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38569A - 다단 증폭기 - Google Patents

다단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569A
KR20020038569A KR1020017012752A KR20017012752A KR20020038569A KR 20020038569 A KR20020038569 A KR 20020038569A KR 1020017012752 A KR1020017012752 A KR 1020017012752A KR 20017012752 A KR20017012752 A KR 20017012752A KR 20020038569 A KR20020038569 A KR 20020038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impedance
pass filter
filter type
type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4252B1 (ko
Inventor
모리카주토미
신조신타로우
키타바야시푸미마사
이케다유키오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2003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0Amplifiers in which coupling networks have distributed constants, e.g. with waveguide resonators
    • H03F3/602Combinations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3F1/565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indu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18A matching circuit being used as coupling element between two amplifying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1/00
    • H03F2201/32Indexing scheme relating to 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2201/3215To increase the output power or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Microwave Amplifier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단 고역 통과 필터 정합기(28)와 1단 저역 통과 필터 정합기(29)를 직렬로 접속하여, 단간 정합 회로(26)를 구성한다.

Description

다단 증폭기{Multistage amplifier}
일반적으로 FET, BJT, HBT 등의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다단 증폭기에 있어서는, 입력, 단간(段間), 출력의 정합 회로는 반도체 소자의 성능을 끌어내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예를 들면 「신가쿠기보(信學技報)MW95-73(1995년 7월 발행)」에 나타난 종래의 다단 증폭기를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1은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단자, 2는 증폭 후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3은 입력 단자(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전단 증폭 소자, 4는 전단 증폭 소자(3)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증폭하는 후단 증폭 소자이다.
5는 다단 증폭기의 입력 정합 회로, 6은 전단 증폭 소자(3)와 후단 증폭 소자(4)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는 단간 정합 회로, 7은 바이어스 회로, 8은 다단 증폭기의 출력 정합 회로, 9는 바이어스 공급용 쇼트 스터브, 10은 병렬 커패시터, 11은 직렬 선로, 12는 직렬 커패시터이다.
또, 전단 증폭 소자(3) 및 후단 증폭 소자(4)는 FET, BJT, MOSFET, HEMT,HBT 등에 의해 구성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단자(1)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그 신호는 입력 정합 회로(5)를 통하여 전단 증폭 소자(3)에 입력되고, 전단 증폭 소자(3)에 의해 증폭된다.
전단 증폭 소자(3)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단간 정합 회로(6) 및 바이어스 회로(7)를 통하여 후단 증폭 소자(4)에 입력되고, 후단 증폭 소자(4)에 의해 증폭된다.
후단 증폭 소자(4)에 의해 증가된 신호는, 출력 정합 회로(8)를 통하여 출력 단자(2)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단간 정합 회로(6)의 작용을 설명한다.
단간 정합 회로(6)는, 단간이 있는 기준면에 있어서, 임피던스가 공역(共役)이 되도록 정합을 실시한다. 도 2는 다단 증폭기의 단간에서의 정합 조건의 일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 임피던스를 SY_FET, 전단 증폭 소자(3)로부터 출력측을 본 임피던스(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를 Γout, 후단 증폭 소자(4)의 입력 임피던스를 SX_FET, 후단 증폭 소자(4)로부터 입력측을 본 임피던스(후단 증폭 소자(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를 Γin이라고 정의한다.
다단 증폭기가 소신호 동작하는 경우, 전단 증폭 소자(3)의 최적 출력 부하임피던스(Γopt_out)는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Y_FET*)와 일치하고, 후단 증폭 소자(4)의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는 후단 증폭 소자(4)의 입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X_FET*)와 일치한다.
따라서,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단(X)에 있어서, 복소 공역 정합을 실현하는 경우에는, 단간 정합 회로(6)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 증폭 소자(4)의 입력 임피던스(SX_FET)로부터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Y_FET*( =Γopt_out)]로의 임피던스 변환을 행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후단 증폭 소자(4)의 입력단(Y)에 있어서, 복소 공역 정합을 실현하는 경우에는, 단간 공역 정합 회로(6)는,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 임피던스(SY_FET)로부터 후단 증폭 소자(4)의 입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X_FET*( =Γopt_in)]로의 임피던스 변환을 행하도록 설계된다.
이로써, 단간 정합 회로(6)가 무손실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단(X)에 있어서 복소 공역 정합을 실현하면, 동시에 후단 증폭 소자(4)의 입력단(Y)에 있어서 복소 공역 정합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다단 증폭기를 사용하는 입력 레벨은, 다단 증폭기의 최종단의 증폭소자나, 그 전단의 증폭 소자에 있어서는, 소신호 동작이 아닌 대신호 동작으로 된다.
대신호 동작 시에 있어서는, 증폭 소자의 입출력 임피던스는 소신호 동작 시와는 다른 값이 되고, 더욱이, 효율을 최대로 하는 최적의 임피던스는 입출력 임피던스와 다른 값이 된다. 따라서, 대신호 동작 시에 있어서는, 전단 증폭 소자(3)의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는,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Y_FET*)와 일치하지 않고서 다른 임피던스가 된다. 마찬가지로, 후단 증폭 소자(4)의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는, 후단 증폭 소자(4)의 입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X_FET*)와 일치하지 않고서 다른 임피던스가 된다.
이로써,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단(X)에 있어서 복소 공역 정합을 실현하는 경우에는, 단간 정합 회로(6)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 증폭 소자(4)의 입력 임피던스(SX_FET)로부터 전단 증폭 소자(3)의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 ≠SY_FET*)]로의 임피던스 변환을 행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후단 증폭 소자(4)의 입력단(Y)에 있어서 복소 공역 정합을 실현하는 경우에는, 단간 정합 회로(6)는,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 임피던스(SY_FET)로부터 후단 증폭 소자(4)의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 ≠SX_FET*)]로의 임피던스 변환을 행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는, 전부 동일한 단간 정합 회로(6)를 사용하여,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단(X)에 있어서의 공역 정합과, 후단 증폭 소자(4)의입력단(Y)에 있어서의 공역 정합을 동시에 실현할 수 없다.
종래의 다단 증폭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SY_FET)와, 후단 증폭 소자(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SX_FET)를 동시에 최적 임피던스에 정합할 수 없고, 다단 증폭기 전체의 효율이 낮아지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단 증폭 소자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와 후단 증폭 소자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의 양쪽을 최적 임피던스에 정합할 수 있는 다단 증폭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력 신호를 단계적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다단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다단 증폭기를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
도 2a 내지 2c는 다단 증폭기의 단간에 있어서의 정합 조건의 일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단 증폭기를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
도 4a 및 4b는 전단 증폭 소자의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와 후단 증폭 소자의 최적입력 전원 임피던스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a 및 5b는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와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사용하여 단간 정합 회로를 구성한 경우의 단간의 임피던스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다단 증폭기를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
도 7a 내지 7b는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와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사용하여 단간 정합 회로를 구성한 경우의 단간의 임피던스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단 증폭기를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다단 증폭기를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증폭기는, 1단 고역 통과(high pass)필터형 정합기와 1단 저역 통과(low pass) 필터형 정합기를 직렬로 접속하여, 정합 회로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단 증폭 소자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와 후단 증폭 소자의 입력전원 임피던스의 양쪽을 최적 임피던스에 정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단 증폭기 전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증폭기는, 최종단의 증폭 소자와, 그 전단의 증폭 소자사이에 삽입되는 정합 회로에 한하여,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와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다단 증폭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증폭기는,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 회로를 입력측에설치하고,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출력측에 설치하는 정합 회로를 설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단 증폭 소자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와 후단 증폭 소자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의 양쪽을 최적 임피던스에 정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증폭기는,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입력측에 설치하고,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출력측에 설치하는 정합 회로를 설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단 증폭 소자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와 후단 증폭 소자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의 양쪽을 최적 임피던스에 정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증폭기는, 병렬 인덕터와 직렬 커패시터로부터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소형의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증폭기는, 병렬 인덕터로서, 길이가 4분의 1파장 이하의 바이어스 공급용 쇼트 스터브(short stub)를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단 증폭 소자의 출력측의 바이어스 공급 선로를 겸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단 증폭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증폭기는, 병렬 커패시터와 직렬 인덕터로부터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소형의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증폭기는 직렬 인덕터로서 직렬 선로를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소형의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단 증폭기를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21은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단자, 22는 증폭 후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23은 입력 단자(2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전단 증폭 소자, 24는 전단 증폭 소자(23)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증폭하는 후단 증폭 소자이다.
25는 다단 증폭기의 입력 정합 회로, 26은 전단 증폭 소자(23)와 후단 증폭 소자(24)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는 단간 정합 회로, 27은 다단 증폭기의 출력 정합 회로, 28은 단간 정합 회로(26)를 구성하는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 29는 단간 정합 회로(26)를 구성하는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이다.
31은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를 구성하는 병렬 인덕터, 32는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를 구성하는 직렬 커패시터, 33은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9)를 구성하는 병렬 커패시터, 34는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9)를 구성하는 직렬 인덕터이다.
또, 전단 증폭 소자(23) 및 후단 증폭 소자(24)는 FET, BJT, MOSFET, HEMT, HBT 등에 의해 구성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단자(21)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그 신호는 입력 정합 회로(25)를 통하여 전단 증폭 소자(23)에 입력되고, 전단 증폭 소자(23)에 의해 증폭된다.
전단 증폭 소자(23)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와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 회로(29)로 구성되는 단간 정합 회로(26)를 통하여 후단 증폭 소자(24)에 입력되어 증폭되고, 후단 증폭 소자(24)에 의해 증폭된다.
후단 증폭 소자(24)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출력 정합 회로(27)를 통하여 출력 단자(22)로부터 출력된다.
여기서, 도 4a에 전단 증폭 소자(23)로서, 예를 들면, 게이트 폭이 5.8mm의 HEMT 소자의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를 나타냄과 동시에, 출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Y_FET*)를 나타낸다.
또한, 도 4b에 후단 증폭 소자(24)로서, 예를 들면, 게이트 폭이 17.5mm의 HEMT 소자의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를 나타냄과 동시에, 입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X_FET*)를 나타낸다.
어느 한쪽의 HEMT 소자도 바이어스 조건은 AB급이다. 이 경우, 전단 증폭 소자(23)의 게이트 폭은 후단 증폭 소자(24)의 게이트 폭의 2분의 1 이하로 되어 있다.
후단 증폭 소자(24; 게이트 폭이 17.5mm의 HEMT 소자)의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는, 백오프(back off) 3dB 정도의 출력 전력 레벨에 있어서, 소정의 일그러짐(distortion)의 조건을 만족할 때, 최대의 효율이 얻어지는 임피던스이고, 로드 풀·소스 풀을 측정하여 구한 결과이다.
전단 증폭 소자(23; 게이트 폭이 5.8mm의 HEMT 소자)의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는, 게이트 폭이 17.5mm의 상기 HEMT 소자에 대한 로드 풀·소스 풀 측정의 결과와, 게이트 폭이 5.8mm의 HEMT 소자에 대한 로드 풀·소스 풀 측정의 결과로부터, 전단 증폭 소자(23)와 후단 증폭 소자(24)의 특성를 조합하였을 때에, 2단 증폭기로서 백오프 3dB 정도의 출력 전력 레벨에 있어서, 소정의 일그러짐의 조건을 만족할 때, 최대의 효율이 얻어지는 조합을 구하여, 최대 효율이 얻어지는 조합의 경우의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로서 구할 수 있는 결과이다.
도 4a로부터, 전단 증폭 소자(23; 게이트 폭이 5.8mm의 HEMT 소자)의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는 출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Y_FET*)와 비교하여, 임피던스의 실부(實部)는 저 임피던스 방향으로 이동하고, 임피던스의 허부(虛部)는 유도성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또한, 도 4b로부터, 후단 증폭 소자(24; 게이트 폭이 17.5mm의 HEMT 소자)의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는, 입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X_FET*) 와 비교하여, 임피던스의 실부는 고 임피던스 방향으로 이동하고, 임피던스의 허부는 유도성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다음에,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와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9)로 구성된 단간 정합 회로(26)를 다단 증폭기에 사용한 경우의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ut)와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를 도 5에 도시한다.
도 5a, 도 5b에 있어서, ◆ 표시로 나타난 임피던스가 출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Y_FET*), 입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X_FET*)를 각각 나타내고, 점선의 원으로 나타난 영역이 도 4a, 도 4b에서 도시된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 (Γopt_out),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의 근방의 영역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와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9)로 구성된 단간 정합 회로(26)를 다단 증폭기에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를,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X_FET*)와는 다른 점에 정합하였을 때,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ut)가 어떠한 임피던스가 되는지를 상정한다.
예를 들면, 도 5b와 같이,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가 A의 ●표시의 임피던스에 정합되도록 단간 정합 회로(26)를 작성하면,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ut)는 도 5a의 A의 ●표시의 임피던스가 된다.
그 외, B 내지 H의 ●표시의 임피던스에 대해서도, A의 ●표시의 임피던스와마찬가지로, 도 5a와 도 5b에 있어서 대응한 임피던스가 된다.
이와 같이, 정합해야 할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를, A 내지 H의 ●표시의 임피던스와 같이 원주 상으로 변화시키면, B의 ●표시의 임피던스에 대해서는, 도 5a,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선의 원의 영역으로 나타난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 근방의 영역에 존재하고, 또한,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 근방의 영역에 존재한다.
따라서, 다단 증폭기의 단간 정합 회로(26)를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와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9)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ut)를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에 거의 일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전원 임피던스(Γin)를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에 거의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다단 증폭기의 단간 정합 조건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단 증폭기 전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단간 정합 회로(26)의 구성으로서,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 2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 또는 2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5b에 있어서,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가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 근방의 B의 ●표시의 임피던스가 되도록 단간 정합 회로(26)를 작성하면,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ut)는, 도 5a의 B의 ●표시의 임피던스와는 크게 다른 임피던스가 되고,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ut)를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에 일치시킬 수 없고, 또한,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를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에 일치시킬 수 없다.
도 1의 종래 예의 경우, 바이어스 공급용 쇼트 스터브(9)는 4분의 1 파장에 가까운 길이를 갖고, 직렬 커패시터(12)는 충분히 큰 값을 갖고, 어느쪽도 사용 주파수에 있어서 임피던스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값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단간 정합 회로(6)는 병렬 커패시터(10)와 직렬 선로(11)로 구성되는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얻는다. 따라서, 전단 증폭 소자(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ut)를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에 일치시킬 수 없고, 또한, 후단 증폭 소자(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를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에 일치시킬 수 없다.
이 실시예 1에서는, 단수가 2단의 다단 증폭기에 대하여 나타내었지만, 단수가 3단 이상의 다단 증폭기의 경우에는, 적어도, 최종단의 증폭 소자와, 그 전단의 증폭 소자간의 단간 정합 회로(26; 이하, 「최종단의 단간 정합 회로」라고 한다)가,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와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9)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최종단의 단간 정합 회로(26)로부터 입력측 방향에 존재하는 단간 정합 회로(26)에 대해서는,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와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9)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이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있다.
이로써, 최종단의 단간 정합 회로(26)로부터 입력측 방향에 존재하는 단간 정합 회로(26)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 등의 소형의 정합 회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단 증폭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다단 증폭기를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도 3과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도시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41은 전단 증폭 소자(23)와 후단 증폭 소자(24)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는 단간 정합 회로, 42는 단간 정합 회로(41)를 구성하는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 43은 단간 정합 회로(41)를 구성하는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이다.
44는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2)를 구성하는 병렬 커패시터, 45는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2)를 구성하는 직렬 인덕터, 46은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3)를 구성하는 병렬 인덕터, 47은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3)를 구성하는 직렬 커패시터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입력측에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를 설치하고, 출력측에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9)를 설치하는 단간 정합 회로(26)를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입력측에 1단 저역 통과 필터 정합기(42)를 설치하고, 출력측에 1단 고역 통과 필터 정합기(43)를 설치하는 단간 정합 회로(41)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2)와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3)로 구성된 단간 정합 회로(41)를 다단 증폭기에 사용한 경우의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ut)와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a, 도 7b에 있어서, ◆ 표시로 나타난 임피던스가 출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Y_FET*), 입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X_FET*)를 각각 나타내고, 점선의 원으로 나타난 영역이 도 4a, 도 4b에서 도시된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 근방의 영역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2)와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3)로 구성된 단간 정합 회로(41)를 다단 증폭기에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를,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임피던스의 복소 공역 임피던스(SX_FET*)와는 다른 점에 정합하였을 때,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로 되는지를 상정한다.
예를 들면, 도 7b와 같이,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가 A의 ●표시의 임피던스에 정합되도록 단간 정합 회로(41)를 작성하면,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ut)는 도 7a의 A의 ●표시의 임피던스가 된다.
그 외, B 내지 H의 ●표시의 임피던스에 대해서도, A의 ●표시의 임피던스와 마찬가지로, 도 7a와 도 7b에 있어서 대응한 임피던스가 된다.
이와 같이, 정합해야 할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를, A 내지 H의 ●표시의 임피던스와 같이 원주 상으로 변화시키면, B의 ●표시의 임피던스에 대해서는,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선의 원의 영역으로 도시된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 근방의 영역에 존재하고, 또한,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 근방의 영역에 존재한다.
따라서, 다단 증폭기의 단간 정합 회로(41)를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2)와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3)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ut)를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에 거의 일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를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에 거의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다단 증폭기의 단간 정합 조건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단 증폭기 전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단 증폭기를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도 3과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도시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51은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를 구성하는 길이가 4분의 1 파장 이하의 바이어스 공급용 쇼트 스터브, 52는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9)를 구성하는 직렬 선로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를 병렬 인덕터(31)와 직렬 커패시터(32)로 구성하고,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9)를 병렬 커패시터(33)와 직열 인덕터(34)로 구성하는 것에 대하여 나타내었지만, 병렬 인덕터(31)의 대신에 길이가 4분의 1 파장 이하의 바이어스 공급 쇼트 스터브(51)를 사용하여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를 구성하고, 직렬 인덕터(34)의 대신에 직렬 선로(52)를 사용하여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9)를 구성하여도 좋다.
병렬의 쇼트 스터브는 장점이 4분의 1 파장 이하인 경우에는, 병렬의 인덕터와 동등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다. 또한, 직렬 선로도 직렬의 인덕터와 동등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바이어스 공급용 쇼트 스터브(51)를 구성 요소로 하는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와, 직렬 선로(52)를 구성 요소로 하는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9)로 다단 증폭기의 단간 정합 회로(26)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ut)를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에 거의 일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를 최적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에 거의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다단 증폭기의 단간 정합 조건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단 증폭기 전체에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병렬 인덕터(31)의 대신에 길이가 4분의 1 파장 이하의 바이어스 공급용 쇼트 스터브(51)를 사용하여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28)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측의 바이어스 공급 선로를 겸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단 증폭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다단 증폭기를 도시하는 등가 회로도이고, 도면에 있어서, 도 6과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도시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61은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2)를 구성하는 직렬 회로, 62는 1단 고역 통과 필터 정합기(43)를 구성하는 길이가 4분의 1 파장 이하의 바이어스 공급용 쇼트 스터브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2)를 병렬 커패시터(44)와 직렬 인덕터(45)로 구성하고,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3)를 병렬 인덕터(46)와 직렬 커패시터(47)로 구성하는 것에 대하여 나타내었지만, 직렬 인덕터(45)의 대신에 직렬 선로(61)를 사용하여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2)를 구성하고, 병렬 인덕터(46)의 대신에 길이가 4분의 1 파장 이하의 바이어스 공급용 쇼트 스터브(62)를 사용하여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3)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직렬 선로는 직렬의 인덕터와 동등한 전기적 특성을 갖고, 또한, 병렬의 쇼트 스터브는 길이가 4분의 1 파장 이하의 경우에는, 병렬의 인덕터와 동등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직렬 선로(61)를 구성 요소로 하는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2)와 바이어스 공급용 쇼트 스터브(62)를 구성 요소로 하는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43)로 다단 증폭기의 단간 정합 회로(26)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ut)를 최적 출력 부하 임피던스(Γopt_out)에 거의 일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후단 증폭 소자(24)의 입력 전원 임피던스(Γin)를 최적 입력 전원 임피던스(Γopt_in)에 거의 일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다단 증폭기의 단간 정합 조건을 보다 최적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단 증폭기 전체에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병렬 인덕터(46)의 대신에 길이가 4분의 1 파장 이하의 바이어스 공급용 쇼트 스터브(62)를 사용하여 1단 고역 통과 필터 정합 회로(43)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전단 증폭 소자(23)의 출력측의 바이어스 공급 선로를 겸할 수 있기 때문에, 다단 증폭기의 소형화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증폭기는, 위성 통신, 지상 마이크로파통신, 이동체 통신 등을 실시할 때, 송신 신호나 수신 신호 등을 증폭하는 것 등에 적합하다.

Claims (8)

  1. 입력 신호를 단계적으로 증가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증폭 소자와, 상기 각 증폭 소자간에 각각 삽입되고, 서로 인접하는 증폭 소자간의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는 정합 회로를 구비한 다단 증폭기에 있어서,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와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직렬로 접속하고, 상기 정합 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최종단의 증폭 소자와, 그 전단의 증폭 소자간에 삽입되는 정합 회로에 한하여,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와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증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입력측에 설치하고,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출력측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증폭기.
  4. 제 1 항에 있어서,
    1단 저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입력측에 설치하고,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출력측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증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병렬 인덕터와 직렬 커패시터로부터 1단 고역 통과 필터형 정합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증폭기.
  6. 제 5 항에 있어서,
    병렬 인덕터로서, 길이가 4분의 1 파장 이하의 바이어스 공급용 쇼트 스터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증폭기.
  7. 제 1 항에 있어서,
    병렬 커패시터와 직렬 인덕터로부터 1단 저역 통과 필터 정합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증폭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직렬 인덕터로서, 직렬 선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증폭기.
KR10-2001-7012752A 2000-02-08 2000-02-08 다단 증폭기 KR100414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0682 WO2001059927A1 (fr) 2000-02-08 2000-02-08 Amplificateur multi-et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569A true KR20020038569A (ko) 2002-05-23
KR100414252B1 KR100414252B1 (ko) 2004-01-07

Family

ID=1173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752A KR100414252B1 (ko) 2000-02-08 2000-02-08 다단 증폭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12794B1 (ko)
EP (1) EP1168604A4 (ko)
JP (1) JP3423706B2 (ko)
KR (1) KR100414252B1 (ko)
CN (1) CN1187894C (ko)
WO (1) WO20010599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6991B2 (en) 2012-12-20 2015-09-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amplifying circuit and front end modul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0467A1 (fr) 2002-05-28 2003-12-05 St Microelectronics Sa Coupleur haute frequence
US20040150489A1 (en) * 2003-02-05 2004-08-05 Sirenza Microdevices, Inc On-carrier impedance transform network
JP2005101893A (ja) * 2003-09-25 2005-04-14 Ube Ind Ltd 電力増幅器モジュール
TWI232942B (en) * 2003-10-03 2005-05-21 Rich Wave Technology Corp Analy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gain and loss in multi-stage RF amplifier
KR100565306B1 (ko) 2003-11-22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수신단의 증폭 오프셋 조정장치
CN100536324C (zh) * 2004-07-14 2009-09-02 三菱电机株式会社 高输出放大器
WO2007103537A2 (en) * 2006-03-08 2007-09-13 Wispry, Inc. Tunable impedance matching networks and tunable diplexer matching systems
US20080042774A1 (en) * 2006-08-21 2008-02-21 Harris Corporation Broadband impedance matching circuit using high pass and low pass filter sections
EP2124329A4 (en) * 2006-11-30 2011-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JP4744615B2 (ja) * 2009-02-26 2011-08-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イクロ波、ミリ波帯増幅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ミリ波無線機
CN103424610A (zh) * 2012-05-23 2013-12-04 路华科技(深圳)有限公司 开关电源精密检测功率计
DE102013109463A1 (de) 2013-08-30 2015-03-05 Endress + Hauser Gmbh + Co. Kg Verfahren zur Optimierung der Impedanz eines Verbindungselements
US9438200B2 (en) * 2014-03-26 2016-09-06 Teledyne Wireless, Llc Compact broadband impedance transformer
CN104617081B (zh) * 2015-01-30 2018-07-27 天津中科海高微波技术有限公司 应用于单片微波集成电路的连接线以及连接线的设计方法
JP6332097B2 (ja) * 2015-03-24 2018-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増幅器
TWI595746B (zh) * 2015-05-21 2017-08-11 絡達科技股份有限公司 提高功率放大電路穩定性之方法
CN108292908B (zh) * 2015-12-08 2021-05-07 三菱电机株式会社 高频多级放大器
JP2018201107A (ja) * 2017-05-26 2018-12-20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帯域通過フィルタおよび2分配整合器
CN107276554B (zh) * 2017-06-22 2020-09-22 成都仕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模拟移相器及射频信号相移方法
US10530306B2 (en) * 2018-04-13 2020-01-07 Nxp Usa, Inc. Hybrid power amplifier circuit or system with combination low-pass and high-pass interstage circuitr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7154461B2 (ja) * 2020-06-08 202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増幅回路
CN112290902A (zh) * 2020-11-19 2021-01-29 江苏海湾电气科技有限公司 低通滤波器和电子设备
CN112865738B (zh) * 2021-01-04 2023-04-07 诺思(天津)微系统有限责任公司 射频接收模组和提高其性能的方法以及通信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4210A (ja) * 1981-11-28 1983-06-04 Mitsubishi Electric Corp 内部整合形高周波トランジスタ
US4901032A (en) * 1988-12-01 1990-02-13 General Electric Company Digitally controlled variable power amplifier
JP3062215B2 (ja) * 1990-03-30 2000-07-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ナログ・フロント・エンド回路
JPH0732335B2 (ja) * 1990-11-16 1995-04-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高周波増幅器
JPH04304705A (ja) * 1991-04-01 1992-10-28 Mitsubishi Electric Corp 低雑音増幅器
JP2701572B2 (ja) * 1991-04-03 1998-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低雑音増幅器
JPH0738549B2 (ja) * 1993-02-08 1995-04-26 日本電気株式会社 多段増幅器
US5339047A (en) * 1993-02-18 1994-08-1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X-band bipolar junction transistor amplifier
JPH06326530A (ja) * 1993-02-26 1994-11-25 Sumitomo Electric Ind Ltd 高出力増幅器
JPH07193465A (ja) * 1993-12-27 1995-07-28 Toshiba Corp 高周波集積回路
JPH08222973A (ja) * 1995-02-08 1996-08-30 Hitachi Ltd Rfリニア電力増幅回路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H08330864A (ja) * 1995-06-01 1996-12-1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高周波増幅器
JP2994231B2 (ja) * 1995-06-30 1999-12-27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3336868B2 (ja) * 1996-08-09 2002-10-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周波数の異なる複数の信号に整合する高周波増幅器
JP3436850B2 (ja) * 1996-08-09 2003-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周波数の異なる複数の信号に整合する無線通信機用の高周波増幅器
JPH10270960A (ja) 1997-01-21 1998-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電力増幅器
JP2000022461A (ja) 1998-06-29 2000-01-21 Kyocera Corp 高周波用電力増幅器
TW473882B (en) * 1998-07-06 2002-01-21 Hitachi Ltd Semiconductor device
JP2000244263A (ja) * 1999-02-24 2000-09-08 Kyocera Corp 高周波用電力増幅器
JP2001102879A (ja) * 1999-09-28 2001-04-13 Kyocera Corp 高周波用電力増幅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6991B2 (en) 2012-12-20 2015-09-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wer amplifying circuit and front end modu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4252B1 (ko) 2004-01-07
CN1346538A (zh) 2002-04-24
CN1187894C (zh) 2005-02-02
EP1168604A4 (en) 2005-07-06
JP3423706B2 (ja) 2003-07-07
US6812794B1 (en) 2004-11-02
WO2001059927A1 (fr) 2001-08-16
EP1168604A1 (en) 200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8569A (ko) 다단 증폭기
US7554410B2 (en) Power amplifier
US8130043B2 (en) Multi-stage power amplifier with enhanced efficiency
JP4896996B2 (ja) Rf増幅装置
US7345534B2 (en) Efficient power amplification system
EP0911985B1 (en) Dual band transmitter with switchable matching circuit
US7567128B2 (en) Power amplifier suppressing radiation of second harmonic over wide frequency band
US8207790B2 (en)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WO2014087479A1 (ja) 高周波電力増幅器
CN1902816B (zh) 高频放大器
US6930546B2 (en) Bypass switch topology for low-noise amplifiers
JPWO2006006244A1 (ja) 高出力増幅器
JP2008118624A (ja) 高周波電力増幅装置
US8519795B2 (en) High frequency power amplifier
JPH10190378A (ja) 超高効率線形増幅器
CN214281338U (zh) 功率放大模块
JPH11234148A (ja) デュアルバンドマイクロ波増幅器
KR0129843B1 (ko) 초고주파 모노리식 저잡음 증폭기
CN111988004A (zh) 放大电路、高频前端电路以及通信装置
JP3427638B2 (ja) 出力可変多段電力増幅装置
US7548732B2 (en) Power amplifier arrangement having two or more antenna coupling respective amplifiers to a supply potential
CN112491370B (zh) 功率放大电路
JP4071549B2 (ja) 多段増幅器
US20240291445A1 (en) Matching circuit
US11437965B2 (en) Variable gain amplifi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