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106A -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19106A KR20020019106A KR1020017016556A KR20017016556A KR20020019106A KR 20020019106 A KR20020019106 A KR 20020019106A KR 1020017016556 A KR1020017016556 A KR 1020017016556A KR 20017016556 A KR20017016556 A KR 20017016556A KR 20020019106 A KR20020019106 A KR 200200191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mmunication
- control
- child
- host compu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8—Secure or trusted billing, e.g. trusted elements or encryp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65—Linked or grouped accounts, e.g. of users or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65—Linked or grouped accounts, e.g. of users or devices
- H04M15/7652—Linked or grouped accounts, e.g. of users or devices shared by us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56—Secure and trusted billing, e.g. trusted elements, encryption, digital signature, codes or double check mechanisms to secure billing calculation and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72—Account specifications
- H04M2215/724—Linked accou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72—Account specifications
- H04M2215/724—Linked accounts
- H04M2215/7245—Shared by users, e.g. group accounts or one account for different us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3—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shared identity modules, e.g. SIM sh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회선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요금 부과 처리를 하고,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제어를 하는 호스트 컴퓨터(3)와, 호스트 컴퓨터가 식별할 수 있는 모체 ID 정보를 갖는 모체 단말기(1)와, 호스트 컴퓨터가 식별할 수 있는 자 ID 정보를 지니고, 모체 단말기로부터 제어를 위임받아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는 복수의 자 단말기(2A, 2B, …)를 구비하고, 모체 단말기(1)는 선택 수단(12)을 사용하여 선택한 n개의 자 단말기에 대하여, 모체 ID 정보를 기초로 호스트 컴퓨터(3)가 모체 ID 정보를 특정할 수 있는 자 단말기 ID를 n개 생성하여, 생성한 자 단말기 ID를 제1 통신 수단(4)을 통해 각 자 단말기에 송신하고, 각 자 단말기는 자 단말기 ID를 모체 단말기(1)로부터 제1 통신 수단(5)을 통해 수신하여, 자 ID 정보를 부가하여 제2 통신 수단(23)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한다.
Description
최근, 휴대 전화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개인의 일상 생활에서는 가정용의 전화 회선과 같은 통상의 유선 회선과, 개인용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와 같은 무선 회선의 2회선을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또, 최근의 인터넷 등의 정보 통신망의 보급에 의해, 정보 통신망의 이용자는 전술한 이동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메일의 송수신, 각종 정보의 취득, 상품의 구입, 호텔이나 티켓의 예약 등, 여러 가지 서비스의 제공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차세대 휴대 전화기의 형태로서, 각종 방송의 수신 기능, 티비폰 기능,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전지구 위치 측정 시스템)에 의한 복수의 인공위성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기능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갖춘 복합 단말 장치로서의 역할을 갖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차세대 휴대 전화기의 형태로서는, 1회선을 복수의 회선으로 분할하여, 이 분할한 회선을 각 휴대 전화기가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그 복수의 휴대 전화기가 동시에 통신을 하는 소위 멀티 레이트(multi-rate) 기능이나 멀티 콜(multi-call) 기능이 부여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재 상황에서, 이용자가 정보 통신망의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더 나아가서는 텔레비젼 등의 가정용 전자 제품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가까운 장래에는 모든 전자 제품에 정보 통신망에의 액세스 기능이 부여되어, 데이터 통신 또는 서비스의 제공자에 의한 요금 부과 처리 등을 위해, 모든 전자 제품이 전화 회선 등을 통해 정보 통신망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될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전화 회선의 복수 보유, 전자 제품에 대한 전화기능 부여 등의 경향 하에서는 이용자의 인증에 관한 중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예컨대,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가, 직장의 회의실 등에 배치되어 있는 공유의 텔레비젼을 이용하여, 그 텔레비젼으로 정보 통신망에 액세스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받는 등의 경우를 생각하여 보면, 서비스 제공 등에 관한 요금 부과의 대상자에 관해서, 원래는 그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를 대상자로 해야 하겠지만, 현실에서는 그 대상자의 인증이 곤란하다.
이에 대하여, 예컨대 그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각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에서 각 단말 장치의 ID를 이용하여 정보 통신망에 거의 동시에 액세스하여, 각각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 구성에서는, 각 이용자를 요금 부과 대상자로서 특정할 수 있다. 그러나, 요금 부과 대상자를 예컨대 그 회사 명의로 하고 싶은 경우 등에는, 반대로 불편이 생기게 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 장치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소형화, 경량화 등의 구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것에 기인하여, 소형의 입력키를 조작하기 어려워 조작 실수가 일어나기 쉬운 점, 메모리 용량 및 표시부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의 제한이 있는 점, 나아가 연속 사용 시간에 한계가 있는 점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가정 또는 직장 등의 실내에서 정보 통신망에 액세스하여 여러 가지 서비스를 받음에 있어서는 그 서비스 제공을 받기에 적절한 전자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경우에 이동 통신 단말 장치 이외의 각종 전자 제품에 가입자 회선 및 이용자의 ID 등을 설정하게 되면, ID 등의 관리가 번잡하게 되고, 나아가 가입자 회선 사용권의 기본 요금이 많아지는 등의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예컨대, 이용자가, 휴대 전화기 등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정보 통신망에 액세스하여 주가에 관한 데이터를 입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표시 영역의 제한 때문에, 주가의 추이에 관한 꺾은선 그래프 등, 이용자에게 가장 필요한 상세 부분이 식별 또는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 통신단말 장치 대신에, 대화면(大畵面)을 갖는 가정의 텔레비젼 등의 표시부에 그 상세 부분을 표시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이것을 실현하고자 하면, 텔레비젼 등에도 가입자 회선 및 이용자의 ID 설정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예컨대 가족 중의 다른 사람이 그 텔레비젼을 이용하여 정보 통신망에 액세스하여, 예컨대 티켓 예약 등의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때마다 이용자의 ID 설정 등을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관리가 불편하다.
더 나아가, 장래에, 모든 전자 제품에 전술한 전화 기능이 부여된 경우에, 각 제품마다 각각 전화번호를 할당하면, 이들 각 제품마다 전화의 기본 요금이 부과되므로, 각 전화번호의 관리나 비용 면에서 부담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가까운 장래에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의 발달이 확실시되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시스템은 전화 회선의 효율적 이용과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요금 부과 처리가 어려운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委任)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휴대 전화기 등의 모체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자(子) 단말기로 전화 회선의 사용권을 위임하여, 전화 회선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개요도.
도 2는 도 1의 휴대 전화기(모체 단말기) 및 퍼스널 컴퓨터(자 단말기)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모체 단말기가 각 자 단말기에 제어를 위임할 경우에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기(모체 단말기)
2 : 퍼스널 컴퓨터(자 단말기)
3 : 호스트 컴퓨터
4 : 응답기
41 : 통신부(제1 통신 수단)
10 : 휴대 전화기 본체
11 : CPU(제어 수단)
12 : 조작 입력부(조작 입력 수단)
13 : 송수신부(제2 통신 수단)
14 : 안테나
15 : 표시부(표시 수단)
16 : 마이크(통화 수단)
17 : 스피커(통화 수단)
18 : 진동기
19 : 메모리
20 : 퍼스널 컴퓨터 본체
21 : CPU (제어 수단)
22 : 조작 입력부
23 : 송수신부(제2 통신 수단)
24 : 표시부
25 : HDD
5 : 질문기
51 : 통신부(제1 통신 수단)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통신망의 이용시에, 전화 회선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요금 부과 처리를 하고,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향상에 기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은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에 관한 제어를 수행하는 호스트 컴퓨터와,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모체 ID 정보를 갖는 모체 단말기와,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자 ID 정보를 지니고, 모체 단말기로부터 제어의 위임을 받아 호스트 컴퓨터와통신하는 복수의 자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모체 단말기는 각 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 수단과, 제1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을 한 자 단말기 중에서, 제어를 위임하고자 하는 n개(n은 1 이상의 정수)의 자 단말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제1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자 단말기는, 모체 단말기와 통신을 하는 제1 통신 수단과,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을 하는 제2 통신 수단과, 제1 통신 수단 및 제2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모체 단말기의 제어 수단은 선택 수단을 사용하여 선택한 n개의 자 단말기에 대하여, 모체 ID 정보를 토대로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모체 ID 정보가 특정될 수 있는 자 단말기 ID를 n개 생성하고, 생성한 자 단말기 ID를 각 자 단말기마다 송신하도록 제1 통신 수단을 제어하고, 각 자 단말기의 제어 수단은 모체 단말기로부터의 자 단말기 ID를 제1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하면, 수신한 그 자 단말기 ID에 자 ID 정보를 부가하여 제2 통신 수단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모체 ID 정보로서는 호스트 컴퓨터가 모체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모체 단말기의 사용자 전화번호에 관한 전화번호 정보로 한다.
또한, 모체 단말기에,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는 제2 통신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모체 단말기와 자 단말기가 동시에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모체 단말기의 제2 통신 수단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미리 할당된 통신 속도의 범위 내에서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을 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모체 단말기는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미리 할당된 통신 속도의 범위 내에서, n개의 자 단말기의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각각 동시에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을 하는 내용의 제어를 n개의 자 단말기에 위임하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에 모체 단말기는 제어의 위임시에, n개의 자 단말기의 적어도 1개에 대해서, 제2 통신 수단에서 사용하는 통신 속도를 지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모체 단말기에 제2 통신 수단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모체 단말기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미리 할당된 통신 속도의 범위 내에서, 모체 단말기의 제2 통신 수단 및 n개의 자 단말기의 제2 통신 수단에 의해 각각 동시에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을 하는 내용의 제어를 위임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모체 단말기는 제어의 위임시에, 모체 단말기 및/또는 n개의 자 단말기의 적어도 한 단말기에 관해서, 제2 통신 수단에서 사용하는 통신 속도를 지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모체 단말기는 제어 수단이 자 단말기 ID, 인증 정보 및 위임할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제어 내용 정보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n개의 각 자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제1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모체 단말기의 선택 수단이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통신한 자 단말기의 일람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표시 수단에 표시된 자 단말기의 일람 중 제어를 위임하고자 하는 n개의 자 단말기에 관해서 설정하는 설정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다.
한편, 호스트 컴퓨터는 모체 단말기 및 n개의 자 단말기 각각의 제2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 속도의 합계를 감시하여, 그 속도가 모체 단말기에 미리 할당한 통신 속도의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정하는 통신 속도 감시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호스트 컴퓨터의 통신 속도 감시부는 모체 단말기 및 n개의 자 단말기의 각각의 제2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 속도의 합계가 모체 단말기에 미리 할당한 통신 속도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모체 단말기 및 n개의 자 단말기의 각각의 제2 통신 수단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신 속도를 비율에 따라서 그 속도를 저감하도록 조정한다.
또는 호스트 컴퓨터의 통신 속도 감시부는 모체 단말기 및 n개의 자 단말기의 각각의 제2 통신 수단에 의해 행하는 통신 속도의 합계가 모체 단말기에 미리 할당한 통신 속도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모체 단말기에서 n개의 자 단말기로의 제어의 위임시에 통신 속도가 지정되지 않은 모체 단말기 및/또는 자 단말기에 관한 통신 속도를 저감하도록 조정한다.
호스트 컴퓨터는 각 자 단말기의 제2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자 단말기 ID및 상기 자 ID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가 각 자 단말기의 상기 제2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 호스트 컴퓨터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모체 ID 정보를 갖는 사용자에게 부과되도록 처리하는 요금 부과 처리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다.
호스트 컴퓨터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로서, 예컨대 인터넷에의 접속 서비스에 관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 호스트 컴퓨터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로서, 다른 전화기로의 접속 서비스에 관한 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자 단말기는, 모체 단말기가 갖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임받아, 제2 통신 수단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자 단말기는 제어 위임을 중지하는 취지의 제어 위임 중지 신호를 제1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할 때까지, 제2 통신 수단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이하, 단순히 제어 위임 시스템이라 함)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체 단말기로서,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인 휴대 전화기(1)가 이용되고, 자 단말기로서, 휴대 가능한 소위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이하, 단순히 퍼스널 컴퓨터라 함)(2)가 복수대 이용되어, 휴대 전화기(1)와 퍼스널 컴퓨터(2)(2A, 2B, … 2n)의 어느 것이나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3)에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에서는 1대의 휴대 전화기(1)와 각 퍼스널 컴퓨터(2)가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모체 단말기의 개략 구성)
모체 단말기로서의 휴대 전화기(1)는 휴대 전화기로서의 기능을 갖춘 휴대 전화기 본체(10)와, 각 퍼스널 컴퓨터(2)와 통신을 하기 위한 제1 통신 수단으로서 응답기(4)를 갖고 있다.
모체 단말기로서의 이 휴대 전화기(1)에는 미리 정해진 통신 속도(예컨대 2 Mbps)가 할당되어 있고, 고유의 전화 회선이 설정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휴대 전화기(1)의 휴대 전화기 본체(10)는 장치 본체(케이스)의 상부에 안테나(14)가 배치되고, 장치 전면에는 위에서부터, 통화 수단으로서 스피커(17)와, 액정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 수단으로서 표시부(15)와, 조작 입력 수단으로서 다수의 키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부(12)와, 통화 수단으로서 마이크(16)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편, 휴대 전화기(1)의 다른 구성 부분에 관하여는 도 2에 도시하였고,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 본체(10)의 상부에응답기(4)가 일체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나아가서는 휴대 전화기 본체(10)에 대하여 응답기(4)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자 단말기의 개략 구성)
한편, 자 단말기로서 퍼스널 컴퓨터(2)는 통상의 컴퓨터의 기능을 갖춘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와, 휴대 전화기(1)와 통신을 하기 위한 제1 통신 수단으로서 질문기(5)를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퍼스널 컴퓨터(2)는 다수의 키 스위치에 의한 조작 입력부(22)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의 케이스 설치측에 대하여,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부(24)를 갖는 케이스 상부측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 케이스 상부측에 질문기(5)가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퍼스널 컴퓨터(2)는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의 표시부(24)가 휴대 전화기(1)의 표시부(15)보다 표시 영역(면적)이 넓고, 조작 입력부(22)의 각 키가 휴대 전화기(1)의 조작 입력부(12)의 각 키 스위치보다도 크다.
이 실시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의 상부에 질문기(5)가 일체로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나아가서는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에 대하여 질문기(5)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호스트 컴퓨터의 개략 구성)
호스트 컴퓨터(3)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로서, 예컨대 인터넷이나 각종 정보 통신망과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트 컴퓨터(3)는 전술한 모체 단말기 또는 자 단말기로부터의 각종 요구에 따라서, 그 요구에 따른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호스트 컴퓨터(3)가 실행하는 각종 서비스로서는 예컨대 피(被)호출측이 되는 다른 유선 혹은 무선에 의한 전화기와의 접속 서비스, 전술한 인터넷이나 각종 정보 통신망으로부터의 각종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또, 호스트 컴퓨터(3)는 모체 단말기 또는 자 단말기로부터의 인증 정보를 토대로, 정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인증하는 도시되지 않는 인증부를 갖고 있고, 인증부에서 정규 사용자라고 인정한 경우에만, 모체 단말기 또는 자 단말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호스트 컴퓨터(3)는 도시되지 않는 요금 부과 처리부를 지니고, 상기 인증부에서 인증한 정규 사용자에 대하여 소정의 요금 부과 처리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3)는 모체 단말기인 휴대 전화기(1)에 미리 소정의 통신 속도(예컨대 2 Mbps)를 할당하는 동시에, 이 통신 속도의 범위 내에서, 휴대 전화기(1)로부터의 요구에 따른 통신 속도를, 휴대 전화기(1)가 선택한 복수의 자 단말기에 할당하는 도시되지 않는 통신 속도 할당부를 갖고 있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3)는 휴대 전화기(1) 및 휴대 전화기(1)가 선택한 복수의 자 단말기의 호스트 컴퓨터(3)에 대한 통신 속도를 감시하여, 모체 및 각 자 단말기의 통신 속도의 합계가 모체 단말기가 갖는 통신 속도(예컨대 2 Mbps)를 넘지 않도록 조정하기 위한 통신 속도 감시부를 갖고 있다.
(모체 단말기의 회로 구성)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휴대 전화기(1) 및 퍼스널 컴퓨터(2)의 회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의 휴대 전화기 본체(10)는 이 휴대 전화기(1) 전체를 제어하는 CPU(11)와, 도 1에서 설명한 조작 입력부(12)와, 호스트 컴퓨터(3)와 통신하는 제2 통신 수단으로서 송수신부(13) 및 안테나(14)와, 도 1에서 설명한 표시부(15), 마이크(16) 및 스피커(17)와, 휴대 전화기(1) 전체를 진동시키는 진동기(18)와, 후술하는 각종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19)를 갖고 있다.
휴대 전화기 본체(10)의 CPU(11)는 휴대 전화기(1) 전체의 제어에 관한 제어 프로그램 및 조작 입력부(12)에 의한 입력 조작을 토대로, 송수신부(13), 표시부(15), 스피커(17), 진동기(18) 및 메모리(19)를 제어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 본체(10)의 CPU(11)는 후술하는 응답기(4)의 통신부(41)와 접속되어, 통신부(4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토대로 각 부를 제어한다.
예컨대, 휴대 전화기 본체(10)에서는 조작 입력부(12)에 의한 입력 조작을 토대로, 접속하고자 하는 피호출측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CPU(11)의 제어에 의해, 그 전화번호가 표시부(15)에 표시되어, 송수신부(13) 및 송수신부(13)에 접속된 안테나(14)를 통해, 피호출측과의 회선 접속을 위한 무선 신호가 송신된다. 호스트 컴퓨터(3)는 휴대 전화기(1)로부터 송신된 이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피호출측 전화기와 접속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피호출측 전화기와 회선이 접속되면, 휴대 전화기 본체(10)에서는 CPU(11)의 제어에 의해, 피호출측 전화기로부터의 목소리가 스피커(17)로부터 출력되고, 이에 대한 호출측 사용자의 목소리가 마이크(16)를 통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송수신부(13)에서 소정 처리가 실시되어, 안테나(14) 및 호스트 컴퓨터(3)를 통해 피호출측 전화기에 통화를 위한 무선 신호로서 송신된다.
한편, 휴대 전화기 본체(10)에서는 호출측인 상대측 전화기로부터 호스트 컴퓨터(3)를 통해 송신된 회선 접속을 위한 무선 신호를 안테나(14)를 통해 송수신부(13)에서 수신하면, CPU(11)의 제어에 의해, 착신음이 스피커(17)로부터 출력되거나, 또는 조작 입력부(12)의 입력 조작을 토대로한 설정 상태에 따라서 진동기(18)가 진동하여, 피호출측 사용자에 의해 조작 입력부(12)의 소정의 키가 조작되면, 호출측과 회선이 접속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대측 전화기와 통화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 본체(10)에서는 조작 입력부(12)에 의한 입력 조작을 토대로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CPU(11)의 제어에 의해, 그 전화번호가 표시부(15)에 표시되어, 송수신부(13) 및 송수신부(13)에 접속된 안테나(14)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신호가 송신된다. 여기서, 호스트 컴퓨터(3)는 휴대 전화기(1)로부터 송신된 이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인터넷과 접속하기 위한 처리를 한다.
그리고, 인터넷과 회선이 접속되면, 휴대 전화기 본체(10)에서는 CPU(11)의 제어에 의해, 인터넷 측에서 보내는 화상 데이터나 메일에 관한 문자 데이터 등이 표시부(15)에 표시되고,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17)로 출력되어, 이 중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는 조작 입력부(12)에 의한 입력 조작을 토대로 하여, 메모리(19)에 저장된다.
휴대 전화기 본체(10)의 조작 입력부(12)는 이 밖에도 응답기(4)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2)의 질문기(5)와 통신을 하는 경우의 각종 설정을 할 때에도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휴대 전화기 본체(10)의 메모리(19)는 응답기(4)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2)의 질문기(5)와 통신을 한 후에 질문기(5) 측에서 보내오는 통신 결과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며, 그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메모리(19)는 휴대 전화기(1)에 관한 전화번호 데이터(이하, 전화번호 정보라 함)와, 자 단말기[퍼스널 컴퓨터(2)] 측에 위임되는 제어 내용에 관한 데이터(이하, 제어 내용 정보라 함)가 저장되어 있고, 이들 각 정보가 CPU(11)의 제어에 의해 판독되어 퍼스널 컴퓨터(2)의 질문기(5) 측으로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휴대 전화기(1)의 응답기(4)는 퍼스널 컴퓨터(2)의 질문기(5)와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41)를 구비하고 있고, 휴대 전화기 본체(10)의 CPU(11)에 의해 판독된 메모리(19) 내의 전화번호 정보 및 제어 내용 정보를 제어 신호와 함께 통신부(41)에 공급함으로써, 통신부(41)로부터 이들 각 정보가 무선 신호의 형태로 출력된다. 한편, 무선 신호의 형태로서는 전파나 적외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의 응답기(4)에서는 전화번호 정보 및 제어 내용 정보를 송신함에 앞서서, 휴대 전화기 본체(10)의 CPU(11)의 제어에 기초하여, 퍼스널컴퓨터(2)의 질문기(5)와의 접속하기 위한 접속 신호가 통신부(41)로부터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처리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자 단말기의 회로 구성)
이어서, 자 단말기측의 퍼스널 컴퓨터(2)의 회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2)의 퍼스널 컴퓨터 본체(20)는 이 퍼스널 컴퓨터 본체(20) 전체를 제어하는 CPU(21)와, 도 1에서 설명한 조작 입력부(22)와, 호스트 컴퓨터(3)에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접속됨으로써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모뎀 등을 구비한 송수신부(23)와, 도 1에서 설명한 표시부(24)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25)와, 프린터, 외부 기억 장치, 카드 모뎀, 다른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I/F부; 26)와, 음(音)을 출력하는 스피커(27)를 구비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의 CPU(21)는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 및 조작 입력부(22)에 의한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송수신부(23), 표시부(24), HDD(25), I/F부(26) 및 스피커(27)를 제어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의 CPU(21)는 후술되는 질문기(5)의 통신부(51)와 접속되어, 통신부(51)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각 부를 제어한다.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에서는 호스트 컴퓨터(3)에 링크되어 있는 전화 회선(28)과 송수신부(23)를 유선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 전화번호가 조작 입력부(22)에 의한 입력 조작에 의해 입력되면, CPU(21)의 제어에 의해, 그 전화번호가 표시부(24)에 표시되어, 송수신부(23) 및 상기 전화 회선(28)을 통해, 인터넷에 회선을 접속하기 위한 신호가 호스트 컴퓨터(3)에 송신된다. 호스트 컴퓨터(3)는 퍼스널 컴퓨터 본체(2)로부터 송신된 이 신호를 수신하면, 인터넷과 접속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에서는 인터넷과 회선이 접속되면, 호스트 컴퓨터(3)를 통해 인터넷으로부터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나 메일에 관한 문자 데이터 등이, CPU(21)의 제어를 통해 표시부(24)에 표시되고,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27)로부터 음으로서 출력되어, 이 중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는 조작 입력부(22)에 의한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HDD(25)에 저장(다운로드)된다.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의 조작 입력부(22)는 이 밖에도, 후술되는 질문기(5)를 통해 휴대 전화기(1)의 응답기(4)와 통신을 하는 경우의 각종 설정을 할 때에도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퍼스널 컴퓨터(2)의 질문기(5)는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의 CPU(21)와 접속되어, 휴대 전화기(1)의 응답기(4)와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51)를 구비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2)의 질문기(5)에서는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의 CPU(2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기(1)의 응답기(4)와 접속하기 위한 확인 신호가 통신부(51)로부터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모체 단말기에서 자 단말기로의 제어의 위임)
이러한 구성의 휴대 전화기(1) 및 퍼스널 컴퓨터(2)에서는 모체 단말기인 휴대 전화기(1)가 자 단말기인 복수의 퍼스널 컴퓨터(2A, 2B, … 2n)에 다음과 같이 제어를 위임함으로써, 원래 휴대 전화기(1)가 실행하는 처리를 각 퍼스널 컴퓨터(2)가 대행하거나, 휴대 전화기(1)와 각 퍼스널 컴퓨터(2)가 동시에 호스트 컴퓨터(3)와 통신을 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하, 이 제어 위임의 처리에 관해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3은 휴대 전화기(1)의 응답기(4)와 복수의 퍼스널 컴퓨터(2A, 2B, … 2n)의 각 질문기(5)와 호스트 컴퓨터(3) 사이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휴대 전화기(1)의 응답기(4)를 퍼스널 컴퓨터(2A∼2n)의 각 질문기(5)에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켜, 조작 입력부(12)의 소정의 키 스위치를 누른다. 이 때, 휴대 전화기(1)의 응답기(4)의 통신부(41)로부터 접속 신호가 송신되고, 자 단말기인 각 퍼스널 컴퓨터(2A∼2n)는 모체 단말기인 휴대 전화기(1)로부터의 접속 신호를 수신한다(단계 S1).
다음 단계 S2에서, 퍼스널 컴퓨터(2A∼2n)는 휴대 전화기(1)에 확인 신호를 송신한다. 이 확인 신호는 각 퍼스널 컴퓨터(2A∼2n)마다 각각 다른 신호로서, 예컨대 상기 퍼스널 컴퓨터(2) 고유의 자 ID 정보를 포함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퍼스널 컴퓨터(2) 고유의 자 ID 정보란, 호스트 컴퓨터(3)가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며,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2)의 제품 번호에 관한 정보, 퍼스널 컴퓨터(2)의 소유자에 관한 정보, 퍼스널 컴퓨터(2)의 소유자의 은행 계좌 등에 관한 정보 등이다. 또한, 상기 퍼스널 컴퓨터(2)가 독자적인 전화번호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그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 확인 신호를 각 퍼스널 컴퓨터(2A∼2n)로부터 수신한 휴대 전화기(1)는 다음 단계 S3에서, 각 자 단말기[퍼스널 컴퓨터(2A∼2n)]에 관한 일람을 표시부(15)에 표시하여, 제어를 위임할 대상인 자 단말기를 선택하도록, 사용자에게 조작 입력부(12)를 조작 하도록 재촉하고, 단계 S4로 진행하여 조작 입력부(12)의 입력을 기다린다. 또, 이 예에서는, 조작 입력부(12)에서 각 퍼스널 컴퓨터(2A∼2n) 모두를 선택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계 S4에서 조작 입력부(12)의 입력에 의해 자 단말기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단계 S5로 진행하여, 선택된 자 단말기의 수만큼, 자 단말기 ID를 발행한다. 이 자 단말기 ID는 호스트 컴퓨터(3)에 의해 모체 단말기인 휴대 전화기(1)가 발행한 것임이 인식될 수 있고, 또, 복수의 자 단말기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ID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자 단말기 ID로서, 모체 단말기인 휴대 전화기(1)의 전화번호에 소정의 부호를 부가하여, 각 자 단말기마다 다른 전화번호가 되는 방식의 전화번호 정보를 발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휴대 전화기(1)의 전화번호가 「090-1234-5678」인 경우에는 제1 자 단말기에 대해서는 「090-1234-5678-01」, 제2 자 단말기에 대해서는 「090-1234-5678-02」 …와 같이 가지 번호를 할당하여 부가한다.
또한, 자 단말기 ID의 실시예로서, 호스트 컴퓨터(3)에 의해 모체 단말기인 휴대 전화기(1)가 발행한 것임이 인식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자 단말기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ID라면 어느것이라도 가능하다.
다음 단계 S6에서는 생성된 자 단말기 ID인 전화번호 정보를 각 자 단말기에 개별적으로 송신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계 S6에서 전화번호 정보와 함께, 모체 단말기인 휴대 전화기(1)의 인증 정보와, 자 단말기에 위임할 제어 내용에 관한 제어 내용 정보를, 각 자 단말기에 개별적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1)의 인증 정보란, 예컨대 휴대 전화기(1)의 사용자가 설정한 패스워드 정보로 하고, 휴대 전화기(1)의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2)를 조작하여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정보로 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각 퍼스널 컴퓨터(2A∼2n)에 위임할 제어 내용으로서, 정보 통신망인 인터넷에 액세스하여 소정의 유료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그 제어 내용으로 하고, 이 제어 내용을 위임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제어 내용 정보를 휴대 전화기(1)의 통신부(41)에서 퍼스널 컴퓨터(2A∼2n)의 각 통신부(51)로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제어 내용 정보는 메모리(19)에 저장되어 있고, 송신에 앞서서 예컨대, 휴대 전화기(1)의 표시부(15)에 그 일람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2)를 조작하여, 표시된 일람에서 그 제어 내용을 선택함으로써, CPU(11)가 해당하는 정보를 메모리(19)로부터 판독하여, 응답기(4)의 통신부(41)로부터 무선 신호로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는, 자 단말기인 각 퍼스널 컴퓨터(2A∼2n)에 동일한 제어 내용을 위임하기 위해서, 각 퍼스널 컴퓨터(2A∼2n)에 동일한 제어 내용 정보가 송신되었지만, 각 자 단말기마다 다른 제어 내용을 위임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2A∼2n)에 서로 다른 제어 내용 정보가 송신되게 된다. 예컨대, 퍼스널컴퓨터(2A∼2n)에 서로 다른 통신 속도를 설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조작 입력부(12)를 조작하여, 각 퍼스널 컴퓨터(2A∼2n)에 각각 다른 제어 내용 정보를 송신한다. 또,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2A)가 사용할 통신 속도만을 설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조작 입력부(12)를 조작하여, 퍼스널 컴퓨터(2A)에 대해서만 다른 제어 내용 정보를 송신한다.
각 퍼스널 컴퓨터(2A∼2n)는 휴대 전화기(1)로부터의 전화번호 정보, 인증 정보, 제어 내용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단계 S7에서 수신하면, 다음 단계 S8에서, 이들 각 정보에 상기 자 ID 정보를 부가하여 호스트 컴퓨터(3)에 송신한다. 호스트 컴퓨터(3)는 단계 S9에서 각 퍼스널 컴퓨터(2A∼2n)로부터 각 정보를 수신하면, 다음 단계 S10에서, 상기 인증부가 예컨대 전화번호 정보와 인증 정보를 대조함으로써 인증을 실행하고, 이어지는 단계 S11에서, 각 자 단말기[퍼스널 컴퓨터(2A∼2n)]를 인터넷에 접속하는 처리를 한다.
여기서, 각 퍼스널 컴퓨터(2A∼2n)로부터 수신한 제어 내용 정보에 통신 속도를 지정하는 취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호스트 컴퓨터(3)의 상기 통신 속도 할당부는 각 퍼스널 컴퓨터(2A∼2n)가 상기 지정된 속도로 통신을 하도록, 각 퍼스널 컴퓨터(2A∼2n)에 통신 속도를 할당한다.
그리고, 이후로 호스트 컴퓨터(3)의 상기 통신 속도 감시부는 각 퍼스널 컴퓨터(2A∼2n)와 인터넷과의 접속 상태를 감시하여, 각 퍼스널 컴퓨터(2A∼2n)에서 통신하고 있는 통신 속도의 합계가 모체 단말기가 갖는 통신 속도(예컨대 2 Mbps)를 초과하지 않도록 감시하고, 초과한 경우 이를 조정한다.
여기서, 각 퍼스널 컴퓨터(2A∼2n)들이 통신하고 있는 통신 속도의 합계가 모체 단말기인 휴대 전화기(1)가 갖는 통신 속도(예컨대 2 Mbps)를 초과한 경우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호스트 컴퓨터(3)의 상기 통신 속도 감시부는 예컨대 n개의 각 퍼스널 컴퓨터(2A∼2n)의 각각의 송수신부(23)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신 속도의 비율에 비례하여 속도를 저감하도록 조정한다. 또, 다른 조정 방법으로서, 호스트 컴퓨터(3)는 휴대 전화기(1)가 n개의 각 퍼스널 컴퓨터(2A∼2n)로 제어를 위임시(제어 내용 정보의 송신시)에 통신 속도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2)에 관한 통신 속도를 저감하도록 조정한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3)는 각 퍼스널 컴퓨터(2A∼2n)의 인터넷 접속에 대한 요금(전화요금)이, 휴대 전화기(1)의 전화번호 사용권자에게 부과되도록, 상기 요금 부과 처리부에서 요금 부과 처리를 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단계 S12에서, 각 퍼스널 컴퓨터(2A∼2n)는 소정의 유료 데이터를 각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의 HDD(25)에 다운로드하는 제어를 한다. 이에 따라, 유료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대한 서비스 요금(요금 부과)이 호스트 컴퓨터(3)의 요금 부과 처리부에 의해서, 휴대 전화기(1)의 전화번호의 사용권자에게 부과되게 된다.
다운로드의 처리가 종료되면, 각 퍼스널 컴퓨터(2A∼2n)의 질문기(5)는 단계 S13에서 통신 결과에 관한 각종 정보를 포함한 무선 신호를, 휴대 전화기(1)의 응답기(4)에 송신함으로써, 일련의 처리가 종료되고, 휴대 전화기(1)에서 각 퍼스널 컴퓨터(2A∼2n)로의 제어 위임이 종료된다. 여기서, 통신 결과에 관한 정보로서는예컨대, 인터넷에의 접속 시간인 통신 시간, 전화 요금, 유료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대한 서비스 요금(요금 부과), 다운로드 데이터량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각 퍼스널 컴퓨터(2A∼2n)에 의한 이들 처리를 도중에 종료하고 싶은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1)의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2)를 통해 소정의 조작을 하도록 한다. 이 조작에 의해, 휴대 전화기(1)의 CPU(11)의 제어에 기초하여, 응답기(4)의 통신부(41)로부터 제어 위임을 중지하는 취지의 제어 위임 중지 신호가 각 퍼스널 컴퓨터(2A∼2n)의 통신부(51)에 송신되고, 통신부(51)가 이것을 수신하면, CPU(21)의 제어에 기초하여, 송수신부(23)에서 접속 종료의 명령어가 호스트 컴퓨터(3)로 송신되어, 호스트 컴퓨터(3)의 처리에 의해서 인터넷에의 접속이 끊어짐으로써, 휴대 전화기(1)에서 각 퍼스널 컴퓨터(2A∼2n)로의 제어 위임이 종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체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자 단말기에 이러한 제어를 위임함으로써, 자 단말기측의 각 퍼스널 컴퓨터(2A∼2n)에 고유의 전화번호를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새로운 전화번호를 사용함에 따르는 기본 요금 지불 부담이 없어진다.
또, 자 단말기측의 각 퍼스널 컴퓨터(2A∼2n)에 고유의 전화번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호스트 컴퓨터(3) 및 인터넷에의 접속에 대해서 고유의 전화번호 설정과 관계없이 모체 단말기측의 휴대 전화기(1)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접속이 행해지기 때문에, 접속에 앞서서 각 퍼스널 컴퓨터(2A∼2n) 측의 전화번호 설정을 변경할 필요도 없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 단말기인 각 퍼스널컴퓨터(2A∼2n)의 소유자와 상관없이, 전화 사용 및 서비스에 관한 요금 부과가 모체 단말기 측의 휴대 전화기(1) 사용자에게 부과되므로, 예컨대 각 퍼스널 컴퓨터(2A∼2n)를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모이는 장소(예컨대 쇼룸 등)에 설치한 경우라도, 특정한 서비스의 취득에 걸린 통신 요금, 서비스 제공 요금 등을, 각 퍼스널 컴퓨터(2A∼2n)의 소유 명의에 관계없이, 각 퍼스널 컴퓨터(2A∼2n)의 이용자 등(이 경우는 휴대 전화기(1)의 사용자)에게 적절히 요금을 부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 다운로드한 데이터가 자 단말기측의 퍼스널 컴퓨터(2A∼2n)의 각 HDD(25)에 보존되기 때문에, 모체 단말기측의 휴대 전화기(1)는 메모리(19)의 기억 용량을 크게 할 필요가 없고, 도시되지 않는 전원 전지의 용량을 늘릴 필요도 없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서는, 다운로드한 데이터가 HDD(25)로부터 판독되어 퍼스널 컴퓨터 본체(20)의 표시부(24)에 표시되기 때문에, 모체 단말기측의 휴대 전화기(1)에서는 휴대 전화기 본체(10)의 표시부 (15)의 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 장치의 소형, 경량화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모체 단말기측의 응답기(4)와 자 단말기측의 질문기(5)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의 양이 적기 때문에, 응답기(4) 및 질문기(5) 쌍방에 있어서의 통신부(41, 51)를, 간이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자 단말기측 퍼스널 컴퓨터(2)의 송수신부(23)가 유선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3)로부터 인터넷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각 자 단말기가 무선 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경우도 동일한 처리로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모체 단말기의 구성을, 응답기(4)와 휴대 전화기 본체(10)로 이루어지는 휴대 전화기(1)로 한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모체 단말기측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응답기(4)를 부착 혹 내장할 수 있는 각종 단말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응답기(4)를 부착 혹은 내장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각종 이동 통신 단말 장치가 있으며, 이 단말 장치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모체 단말기측이 호스트 컴퓨터(3)와 통신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모체 단말기의 구성으로서 소위 리모트 컨트롤러나 IC 카드와 같은 제품에 대하여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모체 단말기인 휴대 전화기(1)가 자신이 갖는 통신 속도(2 Mbps) 모두를 자 단말기인 퍼스널 컴퓨터(2A∼2n)에 위임한 경우의 예이며, 이 경우, 자 단말기인 퍼스널 컴퓨터(2A∼2n)의 통신 중에는 모체 단말기의 휴대 전화기(1)는 자신이 갖는 통신 속도가 없어지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1)의 송수신부(13) 및 안테나(14)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3)와 통신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하여, 휴대 전화기(1) 자신이 갖는 통신 속도(2 Mbps)의 일부(예컨대 1Mbps)만을 퍼스널 컴퓨터(2A∼2n)에 위임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모체 단말기인 휴대 전화기(1)와 자 단말기인 퍼스널 컴퓨터(2A∼2n)가 동시에 호스트 컴퓨터(3)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휴대 전화기(1)와 퍼스널컴퓨터(2A∼2n) 사이의 호스트 컴퓨터(3)를 통한 데이터 통신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호스트 컴퓨터(3)의 상기 인증부에 의한 인증, 상기 통신 속도 할당부에 의한 통신 속도의 할당, 상기 통신 속도 감시부에 의한 통신 속도의 감시 및 조정, 상기 요금 부과 처리부에 의한 요금 부과 처리에 관하여는 휴대 전화기(1) 및 퍼스널 컴퓨터(2A∼2n)에 대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처리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자 단말기의 구성을, 질문기(5)와 퍼스널 컴퓨터 본체(20)로 이루어지는 퍼스널 컴퓨터(2)로 한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자 단말기 측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질문기(5)를 부착 혹은 내장할 수 있는 각종 전자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질문기(5)를 부착 혹은 내장할 수 있는 각종 전자 제품의 예로서는 모체 단말기(1)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 전화기는 물론, 텔레비젼, 라디오, 카메라, 화상이나 음성의 기록 재생 장치, 냉난방기(에어컨), 전자 레인지, 팩시밀리 등의 가정용 혹은 사무실용의 전자 제품, 나아가 각종 자동 판매기와 같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공공용의 기기를 들 수 있고, 이들 각종 전자 제품에 호스트 컴퓨터(3)와의 통신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독자적인 전화번호 등을 설정하지 않고 호스트 컴퓨터(3)를 통해 여러 가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모체 단말기에서 자 단말기로 위임되는 제어의 내용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자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인 경우에는 착신 전용의 제어, 발신 전용의 제어, 착발신 쌍방의 제어 등의 위임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모체 단말기와 자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무선 신호를 통해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 신호를 통해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 통신망의 이용시에, 전화 회선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요금 부과 처리를 하고,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향상에 기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Claims (19)
-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와,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모체 ID 정보를 갖는 모체 단말기와,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자 ID 정보를 지니고, 상기 모체 단말기로부터 제어를 위임받아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자 단말기를 포함하고,상기 모체 단말기는각 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 수단과,상기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통신한 자 단말기 중에서, 제어를 위임하고자 하는 n개(n은 1 이상의 정수)의 자 단말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상기 제1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자 단말기는상기 모체 단말기와 통신하는 제1 통신 수단과,상기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는 제2 통신 수단과,상기 제1 통신 수단과 상기 제2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상기 모체 단말기의 제어 수단은 상기 선택 수단을 사용하여 선택한 n개의 자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모체 ID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호스트 컴퓨터가 상기 모체ID 정보를 특정할 수 있는 자 단말기 ID를 n개 생성하여, 생성한 자 단말기 ID를 각 자 단말기마다 송신하도록 상기 제1 통신 수단을 제어하고,각 자 단말기의 제어 수단은 상기 모체 단말기로부터의 자 단말기 ID를 상기 제1 통신 수단으로 수신한 경우, 수신한 상기 자 단말기 ID에 상기 자 ID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제2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송신하도록 상기 제2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 ID 정보는 상기 모체 단말기 사용자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 단말기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는 제2 통신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 단말기의 상기 제2 통신 수단은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미리 할당된 통신 속도의 범위 내에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 단말기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미리 할당된 통신 속도의 범위 내에서, 상기 n개의 자 단말기의 상기 제2 통신 수단으로 각각 동시에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는 내용의 제어를 위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 단말기는 제어의 위임시에, 상기 n개의 자 단말기중의 적어도 1개에 관해서, 상기 제2 통신 수단에서 사용될 통신 속도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 단말기는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미리 할당된 통신 속도의 범위 내에서, 상기 모체 단말기의 상기 제2 통신 수단 및 상기 n개의 자 단말기의 상기 제2 통신 수단으로 각각 동시에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는 내용의 제어를 위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 단말기는 제어의 위임시에, 상기 모체 단말기 및/또는 상기 n개의 자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상기 제2 통신 수단에서 사용할 통신 속도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모체 단말기 및 상기 n개의 자 단말기의 각각의 제2 통신 수단에서 행하는 통신 속도의 합계를 감시하여, 상기 모체 단말기에 미리 할당한 통신 속도의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정하는 통신 속도 감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상기 통신 속도 감시부는 상기 모체 단말기 및 상기 n개의 자 단말기의 각각의 제2 통신 수단에서 행하는 통신 속도의 합계가 상기 모체 단말기에 미리 할당한 통신 속도의 범위를 넘은 경우에는 상기 모체 단말기 및 상기 n개의 자 단말기의 각각의 제2 통신 수단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신 속도의 비율에 비례하여 속도를 저감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6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의 상기 통신 속도 감시부는 상기 모체 단말기 및 상기 n개의 자 단말기의 각각의 제2 통신 수단에서 행하는 통신 속도의 합계가 상기 모체 단말기에 미리 할당한 통신 속도의 범위를 넘은 경우에는 상기 모체 단말기로부터 상기 n개의 자 단말기로의 제어 위임시에 통신 속도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상기 모체 단말기 및/또는 상기 자 단말기의 통신 속도를 저감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각 자 단말기의 상기 제2 통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자 단말기 ID 및 상기 자 ID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가 상기 각 자 단말기의 상기 제2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상기 모체 ID 정보를 갖는 사용자에게 부과하는 요금 부과 처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로서,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로서, 다른 전화기에의 접속 서비스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 단말기가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n개의 자 단말기에 상기 자 단말기 ID와 함께 인증 정보 및 위임할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제어 내용 정보를 각 자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1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 단말기의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통신한 자 단말기의 일람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자 단말기의 일람 중 제어를 위임하고자 하는 상기 n개의 자 단말기에 관해서 설정하는 설정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 단말기는 상기 모체 단말기가 갖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임받아, 상기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 단말기는 제어 위임을 중지하는 취지의 제어 위임 중지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수단을 통해 수신할 때까지, 상기 제2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호스트 컴퓨터와의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122791A JP3153213B1 (ja) | 2000-04-24 | 2000-04-24 | 電話回線の制御委譲システム |
JPJP-P-2000-00122791 | 2000-04-24 | ||
PCT/JP2000/003869 WO2001082094A1 (en) | 2000-04-24 | 2000-06-14 | System for transfer control of telephone l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9106A true KR20020019106A (ko) | 2002-03-09 |
Family
ID=1863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16556A KR20020019106A (ko) | 2000-04-24 | 2000-06-14 |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6778654B1 (ko) |
EP (1) | EP1278126A1 (ko) |
JP (1) | JP3153213B1 (ko) |
KR (1) | KR20020019106A (ko) |
CN (1) | CN1359498A (ko) |
AU (1) | AU5426400A (ko) |
CA (1) | CA2378458A1 (ko) |
WO (1) | WO200108209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80147B2 (en) * | 2000-09-04 | 2006-07-1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omputer network system, computer system,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computer systems, method for measuring computer system performance, and storage medium |
US20030012169A1 (en) * | 2001-03-30 | 2003-01-16 | Sunao Takatori |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
WO2002082733A1 (fr) * | 2001-03-30 | 2002-10-17 | Yozan Inc. | Systeme de lan radio, procede de commande de systeme de lan radio et programme de commande |
US7039033B2 (en) | 2001-05-07 | 2006-05-02 | Ixi Mobile (Israel) Ltd. |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a managed wireless network using short-range radio signals |
WO2002100082A1 (fr) * | 2001-05-30 | 2002-12-12 | Yozan Inc. | Systeme de communication |
WO2003001782A1 (fr) * | 2001-06-20 | 2003-01-03 | Yugenkaisha Tachikairo Kenkyukai | Terminal de communication mobile, dispositif de communication a unites enfouies, et support d'enregistrement |
US6845097B2 (en) | 2001-11-21 | 2005-01-18 | Ixi Mobile (Israel) Ltd. |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airing of devices in a short distance wireless network |
US6909878B2 (en) | 2002-08-20 | 2005-06-21 | Ixi Mobile (Israel) Ltd. |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an output signal having a theme to a device in a short distance wireless network |
JP2004192077A (ja) * | 2002-12-09 | 2004-07-08 | Hitachi Ltd | 分散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キスト対応ブローカリング方法 |
US20050070224A1 (en) * | 2003-09-29 | 2005-03-31 | Inventec Appliances Corp. | Method of us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on fixed platform to operate short messages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US7058419B2 (en) * | 2003-10-24 | 2006-06-06 | Motorola,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mmunication latency in a wireless group call |
US7177664B2 (en) * | 2003-11-10 | 2007-02-13 | Ronald Lachman | Bluetooth interface between cellular and wired telephone networks |
US7764626B2 (en) * | 2004-10-04 | 2010-07-27 | Riverbed Technology, Inc. | Role grouping of hosts in computer networks |
US7856088B2 (en) * | 2005-01-04 | 2010-12-21 | Vtech Telecommunications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heterogeneous telephone mailboxes |
US9009269B2 (en) | 2010-07-23 | 2015-04-14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Mediation server, control method therefor,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ccount provisioning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CN102761853A (zh) * | 2011-04-25 | 2012-10-31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终端管理系统及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7630A (ja) | 1986-06-27 | 1988-01-13 |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 電子ビ−ム描画装置 |
JPS6370630A (ja) | 1986-09-12 | 1988-03-30 | Hitachi Cable Ltd | チヤネル割り当て方式 |
US6002918A (en) * | 1989-06-29 | 1999-12-14 | Symbol Technologies, Inc. | Power-sav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bile units in communications network |
JP2636686B2 (ja) | 1993-07-23 | 1997-07-30 | 日本電気株式会社 | 無線電話装置 |
JP2590739B2 (ja) * | 1994-07-13 | 1997-03-12 | 日本電気株式会社 | 構内用電子交換機の移動局認証方式 |
JPH0898240A (ja) | 1994-09-21 | 1996-04-12 | Victor Co Of Japan Ltd | 携帯電話システム |
US5805999A (en) * | 1995-02-15 | 1998-09-08 | Nec Corporation | Cordless phone system and a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of a cordless phone in said cordless phone system |
JPH09327074A (ja) * | 1996-06-04 | 1997-12-16 | Sony Corp |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並びに移動通信端末装置 |
JPH11127468A (ja) * | 1997-10-20 | 1999-05-11 | Fujitsu Ltd | 通信制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
EP1040700A1 (en) * | 1998-11-09 | 2000-10-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servation multiple access in a cdma communications system |
JP3067747B2 (ja) * | 1998-12-07 | 2000-07-24 | 日本電気株式会社 | 無線チャネル割当システム及びアサインチャネル配送方法 |
US6600734B1 (en) * | 1998-12-17 | 2003-07-29 | Symbol Technologies, Inc. | Apparatus for interfacing a wireless local network and a wired voice telecommunications system |
US6570489B1 (en) * | 1999-03-17 | 2003-05-27 | Avaya Technology Corp. |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grated pager functionality |
US6352361B1 (en) * | 1999-08-06 | 2002-03-05 | Pgi International | Temperature sensing device for metering fluids |
-
2000
- 2000-04-24 JP JP2000122791A patent/JP3153213B1/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6-14 CN CN00809265A patent/CN1359498A/zh active Pending
- 2000-06-14 WO PCT/JP2000/003869 patent/WO2001082094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06-14 EP EP20000939062 patent/EP1278126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0-06-14 KR KR1020017016556A patent/KR2002001910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06-14 CA CA 2378458 patent/CA237845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0-06-14 AU AU54264/00A patent/AU5426400A/en not_active Abandoned
- 2000-06-14 US US10/018,554 patent/US677865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153213B1 (ja) | 2001-04-03 |
AU5426400A (en) | 2001-11-07 |
EP1278126A1 (en) | 2003-01-22 |
CN1359498A (zh) | 2002-07-17 |
CA2378458A1 (en) | 2001-11-01 |
US6778654B1 (en) | 2004-08-17 |
WO2001082094A1 (en) | 2001-11-01 |
JP2002314700A (ja) | 2002-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0019106A (ko) |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 | |
US8086220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s | |
US20040162092A1 (en) | Telephon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US7555289B2 (en) | Subway broadcast method and apparatus | |
US20130267208A1 (en) | System,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service function | |
EP0944277A2 (en) | Method and system for assigning multiple directory numbers (DN) to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telephone | |
JP2000224656A (ja) | 携帯情報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 |
JP2005192151A (ja) |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画像・映像表示方法 | |
KR100363822B1 (ko) | 응답기, 이동체통신단말, 내장형통신기 및 제어이전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 |
KR100640391B1 (ko) |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배경화면 다운로드 시스템 및휴대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방법 | |
GB2408427A (en) | Communication accounting system with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
JP2002176676A (ja) | 情報端末、情報取得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情報取得方法 | |
EP1557735B1 (en) |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restricting use of content | |
KR100416982B1 (ko) | 웹 브라우저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접속제어방법 | |
JP2002171328A (ja) | 無線通信端末 | |
KR101080979B1 (ko)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
KR100692660B1 (ko) | 단축 코드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 |
JPH1198577A (ja) |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通信装置 | |
JP5107672B2 (ja) | 移動通信端末、サービスポイント付与サーバ及びサービスポイント付与方法 | |
KR20050011937A (ko) |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요금 제한 장치 및 방법 | |
JP2002024343A (ja) | タクシー配送システム | |
EP2003907A1 (en) | Mobile telephone system,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information terminal, and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 |
JPH1198576A (ja) | 通信装置 | |
JP2005354689A (ja) |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 |
JP2006135965A (ja) |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画像・映像表示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112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