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2391Y1 -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391Y1
KR200162391Y1 KR2019970040881U KR19970040881U KR200162391Y1 KR 200162391 Y1 KR200162391 Y1 KR 200162391Y1 KR 2019970040881 U KR2019970040881 U KR 2019970040881U KR 19970040881 U KR19970040881 U KR 19970040881U KR 200162391 Y1 KR200162391 Y1 KR 200162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roller
ratchet
cam
reverse rotation
inkjet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256U (ko
Inventor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40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391Y1/ko
Priority to EP19980310035 priority patent/EP0921082B1/en
Priority to DE1998606220 priority patent/DE69806220T2/de
Priority to CNB981231411A priority patent/CN1165471C/zh
Priority to JP34917698A priority patent/JP3083509B2/ja
Publication of KR199900282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2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치를 사용하는 잉크젯프린터에서 픽업롤러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캠에 의해 급지판을 승강시키는 구조의 급지장치에서, 캠의 위치를 유지, 역회전 방지를 위해 캠의 반대편 픽업롤러축에 라체트가 일체로 설치되고, 라체트의 끝단부에 톱니부가 형성되며, 급지판의 일측에 스토퍼레버가 설치되어 상기 라체트의 톱니부에 맞물려 픽업롤러축의 비정상적인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픽업롤러축의 비정상적인 역회전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
본 고안은 잉크젯프린터 및 사무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치를 사용하는 잉크젯프린터에서 픽업롤러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픽업롤러의 구동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캠을 사용하여 급지판을 이격하고, 대기하다가 급지 신호가 오면 캠을 회전시켜 급지판을 픽업롤러에 밀착, 용지를 급송하는 구조의 자동 낱장 공급장치에 있어서, 캠의 상사점 유지는 매우 불안정하므로 외부적 요인 또는 기기내 오동작에 의해 캠의 상사점 유지가 불안정 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의 필요성이 있다.
스토퍼를 들어올리기 위한 순간적 역회전 때 클러치 스프링의 마찰력 등에 의해 최종 피동축인 픽업롤러 축에 역회전 토크가 일정량 걸리게 되며, 이때 픽업롤러 측의 캠과 급지판 상의 접촉면 사이의 수직 압력에 의한 마찰력으로 이를 이겨내야 하나 이 접촉면은 급지 구동력의 최소화 등의 목적으로 매우 윤활이 잘 되어 있어야 하며, 또한 그리스 등의 윤활제가 도포되어야 하므로 자칫 상기의 역회전 토크를 이기지 못하고, 픽업롤러 축이 역회전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이렇게 되면 라체트의 돌기부가 스토퍼의 상하 동작과 동시에 뒤로 후퇴하며, 이는 스토퍼에 의한 라체트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지 못하고, 급지에 실패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외부적인 충격 또는 용지 삽입의 오류 등으로 전술의 픽업롤러가 비정상적으로 역회전하여 급지판을 상승시키는 오동작이 발생하며 이는 사용자가 즉시 용지를 삽입하지 못하는 오류 상태를 만든다.
그러나 상술의 오동작을 막기 위해서는 캠이 급지판을 밀어 들고 있을 때 그 접촉점이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외부적 요인에 의해 상사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역회전을 방지하는 구조가 필요하며, 이러한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캠의 동작을 방해하는 구조는 회피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스프링클러치를 사용하는 잉크젯프린터에서 픽업롤러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픽업롤러축에 설치된 캠에 의해 급지판을 승강시키는 구조의 급지장치에서, 캠의 위치를 유지, 역회전 방지를 위해 캠의 반대편 픽업롤러축에 라체트가 일체로 설치되고, 라체트의 끝단부에 톱니부가 형성되며, 급지판의 일측에 스토퍼레버가 설치되어 상기 라체트의 톱니부에 맞물려 픽업롤러축의 비정상적인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체트의 톱니부와 대응하여 스토퍼레버의 끝단부에 톱니부가 라체트의 톱니부와 상충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지판에 설치된 스토퍼레버의 힌지부에 스토퍼스프링이 설치되어 스토퍼레버가 픽업롤러축으로 향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체트의 길이는 캠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자동용지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라체트가 스토퍼레버와 밀착된 상태와 라체트와 스토퍼레버의 톱니부의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우측면도로서, 도 2에서 캠이 돌출부에서 벗어난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잉크젯프린터 20 - 자동용지공급장치
21 - 메인프레임 22 - 급지판
23 - 급지스프링 24 - 돌출부
25 - 용지 26 - 픽업롤러
27 - 픽업롤러축 28 - 캠
29 - 라체트 29a - 톱니부
30 - 스토퍼레버 30a - 톱니부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의 자동용지공급장치(20)를 보인 것으로, 픽업롤러축(27)의 끝단부 외주면에 라체트(29)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라체트(29)는 픽업롤러축(27)에 형성된 캠(28)과 반대 방향에 형성되고, 라체트(29)의 길이는 캠(28)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또한 라체트(29)의 끝단부 표면에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고, 픽업롤러축(27)을 회전시킬 때 라체트(29)의 톱니부가 스토퍼레버(30)의 톱니부와 마찰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픽업롤러축(27)이 회전하여 라체트(29)가 돌출부(24)의 옆을 근접하면서 회전하더라도 라체트(29)는 돌출부(24)와 접촉되지 않고, 캠(28)이 회전하여 하측에 위치할 때만 캠(28)의 하단면이 돌출부(24)의 상단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라체트(29)는 픽업롤러축(27)을 기준으로 캠(28)과 대칭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픽업롤러축(27) 상에서 라체트(29)는 캠(28) 보다 바깥쪽으로 위치해 있다.
다시상세하게 설명하면 라체트(29)와 캠(28)은 일직선으로 형성되지 않고, 서로 엇갈려서 형성되어 캠(28)은 라체트(29) 보다 안쪽에 위치하여 형성된다.
또한 라체트(29)는 스토퍼레버(30)와 수직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픽업롤러축(27)이 회전하여 라체트(29)가 스토퍼레버(30)와 접촉될 때는 라체트(29)의 톱니부와 스토퍼레버(30)의 톱니부가 마찰되지만 캠(28)은 스토퍼레버(30)와 접촉되지 않는 것이다.
예시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잉크젯프린터(10)의 자동용지공급장치의 단면도로서, 픽업롤러(26)가 용지(25)와 맞물린 상태에서 픽업롤러(26)가 회전하여 용지(25)를 이송하는 상태를 보여준 것이다.
그리고 캠(28)이 회전하면서 이루는 회전 궤도상에 스토퍼레버(30)가 위치해 있지 않아서 픽업롤러축(27)이 구동할 때 캠(28)은 스토퍼레버(30)와 전혀 접촉하지 않게 되고, 그로인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예시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용지공급장치의 또다른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캠(28)이 급지판(22)의 돌출부(24)와 밀착하면서 급지판(22)을 밀어내 급지판(22)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픽업롤러(26)를 구동시키는 픽업롤러축(27)의 외측면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라체트(29)와 캠(2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픽업롤러(26)가 시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28)이 돌출부(24)에 밀착할 때 스토퍼레버(30)의 톱니부(30a)가 라체트(29)의 톱니부(29a)와 맞물려 있게 된다.
이상태에서 픽업롤러(26)와 일체로 된 픽업롤러축(27)이 역회전할 때 라체트(29)의 톱니부(29a)와 스토퍼레버(30)의 톱니부(30a)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 있게 되고, 캠(28)이 돌출부(24)의 상단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는 급지판(22)이 최대로 하강한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라체트(29)의 톱니부(29a)와 스토퍼레버(30)의 톱니부(30a)가 밀착할 때 톱니부의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어서, 라체트(29)의 톱니부(29a)와 스토퍼레버(30)의 톱니부(30a)가 서로 상충되어 라체트(29)가 시계 반대방향(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라체트(29)의 톱니부(29a)가 스토퍼레버(30)의 톱니부(30a)에 걸려 역회전이 불가능하다.
또한 스토퍼스프링(31)은 스토퍼레버(30)의 하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토퍼레버(30)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탄성력이 미쳐서 픽업롤러(26)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캠(28)이 회전하여 급지판(22)을 픽업롤러(26)와 떨어지게 하고 대기하다가 급지신호가 전송되면 캠(28)을 회전시켜 급지판(22)을 픽업롤러(26)에 밀착하여 용지(25)를 급송하게 된다.
이때 라체트(29)의 상부에 스토퍼레버(30)가 밀착하여 캠(28)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어서 외부적 요인 또는 기기내 오동작에 의해 캠(28)이 돌출부(24)에 밀착된 상태에서의 유지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급지스프링(23)은 메인프레임(21)과 급지판(22) 사이에 위치하여 급지판(22)을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작용하여 급지판(22)에 수납, 적재된 용지(25)를 픽업롤러(26)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픽업롤러(26)가 용지(25)를 한 장씩 픽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스토퍼레버(30)는 픽업롤러(26)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용지가 잉크젯프린터의 피드롤러(41) 쪽의 반대 방향으로 역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로인해 이미 급지판(22)에서 급지된 용지(25)가 거꾸로 다시 급지판(22)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예시도면 도 4는 픽업롤러가 회전하고, 동시에 캠(28)이 돌출부(24)를 벗어난 상태에서는 돌출부(24)와 일체로 된 급지판이 급지스프링(23)의 탄성력으로 상승하면서 캠(28)이 돌출부(24)의 옆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픽업롤러축에 설치된 캠(28)이 역회전(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될 때는 캠(28)의 옆면이 돌출부(24)의 옆면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이 안되어 픽업롤러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캠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상사점 위치 에서 양측 캠의 접촉 압력과 마찰 계수만 가지고 현 위치를 유지하기에는 외부적 회전 요인이 너무 커 역방향 회전이 발생되므로 전술의 구조를 보완하여 픽업롤러축의 비정상적인 역회전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픽업롤러축에 설치된 캠에 의해 급지판을 승강시키는 구조의 급지장치에서,
    캠의 위치를 유지, 역회전 방지를 위해 캠의 반대편 픽업롤러축에 라체트가 일체로 설치되고, 라체트의 끝단부에 톱니부가 형성되며, 급지판의 일측에 스토퍼레버가 설치되어 상기 라체트의 톱니부에 맞물려 픽업롤러축의 비정상적인 역회전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체트의 톱니부와 대응하여 스토퍼레버의 끝단부에 톱니부가 라체트의 톱니부와 상충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판에 설치된 스토퍼레버의 힌지부에 스토퍼스프링이 설치되어 스토퍼레버가 픽업롤러축으로 향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체트의 길이는 캠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
KR2019970040881U 1997-12-08 1997-12-26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 KR200162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881U KR200162391Y1 (ko) 1997-12-26 1997-12-26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
EP19980310035 EP0921082B1 (en) 1997-12-08 1998-12-08 Spring clutch control mechanism for a sheet feeding device
DE1998606220 DE69806220T2 (de) 1997-12-08 1998-12-08 Steuermechanismus für eine Federkupplung in einer Bogenfördervorrichtung
CNB981231411A CN1165471C (zh) 1997-12-08 1998-12-08 打印机自动供纸装置
JP34917698A JP3083509B2 (ja) 1997-12-08 1998-12-08 自動給紙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881U KR200162391Y1 (ko) 1997-12-26 1997-12-26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56U KR19990028256U (ko) 1999-07-15
KR200162391Y1 true KR200162391Y1 (ko) 1999-12-15

Family

ID=1951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881U KR200162391Y1 (ko) 1997-12-08 1997-12-26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3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56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219B1 (en) Paper feeding device
KR20080110414A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20030079179A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US5775686A (en) Sheet feeding device with lifter member to hold sheets at predetermined height
US7207736B2 (en) Paper insertion limiting device for a paper feeding unit
KR200162391Y1 (ko) 잉크젯프린터용 픽업롤러의 역회전 방지장치
US20010019192A1 (en) Automatic paper feeding system
US6349931B1 (en) Automatic paper feeding system
KR100331700B1 (ko) 프린터의 픽업장치
CN1217982A (zh) 供应和对正纸张的方法和装置
US20080277861A1 (en) Sheet Picking System For An Imaging Apparatus
EP1552948B1 (en) Door assembly having a print media delivery system
US6227535B1 (en) Automatic sheet feeder of a printing machine
US8002262B2 (en) Method for applying pick retry using a modified pick roller force to reduce likelihood of failure to pick top sheet from stack
KR100385982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EP1695930A1 (en) Sheet feeder
KR19990079241A (ko) 용지공급장치
KR200228037Y1 (ko) 프린터의 용지 픽업장치
KR900004281Y1 (ko) 타자기의 종이 공급장치
KR100247398B1 (ko) 용지 픽업용 픽업샤프트
JPH11106069A (ja) 駆動装置及びシート給送装置
KR100193728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자동급지 부하단속장치
KR200169048Y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장치
KR20060054642A (ko) 급지장치
KR100274544B1 (ko) 프린터기기의 자동급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2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9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9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8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