(14)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홈(14a)에 나사결합되는 나사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가압너트(13)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내주면에는 각 코일(12a)을 압박하여 변형시키는 복수 개의 삽입홈(1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홈(13b) 각각에는 원추형 코일(12)의 각 코일(12a)이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13b) 간의 간격은 각 코일(12a)의 간격(피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홈(13b)은 연결너트(14)에 결합되는 방향측으로 갈수록 원추형 코일(12)에 대응하여 점진적으로 내경이 증가하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너트(13)는 삽입홈(13b)이 단부(연결너트(14)에 결합되는 측)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원추형 코일(12)과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원추형 코일(12)을 점차적으로 가압하여 호스(1)와 호스 결합구(11) 간의 결속력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너트(14)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내주면에 제2 나사홈(14b)이 형성되어 호스 결합구(11)의 삽입부(111)에 형성된 나사홈(111a)에 나사 결합되고, 일단부 외주면에는 제1 나사홈(14a)이 형성되어 가압너트(13)의 나사홈(13a)이 나사 결합된다. 이에 따라, 호스 결합구(11)는 연결너트(14)를 매개로 가압너트(13)와 상호 결합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가압너트(13)의 일단부에는 고정핀(16)이 삽입되는 고정홀(13c)이 더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16)은 예를 들어, 무두볼트로서, 고정홀(13c)을 통해 가압너트(13)의 내부로 삽입된 후 가압너트(13)와 연결너트(14)의결합부위를 고정하여 가압너트(13)가 연결너트(1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2차 고정한다.
호스(1)를 호스 결합구(11)를 매개로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체, 예를 들면 다른 호스에 연결하기 위해 호스 결합구(11)를 감싸도록 호스 연결캡(15)이 설치된다.
호스 연결캡(15)은 내부에 호스 결합구(11)가 삽입되도록 관체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외부 대상체에 결합되기 위해 나사홈(1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호스 연결캡(15)은 원터치 결합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예를 들면, 호스를 수도 꼭지에 연결하는 연결캡에 적용된 원터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호스 연결캡(15)과 연결너트(14) 사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유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호스 연결캡(15)이 조립된 상태에서 호스 연결캡(15)을 대상체에 결합할 때 호스 연결캡(15)이 호스 결합구(11)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호스 연결캡(15)의 결합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호스 연결캡(15)은 도 4와 같이, 일단부, 즉 연결너트(14)에 대면하는 단부에 내경이 작아지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빠짐 방지턱(15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빠짐 방지턱(15b)은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호스 결합구(11)의 삽입부(111)와 결합부(112) 간의 연결부에 형성된 단턱부(11b)가 호스(1) 방향으로 걸림된다. 이에 따라, 호스 결합구(11)는 호스 결합구(11)의 단턱부(11b)가 호스 연결캡(15)의 빠짐 방지턱(15b)으로 걸림지지되어 호스(1)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호스용 연결구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호스 결합구(11)에 호스 연결캡(12)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호스 결합구(11)를 호스 연결캡(15)의 내부로 관통 결합시킨다. 이때, 호스 결합구(11)의 단턱부(11b)는 호스 연결캡(15)의 내측에 형성된 빠짐 방지턱(15b)에 걸림지지된다.
도 7은 도 6과 같이 조립된 호스 결합구(11)에 연결너트(14)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호스 결합구(11)의 삽입부(111)를 연결너트(14)에 관통 결합한 후 조임도구(미도시)를 이용하여 호스 결합구(11)의 삽입부(111)에 형성된 도구 압착면(111b)을 잡은 상태에서 호스 결합구(11)를 회전시키거나, 혹은 연결너트(14)를 회전시켜 호스 결합구(11)의 결합부(112)에 형성된 나사홈(112a)에 나사 결합하여 조립한다.
도 8은 도 7과 같이 조립된 호스 결합구(11)에 호스(1)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호스 결합구(11)의 삽입부(111)를 호스(1)의 일단부 내측으로 삽입시켜 조립한다. 이때, 호스(1)의 일단부가 연결너트(14)의 일측부 내측으로 일부 삽입될 때까지 호스 결합구(11)를 호스(1)의 내측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삽입부(111)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111a)이 모두 호스(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밀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9는 도 8과 같이 조립된 호스(1)에 원추형 코일(12)을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호스 결합구(11)의 삽입부(111)에 호스(1)가 조립된 상태에서 호스 결합구(11)의 삽입부(111)가 삽입된 호스(1)의 일단부을 감싸도록 원추형 코일(12)을 조립한다.
도 10은 도 9와 같이, 조립된 호스(1)에 가압너트(13)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원추형 코일(12)을 감싸도록 가압너트(13)를 삽입시켜 조립한다. 이때, 가압너트(13)의 나사홈(13a)은 연결너트(14)의 제1 나사홈(14a)에 나사결합된다.
이후, 고정핀(16)을 가압너트(13)의 고정홀(13c)에 삽입시켜 가압너트(13)와 연결너트(14)을 2차 고정함으로써 가압너트(13)와 연결너트(14) 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호스용 연결구(10)는 호스(1)와 호스 결합구(11) 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호스(1)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추형 코일(12)을 설치하고, 이때, 원추형 코일(12)의 외경을 호스 결합구(11) 방향으로 갈수록 일정 크기로 증가시켜 가압너트(13)에 의한 압박시 원추형 코일(12)의 변형을 통한 압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호스(1)와 호스(1)의 내부로 삽입되는 호스 결합구(11)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에서 견고한 결착력을 유지하여 호스의 이탈과 유체의 누수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호스 10 : 고압 호스용 연결구
11 : 호스 결합구 11a : 중공
12 : 원추형 코일 12a : 코일
13 : 가압너트 13a : 나사홈
13b : 삽입홈 13c : 고정홀
14 : 연결너트 15 : 호스 연결캡
16 : 고정핀 111 : 삽입부
111a : 걸림홈 111b : 도구 압착면
112 : 결합부 112a : 제2 나사홈

Claims (7)

  1. 일단부가 호스(1)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호스(1)와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호스(1)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가 이송되도록 내부에 중공(11a)이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진 호스 결합구(11);
    상기 호스(1)의 일단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호스(1)의 일단부를 상기 호스(1)의 중심부로 압박하여 상기 호스(1)의 일단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기 호스 결합구(11)를 가압하여 상기 호스(1)와 상기 호스 결합구(11)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는 원추형 코일(12);
    상기 호스(1)가 내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호스 결합구(11)가 상기 호스(1)의 일단부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원추형 코일(12)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원추형 코일(12)을 매개로 상기 호스(1)를 상기 호스(1)의 중심부로 가압하는 가압너트(13);
    상기 호스 결합구(11)를 감싸도록 내주면에 제2 나사홈(14b)이 형성되어 상기 호스 결합구(11)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홈(111a)에 나사 결합되고, 일단부 외주면에는 제 1 나사홈(14a)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너트(13)의 일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홈(13a)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호스 결합구(11)를 상기 가압너트(13)와 연결하는 연결너트(14);
    상기 호스 결합구(11)가 관통 삽입되도록 관체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상기 호스 결합구(11)에 형성된 단턱이 상기 호스(1) 방향으로 걸림되도록 빠짐 방지턱(15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호스(1)가 연결될 대상체에 상기 호스 결합구(11)를 결합하는 호스 연결캡(15);
    상기 가압너트(13)의 일단부에 형성된 고정홀(13c)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너트(13)를 상기 연결너트(14)에 고정하는 고정핀(16);을 포함하되,
    상기 호스 결합구(11)는
    일단부가 상기 호스(1)의 일단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호스(1)와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걸림홈(111a)이 형성된 삽입부(111)와;
    상기 삽입부(111)의 타단부와 단턱을 갖고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나사홈(112a)이 형성된 결합부(112)와;
    상기 삽입부(111)의 종단부에는 상하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납작한 형태로 형성된 도구 압착면(111b)을 포함하며,
    상기 원추형 코일(12)은 내경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외경은 상기 호스 결합구(11)로 갈수록 크기가 증가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가압너트(13)의 결합시 상기 가압너트(13)에 의해 가해지는 압박에 의해 상기 호스 결합구(11)로 갈수록 가압력을 증대시켜 상기 호스(1)와 상기 호스 결합구(11)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며,
    상기 가압너트(13)는 일단부 내주면에 나사홈(13a)이 형성되어 있고,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내주면에는 상기 원추형 코일(12)의 각 코일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13b)이 각 코일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호스용 연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코일(12)은 복수 개의 코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너트(13)의 결합시 가해지는 압박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호스(1)의 일단부를 상기 호스(1)의 중심부로 가압하도록 각 코일 사이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호스용 연결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너트(13)의 삽입홈(13b)은 외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상기 원추형 코일(12)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너트(13)에 결합되는 방향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증가하는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원추형 코일(12)을 점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호스(1)와 상기 호스 결합구(11) 간의 결속력과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호스용 연결구.
  6. 삭제
  7. 삭제
KR1020190142430A 2019-11-08 2019-11-08 고압 호스용 연결구 Active KR102113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430A KR102113691B1 (ko) 2019-11-08 2019-11-08 고압 호스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430A KR102113691B1 (ko) 2019-11-08 2019-11-08 고압 호스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3691B1 true KR102113691B1 (ko) 2020-06-02

Family

ID=71090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430A Active KR102113691B1 (ko) 2019-11-08 2019-11-08 고압 호스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69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283A (ja) * 1996-06-11 1997-12-22 Makizaki:Kk ホースコネクタ
KR20010097492A (ko) * 2000-04-24 2001-11-08 허대성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KR200336038Y1 (ko) 2003-09-15 2003-12-11 김종운 호스 연결구
KR200351663Y1 (ko) 2004-01-13 2004-06-01 (주)모토닉 기밀 보조재에 의한 고압용 수지호스 연결구조
KR200434256Y1 (ko) 2006-09-20 2006-12-18 황행철 고압호스 연결구
KR20100114679A (ko) * 2009-04-16 2010-10-26 김사현 고압호스용 커플링
KR20120057139A (ko) * 2010-11-26 2012-06-05 (주)신신플라테크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KR20120008422U (ko) 2011-05-31 2012-12-10 김창호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283A (ja) * 1996-06-11 1997-12-22 Makizaki:Kk ホースコネクタ
KR20010097492A (ko) * 2000-04-24 2001-11-08 허대성 고압호스와 니플의 커플링
KR200336038Y1 (ko) 2003-09-15 2003-12-11 김종운 호스 연결구
KR200351663Y1 (ko) 2004-01-13 2004-06-01 (주)모토닉 기밀 보조재에 의한 고압용 수지호스 연결구조
KR200434256Y1 (ko) 2006-09-20 2006-12-18 황행철 고압호스 연결구
KR20100114679A (ko) * 2009-04-16 2010-10-26 김사현 고압호스용 커플링
KR20120057139A (ko) * 2010-11-26 2012-06-05 (주)신신플라테크 보호관이 구비된 합성수지 파이프
KR20120008422U (ko) 2011-05-31 2012-12-10 김창호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9055C2 (ru) Фитинг с внутренним обжатием
KR102312586B1 (ko) 스웨이징 피팅
US200601318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oupler fittings to conduit sections
US6764106B1 (en) Cold form hex shell
US9822912B2 (en) Push-to-connect fitting device, arrangement and method
US9897238B2 (en) Tube coupling device
US5472244A (en) Plastic coupling for plastic tubing
US6412832B1 (en) Self-flaring plastic fittings
KR20100074116A (ko) 밸브 부품
JPH02278094A (ja) 片持リップ導管カップリング部材とその組立体
AU2015205848A1 (en) Quick fitting connector
KR100697790B1 (ko) 유압 호스 이음쇠 및 유압 호스 이음 방법
JPH10176779A (ja) 急速連結継手
JP5923578B2 (ja) 樹脂製管継手
US20110221184A1 (en) Hose coupling
KR102113691B1 (ko) 고압 호스용 연결구
US7527300B2 (en) Flexible tubing connector
KR101843005B1 (ko) 퀵 커플러
US20070096461A1 (en) Crimped hose fitting
CN114829822A (zh) 用于软管联接器的联接部件
RU2350825C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ниппеля с гибким рукавом
US9528644B2 (en) Quick connector assembly
KR20240144782A (ko) 고압 호스용 연결구
US20080272550A1 (en) Hydraulic tubing fitting seal
EP1441167B1 (en)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